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262B1 - 곡면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곡면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262B1
KR102635262B1 KR1020210149436A KR20210149436A KR102635262B1 KR 102635262 B1 KR102635262 B1 KR 102635262B1 KR 1020210149436 A KR1020210149436 A KR 1020210149436A KR 20210149436 A KR20210149436 A KR 20210149436A KR 102635262 B1 KR102635262 B1 KR 102635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ar fuel
curved surface
flat plate
elastic member
proces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4161A (ko
Inventor
송화영
권선칠
박경민
김성환
정용진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49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262B1/ko
Publication of KR20230064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2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reactor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28Arrangements for preventing distortion of, or damage to, presses or parts thereof
    • B30B15/281Arrangements for preventing distortion of, or damage to, presses or parts thereof overload limiting devic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23/00Adaptations of reactors to facilitate experimentation or irradi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6Assemblies of plate-shaped fuel elements or coaxial 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곡면 가공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곡면 가공 장치는 평판형 판형 핵연료를 가공하여 곡면형 판형 핵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곡면 가공 장치로서, 상기 평판형 판형 핵연료에 대하여 압력을 인가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내측에 함입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함입공간 내에 삽입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평판형 판형 핵연료가 배치되는 탄성부재; 및 설계 곡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곡면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 측으로 하강 운동하여 상기 평판형 판형 핵연료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시 일시적으로 압축되었다가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다.

Description

곡면 가공 장치{CURVED SURFACE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곡면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형 핵연료에 대하여 곡면을 형성하기 위한 판형 핵연료용 곡면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구용 원자로는 중성자와 다양한 물질 간의 여러 가지 상호작용 및 재료의 미시적 구조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필요한 중성자를 제공하는 원자로이다. 대부분의 연구용 원자로는 판형 핵연료를 사용한다.
이러한 판형 핵연료는 일반적으로 우라늄 핵물질과 알루미늄 기지물질 분말을 혼합하여 압분체를 제조하고, 이후 피복재 역할을 하는 Al6061 재질의 부품을 함께 조립 및 압연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이때, 판형 핵연료는 두께가 얇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평판형 판형 핵연료)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평판형 판형 핵연료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소정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형 핵연료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러나, 곡면형 핵연료의 경우, 평판형 판형 핵연료에 대하여 곡면이 형성되도록 가공하는 공정을 필요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핵연료는 원자로를 통해 이용됨에 따라 안전상 기준을 만족하기 위하여 매우 미소한 수준의 허용공차를 만족시킬 수 있을 정도로 정밀하고 정확한 가공이 요구된다. 그러나, 공지의 프레스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허용공차를 만족시킬 수 있을 정도로 정밀한 곡면형 핵연료를 형성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곡면형 핵연료의 허용공차를 만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평판형 핵연료 상에 용이하게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곡면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판형 판형 핵연료를 가공하여 곡면형 판형 핵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곡면 가공 장치로서, 상기 평판형 판형 핵연료에 대하여 압력을 인가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내측에 함입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함입공간 내에 삽입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평판형 판형 핵연료가 배치되는 탄성부재; 및 설계 곡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곡면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 측으로 하강 운동하여 상기 평판형 판형 핵연료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시 일시적으로 압축되었다가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곡면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절곡기의 절곡부재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기에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절곡부재의 결합부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1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절곡기의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기에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부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상기 가압부재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중심부가 잘록한 아령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에 삽입 배치되며,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강성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판형 판형 핵연료는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길이 방향 전체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항상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시 상기 평판형 판형 핵연료의 일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의 곡면의 넓이는 상기 직사각형 평면의 넓이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고속용 서보모터와 저속용 서보모터를 함께 구비하는 듀얼 서보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부재가 평판형 판형 핵연료의 상면을 가압할 때, 지지부재 내에 배치된 탄성부재가 상기 평판형 판형 핵연료의 하면을 함께 협응하여 가압함으로써 핵연료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강성조절부재를 통해 탄성부재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곡면 형성이 미진한 부분에 대하여 부분적인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저렴한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곡면 형성 결과를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탄성부재를 개선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으로 최적의 디자인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평판형 판형 핵연료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평판형 판형 핵연료와 곡면형 판형 핵연료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가공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공지의 기존 절곡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가공 장치의 가압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가공 장치를 이용한 곡면 가공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의 가압부에 포함된 탄성부재의 다양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평판형 판형 핵연료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평판형 판형 핵연료와 곡면형 판형 핵연료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가공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공지의 기존 절곡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가공 장치의 가압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가공 장치를 이용한 곡면 가공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가압부에 포함된 탄성부재의 다양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가공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을 가지는 평평한 형태의 평판형 판형 핵연료(90a)에 대하여 외력을 가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형 판형 핵연료(90b)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가공 장치(100)의 적용이 핵연료 가공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핵연료 외에도 강판과 같은 평판 부재의 곡면 형성을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가공 장치(100)가 평판형 판형 핵연료의 곡면 가공에 이용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가공 장치(100)는 평판형 판형 핵연료(90a)에 대하여 직접 압력을 인가하는 가압부(10) 및 상기 가압부(10) 측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 탄성부재(30) 및 가압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20)와 가압부재(50)는 일반 프레스기의 다이 및 펀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이들과 유사한 가압 원리를 기초로 평판형 판형 핵연료(90a)를 가압할 수 있다.
그 중, 지지부재(20)는 가압부재(50)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후술될 탄성부재(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입공간(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20)는 함입공간(22) 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30)의 상부에 평판형 판형 핵연료(90a)가 배치되고 후술될 가압부재(50)에 의해 평판형 판형 핵연료(90a)가 가압될 때, 상기 가압과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있도록 내측의 탄성부재(3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재(20)는 일측에 배치된 제2 결합부(24)를 통해 후술될 절곡기(2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재(20)의 상부에는 지지부재(20)의 탄성부재(30) 상에 배치된 평판형 판형 핵연료(90a)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50)는 탄성부재(30)와 이격된 상태에서 탄성부재(30) 측으로 하강 운동하여 평판형 판형 핵연료를 가압할 수 있다.
관련하여, 가압부재(50) 중에서, 판형 핵연료(90a)와 접촉되는 일면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 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곡면(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곡면(52)은 설계 곡면에 대응되는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압부재(50)가 평판형 판형 핵연료(90a)를 가압하는 경우, 설계 곡면에 대응되는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이 핵연료(90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 판형 핵연료(90a)의 길이(a)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평판형 판형 핵연료(90a)의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50)는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길이(a) 방향 전체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가공 장치(100)에 의해 형성된 곡면형 판형 핵연료(90b)는 길이 방향 전체에 대하여 균일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50)의 폭 방향 너비는 상기 곡면(52)이 평판형 판형 핵연료(90a)의 일면을 전체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 판형 핵연료(90a)의 너비 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압부재(50)는 길이 방향 뿐만 아니라 폭(b) 방향으로도 핵연료(90a)를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핵연료(90a)의 전 영역에 대하여 누락없이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압부재(50)는 지지부재(20)와 유사하게 제1 결합부(54)를 구비하여 절곡기(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도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의 함입공간(22)의 내부에는 탄성부재(3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30)는 함입공간(22)과의 이격을 최소화하여 함입공간(22)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함입공간(22)과 거의 동일한 규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30)의 상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가공 전의 평판형 판형 핵연료(90a)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30)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탄성부재(30)는 상측의 가압부재(50)에 의해 평판형 판형 핵연료(90a)가 가압될 때, 소정 깊이 압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압부재(50)가 가압시 일부가 함입공간(2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0)는 탄성력을 가지므로 가압부재(50)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일시적으로 압축되었다가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복원력에 의하여 가압시에도 판형 핵연료의 하면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 가압부재(50)에 의한 곡면 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평판형 판형 핵연료(90a)가 가압되어 곡면형 판형 핵연료(90b)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와 같이 탄성부재(30) 상에 핵연료(90a)가 배치된 상태에서, 도 6(b)와 같이 가압부재(50)가 하강하여 상기 핵연료(90a)를 가압할 경우, 가압부재(50)가 핵연료(90a)의 상면을 가압하며 접촉되게 되며 동시에 탄성부재(30) 역시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핵연료(90b)의 하면을 가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가공 장치(100)에 의할 경우, 핵연료(90b)의 상면 및 하면이 모두 가압될 수 있으므로 가압부재(50)와 핵연료(90b)의 이격이 방지되어 설계상 곡률 반경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c)와 같이 가압부재(50)가 상승하게 되면, 탄성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하여 핵연료(90b)도 상승되게 되며 곡면 가공 공정은 마무리되게 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탄성부재(30)는 내측에는 탄성부재(30)를 관통하는 관통홀(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32)은 탄성부재(30)의 강성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평판형 판형 핵연료(90a)의 중심부의 경우, 가압부재(50)의 가압에도 불구하고 탄성부재(30)에 의한 복원력이 과도한 이유로 설계시 비교하여 설계 곡률 반경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30) 중에서 핵연료의 중심부에 대응되는 내측 영역에 대하여 관통홀(32)을 형성함으로써 복원력을 완화시켜 목적하는 곡률 반경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30)의 중심부에 관통홀(32)을 형성하는 것은 일 예시에 불과하다. 즉, 작업자는 최초 관통홀(32)이 없는 탄성부재(30)에 평판형 판형 핵연료(90a)를 배치시킨 후에, 핵연료를 가압하여 곡률 반경 형성 결과를 확인한 후, 이를 고려하여 다양한 영역에 관통홀(3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탄성부재(30)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의 관통홀(32)을 형성해 가며 필요시 탄성부재(30)를 교체하는 과정을 통해서 최적의 탄성부재(30) 디자인을 도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가공 장치(100)에 의할 경우, 특정 부분에 대한 탄성부재(30)의 강도 완화가 가능하여 맞춤형으로 최적의 디자인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0)는 스틸 등과 비교하여 가격이 매우 저렴하므로, 프레스기의 다이와 같이 탄성부재(30) 없이 스틸 소재로 형성된 지지부재를 반복적으로 교체하며 소요되는 비용과 비교하여 경제적으로 최적의 디자인을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32)을 통해 강성을 완화시키는 것과 반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가공 장치(100)는 관통홀(32)에 강성조절부재(40)를 삽입하여 특정 영역에 대한 강성을 보강할 수도 있다.
일례로, 강성조절부재(40)는 탄성부재(30) 보다는 강도가 높은 재질의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강성조절부재(40)가 삽입된 부분은 기존 탄성부재(30) 대비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반대로, 강성조절부재(40)는 탄성부재(30) 보다 강도나 낮은 재질의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관통홀(32)만 존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일정 수준 강성을 보강시켜 줄 수 있다.
관련하여, 작업자는 복수 개의 관통홀(32)이 형성된 탄성부재(30)에 대하여 곡률 반경 형성 결과를 반복하여 테스트하면서, 테스트 결과를 토대로 강성 보강이 필요한 부분에 강성조절부재(40)를 삽입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최적의 탄성부재(30) 디자인을 도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재(30)의 관통홀(3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관통홀(32)은 도 7(b)와 같이 중심부가 잘록한 아령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심부 대비 만족할 만한 수준의 곡률 반경 형성이 어려운 판형 핵연료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대하여, 강성조절부재(40)를 삽입하여 복원력을 강화시키면서 동시에 중심부에는 소정 관통 영역을 배치시켜 복원력을 완화시킴으로써, 가장자리와 중심부 사이의 강성 차이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핵연료의 가장자리에 탄성부재(30)의 복원력이 보다 집중되도록 할 수 있으며, 판형 핵연료의 가장자리에 대해서도 설계상 곡률 반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가압부(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70)는 공지의 절곡기(200)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통상의 절곡기(200)의 일측에 결합된 기존 절곡부재(210)와 고정부재(220)를 분리시킨 후에, 이를 대신하여 전술한 가압부재(50)와 지지부재(20)를 각각 결합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가압부재(50)와 지지부재(20)는 각각 절곡부재(210) 및 고정부재(220)에 형성된 결합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제1 결합부(54)와 제2 결합부(24)를 구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가공 장치(100)는 기존 절곡기(200)에 포함된 모터 또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동력수단을 활용하여 가압부(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가공 장치(100)는 별도의 장치를 제작함에 따라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절곡기(200)를 활용하여 곡면 가공 장치(100)를 구현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와 달리 곡면 가공 장치(100) 만을 위한 맞춤형 구동부(70)가 별도로 형성되어 가압부(10)와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70)는 고속용 서보모터와 저속용 서보모터를 함께 구비하는 듀얼 서보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듀얼 서보모터는 공정 별로 고속용 또는 저속용 서보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속용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가압부재(50)의 이속속도를 확보하는 한편, 핵연료(90a)를 가압하는 경우에는 저속용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토크를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부(70)는 곡면 가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핵연료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곡면 가공 장치
10 가압부
20 지지부재
22 함입공간
24 제2 결합부
30 탄성부재
32 관통홀
40 강성보강보재
50 가압부재
52 곡면
54 제1 결합부
70 구동부
200 절곡기
210 절곡부재
220 고정부재
90a 평판형 판형 핵연료
90b 곡면형 판형 핵연료

Claims (9)

  1. 평판형 판형 핵연료를 가공하여 곡면형 판형 핵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곡면 가공 장치로서,
    상기 평판형 판형 핵연료에 대하여 압력을 인가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내측에 함입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함입공간 내에 삽입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평판형 판형 핵연료가 배치되는 탄성부재; 및
    설계 곡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곡면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 측으로 하강 운동하여 상기 평판형 판형 핵연료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시 일시적으로 압축되었다가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곡면 가공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절곡기의 절곡부재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기에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절곡부재의 결합부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1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절곡기의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기에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부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곡면 가공 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가압부재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하는, 곡면 가공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중심부가 잘록한 아령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면 가공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 삽입 배치되며,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강성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곡면 가공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판형 핵연료는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길이 방향 전체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항상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곡면 가공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시 상기 평판형 판형 핵연료의 일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의 곡면의 넓이는 상기 직사각형 평면의 넓이 이상인, 곡면 가공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고속용 서보모터와 저속용 서보모터를 함께 구비하는 듀얼 서보모터를 포함하는, 곡면 가공 장치.
KR1020210149436A 2021-11-03 2021-11-03 곡면 가공 장치 KR102635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436A KR102635262B1 (ko) 2021-11-03 2021-11-03 곡면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436A KR102635262B1 (ko) 2021-11-03 2021-11-03 곡면 가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161A KR20230064161A (ko) 2023-05-10
KR102635262B1 true KR102635262B1 (ko) 2024-02-08

Family

ID=86386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436A KR102635262B1 (ko) 2021-11-03 2021-11-03 곡면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2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6626A (ja) * 2005-05-25 2006-12-07 Fanuc Ltd プレス機械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727B1 (ko) * 2004-08-16 2006-07-10 한국원자력연구소 원자로용 곡판 핵연료 집합체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6626A (ja) * 2005-05-25 2006-12-07 Fanuc Ltd プレス機械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161A (ko) 202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1380B2 (ja) プレス加工装置及びプレス加工方法
EP0446851A1 (en) Mold for forming composite-material structures
US2009004459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dge protector and die assemblies therefor
CN110234445B (zh) 模具和使用该模具的加工方法
JP4746914B2 (ja) プレス方法およびプレス型
KR102021528B1 (ko) 언더컷 처리 기구, 성형용 금형 및 성형품
US8490456B2 (en) Draw di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2635262B1 (ko) 곡면 가공 장치
JP4970900B2 (ja) プレス加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成形装置
AU2009291492B2 (en) Foam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JPS617024A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ピラー等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4305321A (ja) 薄板素材の絞り成形装置
JP6767063B2 (ja) 絞り成形装置
JP3057259U (ja) 柔軟性ダイス
CN1256199C (zh) 金属板材冲压及内缘挤压强化工艺
JP4526696B2 (ja) 積層成形型
JPH08117880A (ja) プレス装置
WO2015064207A1 (ja) 熱可塑性樹脂材料の成形方法
CN214919784U (zh) 一种导向多冲头模具
JP7364994B1 (ja) プレス成形装置および成形品の製造方法
RU2018393C1 (ru) Твердосплавный разделительный штамп
JPH06170938A (ja) 湾曲加工方法及び湾曲加工装置
KR102038651B1 (ko) 성형 장치
JPH0328970Y2 (ko)
KR20240059575A (ko) 파우치 포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 포밍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