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852B1 -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852B1
KR102638852B1 KR1020230118282A KR20230118282A KR102638852B1 KR 102638852 B1 KR102638852 B1 KR 102638852B1 KR 1020230118282 A KR1020230118282 A KR 1020230118282A KR 20230118282 A KR20230118282 A KR 20230118282A KR 102638852 B1 KR102638852 B1 KR 102638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op board
table top
arm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8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자성
Original Assignee
이자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자성 filed Critical 이자성
Priority to KR1020230118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52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able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에 관합니다. 3D 영상을 촬영하는 장비에서는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디텍터가 360도로 변위해야 합니다. 이 경우 테이블의 한쪽 끝을 지지하는 구조물을 설치할 수 없고, 그렇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테이블 탑 보드가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본 발명은 그러한 문제를 구조적으로 해결합니다.

Description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THE TABLE TOP BOARD SUPPORT STRUCTURE OF X-RAY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엑스선 촬영 장치에 관하며, 특히 3D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에 관한다.
3D 엑스선 촬영 장치(3-Dimensional Radiographic machine)는 피사체에 입체 영상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는 의료 분야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입체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피사체를 중심으로 엑스선 디텍터와 엑스선 튜브가 회전 변위를 해야 한다. 이런 변위를 구조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 엑스선 촬영 장치는 엑스선 디텍터와 엑스선 튜브를 양단부에서 대향되게 연결한 아암 장비를 이용한다. 테이블 위에는 피사체가 위치하고, 아암을 회전시킴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3D 영상을 획득한다.
그런데 3D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어셈블리는 아암의 회전 궤적, 즉 엑스선 디텍터와 엑스선 튜브의 회전 궤적을 테이블 지지대가 방해해서는 안 된다. 이로 말미암아 아암의 회전 궤적에서는 수직 지지대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기구적으로 불안정해진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테이블이 아래로 처지는 구조적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유력한 방법은 수평 지지물로 보강하는 것인데, 화질의 저하라는 불이익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아암의 회전 궤적을 보장하면서도, 동시에 화질 저하의 우려 없이 테이블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3D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지지 구조를 개발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는 동물용 엑스레이 장비를 다년간 연구하고 개발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0-2502082호, 제10-2537577호, 제10-2572436호로 특허를 취득하였다. 그런데 이들 특허장비의 테이블은 전후좌우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테이블 처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대신 3D 영상을 얻을 수 없다. 3D 영상을 얻으려면 종래 C-ARM 형태의 장비를 사용해 왔는데(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8248호) 본 발명의 장비와는 구조가 완전히 다르다. 본 발명의 발명자가 참고할 만한 선행문헌은 발견하지 못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3D 엑스선 촬영 장치에서 테이블 어셈블리의 탑 보드를 장치 본체 쪽에서 추가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추가 서포트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에는 두 가지 전제가 있다:
첫째 3D 엑스선 촬영 장치에서 아암이 회전운동하고 승강운동을 하더라도, 탑 보드의 추가 서포트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것.
둘째 3D 엑스선 촬영 장치 영상 화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로서:
승강기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와,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디텍터가 서로 마주보며 일렬로 정렬한 상태로 구조화된 아암 작용부와,
상기 아암 작용부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아암 작용부를 회전시키는 아암 회동부로서, 상기 아암 작용부를 관통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회전 실린더와 이 회전 실린더의 외주면에 설치된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이 기어 어셈블리를 통해서 회전하는 아암 회동부와,
상기 아암 회동부와 일체화되면서 테이블 탑 보드에도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 어셈블리와,
상기 지지 어셈블리와 상기 테이블 탑 보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 어셈블리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 추가 서포트와,
상기 수직 추가 서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테이블 탑 보드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테이블 탑 보드를 지지하는 수평 추가 서포트와,
지지 와이어가 설치된 와이어 어셈블리로서, 상기 지지 와이어는, 한쪽 끝이 상기 수평 추가 서포트에 고정되며, 상기 수직 추가 서포트를 경유하여 상기 아암 회동부의 상기 회전 실린더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는 와이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 작용부가 승강되는 경우, 상기 수직 추가 서포트가 상하로 변위하더라도,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수평 추가 서포트의 높이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승강기와 연결되며, 상기 아암 회동부를 승강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기립방향으로 기립하고, 한쪽 사이드가 상기 승강기와 연결되는 이동부와,
상기 회전 실린더 안에 삽입되며, 전방 단부는 상기 회전 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아암 회동부의 외부에 있고, 후방 단부는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 원통과,
상기 연결 원통의 외주면과 상기 회전 실린더 내주면 사이에 개재된 회전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 원통의 전방 단부에 상기 수직 추가 서포트에 결합되는 가로대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기립방향으로 기립하고, 중앙 부분에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에 상기 회전 실린더가 관통하며, 한쪽 사이드가 상기 승강기와 연결되는 이동부와,
상기 회전 실린더의 외주면과 상기 개구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실린더의 테이블 쪽 단부에 별도로 설치된 베어링에 수직 추가 서포트에 결합하는 가로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는, 상기 수직 추가 서포트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 와이어 롤러와, 상기 제1 와이어 롤러를 경유한 지지 와이어가 상기 회전 실린더 입구 안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 와이어의 진행 방향을 수평으로 변경하는 제2 와이어 롤러와, 상기 회전 실린더 바깥에서 상기 지지 와이어의 진행 방향을 위쪽 또는 아래쪽 수직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3 와이어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 추가 서포트의 한쪽 단부는 상기 수직 추가 서포트의 양쪽 사이드와 맞물려 있으며, 이러한 맞물린 상태로 상기 수직 추가 서포트가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암 회동부의 상기 회전 실린더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회전 실린더의 연결 원통을 안에 위치하는 지지 와이어에 상기 아암 회동부의 회전력이 영향을 주지 못함으로써 상기 수평 추가 서포트가 정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D 엑스선 촬영 장치에서 문제될 수 있는 테이블 어셈블리의 탑 보드 처짐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아암 회동부(210) 및 지지 어셈블리(120)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X"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승강기의 작동에 의해 아암 작용부(200)가 상하로 승강된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암 회동부 및 지지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엑스선 촬영 장치는 본체(100), 아암 작용부(200), 아암 회동부(210), 테이블(300), 지지 어셈블리(120), 수직 추가 서포트(410), 수평 추가 서포트(420), 지지 와이어(150)를 포함한다. 엑스선 촬영 장치에 관여하는 전자적 요소와 기계적 요소, 즉 전원부, 제어부, 통신부 및 디스플레이 등의 구성 요소는 공지의 영역에 속하기도 하고 본 발명 자체의 특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 요소들에 대해서는 당업자들이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본체(100) 내부에는 승강기가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100)의 한쪽 측면이 개방되어 있다. 본체(100) 내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아암 작용부(200)의 한쪽 단부에는 엑스선 튜브(201)가, 다른 쪽 단부에는 엑스선 디텍터(203)가 설치된다. 엑스선 튜브(201)와 엑스선 디텍터(203)는 서로 마주보면서 일렬로 정렬한 상태로 구조화되어 있다. 엑스선 튜브(121)는 피사체를 향해 광을 조사한다. 엑스선 디텍터(123)는 대향하는 엑스선 튜브(121)로터 조사된 광을 수광한다. 엑스선 튜브(121)의 광조사 및 엑스선 디텍터(123)의 수광 메커니즘은 셔터, 제어부, 모니터, 통신요소와 전원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지만, 본 명세서의 직접적인 관심사가 아니며, 당업자에게 알려진 일반적인 사항이다.
아암 회동부(210)는 아암 작용부(200)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본체(100)의 한쪽 케이스를 관통하여 지지 어셈블리(120)를 매개로 본체 (100)에 설치된 승강기(140)와 연결될 수 있다. 아암 회동부(210)는 회전 실린더와 이 회전 실린더의 외주면에 설치된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이 기어 어셈블리를 통해서 아암 작용부(200)를 회전시킨다. 또한 아암 회동부(210)는 승강기(140)에 의해 승강 가이드 홈(110)을 따라 승강된다. 아암 회동부(210)가 회전하고 승강됨으로써 아암 작용부(200)가 회전하게 승강되고, 이로써 엑스선 튜브(201)와 엑스선 디텍터(203)가 변위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아암 회동부(210) 및 이 아암 회동부(210)와 일체화되는 지지 어셈블리(120)를 본체(100) 케이스 외부에 설치한 다음, 본체(100) 외부에서 본체의 승강기와 맞물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테이블(300)은 테이블 탑 보드(310)와 테이블 레그(321, 3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엑스선 촬영 장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테이블(300)에는 기계적인 메커니즘이 추가될 수도 있다. 그런데 아암 작용부(200)의 회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테이블 레그(321, 323)가 아암 작용부(200)의 회전 궤적 바깥에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테이블 탑 보드(310)는 한쪽(전방 측이라고 표현한다)에서만 수직 지지물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쪽(후방 측이라고 표현한다)에서는 수직 지지물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다.
테이블 탑 보드(310) 위에는 피사체가 위치한다. 테이블 탑 보드(310)는 피사체의 무게를 견뎌야 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 측에서는 테이블 탑 보드(310)에 대한 수직 지지물이 설치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고자, 종래에는 금속제 막대나 봉 등을 이용하여 수평 보강 부재를 설치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지만, 이들 수평 보강 부재는 엑스선 영상의 화질 저하의 불이익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테이블 탑 보드(310)의 재질 강도가 우수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테이블 탑 보드(310)의 후방 측이 처지는 현상을 피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한다.
그 주된 요점이 수평 추가 서포트(420)를 구성하여 테이블 탑 보드(310)의 후방 측 단부를 밑에서 지지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직 추가 서포트(410)가 이 수평 추가 서포트(420)를 지지한다. 동시에 지지 어셈블리(120)가 수직 추가 서포트(410)를 지지한다. 지지 어셈블리(120)에는 와이어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와이어 어셈블리의 지지 와이어(150)의 한쪽 끝이 수평 추가 서포트(420)에 고정됨으로써 지지 와이어(150)의 장력이 중력을 극복하도록 구성한다. 아암 회동부(210)의 회전 및 승강에 의해서도 지지 와이어(150)가 수평 추가 서포트(420)에 미치는 지지력은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수직 추가 서포트(410)가 수평 추가 서포트(420) 및 아암 회동부(210) 사이에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수직 추가 서포트(410)가 지지 어셈블리(120) 및 테이블 탑 보드(310) 사이에 위치한다.
이제 이러한 원리를 구현하는 기술적 구성에 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제시한다. 이런 실시예를 통해 제시되는 구체적인 디자인에 의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1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지지 어셈블리(120)는 아암 회동부(210)와 유기적으로 관계하여 일체화됨으로써 전술한 테이블 탑 보드(310)를 추가적으로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어셈블리(120)는 이동부(121)와 연결 원통(123)과 회전 베어링(124, 125)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아암 회동부(210)는 본체 내부로 돌출하는 회전 실린더(211)를 포함한다. 이 회전 실린더의 외주면에는 기어(213)가 설치되며, 이 기어(213)에 기어 벨트(215)가 맞물려 결합된다. 그리고 이 기어 벨트(215)의 한쪽 단부에 모터 구동부(217)가 결합된다. 모터 구동부(217)가 회전함으로써 기어 벨트(215)가 회전하고, 순차적으로 기어(213)에 의해 회전 실린더(211)가 회전한다. 회전 실린더(211)가 회전함으로써 아암 작용부(200)가 회전한다.
이동부(121)는 본체(100) 내부에 위치한다. 본체(100)의 기립방향과 평행하게 기립하고 중앙 부분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이동부(121)의 한쪽 사이드는 본체(100) 내부의 승강기 레일에 맞물려 연결된다(도 6을 보라). 또한 이동부(121)의 정면 아래쪽 표면에는 아암 회동부(21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구동부(217)가 설치된다.
이동부(121)의 중앙 부분 개구에 후방 단부가 끼워진 연결 원통(123)은 아암 회동부(210)의 회전 실린더(211) 안으로 삽입되어 본체(100) 내외부에 노출된다. 회전 실린더(211)가 회전할 때 연결 원통(123)이 함께 회전해서는 안 되기 때문에, 회전 실린더(211) 내부에서 연결 원통(123)이 직접 회전 실린더(211)의 내주면에 밀착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원통(123)의 외주면과 회전 실린더(211)의 내주면 사이에 회전 베어링(124, 125)이 개재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회전 베어링(124, 125)에 의해 회전 실린더(211)의 회전이 연결 원통(123)에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 연결 원통(123)의 이동부(121) 반대 쪽 단부, 즉 전방 단부에는 제2 와이어 롤러(126)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는 이 제2 와이어 롤러(126)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100) 바깥으로, 즉 테이블 탑 보드(310) 쪽으로 노출된다. 또한 연결 원통(123)의 단부에는 가로대(129)가 설치된다. 이 가로대(129)는 수직 추가 서포트(410)의 배면에 단단히 결합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와이어 롤러가 상기 수직 추가 서포트(420)의 배면의 연결 원통(123) 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다. 제2 와이어 롤러의 역할은 지지 와이어(150)가 연결 원통(123) 안으로 삽입되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지 와이어(150)의 방향을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이동부(121)의 배면에는 제3 와이어 롤러(127)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제3 와이어 롤러(127)의 역할은 수평 방향으로 연결 원통(123) 안을 관통한 지지 와이어(150)를 수직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연결 원통(123) 안은 비어 있다. 이 공간 안으로 지지 와이어(150)가 관통한다. 연결 원통(123)은 회전 실린더(211) 안에 설치된 것이므로, 연결 원통(123)의 내부 공간은 회전 실린더(211)의 내부 공간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아암 회동부(210) 의 회전 실린더가 회전하더라도, 회전 실린더 안, 즉 연결 원통 (210) 내부를 관통하는 지지 와이어(150)에는, 상기 아암 회동부(210)의 회전력이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아암 회동부(210)의 회전력에도 불구하고, 지지 와이어(150)의 한쪽 끝이 고정되어 있는 상기 수평 추가 서포트(420)가 정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어셈블리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1의 "X"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수직 추가 서포트(410)는 연결 원통(213)에 설치된 가로대(129)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수직 추가 서포트(410)의 상단에 제1 와이어 롤러(425)가 설치된다. 제1 와이어 롤러(425), 제2 와이어 롤러(126) 및 제3 와이어 롤러(127)에 한 개의 지지 와이어(150)가 진행 방향을 바꿔 가며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와이어(150)의 한쪽 끝은 수평 추가 서포트(420)에 고정되어, 장력에 의해 수평 추가 서포트(420)를 연직 상방으로 지지한다. 지지 와이어(150)의 다른 쪽 끝이 본체 내부에 고정된다. 이리하여 테이블 탑 보드(310)의 한쪽 끝은 테이블 레그(321, 323)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아래에서 지지된다. 또한 상기 테이블 탑 보드(310)의 다른 쪽 끝은 수평 추가 서포트(420)에 의해 지지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수평 추가 서포트(420)에 고정되어 이어지는 지지 와이어(150)는 제1 와이어 롤러(425)에 의해 수직 상하 방향이 바뀐다. 그다음 제2 와이어 롤러(126)를 통해 수직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뀌며, 연결 원통(123)의 내부 공간(123i)을 관통한다. 다음으로 연결 원통(123)에서 나온 지지 와이어(150)는 제3 와이어 롤러(127)를 통해 다시 수직 방향으로 진행 방향이 변경되어, 바람직하게는 본체 내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지지 와이어(150)의 연장 방향은 여러 번 변경되더라도, 지지 와이어(150)의 길이는 동일하다. 이제 이러한 와이어 어셈블리의 메커니즘에, 수평 추가 서포트(420)의 높이 방향 변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규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엑스선 촬영 장치의 수직방향의 승강에 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아암 회동부의 회전 실린더(211)는 본체 내부의 승강 메커니즘에 의해 승강 가이드 홈(110)을 따라 상하로 승강된다. 무엇에 의해 회전 실린더(211)가 상하로 변위하는 것일까? 연결 원통(123)을 매개로 회전 실린더(211)와 이동부(121)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이며, 이동부(121)가 승강기(140)를 따라 상하 변위를 하기 때문이다.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하는 승강기(140)는 본체 내부에서 수직으로 기립하여 설치된다. 승강기(140)의 양쪽 사이드에는 레일(142)이 설치되며, 이 레일(142)에 이동부(121)의 사이드 단부가 맞물려 있다. 즉, 이동부(121)는 승강기(140)의 레일(142)을 통해 상하로 승강한다. 도 7 및 도 8에 승강 구조가 나타나 있다.
본체 내부에서 이동부(121)의 승강에 의해 회전 실린더(211)가 상하로 변위한다. 따라서 본체 바깥에서 수직 추가 서포트(410)도 상하로 변위한다. 수직 추가 서포트(410)가 상하로 변위하더라도, 수직 추가 서포트(410)와 연결되어 있는 수평 추가 서포트(420)가 동시에 변위하지는 않는다. 테이블 탑 보드(310)의 한쪽 단부는 테이블 레그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다른 쪽 단부가 수평 추가 서포트(420)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수평 추가 서포트(420)만이 위로 변위하지 않는다. 또한, 지지 와이어(150)의 한쪽 끝이 수평 추가 서포트(4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수평 추가 서포트(420)는 밑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수직 추가 서포트(410)의 양쪽 사이드는 수평 추가 서포트(420)의 결합부(421)와 맞물리고, 맞물린 상태로 결합부(421)를 통해 수직 추가 서포트(410)가 상하로 변위된다. 그러나 그런 변위는 결합부(421)를 통해 수평 추가 서포트(410)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아암 작용부가 회전하도라도 그 회전력은 지지 어셈블리(120)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수평 추가 서포트(420)는 회전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엑스선 촬영 장치의 아암 작용부(200)가 가장 상승한 상태를, 도 8은 아암 작용부(200)가 가장 하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아암 작용부(200)가 하강함에도 불구하고 수평 추가 서포트(420)와 테이블 탑 보드(310)의 높이 값들은 변동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어셈블리의 구조 때문에 그러하다. 그러므로 테이블 탑 보드(310)의 후방 쪽 단부를 지지하는 수평 추가 서포트(420)는 상하로 승강됨 없이 테이블 탑 보드(310) 지지를 유지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지지 어셈블리는 아암 회동부와 일체화된다.
아암 회동부의 회전 실린더(211a)의 길이는 도 3 및 도 4의 실시예보다는 긴 것이 좋다. 회전 실린더(211a)는 이동부(121a)의 개구를 관통하여 본체 내부로 돌출한다. 회전 실린더(211a)의 외주면과 이동부(121a)의 개구 사이에는 회전 베어링(128a)이 개재된다. 이로써 회전 실린더(211a)가 회전하더라도 그 회전력이 이동부(121a)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 회전 실린더(211a)의 외주면에는 기어(213a)가 설치되며, 이 기어(213a)에 기어 벨트(215a)가 맞물려 결합된다. 그리고 이 기어 벨트(215a)의 한쪽 단부에 모터 구동부(217)가 연결된다. 모터 구동부(217)가 회전함으로써 기어 벨트(215a)가 회전하고, 순차적으로 기어(213a)에 의해 회전 실린더(211a)가 회전한다. 회전 실린더(211a)가 회전함으로써 아암 작용부(200)가 회전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동부(121a)의 한쪽 사이드에는 본체(100) 내부의 승강기에 맞물려 연결되어 상하로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기 연결부가 설치된다. 또한 이동부(121a)의 정면에는 아암 회동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구동부(217)가 설치된다.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와이어 롤러(216a)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 롤러 설치용 제1 베어링(218)과, 제3 와이어 롤러(217a)를 설치하기 위한 와이어 롤러 설치용 제2 베어링(219)이 회전 실린더(211a)의 양쪽 단부에 장착된다. 즉, 회전 실린더(211a)의 테이블 쪽으로 돌출된 돌출 단부(212)의 외주면에 와이어 롤러 설치용 제1 베어링(218)이 장착되고, 이동부(121a) 개구를 관통하여 이동부(121a)의 본체 내부로 돌출하는 돌출 단부(222)의 외주면에는 와이어 롤러 설치용 제2 베어링(219)이 장착된다. 또한, 와이어 롤러 설치용 제1 베어링(218)의 상단에는 제2 와이어 롤러(126a)가, 와이어 롤러 설치용 제2 베어링(219)의 상단에는 제3 와이어 롤러(127a)가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 와이어(미도시)가 제2 와이어 롤러(126a)를 경유하여 회전 실린더(211a) 내부 공간을 경유하며, 제3 와이어 롤러(127a)를 경유하여 본체 상단 혹은 하단에 고정된다.
한편, 와이어 롤러 설치용 제1 베어링(218)에는 가로대(129a)가 설치된다. 이 가로대(129a)는 수직 추가 서포트(420)의 배면에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과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도면의 가시적인 형상과 수치와 비례에 의해서도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행해지는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첨언한다.

Claims (8)

  1.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로서:
    승강기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와,
    엑스선 튜브와 엑스선 디텍터가 서로 마주보며 일렬로 정렬한 상태로 구조화된 아암 작용부와,
    상기 아암 작용부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아암 작용부를 회전시키는 아암 회동부로서, 상기 아암 작용부를 관통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회전 실린더와 이 회전 실린더의 외주면에 설치된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이 기어 어셈블리를 통해서 회전하는 아암 회동부와,
    상기 아암 회동부와 일체로 구성되면서 수직 추가 서포트 및 수평 추가 서포트를 통해 테이블 탑 보드를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와,
    상기 지지 어셈블리와 상기 테이블 탑 보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 어셈블리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 추가 서포트와,
    상기 수직 추가 서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테이블 탑 보드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테이블 탑 보드를 지지하는 수평 추가 서포트와,
    지지 와이어가 설치된 와이어 어셈블리로서, 상기 지지 와이어는, 한쪽 끝이 상기 수평 추가 서포트에 고정되며, 상기 수직 추가 서포트를 경유하여 상기 아암 회동부의 상기 회전 실린더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는 와이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 작용부가 승강되는 경우, 상기 수직 추가 서포트가 상하로 변위하더라도,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수평 추가 서포트의 높이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승강기와 연결되며, 상기 아암 회동부를 승강시키도록 동작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기립방향으로 기립하고, 한쪽 사이드가 상기 승강기와 연결되는 이동부와,
    상기 회전 실린더 안에 삽입되며, 전방 단부는 상기 회전 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아암 회동부의 외부에 있고, 후방 단부는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 원통과,
    상기 연결 원통의 외주면과 상기 회전 실린더 내주면 사이에 개재된 회전 베어링을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원통의 전방 단부에 상기 수직 추가 서포트에 결합되는 가로대가 설치되는,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기립방향으로 기립하고, 중앙 부분에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에 상기 회전 실린더가 관통하며, 한쪽 사이드가 상기 승강기와 연결되는 이동부와,
    상기 회전 실린더의 외주면과 상기 개구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실린더의 테이블 쪽 단부에 별도로 설치된 베어링에 상기 수직 추가 서포트에 결합하는 가로대가 설치되어 있는,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는, 상기 수직 추가 서포트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 와이어 롤러와, 상기 제1 와이어 롤러를 경유한 지지 와이어가 상기 회전 실린더 입구 안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 와이어의 진행 방향을 수평으로 변경하는 제2 와이어 롤러와, 상기 회전 실린더 바깥에서 상기 지지 와이어의 진행 방향을 위쪽 또는 아래쪽 수직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3 와이어 롤러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추가 서포트의 한쪽 단부는 상기 수직 추가 서포트의 양쪽 사이드와 맞물려 있으며, 이러한 맞물린 상태로 상기 수직 추가 서포트가 상하로 승강하는 것인,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회동부의 상기 회전 실린더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회전 실린더의 연결 원통 안에 위치하는 지지 와이어에 상기 아암 회동부의 회전력이 영향을 주지 못함으로써 상기 수평 추가 서포트가 정위치를 유지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
KR1020230118282A 2023-09-06 2023-09-06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 KR102638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8282A KR102638852B1 (ko) 2023-09-06 2023-09-06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8282A KR102638852B1 (ko) 2023-09-06 2023-09-06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852B1 true KR102638852B1 (ko) 2024-02-20

Family

ID=9005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8282A KR102638852B1 (ko) 2023-09-06 2023-09-06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8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5692A (ko) * 2011-04-11 2012-10-19 최용림 다양한 모드의 엑스선 촬영이 가능한 의료용 엑스선 촬영장치
KR20130077801A (ko) * 2011-12-29 2013-07-09 주식회사 레이언스 X선 촬영장치
JP2019084327A (ja) * 2017-11-08 2019-06-06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X線診断装置
KR102502082B1 (ko) * 2022-06-22 2023-02-20 이자성 동물진단용 엑스레이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30200764A1 (en) * 2021-12-29 2023-06-29 Siemens Healthcare Gmbh Image recording facility for a medical imaging system, lifting column and module system for producing a lifting colum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5692A (ko) * 2011-04-11 2012-10-19 최용림 다양한 모드의 엑스선 촬영이 가능한 의료용 엑스선 촬영장치
KR20130077801A (ko) * 2011-12-29 2013-07-09 주식회사 레이언스 X선 촬영장치
JP2019084327A (ja) * 2017-11-08 2019-06-06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X線診断装置
US20230200764A1 (en) * 2021-12-29 2023-06-29 Siemens Healthcare Gmbh Image recording facility for a medical imaging system, lifting column and module system for producing a lifting column
KR102502082B1 (ko) * 2022-06-22 2023-02-20 이자성 동물진단용 엑스레이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0317B2 (ja) 医用画像撮影装置用寝台
US8641277B2 (en) Sliding counterbalanced C-arm positioning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such devices
JP6356423B2 (ja) クレードル駆動機構、テーブル、並びに患者撮像及び搬送装置
KR20110125159A (ko) 토모신쎄시스 실시를 위한 엑스­레이 장비
US20090074149A1 (en)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and hose suitable for guiding connections in a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PT2001428E (pt) Macaco telescópico particularmente indicado para o ajuste em altura de uma cama de hospital
KR102638852B1 (ko) 엑스선 촬영 장치의 테이블 탑 보드 지지 구조
KR101105625B1 (ko) 2단 길이 조정이 가능한 x선 촬영장치용 스탠드
KR20140115183A (ko) 수술대용 베드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술대
KR101232757B1 (ko) 다양한 모드의 엑스선 촬영이 가능한 의료용 엑스선 촬영장치
JP6708301B2 (ja) 放射線撮影装置
KR100977878B1 (ko) 스탠드 및 이를 채용한 엑스선 촬영 장치
CN101589955B (zh) X射线装置以及用于调节该装置的方法
KR100934711B1 (ko) U―arm 스탠드를 이용한 엑스선 촬영장치
JP5338005B2 (ja) X線撮像装置
JP3176334U (ja) X線撮影装置
JP2013233321A (ja) 保育器
JP5930016B2 (ja) X線撮影装置
EP3733073A1 (en) Multifunctional radiography, tomography and fluoroscopy device
JP2016086818A (ja) 検診台
JP2009072568A (ja) 超音波診断装置
ITFI20080057A1 (it) "apparecchiatura radiologica polivalente"
RU2587313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рентгеновский комплекс
JP3199839U (ja) 立位用放射線撮影台および立位用放射線撮影装置
JP6425901B2 (ja) X線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