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967B1 -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967B1
KR102636967B1 KR1020230014763A KR20230014763A KR102636967B1 KR 102636967 B1 KR102636967 B1 KR 102636967B1 KR 1020230014763 A KR1020230014763 A KR 1020230014763A KR 20230014763 A KR20230014763 A KR 20230014763A KR 102636967 B1 KR102636967 B1 KR 102636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ir
blowing unit
blow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4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경
박의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주
Priority to KR1020230014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7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885External treatment, e.g. by using air rings for cooling tubula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0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 B29C48/901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of hollow bodies
    • B29C48/903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of hollow bodies exter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구조의 필름을 제조하는 필름 제조 장치로서, 필름을 압출하는 블로운 압출기와, 상기 블로운 압출기에 체결되어 전달되는 필름을 안내하는 송풍유닛와, 상기 송풍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필름에 에어를 공급하여 이동과정에서 상기 필름이 주름지거나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공급부로 이루어져, 튜브구조의 필름을 압출하는 블로운 압출기에 송풍유닛과 에어공급부를 마련하여 압출되는 필름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압출 및 이송되는 과정에서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필름의 외면에 이물질이나 먼지가 달라붙은 것을 방지하여, 상품성을 높이고 불량률을 줄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 {Film manufacturing device using blown extrusion}
본 발명은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구조의 필름을 압출하는 블로운 압출기에 송풍유닛과 에어공급부를 마련하여 압출되는 필름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압출 및 이송되는 과정에서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필름의 외면에 이물질이나 먼지가 달라붙은 것을 방지하여, 상품성을 높이고 불량률을 줄이도록 된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로운 필름 제조장치에서 블로운 필름의 원재료가 되는 고분자 물질은 호퍼에서 공급되는 데, 이원재료가 압출기의 실린더 내부의 스크류에 의해 이송, 압축, 용융된다. 용융이 된 고분자 용융체는 다이를 통해 튜브형 필름으로 성형이 된다. 스크루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스크루 내에 있는 고분자 물질은 엄청난 마찰열을 받는다. 이 열과 히터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 고분자 물질의 용융이 일어난다. 블로운 필름의 원재료가 되는 열가소성 고분자 물질은 분자량 분포가 넓어 분자량이 작은 것에서부터 큰 것까지 복잡하게 섞여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첨가제 등을 섞어 사용하게 된다.
압출기의 실린더에서 용융된 수지가 환상의 다이를 통과하여 튜브상태로 압출되며 이 튜브형 필름 내에 공기를 넣어 팽창시키고 동시에 에어링을 통해 튜브형 필름 외측으로 냉각공기를 방출하는 방식으로 튜브필름이 형성된다. 이때 얻고자 하는 필름의 폭이 결정되면 튜브필름 내로 더 이상의 공기를 넣지 않는다. 팽팽한 상태의 튜브형 필름은 가이드를 통과해 닙롤러에 의해 당겨져 판형의 필름이 되고, 판형의 필름은 2겹의 필름이 겹치진 형태의 접힘필름으로 권취된다.
이때 블로운 필름의 폭은 튜브필름의 직경에 의해 결정되며 필름 두께는 압출량이 일정할 때 닙롤러 속도로 조절될 수 있다.
노즐에서 압출되는 튜브를 핀치롤러에서 일정한 장력으로 견인하더라도 압 출 다이의 내경과 외경에 수지소재가 통과하면서 냉각온도 및 마찰력의 변화로 인하여 통과속도가 느리게 되면 튜브의 외경과 내경이 작아지고 통과 속도가 빠르게 되면 튜브의 외경과 내경이 커지게 되는 등으로 변화가 발생된다.
그러나, 종래의 블로운 필름 제조장치는 환형의 필름이 압출되는 과정 및 압출되어 이동되는 과정에서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여 상품성이 떨어지거나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압출과정에서 필름에 이물질이나 먼지가 달라붙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공개특허 10-2019-0013905 공개특허 10-2016-004099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구조의 필름을 압출하는 블로운 압출기에 송풍유닛과 에어공급부를 마련하여 압출되는 필름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압출 및 이송되는 과정에서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필름의 외면에 이물질이나 먼지가 달라붙은 것을 방지하여, 상품성을 높이고 불량률을 줄이도록 된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튜브구조의 필름을 제조하는 필름 제조 장치로서, 필름을 압출하는 블로운 압출기와, 상기 블로운 압출기에 체결되어 전달되는 필름을 안내하는 송풍유닛와, 상기 송풍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필름에 에어를 공급하여 이동과정에서 상기 필름이 주름지거나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공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유닛은 중공의 케이싱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송풍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부는, 상기 송풍유닛의 상면에 형성되는 에어슬릿과, 상기 에어슬릿을 통해 외부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상기 송풍유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송풍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부는, 상기 송풍유닛의 내면에 형성되는 가속배출슬릿과, 상기 가속배출슬릿을 통해 에어가 공급되도록 상기 송풍유닛의 송풍공간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에어공급부와 연통되며, 상기 에어공급부에서 공급된 에어가 환형으로 형성되는 송풍공간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필름에 에어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는 튜브구조의 필름을 압출하는 블로운 압출기에 송풍유닛과 에어공급부를 마련하여 압출되는 필름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압출 및 이송되는 과정에서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필름의 외면에 이물질이나 먼지가 달라붙은 것을 방지하여, 상품성을 높이고 불량률을 줄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는 튜브구조의 필름(100)을 제조하는 필름 제조 장치로서, 블로운 압출기(20), 송풍유닛(30) 및 에어공급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에어가속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로운 압출기(20)는 수지를 가열하여 튜브 형태의 필름(100)을 압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블로운 압출기(20)는 외면에 히터인 열선이 마련되고 상부에 마련되는 배출구를 통해 필름(100)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로운 압출기(20)는 내부의 실린더실에 배치되는 스크류의 회전에 의한 원료의 마찰과 외부 히터의 열기에 의해 용융되면서, 환상의 다이를 통과하여 환형의 튜브형상으로 압출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로운 압출기(20)는 원료를 용융시켜 튜브 형태로 필름(100)을 압출시키는 통상의 기기장치로, 일반적인 구성과 작동관계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블로운 압출기(20)에서 배출되는 필름(100)의 단부를 롤러 및 실린더와 같은 이송장치(10)에 연결하여 배출과 동시에 이송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송풍유닛(30)은 상기 블로운 압출기(20)에 체결되어 필름(100) 외측면으로 송풍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송풍유닛(30)은 환형으로 형성된 중공의 케이싱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송풍공간(31)이 형성된다.
상기 송풍유닛(30)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블로운 압출기(20)의 상부에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후술될 승강수단(50)에 의해 상기 블로운 압출기(2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유닛(30)의 내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완충패드를 더 부착함으로써, 상기 송풍유닛(30)을 관통하는 상기 필름(100)이 이동과정에서 마찰시 상기 필름(100)이 손상되는 것을 완화시키고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공급부(40)는 상기 송풍유닛(30)에 마련되며 상기 필름(100) 외측면에 에어를 공급하여 필름 제조과정에서 상기 필름(100)이 주름지거나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에어공급부(40)는, 상기 송풍유닛(30)의 상면에 형성되는 에어슬릿(41)과, 상기 에어슬릿(41)을 통해 외부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상기 송풍유닛(30)의 내부에 마련되는 송풍팬(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슬릿(41)은 배출되는 필름(100)을 감싸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송풍유닛(30)의 상면에 환형 또는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시키거나 한쌍의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에어슬릿(41)을 상기 송풍유닛(30)의 상면에 일정간격이 유지하며 환형으로 배치되게 형성되는 통기공들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송풍팬(4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풍유닛(30)의 상면에 마련되는 에어슬릿(41)으로 에어가 공급되어 상기 필름(100)이 기울어지거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외면에 먼지나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베르누이 원리를 적용해 상기 송풍유닛(30)이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공급부(40)는 상기 송풍유닛(30)의 내면에 형성되는 가속배출슬릿(33)과, 상기 송풍유닛(30)의 외면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가속배출슬릿(33)을 통해 에어가 공급되도록 상기 송풍유닛(30)에 형성되는 통기공을 통해 송풍공간(31)에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팬(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30)은 상기 송풍팬(42)에서 공급된 에어가 환형으로 형성되는 송풍공간(31)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송풍유닛(30)의 송풍공간(31)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송풍유닛(30)의 내부로 이동되어, 상기 필름(100)에 에어가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송풍유닛(30)의 내부에는 곡면처리부(34)가 형성되어 단면으로 보았을 때 유선형 모양을 갖게될 수 있다. 이러한 유선형 구조와 좁은 배출구인 가속배출슬릿(33)의 구조의 조합으로 송풍공간(31) 내에서 유입된 에어의 속도가 증가하여, 가속배출슬릿(33)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의 속도 증가는 기압 감소를 야기한다. 이는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송풍유닛(30)의 내측 기압은 주변의 기압보다 낮은 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기압 차이에 의해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의 바람이 발생하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고기압인 송풍유닛(30)의 아래쪽에서 상대적으로 저기압인 송풍유닛(30)의 내측으로 바람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아래에서 위쪽으로 부는 바람이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술적 특징에 의해 소형 에어공급부(40)로도 큰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속배출슬릿(33)은 상기 송풍유닛(30)의 내면에 상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출경사면(32)에 형성되어, 도면상 상향으로 에어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가속배출슬릿(33)은 상기 송풍유닛(30)의 상면에 환형 또는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시키거나 한쌍의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송풍팬(42)에 의해 상기 송풍유닛(30)에 공급되는 에어가 회전하면서 상기 가속배출슬릿(33)에 의해 배출됨과 아울러 상기 송풍공간(31)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면서 상기 송풍공간(31)의 내측으로 외부의 공기가 이동되어 필름(100)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송풍팬(42)은 상기 송풍유닛(30)에 에어를 공급시 내부에서 에어가 회전되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송풍유닛(30)의 단부에 연통되게 체결하여 고정시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송풍유닛(30)의 외측에 에어공급부(40)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송풍유닛(30)의 단면이 곡면이 아닌 평면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환형의 송풍유닛(30)은 블로운 압출기(2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격된 공간을 통해 송풍유닛(30) 아래쪽의 공기가 기압 차이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블로운 압출기(20)에는 상기 송풍유닛(30)을 승강시키도록 승강수단(50)이 더 마련되고, 상기 승강수단(50)에 의해 상기 송풍유닛(30)이 승강되면서 상기 필름(100)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필름(100)에 에어를 전달하도록 된다.
상기 승강수단(50)은 상기 송풍유닛(30)의 외측에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외측에서 결합되어 기압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50)은 리니어모터(51) 및 안내레일(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리니어모터(51)는 상기 블로운 압출기(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레일(52)에 상기 송풍유닛(30)의 외측면에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레일과 상기 송풍유닛(30)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송풍유닛(30)의 외측면에 체결부(53)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53)가 상기 안내레일(52)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리니어모터(5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풍유닛(30)을 승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승강수단(50)에 의해 상기 송풍유닛(30)이 승강하면서, 상기 블로운 압출기(20)에서 배출되는 필름(10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편중되지 않고 균일한 에어의 공급이 가능하여, 필름(100)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이물질이나 먼지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블로운 압출기는 구조적 특성 상 아래에서 위로 에어를 공급하기 때문에 상기 필름(100)이 제조 과정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밖에 없는데, 이때 길이가 긴 필름의 경우 균일하게 상하 방향으로는 균일하게 에어를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승강수단(50)에 의해 상기 송풍유닛(30)이 승강하면서, 상기 블로운 압출기(20)에서 배출되는 필름(10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상하 길이 방향으로도 편중되지 않고 균일한 에어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필름 제조 장치
20 : 블로운 압출기
30 : 송풍유닛
31 : 송풍공간
32 : 배출경사면
33 : 가속배출슬릿
34 : 곡면처리부
40 : 에어공급부
41 : 에어슬릿
42 : 송풍팬
50 : 승강수단
100 : 필름

Claims (5)

  1. 튜브구조의 필름을 제조하는 필름 제조 장치로서,
    필름을 압출하는 블로운 압출기;
    상기 블로운 압출기에 체결되어 전달되는 필름을 안내하는 송풍유닛; 및
    상기 송풍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필름에 에어를 공급하여 이동과정에서 상기 필름이 주름지거나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유닛은 중공의 케이싱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송풍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유닛의 내면에 가속배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공급부는 상기 가속배출슬릿을 통해 에어가 공급되도록 상기 송풍유닛의 송풍공간에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에어공급부와 연통되며, 상기 에어공급부에서 공급된 에어가 환형으로 형성되는 송풍공간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필름에 에어가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송풍유닛은 블로운 압출기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송풍유닛의 내부에는 곡면처리부가 형성되어 단면으로 보았을 때 유선형 모양을 갖게 되고, 상기 곡면처리부와와 상기 가속배출슬릿의 구조의 조합으로 상기 송풍공간 내에서 유입된 에어의 속도가 증가하여 상기 송풍유닛 내측 기압이 감소되고,
    상기 송풍유닛의 내측 기압과 주변의 기압 차이에 의해 발생하되, 상대적으로 고기압인 상기 송풍유닛의 아래쪽에서 상대적으로 저기압인 상기 송풍유닛의 내측으로 향하는 바람이 발생하도록 하며,
    상기 블로운 압출기에는 상기 송풍유닛을 승강시키도록 승강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송풍유닛이 승강되면서 상기 필름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필름에 에어를 전달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리니어모터 및 안내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니어모터는 상기 블로운 압출기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안내레일에 상기 송풍유닛의 외측면에서 결합되고,
    상기 안내레일과 상기 송풍유닛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부는,
    상기 송풍유닛의 상면에 형성되는 에어슬릿과,
    상기 에어슬릿을 통해 외부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상기 송풍유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송풍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30014763A 2023-02-03 2023-02-03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 KR102636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763A KR102636967B1 (ko) 2023-02-03 2023-02-03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763A KR102636967B1 (ko) 2023-02-03 2023-02-03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967B1 true KR102636967B1 (ko) 2024-02-16

Family

ID=90056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4763A KR102636967B1 (ko) 2023-02-03 2023-02-03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96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7571A (ja) * 1995-03-31 1996-10-15 Kuraray Co Ltd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成形装置
CN204526136U (zh) * 2015-03-25 2015-08-05 常州回天新材料有限公司 风环冷却吹塑薄膜装置
KR20160040997A (ko) 2014-10-06 2016-04-15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공압출 장치, 단층 압출 장치 및 레트로피팅 키트 그리고 층 두께의 측정,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 및 압출 장치의 레트로피팅을 위한 방법
CN207758140U (zh) * 2017-12-26 2018-08-24 东莞市正新包装制品有限公司 对流型吹膜冷却装置
CN208180238U (zh) * 2018-04-11 2018-12-04 陈俊任 一种上吹式高压膜吹膜机
KR20190013905A (ko) 2016-05-26 2019-02-11 스타링거 운트 콤파니 게젤샤프트 엠 베하 미끄럼 방지 열 밀봉 플라스틱 가요성 포장 백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장치
CN213137770U (zh) * 2020-06-11 2021-05-07 潍坊远丰塑胶有限公司 一种可降解地膜吹塑成型装置
CN217073343U (zh) * 2022-03-18 2022-07-29 周锁良 一种用于控制膜泡位置高低的装置及吹膜机
CN217704651U (zh) * 2022-04-18 2022-11-01 丽水宝弗塑业有限公司 一种塑料薄膜的吹塑成型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7571A (ja) * 1995-03-31 1996-10-15 Kuraray Co Ltd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成形装置
KR20160040997A (ko) 2014-10-06 2016-04-15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마쉬넨파브릭 공압출 장치, 단층 압출 장치 및 레트로피팅 키트 그리고 층 두께의 측정,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 및 압출 장치의 레트로피팅을 위한 방법
CN204526136U (zh) * 2015-03-25 2015-08-05 常州回天新材料有限公司 风环冷却吹塑薄膜装置
KR20190013905A (ko) 2016-05-26 2019-02-11 스타링거 운트 콤파니 게젤샤프트 엠 베하 미끄럼 방지 열 밀봉 플라스틱 가요성 포장 백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장치
CN207758140U (zh) * 2017-12-26 2018-08-24 东莞市正新包装制品有限公司 对流型吹膜冷却装置
CN208180238U (zh) * 2018-04-11 2018-12-04 陈俊任 一种上吹式高压膜吹膜机
CN213137770U (zh) * 2020-06-11 2021-05-07 潍坊远丰塑胶有限公司 一种可降解地膜吹塑成型装置
CN217073343U (zh) * 2022-03-18 2022-07-29 周锁良 一种用于控制膜泡位置高低的装置及吹膜机
CN217704651U (zh) * 2022-04-18 2022-11-01 丽水宝弗塑业有限公司 一种塑料薄膜的吹塑成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1700B1 (ko) 저스트레인 경화 중합체의 필름 버블을 냉각시키는 방법
US4606879A (en) High stalk blown film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US20240173909A1 (en) Controlled pressure enclosure
US11919218B2 (en) High performance cooling element
RU2409525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оптических волокон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оптических волокон
JPS647576B2 (ko)
US30618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rmoplastic tubing
CA3009079C (en) Apparatus with unidirectional cooling element for blown film cooling
CA1223412A (en) Cooling apparatus for tubular plastics films extruded from a film blow head
KR102636967B1 (ko) 블로운 압출을 이용한 필름 제조 장치
US20240173910A1 (en) High performance cooling element
US20170203474A1 (en) High performance cooling system
ITMI982588A1 (it) Metodo ed apparecchio per la formazione in continuo di una pellicola soffiata
JPS63315219A (ja) インフレートフイルムの連続押出し製造方法に使用の装置およびインフレートフイルムの連続押出し方法
KR20100013906A (ko)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제조장치
US3207823A (en) Production of flattened tubular plastic film
US20170203488A1 (en) High performance cooling system
CA210043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inflation film
US11104054B2 (en) High performance cooling system
KR102339540B1 (ko) 비닐봉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8162371A (zh) 薄膜吹塑加速内冷却装置
JPH0575574B2 (ko)
JPS63256423A (ja) インフレ−シヨンフイルム成形装置
ITMI930970A1 (it)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a produzione di films in materiali termoplastici con la tecnica a collo alto
JPS61239932A (ja) 高吐出量フイルム成形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