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251B1 - 횡모드 억제를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횡모드 억제를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251B1
KR102636251B1 KR1020160021810A KR20160021810A KR102636251B1 KR 102636251 B1 KR102636251 B1 KR 102636251B1 KR 1020160021810 A KR1020160021810 A KR 1020160021810A KR 20160021810 A KR20160021810 A KR 20160021810A KR 102636251 B1 KR102636251 B1 KR 102636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digital electrodes
protrusions
thickness
bus ba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567A (ko
Inventor
김아성
이철화
Original Assignee
(주)와이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솔 filed Critical (주)와이솔
Priority to KR1020160021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251B1/ko
Priority to US15/437,136 priority patent/US10382008B2/en
Priority to CN201710103741.6A priority patent/CN107124153A/zh
Publication of KR20170099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535Details of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2992Details of bus bars, contact pads or other electrical connections for finge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535Details of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2818Means for compensation or elimination of undesirable effec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12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 H03H9/14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for 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14544Transducers of particular shape or position
    • H03H9/1457Transducers having different finger width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64Filter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5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having a stacked or multilayer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10N30/871Single-layered electrodes of multilayer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e.g. internal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10N30/872Interconnections, e.g. connection electrodes of multilayer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Circuit Network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는, 압전 기판;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2 버스바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 및 상기 제2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1 버스바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과 상기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교번 배열됨-;을 포함하고, 파동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의 중앙 영역, 상기 중앙 영역과 상기 제1 버스바 사이의 제1 에지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과 상기 제2 버스바 사이의 제2 에지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에지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가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보다 작도록, 상기 제1 에지 영역에서 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에만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에지 영역에서 상기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에만 돌출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횡모드 억제를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SURFACE ACOUSTIC WAVE DEVICE FOR TRANSVERSE MODE SUPPRESSION}
본 발명은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필요한 횡모드를 억제하여 스퓨리어스를 제거하고 통과대역에서 발생하는 리플을 감소시키며 삽입손실을 개선하기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는 IDT(Interdigital Transducer)를 사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음향파 에너지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음향파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예컨대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기판(10)과, 압전 기판(10) 상에 형성되는 서로 대향하는 버스바(21, 22)와, 각 버스바(21, 22)에 연결되어 교번 배열되는 인터디지털 전극들(31, 32)을 포함한다.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에서 문제가 되는 것 중의 하나가 불필요한 횡모드(transverse mode)이다. 이러한 횡모드는 스퓨리어스(spurious)를 발생시키며 통과대역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리플(ripple)을 야기하고, 또한 삽입손실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현상은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특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에서 횡모드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문헌 "Design Modeling and Visualization for Low Transverse Modes R-SPUDT Devices"는 소위 피스톤 모드를 제안하였는데, 이것은 개구부에서는 일정하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모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트랜스듀서의 에지에 파동 속도 감소 영역을 추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구조는 패턴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구현이 어렵고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횡모드를 억제할 수 있는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는, 압전 기판;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2 버스바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 및 상기 제2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1 버스바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과 상기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교번 배열됨-;을 포함하고, 파동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의 중앙 영역, 상기 중앙 영역과 상기 제1 버스바 사이의 제1 에지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과 상기 제2 버스바 사이의 제2 에지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에지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가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보다 작도록, 상기 제1 에지 영역에서 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에만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에지 영역에서 상기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에만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폭 및 두께는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의 폭 및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는, 압전 기판;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2 버스바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 및 상기 제2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1 버스바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과 상기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교번 배열됨-;을 포함하고, 파동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의 중앙 영역, 상기 중앙 영역과 상기 제1 버스바 사이의 제1 에지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과 상기 제2 버스바 사이의 제2 에지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에지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가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보다 작도록, 상기 제1 에지 영역에서 상기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에만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에지 영역에서 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에만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폭 및 두께는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의 폭 및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구조로 횡모드를 억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구현이 용이하고 불량 발생 가능성이 낮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기존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는, 압전 기판(100), 압전 기판(100) 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210, 220), 제1 버스바(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버스바(210)로부터 제2 버스바(220)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310), 제2 버스바(2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버스바(220)로부터 제1 버스바(210)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320)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310)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320)은 교번 배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파동 진행 방향(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310, 320)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310, 320)의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과 제1 버스바(210) 사이의 제1 에지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과 제2 버스바(220) 사이의 제2 에지 영역이 정의된다.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320)은 제1 에지 영역에서의 폭이 중앙 영역에서의 폭보다 크도록 돌출부(321)가 형성되고,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310)은 제2 에지 영역에서의 폭이 중앙 영역에서의 폭보다 크도록 돌출부(31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에지 영역과 제2 에지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는 중앙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보다 작아진다.
제1 에지 영역에서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320) 뿐만 아니라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310)도 중앙 영역에서의 폭보다 크도록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겠으나, 그러면 제2 인터디지털 전극(320)의 돌출부(321)와 인접한 제1 인터디지털 전극(310)의 돌출부 간의 간격이 좁아짐으로 인하여 해당 전극 패턴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에지 영역에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310) 뿐만 아니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320)도 중앙 영역에서의 폭보다 크도록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겠으나, 그러면 제1 인터디지털 전극(310)의 돌출부(311)와 인접한 제2 인터디지털 전극(320)의 돌출부 간의 간격이 좁아짐으로 인하여 해당 전극 패턴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예컨대 전극 패턴은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전극 간의 간격이 좁으면 포토그래피 공정으로 구현하기 어려우며,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에지 영역에서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320)은 돌출부(321)가 형성되지만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310)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제2 에지 영역에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310)은 돌출부(311)가 형성되지만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320)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동일 에지 영역에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310)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320) 모두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경우보다 공정 상의 이점이 있으며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는, 압전 기판(100), 압전 기판(100) 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210, 220), 제1 버스바(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버스바(210)로부터 제2 버스바(220)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410), 제2 버스바(2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버스바(220)로부터 제1 버스바(210)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20)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410)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20)은 교번 배열된다.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410)은 제1 에지 영역에서의 폭이 중앙 영역에서의 폭보다 크도록 돌출부(411)가 형성되고,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20)은 제2 에지 영역에서의 폭이 중앙 영역에서의 폭보다 크도록 돌출부(4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에지 영역과 제2 에지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는 중앙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보다 작아진다.
제1 에지 영역에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410) 뿐만 아니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20)도 중앙 영역에서의 폭보다 크도록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겠으나, 그러면 제1 인터디지털 전극(410)의 돌출부(411)와 인접한 제2 인터디지털 전극(420)의 돌출부 간의 간격이 좁아짐으로 인하여 해당 전극 패턴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에지 영역에서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20) 뿐만 아니라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410)도 중앙 영역에서의 폭보다 크도록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겠으나, 그러면 제2 인터디지털 전극(420)의 돌출부(421)와 인접한 제1 인터디지털 전극(410)의 돌출부 간의 간격이 좁아짐으로 인하여 해당 전극 패턴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에지 영역에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410)은 돌출부(411)가 형성되지만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20)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제2 에지 영역에서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20)은 돌출부(421)가 형성되지만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410)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동일 에지 영역에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410)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20) 모두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경우보다 공정 상의 이점이 있으며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는, 압전 기판(100), 압전 기판(100) 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210, 220), 제1 버스바(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버스바(210)로부터 제2 버스바(220)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510), 제2 버스바(2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버스바(220)로부터 제1 버스바(210)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520)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510)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520)은 교번 배열된다.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520)은 제1 에지 영역에서의 두께가 중앙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521)가 형성되고,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510)은 제2 에지 영역에서의 두께가 중앙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51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에지 영역과 제2 에지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는 중앙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보다 작아진다.
제1 에지 영역에서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520) 뿐만 아니라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510)도 중앙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겠으나, 인접한 전극 각각에 두께가 큰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에지 영역에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510) 뿐만 아니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520)도 중앙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겠으나, 인접한 전극 각각에 두께가 큰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에지 영역에서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520)은 돌출부(521)가 형성되지만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310)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제2 에지 영역에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510)은 돌출부(511)가 형성되지만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520)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동일 에지 영역에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510)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520) 모두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경우보다 공정 상의 이점이 있으며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는, 압전 기판(100), 압전 기판(100) 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210, 220), 제1 버스바(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버스바(210)로부터 제2 버스바(220)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610), 제2 버스바(2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버스바(220)로부터 제1 버스바(210)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620)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610)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620)은 교번 배열된다.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610)은 제1 에지 영역에서의 두께가 중앙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611)가 형성되고,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620)은 제2 에지 영역에서의 두께가 중앙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6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에지 영역과 제2 에지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는 중앙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보다 작아진다.
제1 에지 영역에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610) 뿐만 아니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620)도 중앙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겠으나, 인접한 전극 각각에 두께가 큰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에지 영역에서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620) 뿐만 아니라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610)도 중앙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겠으나, 인접한 전극 각각에 두께가 큰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에지 영역에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610)은 돌출부(611)가 형성되지만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620)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제2 에지 영역에서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620)은 돌출부(621)가 형성되지만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610)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동일 에지 영역에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610)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620) 모두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경우보다 공정 상의 이점이 있으며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는, 압전 기판(100), 압전 기판(100) 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210, 220), 제1 버스바(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버스바(210)로부터 제2 버스바(220)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710), 제2 버스바(2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버스바(220)로부터 제1 버스바(210)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720)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710)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720)은 교번 배열된다.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720)은 제1 에지 영역에서의 폭과 두께가 중앙 영역에서의 폭과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721)가 형성되고,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710)은 제2 에지 영역에서의 폭과 두께가 중앙 영역에서의 폭과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71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에지 영역과 제2 에지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는 중앙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보다 작아진다.
제1 에지 영역에서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720) 뿐만 아니라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710)도 중앙 영역에서의 폭과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겠으나, 그러면 제2 인터디지털 전극(720)의 돌출부(721)와 인접한 제1 인터디지털 전극(710)의 돌출부 간의 간격이 좁아짐으로 인하여 해당 전극 패턴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에지 영역에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710) 뿐만 아니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720)도 중앙 영역에서의 폭과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겠으나, 그러면 제1 인터디지털 전극(710)의 돌출부(711)와 인접한 제2 인터디지털 전극(320)의 돌출부 간의 간격이 좁아짐으로 인하여 해당 전극 패턴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에지 영역에서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720)은 돌출부(721)가 형성되지만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710)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제2 에지 영역에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710)은 돌출부(711)가 형성되지만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720)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동일 에지 영역에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710)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720) 모두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경우보다 공정 상의 이점이 있으며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는, 압전 기판(100), 압전 기판(100) 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210, 220), 제1 버스바(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버스바(210)로부터 제2 버스바(220)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810), 제2 버스바(2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버스바(220)로부터 제1 버스바(210)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820)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810)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820)은 교번 배열된다.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810)은 제1 에지 영역에서의 폭과 두께가 중앙 영역에서의 폭과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811)가 형성되고,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820)은 제2 에지 영역에서의 폭과 두께가 중앙 영역에서의 폭과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8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에지 영역과 제2 에지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는 중앙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보다 작아진다.
제1 에지 영역에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810) 뿐만 아니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820)도 중앙 영역에서의 폭과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겠으나, 그러면 제1 인터디지털 전극(810)의 돌출부(811)와 인접한 제2 인터디지털 전극(820)의 돌출부 간의 간격이 좁아짐으로 인하여 해당 전극 패턴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에지 영역에서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820) 뿐만 아니라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810)도 중앙 영역에서의 폭과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겠으나, 그러면 제2 인터디지털 전극(820)의 돌출부(821)와 인접한 제1 인터디지털 전극(810)의 돌출부 간의 간격이 좁아짐으로 인하여 해당 전극 패턴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에지 영역에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810)은 돌출부(811)가 형성되지만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820)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제2 에지 영역에서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820)은 돌출부(821)가 형성되지만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810)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동일 에지 영역에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810)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820) 모두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경우보다 공정 상의 이점이 있으며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압전 기판;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2 버스바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 및
    상기 제2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1 버스바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과 상기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교번 배열됨-;을 포함하고,
    파동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의 중앙 영역, 상기 중앙 영역과 상기 제1 버스바 사이의 제1 에지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과 상기 제2 버스바 사이의 제2 에지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에지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가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보다 작도록, 상기 제1 에지 영역에서 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에만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에지 영역에서 상기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에만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상기 제1 에지 영역에서의 두께가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상기 제2 에지 영역에서의 두께가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에지 영역에서 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상기 중앙 영역의 두께보다 큰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지만 상기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2 에지 영역에서 상기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상기 중앙 영역의 두께보다 큰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지만 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의 폭보다 큰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폭 및 두께는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의 폭 및 두께보다 큰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5. 압전 기판;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2 버스바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 및
    상기 제2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1 버스바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과 상기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교번 배열됨-;을 포함하고,
    파동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의 중앙 영역, 상기 중앙 영역과 상기 제1 버스바 사이의 제1 에지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과 상기 제2 버스바 사이의 제2 에지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에지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가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보다 작도록, 상기 제1 에지 영역에서 상기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에만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에지 영역에서 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에만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상기 제1 에지 영역에서의 두께가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상기 제2 에지 영역에서의 두께가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크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에지 영역에서 상기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상기 중앙 영역의 두께보다 큰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지만 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2 에지 영역에서 상기 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상기 중앙 영역의 두께보다 큰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지만 상기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의 폭보다 큰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폭 및 두께는 상기 중앙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의 폭 및 두께보다 큰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KR1020160021810A 2016-02-24 2016-02-24 횡모드 억제를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KR102636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810A KR102636251B1 (ko) 2016-02-24 2016-02-24 횡모드 억제를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US15/437,136 US10382008B2 (en) 2016-02-24 2017-02-20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for suppressing transverse mode
CN201710103741.6A CN107124153A (zh) 2016-02-24 2017-02-24 用于抑制横模的表面声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810A KR102636251B1 (ko) 2016-02-24 2016-02-24 횡모드 억제를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567A KR20170099567A (ko) 2017-09-01
KR102636251B1 true KR102636251B1 (ko) 2024-02-14

Family

ID=59631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810A KR102636251B1 (ko) 2016-02-24 2016-02-24 횡모드 억제를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82008B2 (ko)
KR (1) KR102636251B1 (ko)
CN (1) CN1071241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1899B2 (ja) * 2016-06-27 2018-11-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波フィルタ装置
US10873313B2 (en) 2017-09-01 2020-12-22 Skyworks Solutions, Inc. Piston mode lamb wave resonators
CN109004914B (zh) * 2018-07-11 2022-05-03 开元通信技术(厦门)有限公司 一种声表面波器件及其制备方法
DE102019108843A1 (de) * 2019-04-04 2020-10-08 RF360 Europe GmbH Modifizierter SAW-Wandler, SAW-Resonator und SAW-Filter, das diese umfasst
CN111934644B (zh) * 2020-07-31 2021-11-02 见闻录(浙江)半导体有限公司 叉指电极结构及其制造方法和具有该结构的声表面波器件
CN115989635A (zh) * 2020-11-03 2023-04-18 华为技术有限公司 谐振器、滤波器及电子设备
US11929734B2 (en) 2021-01-29 2024-03-12 Rf360 Singapore Pte. Ltd. Surface acoustic wave resonator with piston mode design an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s
CN113452339A (zh) * 2021-05-20 2021-09-28 电子科技大学 一种压电薄膜体声波谐振器
CN113839642A (zh) * 2021-09-17 2021-12-24 杭州左蓝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能够抑制横向模式的声表面波器件及其制作方法
US20230133161A1 (en) * 2021-10-29 2023-05-04 Qorvo Us, Inc. Surface acoustic wave (saw) structures with transverse mode suppress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6808A (ja) * 2011-03-07 2012-09-27 Triquint Semiconductor Inc トリミング効果とピストンモードでの不安定性を最小化する音響波導波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7155B2 (ja) * 2000-09-06 2006-07-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端面反射型表面波装置の周波数調整方法
KR100451080B1 (ko) * 2002-01-23 2004-10-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공진형 표면탄성파 필터
DE10331323B4 (de) * 2003-07-10 2013-09-05 Epcos Ag Mit akustischen Wellen arbeitender Wandler mit Unterdrückung transversaler Moden
KR100631836B1 (ko) * 2004-03-31 2006-10-09 삼성전기주식회사 쏘 공진기의 인터디지털 트랜스듀서
US8294331B2 (en) * 2009-09-22 2012-10-23 Triquint Semiconductor, Inc. Acoustic wave guide device and method for minimizing trimming effects and piston mode instabilities
US7939989B2 (en) * 2009-09-22 2011-05-10 Triquint Semiconductor, Inc. Piston mode acoustic wave device and method providing a high coupling factor
US10284176B1 (en) * 2015-06-03 2019-05-07 Qorvo Us, Inc. Temperature compensated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6808A (ja) * 2011-03-07 2012-09-27 Triquint Semiconductor Inc トリミング効果とピストンモードでの不安定性を最小化する音響波導波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567A (ko) 2017-09-01
US20170244378A1 (en) 2017-08-24
US10382008B2 (en) 2019-08-13
CN107124153A (zh)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6251B1 (ko) 횡모드 억제를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JP6477721B2 (ja) 弾性波装置
US10009009B2 (en) Elastic wave device including electrode fingers with elongated sections
JP6354839B2 (ja) 弾性波フィルタ装置
JP5221616B2 (ja) ピストンモード音響波装置と高結合係数を提供する方法
JP4694609B2 (ja) 弾性波フィルタ
JP2016184951A (ja) 高次横モード波を抑制した弾性波デバイス
US10418970B2 (en) Elastic wave device and ladder filter
JP6284800B2 (ja) 弾性表面波デバイス及びフィルタ
JP4664910B2 (ja) 横方向のモードが抑制される音波により動作する変換器
CN107534428A (zh) 弹性波装置
CN106471737A (zh) 梯子型滤波器
JP5850209B1 (ja) 弾性波装置
KR102431710B1 (ko) 횡모드 억제를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JPWO2018173918A1 (ja) 弾性波装置
JP2016192696A (ja) 弾性波素子,分波器および通信装置
CN108292913B (zh) 弹性波装置
JP5898908B2 (ja) 弾性波フィルタ
JP2010050626A (ja) 弾性表面波フィルタ
JP2011041082A (ja) 一ポート型弾性波共振子及び弾性波フィルタ装置
JP2015095715A (ja) 弾性波フィルタ及び電子部品
JP6571695B2 (ja) 電子音響トランスデューサを備える電子音響部品
JP6387573B2 (ja) 弾性表面波フィルタ
JP2008283336A (ja) 弾性表面波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92723A (ja) 弾性波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