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292B1 -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292B1
KR100903292B1 KR1020080105130A KR20080105130A KR100903292B1 KR 100903292 B1 KR100903292 B1 KR 100903292B1 KR 1020080105130 A KR1020080105130 A KR 1020080105130A KR 20080105130 A KR20080105130 A KR 20080105130A KR 100903292 B1 KR100903292 B1 KR 100903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pressure
valve
outl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램
조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램, 조진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램
Priority to KR1020080105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 F16K11/1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with separate operating movements for separate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73Multiple-way safet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63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multiple 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실제 사용 유량의 변화에 따라 공급 압력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체가 공급되는 주배관에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상부 챔버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하부 챔버로 상호 분리하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기 상부 챔버 내의 압력과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넓히거나 좁히는 메인밸브,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는 저압 및 고압 감압 밸브 및 상기 메인밸브, 저압 및 고압 감압 밸브 각각을 연결하는 보조유로를 포함하는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압 감압 밸브는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와 제1보조유로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제2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고, 상기 제1보조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 챔버에 연결되는 제3보조 유로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 챔버에 연결된 제4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고 제5보조유로를 통해서 상기 유체를 배출하되, 상기 제4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구 측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가 되면 유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유량 감지 파일럿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고압 감압 밸브는 상기 제5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제2보조유로와 연결된 제6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주간 등과 같이 유체 사용량이 많을 때에는 보다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고압으로, 야간, 심야 등과 같이 유체 사용량이 적은 경우에는 저압으로 공급하여 유수율을 극대화하고 별도의 제어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배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사후 관리가 편리한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압 제어 밸브 감압 유량 유체 배관 용수

Description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Valve system for controlling pressure of supplied water}
본 발명은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수 공급 시스템의 유출측에서의 수압 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용수의 수압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경제 발전 속도와 인구의 증가에 따라 물 소비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물부족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물소비 경향에 따라 용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물자원을 절약하는 방법이 수자원 관리 정책의 핫 이슈(Hot issue)로 등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간과 같이 사람의 활동량이 많은 시간대에는 용수 공급 시스템에서 고압으로 용수를 공급하여 물 수요를 충족시켜야 하지만, 야간과 같이 사람의 활동량이 적은 시간대에도 고압으로 용수를 공급한다면 공급과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해 배관이나 각종 밸브에서 누수되는 물의 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용수 공급 시스템에서 공급되는 수압을 감압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용수 공급 시스템과 그 배관 계통에는 고압이 걸리게 되므로 시스템이나 부품에 대한 부하가 증가시켜 배관의 손상이나 파손의 위험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용수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는 파일럿식 감압 밸브가 채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파일럿식 감압 밸브는 압력 조절 나사를 조절하여 원하는 수압을 조절하게 되는데, 밸브의 유출구 측에서의 물 사용량에 관계없이 항상 설정된 압력으로만 감압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파일럿식 감압 밸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물 사용량이 변화하는 시간대에 따라 작업자가 일일이 압력 조절 나사를 조절하여 감압 정도를 제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용량이 큰 감압 밸브와 용량이 작은 감압 밸브를 급수 시스템에 나란하게 병렬로 설치하고 이들 밸브의 설정 압력을 달리하여 주간에는 대용량의 감압밸브를 사용하고 야간에는 소용량의 감압 밸브를 사용함으로써 수압을 조절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시스템이 복잡하고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며, 사용유량이 많을 때에는 저압으로, 사용 유량이 적을 때는 고압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심야시간대와 같이 물 소모량이 거의 없을 때에는 배관 시스템의 말단부에서 고압으로 인한 배관의 파손이 발생되거나 누수율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에 의해서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04-0063730호 등은 고압 및 저압 감압 밸브를 제어하는 별도의 콘트롤러를 설치하는 방안을 제안한 바 있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설치비용이 비 싸고, 콘트롤러 등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제적 사용 유량의 변화에 관계없이 고압 또는 저압으로 유체를 공급하게 되므로, 시간 변화에 따른 유량 변화를 정확히 알지 못하면 유수율을 크게 개선할 수 없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전자식 콘트롤러를 이용하는 경우 제어 밸브 시스템이 침수되거나 습기로 인하여 콘트롤러가 파손되는 경우가 많아서 사후관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실제적인 사용 유량의 변화에 따라 사용 유량이 많은 경우에는 고압으로, 사용 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저압으로 공급 압력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자식 콘트롤러가 필요없는 기계적인 제어를 통해서 수압 조절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배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사후 관리가 편리한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은 유체가 공급되는 주배관에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상부 챔버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하부 챔버로 상호 분리하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기 상부 챔버 내의 압력과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넓히거나 좁히는 메인밸브,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는 저압 및 고압 감압 밸브 및 상기 메인밸브, 저압 및 고압 감압 밸브 각각을 연결하는 보조유로를 포함하는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압 감압 밸브는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와 제1보조유로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제2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고, 상기 제1보조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 챔버에 연결되는 제3보조 유로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 챔버에 연결된 제4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고 제5보조유로를 통해서 상기 유체를 배출하되, 상기 제4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구 측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가 되면 유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유량 감지 파일럿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고압 감압 밸브는 상기 제5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제2보조유로와 연결된 제6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저압 감압 밸브는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와 제1보조유로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제2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고, 상기 제1보조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 챔버에 연결되는 제3보조 유로가 설치되고, 상기 제3보조유로에 연결된 제7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제2보조유로에 연결된 제9보조유로를 통해서 상기 유체를 배출하되, 상기 제7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가 되면 유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챔버에 연결된 제4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고, 제5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를 배출하되, 상기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의 보조 유입구에 연결된 제8보조유로를 통해서 전달되는 압력에 따라 유로가 폐쇄되도록 하는 수압 전환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고압 감압 밸브는 상기 제5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제2보조유로와 연결된 제6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체가 공급되는 주배관에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와 보조유로에 의해 연통되는 상부 챔버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하부 챔버로 상호 분리하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기 상부 챔버 내의 압력과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넓히거나 좁히는 메인밸브,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는 저압 및 고압 감압 밸브 및 상기 메인밸브, 저압 및 고압 감압 밸브를 연결하는 보조유로를 포함하는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밸브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보조 배관에 연결되는 인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고,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로 상호 분리되며, 상기 상부 챔버 및 하부 챔버에 작용하는 압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인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유로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보조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저압 감압 밸브는 상기 보조 밸브의 인입구와 제11보조유로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제12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보조 밸브의 배출구로 배출하고, 보조 밸브의 상부 챔버에 연결된 제13보조유로를 통해서 상기 상부 챔버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고, 상기 메인밸브의 유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 챔버에 연결된 제1보조 유로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 챔버에 연결된 제4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고 제5보조유로를 통해서 상기 유체를 배출하되, 상기 제4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입되는 유입구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이면 유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고압 감압 밸브는, 상기 제5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메인밸브의 유출구와 연결된 제2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고,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저압 감압 밸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고압인 때에 유로가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메인밸브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보조 배관에 연결되는 인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고,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로 상호 분리되며, 상기 상부 챔버 및 하부 챔버에 작용하는 압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인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유로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보조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저압 감압 밸브는 상기 보조 밸브의 인입구와 제11보조유로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제12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보조 밸브의 배출구로 배출하고, 보조 밸브의 상부 챔버에 연결된 제13보조유로를 통해서 상기 상부 챔버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고, 상기 메인밸브의 유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 챔버에 연결된 제1보조 유로가 설치되고, 제1보조유로에 연결된 제3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에 연결된 제2보조유로를 통해서 상기 유체를 배출하되, 상기 제3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입되는 유입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가 되면 유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챔버에 연결된 제4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고, 제5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를 배출하되, 상기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의 보조 유입구에 연결된 제8보조유로를 통해서 전달되는 압력에 따라 유로가 폐쇄되도록 하는 수압 전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압 감압 밸브는 상기 제5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메인밸브의 유출구와 연결된 제2보조유로와 연결된 제6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고,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저압 감압 밸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고압인 때에 유로가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은 실제적인 사용 유량의 변화에 따라서(구체적으로는 주간 등과 같이 유체 사용량이 많을 때에는 고압으로, 야간, 심야 등과 같이 유체 사용량이 적은 경우에는 저압으로) 사용 유량을 감지하는 파일럿 밸브를 통해서 고압 및 저압 감압 밸브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공급 압력을 자동으로 전환하여 유수율을 극대화한 제어 밸브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 유량을 감지하는 파일럿 밸브를 통해서 고압 및 저압 감압 밸브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수압 조절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외부 전원이나 내장 밧데리를 이용하는 별도의 제어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배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은 한번 설치되면 사용 유량에 따라 자동으로 공급압력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조정이나 변경없이 사용할 수 있고, 전자식 콘트롤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침수 나 습기로 인하여 제어 밸브 시스템이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밸브 시스템의 사후 관리에도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은 용수가 공급되는 주 배관에 설치되는 메인 밸브(100),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는 고압 및 저압 감압 밸브(400,500),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300)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보조유로(P1,P2,P3,P4,P5,P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체적인 시스템 연결 형태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메인 밸브(100)의 유입구(110)는 자체에 형성된 보조유출구(110a)를 통해서 제1보조유로(P1)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 밸브(100)의 유출구(120)는 자체에 형성된 보조유입구(120a)연결된 제2보조유로(P2)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보조유로(P1)와 제2보조유로(P2)는 각각 저압 감압 밸브(500)의 유입구(510) 및 유출구(520)에 각각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보조유로(P1)는 연결부재(10)를 사용하여 제3보조유로(P3)와 연결되며, 상기 제3보조유로(P3)는 메인 밸브(100)의 커버 플레이트(143)에 형성된 제1보조통공(143a)를 통해서 상부 챔버(S1)와 연통된다.
또한, 상부 챔버(S1)는 또 다른 보조통공인 제2보조통공(143b)을 통해서 제4보조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4보조유로는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300)의 유입구(3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5보조유로는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300)의 유출구(320)와 고압 감압 밸브(400)의 유입구(410)에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제6보조유로는 고압 감압 밸브(400)의 유출구(420) 및 제3연결부재(13)를 통해서 제2보조유로(P2)에 연결된다.
부가적으로, 제1보조유로에는 스트레인너(20)가 설치되어 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입되는 유체에 이물질이 혼입되는 경우 걸려 낼 수 있도록 하고, 제2보조유로에는 보조유로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볼 밸브(30)가 설치되어 제어 밸브의 작동을 조작자가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각 구성 요소의 구성 및 작동 원리에 대해 살펴보고 본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밸브(100)는 급수 시스템의 주 배관에 직렬로 설치되며, 상기 주 배관과 연결되는 유입구(110)와 유출구(120)가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밸브 몸체(130)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몸체(13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32)에는 다이어프램 조립체(140)가 설치되는데, 상기 다이어프램 조립체(140)는 상기 유입구(110) 측의 압력과 상기 유출구(120) 측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110)와 유출구(120) 사이에 있는 시트부(131)의 유로를 넓히거나 좁히게 된다.
상기 다이어프램 조립체(140)는 가이드공(141a)이 형성된 가이드부싱(141)을 구비하여 상기 밸브 몸체(130)의 개구부(132)에 결합되는 중간 플레이트(142)와, 상기 중간 플레이트(142) 상부에 결합되어 그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143)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 플레이트(142)와 커버 플레이트(143) 사이에는 유연성 있는 재질의 다이어프램(144)이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상부 챔버(S1)와 하부 챔버(S2)로 분리한다.
상기 하부 챔버(S2)는 중간 플레이트(142)에 형성된 관통공(142a)에 의해 상기 밸브 몸체(13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유출구(120) 측의 압력이 가해지며, 상기 상부 챔버(S1)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43)에 형성된 제1보조통공 및 제2보조통공(143a,143b)을 통해 외부와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어프램(14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챔버(S1)와 하부 챔버(S2)의 압력 변화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으로 상하로 이동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다이어프램(144)의 양측에는 한 쌍의 다이어프램 플레이트(145a,145b)가 결합되며,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145a,145b)에는 플런저(146)가 결합되어 함께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플런저(146)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142)에 형성된 가이드부싱(141)의 가이드공(142a)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그 상하이동을 가이드 하게 된다.
상기 플런저(146)의 단부에는 디스크(147)가 결합되며, 상기 디스크(147)에는 디스크 시트(148)가 부착되며, 상기 디스크 시트(148)는 상기 밸브 몸체(130)의 시트부(131)를 폐쇄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져 상기 플런저(146)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시트부(131)와 접촉함으로써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 몸체(130)의 유입구(110) 측에 있는 공간은 보조유출구(110a)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유출구(120) 측에 있는 공간은 보조유입구(120a)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다음으로, 감압 밸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저압 감압 밸브 및 고압 감압 밸브는 구성요소가 동일하고 같은 작동원리에 의해서 구동되므로 고압 감압 밸브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압 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 감압 밸브는 유입구(410)와 유출구(420)를 구비하고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유입구(410)와 유출구(420) 사이에서 유로가 개폐되 는 부분인 시트부(431)가 형성된 몸체(430)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410)와 유출구(420) 사이의 상기 시트부(431) 하부 공간에는 보조스풀부(440)가 마련되며, 상기 보조스풀부(440)는 보조유입공(411,412)을 통해 유입구(410)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몸체(430) 상부에는 커버(450)가 장착되며, 상기 커버(450)의 내부 공간은 몸체(430)에 형성된 오리피스공(432)을 통해 유출구(420)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감압 밸브는 상기 시트부(431)의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다이어프램(460), 다이어프램 플레이트(461,462)를 포함하는 다이어프램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어프램(460)의 하면에는 상기 오리피스공(432)을 통해 유출구(420) 측의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메인 밸브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461,462)에는 플런저(463)가 설치되어 상기 다이어프램(46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승강운동하며, 상기 플런저(463)는 몸체(430)에 구비된 가이드부싱(433)의 가이드공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그 승강 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다만, 플런저(463)는 상기 다이어프램(460)으로부터 상기 보조스풀부(440)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스풀부(440)까지 연장된 플런저(463)부분에는 상기 시트부(431)의 유로 크기에 대응되는 디스크시트(464)가 결합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유로가 개방된 상태) 유출구(420)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상승하게 되면 다이어프램(460)이 상승하면서 플런저(463)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플런저(463)의 하단부에 결합된 디스크시트(464)가 시트부(431)에 형성된 유로에 접촉되면서 유로를 막게 된다.
이러한 감압 밸브는 상기 유로를 개방 또는 개폐하는 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압력조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압력조정수단은,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461) 및 플런저(463)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시트부(431)의 유로가 개방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1스프 링(471)과, 상기 플런저(463)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시트부(431)의 유로가 폐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2스프링(472)과,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461)에 대한 제1스프링(471)의 탄성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유니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스프링 및 제2스프링은 원통형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유니트는 상기 제1스프링을 지지하는 서포트 플레이트(480)와, 상기 커버(450)에 있는 암나사부(451)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 운동에 의해 일정 거리로 상하이동되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480)와 접촉하여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조절나사(481)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상기 조절나사(481)를 돌려서 조이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480)와 다이어프램 플레이트(461)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그만큼 제1스프링(471)의 탄성력이 강해지고, 그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오리피스공(432)을 통해 다이어프램(460)의 하면에 작용하는 유출구(420)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고압일 경우에만 다이어프램 플레이트(461) 및 플런저(463)가 상승하여 디스크 시트(464)가 시트부(431)의 유로를 폐쇄한다. 즉 소정의 고압에 미치지 못하는 압력에서는 유로가 여전히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상기 조절나사(481)를 느슨하게 돌리면 제1스프링(471)의 탄성력이 약해지므로 그만큼 유출구(420)에서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저압이라고 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유로가 폐쇄될 수 있다. 즉, 유출구 측의 압력이 조금만 상승하더라도 유로는 쉽게 폐쇄된다.
여기서, 상기 고압 감압 밸브는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상기 저압 감압 밸브의 유출구 측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에서 유로가 폐쇄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고압 감압 밸브와 저압 감압 밸브가 각각 폐쇄되는 압력의 차이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급수 시스템의 용량과 조건을 감안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는 앞서 살펴본 감압 밸브와 동일한 작동 원리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감압 밸브에서 살펴본 유입구(310)와 유출구(320)가 형성된 밸브 몸체(330), 보조스풀부(340), 커버(350), 다이어프램 조립체, 압력조정수단 및 조절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보조유입공(311,312), 시트부(331), 디스크시트(364), 다이어프램(360), 다이어프램 플레이트(361,362), 플런저(363), 제1스프링(371), 제2스프링(372), 서포트 플레이트(380), 조절나사(381) 등은 도 3에서 살펴본 감압 밸브의 구성요소에 대응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리피스공(332)이 유입구(310)에 연통되며, 다이어프램(360)의 하면에는 상기 오리피스공(332)을 통해 유입구(310) 측의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조절나사(381)를 돌려서 조이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80)와 다이어프램 플레이트(361)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제1스프링(371)의 탄성력이 강해지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오리피스공(332)을 통해 다이어프램(360)의 하면에 작용하는 유입구(310)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고압일 경우에 다이어프램 플레이트(461) 및 플런저(363)가 상승하여 디스크 시트(364)가 시트부(331)의 유로를 폐쇄하게 된다. 즉 소정의 고압에 미치지 못하는 압력에서는 유로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의 동작 원리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후술하는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의 동작은 유입구 측의 압력이 설정압보다 높게 공급된다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한다.
먼저, 사용유량이 적은 경우를 살펴보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에서 저압 상태에서의 유체 흐름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야간과 같이 용수의 사용 유량이 적은 경우에 있어서 유출구(120) 측의 감압이 이루어지면 유입구(110) 측의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 높아진 압력은 메인 밸브(100)와 제1보조유로(P1)를 통해서 연결된 저압 감압 밸브와 상부 챔버(S1)를 통해서 연결된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로 전달된다.
이때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는 유입구(110) 측의 압력이 다이어프램의 하부에 전달되어 다이어프램을 밀어 올리게 되므로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300)는 유로를 차단시키게 되고, 제1보조유로(P1)을 통해서 저압 감압 밸브(500)만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 유량이 작아 질 때에는 저압으로 설정된 저압 감압 밸브(500)에 의해서 저압으로 유출구(120)측을 감압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유량이 많은 경우를 살펴보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에서 고압 상태에서의 유체 흐름을 보여주는 구성이다.
주간과 같이 용수의 사용 유량이 많은 경우에 유출구(120) 측의 압력을 설정압력으로 맞추기 위해 메인밸브(100)는 좀더 개방되고 그 결과로 유입구(110) 측의 압력은 점점 낮아지게 된다. 이때 유입구(110) 측의 압력이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300)의 설정압보다 낮아지는 순간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300)는 개방되고, 고압 감압 밸브(400)의 유입구(410)에 연결된 제5보조유로(P5)를 통해서 유체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사용 유량이 많아져 유입구(110) 측 압력이 점점 낮아지고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300)의 설정압보다 낮아지면 저압 감압 밸브(500)와 고압 감압 밸브 양쪽으로 유체가 공급되어 작동하게 되지만, 감압 밸브의 특성상 유출구(120)측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밸브가 차단되므로 저압 감압 밸브(500)는 차단되고 고압 감압 밸브(400)만 작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 유량이 많아질 때는 고압으로 설정된 고압 감압 밸브(500)에 의해서 고압으로 유출구(120) 측을 감압하게 된다.
-실시예2-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300)가 유로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를 차단 및 개방할 수 있는 수압 전환 밸브(200)를 설치하여 제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인 구성은, 실시예1에서 살펴본 바와 동일하지만 실시예1과 다른 점은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300)가 제3보조유로(P3)에 연결 부재(110)를 통해서 연결된 제7보조유로(P7)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고, 제2보조유로(P2)에 연결부재(12)를 통해서 연결된 제9보조유로(P9)를 통해서 유체를 배출하되, 상기 제7보조유로(P7)를 통해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도록 한다.
또한, 상부 챔버(S1)에 연결된 제4보조유로(P4)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고, 제5보조유로(P5)를 통해서 유체를 배출하되, 상기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300)의 보조 유입구(311)에 연결된 제8보조유로(P8)를 통해서 전달되는 압력에 따라 유로가 폐쇄되도록 하는 수압 전환 밸브(200)가 설치된다.
상기 수압 전환 밸브(20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도 7의 수압 전환 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하이트롤(Hytrol) 밸브와 같이 배관 중간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입구(210)와 유출구(230)를 구비하고 유로를 형성하며 유로가 개폐되는 부분인 시트부(241)가 마련된 몸체(240)와, 상기 몸체(240) 상단 개구부에 결합되 는 것으로서 제2유입구(220)가 형성된 커버(25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40)와 커버(250) 사이에는 다이어프램(260)이 개재되어 몸체(240) 내부의 공간으로부터 상부 챔버(S)를 분리하고 상기 상부 챔버(S)는 상기 제1유입구(210)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다이어프램(260)의 양측에는 한 쌍의 다이어프램 플레이트(261,262)가 설치되며, 상기 다이어프램 플레이트(261,262)에는 스크류(263)에 의해 디스크(264)가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26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디스크(264)가 몸체(240)의 시트부(241)에 있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시키게 된다.
제8보조유로(P8)는 상기 제1유입구(210)에 연결되고, 제4보조유로(P4)는 제2유입구(220)에 연결되며, 제5보조유로(P5)는 유출구(2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8보조유로(P8)를 통해서 전달되는 메인 밸브의 유입구(110)의 압력에 따라서 수압 전환 밸브(200)의 유로가 개폐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 유량이 작은 경우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300)는 수압 전환 밸브(200)의 유로를 폐쇄시켜서 저압 감압 밸브(500)만 작동하게 되고, 사용 유량이 많은 경우에는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300)가 수압 전환 밸브(200)의 유로를 개방시켜서 고압 감압 밸브(400)로 유체를 흘러보내게 된다.
-실시예3-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는 사용 유량이 매우 적어지는 경우 저압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메 인 밸브의 유로를 조금만 개방하게 되면 캐비테이션(cavitation) 또는 채터링(chattering) 현상이 발생하여 배관에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적은 유량 및 낮은 압력으로 공급하여야 할 경우 사용 유량에 맞지 않는 큰 밸브로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메인 밸브의 유입구와 유출구에 연결되는 보조 배관(P)을 설치하고, 소구경의 보조 밸브(600)를 장착하여 사용 유량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구성을 살펴보면,
앞서 살펴본 메인밸브(100),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300), 고압 감압 밸브(400),저압 감압 밸브(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밸브(100)의 유입구(110)와 유출구(120) 사이의 보조유로(P)에 연결되는 인입구(610)와 배출구(620)가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고,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로 상호 분리되며, 상기 상부 챔버 및 하부 챔버에 작용하는 압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인입구(610)와 배출구(620) 사이의 유로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보조밸브(600)가 추가 된다.
상기 보조 밸브(600)는 메인 밸브(100)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용량의 밸브로 작동원리는 메인 밸브(100)와 동일하게 다이어프램 조립체를 이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조 밸브(600)의 유입구(610)는 자체에 형성된 보조배출구(610a)를 통해서 제11보조유로(P11)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밸브(600)의 유출 구(620)는 자체에 형성된 보조인입구(620a)를 통해서 제12보조유로(P12)에 연결된다.
따라서, 저압 감압 밸브(500)는 상기 보조 밸브(600)의 인입구(610)와 제11보조유로(P11)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제12보조유로(P12)를 통해 상기 보조 밸브(600)의 배출구(620)로 배출하고, 보조 밸브(600)의 상부 챔버(S)에 연결된 제13보조유로(P13)가 보조유입구(611)를 통해서 연결되므로 상기 상부 챔버(S)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도록 연결한다.
또한, 제1보조 유로(P1)는 상기 메인밸브(100)의 유입구(110)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밸브(100)의 상부 챔버(S1)에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300)는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 챔버(S1)에 연결된 제4보조유로(P4)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고 제5보조유로(P5)를 통해서 상기 유체를 배출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압 감압 밸브(400)는 상기 제5보조유로(P5)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메인밸브(100)의 유출구(120)와 연결된 제2보조유로(P2)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100)의 유출구(120)로 배출하도록 연결된다.
작동 원리는 실시예1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실시예4-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300)가 유로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를 차단 및 개방할 수 있는 수압 전환 밸브(200)를 설치하여 제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300)는 제3보조유로(P3)에 연결된 제7보조유로(P7)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제2보조유로(P2)에 연결된 제9보조유로(P9)를 통해서 상기 유체를 배출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수압 전환 밸브(200)는 상기 상부 챔버(S1)에 연결된 제4보조유로(P4)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고, 제5보조유로(P5)를 통해서 유체를 배출하되, 상기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300)의 보조 유입구에 연결된 제8보조유로(P8)를 통해서 전달되는 압력에 따라 유로가 폐쇄되도록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유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감압 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에서 저압 상태에서의 유체 흐름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에서 고압 상태에서의 유체 흐름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8은 도 7의 수압 전환 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12,13: 연결부재 20: 스트레인너
30: 볼밸브 100: 메인 밸브
110: 유입구 110a: 보조유입구
120: 유출구 120a: 보조유출구
130: 밸브 몸체 131: 시트부
132: 개구부 140: 다이어프램 조립체
141: 가이드 부싱 142: 중간 플레이트
143: 커버 플레이트 143a,143b: 보조통공
144: 다이어프램 S1: 상부 챔버
S2: 하부 챔버 145a,145b: 다이어프램 플레이트
146: 플런저 147: 디스크
148: 디스크 시트 200: 수압 전환 밸브
300: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 332: 오리피스공
400: 고압 감압 밸브 432: 오리피스공
440: 보조스풀부 450: 커버
451: 암나사부 460: 다이어프램
461:,462: 다이어프램 플레이트 463: 플런저
433: 가이드부싱 464: 디스크시트
471: 제1스프링 472: 제2스프링
480: 서포트 플레이트 481: 조절나사
500: 저압 감압 밸브 600: 보조 밸브
610: 인입구 620: 배출구
610a: 보조배출구 620a: 보조인입구

Claims (4)

  1. 유체가 공급되는 주배관에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상부 챔버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하부 챔버로 상호 분리하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기 상부 챔버 내의 압력과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넓히거나 좁히는 메인밸브,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는 저압 및 고압 감압 밸브 및 상기 메인밸브, 저압 및 고압 감압 밸브 각각을 연결하는 보조유로를 포함하는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압 감압 밸브는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와 제1보조유로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제2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고,
    상기 제1보조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 챔버에 연결되는 제3보조 유로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 챔버에 연결된 제4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고 제5보조유로를 통해서 상기 유체를 배출하되, 상기 제4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구 측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가 되면 유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유량 감지 파일럿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고압 감압 밸브는 상기 제5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제2보조유로와 연결된 제6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2. 유체가 공급되는 주배관에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상부 챔버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하부 챔버로 상호 분리하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기 상부 챔버 내의 압력과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넓히거나 좁히는 메인밸브,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는 저압 및 고압 감압 밸브 및 상기 메인밸브, 저압 및 고압 감압 밸브 각각을 연결하는 보조유로를 포함하는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압 감압 밸브는 상기 메인 밸브의 유입구와 제1보조유로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제2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고,
    상기 제1보조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 챔버에 연결되는 제3보조 유로가 설치되고,
    상기 제3보조유로에 연결된 제7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제2보조유로에 연결된 제9보조유로를 통해서 상기 유체를 배출하되, 상기 제7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가 되면 유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챔버에 연결된 제4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고, 제5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를 배출하되, 상기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의 보조 유입구에 연결된 제8보조유로를 통해서 전달되는 압력에 따라 유로가 폐쇄되도록 하는 수압 전환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고압 감압 밸브는 상기 제5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제2보조유로와 연결된 제6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3. 유체가 공급되는 주배관에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와 보조유로에 의해 연통되는 상부 챔버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하부 챔버로 상호 분리하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기 상부 챔버 내의 압력과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넓히거나 좁히는 메인밸브,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는 저압 및 고압 감압 밸브 및 상기 메인밸브, 저압 및 고압 감압 밸브를 연결하는 보조유로를 포함하는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밸브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보조 배관에 연결되는 인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고,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로 상호 분리되며, 상기 상부 챔버 및 하부 챔버에 작용하는 압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인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유로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보조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저압 감압 밸브는,
    상기 보조 밸브의 인입구와 제11보조유로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제12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보조 밸브의 배출구로 배출하고, 보조 밸브의 상부 챔버에 연결된 제13보조유로를 통해서 상기 상부 챔버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고,
    상기 메인밸브의 유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 챔버에 연결된 제1보조 유로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 챔버에 연결된 제4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고 제5보조유로를 통해서 상기 유체를 배출하되, 상기 제4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입되는 유입구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이면 유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고압 감압 밸브는,
    상기 제5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메인밸브의 유출구와 연결된 제2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고,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저압 감압 밸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고압인 때에 유로가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4. 유체가 공급되는 주배관에 직렬로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와 보조유로에 의해 연통되는 상부 챔버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하부 챔버로 상호 분리하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기 상부 챔버 내의 압력과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넓히거나 좁히는 메인밸브, 상기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는 저압 및 고압 감압 밸브 및 상기 메인밸브, 저압 및 고압 감압 밸브를 연결하는 보조유로를 포함하는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밸브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보조 배관에 연결되는 인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어 유로를 형성하고,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로 상호 분리되며, 상기 상부 챔버 및 하부 챔버에 작용하는 압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인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유로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보조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저압 감압 밸브는 상기 보조 밸브의 인입구와 제11보조유로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를 제12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보조 밸브의 배출구로 배출하고, 보조 밸브의 상부 챔버에 연결된 제13보조유로를 통해서 상기 상부 챔버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고,
    상기 메인밸브의 유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밸브의 상부 챔버에 연결된 제1보조 유로가 설치되고,
    제1보조유로에 연결된 제3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에 연결된 제2보조유로를 통해서 상기 유체를 배출하되, 상기 제3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입되는 유입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가 되면 유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챔버에 연결된 제4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고, 제5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를 배출하되, 상기 유량 감지 파일럿 밸브의 보조 유입구에 연결된 제8보조유로를 통해서 전달되는 압력에 따라 유로가 폐쇄되도록 하는 수압 전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압 감압 밸브는,
    상기 제5보조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메인밸브의 유출구와 연결된 제2보조유로와 연결된 제6보조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 밸브의 유출구로 배출하고,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유로가 폐쇄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저압 감압 밸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유출구 측의 압력이 고압인 때에 유로가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KR1020080105130A 2008-10-27 2008-10-27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KR100903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130A KR100903292B1 (ko) 2008-10-27 2008-10-27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130A KR100903292B1 (ko) 2008-10-27 2008-10-27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292B1 true KR100903292B1 (ko) 2009-06-16

Family

ID=4098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130A KR100903292B1 (ko) 2008-10-27 2008-10-27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289B1 (ko) 2011-01-13 2011-06-17 조진식 유량 연동형 감압 밸브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409B1 (ko) 2005-01-28 2005-04-07 주식회사 바램 심정 펌프용 제어밸브 시스템
KR100540596B1 (ko) 2004-08-13 2006-01-11 주식회사 바램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KR100561207B1 (ko) 2004-02-03 2006-03-15 주식회사 바램 차압작동식 다이어프램형 밸브
KR100841702B1 (ko) 2007-05-08 2008-06-26 마산시 수돗물 공급용 감압밸브의 압력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207B1 (ko) 2004-02-03 2006-03-15 주식회사 바램 차압작동식 다이어프램형 밸브
KR100540596B1 (ko) 2004-08-13 2006-01-11 주식회사 바램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KR100481409B1 (ko) 2005-01-28 2005-04-07 주식회사 바램 심정 펌프용 제어밸브 시스템
KR100841702B1 (ko) 2007-05-08 2008-06-26 마산시 수돗물 공급용 감압밸브의 압력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289B1 (ko) 2011-01-13 2011-06-17 조진식 유량 연동형 감압 밸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763B1 (ko) 유량 연동형 비례제어식 감압 밸브 시스템
KR100481408B1 (ko) 수충격 방지용 제어밸브 시스탬
US8256739B2 (en) Poppet valve operated by an electrohydraulic poppet pilot valve
EP2093643B1 (en) An improved by-pass and pressure regulator valve
KR101042289B1 (ko) 유량 연동형 감압 밸브 시스템
WO1998058724A1 (en) A valve assembly of a reverse osmosis water purification system
KR100984231B1 (ko) 비데용 감압밸브
US8113233B2 (en) Hydraulic circuit of option device for excavator
KR100481403B1 (ko) 감압 및 압력유지 제어밸브 시스템
KR101285748B1 (ko) 유수 제어기능을 갖는 전자석 밸브
KR101061192B1 (ko) 중장비용 유압제어밸브
CN111720593B (zh) 一种多功能止回阀
CN102691683A (zh) 液压控制阀装置
CN201215190Y (zh) 数字电磁控制阀
KR100540596B1 (ko)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KR100903292B1 (ko) 유량 연동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KR100698229B1 (ko) 압력 변화를 이용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
KR101469212B1 (ko) 유량에 따라 수압 조절이 이루어지는 감압 밸브
KR100481409B1 (ko) 심정 펌프용 제어밸브 시스템
KR200383975Y1 (ko) 감압 및 릴리프 밸브장치
CN213899448U (zh) 集成稳压功能的比例减压阀
KR200368324Y1 (ko) 수압 제어 밸브 시스템
KR101042327B1 (ko) 수압식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파일럿 밸브
KR102032458B1 (ko) 배관내의 유체를 이용한 감압밸브의 제어장치
KR200449604Y1 (ko) 솔레노이드가 측면에 구비된 개폐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