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324Y1 -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324Y1
KR200368324Y1 KR20-2004-0023136U KR20040023136U KR200368324Y1 KR 200368324 Y1 KR200368324 Y1 KR 200368324Y1 KR 20040023136 U KR20040023136 U KR 20040023136U KR 200368324 Y1 KR200368324 Y1 KR 200368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ow path
outlet
inlet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식
김병문
손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램
조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램, 조진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램
Priority to KR20-2004-0023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3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3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유체가 공급되는 주배관에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진 메인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콘트롤러, 차단 밸브, 고압 감압 밸브, 및 저압 감압 밸브를 포함하는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으로서, 상기 메인 밸브는, 상기 유입구와 보조유로에 의해 연통되는 조절 공간과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공간으로 상호 분리하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기 조절 공간 내의 압력과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넓히거나 좁히는 다이어프램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로부터 보조유로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선택적으로 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차단 밸브의 유로를 개폐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따라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 측의 사용 유량이 많을 때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고, 반면에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 측의 사용 유량이 적을 때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차단 밸브로 유체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차단 밸브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유체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로부터 보조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고압 감압 밸브로 흐르도록 개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로부터 보조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고압 감압 밸브로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되며, 상기 고압 감압 밸브는, 상기 차단 밸브가 개방되면 보조유로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고, 상기 저압 감압 밸브는,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로부터 보조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며, 상기 고압 및 저압 감압 밸브는,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며, 상기 고압 감압 밸브는 상기 저압 감압 밸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고압인 때에 유로가 폐쇄되는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Valve system for controlling pressure of supplied water}
본 고안은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 사용량에 따라 변하는 용수 공급 시스템의 유출단에서의 수압 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용수의 수압을 적절히 조절하도록 설계된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는 경제발전 속도와 함께 늘어나는 물소비로 인해 물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증가하는 물소비를 충족시키기 위해 수자원을 개발하여 물 공급을 늘리는 정책을 취하고 있으나 이러한 개발위주의 물 공급정책은 수자원의 유한성과 환경 파괴 등의 문제로 인해 한계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소비는 지역과 시간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물소비의 경향에 따라 용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수자원을 절약하는 방법이 수자원 관리 정책의 새로운 주제로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간과 같이 물 사용량이 많은 시간대에는 용수 공급 시스템에서 고압으로 용수를 공급함으로써 물수요를 충족시켜야 하지만, 반대로 야간과 같이 물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에는 용수 공급 시스템에서 공급되는 용수압을 감압시킬 필요가 있다. 만약, 물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임에도 불구하고 용수 공급 시스템에서 고압으로 용수를 공급한다면 공급과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해 결국 용수 공급 배관이나 각종 밸브 등에서 누수되는 물의 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나아가, 용수 공급 시스템과 그 배관 계통에는 고압이 걸리게 되므로 시스템이나 부품에 대한 부하를 증가시켜 손상이나 파손의 위험성을 증대시킨다.
종래에는 공급되는 용수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는 파일럿식 감압밸브가 채용되었다. 상기 파일럿식 감압밸브는 그 자체에 구비된 압력 조절 나사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수압을 조절하게 되는데, 밸브의 유출구 측에서의 물 사용량에 관계없이 항상 설정된 일정한 압력으로만 감압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파일럿식 감압밸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 사용량이 변화하는 시간대에 따라 작업자가 일일이 압력 조절 나사를 조절하여 감압 정도를 제어하여야만 한다. 더욱이, 적절한 압력으로 설정을 한다고 하더라도 일단 압력 설정이 이루어지면 수동으로 재조절하기 전에는 유출구 측의 물 사용량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수압으로 용수를 공급하기 때문에 물 사용량이 갑자기 적어질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배관 시스템의 압력이 상승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손상이나 파손의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용량이 큰 감압밸브와 용량이 적은 감압밸브를 급수 시스템에 나란하게 병렬로 설치하고 이들 밸브의 설정 압력을 달리하여 주간에는 대용량의 감압밸브를 사용하고 야간에는 소용량의 감압밸브를 사용함으로써 수압을 조절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나, 이 역시 배관 시스템이 복잡하고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며 정밀한 수압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급수 시스템의 유출구 측의 물 사용량과 수압 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용수의 수압 조절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배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환 밸브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환 밸브 시스템의 메인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환 밸브 시스템의 차단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환 밸브 시스템의 감압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환 밸브 시스템의 콘트롤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환 밸브 시스템에서 고압 상태에서의 용수 흐름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환 밸브 시스템에서 저압 상태에서의 용수 흐름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메인 밸브 110.유입구 120.유출구 130.밸브 몸체
131.시트부 132.개구부 140.다이어프램 조립체
141.가이드부싱 142.중간 플레이트 143.커버 플레이트
144.다이어프램 S1.조절 공간 S2.연통 공간
145a,145b.다이어프램 플레이트 146.플런저
147.디스크 148.디스크 시트 110a.보조유입구
120a.보조유출구 200.솔레노이드 밸브 300.차단 밸브
310.제1 유입구 320.제2 유입구 330.유출구
341.시트부 340.몸체 350.커버 360.다이어프램
S.조절 공간 361,362.다이어프램 플레이트 363.스크류
364.디스크 400.고압 감압 밸브 432.오리피스공
440.보조스풀부 450.커버 460.다이어프램
461,462.다이어프램 플레이트 463.플런저 433.가이드부싱
464.디스크시트 471.제1 스프링 472.제2 스프링
480.서포트 플레이트 481.조절나사 500.저압 감압 밸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은, 유체가 공급되는 주배관에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진 메인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콘트롤러, 차단 밸브, 고압 감압 밸브, 및 저압 감압 밸브를 포함하는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으로서,
상기 메인 밸브는, 상기 유입구와 보조유로에 의해 연통되는 조절 공간과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공간으로 상호 분리하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기 조절 공간 내의 압력과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넓히거나 좁히는 다이어프램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로부터 보조유로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선택적으로 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차단 밸브의 유로를 개폐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따라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 측의 사용유량이 많을 때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고, 반면에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 측의 사용유량이 적을 때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차단 밸브로 유체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차단 밸브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유체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로부터 보조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고압 감압 밸브로 흐르도록 개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로부터 보조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고압 감압 밸브로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되며,
상기 고압 감압 밸브는, 상기 차단 밸브가 개방되면 보조유로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고,
상기 저압 감압 밸브는,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로부터 보조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며,
상기 고압 및 저압 감압 밸브는,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며, 상기 고압 감압 밸브는 상기 저압 감압 밸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고압인 때에 유로가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체가 공급되는 주배관에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와 보조유로에 의해 연통되는 조절 공간과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공간으로 상호 분리하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기 조절 공간 내의 압력과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넓히거나 좁히는 다이어프램 조립체를 포함하는 메인 밸브;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와 제1 보조유로(P1)에 의해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유체를 제2 보조유로(P2)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는 제1 유출구와, 제2 유출구를 가진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1 보조유로(P1)와 연결된 제3 보조유로(P3)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제2 보조유로(P2)와 연결된 제4 보조유로(P4)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고,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되면 유로가 폐쇄되도록 된 저압 감압 밸브;
상기 제3 보조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 밸브의 조절 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제5 보조유로(P5);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2 유출구와 제6 보조유로(P6)에 의해 연결되는 제1 유입구와, 상기 제3 보조유로(P3)와 통하는 제7 보조유로(P7)와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입구로 유입되는 유체를 제8 보조유로(P8)로 배출하는 유출구를 가지고, 상기 제6 보조유로(P6)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7 보조유로(P7)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제8 보조유로(P8)로 배출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제6 보조유로(P6)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7 보조유로(P7)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제8 보조유로(P8)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되는 차단 밸브;
상기 제8 보조유로(P8)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제2 보조유로(P2)와 연결된 제9 보조유로(P9)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고,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도록 되는 동시에, 상기 저압 감압 밸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고압인 때에 유로가 폐쇄되도록 된 고압 감압 밸브; 및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따라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 측의 사용유량이 많을 때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제2 보조유로(P2)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고, 반면에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 측의 사용유량이 적을 때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제6 보조유로(P6)를 통해 상기 차단 밸브로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밸브는, 상기 주배관과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밸브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프램 조립체는, 상기 밸브 몸체 상부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중간 플레이트; 상기 중간 플레이트 상부에 결합되어 그 내부에 상기 밸브 몸체 내부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중간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조절 공간과 상기 연통된 공간으로 분리하는 다이어프램; 상기 다이어프램에 장착된 다이어프램 플레이트;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하 운동에 따라 승강운동하는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어 승강 운동에 따라 상기 밸브 몸체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디스크 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고압 및 저압 감압 밸브는 각각, 그 상면은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감압 밸브의 유출구와 유입구 사이의 유로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고, 그 하면은 감압 밸브의 유출구 측의 압력이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승강운동에 따라 상기 감압 밸브의 유출구와 유입구 사이의 유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압 및 저압 감압 밸브는 각각, 상기 감압 밸브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서 유로가 개폐되는 부분인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하부 공간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감압 밸브의 유입구와 연통되는 보조스풀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장착되어 오리피스공을 통해 상기 감압 밸브의 유출구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몸체와 커버 사이에 개재된 다이어프램; 상기 다이어프램에 결합된 다이어프램 플레이트; 상기 보조스풀부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에 결합된 플런저; 상기 시트부의 유로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어 승강운동에 의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디스크시트; 및 상기 디스크 시트에 의한 상기 시트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정수단은,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시트부의 유로가 개방되도록 탄성 바이어스하는 제1 스프링; 상기 플런저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시트부의 유로가 폐쇄되도록 탄성 바이어스하는 제2 스프링; 및 나사 운동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에 대한 제1 스프링의 탄성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시스템의 개별 구성요소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은 용수가 공급되는 주 배관에 설치되는 메인 밸브(100)와, 상기 메인 밸브(100)와 배관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200), 차단 밸브(300), 고압 감압 밸브(400) 및 저압 감압 밸브(5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밸브(100)의 구성은 도 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메인 밸브(100)는, 급수 시스템의 주배관에 직렬로 설치되며, 상기 주배관과 연결되는 유입구(110)와 유출구(120)가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밸브 몸체(130)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몸체(13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32)에는 다이어프램 조립체(140)가 설치되는데, 상기 다이어프램 조립체(140)는, 상기 유입구(110)측의 압력과 상기 유출구(120) 측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110)와 유출구(120) 사이에 있는 시트부(131)의 유로를 넓히거나 좁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메인 밸브(100)는 그 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확장되거나 축소되는 기능을 하면 족하지만, 유로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는 종래의 메인 밸브 구성도 채용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다이어프램 조립체(140)는 가이드공(141a)이 형성된 가이드부싱(141)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 몸체(130)의 개구부(132)에 결합되는 중간 플레이트(142)와, 상기 중간 플레이트(142) 상부에 결합되어 그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143)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 플레이트(142)와 커버 플레이트(143) 사이에는 유연성 있는 재질의 다이어프램(144)이 개재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상부의 조절 공간(S1)과 하부의 연통 공간(S2)으로 분리한다.
상기 연통 공간(S2)은 중간 플레이트(142)에 형성된 관통공(142a)에 의해 상기 밸브 몸체(13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유출구(120)측의 압력이 가해지며, 상기 조절 공간(S1)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43)에 형성된 보조통공(143a)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게 된다.
상기 다이어프램(14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절 공간(S1)와 연통 공간(S2)의 압력 변화에 따라 도면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승강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다이어프램(144)의 양측에는 한 쌍의 다이어프램 플레이트(145a)(145b)가 결합되며,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145a)(145b)에는 플런저(146)가 결합되어 함께 승강운동을 하며, 상기 플런저(146)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142)에 마련된 가이드부싱(141)의 가이드공(141a)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그 승강운동이 가이드된다.
상기 플런저(146)의 단부에는 디스크(147)가 결합되며, 상기 디스크(147)에는 디스크 시트(148)가 부착된다. 상기 디스크 시트(148)는 상기 밸브 몸체(130)의 시트부(131)를 폐쇄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져 상기 플런저(146)의 상하 승강운동에 따라 상기 시트부(131)와 접촉함으로써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 몸체(130)의 유입구(110) 측에 있는 공간은 보조유출구(110a)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유출구(120) 측에 있는 공간은 보조유입구(120a)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와 같은 메인 밸브(100)의 구성은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0318348호에 개시된 것으로서 그러한 구성과 기재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바꾸는 통상적인 3방향(3-way) 밸브로서, 차단 밸브(300) 상단의 유체를 상기 메인 밸브(100)의 유출구(120)로 전환하여 배출하는 제1 포트(220)와, 상기 유입구(210)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차단 밸브(300)의 제1 유입구(310)로 배출하는 제2 포트(230)를 가진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 유입구(210)에서 제2 포트(230)로 흐르는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차단 밸브(300)를 차단하고, 반면에 다시 전기적 신호를 받으면 제2 포트(230)에서 제2 포트(220)로 유로가 전환되어 차단 밸브(300)의 상부 챔버 및 보조유로(P6)에 있던 유체를 메인 밸브(100)의 유출구(120)로 배출함으로써 차단 밸브(300)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 밸브(200)의 구성은이미 당해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차단 밸브(300)는 소위 하이트롤(Hytrol) 밸브와 같이 배관 중간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입구(310)와 유출구(330)를 구비하고 유로를 형성하며 유로가 개폐되는 부분인 시트부(341)가 마련된 몸체(340)와, 상기 몸체(340) 상단 개구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2 유입구(320)가 형성된 커버(35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340)와 커버(350) 사이에는 다이어프램(360)이 개재되어 몸체(340) 내부의 공간으로부터 조절 공간(S)를 분리하고, 상기 조절 공간(S)은 상기 제1 유입구(310)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다이어프램(360)의 양측에는 한 쌍의 다이어프램 플레이트(361)(362)가 설치되며,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361)(362)에는 스크류(363)에 의해 디스크(364)가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36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디스크(364)가 몸체(340)의 시트부(341)에 있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한다.
도 4에는 상기 감압 밸브(4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압 감압 밸브(400)와 저압 감압 밸브(500)의 구성요소는 상호 동일하므로 고압 감압 밸브(400)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 밸브(400)는 유입구(410)와 유출구(420)를 구비하고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유입구(410)와 유출구(420) 사이에서 유로가 개폐되는 부분인 시트부(431)가 형성된 몸체(430)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410)와 유출구(420) 사이의 상기 시트부(431) 하부 공간에는 보조스풀부(440)가 마련되며, 상기 보조스풀부(440)는 보조유입공(411)(412)을 통해 유입구(410)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몸체(430) 상부에는 커버(450)가 장착되며, 상기 커버(450)의 내부 공간은 몸체(430)에 형성된 오리피스공(432)을 통해 유출구(420)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감압 밸브는 상기 시트부(431)의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다이어프램 조립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430)와 커버(450) 사이에는 다이어프램(460)이 개재되고, 상기 다이어프램(460)의 양측에는 다이어프램 플레이트(461)(462)가 설치된다. 상기 다이어프램(460)의 하면에는 상기 오리피스공(432)을 통해 유출구(420)측의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461)(462)에는 플런저(463)가 설치되어 상기 다이어프램(46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승강운동한다. 상기 플런저(463)는 몸체(430)에 구비된 가이드부싱(433)의 가이드공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그 승강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463)는 상기 다이어프램(460)으로부터 상기 보조스풀부(440)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스풀부(440)까지 연장된 플런저(463) 부분에는 상기 시트부(431)의 유로 크기에 상응하는 디스크시트(464)가 결합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한다.
상기 다이어프램 조립체는 상기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조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압력조정수단은,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461) 및 플런저(463)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시트부(431)의 유로가 개방되도록 탄성 바이어스하는 제1 스프링(471)과, 상기 플런저(463)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시트부(431)의 유로가 폐쇄되도록 탄성 바이어스하는 제2 스프링(472)과,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461)에 대한 제1 스프링(471)의 탄성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유니트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유니트는 상기 제1 스프링(471)을 지지하는 서포트 플레이트(480)와, 상기 커버(450)에 있는 암나사부(451)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 운동에 의해 소정 거리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480)와 접촉하여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조절나사(48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조절나사(481)를 돌려서 조이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480)와 다이어프램 플레이트(461)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그 만큼 제1 스프링(471)의 탄성력이 강해지고, 그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오리피스공(432)을 통해 다이어프램(460)의 하면에 작용하는 유출구(420)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고압일 경우에만 다이어프램 플레이트(461) 및 플런저(463)가 상승하여 디스크 시트(464)가 시트부(431)의 유로를 폐쇄한다. 즉, 소정의 고압에 미치지 못하는 압력에서는 유로가 여전히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상기 조절나사(481)를 느슨하게 돌리면 제1 스프링(471)의 탄성력이 약해지므로 그 만큼 유출구(420)에서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저압이라고 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유로가 폐쇄될 수 있다. 즉, 유출구 측의 압력이 조금만 상승하더라도 유로는 쉽게 폐쇄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압 감압 밸브(400)는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상기저압 감압 밸브(500)의 유출구 측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에서 유로가 폐쇄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고압 감압 밸브(400)와 저압 감압 밸브(500)가 각각 폐쇄되는 압력의 차이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급수 시스템의 용량과 조건을 감안하여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트롤러(6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콘트롤러(600)는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의 3방향 유로를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콘트롤러(600)는 키보드나 버튼과 같은 입력수단을 구비한 입력부(610), 입력된 데이터와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하고 정보를 처리하여 솔레노이드 밸브(200)의 유로 전환 명령을 지시하는 중앙처리장치(CPU)(620), 각종 입력 정보와 출력 정보를 표시하는 예컨대, LCD패널과 같은 표시부(630), 시간을 카운트하는 내부클럭(640), 각종 정보와 프로그램을 기록 저장하는 메모리(650),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620)의 명령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의 유로를 전환하는 밸브 조작부(66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콘트롤러(600)는 본 고안의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이 채용되는 급수 시스템에 대한 물 사용량을 분석하여 시간대별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를 작동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콘트롤러(600)에 내장된 프로그램의 메뉴를 선택하고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특정 시간대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를 작동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메인 밸브(100), 솔레노이드 밸브(200), 차단 밸브(300), 감압 밸브(400)(500) 및 콘트롤러(600)의 구성은 한정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들 도면이나 설명예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본원 고안의 기술사상을 달성하는 범위내에서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가져오는 균등물들이 대체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
본 고안에 따른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보조유로에 의해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는데 도 1을 다시 참조하면서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메인 밸브(100)는 급수 시스템의 주 배관에 유입구(110)와 유출구(120)가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메인 밸브(100)의 유입구(110)는 그것에 형성된 보조유출구(110a)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의 유입구(210) 사이에 연결된 제1 보조유로(P1)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20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메인 밸브(100)의 유출구(120)는 그것에 형성된 보조유입구(120a)와 상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의 제1 포트(220) 사이에 연결된 제2 보조유로(P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 보조유로(P1)는 연결부재(10)를 사용하여 제3 보조유로(P3)와 연결되며, 상기 제3 보조유로(P3)는 저압 감압 밸브(500)의 유입구(510)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저압 감압 밸브(500)의 유출구(520)는 제4 보조유로(P4)에 의해 상기 제2 보조유로(P2)와 연결부재(13)에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3 보조유로(P3)는 다시 연결부재(11)를 사용하여 제5 보조유로(P5)와 연결되는데, 상기 제5 보조유로(P5)는 메인 밸브(100)의 보조통공(143a)과 연결되어 조절 공간(S1)과 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의 제2 포트(230)는 차단 밸브(300)의 제1 유입구(310)와 제6 보조유로(P6)에 의해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유체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단 밸브(300)의 제2 유입구(320)는 연결부재(11)에 의해 상기 제3 보조유로(P3)와 연결되어 있는 제7 보조유로(P7)와 결합되어 유체를 공급받게 된다.
동시에, 상기 차단 밸브(300)의 유출구(330)에는 고압 감압 밸브(400)의 유입구(410)까지 연장되어 있는 제8 보조유로(P8)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고압 감압 밸브(400)로 유입되는 유체는 유출구(420)와 상기 제2 보조유로(P2) 사이에 연결된 제9 보조유로(P9)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며, 연결부재(12)는 상기 제9 보조유로(P9)와 제2 보조유로(P2)를 상호 연결시킨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콘트롤러(600)는 물 사용량에 따라 특정 시간대에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를 작동하도록 미리 프로그램된다. 따라서, 물 사용량이 많은 경우와 적은 경우에 따라 본 고안의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의 동작은 달라지게 된다.
사용 유량이 많은 경우의 시스템 동작
예컨대, 주간과 같이 용수의 사용 유량이 많은 경우에 본 고안의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의 동작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화살표는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표시한 것이며, 화살표가 도시되지 않은 유로는 유체의 흐름이 차단된 상태이다.
급수 시스템의 주배관(미도시)에서는 용수가 메인 밸브(100)의 유입구(110)로 유입되어 유출구(120)를 통해 소비자에게로 공급된다. 사용 유량이 많은 경우에, 메인 밸브(100)의 유출구(120)측의 압력은 상당히 저하된다.
상기 콘트롤러(600)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 및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 유량이 많은 시간대가 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를 작동시켜 제1 포트(220)로 유로를 전환하여, 메인 밸브(100) 측에 형성된 보조유출구(110a)에서 제1 보조유로(P1)를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의 유입구(210)로의 유로는 유입구(210) 전단에서 차단시키고, 대신에 상기 차단 밸브(300) 상단에 있던 유체는 제2 보조유로(P2)로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밸브(300)가 개방된다.
동시에, 상기 유입구(110) 측에 형성된 보조유출구(110a)를 통해 빠져나간 유체는 제1 보조유로(P1)와 연결된 제3 보조유로(P3)와 제7 보조유로(P7)를 통해차단 밸브(300)의 유입구(320)로 유동됨과 동시에, 제8 보조유로(P8)를 통해 고압 감압 밸브(400)의 유입구(410)로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는 제9 보조유로(P9) 및 제2 보조유로(P2)를 거쳐 다시 메인 밸브(100)의 보조유입구(120a)로 유입된다.
또한, 메인 밸브(100)의 유입구(110) 측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일부는 제1 보조유로(P1)와 연결된 제3 보조유로(P3)를 통해 저압 감압 밸브(500)의 유입구(510)로 흐르게 되고, 동시에 제5 보조유로(P5)를 통해 메인 밸브(100)의 조절 공간(S1)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메인 밸브(100)의 유입구(110)측 압력이 유출구(120)측 압력보다 높으므로 상기 디스크 시트(148)와 다이어프램 조립체(140)의 다이어프램(144) 및 다이어프램 플레이트(145a)(145b)는 상승되고, 따라서 메인 밸브(100)의 시트부(131)가 개방되어 유체가 흐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7 보조유로(P7)를 통해 차단 밸브(300)로 유입되는 유체는 차단 밸브(300)의 디스크(364)를 위로 밀어 올리면서 시트부(341)를 개방한 뒤 유출구(330)로 배출되어 제8 보조유로(P8)를 따라 고압 감압 밸브(400)로 유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6 보조유로(P6)를 통한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차단 밸브(300)의 조절 공간(S)에 걸리는 압력이 줄어들게 되어, 상기 디스크(364)는 쉽게 상승한다.
또한, 상기 고압 감압 밸브(400)를 통과하여 유출구(420)로 배출된 유체는 제9 보조유로(P9)를 따라 제2 보조유로(P2)의 유체와 합류한다.
한편, 상기 고압 감압 밸브(400)는 유출구(420)측에 상대적으로 고압이 작용하는 경우에 폐쇄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저압 감압 밸브(500)는 유출구(420)측에 상대적으로 저압이 작용하는 경우에 폐쇄되도록 설정된다. 여기에서, 고압과 저압은 상기 고압 및 저압 감압 밸브 상호간의 상대적인 차이를 말하며 절대적인 고압과 저압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와 상기 고압 감압 밸브(400)를 통과하여 제2 보조유로(P2)를 흐르는 유체는, 상기 저압 감압 밸브(500)를 통과하는 유체보다 상대적으로 고압이 되고, 따라서 상기 저압 감압 밸브(500)의 유출구(520)에는 고압이 작용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저압에서도 폐쇄되도록 설정된 저압 감압 밸브(500)는 쉽게 폐쇄되어 그 유로가 차단되고 만다.
결국, 용수의 사용 유량이 많은 경우에는 고압 감압 밸브(400)가 개방된 상태가 되고, 저압 감압 밸브(500)는 폐쇄된 상태가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수의 사용 유량이 많은 상태에서 사용량에 다소 변동이 생길 경우에도 용수 공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용수의 사용 유량이 일시적으로 줄어들어 메인 밸브(100)의 유출구(120)측 압력이 다소 증가하게 되면, 그러한 압력 증가는 상기 고압 감압 밸브(400)의 유출구(420)에 동시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증가된 압력은 오리피스공(432)을 통해 다이어프램(460) 하면에 작용하여 다이어프램(460)과 다이어프램 플레이트(461)(462)을 그 증가분만큼 상승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플런저(463)가 상승함으로써 디스크 시트(464)와 시트부(431) 사이의 유로는 좁아지게 된다.
상기 고압 감압 밸브(400)의 유로가 좁아지게 되면, 메인 밸브(100)의 보조유출구(110a)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의 상당량은 제5 보조유로(P5)를 통해 메인 밸브(100)의 조절 공간(S1)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 공간(S1) 내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므로, 다이어프램(144) 및 플런저(146)가 하강함으로써 디스크 시트(148)와 시트부(131) 사이의 유로를 좁히게 된다. 이로써, 메인 밸브(100)의 유입구(110)로부터 유출구(120)로 유동하는 유체량과 유압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사용 유량이 적은 경우의 시스템 동작
예컨대, 야간과 같이 용수의 사용 유량이 적은 경우에 있어서 본 고안의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의 동작 상태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용수의 사용 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메일 밸브(100)의 유출구(120)측의 압력은 상대적으로 올라가 고압이 작용하게 된다.
용수의 사용 유량이 적은 시간대가 되면 상기 콘트롤러(600)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 및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00)를 작동시켜 제1 포트(220)에서 제2 포트(230)로 유로 방향을 전환시킨다.
따라서, 제6 보조유로(P6)를 경유한 유체가 도 3에 도시된 차단 밸브(300)의 제1 유입구(310)로 유입되면서 다이어프램(360)이 하강하고, 그에 따라 디스크 시트(364)가 시트부(341)와 접촉하여 유로를 차단한다. 그러면, 제8 보조유로(P8)가 폐쇄되면서 고압 감압 밸브(400)로의 유체 유입이 차단된다.
동시에, 저압 감압 밸브(500)의 유로가 개방되어 유체는 제3 보조유로(P3) 및 제4 보조유로(P4)를 경유해 흐르게 된다.
만약, 이 상태에서, 사용 유량이 일시적으로 더 감소하여 메인 밸브(100)의 유출구(120) 측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그러한 압력 증가는 상기 저압 감압 밸브(500)의 오리피스공(432 참조)을 통해 다이어프램(460 참조) 하면에 작용하므로, 플런저(463 참조)가 상승하여 유로를 좁히게 되고, 따라서 메인 밸브(100)의 보조유출구(110a)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의 상당량이 조절 공간(S1)로 유입됨으로써 메인 밸브(100)의 유로 또한 줄어들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에 따르면, 용수 사용량이 많고 적은 시간대에 따라 작업자가 수동으로 일일이 급수 시스템을 구동시킬 필요가 없고, 콘트롤러에 의해 자동적으로 설정 압력이 전환되어 적절한 압력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은 용수 사용량이 많은 시간대에는 고압 감압 밸브가 작동되도록 하고, 용수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에는 저압 감압 밸브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항상 적절한 압력으로 용수를 공급하게 되어, 누수량을 줄일 뿐만 아니라 과도한 압력부하로 인해 배관 계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은 급수 시스템의 주배관에 직렬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기존과 같이 병렬로 배관을 설치함으로써 발생하는 설치비와 노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유체가 공급되는 주배관에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진 메인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콘트롤러, 차단 밸브, 고압 감압 밸브, 및 저압 감압 밸브를 포함하는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으로서,
    상기 메인 밸브는,
    상기 유입구와 보조유로에 의해 연통되는 조절 공간과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공간으로 상호 분리하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기 조절 공간 내의 압력과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넓히거나 좁히는 다이어프램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로부터 보조유로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선택적으로 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거나 또는 상기 차단 밸브로 배출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따라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 측의 사용 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을 때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동작시켜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고,
    반면에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 측의 사용 유량이 상대적으로 적을 때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동작시켜 상기 차단 밸브로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차단 밸브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유체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로부터 보조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고압 감압 밸브로 흐르도록 개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로부터 보조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고압 감압 밸브로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되며,
    상기 고압 감압 밸브는,
    상기 차단 밸브가 개방되면 보조유로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고,
    상기 저압 감압 밸브는,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로부터 보조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며,
    상기 고압 및 저압 감압 밸브는,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며, 상기 고압 감압 밸브는 상기 저압 감압 밸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고압인 때에 유로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2. 유체가 공급되는 주배관에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와 보조유로에 의해 연통되는 조절 공간과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공간으로상호 분리하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기 조절 공간 내의 압력과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넓히거나 좁히는 다이어프램 조립체를 포함하는 메인 밸브;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와 제1 보조유로(P1)에 의해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유체를 제2 보조유로(P2)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는 제1 포트와, 제2 포트를 가진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1 보조유로(P1)와 연결된 제3 보조유로(P3)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제2 보조유로(P2)와 연결된 제4 보조유로(P4)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고,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도록 된 저압 감압 밸브;
    상기 제3 보조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 밸브의 조절 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제5 보조유로(P5);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2 포트와 제6 보조유로(P6)에 의해 연결되는 제1 유입구와, 상기 제3 보조유로(P3)와 통하는 제7 보조유로(P7)와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입구로 유입되는 유체를 제8 보조유로(P8)로 배출하는 유출구를 가지고, 상기 제6 보조유로(P6)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7 보조유로(P7)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제8 보조유로(P8)로 배출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제6 보조유로(P6)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7 보조유로(P7)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제8 보조유로(P8)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되는 차단 밸브;
    상기 제8 보조유로(P8)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제2 보조유로(P2)와 연결된 제9 보조유로(P9)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고,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도록 되는 동시에, 상기 저압 감압 밸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고압인 때에 유로가 폐쇄되도록 된 고압 감압 밸브; 및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따라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 측의 사용 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을 때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동작시켜 상기 제2 보조유로(P2)를 통해 상기 메일 밸브의 유출구로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고, 반면에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 측의 사용 유량이 상대적으로 적을 때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동작시켜 상기 제6 보조유로(P6)를 통해 상기 차단 밸브로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는,
    상기 주배관과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밸브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프램 조립체는,
    상기 밸브 몸체 상부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중간 플레이트;
    상기 중간 플레이트 상부에 결합되어 그 내부에 상기 밸브 몸체 내부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중간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조절 공간과 상기 연통된 공간으로 분리하는 다이어프램;
    상기 다이어프램에 장착된 다이어프램 플레이트;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하 운동에 따라 승강운동하는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어 승강 운동에 따라 상기 밸브 몸체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디스크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및 저압 감압 밸브는 각각,
    그 상면은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감압 밸브의 유출구와 유입구 사이의 유로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고, 그 하면은 감압 밸브의 유출구 측의 압력이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승강운동에 따라 상기 감압 밸브의 유출구와 유입구 사이의 유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및 저압 감압 밸브는 각각,
    상기 감압 밸브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서 유로가 개폐되는 부분인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하부 공간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감압 밸브의 유입구와 연통되는 보조스풀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장착되어 오피피스공을 통해 상기 감압 밸브의 유출구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몸체와 커버 사이에 개재된 다이어프램;
    상기 다이어프램에 결합된 다이어프램 플레이트;
    상기 보조스풀부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에 결합된 플런저;
    상기 시트부의 유로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어 승강운동에 의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디스크시트; 및
    상기 디스크 시트에 의한 상기 시트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정수단은,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시트부의 유로가 개방되도록 탄성 바이어스하는 제1 스프링;
    상기 플런저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시트부의 유로가 폐쇄되도록 탄성 바이어스하는 제2 스프링; 및
    나사 운동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에 대한 제1 스프링의 탄성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KR20-2004-0023136U 2004-08-13 2004-08-13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KR200368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136U KR200368324Y1 (ko) 2004-08-13 2004-08-13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136U KR200368324Y1 (ko) 2004-08-13 2004-08-13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730A Division KR100540596B1 (ko) 2004-08-13 2004-08-13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324Y1 true KR200368324Y1 (ko) 2004-11-20

Family

ID=4935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136U KR200368324Y1 (ko) 2004-08-13 2004-08-13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3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123B1 (ko) * 2018-11-01 2019-04-01 주식회사 바램 파일럿식 부스터 펌프 제어 밸브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123B1 (ko) * 2018-11-01 2019-04-01 주식회사 바램 파일럿식 부스터 펌프 제어 밸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763B1 (ko) 유량 연동형 비례제어식 감압 밸브 시스템
CA2704904C (en) Pressure management control valve assembly
KR100540596B1 (ko)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KR20050018909A (ko) 수충격 방지용 제어밸브 시스탬
KR101042289B1 (ko) 유량 연동형 감압 밸브 시스템
KR100481403B1 (ko) 감압 및 압력유지 제어밸브 시스템
KR100783370B1 (ko) 차압유량조절밸브
KR200368324Y1 (ko)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KR100698229B1 (ko) 압력 변화를 이용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
KR101469212B1 (ko) 유량에 따라 수압 조절이 이루어지는 감압 밸브
KR200383975Y1 (ko) 감압 및 릴리프 밸브장치
KR101994110B1 (ko) 역압방지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컨트롤 밸브
KR100903292B1 (ko)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KR101042327B1 (ko) 수압식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파일럿 밸브
KR102032458B1 (ko) 배관내의 유체를 이용한 감압밸브의 제어장치
KR200404834Y1 (ko) 감압밸브
KR950014007B1 (ko) 정유량 역지 밸브
JP2002071048A (ja) 自動圧力調整弁
KR101049962B1 (ko) 복합밸브
KR100517838B1 (ko) 변기밸브의 대, 소변 구분급수장치
KR101336483B1 (ko) 건설장비 가변형 풋 브레이크 밸브
KR200368321Y1 (ko) 수도급수용 감압밸브
KR200420616Y1 (ko) 차압유량조절밸브
KR100479297B1 (ko) 부스터 펌프용 제어밸브 시스템
KR101978164B1 (ko) 인입 유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감압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