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460B1 - 정유량/정온 조절밸브 - Google Patents

정유량/정온 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460B1
KR100421460B1 KR1020030089424A KR20030089424A KR100421460B1 KR 100421460 B1 KR100421460 B1 KR 100421460B1 KR 1020030089424 A KR1020030089424 A KR 1020030089424A KR 20030089424 A KR20030089424 A KR 20030089424A KR 100421460 B1 KR100421460 B1 KR 100421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nstant
piece
pipe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선
윤영복
Original Assignee
신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9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4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Abstract

정온밸브의 단속편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유량누설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정유량을 실현함과 동시에 정유량에 대한 오차범위가 허용범위 내에 있도록 구성된 정유량/정온 조절밸브가 개시된다. 개시된 정유량/정온 조절밸브는 중심에는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좌우측으로는 상기 챔버와 차단된 유입관과 유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상측으로는 제1연결관이 수직되게 형성되되 상기 챔버와 제1연결관 사이에는 상기 챔버와 유출관을 내통시키기 위한 개폐막이 구비되며, 상기 챔버의 하측으로는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는 제2연결관이 챔버를 매개로 제1연결관과 소정의 각도를 지게 형성된 밸브몸체와; 상기 제1연결관과 결합되며 실내온도에 따라 승하강하여 상기 개폐막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단속편을 구비한 정온밸브체와; 상기 제2연결관과 결합되며 노즐편과 상기 노즐편 내부를 승하강하여 상기 노즐편의 개구면적을 변화시켜 노즐편의 통과유량을 일정하게 하는 승하강수단을 구비하는 정유량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유량/정온 조절밸브{AUTO FLOW AND TEMPERATURE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정유량/정온 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주택이나 아파트등의 난방시스템에는 실내의 온도를 항상 적정온도로 조절하기 위해 정온조절밸브가 내설되어 있다. 상기 정온조절밸브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 이하가 되면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온수를 실내에 유입시키고 실내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자동적으로 폐쇄되어 온수가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서 실내를 적정온도로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실내온도를 보다 민감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정유량밸브가 일체로 형성된 정유량/정온 조절밸브가 사용되고 있는 데, 정유량 조절밸브에 의해 온수가 일정한 유량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실내온도를 보다 민감하게 제어할 수 있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정유량/정온 조절밸브가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종래의 정유량/정온 조절밸브의 정유량/정온 조절작용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유량 밸브의 작동을 살펴보면, 유입구(11)를 걸쳐 밸브몸체(10)로 유입된 온수는 여과망(70)을 통해 이물질이 여과된 후 유량조절편(80)의 유입공(82, 83)으로 유입되며, 유입된 유량은 고정편(50)의 상단개구를 경유하여 유출구(12)로 유출된다. 이 때, 유입되는 유량의 유압이 커지면 유량조절편(80)은 상승하여 유입공(83)의 개구면적은 작아지고, 유입되는 유량의 유압이 작아지면 유량조절편은(80)은 다시 탄성편(90)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하여 유입공(83)의 개구면적은 커지게 되므로, 상기 유량조절편의 유입공(82, 83)을 통과하는 단위시간당 유량은 일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정온 밸브의 작동을 살펴보면, 실내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열팽창구(43)의 전진부가(42)가 팽창전진하여 가동편(44)의 가동축(21a)을 밀어 단속편(21)이 고정편(50)의 상단개구를 폐쇄시켜 실내로 온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고, 실내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하강하면 열팽창구(43)가 수축하고 코일스프링(21b)에 복원력에 의해 단속편(21)이 고정편(50)의 상단개구를 개방시켜 실내로 온수가 유입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정유량/정온 조절밸브에 의하면 단속편(21)의 마모가 심해 이를 자주 교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정온밸브는 중력방향에서 대략 유출구 쪽으로 대략 45도의 각도로, 정유량밸브는 중력방향에서 유입구쪽으로 대략 45도의 각도로 서로 일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속편(21) 역시 고정편(50)의 상단개구를 경사지는 방식으로 개폐시키고 있다. 따라서, 단속편(21)은 "A"로 지시된 부분이 "B"로 지시된 부분에 비해 편심하중을 많이 받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편(50)의 상단개구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단속편(21)의 "A"부분이 "B"부분에 비해 마모율이 심하게 된다. 단속편의 편마모가 심해지면 단속편이 고정편(50)의 상단개구를 폐쇄시키더라도 편마모된 부분으로 유로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온수가 실내로 유입되므로 이를 교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참고로, 정유량밸브는 여과망이나 유량조절편의 교체가 요구될 때 그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밸브몸체에 대해 약 30도 내지 6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의 발명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유량밸브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있고, 이에 대해 정온 밸브를 상기 정유량 밸브와 일렬 배치하였기 때문에 단속편의 편마모를 피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특허에 따른 정유량/정온 조절밸브는 유량누설로 인해 정유량이 실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유량에 대한 오차범위가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밸브의 경우 유량조절편(80)이 삽지통(60)의 걸림턱(61)내면을 승/하강할 때 유입공(83)의 개구면적이 조절되어서 정유량이 이루어지지만, 유량조절편(80)과 삽지통(60) 사이에는 유량조절편(80)의 슬라이딩을 위한 슬라이딩 갭(C)이 발생하게 되고, 이 슬라이딩 갭(C) 내로 유량이 누설된다.
이때, 누설유량은 유입되는 유압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비록 유량조절편의 유입공(82, 83)을 통과하는 단위시간당 유량이 일정하더라도, 상기 누설유량이 시간에 따라 가변적이기 때문에 정유량이고 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유입유압이 큰 경우에는 유량누설이 증가되며, 이 경우 정유량에 대한 허용오차범위는 대략 ±10% 정도가 되어 허용오차범위인 ±5%를 초과하므로 신뢰성 높은 정유량을 실현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온밸브의 단속편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정온/정유량 조절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량누설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정유량을 실현함과 동시에 정유량에 대한 오차범위가 허용범위 내에 있도록 구성된 정온/정유량 조절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중심에는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좌우측으로는 상기 챔버와 차단된 유입관과 유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상측으로는 제1연결관이 수직되게 형성되되 상기 챔버와 제1연결관 사이에는 상기 챔버와 유출관을 내통시키기 위한 개폐막이 구비되며, 상기 챔버의 하측으로는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는 제2연결관이 챔버를 매개로 제1연결관과 소정의 각도를 지게 형성된 밸브몸체와; 상기 제1연결관과 결합되며 실내온도에 따라 승하강하여 상기 개폐막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단속편을 구비한 정온밸브체와; 상기 제2연결관과 결합되며 노즐편과 상기 노즐편 내부를 승하강하여 상기 노즐편의 개구면적을 변화시켜 노즐편의 통과유량을 일정하게 하는 승하강수단을 구비하는 정유량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량/정온 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정유량/정온 조절밸브의 개략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몸체의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온밸브체가 밸브몸체에 결합된 개략도이며,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유량 밸브체의 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유량/정온 조절밸브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밸브몸체 120: 챔버
130: 유입관 140: 유출관
150: 제1연결관 151: 개폐막
160: 제2연결관 210: 정온밸브체
220: 단속편 310: 정유량밸브체
320: 노즐편 330: 가이드
340: 실린더 350: 스템
351: 스풀 360: 스프링
370: 스프링 시트 380: 스템 너트
390: 커버 500: 필터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온/정유량 벨브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온/정유량 조절밸브는 밸브몸체(110), 정온밸브체(210) 및 정유량 밸브체(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몸체(1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는 챔버(120)가 형성되며, 상기 챔버(120)의 좌우측으로는 상기 챔버(120)와 차단된 유입관(130)과 유출관(140)이 형성되며, 상기 챔버(140)의 상측으로는 제1연결관(150)이 수직되게 형성되되 상기 챔버(120)와 제1연결관(150) 사이에는 상기 챔버(120)와 유출관(140)을 내통시키기 위한 개폐막(150)이 구비되며, 상기 챔버(120)의 하측으로는 상기 유입관(130)과 연통되는 제2연결관(160)이 챔버(120)를 매개로 제1연결관(150)과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밸브몸체(110)의 중심에는 챔버(120)가 형성되며, 상기 챔버(120)의 양측으로는 유입관(130)과 유출관(140)이 실질적으로 수평되게 형성된다. 상기 유입관(130)은 함몰격막(131)에 의해 챔버(120)와 차단되며, 상기 유출관(140)은 챔버격막(121)에 의해 챔버(120)와 실질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상기 챔버(120)의 상측으로는 제1연결관(150)이 상기 수평적으로 형성된 유입관(130)과 유출관(140)의 배열라인과 실질적으로 수직되게 마련된다. 상기 제1연결관(150)과 챔버(120) 사이에는 중앙에 개폐공(152)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막(151)이 함몰격박(121)에 직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연결관(150)과 유출관(140)은 상기 개폐막(151)을 통과한 유체가 유출관(140)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공간(153)을 형성하고 있다. 후술되겠지만, 상기 제1연결관(150)에는 정온밸브체(210)가 결합되고 상기 개폐막(151)의 개폐공(152)은 정온밸브체(210)의 단속편(22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된다.
상기 챔버(120)의 하측으로는 유입관(130)과 연통된 제2연결관(160)이 챔버(120)를 매개로 제1연결관(150)과 소정의 각도로 마련된다. 즉, 상기 제2연결관(150)은 수평적으로 형성된 유입관(130)과 유출관(140)의 배열라인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두고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유량밸브는 여과망등의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밸브몸체에 대해 약 30도 내지 60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본 발명에서도 이를 위해 정유량밸브(310)가 장착될 제2연결관(160)을 소정의 각도로 마련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연결관(160)은 제1연결관(150)에 대해 약 120도 내지 약 150도의 각도를 두고 마련된다.
상기 정온밸브체(2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관(150)과 결합되며 실내온도에 따라 승하강하여 상기 개폐막(15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단속편(220)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유량/정온밸브체는 공지된 정온밸브체로서, 예를 들면, 실내온도감지기로부터 그 신호를 받은 모터 구동수단이 상기 단속편(152)을 승하강시킴으로써 상기 개폐막의 개폐공(152)을 개폐시키거나, 또는 온도에 따라 팽창가능한 팽창물질, 예를 들면 왁스와 같은 물질의 팽창/수축에 연동하여 단속편(152)이 상기 개폐막의 개페공(152)을 개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서술은 예시적인 것이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공지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온밸브체(210)에 의하면, 실내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모터 구동수단 또는 팽창물질이 팽창 전진하고 이에 연동하여 단속편(220)이 하강하여 개폐막(151)이 폐쇄되어 온수가 유출구로 유입되지 않아 실내의 온도가 하강하게 되고, 실내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모터 구동수단 또는 팽창물질이 수축후퇴하고 이에 연동하여 단속편(220)이 상승하여 개폐막(151)이 개방되고 온수가 유출관(140)로 유출되어 실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정유량밸브체(310)는 상기 제2연결관(160)과 결합되며 노즐편과 상기 노즐편 내부를 승하강하여 상기 노즐편의 개구면적을 변화시켜 노즐편의 통과유량을 일정하게 하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4와 도5는 이러한, 본 발명의 따른 정유량밸브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4 및 도5를 참고하면, 상기 정유량밸브체는(310)는 노즐편(320)과 상기 노즐편의 통과유량을 일정하게 하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편(320)은 그 중심에 노즐공(3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공(321)은 하측으로 갈수록 개구면적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이며, 외주면으로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편의 노즐공내로는 승하강수단이 승하강하는데, 상기 승하강수단은 가이드(330), 실린더(340), 스템(350), 스프링(360), 스프링 지지수단 및 커버(39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330)는 도4의 추출 저면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보스(331)와 외부보스(332) 및 상기 내부보스(331)와 외부보스(332)를 연결하는 연결리브(333)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보스(331)의 중심에는 관통공(3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보스(332)의 상측 내면으로는 상기 노즐편(320)의 나사가 치합되기 위한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리브(333)는 후술할 실린더(34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턱(3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리브(333)와 연결리브(333) 사이는 개방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340)는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공(341)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가이드의 연결리브의 결합턱(334)에 끼움결합된다.
상기 가이드(330)의 관통공(334)내로는 상측에 스풀(351)이 형성된 스템(35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스풀(351)의 저면은 압력을 수용하기 위한 가압판이며, 스풀의 상면은 압력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340)와 스템(350)사이에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60)이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스템(350)의 하부에는 스프링 지지수단으로서, 스프링 시트(370)와 스템너트(380)가 순차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시트(370)는 그 중심에 중심공(371)이 형성되어 스템(350)이 상기 중심공(371)에 삽입되며, 측면에는 오링(374)이 장착되는 삽입홈(3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시트(370)의 하측으로는 상기 스프링 시트(370)의 슬림을 방지하기 위한 스템너트(380)가 렌즈볼트(381)에 의해 스템(35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커버(390)가 제2연결관(160)을 밀폐하기 위해 제2연결관의 말단에 장착된다. 커버(390)와 실린더(340) 사이에는 스프링 와셔(391)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제2연결관(160)은 가스켓(392)이나 커버오링(393)에 의해 패킹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320)의 외주면으로는 필터(500)가 장착되어 유입관(130)을 통해 유입된 온수의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정유량 밸브체(310)의 작동을 살펴보면, 유입관(130)을 통해 유입된 온수는 필터(500)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된 후 실린더(340)의 외면과 가이드의 외부보스(332)의 내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후 스풀(351)의 저면을 가압하거나, 실린더(340)의 유입공(341)을 걸쳐 실린더(340)의 내면과 내부보스(331)의 외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후 연결리브(333)와 연결리브(333) 사이의 개방된 공간으로 유입된 후 스풀(351)의 저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350)이 승강하고 스풀(351)은 노즐편(320)의 노즐공(321) 사이로 진입하며, 스템(350)의 하측에 장착된 스프링 지지수단(370, 380)도 함께 승강하여 스프링(360)이 압축된다.
유입 온수의 압력에 비례하여 스템(350)은 노즐공(321) 사이로 점차 진입하고, 이에 따라 테이퍼진 노즐공(321)의 개구단면은 점차 적어지게 된다. 즉, 유압이 커지면 유속이 증가되고 노즐공(321)의 개구단면은 감소되는 것이다. 단위시간당 개구단면을 통과하는 유량은 속도 * 개구단면으로 정의되므로, 노즐공(321)의 개구단면을 통과하는 유량은 일정하게 된다. 또한, 유입압이 스프링(360)의 탄지력보다 약해지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스풀(351)은 노즐공(321)을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노즐공(321)의 개구단면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유입압이 작은 경우에도 노즐공의 개구단면을 통과하는 유량은 일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유량/정온 밸브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도6을 참고하여 총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체의 유동경로는 유입관(130)을 통해 걸쳐 실린더(340)의 외면과 가이드의 외부보스(332)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후 스풀(351)의 저면을 가압하면서 노즐공(351)을 통과한 후 챔버(120)로 향하거나, 실린더(340)의 유입공(341)을 걸쳐 실린더의 내면과 내부보스(331)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후 연결리브(333)와 연결리브(333) 사이의 개방된 공간으로 유입된 후 스풀(351)의 저면을 가압하면서 노즐공(351)을 통과한 후 챔버(120)로 향하게 된다. 여기서, 노즐공을 통과하는 유량은 항상 일정하게 된다. 이 때, 실내온도가 하강하여 단속편(220)이 상승하면 개폐공(152)을 통해 유출공간(153)으로 유동하여 유출관(140)을 통해 유출되며, 실내온도가 상승하면 단속편(220)이 개폐공(152)을 패쇄시켜 챔버(120)에 저수된 상태로 남게 된다. 따라서, 실내온도는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단속편(220)은 개폐공(152)내를 중력방향과 일치되는 방식으로 개폐시키기 때문에 단속편(220)의 편마모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정온밸브체(210)와 정유량밸브체(310)는 챔버(120)를 매개로 하여 소정의 각도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막(151)은 챔버(120) 상부에 마련함으로써 단속편(220)이 개폐막(151)을 경사지지 않고 중력방향과 일치되게 개페시킬수 있게 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정유량 밸브체(310)는 종래와 같이 유량누설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정유량을 실현함과 동시에 정유량에 대한 오차범위가 허용범위 내에 있게 된다. 즉, 상기 정유량 밸브체(310)에 따르면 정유량밸브체(3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은 오로지 노즐편(320)의 노즐공(321)의 개구면적에 의해서만 결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유량누설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정유량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유량의 오차범위를 항상 ±5% 이내로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챔버(120)는 유체의 흐름을 안정화시켜 소음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즉, 챔버(120)는 정유량밸브체(310)를 통과한 유체를 안정적으로 수용한 후 유출관(140)으로 안정적으로 배출시켜 유체의 흐름에 와류를 방지하는 완충챔버로서, 이에 따라 와류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유량/정온 조절밸브에 의하면, 정온밸브의 단속편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유량누설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정유량을 실현함과 동시에 정유량에 대한 오차범위를 항상 허용범위내에 있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이상에서의 서술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한 것이므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중심에는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좌우측으로는 상기 챔버와 차단된 유입관과 유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상측으로는 제1연결관이 수직되게 형성되되 상기 챔버와 제1연결관 사이에는 상기 챔버와 유출관을 내통시키기 위한 개폐막이 구비되며, 상기 챔버의 하측으로는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는 제2연결관이 챔버를 매개로 제1연결관과 소정의 각도를 지게 형성된 밸브몸체와;
    상기 제1연결관과 결합되며 실내온도에 따라 승하강하여 상기 개폐막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단속편을 구비한 정온밸브체와;
    상기 제2연결관과 결합되며 노즐편과 상기 노즐편 내부를 승하강하여 상기 노즐편의 개구면적을 변화시켜 노즐편의 통과유량을 일정하게 하는 승하강수단을 구비하는 정유량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량/정온 조절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은 120도 내지 150도의 각도를 지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량/정온 조절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수단은
    관통공이 형성된 내부보스, 상기 노즐편이 결합되기 위한 외부보스 및 상기내부보스와 외부보스를 연결하며 결합턱이 형성된 연결리브로 구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결합턱에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공이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가이드의 관통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하며 상측에는 스풀이 형성된 스템과; 상기 실린더와 스템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과; 상기 스템의 하측에 장착되어 스프링을 지지하며 측면에는 오링이 장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스프링 시트와; 상기 스프링 시트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스프링 시트의 슬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템 하부에 고정된 스템너트와; 상기 제2연결관의 말단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량/정온 조절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외주면으로는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온수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량/정온 조절밸브.
KR1020030089424A 2003-12-10 2003-12-10 정유량/정온 조절밸브 KR100421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424A KR100421460B1 (ko) 2003-12-10 2003-12-10 정유량/정온 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424A KR100421460B1 (ko) 2003-12-10 2003-12-10 정유량/정온 조절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1460B1 true KR100421460B1 (ko) 2004-03-09

Family

ID=3732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424A KR100421460B1 (ko) 2003-12-10 2003-12-10 정유량/정온 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4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948B1 (ko) 2019-01-30 2020-06-04 김민서 온도감응 유량 자가제어 밸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유체 운용 설비
KR102531504B1 (ko) * 2021-12-29 2023-05-11 주식회사 포스톤텍 통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상수도 급수용 정유량 조절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948B1 (ko) 2019-01-30 2020-06-04 김민서 온도감응 유량 자가제어 밸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유체 운용 설비
KR102531504B1 (ko) * 2021-12-29 2023-05-11 주식회사 포스톤텍 통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상수도 급수용 정유량 조절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3021B1 (en) Pressure reducing valve with shut off
US9671038B2 (en) Pilot valve with mechanical valve actuator
US5372157A (en) Automatic bypass valve
KR100421460B1 (ko) 정유량/정온 조절밸브
KR100421461B1 (ko) 정유량/정온 조절밸브
JPH08270806A (ja) 自動圧力調整弁
EP0592415B1 (en) Valve arrangement
KR100561208B1 (ko) 릴리프 및 감압 기능을 가지는 파일럿 밸브
KR101124475B1 (ko) 유량조절밸브
JP3897619B2 (ja) 自動給水装置
US4427174A (en) Irrigation system flushing valve
KR20010013329A (ko) 유압 시스템의 압력 스위치용 액츄에이터 밸브
KR101815517B1 (ko) 내부 압력제어설비를 갖는 3방밸브
JP4292060B2 (ja) 常閉形フロート式オートドレン
KR200295869Y1 (ko) 감압 밸브
KR200442108Y1 (ko) 차압조절밸브
JP2503198B2 (ja) 受水槽給水配管系の定水位弁
KR101978164B1 (ko) 인입 유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감압밸브
KR200340167Y1 (ko) 전자석 밸브
KR200207682Y1 (ko) 온,오프식 고저수위 제어용 정수위 밸브
JP2005202736A (ja) 減圧弁装置
KR200303565Y1 (ko) 펌프과열방지용 드레인밸브
KR200252479Y1 (ko) 수도용 감압밸브
JP2805222B2 (ja) 2段切換式液位調整弁
JPH053016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