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981B1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981B1
KR102638981B1 KR1020160167229A KR20160167229A KR102638981B1 KR 102638981 B1 KR102638981 B1 KR 102638981B1 KR 1020160167229 A KR1020160167229 A KR 1020160167229A KR 20160167229 A KR20160167229 A KR 20160167229A KR 102638981 B1 KR102638981 B1 KR 102638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urrent
vehicle
current detectio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6433A (ko
Inventor
박명수
김우근
권진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7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9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35Spatial arrangement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장착된 램프; 램프가 턴 온 됨에 따라, 램프의 온 타임(On time) 구간을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으로 분할하고 램프의 전류를 감지하는 구간이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내에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전류 감지 구간을 기초로 램프의 전류를 측정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스위칭부로부터 전달되는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면 과전류로 판단하여 해당 스위칭부의 채널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CA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전장품 전원 공급 시 일정한 태스크(task)를 갖고 IPS(Intelligent Power Switch)로부터 전장품으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차단한다.
한편, 벌브(Bulb)형 램프의 수명 연장과 광도 유지를 위해 정전압 공급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현재 대부분의 차량의 벌브 전압은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으로 13.2V 수준의 일정 전압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엘이디(LED) 사양의 램프가 옵션으로 적용됨에 따라 엘이디 램프를 펄스 폭 변조 제어하게 되면 불필요한 인러쉬 전류(inrush current)로 인해 오작동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과전류에 의한 쇼트(short)로 잘못 인식하여 램프 작동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해당 서비스 운용자는 벌브 사양 램프의 경우 펄스 폭 변조 제어를 하고, 엘이디 램프의 경우 펄스 폭 변조 제어를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양 수 증가, 별도 신호 라인 추가, 소프트웨어 이원화를 비롯하여 램프 사양 변경 시 다양한 문제점에 접하게 된다.
이에, 서비스 운용자는 램프의 타입에 관계없이 펄스 폭 변조 제어를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하게 되었다.
개시된 실시예는 램프 전류 감지 타이밍을 변경하여 태스크별로 전류 감지 구간이 상이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량에 장착된 램프; 상기 램프가 턴 온 됨에 따라, 상기 램프의 온 타임(On time) 구간을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램프의 전류를 감지하는 구간이 상기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내에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전류 감지 구간을 기초로 상기 램프의 전류를 측정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면 과전류로 판단하여 해당 스위칭부의 채널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의 전류를 감지하는 구간이 상기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내에서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 구간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되,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이 6개의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펄스 폭 변조 제어 중에 펄스 폭 변조 시마다 1 구간으로부터 6 구간까지의 구간 중 전류 감지 구간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램프의 전류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램프는 Bulb형 램프와 LED형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복수 개의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에 상기 벌브(Bulb)형 램프와 상기 엘이디(LED) 램프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복수 개의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 상기 벌브형 램프 및 상기 엘이디 램프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IPS(Intelligent Power Switch)일 수 있다.
일 측면에 의한 차량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램프가 턴 온 되면, 상기 램프의 온 타임 구간을 확인하고, 상기 온 타임 구간을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램프의 펄스 폭 변조 시 상기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중 초기 전류 감지 구간을 기초로 상기 램프의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상기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기 이전까지 상기 램프의 펄스 폭 변조 시마다 상기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내에서 전류 감지 구간을 변경하여 상기 램프의 전류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전류 감지 구간을 변경하여 램프의 전류를 측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내에서 순차적으로 전류 감지 구간을 변경하여 상기 램프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전류 감지 구간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되,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전류 감지 구간을 변경하여 램프의 전류를 측정하는 것 이후에, 상기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상기 기준치를 초과하는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면 과전류로 판단하여 해당 램프가 연결된 채널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전류 감지 구간을 변경하여 램프의 전류를 측정하는 것에서, 상기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중 초기 전류 감지 구간으로부터 마지막 감지 구간까지 순차적으로 모든 구간에 대해 상기 램프의 전류를 감지하면, 상기 초기 전류 감지 구간을 기초로 상기 램프의 전류를 측정하는 것부터 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램프는 벌브(Bulb)형 램프와 엘이디(LED)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스위칭부의 전류 감지 타이밍을 변조하여 각각의 태스크 별로 전류 감지 구간이 상이하기 때문에, 부하 특성이나 노이즈 등에 의한 외부 요인으로 인해 램프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은 차량에 장착된 모든 사양의 램프에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를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은 스위칭부의 하나의 채널에서 벌브형 램프와 엘이디 램프를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램프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차량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차량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램프의 전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차량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차량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의 외관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윈드 스크린(windscreen)(11),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2),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3) 및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앞바퀴(21)와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뒷바퀴(22)를 포함하여 차량(1)을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21, 22)를 포함할 수 있다.
윈드 스크린(11)은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2)는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13)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차량(1)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바퀴(21, 22)를 회전시키는 동력 장치(16), 차량(1)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는 조향 장치(미도시), 바퀴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제동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장치(16)는 본체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앞바퀴(21) 또는 뒷바퀴(2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동력 장치(16)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주행 방향을 입력받는 조향 핸들(도 2의 42), 조향 핸들(42)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는 조향 기어(미도시), 조향 기어(미도시)의 왕복 운동을 앞바퀴(21)에 전달하는 조향 링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향 장치는 바퀴의 회전축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차량(1)의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제동 조작을 입력받는 제동 페달(미도시), 바퀴(21, 22)와 결합된 브레이크 드럼(미도시), 마찰력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드럼(미도시)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브레이크 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동 장치는 바퀴(21, 22)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차량(1)의 주행을 제동할 수 있다.
도 2는 차량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1)의 내부는 운전자가 차량(1)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기기가 설치되는 대시 보드(dashboard)(14), 차량(1)의 운전자가 착석하기 위한 운전석(15), 차량(1)의 동작 정보 등을 표시하는 클러스터 표시부(51, 52), 운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길 안내 기능뿐만 아니라 오디오 및 비디오 기능까지 제공하는 내비게이션(navigation)(70)을 포함할 수 있다.
대시 보드(14)는 윈드 스크린(11)의 하부로부터 운전자를 향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로 대시 보드(14)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운전석(15)은 대시 보드(14)의 후방에 마련되어 운전자가 안정적인 자세로 차량(1)의 전방과 대시 보드(14)의 각종 기기를 주시하며 차량(1)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클러스터 표시부(51, 52)는 대시 보드(14)의 운전석(15) 측에 마련되며, 차량(1)의 운행 속도를 표시하는 주행 속도 게이지(51), 동력 장치(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표시하는 rpm 게이지(5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70)은 차량(1)이 주행하는 도로의 정보 또는 운전자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운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41)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오디오 장치, 비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가 일체화된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가 차량에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내비게이션(70)은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터페시아는 대시 보드(14) 중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있는 컨트롤 패널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시 보드(14)와 시프트레버가 수직으로 만나는 영역이며, 이곳에는 내비게이션(70)을 비롯하여 에어콘, 히터의 컨트롤러, 송풍구, 시거잭과 재떨이, 컵홀더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센터페시아는 센터콘솔과 함께 운전석과 조수석을 구분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70)을 비롯한 각종 구동 조작을 위한 별도의 조그 다이얼(60)을 구비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조그 다이얼(60)은 회전시키거나 압력을 가하여 구동 조작을 수행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터치 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별도의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도구를 이용하여 구동 조작을 위한 필기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차량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램프의 전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 개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130), 출력부(140), 저장부(150), 스위칭부(160), 램프(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차량 내부 또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교통 메시지 채널(Radio Data System-Traffic Message Channel, RDS-TMC),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교통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교통정보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해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13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출력부(140)는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를 음성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저장부(150)는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8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스위칭부(160)는 제어부(180)로부터 전달되는 전류 감지 구간을 기초로 램프(170)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스위칭부(160)는 차량(100)에서 부하를 동작시키는 경우 해당 부하 전류에 비례하는 감지 전류를 제어부(180) 측으로 출력하는 IPS(Intelligent Power Switch)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스위칭부(160)는 복수 개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램프 1(170a), 램프 2(170b), 램프 3(170c), 램프 4(170d) 등은 스위칭부(160)에 구비된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에 램프 1(170a), 램프 2(170b)의 다수 개의 램프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램프 1(170a)과 램프 2(170b)의 램프 타입은 벌브 사양과 LED 사양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160)는 복수의 채널 각각에 하나의 램프(170)만 각각 연결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스위칭부(160)의 복수 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에 벌브형 램프와 엘이디 램프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스위칭부(160)의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 벌브 형 램프 및 엘이디 램프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즉, 개시된 발명에서는 램프(170)가 벌브 타입 또는 엘이디 타입 여부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 가능하며, 이에 더하여 하나의 채널에서 서로 다른 타입의 램프를 병렬로 연결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램프(170)는 차량(100)에 장착되어, 야간 주행 시 전방을 조명하여 운전자에게 교통 상황 및 도로 상황을 제공하기 위한 전조등과 주행 중 주변 차량에게 자 차량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미등 등의 다양한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램프(170)는 벌브(Bulb)형 램프와 엘이디(LED)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램프(170)는 램프 1(170a), 램프 2(170b), 램프 3(170c), 램프 4(170d) 등 복수 개로 구현 가능하다.
개시되는 발명에 적용된 램프(170)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램프(170)가 턴 온 됨에 따라, 상기 램프(170)의 온 타임(On time) 구간을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으로 분할하고 램프의 전류를 감지하는 구간이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내에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온 타임 구간은 온 타임 시간 동안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범위(detecting range)로 설정된 구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때, 감지 범위로 설정된 온 타임 구간은 최소 온 타임 시간(예를 들어, 7.5ms)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램프(170)의 전류를 감지하는 구간이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내에서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전류 감지 구간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되,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펄스 폭 변조(PWM) 주기가 12.5 m/sec이고,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 범위(detecting range)를 분할하여 6개의 전류 감지 구간(도 4의 1 구간, 2 구간, 3 구간, 4 구간, 5 구간, 6 구간)으로 분할한 경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이 6개의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펄스 폭 변조 제어 중에 펄스 폭 변조 시마다 1 구간으로부터 6 구간까지의 구간 중 전류 감지 구간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램프(170)의 전류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칭부(160)는 제어부(180)로부터 전달되는 전류 감지 구간(도 4의 1 구간, 2 구간, 3 구간, 4 구간, 5 구간, 6 구간)을 기초로 첫 번째 펄스 폭 변조 시에는 1 구간에서 램프의 전류를 감지하고 두 번째 펄스 폭 변조 시에는 2 구간에서 램프의 전류를 감지하는 것이다. 스위칭부(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1 구간으로부터 6 구간까지 각각의 구간을 기초로 램프의 전류를 감지한 이후에, 처음 구간인 1 구간부터 다시 순차적으로 램프의 전류를 감지하는 것이다.
제어부(180)는 스위칭부(160)로부터 전달되는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기준치(도 4의 PCL(programmable current limit))를 초과하는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면 과전류로 판단하여 해당 스위칭부(160)의 채널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기준 횟수는 연속 24회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전류 감지 구간이 계속 1 구간이고, 램프의 부하 특성에 따라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인러쉬 또는 노이즈가 전류 감지 구간인 1 구간과 동기화된 상태라면, 해당 채널은 연속적인 기준치 초과로 인해 과전류로 판단되어 전류가 차단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개시된 발명은 전류 감지 구간을 가변함에 따라, 램프에서 발생하는 인러쉬 또는 노이즈를 과전류로 잘못 판단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부(180)는 차량(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차량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100)은 램프(170)가 턴 온 되면, 램프의 온 타임 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210). 이때, 온 타임 구간은 온 타임 시간 동안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범위(detecting range)로 설정된 구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감지 범위로 설정된 온 타임 구간은 최소 온 타임 시간(예를 들어, 7.5ms)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램프(170)는 벌브형 램프와 엘이디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170)는 펄스 폭 변조 제어된다.
다음, 차량(100)은 온 타임 구간을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으로 분할(도 4의 N개 분할)할 수 있다(220). 이때, N은 온 타임에서 타이머인터럽트를 나눠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인터럽트는 최소 온 타임을 고려하여 운용자에 의해서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차량(100)은 램프(170)의 펄스 폭 변조 시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중 초기 전류 감지 구간(예를 들어, 도 4의 1 구간)을 기초로 램프(170)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230, 240).
다음, 차량(100)은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250). 이때, 기준치는 PCL(programmable current limit)일 수 있다.
확인 결과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차량(100)은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한 횟수(도 5의 과전류 카운트)를 1 증가시키고(260),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한 횟수가 기준 횟수(도 5의 연속 기준 카운트)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270). 이때, 기준 횟수는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초과한 횟수가 연속적으로 발생한 횟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확인 결과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한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면, 차량(100)은 과전류로 판단하여 해당 램프가 연결된 채널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280).
단계 250의 확인 결과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차량(100)은 램프(170)의 전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기 이전까지 램프(170)의 펄스 폭 변조 시마다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내에서 전류 감지 구간을 변경하여 램프(170)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차량(100)은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내에서 순차적으로 전류 감지 구간을 변경(도 4의 1구간, 2구간, 3구간, 4구간, 5구간, 6구간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램프(170)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차량(100)은 상기 전류 감지 구간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되,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250의 확인 결과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차량(100)은 램프의 전류를 측정한 구간(X)이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중 마지막 구간(N)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290).
확인 결과 마지막 구간이 아닌 경우, 차량(100)은 단계 240부터 재 수행하고, 확인 결과 마지막 구간인 경우, 차량(100)은 단계 230부터 재 수행 할 수 있다.
즉, 차량(100)은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중 초기 전류 감지 구간으로부터 마지막 감지 구간까지 순차적으로 모든 구간에 대해 램프(170)의 전류를 감지하면, 초기 전류 감지 구간을 기초로 램프(170)의 전류를 측정하는 것부터 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 차량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디스플레이
140 : 출력부
150 : 저장부
160 : 스위칭부
170 : 램프
180 : 제어부

Claims (15)

  1. 차량에 장착된 램프;
    상기 램프가 턴 온 됨에 따라, 상기 램프의 온 타임(On time) 구간을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램프의 전류를 감지하는 구간이 상기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내에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전류 감지 구간을 기초로 상기 램프의 전류를 측정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면 과전류로 판단하여 해당 스위칭부의 채널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지 못하면 상기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중 마지막 구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의 전류를 감지하는 구간이 상기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내에서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 구간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되,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이 6개의 구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펄스 폭 변조 제어 중에 펄스 폭 변조 시마다 1 구간으로부터 6 구간까지의 구간 중 전류 감지 구간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램프의 전류를 감지하도록 하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램프는 Bulb형 램프와 LED형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복수 개의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에 상기 벌브(Bulb)형 램프와 상기 엘이디(LED) 램프가 병렬로 연결되는 차량.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복수 개의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채널 각각에 상기 벌브형 램프 및 상기 엘이디 램프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는 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IPS(Intelligent Power Switch)인 차량.
  10. 차량의 램프가 턴 온 되면, 상기 램프의 온 타임 구간을 확인하고,
    상기 온 타임 구간을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램프의 펄스 폭 변조 시 상기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중 초기 전류 감지 구간을 기초로 상기 램프의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상기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기 이전까지 상기 램프의 펄스 폭 변조 시마다 상기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내에서 전류 감지 구간을 변경하여 상기 램프의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지 못하면 상기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중 마지막 구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감지 구간을 변경하여 램프의 전류를 측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내에서 순차적으로 전류 감지 구간을 변경하여 상기 램프의 전류를 측정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감지 구간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되,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감지 구간을 변경하여 램프의 전류를 측정하는 것 이후에,
    상기 램프의 전류 측정값이 상기 기준치를 초과하는 횟수가 기준 횟수에 도달하면 과전류로 판단하여 해당 램프가 연결된 채널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감지 구간을 변경하여 램프의 전류를 측정하는 것에서,
    상기 복수의 전류 감지 구간 중 초기 전류 감지 구간으로부터 마지막 감지 구간까지 순차적으로 모든 구간에 대해 상기 램프의 전류를 감지하면, 상기 초기 전류 감지 구간을 기초로 상기 램프의 전류를 측정하는 것부터 재 수행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램프는 벌브(Bulb)형 램프와 엘이디(LED)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60167229A 2016-12-09 2016-12-09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638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229A KR102638981B1 (ko) 2016-12-09 2016-12-09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229A KR102638981B1 (ko) 2016-12-09 2016-12-09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433A KR20180066433A (ko) 2018-06-19
KR102638981B1 true KR102638981B1 (ko) 2024-02-22

Family

ID=62790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229A KR102638981B1 (ko) 2016-12-09 2016-12-09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9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424B1 (ko) * 2006-08-11 2008-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전류제한값 설정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3255A1 (ko) * 2013-02-07 2014-08-14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 소자 구동 장치 및 발광 소자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424B1 (ko) * 2006-08-11 2008-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전류제한값 설정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433A (ko)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6123B1 (ko)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차량
EP3383142B1 (en) Systems and methodologies for controlling a vehicle light
KR102515395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05517873A (zh) 操作自主驾驶机动车辆的驾驶员辅助装置的方法和机动车辆
KR102327195B1 (ko) 차량의 원격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및 이동통신 단말
KR101703147B1 (ko) 밝기 조절 및 가시광 무선통신이 가능한 차량 후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302504A (zh) 用于控制在车辆内部空间中的照明的装置
KR20210135602A (ko) 고가시성 차량 라이트 통신 시스템의 제어
KR20160041519A (ko)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287263B1 (ko) 차량 내 원격 제어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KR10263898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51394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973159B1 (ko) 차량 내 멀티 원격 제어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KR102291308B1 (ko) 차량 내 멀티 원격 제어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48981B1 (ko) 스티어링휠에 설치된 차량용 제어장치
KR10251822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817539B1 (ko) 내비게이션 및 그 제어방법
JP2009166628A (ja) 車載表示装置
KR102364419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36150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364421B1 (ko) 조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과 조작 장치의 제어방법
KR20190031900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68237A (ko)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KR102485382B1 (ko) 차량, 내비게이션 및 내비게이션의 제어방법
KR20190138950A (ko) 차량 및 이동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