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243B1 -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 Google Patents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243B1
KR102635243B1 KR1020210164275A KR20210164275A KR102635243B1 KR 102635243 B1 KR102635243 B1 KR 102635243B1 KR 1020210164275 A KR1020210164275 A KR 1020210164275A KR 20210164275 A KR20210164275 A KR 20210164275A KR 102635243 B1 KR102635243 B1 KR 102635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ngle
plate
hinge structur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7233A (ko
Inventor
이건주
이유민
Original Assignee
이건주
이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주, 이유민 filed Critical 이건주
Priority to KR1020210164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243B1/ko
Publication of KR20230077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전면에서 본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책을 거치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로서, 본체의 양측 하단에 각도조절부가 형성되되,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힌지구조에 의해 결합되어 본체의 후방으로 펼쳐지도록 구비되는 각도조절판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판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Book stand with adjustable angle from the front}
본 발명은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전면에서 본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책을 거치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독서를 위해 책자를 사용자의 시선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세워서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기존의 독서대는 그 구성이 책자의 펼쳐진 좌,우측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의 보드판과, 그 보드판의 하부에 마련되며 책자가 지지되는 책자 거치대와, 그 보드판의 후면에 힌지등으로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정각도로 보드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 구성된 것이 통상적이다.
또한, 책자 거치대 또는 보드판의 상부에 책자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부재등이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독서대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책자를 좌,우측으로 펼쳐서 읽고자 하는 페이지를 펼쳐 놓았을 때, 만약 펼쳐진 책자의 좌,우측 두께가 동일하지 않은 비대칭 두께일 경우, 잔여 페이지가 많은 일측(즉, 두께가 두꺼운 측)으로 타측의 페이지들이 넘어가게 되어 책자의 펼침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에는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펼쳐진 책자의 좌,우측을 고정할 수 있으나, 책자의 페이지를 한 장씩 넘길 때마다 다시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뿐만 아니라, 두께가 상당히 두꺼운 책자의 경우 좌,우측의 비대칭 두께량이 많을 때는 복원하려는 힘(두께운 타측으로 넘어가려는 힘)이 클립부재의 고정력보다 강하여 펼침상태로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또한, 일 예로 책자의 중요 부분에 밑줄을 긋거나 표시하고자 할 때, 책자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다른 타측 보다 얇은 경우 복원력에 의한 들뜸현상이 발생하여 표시를 하거나 밑줄을 긋는 정확한 언더라인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0-0295309호, 등록특허 제10-1958182호 등에 개선된 형태의 독서대가 나타나 있으나, 보드판 또는 받침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53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818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75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전면에서 본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책을 거치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도조절부에 의해 각도를 한번 조절해두면 다음 사용 시 동일한 각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사용이 편리한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책의 책등을 거치하는 책등거치부가 책표지가 거치되는 표지거치부 보다 후방으로 배치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거치된 책이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고, 책장의 굴곡을 최소화하여 책의 중간부분에 기재된 내용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한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를 펼칠 때 책등거치부 및 책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받침부 등의 구성이 자동으로 펼쳐지게 되므로 하나의 동작으로 책을 거치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는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거치된 책이 접히지 않고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절첩이 이루어지는 부분은 두 판재가 서로 섬유시트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금속 경첩 등을 사용하지 않아 무게가 가볍게 제작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로서, 본체의 양측 하단에 각도조절부가 형성되되,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힌지구조에 의해 결합되어 본체의 후방으로 펼쳐지도록 구비되는 각도조절판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판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다단조절홈과, 상기 다단조절홈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각도조절판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중앙부가 상기 힌지구조에 의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중앙 상부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개방된 부분에 구비되어 본체를 펼칠 때 본체의 후방으로 배치되게 펼쳐지는 책등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책등거치부는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펼쳐지도록 본체의 개방된 양측 내측면에 상기 힌지구조에 의해 결합되는 제1 및 제2연결판과, 양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연결판에 상기 힌지구조에 의해 결합되되, 중앙부가 힌지구조에 의해 본체를 접을 때 중앙부가 전방을 향해 접히도록 구성되는 책등받침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구조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판재 및 제2판재와, 상기 제1판재와 제2판재 각각을 연결하는 제1섬유시트 및 제2섬유시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섬유시트는 상기 제1판재와 제2판재의 전면을 연결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제2섬유시트는 상기 제1판재의 후면, 제1판재와 제2판재의 서로 대응되는 측면 및 제2판재의 후면에 순차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2섬유시트는 케블라, 아라미드섬유 또는 유리섬유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전면에서 본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책을 거치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도조절부에 의해 각도를 한번 조절해두면 다음 사용 시 동일한 각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그리고, 책의 책등을 거치하는 책등거치부가 책표지가 거치되는 표지거치부 보다 후방으로 배치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거치된 책이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고, 책장의 굴곡을 최소화하여 책의 중간부분에 기재된 내용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한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를 펼칠 때 책등거치부 및 책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받침부 등의 구성이 자동으로 펼쳐지게 되므로 하나의 동작으로 책을 거치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거치된 책이 접히지 않고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절첩이 이루어지는 부분은 두 판재가 서로 섬유시트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금속 경첩 등을 사용하지 않아 무게가 가볍게 제작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각도조절부의 작동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힌지구조의 각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에 책을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각도조절부의 작동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힌지구조의 각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에 책을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거치된 책이 접히지 않고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5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가 힌지구조(400)에 의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중앙 상부는 개방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부분에 연결 설치되어 본체(100)를 펼칠 때 본체(100)의 후방으로 배치되게 펼쳐지는 책등거치부(2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0)는 양측 상단에 표지거치부(110)가 형성되고, 양측 하단에는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50)를 기울인 상태로 거치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부(1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부(120)는 상기 본체(100)에 힌지구조(400)에 의해 결합되어 본체(100)의 후방으로 펼쳐지도록 구비되는 각도조절판(122)과,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판(12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수단(1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판(122)은 상기 본체(100)를 기울이면 자중에 의해 본체(100)의 후방으로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수단(124)은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며 상하로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다단조절홈(125)과, 상기 다단조절홈(125)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이동부재(126)와,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부재(126)의 하단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각도조절판(122)에 결합되는 연질의 연결부재(12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단조절홈(125) 및 이동부재(126)는 상기 이동부재(126)를 다단조절홈(125)의 상하로 이동시켜 다단조절홈(125)의 일측 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부재(126)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27)에 의해 연결된 각도조절판(122)이 전후로 움직이며, 본체(100)로부터 전개된 각도가 변경되게 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책(10)을 거치한 상태에서도 본체(100)의 전방에서 상기 이동부재(126)를 조절함으로써 각도조절판(122)의 각도를 변경하여 적절한 각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수단(124)에 의해 이동부재(126)의 위치를 한번 조절해두면 다음 사용 시 동일한 각도로 각도조절판(122)이 펼쳐져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됨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표지거치부(110)에는 책장고정부(112)가 구비되어 거치된 책(10)의 책장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책장고정부(112)가 실리콘 젤 패드 등으로 이루어져 신축성 및 점착성을 가지므로 책장의 외측 부분을 단순히 누르는 것이 아니라, 신축성에 의해 잡아당기는 힘으로 책장의 외측 중간부분을 고정함으로써 책장이 기울어지지 않고 펼쳐진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책의 가운데 부분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표지거치부(110)는 내측으로 연장지지부(114)가 더 형성되어 책표지의 중앙부를 지지함으로써 책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책등거치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후방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양측 내측면에 힌지구조(400)에 의해 결합되는 제1 및 제2연결판(210,220)과, 양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연결판(210,220)에 힌지구조(400)에 의해 결합되되, 중앙부가 힌지구조(400)에 의해 본체(100)를 접을 때 중앙부가 전방을 향해 접히도록 구성되는 책등받침판(23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양측 내측면에 상기 제1 및 제2연결판(210,220)의 일측면이 힌지구조(400)에 의해 본체(100)를 펼칠 때 본체(100)의 후방으로 펼쳐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연결판(210,220)의 본체(100)에 연결된 타측은 책등받침판(230)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책등받침판(230)의 양측 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판(210,220)에 힌지구조(40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책등받침판(230)은 중앙부가 힌지구조(400)에 의해 접거나 펴지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본체(100)를 펼칠 때 제1 및 제2연결판(210,220)이 본체(100)의 후방으로 펼쳐지며, 동시에 제1 및 제2연결판(210,220)에 연결된 상기 책등받침판(230)도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책등받침판(230)은 상기 본체(100)의 표지거치부(110)에 비해 후방에 배치된 상태가 됨으로써 책(10)의 책등 부분이 책 표지에 비해 후방에 위치된 상태가 되고, 양측 책 표지는 수평이 되도록 상기 표지거치부(110)에 지지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책이 펼쳐져 임의로 접히지 않고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책장의 굴곡을 최소화하여 책(10)의 중간부분에 기재된 내용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책등거치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본체(100)를 펼칠 때 본체(100)의 전방을 향해 펼쳐지는 하단받침부(30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단받침부(300)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판(210,220)의 하단에 각각 힌지구조(400)에 의해 결합되는 제1 및 제2하단받침판(310,3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하단받침판(310,320)은 서로 대응되는 일측부가 힌지구조(400)에 의해 결합된다.
그래서, 상기 본체(100)를 펼칠 때, 상기 제1 및 제2연결판(210,220)이 본체(100)의 후방으로 벌어지는 힘과 제1 및 제2하단받침판(310,320)의 사이에 형성된 힌지구조(400)에 의해 제1 및 제2하단받침판(310,320)이 본체(100)의 전방으로 펼쳐지게 되어 책(10)의 하방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본체(100)를 펼치게 되면 힌지구조(400)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연결판(210,220), 책등받침판(230), 제1 및 제2하단받침판(310,320)의 구성이 자연적으로 차례로 펼쳐지게 됨으로써 각 구성을 하나씩 별도로 펼치지 않아도 되므로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50)의 사용을 위한 준비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힌지구조(400)는 섬유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장강도가 크고 신장율이 낮은 케블라,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등의 질긴 섬유 재질로 이루어져 내구성은 유지하면서도 무게를 감소시키고, 제작이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힌지구조(400)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판재(410) 및 제2판재(420)와, 상기 제1판재(410)와 제2판재(420)의 전면, 즉 힌지구조(400)가 접히는 내측 방향의 면을 연결하도록 부착되는 제1섬유시트(430)와, 상기 제1판재(410)의 후면, 제1판재(410)와 제2판재(420)의 서로 대응되는 측면 및 제2판재(420)의 후면, 즉 힌지구조(400)가 접히는 외측 방향의 면에 순차적으로 부착되는 제2섬유시트(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판재(410) 및 제2판재(420)는 상기 본체(100), 각도조절판(122), 제1 및 제2연결판(210,220), 책등받침판(230), 제1 및 제2하단받침판(310,320) 등 힌지구조(400) 양측에 구비되는 구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예를 들어 본체(100)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힌지구조(400)는 상기 본체(100)가 제1 및 제2판재(410,420)에 해당되도록 좌우 한 쌍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판재(410,420)에 해당되는 판재의 내외측에 상기 제1 및 제2섬유시트(430,440)가 부착되어 본체(100)가 힌지구조(400)를 기준으로 접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섬유시트(430) 및 제2섬유시트(440)의 외측에는 각각 커버(450,460)가 더 구비되어 심미성을 높이도록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50)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거치된 책이 접히지 않고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책의 책등을 거치하는 책등거치부(200)가 책표지가 거치되는 표지거치부(110) 보다 후방으로 배치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거치된 책이 임의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고, 책장의 굴곡을 최소화하여 책의 중간부분에 기재된 내용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며, 본체(100)를 펼칠 때 책등거치부(200) 및 책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받침부(300) 등의 구성이 자동으로 펼쳐지게 되므로 하나의 동작으로 책을 거치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고, 본체(100)의 전면에서 본체(10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책을 거치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절첩이 이루어지는 부분은 두 판재가 서로 섬유시트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금속 경첩 등을 사용하지 않아 무게가 가볍게 제작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전면에서 본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책을 거치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10: 책 50 :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100: 본체 110: 표지거치부
112: 책장거치부 114: 연장거치부
120: 각도조절부 122: 각도조절판
124: 각도조절수단 125: 다단조절홈
126: 이동부재 127: 연결부재
200: 책등거치부 210,220: 제1,2연결판
230: 책등받침판 300: 하단받침부
310,320: 제1,2하단받침판 400: 힌지구조
410,420: 제1,2판재 430,440: 제1,2섬유시트
450,460: 커버

Claims (7)

  1.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로서,
    본체의 양측 하단에 각도조절부가 형성되되,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힌지구조에 의해 결합되어 본체의 후방으로 펼쳐지도록 구비되는 각도조절판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판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중앙부가 상기 힌지구조에 의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중앙 상부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개방된 부분에 구비되어 본체를 펼칠 때 본체의 후방으로 배치되게 펼쳐지는 책등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다단조절홈과,
    상기 다단조절홈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일측 단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각도조절판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책등거치부는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펼쳐지도록 본체의 개방된 양측 내측면에 상기 힌지구조에 의해 결합되는 제1 및 제2연결판과,
    양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연결판에 상기 힌지구조에 의해 결합되되, 중앙부가 힌지구조에 의해 본체를 접을 때 중앙부가 전방을 향해 접히도록 구성되는 책등받침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구조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판재 및 제2판재와,
    상기 제1판재와 제2판재 각각을 연결하는 제1섬유시트 및 제2섬유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섬유시트는 상기 제1판재와 제2판재의 전면을 연결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제2섬유시트는 상기 제1판재의 후면, 제1판재와 제2판재의 서로 대응되는 측면 및 제2판재의 후면에 순차적으로 부착되는 특징으로 하는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섬유시트는 케블라, 아라미드섬유 또는 유리섬유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1020210164275A 2021-11-25 2021-11-25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102635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275A KR102635243B1 (ko) 2021-11-25 2021-11-25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275A KR102635243B1 (ko) 2021-11-25 2021-11-25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233A KR20230077233A (ko) 2023-06-01
KR102635243B1 true KR102635243B1 (ko) 2024-02-13

Family

ID=8677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275A KR102635243B1 (ko) 2021-11-25 2021-11-25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2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5202430U (zh) * 1985-06-25 1987-03-11 刘波 阅读架
US4709895A (en) 1986-02-14 1987-12-01 Hal Leonard Publishing Corporation Portable viewing stand
CN1114266A (zh) 1993-12-18 1996-01-03 任临正 书托
CN209547395U (zh) 2018-05-14 2019-10-29 新昌县寅创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便于携带的教学通用教具
CN214317368U (zh) 2020-12-23 2021-10-01 孟青 一种便携式的学生专用语文阅读训练辅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9235B1 (ko) * 1996-02-24 1999-04-01 김상도 북 화일 기능을 갖는 독서대
KR200295309Y1 (ko) 2002-07-22 2002-11-18 차민호 독서대
KR200477599Y1 (ko) 2013-10-31 2015-06-30 천승일 독서대
KR101958182B1 (ko) 2017-11-10 2019-07-04 (주)케이넷 이엔지 독서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5202430U (zh) * 1985-06-25 1987-03-11 刘波 阅读架
US4709895A (en) 1986-02-14 1987-12-01 Hal Leonard Publishing Corporation Portable viewing stand
CN1114266A (zh) 1993-12-18 1996-01-03 任临正 书托
CN209547395U (zh) 2018-05-14 2019-10-29 新昌县寅创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便于携带的教学通用教具
CN214317368U (zh) 2020-12-23 2021-10-01 孟青 一种便携式的学生专用语文阅读训练辅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233A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6231A (en) Foldable bookstand
US6270049B1 (en) Tabletop easel with page retention
US10098452B2 (en) Multi-holder for learning
US20090086424A1 (en) Tri-layer folding laptop computer
US7537192B2 (en) Lightweight combined folder and variable position display/book stand
CN104544977A (zh) 折叠式可调支架
KR101487837B1 (ko) 책상 일체형 독서대 및 독서대가 구비된 책상
KR102635243B1 (ko)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102635241B1 (ko) 접이식 독서대
WO2012134136A4 (ko) 접이식 독서대
CN201064981Y (zh) 可折叠读书夹
CN210137950U (zh) 升降翻转式桌面撑书架
KR20100009723U (ko) 절첩식 독서지지대
CN109222412A (zh) 一种可展开收合的辅助桌面
CN211154374U (zh) 一种扩展书架
US8523133B2 (en) Collapsible book holder
EP0370961B1 (en) Portable, folding book-rest with adjustable incline
KR200220683Y1 (ko) 탈착 가능한 독서대
CN217309493U (zh) 一种折叠式看书架
US20130292933A1 (en) Self-supporting book
CN217658658U (zh) 课桌用板式折叠撑书架
JP3027844U (ja) 筆箱にしまえるフリーサイズの本に対応できるブックスタンドのセット
CN216287183U (zh) 语文教学用教具
CN208837243U (zh) 一种折叠阅读支架
CN211694484U (zh) 一种折叠书架台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