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309Y1 - 독서대 - Google Patents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309Y1
KR200295309Y1 KR2020020021762U KR20020021762U KR200295309Y1 KR 200295309 Y1 KR200295309 Y1 KR 200295309Y1 KR 2020020021762 U KR2020020021762 U KR 2020020021762U KR 20020021762 U KR20020021762 U KR 20020021762U KR 200295309 Y1 KR200295309 Y1 KR 200295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s
base
reading
bookle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7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민호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차민호
김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민호, 김주영 filed Critical 차민호
Priority to KR2020020021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3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309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자의 펼침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좌,우 양측에 독립적으로 분할되며 상호 동일한 폭과 크기를 갖는 제 1,2보드판과, 그 제 1,2보드판의 후방으로 적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고 하나의 플레이트형상을 갖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와 제 1,2보드판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내에 마련되어 제 1,2보드판의 전,후 높이를 동시에 연동되게 조절하는 조절수단등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두터운 책자를 펼친 후에 그 좌,우측의 두께가 상이하더라도 양측의 높이를 수평으로 조정하여 책자의 펼침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좌,우측의 높이를 하나의 조작부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독서대{A READING-BOARD}
본 고안은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이한 두께로 좌우로 펼쳐진 책자의 비대칭 좌우 두께를 보완하여 책자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독서를 위해 책자를 사용자의 시선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세워서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기존의 독서대는 그 구성이 책자의 펼쳐진 좌,우측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의 보드판과, 그 보드판의 하부에 마련되며 책자가 지지되는 책자 거치대와, 그 보드판의 후면에 힌지등으로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정 각도로 보드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 구성된 것이 통상적이다.
또한, 책자 거치대 또는 보드판의 상부에 책자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부재등이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독서대는 책자를 좌,우측으로 펼쳐서 읽고자 하는 페이지를 펼쳐 놓았을 때, 만약 펼쳐진 책자의 좌,우측 두께가 동일하지 않은 비대칭 두께일 경우, 잔여 페이지가 많은 일측(즉, 두께가 두꺼운 측)으로 타측의 페이지들이 넘어가게 되어 책자의 펼침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에는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펼쳐진 책자의 좌,우측을 고정할 수 있으나, 책자의 페이지를 한 장씩 넘길때마다 다시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뿐만 아니라, 두께가 상당히 두꺼운 책자의 경우 좌,우측의 비대칭 두께량이 많을 때는 복원하려는 힘(두께운 타측으로 넘어가려는 힘)이 클립부재의 고정력보다 강하여 펼침상태로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또한, 일 예로 책자의 중요 부분에 밑줄을 긋거나 표시하고자 할 때, 책자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다른 타측보다 얇은 경우 복원력에 의한 들뜸현상이 발생하여 표시를 하거나 밑줄을 긋는 정확한 언더라인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예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45521호 "개량형 독서대"가 제안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구성외에 책자(B)의 좌,우측 평면 높이를 독립적으로 각각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이다.
그 높이 조절수단은 책자(B)의 각 저면을 지지하는 독립적인 좌,우승강판(20,21)을 구비하고, 그 좌,우 승강판(20,21)을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회동조작부(41), 승강프레임(50)에 지지되는 스크류바아(40), 그 스크류바아(40)에 나사 결합되는 가동블럭(80,81)과, 그 가동블럭(80,81)에 끼워지는 가동바아(70,71), 가동바아(70,71)가 각각 구동하는 크로스멤버(51-52,53-54)의 단부(51',52',53',54'), 그 가동바아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 신축운동하도록 직선상으로 이동제한을 받는 크로스멤버(51-52,53-54)의 상방 단부를 좌,우 승강판(20,21)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여, 상기 회동조작부(41)의 회동조절에 의하여 좌,우 승강판(20,21)이 상,하로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독서대기판(10)의 좌,우측에는 각각 좌,우 승강판(20,21)의 출몰을 위해 승강창(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좌,우 승강판(20,2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회동조작부(41)를 각각 조절하여 높이를 책자의 펼침상태에 적합한 상태로 조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종래 독서대는 책자의 좌,우측 높이를 동일하게 맞추어 책자의 펼침상태를 유지하는 유용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한 기존의 독서대가 갖는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책자의 좌,우측 높이를 동일하게 조절하여 책자의 펼침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조절수단을 구비하되, 그 조절수단의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사용이 간편하며 고장 발생의 요인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독서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독서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높이조절수단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의 제 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조작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120 : 제 1,2보드판
200 : 베이스판 310 : 조작부
312 : 조절노브 315 : 스톱퍼
320,330 : 연동바아 322 : 나사부
350A,350B : 회전기어부
360A,360B : 제 1,2보스부
390 : 안내봉
510,520 : 제 1,2유압 실린더
512,522 : 제 1,2피스톤
515,525 : 제 1,2로드
530 : 유압 파이프 540 : 개폐밸브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좌, 우 양측으로 독립적으로 분할된 제 1,2보드판과, 상기 제 1,2보드판의 후면으로부터 적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 1,2보드판의 합쳐진 폭과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 설치되어 제 1,2보드판과 베이스를 적정 각도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상기 제 1,2보드판과 베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제 1,2보드판의 전,후 높이를 동시에 조절하는 하나의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조절수단이 상기 베이스와 제 1,2보드판의 외측으로 마련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연동되도록 결합되며 양측면에 각각의 랙기어를 갖는 연동바아와, 상기 연동바아의 랙기어에 각각 치합되는 회전기어부와, 상기 회전기어부의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제 1,2보드판을 각각 승강시키는 제 1,2보스부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 1,2보드판 사이에 설치되어 제 1,2보드판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다수개의 안내봉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조작부가 상기 연동바아의 일단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단부가 결합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노브와, 상기 조절노브의 회전시 좌,우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스톱퍼로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는 상기 조절수단이 상기 제 1,2보드판의 높이변화에 따라 각각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로드 및 피스톤을 갖는 제 1,2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 1,2유압 실린더들 사이에 유체가 이동되도록 상호 연결된 유압 파이프와, 상기 유압 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개폐밸브로 구성된 것등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은 위에서와 같이, 하나의 연동바아의 양측면에 랙기어가 형성되고, 그 랙기어에 각각의 회전기어부가 각기 다른 나사 회전방식(왼나사, 오른나사)으로 결합되어 제 1,2보드판에 각각 상반(相反)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동바아가 두개로 분할되고 그 연결을 링크부재로 연결하고 동일한 나사 회전방식을 갖는 회전기어부를 결합시켜 각기 다른 이동방향에 따른 상반된 회전력을 제 1,2보드판에 제공하도록 된 것등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실시예-
본 고안에 따른 독서대의 제 1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 좌,우 양측에 독립적으로 분할되며 상호 대응되는 폭과 크기를 갖는 제 1,2보드판(110,120)과, 그 제 1,2보드판(110,120)의 후방으로 적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고 하나의 플레이트형상을 가지며 제 1,2보드판(110,120)의 합져진 좌우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는 베이스판(200; 이하에서 베이스와 혼용 표기함)과, 그 베이스판(200)과 제 1,2보드판(110,120)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내에 설치되어 제 1,2보드판(110,120)의 전,후 높이를 동시에 연동되게 조절하는 조절수단등을 포함하여 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베이스판(200)은 하단에는 책자(B)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대(210)가 전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베이스판(200)을 적정 각도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2보드판(110,120)은 조절수단에 의해 상반되는 승강작동을 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 조절수단은 베이스판(200)과 제 1,2보드판(110,120)의 외측에 설치된 조작부(310)의 조작에 따라 연동되도록 일체로 결합되며 전,후면에 각각의 랙기어를 갖는 연동바아(320,330)와, 연동바아(320,330)의 랙기어에 각각 치합되어 연동 회전되며 하단부에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고 상단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전기어부(350A,350B)와, 그 회전기어부(350A,350B)의 상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제 1,2보드판(110,120)의 후면 중앙에 형성되는 제 1,2보스부(360A,360B)와, 그 제 1,2보드판(110,120)과 베이스판(200)를 연결하여 제 1,2보드판(110,120)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안내봉(390)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그 연동바아(320,330)는 일측 연동바아(320)와 타측 연동바아(330)가 절곡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양측 연동바아(320,330)의 전,후면에 각각 랙기어가 형성되어 회전기어부(350A,350B)와는 랙과 피니언방식으로 치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양측 연동바아(320,330)의 일부위에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가이드(370)가 베이스(200)의 전면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제 1,2보스부(360A,360B)는 제 1,2보드판(110,120)의 후면 중앙에 후방측으로 수직 형성되고, 그 내부에 회전기어부(350A,350B)와의 체결을 위해 하부가 개구되어 그 개구된 내주면에 각기 다른 나사 회전 방식의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봉(390)은 일단부가 제 1,2보드판(110,120)의 후면 각 테두리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베이스판(200)을 관통하여 후방측으로 출몰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310)는 일측 연동바아(320)의 단부와 일체로 된 조절노브(312)를 이용하여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된 것이다.
미 설명부호 "105"는 지지대(210)에 힌지운동되도록 각각 결합되어 펼쳐진 책자(B)의 좌,우측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클립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책자(B)를 제 1,2보드판(110,120)에 안착시킨 후에 읽고자 하는 페이지를 펼쳤을때 좌,우 두께가 많이 차이날 경우, 조작부(310)를 좌,우로 이동시켜 제 1,2보드판(110,120)을 승강시킴으로써, 책자(B)의 펼쳐진 좌,우 높이가 수평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절한다.
이때, 조작부(310)의 좌,우측 이동 조작에 따라 연동바아(320,330)가 각각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동바아(320,33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양측 회전기어부(350A,350B)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에, 그 연동바아(320,330)의 좌,우 이동력에 의해 랙기어와 치합된 회전기어부(350A,350B)가 동일한 방향의 회전력을 갖게 되고, 제 1,2보스부(360A,360B)측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어서, 제 1,2보스부(360A,360B)의 암나사의 나사 회전방식이 상이하므로, 회전기어부(350A,350B)에 동일한 회전력이 전달되더라도, 제 1,2보드판(110,120)이 안내봉(390)의 가이드에 따라 상반되는 방향의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이때, 제 1보드판(110)이 상승하고 제 2보드판(120)이 하강하게 되면, 제 1보드판(110)의 안내봉(390)도 같이 상승하게 되며, 제 2보드판(120)의 안내봉(390)들은 하강되어 베이스판(200)의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제 1,2보드판(110,120)은 책자(B)의 펼쳐진 두께에 따라 일측과 타측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책자(B)의 복원력을 제거하여 책자(B)의 펼침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 2실시예-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수단의 구성이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다소 다르며 다른 구성요소(제 1,2보드판, 베이스, 안내봉등)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참조하되,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 조절수단의 구성은 조작부(310)의 조작에 따라 연동되도록 일체로 결합되며 전면에 랙기어를 갖는 제 1연동바아(320)와, 그 제 1연동바아(320)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연동되도록 링크부재(340)에 의해 연결되며 후면에 랙기어가 형성된 제 2연동바아(330)와, 그 제 1,2연동바아(320,330)의 랙기어에 각각 치합되어 연동 회전되며 외주면의 일부위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전기어부(350A,350B)와, 그 회전기어부(350A,350B)의 단부가 각각 나사 결합되며 내주면에 동일한 나사 회전방식의 암나사가 각각 형성된 제 1,2보스부(360A,360B)등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그 제 1,2연동바아(320,330)는 중앙에 회전축(345)이 설치된 링크부재(340)에 의해 상호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회전기어부(350A,350B)와는 랙과 피니언방식으로 치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 그 제 1,2보스부(360A,360B)는 제 1,2보드판(110,120)의 후면 중앙에 후방측으로 수직 형성되고, 그 내부에 회전기어부(350A,350B)와의 체결을 위해 하부가 개구되어 그 개구된 내주면에 상호 동일한 나사 회전방식의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책자(B)를 제 1,2보드판(110,120)에 안착시킨 후에, 책자(B)의 펼쳐진 좌,우 높이가 수평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조절수단의 조절방식은, 조작부(310)의 조작에 따라 제 1,2연동바아(320,330)가 각각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 1,2연동바아(320,33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양측 회전기어부(350A,350B)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제 1,2연동바아(320,330)의 사이에 링크부재(34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링크부재(340)의 회전축(345)을 중심으로 제 1,2연동바아(320,330)가 상반되는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기 때문이다.
이후에, 제 1,2연동바아(320,330)의 이동력에 의해 그 랙기어와 치합된 회전기어부(350A,350B)가 서로 상반된 방향의 회전력을 갖게 되어 제1,2보스부(360A,360B)측으로 서로 다른 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하게 되고, 제 1,2보드판(110,120)의 암나사의 나사 회전방식이 동일하므로 안내봉(390)의 가이드에 따라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2보드판(110,120)은 책자(B)의 펼쳐진 두께에 따라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책자(B)의 펼침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 3실시예-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는 달리 조작부(310)의 조작동작이 슬라이딩식이 아닌 회전 조작식에 의한 것으로, 그 구조는 제 1연동바아(320)의 일단부에 외측으로 나사부(32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암나사부(312a)가 형성되어 그 나사부(322)의 단부가 삽입되는 조절노브(31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조절노브(312)의 외주면에 간섭되도록 스톱퍼(315)가 설치되어 조절노브(312)의 회전시 좌,우 이동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그 조절노브(312)는 외주면에 외경차를 갖는 요홈부(314)가 형성되어 그 요홈부(314)에 상,하 분할된 스톱퍼(315)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스톱퍼(315)는 상, 하로 분할되어 고정핀(316)에 의해 핀 결합되며 베이스판(200)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조작부(310)를 조작하기 위해 조절노브(312)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에 의해 조절노브(312)의 내부에 체결된 나사부(322)가 조절노브(312)로부터 밀려나와 제 1연동바아(320)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조절노브(312)의 회전시 조절노브(312)는 스톱퍼(315)에 의해 좌,우 이동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나사부(322)와의 체결상태가 가변되어 짧아지거나 길어지게 되는 이동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후의 제 1연동바아(320)와 제 2연동바아(330)를 통해 제 1,2보드판(110,120)의 조절수단으로 작용하게 되는 구성 및 작용은 앞서 설명한 제 1,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4실시예-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 그 구성은 조절수단이 유체의 압력에 의해 제 1,2보드판(110,120)의 높이가 동시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 조절수단의 구성은 제 1,2보드판(110,120)의 후면 중앙에 각각 형성된 제 1,2이송 가이드(552,554)와, 그 이송가이드(552,554)에 결합되고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각각의 제 1,2로드(515,525)와, 제 1,2로드(515,525)에 일체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각각의 피스톤(512.522)이 내부에 수용되며 유압 파이프(530)에 의해 상호 유체가 이동되는 제 1,2유압 실린더(510,520)와, 유압 실린더간(510,520)을 연결하는 유압 파이프(530)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개폐밸브(540)를 구비한다.
또, 제 1,2유압 실린더(510,520)는 그 로드(515,525)가 출입되는 테두리 부위에 밀봉 및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패킹(packing)이나 베어링등(미도시됨)이 개재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외의 구성요소인 베이스(200)와 안내봉(390)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조의 조절수단은 제 1,2보드판(110,120)의 높이를 책자의 펼쳐진 두께에 따라 조절하기 위해서, 개폐밸브(540)를 열어 제 1,2유압 실린더(510,520)들간에 유체가 이동가능한 상태로 조작한 후에, 제 1,2보드판(110,120)중 한 곳(펼쳐진 책자의 두께가 두꺼운 쪽의 보드판)을 밀면, 예를 들어 도 12에서와 같이 제 2보드판(120)에 "F"의 힘을 가해 밀면 제 2로드(525) 및 제 2피스톤(522)이 하측으로 하강되면서 제 2유압 실린더(520)내에 충전된 유체가 유압 파이프(530)를 통해 제 1유압 실린더(5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어서, 제 1유압 실린더(510)의 내부로 유입된 유압은 제 1피스톤(512) 및 제 1로드(515)를 밀어 올리는 상승력으로 작용하여 제 1보드판(110)의 전,후 높이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제 1로드(515)는 제 1이송가이드(552)에 의해 안내되어 제 1보드판(110)을 하측에서 밀어 올려 펼쳐진 책자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사용중에는 개폐밸브(540)를 닫아서 유체가 유압 파이프(530)를 통해 서로 이동하지 않도록 차단시켜 제 1,2보드판(110,120)의 높이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제 1보드판(110)을 밀어 제 2보드판(120)의 높이를 상승시킬때도 위와 작동과정과는 역순으로 작용하게 된다.
참고로, 유압 파이프(530)는 금속재가 아니라 플렉시블한 재질의 호스를 채용할 수도 있으며, 그 유압 실린더(510,520)에서 사용되는 유체는 공기등의 유체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책자의 펼침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독서대에 관한 것인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두터운 책자를 펼친 후 그 좌,우측의 두께가 상이하더라도 양측의 높이를 수평으로 조정하여 책자의 펼침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으며, 좌,우측 높이에 대한 조절을 하나의 조작부로 조절가능하므로 사용상의 간편성이 증대됨과 아울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잔고장없이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좌, 우 양측으로 독립적으로 분할된 제 1,2보드판(110,120)과,
    상기 제 1,2보드판(110,120)의 후면으로부터 적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베이스(200)와,
    상기 베이스(200)의 후방에 설치되어 제 1,2보드판(110,120)과 베이스(200)를 적정 각도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20)와,
    상기 제 1,2보드판(110,120)과 베이스(200) 사이에 마련되며 제 1,2보드판(110,120)의 전,후 높이를 동시에 조절하는 하나의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200)와 제 1,2보드판(110,120)의 외측으로 마련된 조작부(310)와,
    상기 조작부(310)의 조작에 따라 연동되도록 결합되며 양측면에 각각의 랙기어를 갖는 연동바아(320,330)와,
    상기 연동바아(320,330)의 랙기어에 각각 치합되는 회전기어부(350A,350B)와,
    상기 회전기어부(350A,350B)의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기어부(350A,350B)의 회전에 따라 제 1,2보드판(110,120)을 각각 승강시키는 제 1,2보스부(360A,360B)와,
    상기 베이스(200)와 상기 제 1,2보드판(110,120) 사이에 설치되어 제 1,2보드판(110,12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다수개의 안내봉(39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310)는 상기 연동바아(320)의 일단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나사부(322)와,
    상기 나사부(322)의 단부가 결합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노브(312)와,
    상기 조절노브(312)의 회전시 좌,우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베이스(200)에 고정되는 스톱퍼(3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제 1,2보드판(110,120)의 높이 변화에 따라 각각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로드(515,525) 및 피스톤(512.522)을 갖는 제 1,2유압 실린더(510,520)와,
    상기 제 1,2유압 실린더(510,520)들 사이에 유체가 이동되도록 상호 연결된 유압 파이프(530)와,
    상기 유압 파이프(530)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개폐밸브(5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KR2020020021762U 2002-07-22 2002-07-22 독서대 KR200295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762U KR200295309Y1 (ko) 2002-07-22 2002-07-22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762U KR200295309Y1 (ko) 2002-07-22 2002-07-22 독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309Y1 true KR200295309Y1 (ko) 2002-11-18

Family

ID=7307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762U KR200295309Y1 (ko) 2002-07-22 2002-07-22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30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182B1 (ko) 2017-11-10 2019-07-04 (주)케이넷 이엔지 독서대
KR20230077230A (ko) 2021-11-25 2023-06-01 이건주 접이식 독서대
KR20230077233A (ko) 2021-11-25 2023-06-01 이건주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182B1 (ko) 2017-11-10 2019-07-04 (주)케이넷 이엔지 독서대
KR20230077230A (ko) 2021-11-25 2023-06-01 이건주 접이식 독서대
KR20230077233A (ko) 2021-11-25 2023-06-01 이건주 전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54375C1 (de) Vorrichtung zum Dämpfen von Schwenkbewegungen
EP0706342B1 (en) Bathing door unit
AU2011298854B2 (en) Door closer, particularly for glass doors
US8559623B2 (en) Double sliding stability space-saving slide cover lifting structure
CN202047671U (zh) 侧驱动动作的栓锁及其组件
ITMI990631A1 (it) Meccanismo e complesso per apertura-chiusura di ante complanari adatto a consentire un movimento dell'anta parallelamente a se stessa second
US20230221773A1 (en) Movement mechanism applied to inner-folding flexible screen terminal and inner-folding flexible screen terminal
DE202016101126U1 (de) Klappbarer Tisch
KR200295309Y1 (ko) 독서대
US20080218043A1 (en) Drawer guidance mechanism
DE4117407A1 (de) Drehkippbeschlag
EP3887632A2 (en) Furniture hinge for upward-opening cabinet doors
CN209629002U (zh) 一种建筑设计人员专用绘图桌
DE10133470C2 (de) Vorrichtung zur Bewegung eines Bildschirms und einer Tastatur von einer Ruhe- in eine Gebrauchslage
US6170914B1 (en) Chair having seat elevating device
CN2809135Y (zh) 防撬门180°暗铰链
US3646636A (en) Door hinge
DE2459346A1 (de) Spiegelscheiben-scharnier
CN201250991Y (zh) 具快速定位功能的升降装置
DE202021101231U1 (de) Zweiwege-Puffer-Klapptürscharnier mit einem Gestängemechanismus
CN209574124U (zh) 一种方便更换的学生管理用个人资料展示装置
CN2343291Y (zh) 隐藏式液压开闭门器
JP2758933B2 (ja) ドアクローザ
CN209723958U (zh) 一种人防门支撑装置
CN221054137U (zh) 双转动模组及使用该双转动模组的折叠式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