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229B1 - 압력 변화를 이용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압력 변화를 이용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229B1
KR100698229B1 KR1020050009531A KR20050009531A KR100698229B1 KR 100698229 B1 KR100698229 B1 KR 100698229B1 KR 1020050009531 A KR1020050009531 A KR 1020050009531A KR 20050009531 A KR20050009531 A KR 20050009531A KR 100698229 B1 KR100698229 B1 KR 100698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outlet
control space
low pressur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8621A (ko
Inventor
고두석
Original Assignee
(주) 두두에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두두에너텍 filed Critical (주) 두두에너텍
Priority to KR1020050009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229B1/ko
Publication of KR20060088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16K31/126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one side of the diaphragm being spring 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16K31/126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one side of the diaphragm being acted upon by the circulat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 변화를 이용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자동제어 시스템은 자동변환밸브와 고압감압밸브를 구비한 고압회로부와 저압감압밸브를 구비한 저압회로부가 유체의 사용량에 따른 유출구 측의 압력 변화에 따라 메인밸브의 개폐공을 능동적으로 개폐하여 유체의 공급량을 기계적이면서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전기적 기구적 제어수단이 불필요하게 되고, 전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안전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으며, 고장률이 낮아질 수 있으며, 제작단가가 저렴하게 되는 다양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유체, 자동제어, 시스템

Description

압력 변화를 이용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A SYSTEM FOR FLUID SUPPLY QUANTITY AUTOMATIC CONTROLLING USING PRESSURE CHANGE OF SUPPLIEDFLUI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의 저압회로부를 구성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의 고압회로부를 구성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밸브 110 : 개폐공
120 : 유입구 130 : 유출구
140 : 조절공간 150 : 유출공간
160 : 다이어프램 조립체 162 : 다이어프램
200 : 보조유로 220 : 오리피스
300 : 저압회로부 310 : 저압유로
320 : 저압감압밸브 400 : 고압회로부
410 : 고압회로 420 : 자동변환밸브
430 : 고압감압밸브
본 발명은 압력 변화를 이용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적으로 제어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유체의 공급량을 유체의 압력에 따라 자동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국가는 경제발전 속도와 함께 늘어나는 물소비로 인해 물부족 현상을 겪고 있고, 물소비를 충족시키기 위해 수자원을 개발하여 물 공급을 늘리는 정책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발위주의 물 공급정책은 수자원의 유한성과 환경 파괴 등의 문제로 인해 한계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소비는 지역과 시간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물소비의 경향에 따라 용수 공급량(공급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수자원을 절약하는 방법이 수자원 관리 정책의 새로운 주제로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간(특히 아침,점심,저녁)과 같이 물 사용량이 많은 시간대에는 용수 공급 시스템에서 고압으로 용수를 공급함으로써 물수요를 충족시켜야 하지만, 반대로 야간(취침시간)과 같이 물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에는 용수 공급 시스템에서 공급되는 용수압을 감압시킬 필요가 있다.
만약, 물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임에도 불구하고 용수 공급 시스템에서 고압 으로 용수를 공급하게 되면, 공급과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해 결국 용수 공급 배관이나 각종 밸브 등에서 누수되는 물의 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예를 들면, 가정에서 사용되는 보일러의 경우 2-4 kg/㎠의 압력을 견디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용수의 압력은 이를 훨씬 초과하는 상황이고, 이러한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보일러의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즉, 용수 공급 시스템과 그 배관 계통 또는 보일러 등에 고압이 걸리게 되므로 시스템이나 부품에 대한 부하를 증가시켜 손상이나 파손의 위험성을 증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용수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는 파일럿식 감압밸브가 용수 공급 시스템에 적용되었다. 이러한 파일럿식 감압밸브는 그 자체에 구비된 압력 조절 나사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수압을 조절하게 되는데, 밸브의 유출구 측에서의 물 사용량에 관계없이 항상 설정된 일정한 압력으로만 감압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파일럿식 감압밸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 사용량이 변화하는 시간대에 따라 작업자가 일일이 압력 조절 나사를 조절하여 감압 정도를 제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적절한 압력으로 설정을 한다고 하더라도 일단 압력 설정이 이루어지면 수동으로 재조절하기 전에는 유출구 측의 물 사용량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수압으로 용수를 공급하기 때문에 물 사용량이 갑자기 적어질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배관 시스템의 압력이 상승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손상이나 파손의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상기와는 다른 대안으로서, 용수 공급 시스템에 용량이 큰 감압밸브와 용량이 적은 감압밸브를 나란하게 병렬로 설치하고 이들 감압밸브의 설정 압력을 달리하여 주간에는 대용량의 감압밸브를 사용하고 야간에는 소용량의 감압밸브를 사용함으로써 수압을 조절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나, 이 구조의 용수 시스템의 경우에 일정한 시간에 대용량의 감압밸브와 소용량의 감압밸브를 교대로 변환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용수의 시간대별 사용량을 데이터화하여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한 후 마이컴이 각 대용량 감압밸브와 소용량 감압밸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자동적(전자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전술한 각각의 문제점이 다소 해소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 제어구조를 갖는 용수 공급 시스템은 제어부가 습기에 노출되어 오동작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사용자가 이미 입력된 데이터와 같이 일정한 시간대에 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작동상의 발생되는 오류를 치유하기 곤란하였다.
즉, 용수 공급 시스템의 특성상 땅속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제어부가 그 공간으로 유입되는 빗물, 습기, 누수 등에 의해 항상 노출되어 누전 및 오동작의 위험을 내재하고 있었다. 또한, 마이컴이 이미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용수의 공급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하고 있었기 때문에 물 사용량의 갑작스런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곤란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유체의 사용량에 따른 유출구 측의 압력 변화에 따라 메인밸브의 개폐공을 능동적(자동적)으로 개폐하여 유체 공급량을 자동 제어할 수 있으면서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기계적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가 공급되는 주 배관과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및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통하는 개폐공을 구비한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를 조절공간과 유출공간으로 구분하고 조절공간의 압력이 유출공간에 비하여 낮을 경우 상승하여 시트가 개폐공을 개방하고 조절공간의 압력이 유출공간에 비하여 높을 경우 하강하여 시트가 개폐공을 폐쇄하도록 작동되는 다이어프램 조립체를 구비하여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개폐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 메인밸브와, 상기 유입구와 조절공간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보조유로와, 상기 조절공간 내의 압력이 낮아질 때 작동되는 고압회로부 및 유출구 측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작동되는 저압회로부를 구비하여 유체의 사용량에 따른 유출구 측의 압력 변화에 따라 유체 공급량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조유로에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오리피스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저압회로부는,
상기 오리피스와 조절공간 사이의 보조유로와 유출구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도고 압력계가 설치된 저압유로와, 상기 저압유로에 설치되어 유출구 측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조절공간의 압력이 낮아지도록 개방되어 다이어프램 조립체가 압력이 낮아진 조절공간 측으로 상승하면서 개폐공을 개방하도록 하는 저압감압밸브를 구비하되, 상기 저압감압밸브는 저압유로와 직렬로 연결되고 조절공간 측을 향하는 저압유입구와 유출구 측을 향하는 저압유출구를 구비하고, 저압유입구와 저압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를 구비하며, 내부가 상기 저압유출구과 저압조절공간으로 구분되고 저압작용공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저압밸브 몸체; 및 상기 저압유출구 측의 압력이 일정한 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하강하여 저압시트가 유로를 개방하도록 작동되는 저압용 다이어프램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압회로부는,
상기 조절공간과 유출구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고 압력계가 설치된 고압유로와, 상기 고압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저압회로부의 활성화로 조절공간 내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개방되는 자동변환밸브와, 상기 자동변환밸브가 개방될 때 조절공간의 압력이 더욱 낮아지도록 개방되어 다이어프램 조립체가 압력이 더 낮아진 조절공간 측으로 상승하면서 개폐공을 더욱 개방하여 유체 공급량이 증가되도록 하는 고압감압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고압감압밸브는,
상기 고압유로와 직렬로 연결되고 조절공간 측을 향하는 고압유입구와 유출구 측을 향하는 고압유출구를 구비하고 고압유입구와 고압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를 구비하, 내부가 상기 고압유출구과 고압조절공간으로 구분되고 고압작용공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고압밸브 몸체, 및 상기 고압유출구 측의 압력이 일정한 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하강하여 고압시트가 유로를 개방하도록 작동되는 고압용 다이어프램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자동변환밸브는,
상기 고압유로와 직렬로 연결되고 조절공간 측을 향하는 변환유입구와 고압감압밸브 측을 향하는 변환유출구를 구비하고 변환유입구와 변환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를 구비하며 내부가 상기 변환유입구과 변환조절공간으로 구분되고 변환작용공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변환밸브 몸체, 및 상기 변환유입구 측의 압력이 일정한 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하강하여 변환시트가 유로를 개방하도록 작동되는 변환용 다이어프램 조립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화를 이용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시스템은 사용자가 유체(물)을 사용함에 따른 유출구 측의 압력 변화에 따라 저압회로부의 저압감압밸브와 고압회로부의 자동변환밸브 및 고압감압밸브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면서 메인밸브의 조절공간 압력을 가변시키므로, 조절공간의 압력변화에 따라 다이어프램 조립체가 개폐공을 개폐하게 되기 때문에, 유체의 사용량에 따라 유체의 공급량이 즉각 조절될 수 있고, 전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유체의 공급량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체의 사용량에 따라 공급량이 즉각 조절되므로 유량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지게 되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불필요하게 상승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은 주 배관과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 (120) 및 유출구(130)이 형성된 메인밸브(100)와, 유입구(120)와 메인밸브(100)의 조절공간(140)을 연통시키기 위한 보조유로(200) 와, 유출구(130) 측의 압력이 설정한 일정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활성화되어 메인밸브(100)의 개폐공(110)을 개방시키기 위한 저압회로부(300)와, 상기 저압회로부(300)의 활성화로 조절공간(140)의 압력이 더 낮아질 때 활성화되어 다이어프램 조립체(160)가 개폐공(110)을 더욱더 개방하도록 하기 위한 고압회로부(400)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밸브(100)는 유체가 공급되는 주 배관과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120)과 유출구(130)를 구비한다. 상기 유입구(120)와 유출구(130) 사이에 형성되는 개폐공(110)은 다이어프램 조립체(160)의 시트에 의해 개폐되고, 이 다이어프램 조립체(160)의 상부는 조절공간(140)에 위치하며, 다이어프램은 조절공간(140)과 유출공간(150)(유출구(130)측에 형성된 공간)을 구분한다. 이러한 다이어프램 조립체(160)는 조절공간(140) 내의 압력이 유출공간(150) 측의 압력보다 높을 경우 하강하여 개폐공(110)을 폐쇄하고, 조절공간(140) 내의 압력이 유출공간(150) 측의 압력보다 낮을 경우 상승하여 개폐공(110)을 개방한다. 이러한 구조의 메인밸브(100)는 첨부된 도면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조유로(200)는 메인밸브(100)의 유입구(120) 측과 조절공간(140)을 연통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중간에는 보조유로(200)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오리피스(220)가 설치된다. 이러한 오리피스(220)에 의해 개폐공(110)의 개폐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저압회로부(300)는 유출구(130) 측의 압력이 설정한 압력(예를들면, 5kg/㎠정도)일 때 조절공간(140) 측과 유출구(130) 측을 연통시켜 조절공간(140)의 압력이 낮아지도록 하여 다이어프램 조립체(160)가 상승하면서 개폐공(110)을 개방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오리피스(220)와 조절공간(140) 사이의 보조유로(200)와 유출구(130)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저압유로(310)와, 상기 저압유로(310)에 설치되어 유출구(130) 측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조절공간(140)의 압력이 낮아지도록 개방되어 다이어프램 조립체(160)가 압력이 낮아진 조절공간(140) 측으로 상승하면서 개폐공(110)을 개방하도록 하는 저압감압밸브(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압감압밸브(3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압유로(310)와 직렬로 연결되고 조절공간(160) 측을 향하는 저압유입구(322)와 유출구(130) 측을 향하는 저압유출구(321)를 구비하고, 저압유입구(322)와 저압유출구(321)를 연결하는 유로(323)를 구비하며, 내부가 상기 저압유출구(321) 측과 저압조절공간(327)로 구분되어 상기 저압유출구(321) 측과 저압조절공간(327)이 저압작용공(325)에 의해 연통되는 저압밸브 몸체(328)와, 상기 저압유출구(321) 측의 압력이 일정한 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하강하여 저압시트(324)가 유로를 개방하도록 작동되는 저압용 다이어프램 조립체(326)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저압유출구(321) 측의 압력(메인밸브의 유출구(130)측 압력)이 설정치 이하일 때 저압용 다이어프램 조립체(326)이 하강하여 유로(323)를 개방하고, 설정치 이상일 때 상승하여 유로(323)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저압감압밸브(320)의 작동압력은 용도 및 설치지역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고압회로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압회로부(300)의 활성화로 유체의 공급량이 증가되어 유출구(130) 측의 압력이 낮아짐으로 인하여 조절공간(140)의 압력이 더 낮아질 때 활성화되어 다이어프램 조립체(160)가 개폐공(110)을 더욱더 개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고압회로부(400)는 상기 조절공간(140)과 유출구(130)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고압유로(410)와, 상기 고압유로(410)에 설치되어 상기 저압회로부(300)의 활성화로 조절공간(140) 내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개방되는 자동변환밸브(420)와, 상기 자동변환밸브(420)가 개방될 때 조절공간(140)의 압력이 더욱 낮아지도록 개방되어 다이어프램 조립체(160)가 압력이 더 낮아진 조절공간(140) 측으로 상승하면서 개폐공(110)을 더욱 개방하여 유체 공급량이 증가되도록 하는 고압감압밸브(430)를 구비한 고압회로부(4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압감압밸브(4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유로(410)와 직렬로 연결되고 조절공간(140) 측을 향하는 고압유입구(432)와 유출구(130) 측을 향하는 고압유출구(431)를 구비하고, 고압유입구(432)와 고압유출구(431)를 연통하는 유로(433)를 구비하며, 내부가 상기 고압유출구(431)과 고압조절공간(437)으로 구분되고 상기 고압유출구(431)과 고압조절공간(437)이 고압작용공(435)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고압밸브 몸체(438)과, 상기 고압유출구(431) 측의 압력이 일정한 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하강하여 고압시트(434)가 유로(433)를 개방하도록 작동되는 고압용 다이어프램 조립체(436)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자동변환밸브(420)는 고압유로(410)와 직렬로 연결되고 조절공간(140) 측을 향하는 변환유입구(421)와 고압감압밸브(430) 측을 향하는 변환유출구(422)를 구비하고, 변환유입구(421)와 변환유출구(422)를 연결하는 유로(424)를 구비하며, 그 내부가 상기 변환유입구(421)과 변환조절공간(426)으로 구분되고 상기 변환유입구(421)과 변환조절공간(426)이 변환작용공(425)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변환밸브 몸체(428)와, 상기 변환유입구(421) 측의 압력이 일정한 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하강하여 변환시트(423)가 유로(424)를 개방하도록 작동되는 변환용 다이어프램 조립체(427)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조유로(200)와 저압유로(310) 및 고압유로(410)에는 압력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압력계(500)가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자동제어 시스템은 유출구(130) 측의 유체 소비량이 없게 되면 관내의 압력이 변화되지 않는다. 이때, 조절공간(140) 내부의 압력변화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 조립체(160)의 시트(161)는 개폐공(110)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저압회로부(300)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출구(130) 측에서 유체의 소비가 이루어지면 점차 유출구(130) 측의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어 유출구(130) 측이 압력이 설정치 이하(예를들면 4kg/㎠)로 낮아지면 저압감압밸브(320)의 저압용 다이어프램 조립체(326)가 저압조절공간(327)의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저압시트(324)가 유로(323)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저압조절공간(327)과 저압유출구(321)가 저압작 용공(325)에 의해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저압용 다이어프램 조립체(326)의 다이어프램이 하방(저압작용공 측으로)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을 저압감압밸브(320)의 유로(323)이 개방되면 유출구(130)와 조절공간(140)이 저압유로(310)에 의해 연통되어 유입구(120) 측의 유체 및 조절공간(140)의 유체가 압력이 낮아진 유출구(130) 측으로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조절공간(14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때, 오리피스(220) 또는 오리피스(220)와 같은 기능을 갖는 열림속도조절구(도면에 도시됨)를 조작함으로써 조절공간(140) 측의 유체가 유출구(130) 측으로 흐르는 양이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조절공간(140) 측의 유체가 유출구(130) 측으로 흐르게 되어 조절공간(14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다이어프램(162)이 조절공간(140) 측으로 상승하게 되어 결국 시트(161)가 개폐공(110)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개폐공(110)의 개방정도는 유출구(130) 측의 압력하강에 영향을 받은 조절공간(140) 내부의 압력에 좌우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고압회로부(400)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압회로부(300)가 활성화되어 개폐공(110)이 개방되면서 유입구(120) 측의 유체가 유출구(130) 측으로 공급되는 상황에서 수요자가 더 많은 유체(물)를 사용하게 되면 유출구(130) 측의 압력은 더욱 낮아지게 된다. 예를들면, 4kg/㎠보다 더 낮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조절공간(140)의 압력이 설정치(예를들면 2.5kg/㎠, 이때 조절공간의 압력이2.5kg/㎠라는 것은 유출구 측의 압력이 2.5kg/㎠임을 의미한다)로 낮아지면 이러한 설정압력에 개방되도록 설정된 자동변환밸브(420)이 개방되고, 또한 고압감압밸브(430)이 개방된다.
즉, 유출구(130) 측의 압력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면 고압감압밸브(430)의 고압조절공간(437)의 고압용 다이어프램 조립체(436)가 하강하여 유로(433)를 개방하게 되는 상태가 되고, 이어서 조절공간(140)의 압력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기 때문에 자동변환밸브(420)의 변환용 다이어프램 조립체(427)는 하강하여 변환시트(423)가 유로(424)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유출구(130)와 조절공간(140)이 연통되어 조절공간(140) 내부의 유체는 고압유로(410)를 통하여 유출구(130) 측으로 흐르게 되므로 조절공간(140) 내부의 압력이 더욱더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다이어프램 조립체(160)가 더욱 상승하여 개폐공(110)을 저압회로부(300)의 활성화시보다 더욱더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더 많은 양의 유체가 유입구(120) 측에서 개폐공(110)을 통하여 유출구(130)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체의 사용량에 따른 압력 변화에 따라 고압회로부(400)와 저압회로부(300)가 스스로 작동되어 유체의 공급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공급압력을 불필요하게 상승시키지 않아도 되고, 이로 인하여 유출구(130) 측 이하 각종 배관 및 보일러와 같은 기구들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변화를 이용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은 고압회 로부와 저압회로부가 유체의 사용량에 따른 유출구 측의 압력 변화에 따라 메인밸브의 개폐공을 자동적으로 개폐하여 유체의 공급량을 기계적으로 자동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전기적 기구적 제어수단이 불필요하게 되고, 전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안전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으며, 고장률이 낮아질 수 있으며, 제작단가가 저렴하게 되는 다양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한 바람직한 각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유체가 공급되는 주 배관과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및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통하는 개폐공을 구비한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를 조절공간과 유출공간으로 구분하고 조절공간의 압력이 유출공간에 비하여 낮을 경우 상승하여 시트가 개폐공을 개방하고 조절공간의 압력이 유출공간에 비하여 높을 경우 하강하여 시트가 개폐공을 폐쇄하도록 작동되는 다이어프램 조립체를 구비하여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개폐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 메인밸브와, 상기 유입구와 조절공간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보조유로와, 상기 조절공간 내의 압력이 낮아질 때 작동되는 고압회로부 및 유출구 측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작동되는 저압회로부를 구비하여 유체의 사용량에 따른 유출구 측의 압력 변화에 따라 유체 공급량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조유로에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오리피스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저압회로부는,
    상기 오리피스와 조절공간 사이의 보조유로와 유출구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도고 압력계가 설치된 저압유로와, 상기 저압유로에 설치되어 유출구 측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조절공간의 압력이 낮아지도록 개방되어 다이어프램 조립체가 압력이 낮아진 조절공간 측으로 상승하면서 개폐공을 개방하도록 하는 저압감압밸브를 구비하되, 상기 저압감압밸브는 저압유로와 직렬로 연결되고 조절공간 측을 향하는 저압유입구와 유출구 측을 향하는 저압유출구를 구비하고, 저압유입구와 저압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를 구비하며, 내부가 상기 저압유출구과 저압조절공간으로 구분되고 저압작용공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저압밸브 몸체; 및 상기 저압유출구 측의 압력이 일정한 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하강하여 저압시트가 유로를 개방하도록 작동되는 저압용 다이어프램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압회로부는,
    상기 조절공간과 유출구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고 압력계가 설치된 고압유로와, 상기 고압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저압회로부의 활성화로 조절공간 내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개방되는 자동변환밸브와, 상기 자동변환밸브가 개방될 때 조절공간의 압력이 더욱 낮아지도록 개방되어 다이어프램 조립체가 압력이 더 낮아진 조절공간 측으로 상승하면서 개폐공을 더욱 개방하여 유체 공급량이 증가되도록 하는 고압감압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고압감압밸브는,
    상기 고압유로와 직렬로 연결되고 조절공간 측을 향하는 고압유입구와 유출구 측을 향하는 고압유출구를 구비하고 고압유입구와 고압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를 구비하, 내부가 상기 고압유출구과 고압조절공간으로 구분되고 고압작용공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고압밸브 몸체, 및 상기 고압유출구 측의 압력이 일정한 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하강하여 고압시트가 유로를 개방하도록 작동되는 고압용 다이어프램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자동변환밸브는,
    상기 고압유로와 직렬로 연결되고 조절공간 측을 향하는 변환유입구와 고압감압밸브 측을 향하는 변환유출구를 구비하고 변환유입구와 변환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를 구비하며 내부가 상기 변환유입구과 변환조절공간으로 구분되고 변환작용공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변환밸브 몸체, 및 상기 변환유입구 측의 압력이 일정한 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하강하여 변환시트가 유로를 개방하도록 작동되는 변환용 다이어프램 조립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변화를 이용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
KR1020050009531A 2005-02-02 2005-02-02 압력 변화를 이용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 KR100698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531A KR100698229B1 (ko) 2005-02-02 2005-02-02 압력 변화를 이용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531A KR100698229B1 (ko) 2005-02-02 2005-02-02 압력 변화를 이용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621A KR20060088621A (ko) 2006-08-07
KR100698229B1 true KR100698229B1 (ko) 2007-03-21

Family

ID=3717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531A KR100698229B1 (ko) 2005-02-02 2005-02-02 압력 변화를 이용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2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100A (ko) 2016-03-30 2016-08-18 (주)신영목재 목재에 함침되는 수용성 난연액의 침투압력 제어방법
KR20160098021A (ko) 2015-12-11 2016-08-18 (주)신영목재 목재에 함침되는 수용성 난연액의 침투압력 제어방법
KR20160098101A (ko) 2016-04-07 2016-08-18 (주)신영목재 목재에 함침되는 수용성 난연액의 침투압력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6537A (zh) * 2018-07-03 2018-09-07 江苏省华扬太阳能有限公司 新型供水减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0939A (en) * 1978-07-31 1980-02-14 Hiroshi Morita Automatic pressure regulating valve
JP2003067057A (ja) 2001-08-22 2003-03-07 Kurimoto Ltd 減圧送水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0939A (en) * 1978-07-31 1980-02-14 Hiroshi Morita Automatic pressure regulating valve
JP2003067057A (ja) 2001-08-22 2003-03-07 Kurimoto Ltd 減圧送水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021A (ko) 2015-12-11 2016-08-18 (주)신영목재 목재에 함침되는 수용성 난연액의 침투압력 제어방법
KR20160098100A (ko) 2016-03-30 2016-08-18 (주)신영목재 목재에 함침되는 수용성 난연액의 침투압력 제어방법
KR20160098101A (ko) 2016-04-07 2016-08-18 (주)신영목재 목재에 함침되는 수용성 난연액의 침투압력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621A (ko) 2006-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1408B1 (ko) 수충격 방지용 제어밸브 시스탬
KR101122763B1 (ko) 유량 연동형 비례제어식 감압 밸브 시스템
EP2256391A2 (en) Pressure Management Control Valve Assembly
CN102498323B (zh) 减压阀
KR100698229B1 (ko) 압력 변화를 이용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
KR101033847B1 (ko) 비례제어식 팽창수자동밸브를 이용한 팽창탱크시스템
KR101042289B1 (ko) 유량 연동형 감압 밸브 시스템
KR100481403B1 (ko) 감압 및 압력유지 제어밸브 시스템
KR100783370B1 (ko) 차압유량조절밸브
KR100540596B1 (ko)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KR100644378B1 (ko) 압력제어기능을 갖는 형상기억합금과 이중포핏을 이용한자동온도 유량조절장치
KR101469212B1 (ko) 유량에 따라 수압 조절이 이루어지는 감압 밸브
JP2005099894A (ja) 貯水槽の水位自動制御装置、貯水槽及び減圧弁の自己自動制御装置
CN212692176U (zh) 一种制冷系统及空调设备
KR100942910B1 (ko) 단위사업 저수장의 유입밸브 제어 방법
KR200368324Y1 (ko)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KR100903292B1 (ko)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JP2003067057A (ja) 減圧送水装置
JP2010009330A (ja) 減圧装置
CN201575209U (zh) 动态平衡电动调节一体阀
JPH0716171Y2 (ja) 給水装置用減圧弁
KR100341516B1 (ko) 압력개폐밸브를 구비한 병렬 온수보일러 시스템
CN210510472U (zh) 稳压遥控浮球阀
CN107023053B (zh) 一种具有双液位进补水功能的控制水箱
JP3872464B2 (ja) 減圧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