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441B1 - 식기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441B1
KR102595441B1 KR1020230031672A KR20230031672A KR102595441B1 KR 102595441 B1 KR102595441 B1 KR 102595441B1 KR 1020230031672 A KR1020230031672 A KR 1020230031672A KR 20230031672 A KR20230031672 A KR 20230031672A KR 102595441 B1 KR102595441 B1 KR 102595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washing
reservoir
ri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1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훈희
Original Assignee
문훈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훈희 filed Critical 문훈희
Priority to KR1020230031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1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47L15/4248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ub compartment, e.g. for simultaneous washing of delicate and normal crock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5Water-heat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7Temperat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수와 헹굼수를 별도 저장하고 헹굼수를 세척수로 활용하는 식기 세척장치에 있어서, 살균 등을 위한 고온의 헹굼수를 다층 구조로 분할 저수한 상태에서 최하층에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최상층에 급수구를 구비하여, 보충수의 급수에 따른 헹굼수 전체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시켜 온수 생성을 위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식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장치는, 세척실과, 상기 세척실로 세척수와 헹굼수를 각각 공급하는 세척수 탱크와 헹굼수 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헹굼수 탱크는 열전도판으로 상하 구획화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최하층 저수부에 가열수단과 헹굼수 배출구가 구비되고, 최상층 저수부에 급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최하층 저수부를 제외한 나머지 저수부의 바닥부에는 낙하 공급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장치{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수와 헹굼수를 별도 저장하고 헹굼수를 세척수로 활용하는 식기 세척장치에 있어서, 살균 등을 위한 고온의 헹굼수를 다층 구조로 분할 저수한 상태에서 최하층에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최상층에 급수구를 구비하여, 보충수의 급수에 따른 헹굼수 전체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시켜 온수 생성을 위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식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업소용 식기 세척장치는 음식점 등의 업소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식기들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세척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의 업소용 식기 세척장치를 설명하면, 세척실 상부로는 승강식 도어가 구비되어 있고, 세척실 내부에는 랙에 담겨진 식기들을 세척 및 헹구기 위하여 세척수 및 헹굼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노즐이 설치되고, 세척실 하부에는 세척수 탱크와 헹굼수 탱크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세척수 탱크는 세척력을 높이기 위해 대략 40도 내외의 온도를 유지하며, 헹굼수 탱크는 헹굼 시 살균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80~90도 내외의 온도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세척 시 물을 절약하면서 세척수 및 헹굼수의 온도 유지가 용이하도록, 사용된 헹굼수는 바로 배출되지 않고 세척수 탱크로 저장되어 추후 세척 시 헹굼수를 세척수로 재사용하도록 세척실과 세척수 탱크 및 헹굼수 탱크가 서로 배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식기 세척장치는 세척수 탱크와 헹굼수 탱크에 온도 유지를 위한 히터 등의 가열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이때 헹굼 작업으로 인해 헹굼수 탱크의 수위가 낮아지면 그만큼 헹굼수를 보충하게 되는데, 일반 상수도를 연결할 경우 고온의 헹굼수와 저온의 보충수가 하나의 탱크에서 그대로 혼합됨에 따라 헹굼수 전체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게 되고, 이는 헹굼수를 적정 온도로 승온시키기 위해 히터의 추가 작동이 수반됨에 따라 많은 전기에너지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이에 종래의 식기 세척장치는 빠른 온도 상승을 위해 별도의 온수기를 식기 세척장치에 연결하여 기본 급수가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식기 세척장치는 기본 급수를 위한 온수기 사용과 함께 각 탱크의 온도 유지를 위한 히터 등의 사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여전히 전기( 및 가스) 사용에 따른 전력 소비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온수기의 사용 없이도 헹굼수 탱크의 헹굼수를 적정 온도 수준으로 유지하여 온도 상실에 따른 히터 가동 시간을 최소화시키고
이와 함께 헹굼수 탱크의 가열수단을 이용해 세척수 탱크에 대한 간접 가열이 이루어져 세척수 탱크에 별도의 히터 설치가 불필요함은 물론, 일반 상수도가 헹굼수 탱크로 보충될 때 별도의 가열 가동 없이도 일정 온도로 보충수에 대한 예열이 이루어져 헹굼수 탱크 내에서의 가열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식기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장치는,
세척실과, 상기 세척실로 세척수와 헹굼수를 각각 공급하는 세척수 탱크와 헹굼수 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헹굼수 탱크는 열전도판으로 상하 구획화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최하층 저수부에 가열수단과 헹굼수 배출구가 구비되고, 최상층 저수부에 급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최하층 저수부를 제외한 나머지 저수부의 바닥부에는 낙하 공급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장치에서,
상기 세척수 탱크와 헹굼수 탱크는 열전도판으로 구획화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장치에서,
상기 세척수 탱크는 입수구와 출수구를 가지며, 저수부의 내부에는 상기 입수구와 급수구 사이를 연결하는 열전도코일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출수구와 급수구가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장치에서,
상기 세척수 탱크는 상기 입수구가 상기 출수구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장치는,
헹굼수 탱크가 다층 구조로 구획화되어 최상층 저수부로 일반 상수도 등의 보충수가 공급될 때 가열수단이 구비된 최하층 저수부의 온도 변화에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시켜 헹굼수의 온도 유지를 위한 가열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세척수 탱크가 헹굼수 탱크의 가열수단에 의해 간접 가열되어 헹굼수 보다 상대적으로 저온의 온수인 세척수의 온도 유지를 위한 별도의 히터 설치가 불필요하며,
일반 상수도를 통해 저온의 보충수가 헹굼수 탱크로 보충될 때 상대적으로 고온인 세척수에 의해 보충수가 예열된 상태로 헹굼수 탱크로 저장되어 헹굼수의 온도 상승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량을 줄여서,
종국적으로 식기 세척장치에서 전력 소모 비율이 큰 히터의 전체 가동 시간을 줄임과 동시에 별도의 온수기 설치가 불필요하여 전체적인 에너지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너트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게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강 개폐되는 도어(11)와 상기 도어(11)에 의해 개폐되는 세척실(12)을 구비한 본체(10), 상기 세척실(12)의 하부에서 서로 면접하게 설치되는 세척수 탱크(20)와 헹굼수 탱크(30), 물의 순환 급수 및 분사 등을 위한 펌핑모터 등의 펌핑수단(13), 세척실(12) 내부에 구비되는 세척수 및 헹굼수 분사 노즐 등의 세척헹굼수단(1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10)와 펌핑수단(13) 및 세척헹굼수단(14)의 상세한 구성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과는 연광성이 적고, 공지된 식기 세척장치의 구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세척실(12)과, 상기 세척실(12)로 세척수와 헹굼수를 각각 공급하는 세척수 탱크(20)와 헹굼수 탱크(30)를 포함하되,
상기 헹굼수 탱크(30)는 열전도판으로 상하 구획화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최하층 저수부(30A)에 가열수단(31)과 헹굼수 배출구(32)가 구비되고, 최상층 저수부(30C)에 급수구(33)가 구비되며, 상기 최하층 저수부(30A)를 제외한 나머지 저수부(30B)(30C)의 바닥판(302)(303)에는 낙하 공급구(3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실(12)은 식기 거치를 위한 랙, 세척수 및 헹굼수 분사를 위한 노즐, 기타 세정제 분사기 등 공지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세척수 탱크(20)와 헹굼수 탱크(30)는 본체(10)의 일측에 동일 높이로 각각 구획화되어 설치되며, 양 탱크(20)(30)를 구획화시키는 측판(35)이 열전도판으로 구성되어 탱크(20)(30)들 사이에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상기 측판(35)의 소재인 열전도판은 열전달이 우수한 일반적인 금속 재질이면 족하고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이는 후술하는 바닥판(302)(303)과 열전도코일(23)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시 상기 헹굼수 탱크(30)는 각 층의 저수부(30A)(30B)(30C)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즉, 동일한 용량이 되도록) 열전도판으로 이루어진 바닥판(302)(303)으로 서로 구획화되어 있으며 도면에서는 총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헹굼수 탱크(30)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최하층 저수부(30A)에 구비되는 가열수단(31)은 코일형 히터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헹굼수 배출구(32)는 펌핑모터에 의해 헹굼수가 상기 세척실(12)의 헹굼수 분사 노즐로 분사되도록 배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급수구(33)는 후술하는 열전도코일(23)에 배관(24)으로 연결되어 일반 상수도를 통해 헹굼수 탱크(30)에 헹굼수가 보충된다.
상기 낙하 공급구(34)는 각 바닥판(302)(303)의 상면과 하면에서 돌출되는 니블이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각 층의 헹굼수가 배출 소진되더라도 일부의 헹굼수가 바닥판(302)(303)에 잔존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302)(303)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저수부(30A)(30B)(30C)의 세척 등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헹굼수 탱크(30)의 각 저수부(30A)(30B)(30C) 또는 최하층 저수부(30A)에는 각 층의 온도 감지를 위한 온도센서(36)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세척수 탱크(20)는 입수구(21)와 출수구(22)를 가지며, 세척수 탱크(20)의 내부에는 상기 입수구(21)와 급수구(33) 사이를 연결하는 열전도코일(23)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출수구(22)와 급수구(33)가 배관(24)으로 연결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세척수 탱크(20)는 상기 입수구(21)가 상기 출수구(22)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있고, 이에 상기 열전도코일(23)은 상기 세척수 탱크(20)의 저수부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형 코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식기 세척장치에서의 물의 공급 및 순환 구조를 설명하면, 일반 상수도 - 입수구(21) - 열전도코일(23) - 출수구(22) - 급수구(33) - 낙하 공급구(34) - 헹굼수 배출구(32) - 헹굼수 분사 노즐 - 세척실(12) - 세척수 탱크(20) - 세척수 분사 노즐 - 세척실(12) - 하수 배출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세척수 탱크(20)와 헹굼수 탱크(30)에 물이 모두 채워지면 상기 가열수단(31)에 의해 동시 가열된다.
상기 헹굼수 탱크(30)의 경우 최하층 저수부(30A)가 직접 가열되면서 승온된 물의 열이 공급구(34)를 통해 상향 전달되어 그 위의 저수부(30B)(30C)에 대한 간접 가열이 이루어지고, 이에 최하층 저수부(30A)의 헹굼수가 적정 온도(대략 80~90도 내외)에 도달하면 히터의 가동이 정지되며, 이때 중간층 저수부(30B)와 최상층 저수부(30C)의 헹굼수는 상대적으로 저온 상태로 가열, 유지된다.
동시에 상기 세척수 탱크(20) 역시 간접 가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세척수가 적정 온도(대략 40도 내외)로 가열,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세척 작업과 헹굼 작업이 순차로 진행되면, 먼저 세척수 탱크(20)의 수위가 내려간 상태에서 최하층 저수부(30A)의 헹굼수가 세척실(12)로 분사된 후 세척실(12)에서 배출된 헹굼수가 세척수 탱크(20)로 보충, 저장되며, 이때 사용된 고온의 헹굼수는 소정의 온도 저하만이 발생하여 세척수 탱크(20) 내의 세척수 전체 온도 변화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아울러 최하층 저수부(30A)의 헹굼수가 배출됨에 따라 그 위의 각 저수부(30B)(30C)에 저장된 헹굼수가 각 바닥판(302)(303)의 낙하 공급구(34)를 통해 낙하하여 최하층 저수부(30A)와 중간층 저수부(30B)에 헹굼수가 채워진 후 히터의 가동으로 헹굼수에 대한 가열이 재개된다.
그리고 일반 상수도를 통해 보충수의 공급이 시작되면, 보충수는 상기 입수구(21)를 통해 상기 열전도코일(23)을 따라 출수구(22)로 배출되며, 이때 상온의 보충수가 상대적으로 고온인 세척수로부터 간접 가열을 통해 예열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예열된 보충수는 상기 급수구(33)를 통해 최상층 저수부(30C)에 보충, 저장되며, 보충수 자체가 소정의 온도로 예열된 상태임과 동시에, 각 층의 저수부(30A)(30B)(30C)가 서로 구획화되어 있으므로, 상층의 저수부에 저장되는 헹굼수의 온도가 그 보다 하층의 저수부에 저장된 헹굼수의 온도 변화에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되고, 이에 각 층의 저수부(30A)(30B)(30C)가 일종의 서로 다른 온도층을 형성하여, 최하층 저수부(30A)의 헹굼수에 대한 가열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물의 순환 및 간접 가열과 함께 열 차단 구조를 통해 급격한 물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함으로써, 세척수 및 헹굼수를 가열, 유지하는데 필요한 히터의 가동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별도의 온수기 설치 또한 필요치 않기 때문에, 식기 세척장치 전체적으로 에너지 소비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36)는 니블(36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헹굼수 탱크(30)의 측벽부(304)에 너트로 고정된다.
이때 본 발명은 너트에 풀림 방지 구조를 적용하여, 펌핑모터 등의 진동에 의해 너트가 헐겁게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를 참고 하면, 풀림 방지 구조가 적용된 너트(N)는,
니블(361)의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갖되, 상기 암나사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공(N11)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너트바디(N1),
상기 너트바디(N1)의 암나사부와 연장되는 암나사부를 갖되, 상기 너트바디(N1)의 외측면에서 상기 결합공(N11)에 끼워져 고정되는 기둥부(N21)와, 상기 기둥부(N21)의 선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인출홈(N22)을 구비한 고정몸체(N2),
상기 니블(361)의 수나사부보다 큰 내경의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너트바디(N1)의 내측면에서 상기 인출홈(N22)에 끼워져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N31)를 구비한 눌림몸체(N3),
상기 인출홈(N22)에 내장되어 상기 가이드부(N31)를 측벽부(304)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N4)을 포함한다.
이러한 너트(N)는 상기 니블(361)의 수나사부에 조여질 때, 상기 눌림몸체(N3)가 상기 측벽부(304)에 지지되어 눌리면서 상기 압축스프링(N4)이 압축되고, 이렇게 발생하는 탄성력이 상기 고정몸체(N2)에 작용하여, 일종의 풀림 방지 와셔의 기능을 하면서 너트(N)의 풀림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너트바디(N1)는 육각면을 갖는 것으로, 복수개의 결합공(N11)이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몸체(N2)는 너트바디(N1)에 대응하는 육각면을 가지며, 결합공(N11)에 끼워지는 기둥부(N21)가 돌출되어 있고, 이때 기둥부(N21)의 선단부가 리벳(N23)으로 가공되어 고정몸체(N2)가 너트바디(N1)에 고정된다.
이러한 너트바디(N1)와 고정몸체(N2)는 연속된 암나사부를 갖도록 가공되어, 스패너를 통해 니블(361)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눌림몸체(N3)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니블(361)에 나사 결합되지 않고 그대로 끼워지며, 가이드부(N31)가 인출홈(N22)에 끼워져 너트바디(N1)에 대하여 눌림몸체(N3)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압축스프링(N4)은 압축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눌림몸체(N3)를 너트바디(N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너트(N)를 니블(361)의 수나사부에 체결하면, 너트(N) 전체가 수나사부를 따라 조여지다가 눌림몸체(N3)가 측벽부(304)에 접촉된다.
그리고 너트(N)를 계속 조이면, 눌림몸체(N3)는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너트바디(N1)와 고정몸체(N2)만이 함께 조여진다.
이렇게 너트바디(N1)와 고정몸체(N2)만이 조여지면, 눌림몸체(N3)와의 거리가 줄어듦에 따라 압축스프링(N4)이 압축되어 탄성력이 강해진다.
이렇게 발생한 압축스프링(N4)의 탄성력은 고정몸체(N2)에 대하여 눌림몸체(N3)를 측벽부(304)에 밀착하게 가압함과 동시에 눌림몸체(N3)에 대하여 너트바디(N1)와 고정몸체(N2)를 측벽부(30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너트바디(N1)와 고정몸체(N2)의 암나사부는 수나사부의 길이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진동에 의해서 풀리지 않게 된다. 즉, 고정몸체(N2)와 눌림몸체(N3)의 연결 구조가 공지된 풀림 방지용 이중 와셔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되며,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압축스프링(N4)으로 그 탄성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진동 등에 의한 풀림 방지 기능이 더욱 높아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식기 세척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본체 11 : 도어
12 : 세척실 13 : 펌핑수단
14 : 세척헹굼수단
20 : 세척수 탱크 21 : 입수구
22 : 출수구 23 : 열전도코일
30 : 헹굼수 탱크 30A, 30B, 30C : 저수부
31 : 가열수단 32 : 배출구
33 : 급수구 34 : 낙하 공급구
35 : 측판

Claims (4)

  1. 세척실(12)과, 상기 세척실(12)로 세척수와 헹굼수를 각각 공급하는 세척수 탱크(20)와 헹굼수 탱크(30)를 포함하되,
    상기 헹굼수 탱크(30)는 열전도판으로 상하 구획화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최하층 저수부(30A)에 가열수단(31)과 헹굼수 배출구(32)가 구비되고, 최상층 저수부(30C)에 급수구(33)가 구비되며, 상기 최하층 저수부(30A)를 제외한 나머지 저수부(30B)(30C)의 바닥부에는 낙하 공급구(3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헹굼수 탱크(30)의 각 저수부(30A)(30B)(30C) 또는 최하층 저수부(30A)에는 각 층의 온도 감지를 위한 온도센서(3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온도센서(36)는 니블(36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헹굼수 탱크(30)의 측벽부(304)에 너트(N)로 고정되며,
    상기 너트(N)는,
    니블(361)의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갖되, 상기 암나사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공(N11)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너트바디(N1),
    상기 너트바디(N1)의 암나사부와 연장되는 암나사부를 갖되, 상기 너트바디(N1)의 외측면에서 상기 결합공(N11)에 끼워져 고정되는 기둥부(N21)와, 상기 기둥부(N21)의 선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인출홈(N22)을 구비한 고정몸체(N2),
    상기 니블(361)의 수나사부보다 큰 내경의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너트바디(N1)의 내측면에서 상기 인출홈(N22)에 끼워져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N31)를 구비한 눌림몸체(N3),
    상기 인출홈(N22)에 내장되어 상기 가이드부(N31)를 측벽부(304)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N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탱크(20)와 헹굼수 탱크(30)는 열전도판으로 구획화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탱크(20)는 입수구(21)와 출수구(22)를 가지며, 상기 세척수 탱크(20)의 내부에는 상기 입수구(21)와 급수구(33) 사이를 연결하는 열전도코일(23)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출수구(22)와 급수구(33)가 배관(24)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탱크(20)는 상기 입수구(21)가 상기 출수구(22)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장치.
KR1020230031672A 2023-03-10 2023-03-10 식기 세척장치 KR102595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672A KR102595441B1 (ko) 2023-03-10 2023-03-10 식기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672A KR102595441B1 (ko) 2023-03-10 2023-03-10 식기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441B1 true KR102595441B1 (ko) 2023-10-30

Family

ID=8855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672A KR102595441B1 (ko) 2023-03-10 2023-03-10 식기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4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797Y1 (ko) * 2005-01-10 2005-04-07 김병권 업소용 식기세척기
KR100854980B1 (ko) * 2007-10-17 2008-08-28 박호권 식기 세척기의 헹굼수 예열 장치
KR100963225B1 (ko) * 2009-06-04 2010-06-10 동양셰프(주) 식기세척기
KR20120030471A (ko) * 2012-01-25 2012-03-28 박호권 헹굼수의 예열 기능을 가진 식기세척기
KR101293019B1 (ko) * 2013-04-15 2013-08-05 안희옥 도어 타입의 업소용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797Y1 (ko) * 2005-01-10 2005-04-07 김병권 업소용 식기세척기
KR100854980B1 (ko) * 2007-10-17 2008-08-28 박호권 식기 세척기의 헹굼수 예열 장치
KR100963225B1 (ko) * 2009-06-04 2010-06-10 동양셰프(주) 식기세척기
KR20120030471A (ko) * 2012-01-25 2012-03-28 박호권 헹굼수의 예열 기능을 가진 식기세척기
KR101293019B1 (ko) * 2013-04-15 2013-08-05 안희옥 도어 타입의 업소용 식기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5441B1 (ko) 식기 세척장치
KR101367334B1 (ko) 온수 및 난방수 순간 가열 구조를 갖는 전기보일러 시스템
CN2899653Y (zh) 电蒸锅蒸汽发生器的自动循环给水装置
US6938581B2 (en) Supplemental water heater tank and system
KR101541716B1 (ko) 전극식 온수 및 스팀 보일러 시스템
CN2910045Y (zh) 纳米加热饮水机
KR20110107969A (ko) 스팀 발생기
KR200426632Y1 (ko) 식기세척기용 외장형 예열장치
CN105135399B (zh) 一种蒸汽发生装置及熨烫装置
KR100908003B1 (ko) 식기세척기
CN100501263C (zh) 即热容积合一式电热水器及其加热方法
KR200431477Y1 (ko) 스팀청소기용 물탱크
KR200380797Y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
KR101392393B1 (ko) 스팀 발생기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 스팀 보일러
KR200453258Y1 (ko) 식품제조용 증기 보일러
CN211301244U (zh) 高热烹煮结构
CN201316152Y (zh) 一种动态加热饮水机
KR200307916Y1 (ko) 워터 히터
KR100802261B1 (ko) 태양열 난방 및 급탕용 축열조
KR102635531B1 (ko) 고온수의 연속 추출이 가능한 온수 공급장치
CN216973611U (zh) 一种星盆结构
CN220256424U (zh) 一种洗碗机进水预热机构及洗碗机
CN214529841U (zh) 一种蒸汽回收系统及其节能蒸汽回收装置
CN207898366U (zh) 一种热能综合利用蒸柜
CN219775992U (zh) 一种可连续供热的恒温电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