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524B1 -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 - Google Patents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524B1
KR102312524B1 KR1020190134672A KR20190134672A KR102312524B1 KR 102312524 B1 KR102312524 B1 KR 102312524B1 KR 1020190134672 A KR1020190134672 A KR 1020190134672A KR 20190134672 A KR20190134672 A KR 20190134672A KR 102312524 B1 KR102312524 B1 KR 102312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pipe
circulati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0263A (ko
Inventor
최성열
Original Assignee
최성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열 filed Critical 최성열
Priority to KR1020190134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5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24D19/106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regulation in func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domestic hot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5Water supply lines as such, e.g. showe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92Fluid distribu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와 수도밸브 사이에 온수가 일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순환되면서 펌핑부에 의해 수압이 조절됨으로써 수도밸브의 개방시 온수가 즉시 출수되면서 안정적으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는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수부(10)에서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12)와, 상기 보일러(12)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일러(12)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유입되기 위한 온수유입관(15)과, 상기 온수유입관(15)으로부터 유입된 온수의 출수을 제어하기 위한 수도밸브(16)를 포함하는 온수 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수유입관(15)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유입된 온수에 압력을 가하여 수압을 조절하기 위한 펌핑부(20)와, 상기 온수유입관(15)에서 분기되어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관(30)과, 상기 순환관(3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온수를 외부로 출수하기 위한 출수관(40)과, 상기 순환관(30)과 직수관(11) 사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직수관(11)에 온수를 출수하기 위한 연결배관(50)을 포함하고, 상기 수도밸브(16)의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온수유입관(15) 내지 상기 연결배관(50)을 순환하는 온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펌핑부(20)는, 상기 온수유입관(15)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순환구동관(21)과, 상기 순환구동관(2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구동관(21)에 유입된 온수를 압력작용에 따라 출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22)와, 상기 순환구동관(21)과 수도밸브(16) 사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면서 온수가 출수되는 온수가 출수되는 끝단부가 상기 출수관(4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펌프(22)에 의해 압력을 받은 온수가 유동되기 위한 이중배관(25)과, 상기 이중배관(25)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펌프(22)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24)로 구성되되 상기 순환구동관(21)과 출수관(40)의 내측에는 압력측정센서(60)이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4)는 상기 압력측정센서(60)에서 측정된 수압에 따라 개폐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보일러(12), 순환펌프(22), 솔레노이드밸브(24)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WATER SAVING TYPE HOT WATER CIRCULATION SYSTEM}
본 발명은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일러와 수도밸브 사이에 온수가 일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순환되면서 펌핑부에 의해 수압이 조절됨으로써 수도밸브의 개방시 온수가 즉시 출수되면서 안정적으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는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 또는 싱크대 등에 설치되는 수전금구를 통해 토출되는 온수는 보일러의 온수 직수관을 통해 공급되나, 보일러는 통상적으로 건물의 외곽에 설치되기 때문에 수전금구까지 연결되는 온수 직수관은 내부에 물이 항상 잔류하게 되며, 온수가 장시간 사용되지 않으면 상기 온수 직수관 내에 잔류된 물의 수온이 서서히 낮아지게 된다.
특히 겨울철에 온수를 사용하고자 할 때 온수 직수관에 잔존하는 수온이 낮아진 물부터 샤워기로 공급되므로 곧바로 온수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보일러의 가동에 의해 가온된 온수가 나올 때까지 많은 양의 차가운 물을 그대로 흘려 보내야 하기 때문에 물이 낭비되는 것 뿐만 아니라 보일러가 가동하여 온수가 공급될 때까지 일정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또한, 온수 직수관에 잔존하는 낮은 수온을 유지하는 온수이지만 이미 보일러에서 연료를 사용하여 데워진 상태의 온수이므로 에너지가 이미 소모된 상태이기 때문에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311352(등록일자: 2013년 09월 16일)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전과, 상기 수전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배관과, 상기 수전에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공급배관과, 상기 온수 공급배관과 상기 냉수 공급배관이 혼합되어 상기 수전에 혼합수를 공급하는 혼합관과, 상기 혼합관에 설치된 온도 센서와, 상기 혼합관으로부터 상기 수전에 공급되는 혼합수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수전과 상기 온도 센서 사이에 설치된 밸브와, 상기 온수 공급배관과 상기 냉수공급배관 사이에 연결된 순환배관과, 상기 순환배관에 설치된 펌프와, 상기 냉수공급배관으로 공급된 직수는 상기 온수 공급배관으로 가열시켜 공급하는 보일러에 위치한 온수열교환기 및 상기 밸브와, 상기 온도 센서와,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낭비 방지용 온수공급장치.
그러나, 종래의 물 낭비 방지용 온수공급장치는 물이 설정온도보다 낮을 경우에 개폐밸브를 개방하여도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보일러를 가동하여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물이 낭비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물이 순환될 때까지의 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와 수도밸브 사이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의 온수가 일정온도를 유지하며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수도밸브의 개방시 온수가 즉시 출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시킬수 있음은 물론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펌핑부에 의해 온수에 압력을 가하여 온수를 외부로 출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압을 조절할 수 있는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은 원수부(10)에서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12)와, 상기 보일러(12)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일러(12)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유입되기 위한 온수유입관(15)과, 상기 온수유입관(15)으로부터 유입된 온수의 출수을 제어하기 위한 수도밸브(16)를 포함하는 온수 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수유입관(15)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유입된 온수에 압력을 가하여 수압을 조절하기 위한 펌핑부(20)와, 상기 온수유입관(15)에서 분기되어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관(30)과, 상기 순환관(3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온수를 외부로 출수하기 위한 출수관(40)과, 상기 순환관(30)과 직수관(11) 사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직수관(11)에 온수를 출수하기 위한 연결배관(50)을 포함하고, 상기 수도밸브(16)의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온수유입관(15) 내지 상기 연결배관(50)을 순환하는 온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펌핑부(20)는, 상기 온수유입관(15)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순환구동관(21)과, 상기 순환구동관(2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구동관(21)에 유입된 온수를 압력작용에 따라 출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22)와, 상기 순환구동관(21)과 수도밸브(16) 사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면서 온수가 출수되는 온수가 출수되는 끝단부가 상기 출수관(4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펌프(22)에 의해 압력을 받은 온수가 유동되기 위한 이중배관(25)과, 상기 이중배관(25)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펌프(22)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24)로 구성되되 상기 순환구동관(21)과 출수관(40)의 내측에는 압력측정센서(60)이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4)는 상기 압력측정센서(60)에서 측정된 수압에 따라 개폐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보일러(12), 순환펌프(22), 솔레노이드밸브(24)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일러와 수도밸브 사이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의 온수가 일정온도를 유지하며 순환되어 수도밸브의 개방시 온수가 즉시 출수되도록 함으로써 물과 에너지의 소비를 줄일 수 있어 물생산비용, 상수도 및 하수도비용 등의 간접비용도 절감될 뿐만 아니라 온실가스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펌핑부에 의해 온수에 압력을 가하여 온수를 외부로 출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압을 조절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온수를 출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의 온수순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에서 일부 수도밸브가 열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에서 다수의 수도밸브가 모두 열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에서 다수의 난방밸브가 모두 열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에서 제어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의 온수난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의 온수순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에서 일부 수도밸브가 열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에서 다수의 수도밸브가 모두 열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에서 다수의 난방밸브가 모두 열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에서 제어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의 온수난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삭제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은 원수부(10)에서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12)와, 상기 보일러(12)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일러(12)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유입되기 위한 온수유입관(15)과, 상기 온수유입관(15)으로부터 유입된 온수의 출수을 제어하기 위한 수도밸브(16)를 포함하는 온수 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수유입관(15)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유입된 온수에 압력을 가하여 수압을 조절하기 위한 펌핑부(20)와, 상기 온수유입관(15)에서 분기되어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관(30)과, 상기 순환관(3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온수를 외부로 출수하기 위한 출수관(40)과, 상기 순환관(30)과 직수관(11) 사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직수관(11)에 온수를 출수하기 위한 연결배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일러(12)는 상기 원수부(10)에서 유입되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직수관(11)의 단부와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원수부(10)에서 상기 직수관(11)을 통해 공급된 물은 케이싱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시켜 온수가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일러(12)는 연료로서 가스, 기름, 전기 및 석탄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수도밸브(16)에는 별도의 냉수관(미도시)이 연결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직수관(11)에는 후술되는 상기 연결배관(50)에 유입된 온수가 상기 직수관(11)을 통해 상기 보일러(12)로 유동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원수부(10)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7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직수관(11)에서는 필요에 의해서만 상기 보일러(12)의 내측으로 원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보일러(12)에서 출수된 온수는 상기 온수유입관(15)으로 유입되는데, 상기 온수유입관(15)은 상기 보일러(12)에서 가열된 온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보일러(12)와 연결되고 온수가 난방부(17)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난방부(17)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온수유입관(15)에는 상기 보일러(12)로부터 출수된 온수가 상기 보일러(12)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체크밸브(70)가 설치되며 온수가 상기 난방부(17)로 유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난방밸브(71)가 설치된다.
상기 펌핑부(20)는, 상기 온수유입관(15)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순환구동관(21)과, 상기 순환구동관(2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구동관(21)에 유입된 온수를 압력작용에 따라 출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22)와, 상기 순환구동관(21)과 수도밸브(16) 사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면서 온수가 출수되는 끝단부가 상기 출수관(4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펌프(22)에 의해 압력을 받은 온수가 유동되기 위한 이중배관(25)과, 상기 이중배관(25)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펌프(22)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순환구동관(21)의 내측에는 압력측정센서(60)가 설치된다.
상기 순환펌프(22)는 상기 순환구동관(21)과 후술되는 상기 출수관(40)에 설치된 상기 압력측정센서(60)의 판단에 따라 상기 순환구동관(21)의 온수가 압력을 받아 상기 이중배관(25)을 통해 외부로 출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순환펌프(22)는 상기 순환구동관(21)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중배관(25)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압력측정센서(60)의 판단에 의해 상기 이중배관(25)으로 유입된 온수가 압력을 받아 외부로 출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중배관(25)에 설치된 상기 순환펌프(22) 중 하나 이상의 순환펌프(22)를 작동시켜 수압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중배관(25)은 상기 순환구동관(21)과 수도밸브(16) 사이에 연결되는 배관으로 상기 순환펌프(22)에 의해 압력을 받은 온수가 상기 수도밸브(16)로 유동되는 통로이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4)는 상기 이중배관(25)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4)는 상기 압력측정센서(60)에서 측정된 수압에 따라 개폐된다.
즉, 상기 압력측정센서(60)에서 측정된 수압이 미리 설정된 정상수압과 동일하거나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아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4)가 폐쇄되어 상기 순환펌프(22)가 작동되지 않으며, 상기 압력측정센서(60)에서 측정된 수압이 미리 설정된 정상수압 미만일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4)을 개방시켜 상기 순환펌프(22)가 작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도밸브(16)의 제1수도밸브(13)와 제2수도밸브(14) 모두 개방되었을 경우에 상기 압력측정센서(60)에서 수압을 미리 설정된 정상수압 미만으로 판단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4)를 개방시켜 상기 순환펌프(22)가 작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순환구동관(21)의 온수가 상기 순환펌프(22)에 의해 압력을 받아 상기 이중배관(25)을 통해 외부로 출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도밸브(16)의 제1수도밸브(13)와 제2수도밸브(14) 중 하나만 개방되었을 경우에는 측정된 수압이 미리 설정된 정상수압과 동일하거나 초과하였다고 판단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4)가 폐쇄됨으로써 상기 순환펌프(22)가 작동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순환펌프(22)가 작동되지 않더라도 정상수압으로 상기 이중배관(25)을 통해 온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순환관(30)은, 상기 온수유입관(15)에 분기되게 설치되는데, 이 순환관(30)에는 후술되는 다수의 상기 출수관(40)이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출수관(40)은, 상기 순환관(30)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수도밸브(16)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출수관(40)의 내측에는 상기 이중배관(25)과 압력측정센서(60)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배관(50)은, 상기 순환관(30)과 직수관(11) 사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순환관(30)의 온수가 상기 직수관(11)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배관(50)에는 상기 연결배관(50)에서 상기 직수관(11)으로 유동하는 온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체크밸브(70)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배관(50)에 유입된 온수가 상기 난방부(17)로 유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난방밸브(71)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제어부(80)를 설치하여 상기 보일러(12)의 구동과 상기 순환펌프(2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순환구동관(21)과 출수관(40)에 설치된 상기 압력측정센서(60)를 구비함으로써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순환펌프(22)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4)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보일러(12)에서 가열된 온수가 상기 온수유입관(15)을 통해 유입되어 배관을 순환하면서 상기 수도밸브(16)의 개방 시 온수가 외부로 출수되면 상기 압력측정센서(60)에서 압력을 측정하여 신호를 상기 제어부(80)에 전송하게 된다.
즉, 상기 압력측정센서(60)에 의해 수압이 미리 설정된 정상수압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에서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4)가 개방되어 상기 순환펌프(22)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펌핑부(20)의 이중배관(25)을 통해 압력을 받은 온수가 외부로 출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순환구동관(21)에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70)를 설치하여 배관을 순환하는 온수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80)에서 온수의 온도를 설정온도 이상으로 올려 사용자의 사용이 가능하게 외부로 출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의 순환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보일러(12)에서 가열된 온수가 상기 온수유입관(15)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온수는 상기 순환관(30)과 상기 펌핑부(20)의 순환구동관(21)의 내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수도밸브(16)와 난방밸브(71)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순환관(30)의 내측으로 유동된 온수는 상기 연결배관(50)으로 유동되어 순환하며, 상기 수도밸브(16)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출수관(40)을 통해 온수가 외부로 출수되면서 상기 압력측정센서(60)에 의해 수압이 미리 설정된 정상수압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펌핑부(20)의 순환구동관(21)으로 유동된 온수가 상기 순환펌프(22)에 의해 압력을 받아 상기 펌핑부(20)의 이중배관(25)을 통해 외부로 출수되게 된다.
이때, 상기 펌핑부(20)의 순환구동관(21)과 상기 출수관(40)의 내측에 설치된 상기 압력측정센서(60)에서 수압을 측정하여 수압이 미리 설정된 정상수압 미만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입력받은 신호를 상기 제어부(80)로 송출하고, 송출된 신호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4)가 개방되어 상기 순환펌프(22)가 작동된다.
또한, 상기 펌핑부(20)의 순환구동관(21) 내측에 설치된 상기 온도감지센서(70)에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입력받은 신호를 상기 제어부(80)로 송출하고, 송출된 신호에 의해 온수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80)에서 설정온도를 올리도록 상기 보일러(12)로 신호를 송출한다.
한편, 상기 난방밸브(71)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온수유입관(15)으로 유동된 온수는 상기 난방부(17)로 유동되며 상기 연결배관(50)을 통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난방부(17)의 순환을 위해 순환하는 온수를 펌핑하기 위한 별도의 펌핑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출수관(40)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상기 이중배관(25) 중 어느 하나의 이중배관(25) 끝단에는 온수난방장치(19)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온수난방장치(19)는 상기 보일러(12)에서 배출된 온수가 배관을 순환하면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실내가 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1수도밸브(13)를 개방할 경우, 상기 출수관(40)을 통해 유동되는 온수와 상기 순환펌프(22)의 작동에 의해 압력을 받아 상기 이중배관(25)을 통해 유동되는 온수가 상기 온수난방장치(19)로 유입됨으로써 실내가 난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은 상기 보일러(12)와 수도밸브(16) 사이에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의 온수가 일정온도를 유지하며 순환되어 상기 수도밸브(16)를 개방할 경우, 사용자가 온수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과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펌핑부(20)에 의해 온수에 압력을 가하여 온수가 상기 이중배관(25)을 통해 외부로 출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압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원수부 11: 직수관
12: 보일러 13: 제1수도밸브
14: 제2수도밸브 15: 온수유입관
16: 수도밸브 17: 난방부
19: 온수난방장치 20: 펌핑부
21: 순환구동관 22: 순환펌프
24:: 솔레노이드밸브 25: 이중배관
30: 순환관 40: 출수관
50: 연결배관 60: 압력측정센서
70: 체크밸브 71: 난방밸브
80: 제어부 90: 온도감지센서

Claims (2)

  1. 원수부(10)에서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12)와, 상기 보일러(12)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일러(12)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유입되기 위한 온수유입관(15)과, 상기 온수유입관(15)으로부터 유입된 온수의 출수을 제어하기 위한 수도밸브(16)를 포함하는 온수 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수유입관(15)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유입된 온수에 압력을 가하여 수압을 조절하기 위한 펌핑부(20)와, 상기 온수유입관(15)에서 분기되어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관(30)과, 상기 순환관(3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온수를 외부로 출수하기 위한 출수관(40)과, 상기 순환관(30)과 직수관(11) 사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직수관(11)에 온수를 출수하기 위한 연결배관(50)을 포함하고, 상기 수도밸브(16)의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온수유입관(15) 내지 상기 연결배관(50)을 순환하는 온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펌핑부(20)는, 상기 온수유입관(15)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순환구동관(21)과, 상기 순환구동관(2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구동관(21)에 유입된 온수를 압력작용에 따라 출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22)와, 상기 순환구동관(21)과 수도밸브(16) 사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면서 온수가 출수되는 온수가 출수되는 끝단부가 상기 출수관(4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펌프(22)에 의해 압력을 받은 온수가 유동되기 위한 이중배관(25)과, 상기 이중배관(25)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펌프(22)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24)로 구성되되 상기 순환구동관(21)과 출수관(40)의 내측에는 압력측정센서(60)이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4)는 상기 압력측정센서(60)에서 측정된 수압에 따라 개폐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보일러(12), 순환펌프(22), 솔레노이드밸브(24)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
  2. 삭제
KR1020190134672A 2019-10-28 2019-10-28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 KR102312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672A KR102312524B1 (ko) 2019-10-28 2019-10-28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672A KR102312524B1 (ko) 2019-10-28 2019-10-28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263A KR20210050263A (ko) 2021-05-07
KR102312524B1 true KR102312524B1 (ko) 2021-10-14

Family

ID=7591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672A KR102312524B1 (ko) 2019-10-28 2019-10-28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5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381B1 (ko) 2006-03-13 2007-09-11 김영희 온수 보일러의 절수시스템
KR101609094B1 (ko) * 2015-02-15 2016-04-04 최성열 온수 순환배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066B1 (ko) * 2009-12-31 2012-09-28 윤종호 급탕 공급장치
KR101867521B1 (ko) * 2015-12-10 2018-06-15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순간식 보일러의 절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381B1 (ko) 2006-03-13 2007-09-11 김영희 온수 보일러의 절수시스템
KR101609094B1 (ko) * 2015-02-15 2016-04-04 최성열 온수 순환배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263A (ko)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0866B2 (ja) 温水システム
KR100757381B1 (ko) 온수 보일러의 절수시스템
CA2611730C (en) Pumpless combination instantaneous/storage water heater system
US9103562B2 (en) Fixed (and selectively fixed) bypass pumpless combination instantaneous/storage water heater system
WO2010103521A2 (en) Water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CA3066086A1 (en) Recirculating fluid heating systems
KR102449159B1 (ko) 난방 온수 겸용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CN212339621U (zh) 一种可供暖燃气热水器
US20070205292A1 (en) Heated fluid distribution apparatus for combined domestic hot water supply and space heating system
KR20150092160A (ko)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
KR20090037563A (ko) 보일러의 온수공급 시스템
JP4747799B2 (ja) 即湯システム
KR20100105114A (ko) 차압정보를 이용한 비례유량조절시스템
JP4875970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KR102312524B1 (ko) 절수형 온수 순환시스템
US20070205293A1 (en) Heated fluid distribution apparatus for combined domestic hot water supply and space heating system in closed loop
KR20160074935A (ko) 유량센서를 이용한 능동형 난방제어시스템
EP2239514A1 (en) Water saving system when demanding hot water
KR20110032748A (ko) 순환펌프 운전을 통한 온수 온도 제어방법
US20050166313A1 (en) Insulated hot water storage tank for sink
US20220205682A1 (en) Smart circulation control instantaneous-heating storage heat exchanger
JP2007139258A (ja) 貯湯式給湯装置
CN212081415U (zh) 一种智能淋浴系统
JP3962753B2 (ja) 給湯システム
JP2006349283A (ja) 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