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321Y1 - 수도급수용 감압밸브 - Google Patents

수도급수용 감압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321Y1
KR200368321Y1 KR20-2004-0023062U KR20040023062U KR200368321Y1 KR 200368321 Y1 KR200368321 Y1 KR 200368321Y1 KR 20040023062 U KR20040023062 U KR 20040023062U KR 200368321 Y1 KR200368321 Y1 KR 200368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disk
valve body
stem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복
Original Assignee
김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복 filed Critical 김종복
Priority to KR20-2004-0023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3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3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16K31/126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one side of the diaphragm being spring 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 F16K7/17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the diaphragm being actuated by fl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밸브몸체의 유통공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디스크 저부에 스프링을 탄설하여 압력조정볼트를 해제하였을 때 상기 디스크가 유통공에 다소 강한 힘으로 밀착되게 함으로써 유통공으로의 물의 누수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밸브몸체의 적소에 수압게이지를 설치하여 디스크가 유통공의 개방정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보자라도 쉽게 감압밸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항상 유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수도급수용 감압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디스크가 결합되는 스템에 스프링부재를 탄설하여 상기 디스크가 밸브몸체의 유통공에 밀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편, 상기 밸브몸체의 일측에 게이지 나사공을 형성하여 이에 수압게이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도급수용 감압밸브{PRESSURE REDUCING VALVE FOR A WATER SUPPLY}
본 고안은 수도급수용 감압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통공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디스크 저부에 스프링을 탄설하여 압력조정볼트를 해제하였을 때 상기 디스크가 유통공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유통공으로의 물의 누수를 완벽하게 방지한 수도급수용 감압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설비 및 산업설비의 배관상에는 일정한 압력으로 유체가 유동되도록 감압밸브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감압밸브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이 유입구와 배출구의 대략 중앙부에는 유통공(14)을 갖는 격벽(12)이 형성된 밸브몸체(10)와, 상기 밸브몸체(10)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체(20)와, 상기 밸브몸체(10)의 유통공(14)을 개폐시키는 디스크(30)와, 이 디스크(30)가 결합되는 스템(40)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밸브몸체(10)의 배출측(2차측) 공간 내부에 작용되는 유압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는 다이아프램(50)과, 상기 다이아프램(50)의 상면측에 해당되는 상부커버체(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다이아프램(50)을 포함하는 스템(40)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압력조절스프링(60)과, 상기 압력조절스프링(60)의 상부에 가압력을 인가시키도록 상기 상부커버체(20)에 설치되는 압력조정볼트(7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감압밸브는 유통공이 개방된 상태에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배출구로 배출되는 유체의 2차측 압력이 설정된 압력조절스프링(60)의 압력보다 높을 경우 그 압력이 다이아프램(50)에 작용되고 이에 따라 스템(40)이 상승되면서 그 하단에 결합된 디스크(30)가 유통공(14)의 개방정도를 조절하게 되어 유체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감압밸브는 압력조절스프링(60)에 의해다이아프램(50)이 하방으로 압박되어 스템(40)을 하향시킴으로써 디스크(30)가 유통공(14)으로부터 이격되나, 상기 압력조절스프링(60)를 해제하였을 때에는 상기 스템(40)을 상향 작동시켜 주는 수단이 전혀 없고 다이아프램(50)의 복원력에 의해서만 스템(40)이 상승하여 그 저부의 디스크(30)가 유통공(14)을 차단하기 때문에 이 둘 사이의 밀폐력이 크게 저하되어 이들 사이로 물이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감압밸브의 내부의 수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작업자가 감으로 압력조정볼트(70)를 조정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유통공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디스크 저부에 스프링을 탄설하여 압력조정볼트를 해제하였을 때 상기 디스크가 유통공에 다소 강한 힘으로 밀착되게 함으로써 유통공으로의 물의 누수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수도급수용 감압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밸브몸체의 적소에 수압게이지를 설치하여 디스크가 유통공의 개방정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보자라도 쉽게 감압밸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항상 유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수도급수용 감압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감압밸브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감압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밸브몸체 114:유통공
116:나사캡 117:나사공
120:상부커버체 130:디스크
140:스템 150:다이아프램
160:압력조절스프링 170:압력조정볼트
180:스프링부재 190:수압게이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디스크가 결합되는 스템에 스프링부재를 탄설하여 상기 디스크가 밸브몸체의 유통공에 밀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편, 상기 밸브몸체의 일측에 게이지 나사공을 형성하여 이에 수압게이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감압밸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13)가 형성되고 이 유입구(111)와 배출구(113)의 대략 중앙부에는 유통공(114)을 갖는 격벽(112)이 형성된 밸브몸체(110)와, 상기 밸브몸체(110)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체(120)와, 상기 밸브몸체(110)의 유통공(114)을 개폐시킬 수 있게 밀폐링(142)을 구비한 디스크(130)와, 이 디스크(130)가 결합되는 스템(140)이 구성되고, 상기 밸브몸체(110) 하부의 나사관부(115)를 통해 스템(140)에 장착되는 디스크(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링체(141)가 함께 설치된 후 상기 나사관(115)에 나사캡(116)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밸브몸체(110)의 배출측(2차측) 공간 내부에 작용되는 유압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는 다이아프램(150)과, 상기 다이아프램(150)의 상면측에 해당되는 상부커버체(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다이아프램(150)을 포함하는 스템(140)을하방으로 가압하는 압력조절스프링(160)과, 상기 압력조절스프링(160)의 상부에 가압력을 인가시키도록 상기 상부커버체(120)에 설치되는 압력조정볼트(170)가 포함되어 구성된 감압밸브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130)가 결합된 스템(140)의 하부와 나사캡(116) 사이에 스프링부재(180)를 탄설하여 상기 압력조정볼트(170)를 해제하였을 때 상기 스프링부재(180)의 복원력에 의해 디스크(130)가 밸브몸체(110)의 유통공(114)에 밀착되게 한다. 즉, 상기 압력조정볼트(170)를 해제하게 되면 압력조절스프링(160)의 압박력이 사라져 스템(140)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스템(140)의 하부와 나사캡(116) 사이의 스프링부재(180)가 스템(140)을 상방으로 압박됨으로써 상기 디스크(130)가 밸브몸체(110)의 유통공(114)과 강하게 밀착되어 유통공(114)으로의 물의 누수가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몸체(110)의 일측에 게이지 나사공(117)을 형성한 다음, 상기 나사공(117)에 수압게이지(190)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도급수용 감압밸브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통공(114)이 개방된 상태에서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어 배출구(113)로 배출되는 유체의 2차측 압력이 설정된 압력조절스프링(160)의 압력보다 높을 경우 그 압력이 다이아프램(150)에 작용되고, 이에 따라 스템(140)이 상승되면서 그 하단에 결합된 디스크(130)가 유통공(114)의 개방정도를 조절하게 되어 유체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진다.
이때, 상기 압력조정볼트(170)를 완전히 해제하게 되면, 도 3과 같이 이와 결합된 압력조절스프링(160)의 압박력이 사라져 스템(140)이 상승하므로 상기 디스크(130)가 밸브몸체(110)의 유통공(114)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스템(140)의 하부와 나사캡(116) 사이의 스프링부재(180)가 스템(140)을 상방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디스크(130)가 밸브몸체(110)의 유통공(114)과 강하게 밀착되어 유통공(114)으로의 물의 누수가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110)의 게이지 나사공(117)에 수압게이지(190)를 설치하여 밸브몸체(110) 내부의 수압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수압의 세기에 따라 디스크(130)와 유통공(114) 사이의 간극을 적절히 유지시킴으로써 유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유통공(114)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디스크(130) 저부에 스프링부재(180)를 탄설하여 압력조정볼트(170)를 해제하였을 때 상기 디스크(130)가 유통공(114)에 다소 강한 힘으로 밀착되게 함으로써 유통공(114)으로의 물의 누수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밸브몸체(110)의 적소에 수압게이지(190)를 설치하여 디스크(130)가 유통공(114)의 개방정도를 정확하게 조절되게 함으로써, 초보자라도 누구나 쉽게 감압밸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항상 유체의 압력을 일정하게유지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이 유입구(111)와 배출구(113)의 대략 중앙부에는 유통공(114)을 갖는 격벽(112)이 형성된 밸브몸체(110)와, 상기 밸브몸체(110)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체(120)와, 상기 밸브몸체(110)의 유통공(114)을 개폐시킬 수 있게 밀폐링(142)을 구비한 디스크(130)와, 이 디스크(130)가 결합되는 스템(140)이 구성되고, 상기 밸브몸체(110) 하부의 나사관부(115)를 통해 스템(140)에 장착되는 디스크(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링체(141)가 함께 설치된 후 상기 나사관(115)에 나사캡(116)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밸브몸체(110)의 배출측(2차측) 공간 내부에 작용되는 유압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는 다이아프램(150)과, 상기 다이아프램(150)의 상면측에 해당되는 상부커버체(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다이아프램(150)을 포함하는 스템(140)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압력조절스프링(160)과, 상기 압력조절스프링(160)의 상부에 가압력을 인가시키도록 상기 상부커버체(120)에 설치되는 압력조정볼트(170)가 포함되어 구성된 감압밸브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130)가 결합된 스템(140)의 하부와 나사캡(116) 사이에 스프링부재(180)를 탄설하여 상기 압력조정볼트(170)를 해제하였을 때 상기 스프링부재(180)의 복원력에 의해 디스크(130)가 밸브몸체(110)의 유통공(114)에 밀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수도급수용 감압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110)의 일측에 게이지 나사공(117)을 형성한 다음, 상기 나사공(117)에 수압게이지(19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수도급수용 감압밸브.
KR20-2004-0023062U 2004-08-12 2004-08-12 수도급수용 감압밸브 KR200368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062U KR200368321Y1 (ko) 2004-08-12 2004-08-12 수도급수용 감압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062U KR200368321Y1 (ko) 2004-08-12 2004-08-12 수도급수용 감압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321Y1 true KR200368321Y1 (ko) 2004-11-20

Family

ID=49441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062U KR200368321Y1 (ko) 2004-08-12 2004-08-12 수도급수용 감압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3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6513A (zh) * 2017-10-31 2018-02-09 芜湖锐华暖通科技有限公司 一种不锈钢户用减压阀
CN109237089A (zh) * 2017-07-10 2019-01-18 苏州普联力量智能流体控制有限公司 一种自调式丝口减压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7089A (zh) * 2017-07-10 2019-01-18 苏州普联力量智能流体控制有限公司 一种自调式丝口减压阀
CN107676513A (zh) * 2017-10-31 2018-02-09 芜湖锐华暖通科技有限公司 一种不锈钢户用减压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514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hydraulically managing fluid pressure downstream from a main valve between set points
US8381761B2 (en) Pressure management control valve assembly
US10203061B2 (en) Fluid regulator with field convertible slam-shut device
US201200064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hydraulically managing fluid pressure downstream from a main valve
JP2008309255A (ja) 逃がし弁
KR101764709B1 (ko) 유량 및 압력 조절형 감압밸브
KR100481403B1 (ko) 감압 및 압력유지 제어밸브 시스템
US6422260B2 (en) Trap primer
KR200368321Y1 (ko) 수도급수용 감압밸브
KR101437080B1 (ko) 과압으로 인한 다이아프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감압밸브
KR200383975Y1 (ko) 감압 및 릴리프 밸브장치
KR100540596B1 (ko)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KR200464589Y1 (ko) 볼 타입 앵글밸브 일체형 감압밸브
US6662823B2 (en) Auto flow regulator
KR101453353B1 (ko) 정유량 밸브
KR101663070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온수분배기
KR200404834Y1 (ko) 감압밸브
KR101049962B1 (ko) 복합밸브
KR101029685B1 (ko) 압력조절변이 구비된 복합밸브
KR200327655Y1 (ko) 감압밸브
KR20150005294A (ko) 개폐밸브 일체형 수도미터기용 감압밸브
KR200295869Y1 (ko) 감압 밸브
KR101139332B1 (ko) 자동 정유량 밸브
KR101978164B1 (ko) 인입 유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감압밸브
KR200382011Y1 (ko) 차단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