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869Y1 - 감압 밸브 - Google Patents

감압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869Y1
KR200295869Y1 KR2020020023481U KR20020023481U KR200295869Y1 KR 200295869 Y1 KR200295869 Y1 KR 200295869Y1 KR 2020020023481 U KR2020020023481 U KR 2020020023481U KR 20020023481 U KR20020023481 U KR 20020023481U KR 200295869 Y1 KR200295869 Y1 KR 200295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educing
reducing valve
spring assembly
spr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택
신광식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3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8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869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시스템에 직접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감압 밸브가 개시된다. 상기 감압 밸브는 상부 하우징,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며 연결홀이 형성된 격벽에 의해서 유입 챔버 및 유출 챔버로 나누어진 하부 하우징, 하부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유입 챔버를 연결하는 유입 통로, 유입 챔버의 일면을 밀폐하는 제1 스프링 어셈블리, 유출 챔버에 장착되어 제1 스프링 어셈블리의 이동에 대응하여 연결홀을 개폐하는 제2 스프링 어셈블리 및 유출 챔버의 하단에 장착되어 제2 스프링 어셈블리의 하단을 지지하고 유출 챔버와 이어진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를 형성하는 캡을 구비한다. 상기 감압 밸브는 유입 및 유출 포트를 하우징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감압 밸브를 시스템에 장착할 때 별도의 배관을 설치하지 않아도 시스템의 유입 및 유출구가 감압 밸브의 유입 및 유출 포트와 직접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감압 밸브를 교체 또는 수리할 경우에도 시스템에서 간단하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압 밸브{PRESSURE REDUCING VALVE}
본 고안은 물의 압력을 소정의 범위 내에서 조절하기 위한 감압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 흐르는 유로의 중간에 설치되어 물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밸브가 닫히고 물의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밸브가 열림으로써 미리 설정된 압력 내에서 물의 압력을 일정하게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감압 밸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압의 유체를 직접 그 상태의 압력으로 사용하지 않고 구동기기가 필요로 하는 압력으로 감압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처럼 압력을 제어하는 밸브를 압력 제어 밸브라고 한다.
이와 같은 압력 제어 밸브 가운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고압의 유체를 감압하여 일정 압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감압 밸브이다. 상기 감압 밸브는 입구측의 압력에 관계없이 출구측 압력을 입구측 압력보다 낮은 값의 압력으로 조절하는 압력 제어 밸브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유체의 압력을 감압하여 출구측의 압력을 일정한 설정값이 되도록 조정함과 더불어, 입구측 압력의 변동이나 입구측 유체 사용량의 변동이 있어도 설정 압력의 변동을 가장 적게 하도록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감압 밸브는 작동형과 파일럿(pilot)형으로 구분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작동형은 Relief식, Non-Relief식 및 Breed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파일럿형은 정밀식 및 대용량식으로 구분된다.
도 1은 종래의 감압 밸브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감압 밸브는 상부 하우징(10), 하부 하우징(15), 조절 볼트(25), 상부 스프링 장치(30), 하부 스프링 장치(35) 및 캡(4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1 수용부(51)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 때, 제1 수용부(51)의 상부에는 상부 스프링 장치(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볼트(25)가 장착되며, 조절 볼트(25)의 하부에는 상부 스프링 장치(30)의 일측이 연결된다.
상기 상부 스프링 장치(30)는 제1 스프링(61), 브라켓(65), 격막(70), 디스크(75) 및 고정 너트(8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프링(61)의 일측은 조절 볼트(25)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격막(70)을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65)이 설치된다. 브라켓(65)의 하부에는 작동 유체의 압력을 수용하는 디스크(75)가 결합되며, 격막(70)은 제1 수용부(51)를 상기 작동 유체로부터 밀폐하기 위하여 브라켓(65)과 디스크(75)의 사이에 결합된다. 이 때, 브라켓(65), 격막(70) 및 디스크(75)를 결합하기 위하여 디스크(75)의 상부에는 나사 돌출부(85)가 형성되며, 나사 돌출부(85)에 고정 너트(80)를 결합함으로써 브라켓(65), 격막(70) 및 디스크(75)를 결합하게 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15)은 상부 하우징(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챔버(90)가 형성되어 유출되는 유체가 지나가는 공간을 제공하고, 하부에는 챔버(90)와 연통되는 제2 수용부(52)가 형성되어 하부 스프링 장치(35)가 설치된다. 또한, 챔버(90)와 연통되는 유출 포트(95)가 하부 하우징(15)의 일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감압 밸브에서 외부로 유체가 유출되며, 제2 수용부(52)와 연통되는 유입 포트(100)가 하부 하우징(15)의 타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감압 밸브로 외부의 유체가 유입된다.
상기 하부 스프링 장치(35)는 제2 스프링(62), 연결축(105) 및 콕(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스프링(62)의 일측에는 콕(110)의 일측이 삽입되며, 콕(110)의 타측은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챔버(90)와 제2 수용부(52)의 연결구멍(115)을 개폐하게 된다. 이 때, 콕(110)의 타측에는 연결축(105)의 일측이 결합되며, 연결축(105)의 타측은 상부 스프링 장치(30)의 디스크(75)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 유체의 압력에 따른 하부 스프링 장치(35)의 동작을 상부 스프링 장치(30)의 동작과 연동되도록 한다.
상기 캡(40)은 하부 하우징(15)의 하부에 결합되며, 캡(40)의 외주면에는 O-링(120)이 장착되어 캡(40)과 하부 하우징(15)의 결합부를 밀폐한다. 또한, 캡(40)의 상부에는 수용홈(125)이 형성되어 하부 스프링 장치(35)의 제2 스프링(62) 타측을 수용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을 갖는 감압 밸브는 상부에 나사 돌출부(85)가 형성된 디스크(75)에 별도의 고정 너트(80)를 사용하여 격막(70)을 고정시키게 되므로 부품의 수가 증가하게 되며, 조립 과정도 불편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하부 하우징(15)에 유입 및 유출 포트(100, 95)가 외부에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감압 밸브를 사용할 경우에 별도의 배관을 사용하여 유입 및 유출 포트(100, 95)를 연결해야 하며, 연결시에 추가적인 실링 수단이 필요로 하게 된다.
더욱이, 별도의 배관을 사용하여 감압 밸브를 연결하게 되므로 감압 밸브의 교체 또는 수리를 할 경우에, 연결된 배관을 모두 분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별도의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디스크와 격막을 결합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임과 동시에 조립 과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감압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입 및 유출 포트를 하우징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배관을 사용하지 않고도 감압 밸브를 장착함과 동시에 감압 밸브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감압 밸브의 유입 및 유출 포트와 직접 연결될 수 있는 감압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입 및 유출 포트를 하우징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감압 밸브를 교체 또는 수리할 경우에 감압 밸브가 시스템에서 용이하게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감압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감압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감압 밸브가 열려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감압 밸브가 닫혀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감압 밸브 가운데 조절 볼트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감압 밸브 가운데 제1 스프링 어셈블리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감압 밸브 가운데 제2 스프링 어셈블리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감압 밸브 가운데 캡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감압 밸브 205:상부 하우징
210:하부 하우징 215:조절 볼트
221, 222:제1 및 제2 스프링 어셈블리
225:캡 231:제1 수용부
232 : 유입 챔버 241, 242:제1 및 제2 플랜지
251, 252, 253, 254:제1 내지 제4 나사부
255:볼트 260:유출 통로
265:유출 챔버 270:연결홀
281, 282:제1 및 제2 실링홈 291, 292, 293:제1 내지 제3 O-링
295:지지 돌기 300:공기 구멍
311, 312:제1 및 제2 스프링 315:디스크
320:브라켓 325:격막
330:수용 돌기 335:수용홈
340:개폐 축 345:패킹
350:스프링 수용부 355:유입구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압 밸브는 상부 하우징,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며 연결홀이 형성된 격벽에 의해서 유출 챔버 및 유입 챔버로 나누어진 하부 하우징, 하부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유출구와 유출 챔버를 연결하는 유출 통로, 유출 챔버의 일면을 밀폐하는 제1 스프링 어셈블리, 유입 챔버에 장착되어 제1 스프링 어셈블리의 이동에 대응하여 연결홀을 개폐하는 제2 스프링 어셈블리 및 유입 챔버의 하단에 장착되어 제2 스프링 어셈블리의 하단을 지지하고 유입 챔버와 이어진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형성하는 캡을 구비한다.
제1 스프링 어셈블리는 제1 스프링, 디스크, 브라켓 및 격막을 포함하며, 제1 스프링이 상부 하우징에 지지되고, 브라켓 및 격막에 의해서 하부 하우징의 상면을 밀폐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스프링 어셈블리는 조절 볼트에 일측이 지지되는 제1 스프링, 제1 스프링의 타측에 설치되며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 스프링 어셈블리의 일측을 수용하는 수용 돌기가 형성된 디스크, 디스크의 수용 돌기 외주면에 결합되는 브라켓 및 디스크와 브라켓의 사이에 장착되어 유입 챔버의 일면을 밀폐하는 격막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수용 돌기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암나사부가 형성된 브라켓과 나사 결합을 한다.
또한, 제2 스프링 어셈블리는 수용 돌기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게 일측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폐 축, 개폐 축에 장착되어 개폐 축의 이동에 따라 연결홀을 개폐하는 패킹 및 상기 개폐 축과 캡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프링 어셈블리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 볼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실링홈 및 O-링을 형성하여 실링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감압 밸브에 의하면, 디스크와 브라켓을 통하여 직접 격막을 결합함으로써, 너트와 같은 부가적인 부품이 필요 없이 감압 밸브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조립 또한 용이하다. 종래의 감압 밸브와는 달리 유입 및 유출 포트를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감압 밸브를 시스템에 장착할 때, 별도의 배관을 사용하지 않고도 시스템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감압 밸브의 유입 및 유출 포트와 직접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유입 및 유출 포트를 하우징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하여 감압 밸브가 시스템에 직접 장착됨으로써, 감압 밸브를 교체 또는 수리할 경우에 배과 해체와 같은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감압 밸브를 시스템에서 간단하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압 밸브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압 밸브가 열려 있을 때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감압 밸브(200)는 상부 하우징(205), 하부 하우징(210), 조절 볼트(215), 제1 및 제2 스프링 어셈블리(221, 222) 그리고 캡(225)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205)의 내부에는 상부 하우징(205)을 관통하여 조절 볼트(215) 및 제1 스프링 어셈블리(221)가 설치되는 제1 수용부(231)가 형성되며, 상부 하우징(205)의 하부에는 하부 하우징(210)과의 결합을 위한 제1 플랜지(241)가 형성된다. 이 때, 제1 수용부(231)의 상부 내벽에는 제1 나사부(251)가 형성되며, 제1 플랜지(241)에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볼트(255)를 사용하여 상부 하우징(205)과 하부 하우징(210)이 결합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하부로 개방되어 제2 스프링어셈블리(222) 및 캡(225)이 설치되는 유입 챔버(232)가 형성되며, 하부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유입 챔버(232)의 상부에 유출 챔버(265)가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210)의 상부에는 상부 하우징(205)의 제1 플랜지(241)에 대응하는 제2 플랜지(242)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241, 242)의 결합에 의해 하부 하우징(210)이 상부 하우징(205)과 결합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210)에는 측면으로부터 상부로 이어지는 유출 통로(260)가 형성되어, 감압 밸브(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가 유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유입 챔버(232)의 상부에는 유출 챔버(265)가 형성되어 감압 밸브(200)의 내부로 들어온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감압 밸브(200)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유출 통로(260)는 유출 챔버(265)의 일측과 연통된다. 즉 유출 챔버(265) 및 유입 챔버(232) 사이에는 격벽이 배치되고, 양 챔버(232, 265)는 격벽에 형성된 연결홀(270)을 통하여 연통된다. 또한, 하부 하우징(210)의 외면 하부에는 제1 및 제2 실링홈(281, 282)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O-링(291, 292)을 제1 및 제2 실링홈(281, 282)에 장착함으로써, 감압 밸브(200)가 시스템에 장착되었을 때, 유체가 새지 않도록 상기 시스템과 감압 밸브(200)의 연결 부분을 밀폐하게 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감압 밸브 가운데 조절 볼트를 확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절 볼트(215)의 저면에는 지지 돌기(295)가 형성된다. 지지 돌기(295)가 제1 스프링 어셈블리(221)의 일측에 삽입됨으로써, 제1 스프링 어셈블리(221)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조절 볼트(215)의 외주면에는상부 하우징(205)의 제1 수용부(231)에 형성된 제1 나사부(251)에 대응하는 제2 나사부(252)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 나사부(251, 252)를 통하여 조절 볼트(215)가 제1 수용부(231)에서 소정의 길이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즉, 조절 볼트(215)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제1 스프링 어셈블리(221)의 장력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압력에서 감압 밸브(20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절 볼트(215)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공기 구멍(300)이 형성되어, 제1 수용부(231)에 외부 공기가 드나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스프링 어셈블리(221)가 자유롭게 인장 또는 압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감압 밸브 가운데 제1 스프링 어셈블리를 확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스프링 어셈블리(221)는 제1 스프링(311), 디스크(315), 브라켓(320) 및 격막(32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프링(311)의 일측은 조절 볼트(215)의 지지 돌기(295)에 의해 지지되며, 제1 스프링(311)의 타측에는 디스크(315)와 접하며 배치된다.
상기 디스크(315)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수용 돌기(330)가 형성된다. 이 때, 수용 돌기(330)에는 소정 깊이의 수용홈(335)이 형성되어 제2 스프링 어셈블리(222)의 일측을 수용하며, 수용 돌기(330)의 외주면에는 제3 나사부(253)가 형성되어 브라켓(320)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브라켓(320)은 감압 밸브(200)의 내부로 들어오는 유체의 압력을 받아 감압 밸브(200)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브라켓(320)의 중앙에는 디스크(315)의수용 돌기(330)에 대응하는 연결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 구멍에는 수용 돌기(330)에 형성된 제3 나사부(253)에 대응하는 제4 나사부(254)가 형성되어 브라켓(320)과 디스크(315)는 나사 결합을 하게 된다.
이 경우, 격막(325)은 디스크(315)와 브라켓(320)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디스크(315)와 브라켓(320)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격막(325)이 고정된다. 또한, 격막(325)의 외곽은 상부 및 하부 하우징(205, 210)의 사이에 밀착되어, 하부 하우징(210)의 유입 챔버(232)로 들어오는 유체로부터 상부 하우징(205)의 제1 수용부(231)를 밀폐하게 된다.
하부 하우징(210)의 외부면에 고정용 돌기(211)가 형성된다. 고정용 돌기(211)는 시스템의 감압 밸브 수용부(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된 홈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감압 밸브(200)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경우 고정용 돌기(211)에 의해서 감압 밸브(200)가 고정된다. 고정용 돌기(211)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하부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감압 밸브 가운데 제2 스프링 어셈블리를 확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스프링 어셈블리(222)는 제2 스프링(312), 개폐 축(340) 및 패킹(345)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스프링(312)의 일측은 캡(225)에 수용되어 지지되고, 제2 스프링(312)의 타측에는 개폐 축(340)의 일측이 삽입된다.
상기 개폐 축(340)의 타측은 하부 하우징(210)의 연결홀(270)을 통과하여 디스크(315)의 수용홈(335)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디스크(315)의 수용홈(335)에 개폐 축(340)의 타측이 연결됨으로써, 제1 스프링 어셈블리(221)의 동작에 연동하여 제2 스프링 어셈블리(222)가 동작한다.
이 때, 패킹(345)이 개폐 축(340)의 외부에 결합되어, 유체의 압력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서 선택적으로 하부 하우징(210)의 연결홀(270)을 개폐한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감압 밸브 가운데 캡을 확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캡(225)의 상부에는 스프링 수용부(350)가 형성되어 제2 스프링 어셈블리(222)의 일측이 삽입됨으로써, 제2 스프링 어셈블리(222)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캡(225)의 상부 외주면에는 제3 O-링(293)이 장착되어, 캡(225)과 하부 하우징(210)의 결합 부분을 밀폐하게 된다. 또한, 캡(225)의 하부에는 스프링 수용부(350)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355)가 형성되어, 감압 밸브(200)의 내부로 유체가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 입구 역할을 한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감압 밸브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감압 밸브가 열려 있을 때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감압 밸브가 닫혀 있을 때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하우징(205)과 나사 결합을 하고 있는 조절 볼트(215)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절 볼트(215)의 위치를 조정한다. 즉, 조절 볼트(215)의 위치에 따라 제1 스프링 어셈블리(221)의 제1 스프링(311)의 장력이조절되며, 제1 스프링(311)의 힘에 의하여 디스크(315) 및 디스크(315)에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320)이 상부 하우징(205)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격막(325)은 고무와 같이 유연성 있는 재질로 제작되어 상부 하우징(205)의 제1 수용부(231)를 유체로부터 밀폐하게 된다.
상기 디스크(315)의 하강에 의하여 디스크(315)의 수용홈(335)에 연결되어 있는 개폐 축(340)이 하강하며, 제2 스프링 어셈블리(222)의 제2 스프링(312)을 압축시키게 된다. 즉, 개폐 축(340)의 하강에 의하여 개폐 축(340)에 결합되어 있는 패킹(345)이 하강하게 되며, 따라서 유입 챔버(232)와 유출 챔버(265) 사이의 연결홀(270)이 개방된다. 이 때, 제1 스프링(311)은 제2 스프링(312)보다 큰 장력을 갖기 때문에, 일정 압력 이하에서는 제1 스프링 어셈블리(221)이 제2 어셈블리(222)를 가압하여 연결홀(270)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유체는 감압 밸브(200)의 외부로부터 유입구(355)를 통하여 감압 밸브(200)의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이어서, 상기 유체는 유입구(355)와 연결된 유입 챔버(232)로 들어가며, 하부 하우징(210)의 연결홀(270), 유출 챔버(265) 및 유출 통로(260)를 차례로 통과하여 감압 밸브(200)의 외부로 나가게 된다.
감압 밸브(200)의 내부를 통하여 흐르는 상기 유체의 압력이 외부의 조건에 의하여 증가하게 되면, 상기 유체의 압력은 하부 하우징(210)의 유출 챔버(265) 내에서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유체의 압력이 증가하여 제1 스프링 어셈블리(221)을 상부 하우징(221) 쪽으로 밀어낼 때, 브라켓(320)이 상기 유체의 압력을 받아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브라켓(320)과 연결된 디스크(315)가 상승하여 제1스프링(311)을 압축시키게 된다.
상기 디스크(315)가 상승하게 되면, 제2 스프링 어셈블리(222)의 제2 스프링(312)은 압축된 상태에서 인장되어 개폐 축(340)을 상승시킨다. 상기 개폐 축(340)의 상승에 의하여 개폐 축(340)에 결합되어 있는 패킹(345)은 하부 하우징(210)의 유입 챔버(232)와 유출 챔버(265) 사이의 연결홀(270)을 밀폐하게 되며, 따라서 감압 밸브(200)의 내부로 흐르는 상기 유체의 흐름은 차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감압 밸브에 의하면, 디스크와 브라켓을 통하여 직접 격막을 결합함으로써, 너트와 같은 부가적인 부품이 필요 없이 감압 밸브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조립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또한, 유입 및 유출 포트를 하우징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감압 밸브를 시스템에 장착할 때, 별도의 배관을 사용하지 않고도 시스템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감압 밸브의 유입 및 유출 포트와 직접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유입 및 유출 포트를 하우징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하여 감압 밸브가 시스템에 직접 장착됨으로써, 감압 밸브를 교체 또는 수리할 경우에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감압 밸브를 시스템에서 간단하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압 밸브에 대해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며, 연결홀이 형성된 격벽에 의해서 유출 챔버 및 유입 챔버로 나누어진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유출구와 상기 유출 챔버를 연결하는 유출 통로;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유출 챔버의 일면을 밀폐하는 제1 스프링 어셈블리;
    상기 하부 하우징의 유입 챔버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스프링 어셈블리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홀을 개폐하는 제2 스프링 어셈블리; 및
    상기 유입 챔버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스프링 어셈블리의 하단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유입 챔버와 이어진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가 형성된 캡을 구비하는 감압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어셈블리는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 상단에 지지되는 제1 스프링;
    상기 제1 스프링의 하단에 배치되며, 저면에 형성되어 제2 스프링 어셈블리의 상단을 수용하는 수용 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크;
    상기 수용 돌기 외주면에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디스크 및 상기 브라켓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유출 챔버의 일면을 밀폐하는 격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스프링을 지지하는 조절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밸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용 돌기의 외주면에는 형성된 나사부를 통해 상기 디스크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밸브.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링 어셈블리는
    상기 수용 돌기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폐 축;
    상기 개폐 축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 축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홀을 개폐하는 패킹; 및
    상기 개폐 축 및 상기 캡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밸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실링홈 및 상기 각 실링홈에 장착되는 O-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밸브.
KR2020020023481U 2002-08-06 2002-08-06 감압 밸브 KR200295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481U KR200295869Y1 (ko) 2002-08-06 2002-08-06 감압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481U KR200295869Y1 (ko) 2002-08-06 2002-08-06 감압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869Y1 true KR200295869Y1 (ko) 2002-11-23

Family

ID=7307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481U KR200295869Y1 (ko) 2002-08-06 2002-08-06 감압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8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105B1 (ko) 2012-10-24 2014-03-07 (주)대호하이드로릭 일체형 전자비례 감압밸브
KR20220133448A (ko) * 2021-03-25 2022-10-05 민정곤 가스압력조절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105B1 (ko) 2012-10-24 2014-03-07 (주)대호하이드로릭 일체형 전자비례 감압밸브
KR20220133448A (ko) * 2021-03-25 2022-10-05 민정곤 가스압력조절기
KR102485629B1 (ko) 2021-03-25 2023-01-06 민정곤 가스압력조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5210B1 (en) Thermostatic mixing valve
RU2528220C2 (ru) Уравновешенный вставной клапан
KR101401086B1 (ko) 조립식 고압유량제어밸브
EP0805294B1 (en) Multi purpose valve
RU2500956C2 (ru) Клапан с функцией δр (перепада давления) и функцией ограничения потока
JP2008309255A (ja) 逃がし弁
KR20140009103A (ko) 모듈식 인라인형 유체조절기
US5996606A (en) Four-port valve and three-way valve
BRPI0810358B1 (pt) Dispositivo de regulagem de fluido
KR200295869Y1 (ko) 감압 밸브
KR101045094B1 (ko) 고압기체용 2단 감압 조정장치
KR20070062404A (ko) 웨이퍼형 직동식 밸브
KR101938281B1 (ko) 전자식 밸브, 그를 포함하는 배관시스템 및 공조설비
KR100727785B1 (ko) 가스 감압용 레귤레이터
KR20200008167A (ko) 액추에이터, 밸브 및 반도체 제조 장치
KR101049962B1 (ko) 복합밸브
JP2002071048A (ja) 自動圧力調整弁
KR200254789Y1 (ko) 차압유량조절밸브
CN216895926U (zh) 一种低阻力倒流防止器
KR200368321Y1 (ko) 수도급수용 감압밸브
CN214404834U (zh) 一种用于燃气调压器的指挥器
KR101029685B1 (ko) 압력조절변이 구비된 복합밸브
CN219221429U (zh) 用于气动执行器的气源的过滤减压阀
KR100421460B1 (ko) 정유량/정온 조절밸브
CN221610676U (zh) 燃气减压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