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531B1 -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531B1
KR102635531B1 KR1020230067806A KR20230067806A KR102635531B1 KR 102635531 B1 KR102635531 B1 KR 102635531B1 KR 1020230067806 A KR1020230067806 A KR 1020230067806A KR 20230067806 A KR20230067806 A KR 20230067806A KR 102635531 B1 KR102635531 B1 KR 102635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emperature
water tank
cover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7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철
Original Assignee
김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철 filed Critical 김남철
Priority to KR1020230067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F16B39/2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with spring washers fastened to the nut or bolt-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1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control
    • F24H15/174Supplying heated water with desired temperature or desired range of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12Temperature of the water
    • F24H15/223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46Water level
    • F24H15/248Water level of water storag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3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output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to be controlled
    • F24H15/355Control of heat-generating means in heaters
    • F24H15/37Control of heat-generating means in heaters of electric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4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 F24H15/414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using electronic processing, e.g. computer-ba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1Storage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의 물 부족으로 인한 물 보충이 수조의 물 온도에 따라 스텝 바이 스텝 방식으로 이루어져서 고온수를 연속으로 추출이 가능한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비하는 수조; 상기 수조를 덮는 커버; 상기 커버에 결합되면,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의 발열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물의 온도와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수조로의 물의 유입을 제어하여, 상기 수조의 물이 기준온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Hot water dispenser}
본 발명은 온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의 물 부족으로 인한 물 보충이 수조의 물 온도에 따라 스텝 바이 스텝 방식으로 이루어져서 고온수를 연속으로 추출이 가능한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게소, 식당, 편의점 등에는 방문객에게 고온의 물을 제공하는 온수 공급장치가 구비된다.
온수 공급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10-1977021 "온수공급장치 및 온수공급방법", 공개특허 10-2023-0021681 "온수기", 공개특허 10-2021-0135903 "전기온수기" 등 다양하게 개시되었다.
종래기술에 따른 온수 공급장치는 수조 내 물이 설정된 고수위 이하이면 수조로 물을 보충하고, 수조 내 물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하이면 물을 가열하고 설정온도에 이르면 가열을 중단하는 방식이다.
다시 말해, 종래기술은 수조의 물 보충과, 수조 내 물의 가열이 별개로 행해진다. 그래서 수조 내 온수의 추출이 연속적으로 발생되어서 수조 내 물의 가열이 물 보충을 커버하지 못하는 경우, 보충되는 냉수에 의해 수조 내의 물은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온수 공급장치는 수조 내의 물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가 되면 물의 추출이 중단되도록 하거나, 물의 온도와 상관 없이 물은 추출이 되도록 설정된다. 전자의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에 수조 내 물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될 때까지 기다려야하는 불편이 있고, 후자의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추출되는 물의 온도가 너무 낮아 낭패를 보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컵라면에 사용할 물을 추출한 경우에 낭패가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온수 공급장치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수조로의 물 보충을 수조 내 물의 온도와 연계하여 스텝바이스텝 방식으로 하여서 수조의 수위가 저수위에 이르기 전에는 고온의 물을 연속으로 추출할 수 있는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히터, 수위센서 및 온도센서가 수조의 커버에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체결되어서 소음의 발생과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는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비하는 수조;
상기 수조를 덮는 커버;
상기 커버에 결합되면,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의 발열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물의 온도와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수조로의 물의 유입을 제어하여, 상기 수조의 물이 기준온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물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하이면 상기 히터를 발열시켜 설정온도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물의 수위가 고수위 이하면 상기 수조로 물을 보충하되, 물의 보충으로 인해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느 물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하가 되면 물의 보충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히터, 수위센서 및 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너트가 스크류결합되어서 상기 커버에 조임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결합부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갖되, 상기 암나사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공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너트바디와,
상기 너트바디의 암나사부와 연장되는 암나사부를 갖되, 상기 너트바디의 외측면에서 상기 결합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선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인출홈을 구비한 고정몸체와,
상기 결합부의 나사산 보다 큰 내경의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너트바디의 내측면에서 상기 인출홈에 끼워져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눌림몸체와,
상기 인출홈에 내장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커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는 수조로의 물 보충을 수조 내 물의 온도와 연계하여 스텝바이스텝 방식으로 함으로써 수조 내 물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음으로써 고온수를 연속하여 추출할 수 있고, 히터와 수위센서와 온도센서는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너트를 통해 수조의 커버에 견고하게 체결됨으로써 소음의 발생과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의 물 보충과 물 가열의 방식을 설명하는 절차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너트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과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는 수조(10), 커버(20), 히터(30), 수위센서(40A, 40B, 40C), 온도센서(50), 솔레노이드밸브(60), 출수펌프(70), 컨트롤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1a는 커버(20)가 덮혀있는 수조(10)를 도시한 도면 대용 사진, 도1b는 커버(20)에 결합되어 있는 히터(30), 수위센서(40A, 40B, 40C) 및 온도센서(50)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 도1c는 컨트롤러(80)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다른 온수 공급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조(10)는 내부에 물이 담기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통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10)에는 냉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온수가 유출되는 유출구(13)가 구비된다. 상기 유출구(13)는 수조(10)의 하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11)는 상기 유출구(13)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에는 냉수를 공급하는 급수관로(1)가 연결되고, 상기 유출구(13)에는 온수가 배출되는 배수관로(5)가 연결된다.
상기 급수관로(1)의 전방에 공급되는 냉수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암밸브(2)가 구비되고, 상기 감압밸브(2)의 후방에서 급수관로(1)는 분기되어 하나는 상기 수조(10)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냉수기나 냉수배출밸브로 연결된다. 분기된 두 급수관로(1)에는 유로를 개폐하여 냉수가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밸브(60, 60A)와 냉수의 흐름여부와 그 유량을 계측하는 플로우센서(3, 3A)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로(5)에는 수조(10)의 온수를 펌핑하여 배출시키는 출수펌프(70)가 연결된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수조(10)의 상부 개구부를 덮고, 상기 히터(30), 수위센서(40A, 40B, 40C) 및 온도센서(50)가 결합된다.
상기 히터(30)는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하여 상기 수조(10)에 담긴 물을 가열시킨다. 상기 히터(30)는 가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코일형태로 감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40A, 40B, 40C)는 상기 수조(10)에 담긴 물의 높이, 즉, 수위를 감지한다.
상기 수위센서(40A, 40B, 40C)에는 저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센서(40A), 고수위를 감지하는 고수위센서(40B)를 사용하고, 수조(10)에 물이 가득차 넘칠 위험을 감지하는 만수위센서(40C)를 더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50)는 상기 수조(10)에 담긴 물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온도센서(50)는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금속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히터(30), 수위센서(40A, 40B, 40C) 및 온도센서(50)는 상기 커버(20)에 너트(N)로 조여져 고정결합된다. 너트(N)의 체결을 위해 상기 히터(30), 수위센서(40A, 40B, 40C) 및 온도센서(50)에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31, 41, 51)이 형성된다.
너트(N)는 상기 결합부(31, 41, 51)의 양측에 체결되어서 양측의 두 너트를 그 사이에 개재된 커버(20)를 조여 고정결합시킬 수 있고, 결합부(31, 41, 51)의 일측에 일체화된 단턱부를 형성하고 너트(N)가 결합부에 타측에 체결되어서 단턱부와 너트(N)가 그 사이에 개재된 커버(20)를 조여 고정결합시킬 수도 있다.
너트(N)는 사용 중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결합부(31, 41, 51)에서 서서히 풀릴 수 있고, 너트(N)가 풀리면 흔들려 소음이 발생되고 수위센서(40A, 40B, 40C) 및 온도센서(50)는 오작동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너트(N)를 사용하여 결합부(31, 41, 51)가 풀리지 않도록 한다.
도4를 참조하면, 너트(N)는 다음과 같은 풀림방지구조를 갖는다.
상기 결합부(31, 41, 51)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갖되, 상기 암나사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공(N11)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너트바디(N1),
상기 너트바디(N1)의 암나사부와 연장되는 암나사부를 갖되, 상기 너트바디(N1)의 외측면에서 상기 결합공(N11)에 끼워져 고정되는 기둥부(N21)와, 상기 기둥부(N21)의 선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인출홈(N22)을 구비한 고정몸체(N2),
상기 결합부(31, 41, 51)의 나사산 보다 큰 내경의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너트바디(N1)의 내측면에서 상기 인출홈(N22)에 끼워져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N31)를 구비한 눌림몸체(N3),
상기 인출홈(N22)에 내장되어 상기 가이드부(N31)를 커버(2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N4)을 포함한다.
이러한 너트(N)는 상기 결합부(31, 41, 51)의 나사산에 조여질 때, 상기 눌림몸체(N3)가 상기 커버(20)에 지지되어 눌리면서 상기 압축스프링(N4)이 압축되고, 이렇게 발생하는 탄성력이 상기 고정몸체(N2)에 작용하여, 일종의 풀림 방지 와셔의 기능을 하면서 너트(N)의 풀림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너트바디(N1)는 육각면을 갖는 것으로, 복수개의 결합공(N11)이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몸체(N2)는 너트바디(N1)에 대응하는 육각면을 가지며, 결합공(N11)에 끼워지는 기둥부(N21)가 돌출되어 있고, 이때 기둥부(N21)의 선단부가 리벳(N23)으로 가공되어 고정몸체(N2)가 너트바디(N1)에 고정된다.
이러한 너트바디(N1)와 고정몸체(N2)는 연속된 암나사부를 갖도록 가공되어, 스패너를 통해 결합부(31, 41, 51)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눌림몸체(N3)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결합부(31, 41, 51)에 나사 결합되지 않고 그대로 끼워지며, 가이드부(N31)가 인출홈(N22)에 끼워져 너트바디(N1)에 대하여 눌림몸체(N3)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압축스프링(N4)은 압축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눌림몸체(N3)를 너트바디(N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너트(N)를 결합부(31, 41, 51)의 나사산에 체결하면, 너트(N) 전체가 나사산를 따라 조여지다가 눌림몸체(N3)가 커버(20)에 접촉된다.
그리고 너트(N)를 계속 조이면, 눌림몸체(N3)는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너트바디(N1)와 고정몸체(N2)만이 함께 조여진다.
이렇게 너트바디(N1)와 고정몸체(N2)만이 조여지면, 눌림몸체(N3)와의 거리가 줄어듦에 따라 압축스프링(N4)이 압축되어 탄성력이 강해진다.
이렇게 발생한 압축스프링(N4)의 탄성력은 고정몸체(N2)에 대하여 눌림몸체(N3)를 커버(20)에 밀착하게 가압함과 동시에 눌림몸체(N3)에 대하여 너트바디(N1)와 고정몸체(N2)를 커버(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너트바디(N1)와 고정몸체(N2)의 암나사부는 나사산의 길이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진동에 의해서 풀리지 않게 된다. 즉, 고정몸체(N2)와 눌림몸체(N3)의 연결 구조가 공지된 풀림 방지용 이중 와셔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되며,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압축스프링(N4)으로 그 탄성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진동 등에 의한 풀림 방지 기능이 더욱 높아진다.
상기 너트바디(N1)와 고정몸체(N2)는 일체를 이룰 수도 있는데, 이들(N1, N2)를 별도로 구비하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즉, 탄성력을 높이기 위해 압축스프링(N4) 다수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그리하면 고정몸체(N2)에 인출홈(N22)이 많이 형성되면서 고정몸체(N2)가 약해질 수 있다. 그래서 고정몸체(N2)의 인출홈(N22)이 형성된 기둥부(N21)의 내외부를 너트바디(N1)가 감싸 강도를 보강한다.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수위센서(40A, 40B, 40C)가 감지하는 수조(10) 내의 수위와, 상기 온도센서(50)가 감지하는 수조(10) 내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0)와 히터(30)의 구동을 제어하여, 수조(10)의 물이 고수위로 채워지고, 수조(10)의 물이 기준온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러(80)는 수조(10) 물의 수위와 온도에 따라 수조(10) 내 물(냉수)의 보충을 스텝 바이 스텝 방식으로 하여, 수조(10) 내 온수가 연속적으로 추출되더라도 수조(10) 내 물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3을 참조하여, 수조(10) 내의 물 온도에 따라 스텝 바이 스텝 방식으로 수조(10)의 물을 보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전원이 온되면 수조(10)의 현재수위가 저수위 보다 많은지 판단한다(S10).
(S10)의 판단결과 현재수위가 저수위 보다 낮으면, 수조(10)에 물을 보충한다(S60).
(S10)의 판단결과 현재수위가 저수위 보다 높으면, 다시 현재수위가 고수위 보다 높은지 판단하여(S70), 고수위 보다 낮으면 물을 보충하고(S90), 고수위 보다 높으면 물을 보충하지 않는다(S80).
(S10)의 판단결과 현재수위가 저수위 보다 높으면, 수조(10) 내 물의 현재온도가 기준온도 보다 높은지 판단한다(S20).
(S20)의 판단결과 현재온도가 기준온도 보다 낮으면, 물 보충을 중단하고(S80), 히터(30)를 발열하여(S30) 수조(10)의 물을 가열한다(S30). 즉, 전원이 공급되는 초기 동작시에 수조(10)에는 냉수가 보충되어 저수위에 이르면 물 보충은 중단되고 히터(30)가 수조(10)의 물을 가열한다.
(S20)의 판단결과 현재온도가 기준온도 보다 높으면, 현재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높은지 판단하여(S40), 설정온도 보다 높으면서 현재수위가 고수위 보다 높으면 히터(30)의 발열을 중단하고(S50), 설정온도 보다 낮으면 히터(30)는 계속 발열한다(S30).
(S40)의 판단결과 현재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높으면, 수조(10) 내의 현재수위가 고수위 보다 낮은지 판단하여(S70), 고수위 보다 낮으면 수조(10)에 물을 보충한다(S90).
상기 컨트롤러(80)는 위와 같이 작동되도록 상기 온도센서(50)와 수위센서(40A, 40B, 40C)로부터 온도와 수위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히터(30)와 솔레노이드밸브(60)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80)는 위와 같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히터(30)가 작동되는 동안에 화면이나 LED를 이용해 '가열(히팅)' 표시를 하고, 솔레노이드밸브(60)가 개방된 상태에서 화면이나 LED를 이용해 '물 보충' 표시를 하고, 온도센서(50)가 감지하는 수조(10) 내 물의 온도를 표시한다.
수조(10)에 물이 없는 상태이고, 설정온도가 90도로 설정되고, 기준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1도 낮은 89도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고, 수조(10)의 물을 스텝바이스텝 방식으로 보충하면서 가열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전원이 공급되어 온수 공급장치가 안정화되면 온도센서(50)와 수위센서(40A, 40B, 40C)가 온도와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80)로 전송한다. 이때는 온도는 기준온도 보다 낮고, 수위를 저수위 보다 낮다.
컨트롤러(80)는 솔레노이드밸브(60)를 개방하여 냉수가 수조(10)에 공급되도록 하고, 화면이나 LED를 통해 '물 보충' 표시를 한다.
수조(10)에 물이 보충되어 저수위에 도달하면, 컨트롤러(80)는 솔레노이드밸브(60)를 폐쇄하여 물 보충을 중단시키고, 히터(30)에 전원을 공급하여 수조(10)의 물을 가열시킨다.
가열로 물의 온도가 설정온도인 90도에 이르면 솔레노이드밸브(60)를 개방하여 냉수를 수조(10)에 보충하고, 냉수의 보충으로 수조(10)의 물기 기준온도인 89도로 낮아지면 솔레노이드밸브(60)를 폐쇄하여 물 보충을 중단시킨다.
이처럼 물을 보충한 후에 수조(10)의 물이 설정온도인 90도에 이르면 다시 수조(10)에 물을 보충하고, 물의 보충으로 수조(10)의 물이 기준온도인 89도로 낮아지면 물의 보충을 중단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반복하면서 수조(10)의 물이 고수위에 이르고 물으 온도가 설정온도에 이르면 히터(30)는 발열을 중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조 20 : 커버
30 : 히터 40A : 저수위센서
40B : 고수위센서 40C : 만수위센서
50 : 온도센서 60 : 솔레노이드밸브
70 : 출수펌프 80 : 컨트롤러

Claims (4)

  1.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비하는 수조;
    상기 수조를 덮는 커버;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의 발열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물의 온도와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수조로의 물의 유입을 제어하여, 상기 수조의 물이 기준온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터, 수위센서 및 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너트가 스크류결합되어서 상기 커버에 조임고정되고,

    상기 너트는
    상기 결합부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갖되, 상기 암나사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공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너트바디와,
    상기 너트바디의 암나사부와 연장되는 암나사부를 갖되, 상기 너트바디의 외측면에서 상기 결합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선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인출홈을 구비한 고정몸체와,
    상기 결합부의 나사산 보다 큰 내경의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너트바디의 내측면에서 상기 인출홈에 끼워져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눌림몸체와,
    상기 인출홈에 내장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커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물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하이면 상기 히터를 발열시켜 설정온도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물의 수위가 고수위 이하면 상기 수조로 물을 보충시키되, 물의 보충으로 인해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물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하가 되면 물의 보충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30067806A 2023-05-25 2023-05-25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 KR102635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806A KR102635531B1 (ko) 2023-05-25 2023-05-25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806A KR102635531B1 (ko) 2023-05-25 2023-05-25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531B1 true KR102635531B1 (ko) 2024-02-13

Family

ID=89899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7806A KR102635531B1 (ko) 2023-05-25 2023-05-25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5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8671U (ko) * 1986-05-13 1987-12-24 김정대 온수 보온통용 히이터
JP3054422U (ja) * 1998-05-27 1998-12-04 株式会社日本イトミック 貯湯式電気湯沸器
KR200344660Y1 (ko) * 2003-12-15 2004-03-12 동양매직 주식회사 온수 공급 장치
KR20130001239U (ko) * 2011-08-16 2013-02-26 이수현 스프링 와셔 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8671U (ko) * 1986-05-13 1987-12-24 김정대 온수 보온통용 히이터
JP3054422U (ja) * 1998-05-27 1998-12-04 株式会社日本イトミック 貯湯式電気湯沸器
KR200344660Y1 (ko) * 2003-12-15 2004-03-12 동양매직 주식회사 온수 공급 장치
KR20130001239U (ko) * 2011-08-16 2013-02-26 이수현 스프링 와셔 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1418B1 (en) Water flow control device
US7360328B2 (en) Steam generating device and iron using the steam generating device
US7871057B2 (en) Sensor actuated faucet
US4798224A (en) Automatic hot water recovery apparatus
KR102635531B1 (ko)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
WO2012001683A2 (en) System for saving the initial water consumption while taking a shower
US20110214767A1 (en) Water delivery system and valve for a sink
US3384101A (en) Safety valve
US8327873B2 (en) Temperature back flow control valve
JP3331391B2 (ja) 液体圧送装置
KR100698229B1 (ko) 압력 변화를 이용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
US2415875A (en) Flushing tank inlet valve
KR102309684B1 (ko) 진공 스팀 순환기 및 그 순환기가 결합된 보일러
KR200442500Y1 (ko) 전기 스팀보일러
CN111911691A (zh) 压力感应电动阀装置及控制方法
JP2013170709A (ja) ドレン回収システム
JP5103495B2 (ja) 加熱システム
KR102595441B1 (ko) 식기 세척장치
AU2020379962B2 (en) Hot water supply device
CN212537115U (zh) 一种简易调节供油压力的结构
JP3043037U (ja) 定量吐水機能つきのセンサー式自動水栓
JP3784482B2 (ja) チェッキ弁
CA3155778C (en) Hot water supply device
US4998558A (en) Solar water heating system
KR890009186Y1 (ko) 유량 자동 조절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