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563B1 - Pot lid grill that allows simultaneous cooking with an earthen pot - Google Patents

Pot lid grill that allows simultaneous cooking with an earthen 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563B1
KR102636563B1 KR1020230117353A KR20230117353A KR102636563B1 KR 102636563 B1 KR102636563 B1 KR 102636563B1 KR 1020230117353 A KR1020230117353 A KR 1020230117353A KR 20230117353 A KR20230117353 A KR 20230117353A KR 102636563 B1 KR102636563 B1 KR 102636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support
oil
protrusions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73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선
Original Assignee
김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선 filed Critical 김영선
Priority to KR1020230117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5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5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대를 경사지게 하여 음식물에서 발생된 기름을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조리대의 표면에 적정량의 기름을 남아 있게 하여 음식물이 조리대의 표면에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고, 기름의 양이 증가하면 자동으로 기름을 조리대의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뚝배기와 동시 조리가 가능한 솥뚜껑 불판을 개시한다.
뚝배기와 동시 조리가 가능한 솥뚜껑 불판은 열원이 배치된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된 환형의 거치대 및 거치대의 상부에 배치되어 거치대에 지지되고, 중심부에 뚝배기가 거치되는 조리대를 포함하고, 조리대는 테이블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By sloping the kitchen counter where food is cooked, the oil generated from the food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by keeping an appropriate amount of oil on the surface of the countertop, it prevents food from sticking to the surface of the countertop, and the amount of oil is As it increases, an earthenware pot that can automatically discharge oil to the bottom of the kitchen counter and a pot lid grill that allows simultaneous cooking are launched.
A pot lid grill capable of simultaneous cooking with an earthenware po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a table where a heat source is placed, and includes a ring-shaped stand with a hollow interior, a cooking tabl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and and supported on the stand, and a cooking table on which an earthenware pot is placed in the center, The countertop is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Description

뚝배기와 동시 조리가 가능한 솥뚜껑 불판{Pot lid grill that allows simultaneous cooking with an earthen pot}Pot lid grill that allows simultaneous cooking with an earthen pot}

본 발명은 뚝배기와 동시 조리가 가능한 솥뚜껑 불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lid grill that allows simultaneous cooking with an earthen pot.

일반적으로 고기 구이용 불판은 석재 혹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평판 혹은 솥뚜껑 형태로 형성된다.Generally, grills for grilling meat are made of stone or metal and are shaped like a flat plate or pot lid.

이 중 솥뚜껑 형태의 불판은 육류를 구울 때에 발생되는 기름이 불판의 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배출되고, 육류에 일정한 열을 전달하여 육류를 균일하게 익힐 수 있어서 식당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Among these, the pot lid-shaped grill is widely used in restaurants because the oil generated when grilling meat is easily discharged along the slope of the grill and can cook the meat evenly by transmitting constant heat to the meat.

한편, 상기와 같이 육류를 구워먹는 식당에서는 육류와 함께 찌개가 뚝배기에 담겨져 제공된다.Meanwhile, in restaurants where meat is grilled as described above, stew is served in an earthen pot along with the meat.

그러나, 육류와 함께 제공되는 찌개는 육류를 취식하는 동안에 식게 되므로 어쩔 수 없이 식은 상태의 찌개를 취식하거나, 찌개를 데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stew provided with meat cools while the meat is eaten,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eat the stew in a cold state or reheat the stew.

또한, 찌개가 담긴 뚝배기를 테이블에 놓을 경우 테이블의 공간이 협소해져 다른 식기를 놓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찌개를 데우기 위해서는 별도의 열원을 제공해야함에 따라 테이블을 협소하게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placing an earthen pot containing a stew on a table, the space on the table becomes narrow, making it difficult to place other dishes. In addition, a separate heat source must be provided to heat the stew, which caus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use a narrow table.

또한, 솥뚜껑 형태의 불판은 그 가장자리에 조리 시 발생된 기름이 고이게 된다.Additionally, oil generated during cooking accumulates on the edges of a pot-lid shaped grill.

이에, 종래에는 조리자가 수시로 불판의 가장자리에 고인 기름들을 닦아내거나, 외부로 배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Accordingly, in the past,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cook had to frequently wipe off the oil accumulated on the edge of the grill or discharge it to the outside.

또한, 종래의 솥뚜껑 형태의 불판은 고기가 얹혀 조리되는 표면이 매끄럽게 처리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t lid-shaped grill has a smooth surface on which meat is placed and cooked.

그러나, 이의 경우 고기의 조리 시 고기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아래로 바로 흘러내려 고기가 불판의 표면에 눌어붙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is cas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oil generated from the meat flowed directly downward during cooking, causing the meat to stick to the surface of the grill.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불판 표면의 일부를 요철구조로 형성하여 조리중 고기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바로 흘러내리지 않고, 요철구조에 고이도록 하였다.Meanwhile, in the past,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grill was formed into a concave-convex structure so that the oil generated from meat during cooking did not immediately flow down and was collected in the concavo-convex structure.

이에, 요철구조에 고여 있는 기름이 고기와 불판의 표면 사이를 윤활하여 고기가 불판의 표면에 눌어붙지 않게 된다.Accordingly, the oil accumulated in the uneven structure lubricates the area between the meat and the surface of the grill, preventing the meat from sticking to the surface of the grill.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솥뚜껑 형태의 불판은 요철구조에 고인 기름이 불판의 가장자리로 배출되지 못함에 따라, 요철구조에 너무 많은 양의 기름이 고여 있게 되고, 이로 인해 고기의 조리 시 기름이 고기에 과도하게 흡수되거나, 고기가 기름에 튀겨져 고기의 맛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ot lid-type grill described above, the oil accumulated in the uneven structure cannot be discharged to the edge of the grill, so too much oil is accumulated in the uneven structure, which causes the oil to get on the meat when cooking. There was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taste of the meat due to excessive absorption or the meat being fried in oil.

아울러, 요철구조에서 배출되지 못한 기름은 조리자가 일일이 제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the inconvenience of the cook having to remove oil that could not be discharged from the uneven structure one by one.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7976호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0797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대의 중앙에 뚝배기가 거치되어 조리대와 뚝배기에서 동시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뚝배기와 동시 조리가 가능한 솥뚜껑 불판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t lid grill that allows simultaneous cooking with an earthenware pot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kitchen counter so that food can be cooked in both the kitchen counter and the earthen pot at the same time. will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치대를 통해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대를 경사지게 하고, 이를 통해 음식물에서 발생된 기름을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뚝배기와 동시 조리가 가능한 솥뚜껑 불판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t lid grill that allows simultaneous cooking with an earthen pot that can tilt the cooking surface on which food is cooked through a holder, thereby automatically discharging oil generated from foo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리대의 표면에 조리대의 반경방향을 따라 다중으로 음식물에서 발생된 기름을 고이게 하는 조리 돌기들과, 조리 돌기들 사이로 기름의 배출을 유도하는 기름 배출홈들이 형성되는 뚝배기와 동시 조리가 가능한 솥뚜껑 불판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thenware pot having multiple cooking protrusions on the surface of the kitchen counter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kitchen counter to collect oil generated from food, and oil discharge grooves that guide the discharge of oil between the cooking protrusions. It provides a pot lid grill that allows simultaneous cooking.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와 동시 조리가 가능한 솥뚜껑 불판은 열원이 배치된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된 환형의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대에 지지되고, 중심부에 뚝배기가 거치되는 조리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대는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A pot lid grill capable of simultaneous cooking with an earthen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a table where a heat source is placed, and includes a ring-shaped holder with a hollow interior; and a kitchen table disposed on an upper part of the stand and supported by the stand, and on which an earthenware pot is placed in the center, wherein the kitchen table is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상기 거치대는,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조리대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지대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들은,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 지지대들;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 지지대에는 각각, 양각 또는 음각 형태의 식별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holder includes a ring-shaped bas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and support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base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ountertop and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base, wherein the supports include: a first support having a preset length; and second supports having a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support, wherein an identification portion in an embossed or engraved form may be formed on the base and the first support, respectively.

상기 조리대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뚝배기가 거치되고, 상기 지지대들에 지지되는 조리본체; 상기 조리본체의 가장자리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조리본체의 가장자리에 기름 수용홈을 형성하는 환형의 가드; 상기 가드에 복수로 배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조리본체 및 상기 가드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름 수용홈과 연통되고, 상기 기름 수용홈에 수용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름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본체는, 상기 조리본체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뚝배기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뚝배기 수용홀; 상기 조리본체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뚝배기를 지지하는 뚝배기 지지 마운트부; 상기 조리본체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대의 외주면이 걸려 지지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기름 배출구에 대향 배치되며, 미리 설정된 직경의 크기를 가지는 원호형상의 제1 지지턱; 및 상기 조리본체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대들의 외주면이 걸려 지지되고, 상기 제1 지지턱 보다 큰 직경의 크기를 가지는 원호형상의 제2 지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oking table includes a cooking main body that is formed in an arch shape, holds the earthenware pot in the center,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s. an annular guard disposed at an angle at an edge of the cooking main body to form an oil receiving groove at the edge of the cooking main body; A plurality of handles disposed on the guard; and an oil outlet extending from the cooking main body and the guard, communicating with the oil receiving groove, and discharging the oil contained in the oil receiving groove to the outside, wherein the cooking main body is formed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cooking main body. an earthenware pot receiving hole in which a portion of the earthenware pot is accommodated; An earthenware pot support mount portion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body and supports the earthenware pot; a first support jaw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body, supported by hanging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disposed opposite to the oil outlet in a plane view, and having an arc-shaped shape having a preset diameter; and an arc-shaped second support jaw that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body and is supported by hang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second supports, and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support jaw.

상기 조리본체는, 상기 조리본체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조리본체의 평면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원호형상의 조리 돌기들; 및 상기 조리본체의 평면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조리 돌기들 사이에 형성되는 기름 배출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조리 돌기들은, 상기 조리본체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뚝배기 수용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 조리 돌기들; 및 상기 조리본체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조리 돌기들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 조리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조리 돌기들과, 상기 제2 조리 돌기들은 각각, 상기 조리본체의 반경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볼록한 형상의 돌출부들; 및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한 형상의 홈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oking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arc-shaped cooking protrusions that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body and are arrang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plane of the cooking body; and oil discharge grooves formed between the cooking protrusion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plane of the cooking main body, wherein the cooking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the earthenware pot receiving hol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oking main body. 1 cooking protrusions; and second cook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oking protrusions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oking body, wherein the first cooking protrusions and the second cooking protrusions each have a radius of the cooking main body. Convex-shaped protrusion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and concave groove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에 일체로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슬롯이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슬롯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승 시 상기 조리대의 일부분을 들어 올려 상기 조리대를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하고, 하강 시 상기 조리대의 일부분을 내려 상기 조리대를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하는 승강부; 및 일부분은 상기 고정부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고정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의 폭방향을 따라 일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승강부를 상승시키거나, 상기 고정부의 폭방향을 따라 타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승강부를 하강시키는 경사 조절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일 측 높이가 타 측에 비해 더 높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상기 경사 조절구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1 조절구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1 경사 안내면;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일 측 높이가 타 측에 비해 더 낮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상기 경사 조절구의 다른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2 조절구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2 경사 안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includes a fixing portion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ase and having a slot formed therei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slidably coupled to the slot, so that when raised, a portion of the countertop is lifted and the countertop is plac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and when lowered, a portion of the countertop is lowered so that the countertop is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Elevating section arranged in a proper manner; and a part is accommodated in the fixing part, and the other part protrudes out of the fixing part, and is moved to one sid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to raise the elevating part, or to another part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An inclination adjuster that moves to the side and lowers the elevating unit; and wherein the fixing part has a height of one sid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ide, and a portion of the inclination adjuster is accommod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It includes a first inclined guide surface on which a first adjuster receiving groove is formed, wherein the lifting part has a height of one side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side, and other parts of the incline adjuster are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second inclined guid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adjustment groove receiving groove is formed.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제1 지지턱에 지지되는 상기 제1 지지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돌출된 방향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테이퍼 구조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턱은, 상기 제1 지지대가 지지되는 상기 제1 지지턱의 내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 지지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further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jaw and is formed in a tapered structure whose width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protruding direction. The first support jaw may include a locking groove that is recess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jaw on which the first support is supported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is hooked and supported,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trus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대의 중앙에 뚝배기가 거치되고, 이를 통해 조리대와 뚝배기에 동시에 열원의 열이 가해져 조리대와 뚝배기에서 동시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으므로, 조리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편의성이 증대되고, 나아가 뚝배기를 테이블에 놓지 않아도 되므로 테이블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arthen pot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kitchen counter, and through this, heat from a heat source is applied to the kitchen counter and the earthen pot at the same time, allowing food to be cooked in the kitchen counter and the earthen pot at the same time, thereby shortening the cooking time and improving convenience.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place the earthen pot on the table, table space can be utilized efficiently.

또한, 조리대가 지지되는 지지대들이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조리대가 테이블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이를 통해 음식물에서 발생된 기름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되므로, 조리자가 일일이 조리대로부터 기름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s on which the countertop is supported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countertop is plac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hrough this, oil generated from food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e cook does not have to remove the oil from the countertop one by one. Therefor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또한, 조리대의 표면에 조리대의 반경방향을 따라 다중으로 음식물에서 발생된 기름을 고이게 하는 조리 돌기들과, 조리 돌기들 사이로 기름의 배출을 유도하는 기름 배출홈들이 형성되므로, 조리대의 표면에 적정량의 기름이 남아 있게 되어 음식물이 조리대의 표면에 눌어붙는 것이 방지되고, 기름의 양이 증가하면 기름 배출홈들을 통해 자동으로 기름이 조리대의 하부로 흘러내려 음식물에 기름이 과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multiple cook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unter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unter to trap oil generated from food, and oil discharge grooves are formed between the cooking protrusions to guide the discharge of oil, allowing an appropriate amount of oil to be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counter. Oil remains, preventing food from sticking to the surface of the countertop, and as the amount of oil increases, the oil automatically flows down to the bottom of the countertop through the oil discharge grooves, preventing overabsorption of oil by food. .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details exemplified above, and further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with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뚜껑 불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대의 길이조절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대와 제1 지지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
Figure 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t lid gr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kitchen cou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ottom view showing a kitchen cou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in Figure 4.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6.
Figure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length adjustment process of the first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irst support and the first support ja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various changes can be made to the embodiments, so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re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for descrip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he same as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has meani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is not interpreted a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margin of error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top', 'on the top', 'on the bottom', 'next to', etc., 'immediately' Alternatively, there may be one or more other parts plac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t includes instances where the element or layer is directly on top of or intervening with another element.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components show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ally or fu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s can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technical inter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may be possible to conduct them together due to a related relationship.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솥뚜껑 불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Figure 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t lid gr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EP)와 동시 조리가 가능한 솥뚜껑 불판(1000)(이하 '솥뚜껑 불판(1000)'이라 함)은 거치대(1) 및 조리대(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pot lid grill 10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ot lid grill 1000') capable of simultaneous cooking with an earthenware pot (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1 and a cooking surface 2. Includes.

거치대(1)는 열원(H)이 배치된 테이블(T)의 상면에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된 환(環)형태로 형성된다.The holder 1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 on which the heat source H is placed,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ing with a hollow interio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거치대(1)는 테이블(T)의 상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베이스(11)와, 베이스(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조리대(2)의 하면을 지지하고, 베이스(11)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지대들(1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holder 1 includes a ring-shaped base 11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 and i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base 11 to support the countertop 2. It may include supports 12 that support the lower surface and are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base 11.

지지대들(12)은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제1 지지대(121)와, 제1 지지대(121)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 지지대들(1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s 12 may include a first support 121 having a preset length and second supports 122 having a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support 121 .

이에, 조리대(2)는 제1 지지대(121)에 의해 일부분이 상승되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Accordingly, the kitchen counter 2 may be partially raised by the first support 121 and disposed at an angle. Details abou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베이스(11)와 제1 지지대(121)에는 각각, 양각 또는 음각 형태의 식별부(I)가 형성될 수 있다.An identification portion (I) in an embossed or engraved form may be formed on the base 11 and the first support 121, respectively.

즉, 베이스(11)와 제1 지지대(121)에는 각각, 돌기 또는 홈 형태의 식별부(I)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identification portions I in the form of protrusions or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base 11 and the first support 121, respectively.

이를 통해, 사용자는 조리대(2)의 방향을 혼동하지 않고, 식별부(I)를 확인하여 조리대(2)를 설정된 방향으로 정확히 배치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can accurately place the countertop 2 in the set direction by checking the identification portion I without being confused about the direction of the countertop 2.

도 1을 참조하면, 조리대(2)는 거치대(1)의 상부에 배치되어 거치대(1)에 지지되고, 중심부에 뚝배기(EP)가 거치된다.Referring to FIG. 1, the cooking surface 2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lder 1 and is supported on the holder 1, and an earthenware pot (EP) is mounted in the center.

이때, 조리대(2)는 테이블(T)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kitchen counter 2 is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대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VI-V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kitchen cou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ottom view showing a kitchen cou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in FIG. 4.

도 1,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조리대(2)는 조리본체(21), 가드(22), 손잡이(23) 및 기름 배출구(2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4 to 6 , the kitchen counter 2 may include a cooking body 21, a guard 22, a handle 23, and an oil outlet 24.

조리본체(21)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뚝배기(EP)가 거치되고, 지지대들(12)에 지지될 수 있다.The cooking body 21 is formed in an arch shape, has an earthenware pot (EP) mounted in the center, and can be supported on supports 12.

조리본체(21)는 조리본체(21)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어 뚝배기(EP)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뚝배기 수용홀(211)과, 조리본체(21)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뚝배기(EP)를 지지하는 뚝배기 지지 마운트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king body 21 has an earthenware pot receiving hole 211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cooking body 21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earthenware pot (EP), and a protruding earthenware pot (EP)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body 21. It may include a supporting mount 212 for supporting the earthenware pot.

또한, 조리본체(21)는 제1 지지턱(213)과, 제2 지지턱(214)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oking body 21 may include a first support jaw 213 and a second support jaw 214.

제1 지지턱(213)은 조리본체(21)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1 지지대(121)의 외주면이 걸려 지지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jaw 21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body 21 and can be supported by hang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121.

이때, 제1 지지턱(213)은 평면상에서 기름 배출구(24)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 jaw 213 may be disposed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oil outlet 24 in a plane view.

또한, 제1 지지턱(213)은 미리 설정된 직경의 크기를 가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support jaw 213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with a preset diameter.

제2 지지턱(214)은 조리본체(21)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2 지지대들(122)의 외주면이 걸려 지지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21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body 21 and can be supported by hang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s 122.

제2 지지턱(214)은 제1 지지턱(213) 보다 큰 직경의 크기를 가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jaw 214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support jaw 213.

또한, 조리본체(21)는 조리 돌기들(215) 및 기름 배출홈들(2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oking body 21 may further include cooking protrusions 215 and oil discharge grooves 216.

조리 돌기들(215)은 조리본체(21)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조리본체(21)의 평면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The cooking protrusions 215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body 21 and may be arranged in plural number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plane of the cooking body 21.

조리 돌기들(215)은 미리 설정된 곡률을 가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oking protrusions 215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with a preset curvature.

조리 돌기들(215)은 음식물의 일부분을 지지하여 음식물과 조리본체(21)의 상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음식물에 열을 전달하여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The cooking protrusions 215 support a portion of the food, form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foo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body 21, and heat the food by transferring heat to the food.

또한, 조리 돌기들(215)은 음식물에서 발생된 기름을 조리본체(21)의 상면에 고이도록 하면서 원호방향으로 유도하여 기름이 음식물에 고루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oking protrusions 215 allow oil generated from food to accumul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main body 21 and guide it in an arc direction so that the oil is evenly absorbed into the food.

조리 돌기들(215)은 조리본체(21)의 반경방향을 따라 다중으로 배치될 수 있다.Cooking protrusions 215 may be arranged in multiple numbers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oking body 21.

구체적으로, 조리 돌기들(215)은 조리본체(21)의 반경방향을 따라 뚝배기 수용홀(211)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 조리 돌기들(215A)과, 조리본체(21)의 반경방향을 따라 제1 조리 돌기들(215A)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 조리 돌기들(215B)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oking protrusions 215 include first cooking protrusions 215A spaced apart from the earthenware pot receiving hole 211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oking main body 21, an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oking main body 21. It may include second cooking protrusions 215B that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oking protrusions 215A.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FIG. 7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6.

도 7을 참조하면, 제1 조리 돌기들(215A)과, 제2 조리 돌기들(215B)은 각각, 조리본체(21)의 반경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볼록한 형상의 돌출부들(P)과, 돌출부들(P)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한 형상의 홈부들(G)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first cooking protrusions 215A and the second cooking protrusions 215B each have convex-shaped protrusions (P)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oking body 21. ) and concave grooves (G)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P).

예를 들어, 돌출부들(P)은 3개 이상 5개 이하로 형성되고, 홈부들(G)은 2개 이상 4개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number of protrusions P may be 3 to 5, and the number of grooves G may be 2 to 4.

도 4를 참조하면, 기름 배출홈들(216)은 조리본체(21)의 평면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조리 돌기들(21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oil discharge grooves 216 may be formed between the cooking protrusions 215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plane of the cooking body 21.

기름 배출홈들(216)은 조리 돌기들(215) 사이를 단절시켜, 조리 돌기들(215)에 의해 원호방향으로 유도된 기름을 조리본체(21)의 하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The oil discharge grooves 216 can separate the cooking protrusions 215 and guide the oil guided by the cooking protrusions 215 in an arc direction to the lower side of the cooking body 21.

이를 통해, 기름 배출홈들(216)로 배출된 기름은 조리본체(21)의 상면을 따라 하측으로 흘러 기름 수용홈(221)에 수용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oil discharged through the oil discharge grooves 216 can flow downwar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body 21 and be accommodated in the oil receiving groove 221.

도 1,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가드(22)는 환형태로 형성되고, 조리본체(21)의 가장자리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4, and 6, the guard 22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may be disposed at an angle at the edge of the cooking body 21.

이에, 조리본체(21)의 가장자리와 가드(22) 사이에는 기름 수용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n oil receiving groove 221 may be formed between the edge of the cooking body 21 and the guard 22.

손잡이(23)는 가드(22)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The handle 23 may be arranged in plural numbers on the guard 22.

더 자세하게는, 손잡이(23)는 가드(22)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가드(22)의 상단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andle 23 extends outward from the top of the guard 22 and may be disposed in plural numbers on the top of the guard 22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예를 들어, 손잡이(23)는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손잡이(23)는 조리대(2)의 평면상에서 기름 배출구(24) 및 제1 지지대(121)에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andle 23 may be formed of two pieces. At this time, the two handles 23 may be arranged to cross the oil outlet 24 and the first support 121 on the plane of the kitchen counter 2.

기름 배출구(24)는 조리본체(21) 및 가드(22)로부터 연장되어 기름 수용홈(221)과 연통되고, 기름 수용홈(221)에 수용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oil outlet 24 extends from the cooking body 21 and the guard 22 and communicates with the oil receiving groove 221, and can discharge the oil contained in the oil receiving groove 221 to the outside.

한편, 본 솥뚜껑 불판(1000)은 금속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pot lid grill 1000 may be made of a metallic material.

더 자세하게는, 본 솥뚜껑 불판(1000)은 무쇠로 제조되는 통상의 솥뚜껑 불판(1000)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볍고, 취급이 용이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솥뚜껑 불판(1000)의 표면은 코팅 처리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ot lid grill 1000 may be made of aluminum alloy or stainless steel, which is relatively light and easy to handle compared to the typical pot lid grill 1000 made of cast iron. At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pot lid grill 1000 may be coat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대의 길이조절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length adjustment process of the first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지지대(121)는 길이 조절을 통해 조리대(2)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8 , the first support 121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kitchen counter 2 by adjusting its length.

더 자세하게는, 제1 지지대(121)는 신장될 경우 조리대(2)를 테이블(T)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하고, 수축될 경우 조리대(2)를 테이블(T)의 상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first support 121 is extended, it arranges the countertop 2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 and when contracted, it arranges the countertop 2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 can do.

이때, 수축된 상태의 제1 지지대(121)는 제2 지지대들(122)과 동일한 길이로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 121 in a contracted state may be arrang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second supports 122.

제1 지지대(121)는 고정부(121A), 승강부(121B) 및 경사 조절구(121C)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121 may include a fixing part 121A, an elevating part 121B, and a tilt adjuster 121C.

고정부(121A)는 베이스(11)에 일체로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슬롯(121A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121A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ase 11, and a slot 121A1 may be formed therei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승강부(121B)는 슬롯(121A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lifting unit 121B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slot 121A1.

승강부(121B)는 상승 시 조리대(2)의 일부분을 들어 올려 조리대(2)를 테이블(T)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하고, 하강 시 조리대(2)의 일부분을 내려 조리대(2)를 테이블(T)의 상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When ascending, the lifting unit 121B lifts a portion of the countertop 2 and arranges the countertop 2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 and when descending, lowers a portion of the countertop 2 to place the countertop 2 on the table. It can be placed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

경사 조절구(121C)는 고정부(121A)의 폭방향을 따라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유동되면서 승강부(121B)를 승강시킬 수 있다.The tilt adjuster 121C may move the lifting part 121B to one side or the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121A.

경사 조절구(121C)의 일부분은 고정부(121A)에 수용되고, 경사 조절구(121C)의 다른 일부분은 고정부(121A)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tilt adjuster 121C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xing portion 121A, and another portion of the tilt adjusting portion 121C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portion 121A.

경사 조절구(121C)는 고정부(121A)의 폭방향을 따라 일 측으로 이동되어 승강부(121B)를 상승시키거나, 고정부(121A)의 폭방향을 따라 타 측으로 이동되어 승강부(121B)를 하강시킬 수 있다.The tilt adjuster 121C is moved to one sid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121A to raise the lifting part 121B, or is moved to the other sid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121A to raise the lifting part 121B. can be lowered.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경사 조절구(121C)는 별도의 조작도구(미도시)에 결합되고, 조작도구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ilt adjuster 121C is coupled to a separate operating tool (not shown) and can be moved by the operating tool.

이때, 고정부(121A)에는 일 측 높이가 타 측에 비해 더 높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경사 조절구(121C)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1 조절구 수용홈(121A3)이 형성되는 제1 경사 안내면(121A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121B)에는 일 측 높이가 타 측에 비해 더 낮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경사 조절구(121C)의 다른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2 조절구 수용홈(121B2)이 형성되는 제2 경사 안내면(121B1)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part 121A has a height of one side higher than the other side, and a first adjuster receiving groove 121A3 in which a portion of the tilt adjuster 121C is accommod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 first inclined guide surface 121A2 may be formed. In addition, in the elevating part 121B, the height of one side i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side, and the second adjuster receiving groove 121B2 accommodates another part of the tilt adjuster 121C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 A second inclined guide surface 121B1 may be formed.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대와 제1 지지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Figure 9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irst support and the first support ja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제1 지지대(121)와 제1 지지턱(213)은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first support 121 and the first support jaw 213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제1 지지대(121)는 제1 지지턱(213)에 지지되는 제1 지지대(121)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돌출된 방향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테이퍼 구조로 형성되는 걸림돌기(121D)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121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121 supported on the first support ledge 213, and has a locking protrusion 121D formed in a tapered structure whose width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protruding direction. ) may include.

제1 지지턱(213)은 제1 지지대(121)가 지지되는 제1 지지턱(213)의 내면에 함몰 형성되어 걸림돌기(121D)가 걸려 지지되고, 걸림돌기(121D)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홈(213A)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jaw 213 is recess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jaw 213 on which the first support 121 is supported, is supported by a locking protrusion 121D,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trusion 121D. It may include a locking groove (213A) formed.

이를 통해, 조리 중 조리대(2)가 거치대(1)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oking surface 2 from being separated or separated from the holder 1 during cooking.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솥뚜껑 불판(1000)은 조리대 회전구와, 기름 회수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ot lid grill 1000 may further include a counter rotator and an oil recovery container.

조리대 회전구는 베이스(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테이블(T)의 상면에 지지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테이블(T)의 평면상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거치대(1)와 조리대(2)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counter rotato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11 a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t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plane of the table (T), rotating the holder (1) and the counter (2). You can do it.

조리대 회전구는 회전 부재, 지지 부재 및 베어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ntertop pivot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a support member, and a bearing member.

회전 부재는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베이스(1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rota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edge of the base and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base 11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지지 부재는 테이블(T)의 상면에 고정 배치되고, 베이스(11)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is fixed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 and can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1.

지지 부재는 베어링 부재의 일부분이 결합 및 지지되는 베어링 결합부와, 베어링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11)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열기로부터 베어링 부재를 보호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bearing coupling portion to which a portion of the bearing member is coupled and supported,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bearing coupling portion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1 and protect the bearing member from heat.

예를 들어, 탄성 지지부는 베어링 결합부의 일단부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상향 연장되는 제1 지지부와, 제1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베이스(11)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하향 연장되어 제1 지지부에 대향 배치되고, 열기를 차단하는 제3 지지부와, 제3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테이블(T)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4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astic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extending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bearing coupling part, and a second support part extending in an arc shape from an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1. A support part, a third support part that extends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and is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part and blocks heat, and a third support part that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third support part and is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part. It may include a fourth support portion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베어링 부재는 회전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결합되고,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면서, 베이스(11)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The bearing member is coupled between the rotating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and can support the axial load of the base 11 while rotating the rotating member.

예를 들어, 베어링 부재는 스러스트 베어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earing member may be implemented as a thrust bearing.

기름 회수 용기는 조리대(2)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조리대(2)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내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oil recovery container may be coupled to and supported on the countertop 2 and configured to store the oil discharged from the countertop 2 therein.

이때, 기름 회수 용기는 조리대(2)가 회전되면 조리대(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il recovery container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kitchen counter (2) when the kitchen counter (2) is rotated.

이에, 조리대(2)가 회전될 경우에도 기름 회수 용기가 조리대(2)와 함께 회전되므로, 테이블(T) 상에 기름수거를 위한 별도의 용기를 배치하거나, 테이블(T) 상에 배치된 용기를 옮길 필요가 없다.Accordingly, even when the kitchen counter (2) is rotated, the oil recovery container rotates together with the kitchen counter (2), so a separate container for oil collection must be placed on the table (T) or a container placed on the table (T). There is no need to move .

기름 회수 용기는 가드(2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부와, 걸이부에 결합되어 기름 배출구(24)의 하측에 배치되고, 테이블(T)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내부에 기름 배출구(24)에서 배출된 기름이 수용되는 용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il recovery container has a hook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guard 22, is coupled to the hook and is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oil outlet 24,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 and has an oil outlet ( 24) may include a container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oil discharged.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대(2)의 중앙에 뚝배기(EP)가 거치되고, 이를 통해 조리대(2)와 뚝배기(EP)에 동시에 열원(H)의 열이 가해져 조리대(2)와 뚝배기(EP)에서 동시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으므로, 조리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편의성이 증대되고, 나아가 뚝배기(EP)를 테이블(T)에 놓지 않아도 되므로 테이블(T)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arthenware pot (EP)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kitchen counter 2, and through this, heat from the heat source H is applied to the kitchen counter 2 and the earthenware pot EP at the same time, thereby Since food can be cooked simultaneously in the earthenware pot (EP), cooking time is shortened and convenience is increased. Furthermore, since the earthenware pot (EP) does not need to be placed on the table (T), space on the table (T) can be utilized efficiently. there is.

또한, 조리대(2)가 지지되는 지지대들(12)이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조리대(2)가 테이블(T)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이를 통해 음식물에서 발생된 기름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되므로, 조리자가 일일이 조리대(2)로부터 기름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s 12 on which the kitchen counter 2 is supported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kitchen counter 2 is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 and through this, oil generated from food is automatically released to the outside. Since it is discharged, the cook does not have to remove oil from the kitchen counter 2 one by on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또한, 조리대(2)의 표면에 조리대(2)의 반경방향을 따라 다중으로 음식물에서 발생된 기름을 고이게 하는 조리 돌기들(215)과, 조리 돌기들(215) 사이로 기름의 배출을 유도하는 기름 배출홈들(216)이 형성되므로, 조리대(2)의 표면에 적정량의 기름이 남아 있게 되어 음식물이 조리대(2)의 표면에 눌어붙는 것이 방지되고, 기름의 양이 증가하면 기름 배출홈들(216)을 통해 자동으로 기름이 조리대(2)의 하부로 흘러내려 음식물에 기름이 과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are multiple cooking protrusions 215 on the surface of the cooking counter 2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oking counter 2, which accumulate oil generated from food, and oil that induces the discharge of oil between the cooking protrusions 215. Since the discharge grooves 216 are formed, an appropriate amount of oil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kitchen counter 2 to prevent food from sticking to the surface of the kitchen counter 2, and as the amount of oil increases, the oil discharge grooves ( 216), oil automatically flows down to the bottom of the kitchen counter (2), preventing excessive absorption of oil into foo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0. 솥뚜껑 불판
1. 거치대
11. 베이스
12. 지지대
121. 제1 지지대
121A. 고정부
121A1. 슬롯
121A2. 제1 경사 안내면
121A3. 제1 조절구 수용홈
121B. 승강부
121B1. 제2 경사 안내면
121B2. 제2 조절구 수용홈
121C. 경사 조절구
121D. 걸림돌기
122. 제2 지지대
I. 식별부
2. 조리대
21. 조리본체
211. 뚝배기 수용홀
212. 뚝배기 지지 마운트부
213. 제1 지지턱
213A. 걸림홈
214. 제2 지지턱
215 조리 돌기
215A. 제1 조리 돌기
215B. 제2 조리 돌기
P. 돌출부
G. 홈부
216. 기름 배출홈
22. 가드
221. 기름 수용홈
23. 손잡이
24. 기름 배출구
H. 열원
T. 테이블
EP. 뚝배기
1000. Pot lid grill
1. Holder
11. Bass
12. Support
121. First support
121A. fixed part
121A1. slot
121A2. First inclined guideway
121A3. First adjustment groove receiving groove
121B. Elevator section
121B1. Second inclined guideway
121B2. Second adjuster receiving groove
121C. Incline adjuster
121D. stumbling block
122. Second support
I. Identification part
2. Countertop
21. Cooking body
211. Earthenware pot receiving hall
212. Earthenware pot support mount
213. First support jaw
213A. catch groove
214. Second support jaw
215 cooking protrusion
215A. 1st cooking protrusion
215B. 2nd cooking protrusion
P. protrusion
G. Home Department
216. Oil discharge groove
22. Guard
221. Oil receiving groove
23. Handle
24. Oil outlet
H. Heat source
T. table
EP. earthen pot

Claims (3)

열원이 배치된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된 환형의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대에 지지되고, 중심부에 뚝배기가 거치되는 조리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대는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조리대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지대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들은,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 지지대들;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 지지대에는 각각, 양각 또는 음각 형태의 식별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대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뚝배기가 거치되고, 상기 지지대들에 지지되는 조리본체;
상기 조리본체의 가장자리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조리본체의 가장자리에 기름 수용홈을 형성하는 환형의 가드;
상기 가드에 복수로 배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조리본체 및 상기 가드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름 수용홈과 연통되고, 상기 기름 수용홈에 수용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름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본체는,
상기 조리본체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뚝배기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뚝배기 수용홀;
상기 조리본체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뚝배기를 지지하는 뚝배기 지지 마운트부;
상기 조리본체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대의 외주면이 걸려 지지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기름 배출구에 대향 배치되며, 미리 설정된 직경의 크기를 가지는 원호형상의 제1 지지턱; 및
상기 조리본체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대들의 외주면이 걸려 지지되고, 상기 제1 지지턱 보다 큰 직경의 크기를 가지는 원호형상의 제2 지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조리본체는,
상기 조리본체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조리본체의 평면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원호형상의 조리 돌기들; 및
상기 조리본체의 평면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조리 돌기들 사이에 형성되는 기름 배출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조리 돌기들은,
상기 조리본체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뚝배기 수용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 조리 돌기들; 및
상기 조리본체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조리 돌기들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 조리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조리 돌기들과, 상기 제2 조리 돌기들은 각각,
상기 조리본체의 반경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볼록한 형상의 돌출부들; 및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한 형상의 홈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에 일체로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슬롯이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슬롯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승 시 상기 조리대의 일부분을 들어 올려 상기 조리대를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하고, 하강 시 상기 조리대의 일부분을 내려 상기 조리대를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하는 승강부; 및
일부분은 상기 고정부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고정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의 폭방향을 따라 일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승강부를 상승시키거나, 상기 고정부의 폭방향을 따라 타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승강부를 하강시키는 경사 조절구;를 포함하는, 뚝배기와 동시 조리가 가능한 솥뚜껑 불판.
A ring-shaped hold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where the heat source is placed and having a hollow interior; and
It includes a cooking table disposed on an upper part of the holder and supported by the holder, and on which an earthenware pot is placed in the center,
The counter is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he stand,
a ring-shaped bas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and
Supports ar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base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ountertop, and are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base.
The supports are,
a first support having a preset length; and
It includes second supports having a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support,
Identification parts in the form of embossing or engraving are formed on the base and the first support, respectively,
The countertop is
a cooking main body formed in an arch shape with the earthenware pot mounted in the center and supported by the supports;
an annular guard disposed at an angle at an edge of the cooking main body to form an oil receiving groove at the edge of the cooking main body;
A plurality of handles disposed on the guard; and
An oil discharge port extends from the cooking body and the guard, communicates with the oil receiving groove, and discharges oil contained in the oil receiving groove to the outside,
The cooking main body,
An earthenware pot receiving hole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cooking body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earthenware pot;
An earthenware pot support mount portion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body and supports the earthenware pot;
a first support jaw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body, supported by hanging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disposed opposite to the oil outlet in a plane view, and having an arc-shaped shape having a preset diameter; and
A second support jaw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body and is supported by hang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second supports, and has an arc-shaped second support jaw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support jaw,
The cooking main body,
a plurality of arc-shaped cook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main body and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plane of the cooking main body; and
It includes oil discharge grooves formed between the cooking protrusion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plane of the cooking body,
The cooking protrusions are,
first cook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the earthenware pot accommodating hol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oking main body; and
It includes; second cook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oking protrusions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oking body;
The first cooking protrusions and the second cooking protrusions, respectively,
Convex-shaped protrusions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oking body; and
Includes concave groove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The first support is,
a fixing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ase and having a slot formed therei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slidably coupled to the slot, so that when raised, a portion of the countertop is lifted and the countertop is plac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and when lowered, a portion of the countertop is lowered so that the countertop is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Elevating section arranged in a proper manner; and
A part is accommodated in the fixing part, and the other part protrudes out of the fixing part, and is moved to one sid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to raise the elevating part, or to the other sid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A pot lid grill capable of simultaneous cooking with an earthenware pot, including a tilt adjuster that moves to lower the lift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117353A 2023-09-05 2023-09-05 Pot lid grill that allows simultaneous cooking with an earthen pot KR1026365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7353A KR102636563B1 (en) 2023-09-05 2023-09-05 Pot lid grill that allows simultaneous cooking with an earthen 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7353A KR102636563B1 (en) 2023-09-05 2023-09-05 Pot lid grill that allows simultaneous cooking with an earthen p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563B1 true KR102636563B1 (en) 2024-02-13

Family

ID=8989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7353A KR102636563B1 (en) 2023-09-05 2023-09-05 Pot lid grill that allows simultaneous cooking with an earthen 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56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976A (en) 2004-05-11 2005-11-16 이정열 Roasting plate
KR20080024501A (en) * 2008-02-19 2008-03-18 이호준 Plate for roasting
KR20090003465U (en) * 2007-10-10 2009-04-15 이병윤 Cooking apparatus for being able to hetero cuis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976A (en) 2004-05-11 2005-11-16 이정열 Roasting plate
KR20090003465U (en) * 2007-10-10 2009-04-15 이병윤 Cooking apparatus for being able to hetero cuisine
KR20080024501A (en) * 2008-02-19 2008-03-18 이호준 Plate for roas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5210B2 (en) Chafing dish with utility handles
US6055901A (en) Cooking utensil
US5033453A (en) Overflow cooking pot assembly
CA1217353A (en) Steam cooking rack and method
US76073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verting liquids from foodstuff during preparation in a frying pan
CA2804660C (en) Quick attaching chafing dish handle configured for safe chafing dish placement and removal and for nesting chafing dish storage
KR100254524B1 (en) The handling system configured for use with a receptacle
CA2010492A1 (en) Portable combination cooking grill
US6196120B1 (en) Steamer insert, steamer assembly and method
KR102636563B1 (en) Pot lid grill that allows simultaneous cooking with an earthen pot
US5515990A (en) Pot with tilt insert
US6701912B1 (en) Bench top grill assembly
KR102145375B1 (en) Cooking vessel having filter net
KR100952758B1 (en) Plate for Roasting
US20110038999A1 (en) Cookware with reservoir
KR200365229Y1 (en) A device for roasting meat
US2211261A (en) Berry pie drip pan
KR101308033B1 (en) Multi-function cooking vesse
EP0214135A4 (en) Lockable mounting for retaining a removable item to a base.
US4432338A (en) Stackable multi-purpose heater with controllable heat action
CN107420948A (en) A kind of gas range shelf
CN210961523U (en) Convenient to use's lift chafing dish
US2822747A (en) Skillet
KR200331318Y1 (en) frying pan
KR200359184Y1 (en) Roa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