KR102639219B1 -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 Google Patents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219B1
KR102639219B1 KR1020190114292A KR20190114292A KR102639219B1 KR 102639219 B1 KR102639219 B1 KR 102639219B1 KR 1020190114292 A KR1020190114292 A KR 1020190114292A KR 20190114292 A KR20190114292 A KR 20190114292A KR 102639219 B1 KR102639219 B1 KR 102639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link
insulator device
link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2816A (ko
Inventor
남기윤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14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2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2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4Chains; Multiple ch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송전선 철탑의 암에 결합되는 크레비스 링크, 상기 크레비스 링크와 결합되는 상측 현수 플레이트,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와 링크 결합되는 중간 플레이트, 및 상기 중간 플레이트와 링크 결합되고, 2개의 애자련과 결합되는 하측 현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철탑의 교체 없이 지상고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INSULATOR DEVICE WITH LINK STRUCTURE}
본 발명은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고를 높이고, 불평형 장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링크구조 내장 애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선의 지지물로 사되는 철탑의 형태는 선로(線路)의 송전전력·전압·지형 등에 따라 다르며, 높이는 60m나 되는 것도 있다.
이때, 철탑의 주재료는 단면이 L형인 강재(鋼材)이고, 수평단면이 정사각형인 것이 많이 존재하며, 따라서 기초도 정사각형의 정점(頂點)에 콘크리트로 굳혀서 만든다.
또한, 송전선의 철탑은 보통 3상 2회선, 즉 6개의 전선을 애자(碍子)로 지지하고 있다. 철탑 사이의 거리는 20~30 m이고, 철탑에 가설한 전선의 지표(地表)로부터의 최저 높이는 전기 설비 기술에 의해 정해 져 있으며, 예를 들면 15만 V의 선로일 경우는 6 m이다.
특히 선로가 넓은 강이나 깊은 계곡을 건널 경우에는 경간이 길고, 따라서 전선의 장력이 커지므로 특히 강한 구조가 필요하다.
한편, 송전선일지라도 규가 작은 것, 또는 배전선이나 전화선의 지지물로서 단일기초(單一基礎) 위에 세우는 철주가 있다.
이러한 송전선로 철탑은 상호간에 다수의 송전선을 연결하고 있으며, 이러한 송전선들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 이나 눈 비등의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진동 혹은 진폭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송전선에 처짐 현상이 초래되어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송전선들이 상,하로 심하게 흔 들려서 상호간에 마찰을 빚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것은 합선이나 단전 유발등 대형 안전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송전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보수 작업을 하여 송전선의 처짐 현상으로 인해 상기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방법은 단전을 수반하여야지만 작업이 가능한 관계로 전력을 사용하는 세대들의 크나큰 불편을 초래하였고, 이러한 불편을 수반하는 문제로 인해 수시로 보수 작업을 실시하지 못하는데 따른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 지상고의 설계기준이 강화되어 지상고 확보대상 철탑이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철탑 높이상향 공사를 통하여 지상고를 확보하여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그러나, 지상고 부족이 미미한 개소의 철탑교체는 매우 비경제적이고, 높이상향 공사를 하는 경우에도 인접한 철탑의 애자련이 들리고 횡진각이 초과되어 보강 공사가 추가로 필요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별도의 철탑교체 없이 저지상고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인접한 철탑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19934호(2005.10.1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애자 장치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철탑교체 없이 저지상고 문제를 해소하고, 불평형장력이 증가하여도 이를 해소시키는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는 송전선 철탑의 암에 결합되는 크레비스 링크, 상기 크레비스 링크와 결합되는 상측 현수 플레이트,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와 링크 결합되는 중간 플레이트, 및 상기 중간 플레이트와 링크 결합되고, 2개의 애자련과 결합되는 하측 현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간 플레이트 및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에 소정의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이 인가될 경우 절단되는 절단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는, 이등변삼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하측 플레이트 본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는, 상기 하측 플레이트 본체의 꼭지각 방향 단부에서 상기 하측 플레이트 본체의 무게중심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와 링크 결합되도록 홀 형태로 형성된 링크홀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는, 상기 하측 플레이트 본체의 양측 밑각 방향 단부에서 상기 하측 플레이트 본체의 무게중심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애자련과 결합되도록 홀 형태로 형성된 애자홀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중간 플레이트는, 길다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와 링크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와 링크 결합되는 중간 플레이트 본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중간 플레이트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 본체의 일측 단부에 홀 형태로 형성된 상측 결합홀, 상기 중간 플레이트 본체의 타측 단부에 홀 형태로 형성된 하측 결합홀, 및 상기 상측 결합홀과 상기 하측 결합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절단핀이 삽입되도록 홀 형태로 형성된 절단핀 삽입홀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는, 사분원 형태의 평판으로 형성된 상측 플레이트 본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는, 사분원 형태의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원의 중심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가 링크결합 되도록 홀 형태로 형성된 축홀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는, 상기 상측 플레이트 본체에서부터 상기 축홀을 중심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된 면의 중심에 상기 크레비스 링크와 링크 결합되도록 크레비스홀이 형성된 크레비스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는, 상기 상측 플레이트 본체에서부터 상기 축홀을 중심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된 면의 중심에 간격유지홀이 형성된 간격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는, 상기 상측 플레이트 본체에 두개 형성되고, 긴선 작업 시 중심을 유지시키도록 형성된 중심유지홀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중심유지홀은, 상기 축홀을 중심으로 동심원 상에 형성되되, 상기 축홀에서부터 상기 크레비스홀까지의 거리(R)의 절반(0.5R)의 반지름을 갖는 동심원 상에 두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중심유지홀은, 긴선 작업 시, 상기 중간 플레이트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폭보다 넓은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에 의하면, 철탑의 교체 없이 지상고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접한 철탑의 조상 및 횡진각 초과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불평형장력이 발생하더라도 애자 장치가 늘어나면서 불평형장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에서, 하측 현수 플레이트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에서 중간 플레이트에 대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에서 상측 현수 플레이트에 대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에서 크레비스 링크에 대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가 평상시에 작동하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에 불평형장력이 인가되었을 때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가 적용된 철탑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는, 하측 현수 플레이트(10), 중간 플레이트(20), 상측 현수 플레이트(30), 크레비스 링크(40) 및 절단핀(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의 상하에 한 쌍의 상기 중간 플레이트(20)가 적층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20)가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의 상하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절단핀(50)이 상기 중간 플레이트(20) 및 그 사이에 배치된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중간 플레이트(20) 사이에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가 결합(적층)된 상태에서 그 상하에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30)가 적층된다.
한편, 상기 중간 플레이트(20)는 일측 단부가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에 링크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30)에 링크 결합된다.
한편, 상기 크레비스 링크(40)는 한 쌍의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3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링크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는 이등변삼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되, 꼭지점이 곡선 형태로 형성되며, 2개의 애자련(3)이 결합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20)와 링크 결합된다. 하측 플레이트 본체(11), 링크홀(12), 애자홀(13), 핀관통홀(14) 및 중심유지홀(15)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측 플레이트 본체(11)는 이등변삼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되, 세 개의 꼭지점 부분이 곡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본체(11)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꼭지각 방향에 상기 링크홀(12)이 형성되고, 양측 밑각 방향에는 각각 상기 애자홀(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본체(11)의 무게중심과 상기 링크홀(12) 사이에는 상기 핀관통홀(14)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홀(12)은 상기 하측 플레이트 본체(11)의 꼭지각 방향 단부에서 상기 하측 플레이트 본체(11)의 무게중심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20)와 링크 결합되도록 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애자홀(13)은 상기 하측 플레이트 본체(11)의 양측 밑각 방향 단부에서 상기 하측 플레이트 본체(11)의 무게중심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애자련(3)과 결합되도록 홀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애자홀(13)은 상기 애자련(3)에 구비된 고리(2)가 걸리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애자련(3)에 의하여 인가된 장력을 지지하도록 원통형의 애자보스(13a)가 상기 하측 플레이트 본체(11)에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관통홀(14)은 상기 플레이트 본체(11)의 무게중심과 상기 링크홀(12)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절단핀(50)이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중심유지홀(15)은 상기 플레이트 본체(11)에 형성되며, 후술할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30)의 중심유지홀(35)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중심유지홀(15)에는 상기 현수 플레이트(30)의 중심유지홀(35)을 관통한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중간 플레이트(20)는 길다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30)와 링크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와 링크 결합되며, 중간 플레이트 본체(21), 상측 결합홀(22), 하측 결합홀(23) 및 절단핀 삽입홀(2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간 플레이트 본체(21)는 길다란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 및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30)와 볼트로 조여 링크 결합되도록 보스 형태로 돌출된 부분이 존재한다.
이때, 상기 상측 결합홀(22)은 상기 중간 플레이트 본체(21)에서 일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 부분의 이면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상측 결합홀(22)은 상기 플레이트 본체(21)에서부터 보스 형태로 돌출된 부분을 향하여 오목하게 파여 형성된 볼트홈의 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측 결합홀(23)은 상기 중간 플레이트 본체(21)의 타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 부분에 홀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절단핀 삽입홀(24)은 상기 상측 결합홀(22)과 상기 하측 결합홀(23)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절단핀(50)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20)가 2개 구비되어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의 양 면에 적층되고,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의 상기 링크홀(12)과 2개의 상기 하측 결합홀(23)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하나의 볼트로 링크 결합된다. 또한 2개의 상기 중간 플레이트(20)의 상기 절단핀 삽입홀(24) 및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의 핀관통홀(14)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절단핀(50)이 이를 관통하여 결합된다(도 2 참조).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30)는 상기 크레비스 링크(40)와 결합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20)와 결합되며, 상측 플레이트 본체(31), 축홀(32), 크레비스결합부(33), 간격유지부(34) 및 중심유지홀(35)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 플레이트 본체(31)는 사분원(四分圓) 형태의 평판으로 형성되고, 사분원의 원 중심 위치에 상기 축홀(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측 플레이트 본체(31)의 원호부분에서 상기 축홀(32)을 기준으로 상기 플레이트 본체(3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기 크레비스결합부(33) 및 두 개의 상기 간격유지부(34)가 돌출 연장 형성된다. 한편, 상기 크레비스 결합부(33)는 두 개의 상기 간격유지부(34)와 동심원 상에 형성되되, 상기 축홀(32)을 중심으로 두 개의 상기 간격유지부(34)가 형성하는 사잇각을 이등분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축홀(32)은 사분원 형태의 상기 플레이트 본체(31)의 원의 중심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20)가 링크결합 되도록 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크레비스결합부(33)는 상기 상측 플레이트 본체(31)의 원호 부분에서부터 상기 축홀(32)을 중심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된 면의 중심에 상기 크레비스 링크(40)와 링크 결합되도록 크레비스홀(33a)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유지부(34)는 상기 상측 플레이트 본체(31)의 원호 부분에서부터 상기 축홀(32)을 중심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된 면의 중심에 간격유지홀(34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크레비스결합부(33)와 상기 축홀(32)을 이어 연장한 선을 대칭선으로 두 개의 상기 간격유지부(34)가 선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심유지홀(35)은 긴선 작업 시 중심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상측 플레이트 본체(31) 상에 형성되고, 상기 축홀(32)을 중심으로 동심원 상에 형성되되, 상기 축홀(32)에서부터 상기 크레비스홀(33a)까지의 거리(R)의 절반(0.5R)의 반지름을 갖는 동심원 상에 두개 형성되며, 두개의 상기 중심유지홀(35)은 긴선 작업 시, 상기 중간 플레이트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중간 플레이트(20)의 폭보다 넓은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크레비스 링크(40)는 두개의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30)와 링크결합되며, 플레이트 결합부(41), 체결부(42) 및 결합지지부(43)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41)는 두개의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30)와 각각 링크 결합되도록 측면에서 볼 때 'ㄷ'자와 유사하게 절곡 형성된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30)와 결합되도록 상기 크레비스결합부(33)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의 플레이트결합면(41b)이 배치되며, 상기 크레비스홀(33a)와 연통되도록 플레이트 결합홀(41a)이 형성된다. 한편,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결합면(41b)는 연결면(41c)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면(41c)은 상기 플레이트 결합면(41b)에서 절곡 연장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면(41c)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면(41b)이 형성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체결부(42)가 연장 형성된다. 이때, 길다랗게 연장된 상기 체결부에는 체결홀(42a)이 형성되어 고리(2)등에 의하여 철탑의 암(1)과 결합된다.
한편, 상기 결합지지부(43)는 상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플레이트 결합부(41)와 접촉되고, 타측면이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30)의 상기 크레비스결합부(33)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지지부(43)에 의하여 상기 크레비스 링크(40)와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30)의 링크 결합이 지지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절단핀(5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2개의 상기 중간 플레이트(20)의 상기 절단핀 삽입홀(24) 및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의 핀관통홀(14)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의 설치 및 효과를 설명하면, 상기 크레비스 링크(40)는 고리(2) 등에 의하여 송전선 철탑의 암(1)에 결합되고,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에는 두개의 애자련(3)이 고리(2) 등을 통하여 결합된다.
즉, 상기 크레비스 링크(40)의 상기 체결부(42)에 형성된 상기 체결홀(42a)에 고리(2)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홀(42a)에 결합된 고리(2)는 송전선 철탑의 암(1)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의 한 쌍의 애자홀(13)에는 애자련(3)과 결합된 고리(2)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크레비스 링크(40)는 한 쌍의 상측 현수 플레이트(30) 사이에 끼워지고, 볼트 등에 의하여 조여지면서 링크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는 한 쌍의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30)의 내부에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20)가 각각 링크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중간 플레이트(20)의 사이에는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가 링크 결합된다.
이때,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크레비스결합부(33)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축홀(32)이 하측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축홀(32)에 대응하여 상기 중간 플레이트(20)의 상기 상측 결합홀(22)이 배치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20)의 타측 단부에 상기 하측 결합홀(23)이 배치된다. 즉,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측 결합홀(22)이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결합홀(23)이 상방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측 결합홀(23)에 대응하여 상기 링크홀(12)이 배치되고, 상기 링크홀(12)의 양측 하단에 상기 애자홀(13)이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는 평소에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와 상기 중간 플레이트(20) 및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30)가 서로 링크 결합되어 포개어 접혀지고,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와 상기 중간 플레이트(20)는 상기 절단핀(50)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가 2개의 애자련을 중력방향 윗쪽으로 들어올려 철탑의 교체 없이 지상고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도 8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는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의 하방 양측에 상기 애자홀(13)을 형성시켜, 2개의 애자련(3)이 비스듬하게 결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애자련이 들리고, 허용 횡진각(풍압에 의하여 횡진하는 애자련의 절연간격 유지를 위하여 제한된 각도)을 초과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단선 등에 의하여 불평형장력이 발생하여 소정의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이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에 인가될 경우 상기 절단핀(50)이 절단되고, 상기 불평형장력이 인가되는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가 상기 중간 플레이트(10)와의 고정이 해제되면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와 링크 결합된 상기 중간 플레이트(10)도 상기 축홀(32)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전체적으로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와 상기 중간 플레이트(10)가 하방으로 늘어지고, 단선되지 않은 애자련(2)에 의하여 당겨지면서 불평형장력을 저감시킨다.(도 9 참조)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30)에는 상기 간격유지부(33)가 2개 형성되어 상기 크레비스결합부(33)의 양 측면을 보호한다. 즉, 상기 크레비스결합부(33)가 상기 크레비스 링크(40)와 볼트 등에 의하여 링크결합된 경우, 볼트 등의 삽입 방향과 수직한 양 측면에 충격이 인가되면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30)와 상기 크레비스 링크(40)의 결합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때, 상기 중간 플레이트(20) 또는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10)가 회전하면서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30)와 상기 크레비스 링크(40)의 결합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간격유지부(33)에 볼트 등이 결합되어 일종의 스토퍼 역할을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하측 현수 플레이트
12 : 링크홀
13 : 애자홀
14 : 핀관통홀
20 : 중간 플레이트
30 : 상측 현수 플레이트
32 : 축홀
33 : 크레비스결합부
34 : 간격유지부
35 : 중심유지홀
40 : 크레비스 링크
41 : 플레이트 결합부
42 : 체결부
50 : 절단핀

Claims (14)

  1. 송전선 철탑의 암에 결합되는 크레비스 링크;
    상기 크레비스 링크와 결합되는 상측 현수 플레이트;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와 링크 결합되는 중간 플레이트;
    상기 중간 플레이트와 링크 결합되고, 2개의 애자련과 결합되는 하측 현수 플레이트; 및
    상기 중간 플레이트 및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에 소정의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이 인가될 경우 절단되는 절단핀;
    을 포함하는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는,
    이등변삼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하측 플레이트 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는,
    상기 하측 플레이트 본체의 꼭지각 방향 단부에서 상기 하측 플레이트 본체의 무게중심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와 링크 결합되도록 홀 형태로 형성된 링크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는,
    상기 하측 플레이트 본체의 양측 밑각 방향 단부에서 상기 하측 플레이트 본체의 무게중심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애자련과 결합되도록 홀 형태로 형성된 애자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는,
    길다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와 링크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하측 현수 플레이트와 링크 결합되는 중간 플레이트 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 본체의 일측 단부에 홀 형태로 형성된 상측 결합홀;
    상기 중간 플레이트 본체의 타측 단부에 홀 형태로 형성된 하측 결합홀; 및
    상기 상측 결합홀과 상기 하측 결합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절단핀이 삽입되도록 홀 형태로 형성된 절단핀 삽입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는,
    사분원 형태의 평판으로 형성된 상측 플레이트 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는,
    사분원 형태의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원의 중심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가 링크결합 되도록 홀 형태로 형성된 축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는,
    상기 상측 플레이트 본체에서부터 상기 축홀을 중심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된 면의 중심에 상기 크레비스 링크와 링크 결합되도록 크레비스홀이 형성된 크레비스결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는,
    상기 상측 플레이트 본체에서부터 상기 축홀을 중심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된 면의 중심에 간격유지홀이 형성된 간격유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현수 플레이트는,
    상기 상측 플레이트 본체에 두개 형성되고, 긴선 작업 시 중심을 유지시키도록 형성된 중심유지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유지홀은,
    상기 축홀을 중심으로 동심원 상에 형성되되, 상기 축홀에서부터 상기 크레비스홀까지의 거리(R)의 절반(0.5R)의 반지름을 갖는 동심원 상에 두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유지홀은,
    긴선 작업 시, 상기 중간 플레이트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폭보다 넓은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KR1020190114292A 2019-09-17 2019-09-17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KR102639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292A KR102639219B1 (ko) 2019-09-17 2019-09-17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292A KR102639219B1 (ko) 2019-09-17 2019-09-17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816A KR20210032816A (ko) 2021-03-25
KR102639219B1 true KR102639219B1 (ko) 2024-02-22

Family

ID=7522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292A KR102639219B1 (ko) 2019-09-17 2019-09-17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2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7090A (ja) * 2006-05-02 2007-02-01 Asahi Tec Corp 耐張がいし装置
KR101100796B1 (ko) 2010-06-30 2012-01-02 한국전력공사 현수 철탑용 멀티 클램프
KR101392726B1 (ko) 2013-01-23 2014-05-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탑 애자련 교체용 송전선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934B1 (ko) 2004-12-15 2005-10-11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 애자
KR100958945B1 (ko) * 2008-01-16 2010-05-1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송전선로의 장력 센서용 철탑부착 금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7090A (ja) * 2006-05-02 2007-02-01 Asahi Tec Corp 耐張がいし装置
KR101100796B1 (ko) 2010-06-30 2012-01-02 한국전력공사 현수 철탑용 멀티 클램프
KR101392726B1 (ko) 2013-01-23 2014-05-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탑 애자련 교체용 송전선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816A (ko)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199B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
KR100783808B1 (ko) 송·배전용 철탑의 현수 애자
KR100851432B1 (ko) 송·배전용 철탑의 현수애자
KR100514720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1955308B1 (ko)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
KR102639219B1 (ko)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KR101801158B1 (ko) 송배전용 가공전선의 철탑내 고정구조
CN215185762U (zh) 一种悬垂线夹
CN105337236A (zh) 高压输电线路防风拉线装置
CN106921136A (zh) 一种用于输电线路杆塔的边相导线支撑装置及安装方法
CN102290764A (zh) 一种预绞式防舞动阻尼间隔棒
CN201238177Y (zh) 特高压输电线路耐张绝缘子串用连塔金具
US20190368217A1 (en) Break Resistant Utility Pole Design
CN111244864B (zh) 一种悬垂绝缘子串自适应防风偏装置
KR100865074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0228418B1 (ko) 스페이서 댐퍼
CN211874076U (zh) 用于输电线安装的拉线抱箍铁附件
KR100861132B1 (ko) 송,배전선의 스페이서
JP2013126304A (ja) 避雷防止装置、及び避雷防止送電線システム
KR200433574Y1 (ko) 송·배전용 철탑의 현수 애자
CN213547075U (zh) 一种防风偏绝缘子串组合机构
CN205429663U (zh) 高压输电线路防风拉线装置
CN202068155U (zh) 预绞式防舞动阻尼间隔棒
CN110438915A (zh) 一种基座、被动防护网支撑组件以及被动防护网
CN220020749U (zh) 复合绝缘子串及架空输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