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710B1 - 횡모드 억제를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횡모드 억제를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710B1
KR102431710B1 KR1020170065549A KR20170065549A KR102431710B1 KR 102431710 B1 KR102431710 B1 KR 102431710B1 KR 1020170065549 A KR1020170065549 A KR 1020170065549A KR 20170065549 A KR20170065549 A KR 20170065549A KR 102431710 B1 KR102431710 B1 KR 102431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bar
bus bar
bus
interdigital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9463A (ko
Inventor
유동준
Original Assignee
(주)와이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솔 filed Critical (주)와이솔
Priority to KR1020170065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710B1/ko
Publication of KR20180129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01L41/047
    • H01L41/083
    • H01L41/1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5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having a stacked or multilayer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Landscapes

  •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Circuit Network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는, 압전 기판;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 사이의 상기 제1 버스바 쪽에 상기 제1 버스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절연체 바;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1 버스바 사이의 상기 제2 버스바 쪽에 상기 제2 버스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 절연체 바;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2 버스바 쪽으로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제2 절연체 바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절연체 바 상의 부분 및 상기 제2 절연체 바 상의 부분이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 및 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과 교번 배열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로서, 상기 제2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1 버스바 쪽으로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제1 절연체 바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절연체 바 상의 부분 및 상기 제1 절연체 바 상의 부분이 돌출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횡모드 억제를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SURFACE ACOUSTIC WAVE DEVICE FOR TRANSVERSE MODE SUPPRESSION}
본 발명은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필요한 횡모드를 억제하여 스퓨리어스를 제거하고 통과대역에서 발생하는 리플을 감소시키며 삽입손실을 개선하기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는 IDT(Interdigital Transducer)를 사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음향파 에너지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음향파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예컨대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기판(10)과, 압전 기판(10) 상에 형성되는 서로 대향하는 버스바(21, 22)와, 각 버스바(21, 22)에 연결되어 교번 배열되는 인터디지털 전극들(31, 32)을 포함한다.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에서 문제가 되는 것 중의 하나가 불필요한 횡모드(transverse mode)이다. 이러한 횡모드는 스퓨리어스(spurious)를 발생시키며 통과대역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리플(ripple)을 야기하고, 또한 삽입손실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현상은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특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에서 횡모드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문헌 "Design Modeling and Visualization for Low Transverse Modes R-SPUDT Devices"는 소위 피스톤 모드를 제안하였는데, 이것은 개구부에서는 일정하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모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트랜스듀서의 에지에 파동 속도 감소 영역을 추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구조는 패턴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구현이 어렵고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횡모드를 억제할 수 있는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는, 압전 기판;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 사이의 상기 제1 버스바 쪽에 상기 제1 버스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절연체 바;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1 버스바 사이의 상기 제2 버스바 쪽에 상기 제2 버스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 절연체 바;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2 버스바 쪽으로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제2 절연체 바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절연체 바 상의 부분 및 상기 제2 절연체 바 상의 부분이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 및 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과 교번 배열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로서, 상기 제2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1 버스바 쪽으로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제1 절연체 바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절연체 바 상의 부분 및 상기 제1 절연체 바 상의 부분이 돌출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절연체 바 및 상기 제2 절연체 바는, SiO2, AlN, Si3N4, TiO2, 또는 Al2O3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체 바 및 상기 제2 절연체 바는, AIN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는, 압전 기판;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 사이의 상기 제1 버스바 쪽에 상기 제1 버스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 형성된 제1 절연체 요소들;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 사이의 상기 제2 버스바 쪽에 상기 제2 버스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 형성된 제2 절연체 요소들;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2 버스바 쪽으로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제2 절연체 요소들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절연체 요소들 상의 부분이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 및 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과 교번 배열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로서, 상기 제2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1 버스바 쪽으로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제1 절연체 요소들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절연체 요소들 상의 부분이 돌출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절연체 요소들 및 상기 제2 절연체 요소들은, SiO2, AlN, Si3N4, TiO2, 또는 Al2O3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체 요소들 및 상기 제2 절연체 요소들은, AIN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구조로 횡모드를 억제할 수 있으며, 구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압전 기판 상에 절연체 바 또는 절연체 요소를 형성하는 매우 간단한 공정의 추가만으로 횡모드 억제가 가능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절연체 바 또는 절연체 요소의 두께로 인터디지털 전극의 돌출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원하는 횡모드 억제 특성을 달성하기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기존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가 제작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가 제작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는, 압전 기판(100), 압전 기판(100) 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210, 220), 압전 기판(100) 상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버스바(210, 220) 사이의 제1 버스바(210) 쪽에 제1 버스바(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절연체 바(310), 압전 기판(100) 상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버스바(210, 220) 사이의 제2 버스바(220) 쪽에 제2 버스바(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 절연체 바(320), 제1 버스바(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버스바(210)로부터 제2 버스바(220) 쪽으로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제2 절연체 바(320)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410),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410)과 교번 배열되며, 제2 버스바(2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버스바(220)로부터 제1 버스바(210) 쪽으로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제1 절연체 바(310)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2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절연체 바(310, 320)는 SiO2, AlN, Si3N4, TiO2, 또는 Al2O3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절연체 바(310, 320)로 디벨로핑(developing) 및 에칭(etching)이 가능한 AIN 박막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절연체 바(310, 320)로 인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410)은 제1 절연체 바(310) 상의 부분 및 제2 절연체 바(320) 상의 부분이 돌출된다. 마찬가지로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20)은 제2 절연체 바(320) 상의 부분 및 제1 절연체 바(310) 상의 부분이 돌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파동 진행 방향(제1 및 제2 버스바(210, 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10, 420)의 돌출된 부분에 해당하는 에지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가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10, 420)의 돌출되지 않은 가운데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보다 작아짐으로 인하여 횡모드가 억제된다.
횡모드 억제 특성은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10, 420)의 돌출되는 높이에 매우 민감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10, 420)의 돌출되는 높이는 제1 및 제2 절연체 바(310, 320)에 의해 결정된다. 예컨대 디벨로핑 및 에칭 공정 등으로 제1 및 제2 절연체 바(310, 320)를 형성할 때 그 두께를 원하는 만큼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10, 420)의 돌출되는 높이 역시 미세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는 원하는 횡모드 억제 특성을 달성하기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절연체 바(310, 320)는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410)과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20)에 걸쳐 일체로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410)과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20)의 돌출부는 파동 진행 방향을 따라 정확히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가 제작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기판(100) 상에 절연체 필름(300)을 적층한다.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버스바 영역(210A, 220A) 사이의 제1 버스바 영역(210A) 쪽에 제1 절연체 바(310)와 제1 및 제2 버스바 영역(210A, 220A) 사이의 제2 버스바 영역(220A) 쪽에 제2 절연체 바(320)를 남겨두고 나머지 영역의 절연체 필름(300)을 예컨대 에칭 공정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제1 절연체 바(310)와 제2 절연체 바(32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연체 바(310)와 제2 절연체 바(320)가 형성된 압전 기판(100) 상에, 제1 및 제2 버스바(210, 220)와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10, 420)의 패턴을 예컨대 리프트오프 공정을 통해 형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는, 압전 기판(100), 압전 기판(100) 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210, 220), 압전 기판(100) 상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버스바(210, 220) 사이의 제1 버스바(210) 쪽에 제1 버스바(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 형성된 제1 절연체 요소들(330), 압전 기판(100) 상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버스바(210, 220) 사이의 제2 버스바(220) 쪽에 제2 버스바(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 형성된 제2 절연체 요소들(340), 제1 버스바(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버스바(210)로부터 제2 버스바(220) 쪽으로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제2 절연체 요소들(340)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430),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430)과 교번 배열되며, 제2 버스바(2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버스바(220)로부터 제1 버스바(210) 쪽으로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제1 절연체 요소들(330)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4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절연체 요소들(330, 340)은 SiO2, AlN, Si3N4, TiO2, 또는 Al2O3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절연체 요소들(330, 340)로 디벨로핑(developing) 및 에칭(etching)이 가능한 AIN 박막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절연체 요소들(330, 340)로 인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430)은 제2 절연체 요소들(340) 상의 부분이 돌출된다. 마찬가지로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40)은 제1 절연체 요소들(330) 상의 부분이 돌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파동 진행 방향(제1 및 제2 버스바(210, 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30, 440)의 돌출된 부분에 해당하는 에지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가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30, 440)의 돌출되지 않은 가운데 영역에서의 파동 속도보다 작아짐으로 인하여 횡모드가 억제된다.
횡모드 억제 특성은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30, 440)의 돌출되는 높이에 매우 민감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30, 440)의 돌출되는 높이는 제1 및 제2 절연체 요소들(330, 340)에 의해 결정된다. 예컨대 디벨로핑 및 에칭 공정 등으로 제1 및 제2 절연체 요소들(330, 340)을 형성할 때 그 두께를 원하는 만큼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30, 440)의 돌출되는 높이 역시 미세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의 구조는 원하는 횡모드 억제 특성을 달성하기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가 제작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압전 기판(100) 상에 절연체 필름(300)을 적층하는 것은 도 3a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버스바 영역(210A, 220A) 사이의 제1 버스바 영역(210A) 쪽 제2 인터디지털 전극 영역(440A) 끝단에 제1 절연체 요소들(330)과, 제1 및 제2 버스바 영역(210A, 220A) 사이의 제2 버스바 영역(220A) 쪽 제1 인터디지털 전극 영역(430A) 끝단에 제2 절연체 요소들(340)을 남겨두고 나머지 영역의 절연체 필름(300)을 예컨대 에칭 공정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제1 절연체 요소들(330)과 제2 절연체 요소들(34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연체 요소들(330)과 제2 절연체 요소들(340)이 형성된 압전 기판(100) 상에, 제1 및 제2 버스바(210, 220)와 제1 및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430, 440)의 패턴을 예컨대 리프트오프 공정을 통해 형성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압전 기판;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 사이의 상기 제1 버스바 쪽에 상기 제1 버스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1 절연체 바;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1 버스바 사이의 상기 제2 버스바 쪽에 상기 제2 버스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2 절연체 바;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2 버스바 쪽으로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제2 절연체 바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 및
    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과 교번 배열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로서, 상기 제2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1 버스바 쪽으로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제1 절연체 바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상기 제1 절연체 바 위에 형성된 부분과 상기 제2 절연체 바 위에 형성된 부분이 각각 상기 제1 절연체 바 및 상기 제2 절연체 바의 두께만큼 높이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은 상기 제1 절연체 바 위에 형성된 부분과 상기 제2 절연체 바 위에 형성된 부분이 각각 상기 제1 절연체 바 및 상기 제2 절연체 바의 두께만큼 높이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 바 및 상기 제2 절연체 바는, SiO2, AlN, Si3N4, TiO2, 또는 Al2O3로 형성되는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 바 및 상기 제2 절연체 바는, AIN 박막으로 형성되는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4. 압전 기판;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 사이의 상기 제1 버스바 쪽에 상기 제1 버스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 형성된 제1 절연체 요소들;
    상기 압전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 사이의 상기 제2 버스바 쪽에 상기 제2 버스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 형성된 제2 절연체 요소들;
    상기 제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2 버스바 쪽으로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제2 절연체 요소들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 및
    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과 교번 배열되는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로서, 상기 제2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버스바로부터 상기 제1 버스바 쪽으로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제1 절연체 요소들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터디지털 전극들의 끝단은 각각 상기 제2 절연체 요소들 위에 형성된 부분이 상기 제2 절연체 요소들의 두께만큼 높이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인터디지털 전극들의 끝단은 각각 상기 제1 절연체 요소들 위에 형성된 부분이 상기 제1 절연체 요소들의 두께만큼 높이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 요소들 및 상기 제2 절연체 요소들은, SiO2, AlN, Si3N4, TiO2, 또는 Al2O3로 형성되는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 요소들 및 상기 제2 절연체 요소들은, AIN 박막으로 형성되는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KR1020170065549A 2017-05-26 2017-05-26 횡모드 억제를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KR102431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549A KR102431710B1 (ko) 2017-05-26 2017-05-26 횡모드 억제를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549A KR102431710B1 (ko) 2017-05-26 2017-05-26 횡모드 억제를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463A KR20180129463A (ko) 2018-12-05
KR102431710B1 true KR102431710B1 (ko) 2022-08-11

Family

ID=6474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549A KR102431710B1 (ko) 2017-05-26 2017-05-26 횡모드 억제를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7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9471B (zh) * 2021-07-12 2023-11-17 无锡市好达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低损耗的声表面波装置
KR102387587B1 (ko) 2021-09-23 2022-04-19 (주)삼진콘크리트 맹인 인도 겸용 태양광 칼라 라인 블록 및 맹인 인도 겸용 태양광 칼라 라인 블록 기반의 맹인 인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6808A (ja) * 2011-03-07 2012-09-27 Triquint Semiconductor Inc トリミング効果とピストンモードでの不安定性を最小化する音響波導波装置および方法
KR101546248B1 (ko) * 2013-06-10 2015-08-20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공진기, 필터 및 분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6808A (ja) * 2011-03-07 2012-09-27 Triquint Semiconductor Inc トリミング効果とピストンモードでの不安定性を最小化する音響波導波装置および方法
KR101546248B1 (ko) * 2013-06-10 2015-08-20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공진기, 필터 및 분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463A (ko)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7721B2 (ja) 弾性波装置
US10382008B2 (en)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for suppressing transverse mode
CN109698681B (zh) 弹性波装置
JP6107947B2 (ja) 弾性波フィルタ装置
KR102472455B1 (ko) 탄성파 장치
KR101922825B1 (ko) 탄성파 장치
KR102584698B1 (ko) 탄성파 장치 및 래더형 필터
JP6284800B2 (ja) 弾性表面波デバイス及びフィルタ
KR102441867B1 (ko) 탄성파 장치
KR102431710B1 (ko) 횡모드 억제를 위한 표면 탄성파 디바이스
KR20190077551A (ko) 탄성파 장치
JP5850209B1 (ja) 弾性波装置
CN108292913B (zh) 弹性波装置
JP5176863B2 (ja) 弾性波装置
US10148247B2 (en) Elastic wave device
JP2011139233A (ja) 音叉型屈曲水晶振動素子
KR102107393B1 (ko) 탄성파 장치
JP2011041082A (ja) 一ポート型弾性波共振子及び弾性波フィルタ装置
WO2017199485A1 (ja) 弾性波装置
WO2016039026A1 (ja) 弾性表面波装置
KR102559183B1 (ko) 표면 탄성파 소자
JP5625787B2 (ja) 弾性波素子及びラダー型フィルタ
JP5131104B2 (ja) 弾性波装置
JP2017011559A (ja) 弾性波装置
JP2006352764A (ja) 弾性表面波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