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516B1 - 압력개폐밸브를 구비한 병렬 온수보일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압력개폐밸브를 구비한 병렬 온수보일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516B1
KR100341516B1 KR1020000022412A KR20000022412A KR100341516B1 KR 100341516 B1 KR100341516 B1 KR 100341516B1 KR 1020000022412 A KR1020000022412 A KR 1020000022412A KR 20000022412 A KR20000022412 A KR 20000022412A KR 100341516 B1 KR100341516 B1 KR 100341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valve
pressure
water supply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0333A (ko
Inventor
김준봉
변상훈
서태석
Original Assignee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성모
Priority to KR1020000022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516B1/ko
Publication of KR20010100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516B1/ko

Links

Landscapes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개폐밸브를 구비한 병렬 온수보일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텔이나 스포츠 시설과 같이 대용량의 온수를 필요로 하는 시설물에 순간식 급탕기를 병렬로 설치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온수 사용량에 대응하여 최적의 보일러 운전조건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적어도 2이상의 순간식 급탕기(B1~Bn)에 각기 가스도관(GP), 냉수공급관(CP) 및 온수공급관(HP)을 병렬연결하고, 상기 온수관(HP)은 일정위치에 다수의 수도꼭지나 샤워기(SH)를 부설하여 상기 냉수공급관(CP)에 연통하고, 사용자의 온수 사용량에 대응되는 상기 순간식 급탕기(B1~Bn)를 선택적으로 운전시키도록 상기 순간식 급탕기(B1~Bn)의 급수구에 수동에 의해 다단 조절되어 입출구의 압력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되어지는 압력개폐밸브 (PV1~PVn-1)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압력개폐밸브를 구비한 병렬 온수보일러 시스템 {Parallel boiler system with staging valves}
본 발명은 압력개폐밸브를 구비한 병렬 온수보일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텔이나 스포츠 시설과 같이 대용량의 온수를 필요로 하는 시설물에 순간식 급탕기를 병렬로 설치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온수 사용량에 대응하여 최적의 보일러 운전조건을 구현할 수 있도록 급탕기의 냉수관에 선택적으로 압력개폐밸브를 설치하되 현장에서 압력개폐밸브의 설정압을 수동으로 다단 변경할 수 있는 온수보일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목욕탕이나 대규모 사우나 시설 등과 같이 온수의 사용이 지속적인 건축물에 있어서는 최대 수용인원이 사용할 온수량을 미리 예측하여 그에 상응한 대용량의 보일러와 잉여 온수를 저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대규모의 온수저장탱크가 시설물의 지하공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시설물에 적용되는 보일러는 미리 설정된 출탕온도에 대응하여 계속적으로 보일러가 가동되기 때문에 보일러의 최적 운전이 되지 않으며 또한, 필요이상의 에너지가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건축물은 전술된 대규모의 온수저장탱크를 설치하기 위하여 특별히 지하공간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도 건축비용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터파기 공사가 요구되기 때문에 건축물의 건축비 상승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모텔, 기숙사 또는 스포츠 시설등과 같은 건축물은 수용인원은 대규모이지만 실제적으로 온수 사용측면에 있어서는 불규칙적이거나 간헐적이 때문에 전술된 바와 같은 대용량의 온수보일러를 설치하게 되면 계속적으로 온수보일러를 운전하여야 함은 물론, 잉여 온수를 저장하기 위해 별도의 온수저장탱크가 반드시 요구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온수사용량에 대응하여 보일러의 최적운전을 구현할 수 있는 압력개폐밸브를 구비한 병렬 온수보일러 시스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개폐밸브를 구비한 병렬 온수보일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계통도.
도 2a는 도 1의 압력개폐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B1~Bn: 순간식 급탕기 CP : 냉수공급관
CV : 체크밸브 HP : 온수관
GP : 가스도관 P : 펌프
PV, PV1~PVn-1: 압력개폐밸브 SH : 샤워기(또는 수도꼭지)
WIV : 급수밸브 WOV : 온수배출밸브
2 : 밸브셀 3 : 조정로드
3a : 조정홈 4 : 스토퍼
5a, 5b : 걸림간 6 : 스프링
7 : 디스크 8 : 인입구
9 : 토출구 11 : 밸브 케이싱
12 : 다이아프램 13 : 패킹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2이상의 순간식 급탕기에 각기 가스도관, 냉수공급관 및 온수공급관을 병렬연결하고, 상기 온수관은 일정위치에 다수의 수도꼭지나 샤워기를 부설하여 상기 냉수공급관에 연통하고, 사용자의 온수 사용량에 대응되는 상기 순간식 급탕기를 선택적으로 운전시키도록 상기 순간식 급탕기의 급수구에 수동에 의해 다단 조절되어 입출구의 압력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되어지는 압력개폐밸브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구성된 압력개폐밸브를 구비한 병렬 온수보일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병렬 온수보일러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온수 사용량에 대응하여 보일러의 최적운전을 구현할 수 있도록 순간식 급탕기 (B1~Bn)를 병렬로 설치하되, 급탕기(B1~Bn)의 급수밸브(WIV)의 인접된 하부에 수동에 의한 다단 조절에 의해 입출구의 차압에 의하여 순간적인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압력개폐밸브(PV1~PVn-1)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100)은 전술된 바와 같이, 목욕탕이나 대규모 사우나 시설등은 물론, 모텔, 기숙사 또는 스포츠 시설등에 설치되는 대용량 보일러의 문제점인 사용자의 온수사용에 무관하게 보일러의 운전이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보일러 운전에 따른 잉여 온수를 별도의 온수저장탱크에 저수하는 방식과는 달리, 온수의 최대 사용량에 대응되는 용량을 1/n로 분할하여 그에 대응된 소용량의 순간식 급탕기(B1~Bn)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온수 사용량에 대응하여 병렬설치된 순간식 보일러(B1~Bn) 중에서 이에 대응된 순간식 급탕기만이 선택적, 보다 상세하게는 초기 운전 설정압이 최저인 순간식 급탕기부터 온수량이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운전 설정압이 높은 순간식 급탕기이 운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순간식 급탕기(B1~Bn)는 최대 온수 사용량을 1/n로 분할하여 이에 상응하는 댓수만큼 설치된다. 그러나, 도면에 나타나 있는 순간식 급탕기(B1~Bn)는 반드시 동일한 장소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만약 여관이나 모텔인 경우와 같이 다층 건축물인 경우에는 각 층마다 필요한 온수 사용량에 대응된 댓수만큼 설치될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대용량의 단일 보일러를 설치하기 위하여 반드시 지하공간을 마련하여야 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건축비용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던 터파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순간식 급탕기(B1~Bn)는 동일한 가스도관(GP), 냉수공급관 (CP) 및 온수관(HP)에 각기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온수관(HP)은 각기 원하는 부분에 수도꼭지나 샤워기(SH)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된 부호 GV, WIV 및 WOV는 각기 가스밸브, 급수구에 설치된 급수밸브 및 배출구에 설치된 온수배출밸브이며, CV는 냉수 체크밸브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100)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두번째 부터 마지막 순간식 급탕기(B2~Bn)에 대응된 냉수공급관(CP)에 각기 압력개폐밸브(PV1~PVn-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온수관(HP)의 말단부에는 펌프(P)를 설치하여 체크밸브 (CV)가 제공된 냉수공급관(CP)과 연결되어 있다.
즉, 전원이 인가되면, 우선 첫번째 급탕기(B1)와 펌프(P)가 운전되는데, 여기서 첫번째 급탕기(B1)는 원하는 출탕온도를 맞출 수 있는 최저 조건하에서 운전되며 이때, 펌프(P)는 온수를 첫번째 급탕기(B1)로부터 온수관(HP), 그리고 냉수공급관(CP)를 통해 다시 첫번째 급탕기(B1)로 순환시킨다. 그리고, 온수는 체크밸브(CV)에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역류되지 않고 순환사이클을 순환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순환사이클에 잔존하는 온수량은 사용자의 최저 사용량에 대응되는 온수양으로써, 사용자가 수도꼭지나 샤워기(SH)를 틀면 바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만약 온수의 최저 사용량이 두번째 급탕기(B2)까지 이루는 순환사이클인 경우에는 두번째 급탕기(B2)에는 첫번째 급탕기(B1)와 같이 압력개폐밸브(PV)를 설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순환사이클은 종래의 온수저장탱크의 역할을 할 수 있어 전술된 바와 같이 별도의 대규모의 온수저장탱크가 필요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의 하부에 나타나 있는 압력개폐밸브(PV1~PVn-1)는 후술되는 구조에서 설명되겠지만 수작업에 의해 급탕기가 설치된 현장에서 원하는 설정압을 변경할 수 있으며, 조정로드(도2 참조)가 아래로 내려가면 갈수록 설정압이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두번째 급탕기(B2)의 냉수공급관(CP)에 설치된 압력개폐밸브 (PV1)는 조정로드(3)가 최상단(1단)에 위치되기 때문에 첫번째 급탕기(B1)를 제외한 다른 모든 급탕기(B3~Bn)보다 설정압이 낮아 사용자의 온수 사용량이 최초 첫번째 급탕기(B1)의 온수량보다 더 요구되면 두번째 급탕기(B2)가 자동적으로 운전되는 것이다. 같은 방법으로, 세번째 급탕기(B3)의 냉수공급관 (CP)에 설치된 압력개폐밸브(PV2)는 조정로드(3)가 중단(2단)에 위치되기 때문에 온수 사용량이 최초 첫번째 급탕기(B1), 두번째 급탕기(B2)에서 공급되는 온수량보다 많아지면 자동적으로 운전되며, 그 이후는 전술된 동일한 방법에 의해 급탕기가 운전되어 원하는 온수량을 공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시스템(100)은 첫번째 급탕기(B1)에 압력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않았으며, 또한 두번째 급탕기(B2)로부터 마지막 급탕기(Bn)로 갈수록 압력개폐밸브의 설정압이 높아지는 구성을 보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병렬설치된 다수의 급탕기 중에서 어떤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탕기를 온수 최저 사용량에 대응되어 운전되도록 하는 경우나 또는, 압력개폐밸브의 설정압을 내림차순으로 하거나 난수적으로 하는 등의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하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실제 급탕기가 병렬설치됨에 있어 현장의 온수 사용상태에 대응하여 현장에서 수동에 의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100)은 대용량의 단일 보일러 시스템이 아니라 다수의 급탕기를 다수 병렬설치하는 시스템 구조이기 때문에 하나의 급탕기 또는 그 이상의 급탕기가 고장이 생겼을 경우에도 그 고장이 발생된 급탕기만을 보수하면 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100)의 운전상태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사용자에 의한 온수 사용량 이하에 해당되는 급탕기나 밸브등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항시 시스템은 최적 운전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100)은 급탕기의 부분 이상에도 항시 최적 운전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더불어 유지보수에 따른 경비를 혁신적으로 절감하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살펴보면, 일시에 많은 양의 온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종래의 경우에 마찬가지로 온수저장탱크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스템(100)을 적절하게 운영하게 되면 온수저장탱크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시스템(100)에 설치되는 압력개폐밸브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100)에 설치되는 압력개폐밸브 (PV)는 인입구(8)와 토출구(9)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변화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압력으로부터 예측가능한 설정압의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에 있어서, 수동에 의해 스프링(6)의 변위를 조절하여 설정압력이 변경되도록 조정로드(3)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다수의 조정홈(3a)을 형성하고, 그 조정홈(3a1,3a2,3a3)에 선택적으로 스토퍼(4)가 삽입고정되게 구성되어 있다.
밸브 케이싱(11)은 통상적인 구조로서, 양단에 인입구(8) 및 토출구(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중심부분에 개구된 밸브시트(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밸브시트(10)는 밸브 케이싱(11)의 상부면에 체결되는 밸브셀(2)의 하단부에 개재되는 다이아프램(12)에 의해 개폐된다.
다이아프램(12)의 상부면에 제공된 금속재질의 디스크(7)는 도면에는 명확히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다이아프램(12)에 탈착자재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연질의 다이아프램(12)이 압력변화에 대응하여 밸브시트(7)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격 또는 밀착되도록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밸브셀(2)에 내장된 스프링(6)은 장력에 의해 디스크(7)를 가압하도록 조정로드(3)의 하단부와 디스크(7)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조정로드(3)는 밸브셀(2)의 상부면 개구를 통해 일부가 돌출되어 있고, 외주면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조정홈(3a), 예컨대 제1, 제2, 제3조정홈(3a1,3a2,3a3)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밸브셀(2)의 내측벽을 기밀하기 위해 패킹(5)이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4)는 도 2의 확대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기 대응된 조정홈(3a1,3a2,3a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단부의 중심부분이 일정 형상, 예컨대 일변이 개방된 삼각 형상으로 결합홈(4a)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의 충격이나 스프링(6)의 장력 등에 의해 조정로드(3)가 승강됨에 따라 올라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정압을 유지하도록 나사(B)에 의해 밸브쉘(2)에 체결되도록 결합홈(4a)의 주변에 나사 체결홈(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나사 체결홈(4b)에 대응된 나사홈(2a)이 밸브쉘(2)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조정홈(3a)은 예측가능한 설정압에 대응하여 그에 상응하게 스프링 (6)의 변위를 조절함으로써 다이아프램(12)에 의해 밸브시트(12)를 변경된 설정압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조정로드(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4)는 각기 대응된 조정홈(3a1,3a2,3a3)에 삽입된 후 나사 결합홈(4b)과 그에 대응되도록 밸브셀(2)의 상단면에 형성된 나사홈(2a)이 나사(B)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스토퍼(4)는 각기 대응된 고정홈(3a)에 결합되거나 해체되는 경우에 용이하게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결합홈(4b)이 형성된 타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파지부(4c)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4)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조정홈(3a1)에 삽입되어 체결되어 있지만, 변경될 설정압이 낮아지게 되면 조정로드(3)로부터 해체된 후 새로운 설정압에 대응하여 조정로드(3)를 위로 올려 제3조정홈(3a3)에 스토포(4)를 체결고정되고 이와는 반대로 설정압이 높아지게 되면 새로운 설정압에 대응하여 조정로드(3)를 밑으로 눌러 제1조정홈(3a1)에 스토퍼(4)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압력개폐밸브(PV)는 변경될 설정압이 예측가능한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전술된 바와 같은 간단한 해체, 조립에 의해 밸브의 설정압이 변경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설정홈(3a1,3a2,3a3)간의 간격이 모두 동일하고 3단의 경우에 한정되어 설명되고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압력개폐밸브(PV)의 작동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토퍼(4)가 제2조정홈(3a1)에 결합된 경우로서, 밸브 케이싱(11)의 인입구(8)로부터 유입되는 유압이 설정압 이상인 경우에는 유압에 의해 디스크(7)와 함께 다이아프램(12)이 상승되면서 밸브시트(10)를 개방함으로써 유체는 인입구(8)로부터 토출구(9)로 배출된다. 그런 다음, 인입구(8)로부터 유입되는 유압이 설정압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는 스프링(6)의 장력에 의해 디스크(7)가 가압되면서 다이아프램(12)이 밸브시트(12)를 폐쇄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이 차단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압력개폐밸브(PV)는 단지 3단 조절밸브로 설명되고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수를 더 높이거나 조정홈(3a) 간의 간격을 다르게 위치시키는 등의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다음의 하기되는 표 1은 압력개폐밸브의 일 사양이며, 표 2는 최소사용수량에 있어 설치되는 급탕기의 댓수에 따른 압력개폐밸브의 수를 나타내고 있다.
급탕기 설치댓수가 2대인 경우(밸브개방압력 6L/min)는 최소사용수량이 8L/min이하일 때 병렬설치된 급탕기 중 하나의 급탕기의 냉수공급관에 압력개폐밸브가 설치되지만, 최소사용수량이 8L/min이상인 경우에는 압력개폐밸브는 설치되지 않는다. 만약, 급탕기 모두에 압력개폐밸브가 설치되면 사용자에 의한 온수의 최소사용 수량에 대응하여 급탕기 중 하나만 운전되거나 2개의 급탕기가 모두 운전되더라도 급탕기가 선택적으로 on/off되어 최적운전이 되지 않음은 물론, 상황에 따라서는 2개의 급탕기가 모두 정지될 수 있다.
급탕기 설치댓수가 5대인 경우(밸브개방압력 6L/min)는 최소사용수량이 8L/min이하인 경우에는 4개의 압력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최소사용수량이 8~12L/min인 경우에는 3개의 압력개폐밸브, 최소사용수량이 12~16L/min인 경우에는 2개의 압력개폐밸브가 설치되며, 마지막으로 최소사용수량이 16L/min인 경우에는 단지 하나의 압력개폐밸브만이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압력개폐밸브의 조정로드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표 2의 경우와는 다르게 압력개폐밸브의 설치수가 달라질 수 있다. 왜냐하면,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압력개폐밸브는 밸브개방 조정범위가 3단, 예컨대 20kPa, 25kPa 및 30kPa이기 때문에 급탕기가 설치된 현장에서 수동으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대용량의 단일 보일러를 채택하지 않기 때문에 온수저장탱크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아 지하공간이 필요치 않은 건축물에 있어서는 건축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터파기 공사를 생략할 수 있어 공사비를 절감함은 물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저수압 지역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둘째, 모텔이나 기숙사와 같이 다층 건축물인 경우에는 각층에서 요구되는 온수사용량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탕기를 각층별로 설치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셋째, 순간식 급탕기(비례제어식)를 채택함으로써 대용량에서 소용량까지 안정된 출탕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급탕기의 최적운전을 가능하여 연료비를 혁신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넷째, 밸브개폐 압력을 현장에서 직접 수작업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체터링(chattering)을 방지할 수 있고, 시스템의 운전시에도 개별의 급탕기나 밸브등을 교체 및 유지보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섯째, 내구성 및 응축수 관련되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압력개폐밸브가 없는 경우에 있어 온수의 사용량이 많은 때에는 유니트에 무리가 없지만, 최소 사용유량이 적을 경우의 병렬시공시에는 통수되는 급수는 모든 유니트에 영향을 줌으로 ON, OFF현상(내구성 저하) 및 OFF(꺼져있는)된 제품은 냉수통수시 HEX(열교환기)에 드레인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되는 반면, 본 발명의 압력개폐밸브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는 동시에 각 유니트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적어도 2이상의 순간식 급탕기(B1~Bn)에 각기 가스도관(GP), 냉수공급관(CP) 및 온수공급관(HP)을 병렬연결하고, 상기 온수관(HP)은 일정위치에 다수의 수도꼭지나 샤워기(SH)를 부설하여 상기 냉수공급관(CP)에 연통하고, 사용자의 온수 사용량에 대응되는 상기 순간식 급탕기(B1~Bn)를 선택적으로 운전시키도록 상기 순간식 급탕기(B1~Bn)의 급수구에 수동에 의해 다단 조절되어 입출구의 압력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되어지는 압력개폐밸브(PV1~PVn-1)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구성된 압력개폐밸브를 구비한 병렬 온수보일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온수가 상기 순간식 급탕기(B1~Bn), 온수관(HP) 및 냉수공급관(CP) 사이를 순환하도록 상기 샤워기(SH)와 상기 연통된 냉수관(CP) 사이에 펌프(P)를 제공하고, 온수가 역류되지 않도록 순환사이클의 인접된 상기 냉수관(CP)에 체크밸브(CV)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개폐밸브를 구비한 병렬 온수보일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개폐밸브(PV)는 양단이 개구되어 있고 밸브시트(10)가 형성된 밸브 케이싱(11)과; 상기 밸브 케이싱(11)의 상부와 체결되어 있으며 상단부가 개구된 밸브쉘(2)과; 디스크(7)가 상부면에 탈착자재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 케이싱(11)과 밸브쉘(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밸브시트(10)를 개폐하도록 제공된 다이아프램(12)과; 상단부는 상기 밸브쉘(2)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일부가 돌출되며, 외주면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조정홈(3a1~3a3)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밸브쉘(2)의 내측벽을 기밀하기 위하여 패킹(5)이 제공된 조정로드(3)와; 상기 다이아프램(12)의 상부면과 상기 조정로드(3)의 하단부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6)과; 기설정된 압력으로부터 예측가능한 설정압의 변경을 위하여 상기 스프링(6)의 변위를 조절하여 상기 다이아프램(12)에 의해 상기 밸브시트(10)를 개폐하도록 상기 조정로드(3)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그에 대응하는 상기 조정홈(3a1~ 3a3)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지되 상기 밸브쉘(2)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스토퍼(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개폐밸브를 구비한 병렬 온수보일러 시스템.
KR1020000022412A 2000-04-27 2000-04-27 압력개폐밸브를 구비한 병렬 온수보일러 시스템 KR100341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412A KR100341516B1 (ko) 2000-04-27 2000-04-27 압력개폐밸브를 구비한 병렬 온수보일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412A KR100341516B1 (ko) 2000-04-27 2000-04-27 압력개폐밸브를 구비한 병렬 온수보일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333A KR20010100333A (ko) 2001-11-14
KR100341516B1 true KR100341516B1 (ko) 2002-06-22

Family

ID=4578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412A KR100341516B1 (ko) 2000-04-27 2000-04-27 압력개폐밸브를 구비한 병렬 온수보일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687B1 (ko) * 2012-08-27 2013-12-02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발전플랜트의 주증기공급 배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0857U (ko) * 1973-11-22 1975-07-11
JPS50113047U (ko) * 1974-02-22 1975-09-16
JPS6329151A (ja) * 1986-07-21 1988-0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抜き装置
JPH0989376A (ja) * 1995-09-28 1997-04-04 Gastar Corp 自動風呂釜の水位検出方法及びそれを実施する自動風呂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0857U (ko) * 1973-11-22 1975-07-11
JPS50113047U (ko) * 1974-02-22 1975-09-16
JPS6329151A (ja) * 1986-07-21 1988-0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抜き装置
JPH0989376A (ja) * 1995-09-28 1997-04-04 Gastar Corp 自動風呂釜の水位検出方法及びそれを実施する自動風呂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333A (ko) 200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3474B2 (en) Pressure equalizing check valve
KR101181490B1 (ko) 지역난방방식의 자동제어 난방시스템 및 난방 제어방법
KR200210369Y1 (ko) 2개 이상의 토출구를 갖는 플로트밸브가 구비된자동수위조절장치
KR101365463B1 (ko) 유량조절 기능이 탑재된 난방용 자동 조절 밸브
MXPA02003013A (es) Valvula automatica para estabilizar un dispositivo de mezclado termostatico.
KR100341516B1 (ko) 압력개폐밸브를 구비한 병렬 온수보일러 시스템
KR100644378B1 (ko) 압력제어기능을 갖는 형상기억합금과 이중포핏을 이용한자동온도 유량조절장치
KR20060088621A (ko) 압력 변화를 이용한 유체 공급량 자동제어 시스템
JP2007010213A (ja) 貯湯装置
JPH043164Y2 (ko)
KR200189745Y1 (ko) 보일러의 유량조절밸브
KR100953701B1 (ko) 난방용 온수 조절밸브
KR102101297B1 (ko) 급속 스팀 세척기 제어방법
KR20200048110A (ko) 급탕을 열원으로하는 난방공급유닛의 물 공급시스템
KR102312524B1 (ko)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
CN214665227U (zh) 一种节水型热水器供水系统
KR200230314Y1 (ko) 냉·난방용 자동개폐밸브
KR101160598B1 (ko) 냉온수 혼합 밸브
KR200382102Y1 (ko) 보일러 에어배출용 관 이음쇠
KR200224456Y1 (ko) 정온수 공급장치
KR200347480Y1 (ko) 보일러시스템의 3방향밸브
KR200400893Y1 (ko) 온수분배기용 온도조절밸브
KR20180000640U (ko) 바이패스관을 갖는 온수 분배장치
KR200420616Y1 (ko) 차압유량조절밸브
KR200262430Y1 (ko) 가스안전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