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521B1 - 노이즈필터용 자성체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노이즈필터 모듈 - Google Patents

노이즈필터용 자성체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노이즈필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521B1
KR102635521B1 KR1020160152605A KR20160152605A KR102635521B1 KR 102635521 B1 KR102635521 B1 KR 102635521B1 KR 1020160152605 A KR1020160152605 A KR 1020160152605A KR 20160152605 A KR20160152605 A KR 20160152605A KR 102635521 B1 KR102635521 B1 KR 102635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re
noise filter
filter module
curved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5151A (ko
Inventor
장동욱
김철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16015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52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01F2017/065Core mounted around conductor to absorb noise, e.g. EMI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노이즈필터용 자성체코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필터용 자성체코어는 양측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트랙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양측 사이의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굴곡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노이즈필터용 자성체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노이즈필터 모듈{Core for noise filter and noise filter modu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노이즈필터용 자성체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노이즈필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인버터, 모터, 기어박스 등과 같은 장치들이 다른 장치들과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 복잡하게 배치된다. 이때, 전선들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에 의해 서로 간의 간섭이 발생하여 노이즈필터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대상으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는 원통형 자성체코어를 구비한다. 즉, 전선이 보편적으로 원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선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원통형 자성체코어가 사용된다.
이때, 상기 노이즈필터는 차량의 각종 내부장치의 부근 또는 그에 직접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원통형 자성체코어는 구조적으로 모터 등과 같이 외형이 곡선을 갖는 장치에 장착하는 경우, 그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고정이 불안정하고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복수의 전선을 하나의 자성체코어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경우, 원통형 자성체코어를 사용하면 전체 크기가 커지므로 복잡한 구조물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KR 20-0358600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성체코어를 부분적으로 굴곡지게 형성하여 곡선 형태의 장치에도 장착이 용이한 노이즈필터용 자성체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노이즈필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의 삽입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자성체코어의 쇄교면적을 증가시켜 공간 효율 및 노이즈제거 효율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노이즈필터용 자성체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노이즈필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이즈필터용 자성체코어를 제공한다. 상기 자성체코어는 양측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트랙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양측 사이의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굴곡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자성체코어는 좌우 대칭이면서 상하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코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가 상기 트랙 형상의 내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연결부는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자성체코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가 상기 트랙 형상의 외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연결부는 그 중앙부와 상기 양측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자성체코어는 상기 어느 하나의 연결부가 상기 트랙 형상의 내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되고 다른 연결부가 상기 트랙 형상의 외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코어는 비정질 합금 리본 또는 비정질 합금 분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자성체코어는 페라이트 또는 규소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코어는 경화제에 의해 고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성체코어는 에폭시수지용액에 함침 및 건조에 의해 고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노이즈필터용 자성체코어; 및 상기 자성체코어를 수용하는 한 쌍의 외장케이스;를 포함하는 노이즈필터 모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외장케이스는 상기 자성체코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자성체코어는 상기 외장케이스 내에 복수 개가 내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자성체코어의 양측 및 그 사이는 실리콘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랙 형상의 자성체코어에서 양측의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자성체코어의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함으로써, 모터와 같은 곡선 형태의 장치에 용이하게 직접 장착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거나 협소한 공간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노이즈필터의 고정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성체코어 내측의 전선삽입의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트랙 형상의 일부를 굴곡지게 형성하여 자성체코어의 쇄교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전체 체적을 작게 형성하여 본 발명의 자성체 코어가 적용되는 제품의 공간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노이즈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필터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필터용 자성체코어의 일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필터용 자성체코어의 다른 예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필터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에서 상측 외장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에서 하측 외장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필터 모듈의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필터용 자성체코어(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부(112) 및 연결부(113,1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성체코어(110)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방사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노이즈필터 모듈(100)에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노이즈필터 모듈(100)은 쌍을 이루는 복수 개의 전선에 대한 공통모드 노이즈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자성체코어(110)는 전체적으로 트랙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부(112)를 연결하는 연결부(113,114) 중 적어도 하나가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코어(110)는 그 양측의 곡선 부분과 곡선 부분을 연결하는 직선 부분으로 이루어진 트랙 형상에서, 직선 부분(연결부(113,114))을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굴곡되게 변형한 것이다.
여기서, 전선은 내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그 주변에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장이 발생되어 자유공간으로 방출된다. 이때, 전선이 자성체코어(110)의 내경 안에 삽입되면 자유공간으로 방출되던 자기장이 자성체코어(110)의 높은 투자율로 인해 자기장 집적효과에 따라 자성체코어(110) 안으로 집속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노이즈 성분에 대한 자기에너지는 자성체코어(110)에 의해 흡수된 상태에서 자성체코어(110)의 임피던스, 즉, 저항 성분에 의해 열에너지로 변환된다.
이에 의해, 자성체코어(110)는 전선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선 사이의 신호 간섭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전선에 대한 불필요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성체코어(110)는 노이즈필터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자성체코어(110)는 단일의 전선뿐만 아니라 복수의 전선에 대하여 노이즈필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자성체코어(110)는 차량의 모터와 같이 3상을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전선에 대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양측부(112)는 트랙 형상의 자성체코어(110)의 양측 부분으로서 일정한 곡률을 갖는다. 이때, 양측부(11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113,114)는 자성체코어(110)가 트랙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양측부(112) 사이를 길게 연장 형성한다. 이때, 연결부(113,114)는 적어도 하나가 자성체코어(110)의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성체코어(110)의 길게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113,114)에 형성되는 굴곡 부분이 모터와 같은 장치의 곡선 부분에 밀착 가능하므로, 자성체코어(110)는 모터와 같은 장치의 곡선 부분에 용이하게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자성체코어(110)를 포함하는 노이즈필터 모듈이 차량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다른 부품 또는 장치에 의한 물리적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자성체코어(110)가 트랙 형상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자성체코어(110) 내부에 복수 개의 전선을 배치하는 경우, 불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노이즈필터 모듈의 전체 체적을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과 같이 복잡한 구조물이 연결되는 부분에 적용하는 경우 공간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자성체코어(110)가 굴곡되게 형성됨으로써, 구조물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장착이 용이하여 공간 사용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자성체코어(110)가 트랙 형상의 직선 부분을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굴곡지게 변형함으로써, 전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에 대하여 자성체코어(110)의 쇄교면적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노이즈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자성체코어(110)는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면서, 상하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연결부(113,114)를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굴곡되게 변형할 수 있다. 즉, 자성체코어(110)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양측부(112)가 형상을 유지하여 좌우 대칭을 유지하면서, 어느 하나의 연결부(113,114)가 자성체코어(110)의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굴곡되게 변형하여 상하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자성체코어(11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연결부(113)가 트랙 형상의 외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되고, 다른 연결부(114)가 트랙 형상의 내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자성체코어(110)는 연결부(113,114)가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연결부(114)는 곡선 형상의 장치의 외곽에 직접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외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연결부(113)는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연결부(113)는 그 중앙부와 양측부(112)가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자성체코어(110)는 연결부(113,114)의 중앙부만 외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연결부(113,114)의 중앙부와 양측부(112) 사이는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자성체코어(110)의 연결부(113,114)의 중앙부는 양측부(112)에 비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성체코어(110)는 비정질 합금 리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코어(110a)는 비정질 합금 리본을 여러 겹으로 감아서 권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자성체코어(110)는 비정질 합금 분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코어(110f)는 비정질 함금 분말을 금형을 통해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성체코어(110)가 비정질 합금 리본 또는 비정질 합금 분말로 이루어지는 경우, 굴곡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경화제에 의해 고화될 수 있다. 즉, 자성체코어(110)가 여러 겹으로 권선된 비정질 합금 리본으로 이루어진 경우, 경화제에 의해 굴곡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성체코어(110)가 비정질 합금 분말로 이루어지는 경우, 자성체코어(110) 내에서 비정질 합금 분말이 굴곡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고화될 수 있다.
이때, 자성체코어(110)는 연결부(113,114)가 임의의 굴곡된 상태에서 에폭시수지용액에 함침 및 건조에 의해 일정한 형태로 고화될 수 있다. 이때, 자성체코어(110)는 80~150℃의 열처리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자성체코어(110)는 페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코어(110f)는 페라이트를 소결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자성체코어(110f)는 금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성체코어(110)는 투자율이 높은 동시에 임피던스가 높기 때문에, 전선으로부터 방사되는 자기장을 효율적으로 집속하는 동시에 열에너지 등으로 변환하여 노이즈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자성체코어(110)는 규소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자성체코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본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성체코어(110)는 동일한 크기에 비하여 높은 포화전류 특성을 갖기 때문에, 동일한 특성 대비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자성체코어(110)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113,114)만 트랙 형상의 외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코어(110b,110g)는 하나의 연결부(113)가 외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13)는 그 중앙부와 양측부(112) 사이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체코어(110b,110g)는 연결부(113)의 중앙부가 양측부(112)에 비하여 대향하는 연결부(114a)와의 사이가 크게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성체코어(110b,110g)는 다른 연결부(114a)가 양측부(112) 사이에서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체코어(110b)는 비정질 합금 리본 또는 규소강판 리본으로 이루어지고, 자성체코어(110g)는 페라이트, 규소강판 또는 비정질 합금 분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연결부(113)가 직선으로 형성된 연결부(114a)에 비하여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전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에 대한 쇄교면적이 증가하므로 트랙 형상의 자성체코어에 비하여 노이즈제거 효율을 형상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코어(110)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113,114)만 트랙 형상의 내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코어(110c,110h)는 하나의 연결부(113a)가 양측부(112) 사이에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성체코어(110c,110h)는 다른 연결부(114)가 내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14)는 일정한 곡률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체코어(110c)는 비정질 합금 리본 또는 규소강판 리본으로 이루어지고, 자성체코어(110h)는 페라이트, 규소강판 또는 비정질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되는 연결부(114)가 모터와 같은 장치의 곡선 부분에 밀착 가능하므로 장치의 곡선 부분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따라서,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자성체코어(110b,110g)에 비하여 고정성, 안정성 및 공간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코어(110d,110i)는 연결부(113,114b) 모두가 외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자성체코어(110d,110i)는 대략 마름모 형태로 연결부(113,114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13,114b)는 그 중앙부와 양측부(112) 사이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체코어(110d)는 비정질 합금 리본 또는 규소강판 리본으로 이루어지고, 자성체코어(110i)는 페라이트, 규소강판 또는 비정질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외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연결부(113,114b)가 직선으로 형성된 연결부(113a,114a)에 비하여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전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에 대한 쇄교면적이 증가하므로 트랙 형상의 자성체코어에 비하여 노이즈제거 효율을 형상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코어(110e,110j)는 연결부(113,114b) 모두가 내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자성체코어(110e,110j)는 연결부(113,114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13,114b)는 일정한 곡률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체코어(110e)는 비정질 합금 리본 또는 규소강판 리본으로 이루어지고, 자성체코어(110j)는 페라이트, 규소강판 또는 비정질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연결부(113,114b) 모두가 내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모터와 같은 장치의 곡선 부분에 밀착 가능하므로 장치의 곡선 부분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고정성, 안정성 및 공간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 형상에 의해 방향성이 없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자성체코어(110,110a~110j)는 전선을 삽입 고정하고, 외부로부터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외장케이스 내에 삽입됨으로써, 모듈화된 하나의 노이즈필터 모듈(100)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노이즈필터 모듈(100)은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코어(110), 제1외장케이스(120), 및 제2외장케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코어(110)는 양측부(112) 및 연결부(113,1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측에 삽입되는 전선으로부터 방출되는 자기장을 자성체코어(110) 자체로 집속하며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자성체코어(110)는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외장케이스 내에 복수 개가 내장될 수 있다. 이때, 도 15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자성체코어(110',110")의 양측 및 그 사이는 실리콘 접착제(101)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자성체코어(110',110")의 양측은 실리콘 접착제(101)를 통하여 제1외장케이스(120) 또는 제2외장케이스(130) 내에 고정되고, 자성체코어(110',110") 사이는 실리콘 접착제(101)를 통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성체코어(110)는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외장케이스(120)는 자성체코어(110)를 수용 및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제2외장케이스(130)와 쌍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1외장케이스(120)는 몸체(121)가 자성체코어(110)를 수용하도록 자성체코어(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몸체(121)는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면서 상하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외장케이스(120)는 중앙부에 전선이 삽입되는 삽입구(122)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구(12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21)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측벽(12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측벽(123)과 몸체(121)의 외주변 사이에는 자성체코어(1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몸체(121), 측벽(123) 및 수용부(124)는 각각 "제1 몸체", "제1 측벽" 및 "제1 수용부"라고 다르게 지칭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외장케이스(120)는 일측의 외주변을 따라 제2외장케이스(130)에 결합되는 단차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차부(124)는 몸체(121)의 외주면의 외측이 절삭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차부(124)는 제2외장케이스(130)의 결합을 위해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외장케이스(130)는 자성체코어(110)를 수용 및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제1외장케이스(120)와 쌍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2외장케이스(130)는 몸체(131)가 자성체코어(110)를 수용하도록 자성체코어(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몸체(131)는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면서 상하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외장케이스(130)는 중앙부에 전선이 배출되는 배출구(132)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구(13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31)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측벽(13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측벽(133)과 몸체(131)의 외주변 사이에는 자성체코어(1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몸체(131), 측벽(133) 및 수용부(134)는 각각 "제2 몸체", "제2 측벽" 및 "제2 수용부"라고 다르게 지칭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2외장케이스(130)는 일측의 외주변을 따라 제1외장케이스(120)에 결합되는 단차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차부(134)는 몸체(131)의 외주면의 내측이 절삭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차부(134)는 제1외장케이스(120)의 결합을 위해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외장케이스(120) 및 제2외장케이스(130)는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자성체코어(110)가 절반씩 수용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외장케이스(120) 및 제2외장케이스(130) 중 어느 하나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어느 하나의 외장케이스는 수용부에 자성체코어(110)가 완전히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외장케이스는 자성체코어(1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지 않고 덮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제1외장케이스(120) 및 제2외장케이스(130)는 몸체(121,131)의 외주변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삭된 형태의 단차부(125,135)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쌍의 외장케이스(120,130)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제1외장케이스(120) 및 제2외장케이스(130) 각각은 그 몸체(121,131)가 도 2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성체코어(110a) 또는 자성체코어(110f)의 외측 및 내측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3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성체코어(110b) 또는 자성체코어(110g), 도 4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성체코어(110c) 또는 자성체코어(110h), 도 5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성체코어(110d) 또는 자성체코어(110i), 및 도 6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성체코어(110e) 또는 자성체코어(110j)의 외측 및 내측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노이즈필터 모듈 110 : 자성체코어
112 : 양측부 113,114 : 연결부
120 : 제1외장케이스 130 : 제2외장케이스

Claims (14)

  1. 내경에 삽입되는 전선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집속시켜 제거하기 위한 노이즈필터 모듈에 있어서,
    노이즈필터용으로서, 곡선 부분을 포함하는 대상 장치에 대해 상기 곡선 부분에 대응하여 장착될 수 있는 굴곡 부분을 포함하는 자성체코어,; 및
    상기 자성체코어를 수용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외장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코어는 양측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트랙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양측 사이의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굴곡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외장케이스는, 제1 몸체와, 상기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부의 관통 형상의 삽입구와, 상기 제1 몸체의 외주면과 상기 제1 측벽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자성체코어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2 외장케이스는, 제2 몸체와, 상기 전선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부의 관통 형상의 배출구와, 상기 제2 몸체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측벽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자성체코어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몸체는 상기 자성체코어의 형상에 대응하는 트랙 형상으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굴곡 부분에 대응하는 굴곡 부분을 포함하는 노이즈필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코어는 좌우 대칭이면서 상하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노이즈필터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코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상기 굴곡 부분이 상기 트랙 형상의 내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되는 노이즈필터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연결부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노이즈필터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코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상기 굴곡 부분이 상기 트랙 형상의 외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되는 노이즈필터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연결부는 중앙부와 상기 양측이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노이즈필터 모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코어는 어느 하나의 연결부에 구비된 상기 굴곡 부분이 상기 트랙 형상의 내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되고 다른 연결부에 구비된 상기 굴곡 부분이 상기 트랙 형상의 외측으로 굴곡되게 형성되는 노이즈필터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코어는 비정질 합금 리본 또는 비정질 합금 분말로 이루어지는 노이즈필터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코어는 페라이트 또는 규소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노이즈필터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코어는 경화제에 의해 고화되는 노이즈필터 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코어는 에폭시수지용액에 함침 및 건조에 의해 고화되는 노이즈필터 모듈.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코어는 상기 제1 및 제2 외장케이스 내에 복수 개가 내장되는 노이즈필터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자성체코어의 양측과, 상기 복수 개의 자성체코어의 사이는 각각 실리콘 접착제로 고정되는 노이즈필터 모듈.
KR1020160152605A 2016-11-16 2016-11-16 노이즈필터용 자성체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노이즈필터 모듈 KR102635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605A KR102635521B1 (ko) 2016-11-16 2016-11-16 노이즈필터용 자성체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노이즈필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605A KR102635521B1 (ko) 2016-11-16 2016-11-16 노이즈필터용 자성체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노이즈필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151A KR20180055151A (ko) 2018-05-25
KR102635521B1 true KR102635521B1 (ko) 2024-02-08

Family

ID=62299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605A KR102635521B1 (ko) 2016-11-16 2016-11-16 노이즈필터용 자성체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노이즈필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521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1116A (ja) * 1990-03-12 1991-11-21 Mitsubishi Electric Corp 信号ラインフィルタ用磁心
KR100300161B1 (ko) * 1998-01-03 2001-10-27 김병규 비정질자기코어및그의제조방법
KR200358600Y1 (ko) 2004-05-21 2004-08-09 (주)디.에스.이 케이블용 노이즈 필터
KR101197234B1 (ko) * 2011-04-08 2012-11-0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비정질 금속 코어와, 이를 이용한 유도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43251A (ko) * 2014-06-13 2015-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어 및 이를 갖는 코일 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151A (ko)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0745B2 (ja) トランス
JP2017108533A (ja) 受電装置および送電装置
JP6221411B2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用コイルユニット
TWI467609B (zh) 變壓器結構
JP7127317B2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
JP7196175B2 (ja) 携帯電話器用の超小型3軸低周波アンテナとそれを具備する携帯電話
US11398760B2 (en) Stator, stator assembly, and transducer for converting between electrical energy and mechanical energy
JP2019033135A (ja) リアクトルの製造方法
KR102635521B1 (ko) 노이즈필터용 자성체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노이즈필터 모듈
JP2022077899A (ja) コイル部品
US20160308385A1 (en) Inductor assembly for obc of electric vehicle
JP6649925B2 (ja) 電力伝送ユニット
TW201603062A (zh) 電子機器
JP2015070081A (ja) コイル装置
JP2018082129A (ja) リアクトル
JP6508694B2 (ja) チョークコイル
CN110958508A (zh) 发声装置
CN216751530U (zh) 电磁兼容滤波器
JP6631389B2 (ja) ノイズフィルタ付き導電路
JP2009246239A (ja) リアクトル及びコイル成形体
CN112003410B (zh) 机壳组件、机壳、分块定子总成组件、定子总成及电机
JP2019114577A (ja) リアクトル
JP7241829B2 (ja) リアクトル
JP7240211B2 (ja) サージ低減装置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20200019456A (ko) E-타입 코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