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629B1 - 가스압력조절기 - Google Patents

가스압력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629B1
KR102485629B1 KR1020210038550A KR20210038550A KR102485629B1 KR 102485629 B1 KR102485629 B1 KR 102485629B1 KR 1020210038550 A KR1020210038550 A KR 1020210038550A KR 20210038550 A KR20210038550 A KR 20210038550A KR 102485629 B1 KR102485629 B1 KR 102485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using
pressure
gas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3448A (ko
Inventor
민정곤
Original Assignee
민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정곤 filed Critical 민정곤
Priority to KR1020210038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629B1/ko
Publication of KR20220133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38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82Constructional details of valves, reg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가스압력조절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본 발명은 가스탱크의 출구와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는 캡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역류방지밸브와, 상기 캡에 설치되어 상기 역류방지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작동부재와, 상기 밸브작동부재에 의해 작동되었던 역류방지밸브를 복귀시켜주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가스압력조절기로서,
상기 몸체부는, 외주면에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반복된 형태 환형의 방열핀이 마련되고, 내부에는 상기 가스탱크의 고압가스가 유입되는 고압실과, 상기 고압실과 상기 역류방지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감압실과, 상기 감압실와 연통되는 연통유로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된 채 상기 가스탱크의 출구와 결속되어, 상기 가스탱크의 고압가스가 유입되는 고압가스 유입포트; 상기 하우징의 일 측부에 마련된 채 내부에 과압이 발생할 경우 과압분을 외부로 자동 배출하는 안전변; 상기 하우징의 타 측부에 마련된 채 감압가스가 토출되는 감압포트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고압실 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하우징의 감압실 내에 위치하며, 측면에는 상기 감압실과 연통되는 방사상의 고압가스 배출구이 형성된 헤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의 내부 중앙에는 상기 고압가스 배출구와 연통되는 개폐홀이 형성된 밸브하우징; 상기 고정부의 내부공간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은 상기 내부공간의 내벽과의 사이에 미세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블록; 상기 밸브블록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체결되는 밸브핀; 하부는 상기 밸브하우징의 헤드부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밸브핀의 상단에 밀접하게 설치되며, 상부는 상기 감압실에 위치하는 T자형의 밸브 작동핀;으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작동부재는, 상기 캡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노브의 회전조작에 따라 승강 작동되는 승강나사; 상기 캡의 내부공간 상측에 승강나사의 하단과 접해 있는 상부 스프링 홀더; 상기 캡의 내부공간 하측에 상부 스프링 홀더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부 스프링 홀더; 상기 상부 스프링 홀더와 하부 스프링 홀더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승강나사의 하강시 압축되면서 상기 하부 스프링 홀더를 하향으로 밀어주는 작동스프링; 상기 하우징의 상단과 캡 내부의 누름턱 사이에 눌림 결합된 채, 상기 하부 스프링 홀더에 의해 가압력이 작용하면 하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밸브 작동핀를 가압하고, 가압력이 소멸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는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귀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의 고압실 하부에 마련된 스프링실 내에 설치된 채 상기 밸브블록의 하부를 탄력지지하면서 하강했던 밸브블록을 상향으로 탄력적으로 밀어 올려주어 원위치시켜주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압력조절기{Gas pressure regulator}
본 발명은 콤프레셔 또는 비상용 소화기에 적용되는 가스압력조절기에 관련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역류방지밸브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조립공수를 줄이고 제작원가를 절감한 점, 다이어프램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리크 문제를 해소한 점, 밸브하우징에 형성되는 가스 배출구의 방향을 밸브 작동핀의 작동방향과 같지 않도록 틀어지게 형성함으로써, 가스 배출시 밸브 작동핀의 간섭없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 점, 부수적으로 다이어프램의 재질 개선을 통해 내구성을 강화한 점에 특징을 갖는 가스압력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특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801478호(2008.01.30, 등록)(이하 '선행문헌'이라 함)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도 1 및 2에서와 같이, 캡(200)에 나사방식으로 설치된 조절노브(210)를 회전조작하여 진퇴시킴에 따라, 전진방향에 위치하는 가압핀(470)을 고정편(330)을 매개로 하여 일종의 밸브인 가압핀(470)을 누르거나 또는 이격시켜서 밸브캡(410)에 마련된 관통홀(411)을 개폐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가압핀(470)이 관통홀(411)을 차폐하고 있을 때는 밸브홈(180)과 공간부(140)가 단절된 상태이므로 밸브홈(180) 내의 고압가스가 공간부(140)로 유동하지 못한다.
반대로, 가압핀(470)이 관통홀(411)을 개방하게 되면 밸브홈(180)과 공간부(140)가 연통된 상태가 되므로 고압유로(150)로부터 밸브홈(180)으로 유입된 고압가스가 공간부(140)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문헌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 째, 선행문헌은 도 3에서와 같이, 다이아프램(300)이 러버판(310), 지지편(320), 고정편(330) 및 보호링(340) 등 총 4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구성부품의 수가 불필요하게 많다. 따라서, 조립공수의 증가는 물론 제작비가 상대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
둘 째, 실질적으로 다이아프램의 역할을 하는 러버판(310)의 중앙에 관통공(311)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311)으로 고정편(330)의 결합후크가 결속되어 있는데, 연한이 경과함에 따라 결속력이 약화되면서 틈새가 발생하면 이를 통해 리크(leak)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기기의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세 째, 관통홀(411)의 출구 앞에 러버판(310)이 위치하고 있어서 러버판(310)이 전진하였을 때 관통홀(411)의 출구를 막을 우려가 있고, 설사 출구를 막지 않는다 하더라도 관통홀(411)을 통하는 고압가스의 원활한 토출을 방해할 수 있다.
연관하여, 러버판(310)은 관통홀(411)을 통해 고압으로 토출되는 고압가스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므로 내구연한을 단축시켜서 조기 손상될 수 있다.
문헌 1 : 등록특허공보 제10-0801478호(2008.01.30,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역류방지밸브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조립공수를 줄이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가스압력조절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이어프램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리크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가스압력조절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브하우징에 형성되는 가스 배출구의 방향을 밸브 작동핀의 작동방향과 같지 않도록 틀어지게 형성함으로써, 가스 배출시 밸브 작동핀의 간섭없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 가스압력조절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스탱크(1)의 출구(1a)와 결합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는 캡(30)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역류방지밸브(40)와, 상기 캡(30)에 설치되어 상기 역류방지밸브(40)를 작동시키는 밸브작동부재(50)와, 상기 밸브작동부재에 의해 작동되었던 역류방지밸브를 복귀시켜주는 복귀스프링(60)을 포함하는 가스압력조절기(10)로서, 상기 몸체부(20)는, 외주면에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반복된 형태 환형의 방열핀(21a)이 마련되고, 내부에는 상기 가스탱크(1)의 고압가스가 유입되는 고압실(21b)과, 상기 고압실과 상기 역류방지밸브(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감압실(21c)과, 상기 감압실(21c)와 연통되는 연통유로(26)가 마련된 하우징(21);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된 채 상기 가스탱크(1)의 출구(1a)와 결속되어, 상기 가스탱크(1)의 고압가스가 유입되는 고압가스 유입포트(22); 상기 하우징의 일 측부에 마련된 채 내부에 과압이 발생할 경우 과압분을 외부로 자동 배출하는 안전변(23); 상기 하우징의 타 측부에 마련된 채 감압가스가 토출되는 감압포트(24)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밸브(40)는, 상기 하우징(21)의 고압실(21b) 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41a)와;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하우징(21)의 감압실(21c) 내에 위치하며, 측면에는 상기 감압실(21c)과 연통되는 방사상의 고압가스 배출구(41b-1)이 형성된 헤드부(41b)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41b)의 내부 중앙에는 상기 고압가스 배출구(41b-1)와 연통되는 개폐홀(41b-2)가 형성된 밸브하우징(41); 상기 고정부(41a)의 내부공간(41a-1)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은 상기 내부공간(41a-1)의 내벽과의 사이에 미세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홀(41b-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블록(42); 상기 밸브블록(42)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홈(41b-3)에 체결되는 밸브핀(43); 하부는 상기 밸브하우징(41)의 헤드부(41b)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밸브핀(43)의 상단에 밀접하게 설치되며, 상부는 상기 감압실(21c)에 위치하는 T자형의 밸브 작동핀(44);으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작동부재(50)는, 상기 캡(30)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노브(51a)의 회전조작에 따라 승강 작동되는 승강나사(51); 상기 캡(30)의 내부공간(31) 상측에 승강나사(51)의 하단과 접해 있는 상부 스프링 홀더(52); 상기 캡(30)의 내부공간(31) 하측에 상부 스프링 홀더(52)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부 스프링 홀더(53); 상기 상부 스프링 홀더(52)와 하부 스프링 홀더(53)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승강나사(51)의 하강시 압축되면서 상기 하부 스프링 홀더(53)를 하향으로 밀어주는 작동스프링(54); 상기 하우징(21)의 상단과 캡(30) 내부의 누름턱(32) 사이에 눌림 결합된 채, 상기 하부 스프링 홀더(53)에 의해 가압력이 작용하면 하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밸브 작동핀(44)를 가압하고, 가압력이 소멸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는 다이아프램(55);으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귀스프링(60)은, 상기 하우징(21)의 고압실(21b) 하부에 마련된 스프링실(21d) 내에 설치된 채 상기 밸브블록(42)의 하부를 탄력지지하면서 하강했던 밸브블록을 상향으로 탄력적으로 밀어 올려주어 원위치시켜주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가스압력조절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밸브블록(42)은, 상측 내부에 요입홈(42a-1)을 갖는 외부 밸브블록(42a); 및 상기 요입홈(42a-1)의 내부에 압입되며, 상기 개폐홀(41b-2)을 개폐하는 내부 밸브블록(4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21)의 고압실(21b) 상측 내주면과 상기 밸브하우징(41)의 고정부(41a) 외주면 사이에 실링체(70)가 개입되되, 상기 실링체(70)는 우레탄 소재로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이아프램(55)은 클로로프렌의 유화 중합으로 제조되는 폴리클로로프렌( polychloroprene) 고무로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21)의 고압가스 유입포트(22)와 스프링실(21d) 사이의 유로에 매립 설치되어, 상기 가스탱크(1)의 전복 시 액화가스의 유입을 지연시키고, 균일한 유입되는 가스에 이물질을 여과하는 금속소결필터(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류방지밸브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조립공수를 줄이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어프램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리크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하우징에 형성되는 가스 배출구의 방향을 밸브 작동핀의 작동방향과 같지 않도록 틀어지게 형성함으로써, 가스 배출시 밸브 작동핀의 간섭없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아프램의 재질 변경을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가스압력조절기의 작동 전 상태도
도 2는 종래 가스압력조절기의 작동 후 상태도
도 3은 종래 가스압력조절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압력조절기의 적용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압력조절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압력조절기의 작동 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압력조절기의 작동 후 단면도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시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압력조절기의 적용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압력조절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압력조절기의 작동 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압력조절기의 작동 후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압력조절기는, 가스탱크(1)의 출구(1a)에 결합되어 가스탱크 내의 고압가스를 감압시킨 후 토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가스압력조절기는 가스탱크(1)의 출구(1a)와 결합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는 캡(30)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역류방지밸브(40)와, 상기 캡(30)에 설치되어 상기 역류방지밸브(40)를 작동시키는 밸브작동부재(50)와, 상기 밸브작동부재에 의해 작동되었던 역류방지밸브를 복귀시켜주는 복귀스프링(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0)는 외주면에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반복된 형태 환형의 방열핀(21a)이 마련되고, 내부에는 상기 가스탱크(1)의 고압가스가 유입되는 고압실(21b)과, 상기 고압실과 상기 역류방지밸브(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감압실(21c)과, 상기 감압실(21c)와 연통되는 연통유로(26)가 마련된 하우징(2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하우징(21)의 하부에 마련된 채 상기 가스탱크(1)의 출구(1a)와 결속되어, 상기 가스탱크(1)의 고압가스가 유입되는 고압가스 유입포트(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하우징(21)의 일 측부에 마련된 채 내부에 과압이 발생할 경우 과압분을 외부로 자동 배출하는 안전변(23); 상기 하우징의 타 측부에 마련된 채 감압가스가 토출되는 감압포트(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감압포트(24)는 앞서 설명된 선행특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구성은 생략한다.
상기 역류방지밸브(40)는 상기 하우징(21)의 고압실(21b) 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41a)와,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하우징(21)의 감압실(21c) 내에 위치하며, 측면에는 상기 감압실(21c)과 연통되는 방사상의 고압가스 배출구(41b-1)이 형성된 헤드부(41b)로 이루어지는 밸브하우징(4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41b)의 내부 중앙에는 상기 고압가스 배출구(41b-1)와 연통되는 개폐홀(41b-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밸브(40)는 상기 고정부(41a)의 내부공간(41a-1)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은 상기 내부공간(41a-1)의 내벽과의 사이에 미세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홀(41b-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블록(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블록(42)은 상측 내부에 요입홈(42a-1)을 갖는 외부 밸브블록(42a)과, 상기 요입홈(42a-1)의 내부에 압입되며, 상기 개폐홀(41b-2)을 개폐하는 내부 밸브블록(4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밸브(40)는 상기 밸브블록(42)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홈(41b-3)에 체결되는 밸브핀(4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밸브(40)는, 하부는 상기 밸브하우징(41)의 헤드부(41b)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밸브핀(43)의 상단에 밀접하게 설치되며, 상부는 상기 감압실(21c)에 위치하는 T자형의 밸브 작동핀(44)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21)의 고압실(21b) 상측 내주면과 상기 밸브하우징(41)의 고정부(41a) 외주면 사이에는 리크방지를 위하여 실링체(70)가 개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체(70)는 우레탄 소재로 제조함으로써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명연장이 가능하다.
상기 밸브작동부재(50)는 상기 캡(30)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노브(51a)의 회전조작에 따라 승강 작동되는 승강나사(51)를 포함한다.
또한, 밸브작동부재(50)는 상기 캡(30)의 내부공간(31) 상측에 승강나사(51)의 하단과 접해 있는 상부 스프링 홀더(52)를 포함한다.
또한, 밸브작동부재(50)는 상기 캡(30)의 내부공간(31) 하측에 상부 스프링 홀더(52)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부 스프링 홀더(53)를 포함한다.
또한, 밸브작동부재(50)는 상기 상부 스프링 홀더(52)와 하부 스프링 홀더(53)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승강나사(51)의 하강시 압축되면서 상기 하부 스프링 홀더(53)를 하향으로 밀어주는 작동스프링(54)을 포함한다.
또한, 밸브작동부재(50)는 상기 하우징(21)의 상단과 캡(30) 내부의 누름턱(32) 사이에 눌림 결합된 채, 상기 하부 스프링 홀더(53)에 의해 가압력이 작용하면 하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밸브 작동핀(44)를 가압하고, 가압력이 소멸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는 다이아프램(5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이아프램(55)은 클로로프렌의 유화 중합으로 제조되는 폴리클로로프렌( polychloroprene) 고무로 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폴리클로로프렌(또는 네오프렌이라고도 함)은 내유성(耐油性)을 가진 합성 고무이다. 특히 화학 약품에는 니트릴 고무보다 강하며 내후(耐候), 내(耐) 오존성이 좋고, 내굴곡성(耐屆曲性)도 우수하며, 다이어프램에는 매우 적합한 재료이다.
상기 복귀스프링(60)은 상기 하우징(21)의 고압실(21b) 하부에 마련된 스프링실(21d) 내에 설치된 채 상기 밸브블록(42)의 하부를 탄력지지하면서 하강했던 밸브블록을 상향으로 탄력적으로 밀어 올려주어 원위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21)의 고압가스 유입포트(22)와 스프링실(21d) 사이의 유로에 매립 설치되는 금속소결필터(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소결필터(80)는 상기 가스탱크(1)의 전복 시 액화가스의 유입을 지연시키고, 균일한 유입되는 가스에 이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에 비해 역류방지밸브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조립공수를 줄이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다이어프램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리크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밸브하우징에 형성되는 가스 배출구의 방향을 밸브 작동핀의 작동방향과 같지 않도록 틀어지게 형성함으로써, 가스 배출시 밸브 작동핀의 간섭없이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10 : 가스압력조절기 20 : 몸체부
21 : 하우징 21a : 방열핀
22 : 고압가스 유입포트 23 : 안전변
24 : 감압포트 30 : 캡
40 : 역류방지밸브 41 : 밸브하우징
42 : 밸브블록 43 : 밸브핀
44 : 작동핀 50 : 밸브작동부재
51 : 승강나사 52 : 상부 스프링 홀더
53 : 하부 스프링 홀더 54 : 작동스프링
55 : 다이아프램 60 : 복귀스프링
70 : 실링재 80 : 금속소결필터

Claims (5)

  1. 가스탱크(1)의 출구(1a)와 결합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는 캡(30)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역류방지밸브(40)와, 상기 캡(30)에 설치되어 상기 역류방지밸브(40)를 작동시키는 밸브작동부재(50)와, 상기 밸브작동부재에 의해 작동되었던 역류방지밸브를 복귀시켜주는 복귀스프링(60)을 포함하는 가스압력조절기(10)로서,
    상기 몸체부(20)는, 외주면에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반복된 형태 환형의 방열핀(21a)이 마련되고, 내부에는 상기 가스탱크(1)의 고압가스가 유입되는 고압실(21b)과, 상기 고압실과 상기 역류방지밸브(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감압실(21c)과, 상기 감압실(21c)와 연통되는 연통유로(26)가 마련된 하우징(21);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된 채 상기 가스탱크(1)의 출구(1a)와 결속되어, 상기 가스탱크(1)의 고압가스가 유입되는 고압가스 유입포트(22); 상기 하우징의 일 측부에 마련된 채 내부에 과압이 발생할 경우 과압분을 외부로 자동 배출하는 안전변(23); 상기 하우징의 타 측부에 마련된 채 감압가스가 토출되는 감압포트(24)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밸브(40)는, 상기 하우징(21)의 고압실(21b) 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41a)와;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하우징(21)의 감압실(21c) 내에 위치하며, 측면에는 상기 감압실(21c)과 연통되는 방사상의 고압가스 배출구(41b-1)이 형성된 헤드부(41b)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41b)의 내부 중앙에는 상기 고압가스 배출구(41b-1)와 연통되는 개폐홀(41b-2)이 형성된 밸브하우징(41); 상기 고정부(41a)의 내부공간(41a-1)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은 상기 내부공간(41a-1)의 내벽과의 사이에 미세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홀(41b-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블록(42); 상기 밸브블록(42)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홈(41b-3)에 체결되는 밸브핀(43); 하부는 상기 밸브하우징(41)의 헤드부(41b)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밸브핀(43)의 상단에 밀접하게 설치되며, 상부는 상기 감압실(21c)에 위치하는 T자형의 밸브 작동핀(44);으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작동부재(50)는, 상기 캡(30)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노브(51a)의 회전조작에 따라 승강 작동되는 승강나사(51); 상기 캡(30)의 내부공간(31) 상측에 승강나사(51)의 하단과 접해 있는 상부 스프링 홀더(52); 상기 캡(30)의 내부공간(31) 하측에 상부 스프링 홀더(52)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부 스프링 홀더(53); 상기 상부 스프링 홀더(52)와 하부 스프링 홀더(53)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승강나사(51)의 하강시 압축되면서 상기 하부 스프링 홀더(53)를 하향으로 밀어주는 작동스프링(54); 상기 하우징(21)의 상단과 캡(30) 내부의 누름턱(32) 사이에 눌림 결합된 채, 상기 하부 스프링 홀더(53)에 의해 가압력이 작용하면 하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밸브 작동핀(44)를 가압하고, 가압력이 소멸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는 다이아프램(55);으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귀스프링(60)은, 상기 하우징(21)의 고압실(21b) 하부에 마련된 스프링실(21d) 내에 설치된 채 상기 밸브블록(42)의 하부를 탄력지지하면서 하강했던 밸브블록을 상향으로 탄력적으로 밀어 올려주어 원위치시켜주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가스압력조절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블록(42)은,
    상측 내부에 요입홈(42a-1)을 갖는 외부 밸브블록(42a); 및
    상기 요입홈(42a-1)의 내부에 압입되며, 상기 개폐홀(41b-2)을 개폐하는 내부 밸브블록(42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압력조절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의 고압실(21b) 상측 내주면과 상기 밸브하우징(41)의 고정부(41a) 외주면 사이에 실링체(70)가 개입되되, 상기 실링체(70)는 우레탄 소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압력조절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55)은 클로로프렌의 유화 중합으로 제조되는 폴리클로로프렌(polychloroprene) 고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압력조절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의 고압가스 유입포트(22)와 스프링실(21d) 사이의 유로에 매립 설치되어, 상기 가스탱크(1)의 전복 시 액화가스의 유입을 지연시키고, 균일한 유입되는 가스에 이물질을 여과하는 금속소결필터(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압력조절기.
KR1020210038550A 2021-03-25 2021-03-25 가스압력조절기 KR102485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550A KR102485629B1 (ko) 2021-03-25 2021-03-25 가스압력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550A KR102485629B1 (ko) 2021-03-25 2021-03-25 가스압력조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448A KR20220133448A (ko) 2022-10-05
KR102485629B1 true KR102485629B1 (ko) 2023-01-06

Family

ID=8359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550A KR102485629B1 (ko) 2021-03-25 2021-03-25 가스압력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6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869Y1 (ko) 2002-08-06 2002-11-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감압 밸브
JP2011518361A (ja) 2007-12-04 2011-06-23 ツーランエア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レギュレータ、動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の使用方法
KR101235812B1 (ko) 2009-07-30 2013-02-21 주식회사 엑시언 고압기체용 감압 조정장치
KR102165550B1 (ko) 2019-01-30 2020-10-15 (주)모토닉 고압 레귤레이터의 감압 샤프트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478B1 (ko) 2006-06-22 2008-02-12 주식회사 말타니메탈 이산화탄소의 가스압력 조절기
KR20170027224A (ko) * 2015-09-01 2017-03-09 김청균 가스압력 조정기능을 내장한 스마트형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869Y1 (ko) 2002-08-06 2002-11-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감압 밸브
JP2011518361A (ja) 2007-12-04 2011-06-23 ツーランエア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レギュレータ、動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の使用方法
KR101235812B1 (ko) 2009-07-30 2013-02-21 주식회사 엑시언 고압기체용 감압 조정장치
KR102165550B1 (ko) 2019-01-30 2020-10-15 (주)모토닉 고압 레귤레이터의 감압 샤프트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448A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2201B2 (en) Pressure reducing valve
US5984645A (en) Compressor with combined pressure sensor and high pressure relief valve assembly
JP3151299U (ja) 圧力作動制御弁
KR20080041696A (ko) 압력 릴리프 밸브
KR101163775B1 (ko) 유체 제어기
JP5247298B2 (ja) サックバックバルブ
US7357373B2 (en) Pilot-type two-port valve
KR20190089995A (ko) 유압 텐셔너용의 압력 릴리프 밸브의 필터 구조
KR102485629B1 (ko) 가스압력조절기
JP2019505746A (ja) 安全バルブ
US7201184B2 (en) Pressure protection valve
KR20060061379A (ko) 확장된 밸브 시트 영역을 갖는 왕복식 압축기
JP5003677B2 (ja) 液圧式のアキュムレータ
TWI761899B (zh) 發動機及具備該發動機的油壓泵裝置
KR20190034212A (ko) 감압 밸브
KR102239202B1 (ko) 액추에이터, 밸브, 유체 공급 시스템 및 반도체 제조 장치
US2689581A (en) High-pressure safety relief valve
CN110542013A (zh) 一种浮球式疏水阀
KR20180014672A (ko) 밸브
WO2023022008A1 (ja) カップリング装置
CN111795201B (zh) 流体控制阀
KR20190111933A (ko) 밸브용 액추에이터와 이것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
WO2023127663A1 (ja) フィルタ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バルブ装置
JP2006118616A (ja) 油圧式テンショナー
KR20220000684U (ko) 압축기용 토출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