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642B1 -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 - Google Patents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642B1
KR102634642B1 KR1020230145959A KR20230145959A KR102634642B1 KR 102634642 B1 KR102634642 B1 KR 102634642B1 KR 1020230145959 A KR1020230145959 A KR 1020230145959A KR 20230145959 A KR20230145959 A KR 20230145959A KR 102634642 B1 KR102634642 B1 KR 102634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ar
horizontal beam
hoist
re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5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수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탑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탑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탑산업
Priority to KR1020230145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4Devices for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철근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Rebar transfer structure for hoist}
본 발명은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철근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압연설비로 제조되는 철근은 정정설비를 통해 이송되어 정렬된 후 밴딩장치로 묶여져 완제품으로 출고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철근은 런 인 롤러 테이블을 통해 이송되어 스토퍼에 의해 이송된 일단이 지지되어 1차 정렬된 후 철근 이송장치에 의해 런 아웃 롤러 테이블로 이동된다.
상기 런 아웃 롤러 테이블 장치는 상기 철근을 이송시켜 밴딩장치로 묶어 번들화한 후 출고시키는 것이다.
철근을 이송할 수 있는 철근 이송 장치가 종래로부터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철근 이송 장치는 사용 중에 습기와 염분에 의해 녹이 발생되어 품질과 상품성이 크게 훼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철근 이송 장치의 장기 보관 및 운송 과정에서의 녹의 발생이나 수분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들이 종래로부터 많이 연구되어 왔다.
즉, 내부 또는 외부에서의 수분 또는 염분의 침투를 막기 위해 철근 이송 장치를 포장덮개로 완전히 밀폐시켜포장하거나, 밀폐시킨 후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상태의 포장을 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경우 포장과정이 복잡하여 포장 작업 시간과, 포장비용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철근 이송 장치를 기화성 방청시트를 사용하여 포장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방청시트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철근 이송장치의 녹 발생이나 먼지에 의한 오염 등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철근 이송 장치는 철근 이송을 완료한 후에는 회수되지 아니하고 바로 폐기됨으로써 재활용율이 떨어지고 그로 인해 재 제작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공개실용 제20-2009-0003427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32901호
본 발명은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철근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철근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는, 호이스트 상에서 제어되는 것으로, 철근이 위치된 곳으로 와이어걸이대를 이동시키거나, 와이어걸이대에 걸려진 철근을 이동시키도록 지지프레임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되는 이송프레임과,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송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건물 내벽에서 수평방향으로 고정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이송프레임을 지지프레임 상에서 이동시키거나, 철근 측으로 와이어걸이대를 하강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해 이송프레임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로 형성되는 호이스트수단과, 호이스트수단의 구동으로 철근 측으로 하강되거나, 철근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승되도록 호이스트수단의 구동와이어에 의해 승하강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와이어걸이대와, 철근을 이동시킴에 있어서 철근이 수평을 유지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와이어걸이대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제1측와이어와 제2측와이어와 중앙와이어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수평빔과, 제1측와이어의 일측이 걸리도록 수평빔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측연결부재와, 수평빔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해 일측이 제1측연결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측결합고리에 연결 형성되는 제1측와이어와, 제1측와이어가 와이어걸이대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제1측와이어 타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제1측결합고리와, 제2측와이어의 일측이 걸리도록 수평빔 상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측연결부재와, 수평빔의 타측을 지지하기 위해 일측이 제2측연결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측결합고리에 연결 형성되는 제2측와이어와, 제2측와이어가 와이어걸이대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제2측와이어 타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제2측결합고리와, 중앙와이어의 일측이 걸리도록 수평빔 상부 중앙으로 형성되는 중앙연결부재와, 수평빔의 중앙을 지지하기 위해 일측이 중앙연결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중앙결합고리에 연결 형성되는 중앙와이어와, 중앙와이어가 와이어걸이대와 연결될 수 있도록 중앙와이어 타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중앙결합고리와, 철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철근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철근와이어가 걸리도록 수평빔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측거치고리와, 철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철근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철근와이어가 걸리도록 수평빔 하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측거치고리와, 철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철근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철근와이어가 걸리도록 수평빔 하부 중앙으로 형성되는 중앙거치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는, 철근 이동시 호이스트수단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한 충격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방지부는, 수평빔과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바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충격방지바와, 충격방지바가 완충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도록 일측이 수평빔 하부 중앙에 고정되고, 타측이 수평빔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바와, 수평빔과 충격방지바 사이와 충격방지바와 바고정판 사이 고정바 둘레로 형성되는 무게지지스프링과, 충격방지바를 지지하기 위해 고정바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바고정판과, 충격방지바와 수평빔 간의 공기를 통해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한 가압부재가 내장될 수 있도록 수평빔 하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가압하우징과, 가압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드되는 가압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충격방지바 상부 양측을 각각 형성되는 부재바와, 가압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드되어 공기를 압축하거나 배출시키기 위해 부재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압부재와, 가압하우징과 가압부재 사이에서 밀폐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가압부재 둘레로 형성되는 밀폐링과, 가압부재가 가압하우징 내부에서 가압시 가압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가압하우징 일측으로 형성되는 에어배출구와, 에어배출구로 배출되는 에어량을 조절하기 위해 에어배출구 상에 결합 형성되는 배출압조절기와, 조절된 에어가 배출되도록 배출압조절기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빔에 걸려 이동되는 철근이 수평을 유지하며 이동됨으로, 철근의 쳐짐이 발생되지 않아 철근의 쏟아짐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철근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에 대한 안전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에 대한 제품 사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해 상세하게 나타낸 제품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충격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무게이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보조승하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100)에 대한 제품 사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해 상세하게 나타낸 제품 사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100)는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철근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100)는 이송프레임(100a), 지지프레임(100b), 호이스트수단(100c), 와이어걸이대(100d), 수평빔(110), 제1측연결부재(111), 제1측와이어(112), 제1측결합고리(113), 제2측연결부재(114), 제2측와이어(115), 제2측결합고리(116), 중앙연결부재(117), 중앙와이어(118), 중앙결합고리(119), 제1측거치고리(120), 제2측거치고리(121), 중앙거치고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프레임(100a)은 호이스트 상에서 제어되는 것으로, 철근이 위치된 곳으로 와이어걸이대(100d)를 이동시키거나, 와이어걸이대(100d)에 걸려진 철근을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프레임(100a)은 지지프레임(100b)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b)은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송프레임(100a)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00b)은 건물 내벽에서 수평방향으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이스트수단(100c)은 이송프레임(100a)을 지지프레임(100b) 상에서 이동시키거나, 철근 측으로 와이어걸이대(100d)를 하강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호이스트수단(100c)은 이송프레임(100a)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걸이대(100d)는 호이스트수단(100c)의 구동으로 철근 측으로 하강되거나, 철근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승되도록 호이스트수단(100c)의 구동와이어에 의해 승하강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빔(110)은 철근을 이동시킴에 있어서 철근이 수평을 유지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빔(110)은 와이어걸이대(100d)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제1측와이어(112)와 제2측와이어(115)와 중앙와이어(118)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측연결부재(111)는 제1측와이어(112)의 일측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측연결부재(111)는 수평빔(1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측와이어(112)는 수평빔(110)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측와이어(112)는 일측이 제1측연결부재(111)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측결합고리(113)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측결합고리(113)는 제1측와이어(112)가 와이어걸이대(100d)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측결합고리(113)는 제1측와이어(112) 타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측연결부재(114)는 제2측와이어(115)의 일측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측연결부재(114)는 수평빔(110) 상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측와이어(115)는 수평빔(110)의 타측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측와이어(115)는 일측이 제2측연결부재(114)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측결합고리(116)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측결합고리(116)는 제2측와이어(115)가 와이어걸이대(100d)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측결합고리(116)는 제2측와이어(115) 타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연결부재(117)는 중앙와이어(118)의 일측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중앙연결부재(117)는 수평빔(110) 상부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와이어(118)는 수평빔(110)의 중앙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중앙와이어(118)는 일측이 중앙연결부재(117)에 연결되고, 타측이 중앙결합고리(119)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결합고리(119)는 중앙와이어(118)가 와이어걸이대(100d)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중앙결합고리(119)는 중앙와이어(118) 타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측거치고리(120)는 철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철근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철근와이어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측거치고리(120)는 수평빔(110)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측거치고리(121)는 철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철근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철근와이어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측거치고리(121)는 수평빔(110) 하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거치고리(122)는 철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철근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철근와이어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중앙거치고리(122)는 수평빔(110) 하부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충격방지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충격방지부(200)는 본 발명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충격방지부(200)는 철근 이동시 호이스트수단(100c)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방지부(200)는 충격방지바(210), 고정바(211), 무게지지스프링(212), 바고정판(213), 가압하우징(214), 부재바(215), 가압부재(216), 밀폐링(217), 에어배출구(218), 배출압조절기(219), 배출관(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방지바(210)는 수평빔(1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바(211)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바(211)는 충격방지바(210)가 완충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바(211)는 일측이 수평빔(110) 하부 중앙에 고정되고, 타측이 수평빔(1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지지스프링(212)은 수평빔(110)과 충격방지바(210) 사이와 충격방지바(210)와 바고정판(213) 사이 고정바(211)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고정판(213)은 충격방지바(210)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고정판(213)은 고정바(211)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하우징(214)은 충격방지바(210)와 수평빔(110) 간의 공기를 통해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한 가압부재(216)가 내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하우징(214)은 수평빔(110) 하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바(215)는 가압하우징(214) 내부에서 슬라이드되는 가압부재(216)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바(215)는 충격방지바(210) 상부 양측을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재(216)는 가압하우징(214) 내부에서 슬라이드되어 공기를 압축하거나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부재(216)는 부재바(21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링(217)은 가압하우징(214)과 가압부재(216) 사이에서 밀폐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폐링(217)은 가압부재(216)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배출구(218)는 가압부재(216)가 가압하우징(214) 내부에서 가압시 가압하우징(214)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에어배출구(218)는 가압하우징(21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압조절기(219)는 에어배출구(218)로 배출되는 에어량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압조절기(219)는 에어배출구(218) 상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관(220)은 조절된 에어가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관(220)은 배출압조절기(219)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무게이동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무게이동부(300)는 본 발명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무게이동부(300)는 철근의 이동시 수평빔(110)이 수평을 유지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이동부(300)는 스크류고정부재(310), 이송스크류(311), 모터지지판(312), 스크류밀착부재(313), 스크류기어(314), 추이동모터(315), 무게추(316), 무게감지센서(317), 이동거리표시패널(3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고정부재(310)는 이송스크류(311)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고정부재(310)는 수평빔(110) 일측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스크류(311)는 무게추(316)가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스크류(311)는 양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고정부재(31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지지판(312)은 추이동모터(315)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지지판(312)은 무게추(316)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밀착부재(313)는 이송스크류(311)에 결합되어 스크류기어(314)의 회전으로 이송스크류(311)를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밀착부재(313)는 모터지지판(312)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기어(314)는 이송스크류(311)의 하부에 밀착되어 추이동모터(315)의 구동시 회전되어 이송스크류(31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기어(314)는 추이동모터(315)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이동모터(315)는 스크류기어(314)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기 추이동모터(315)는 모터지지판(312)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추(316)는 수평빔(11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무게추(316)는 모터지지판(31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감지센서(317)는 수평빔(110)이 무게에 의해 처짐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무게감지센서(317)는 수평빔(110) 하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거리표시패널(318)은 무게추(316)의 이동거리를 표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거리표시패널(318)은 수평빔(110) 일측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보조승하강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승하강부(400)는 본 발명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보조승하강부(400)는 철근의 이동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미세하게 철근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승하강부(400)는 제1보조모터(410), 제1와이어드럼(411), 제1보조수평와이어(412), 제1실린더고정대(413), 제1와이어실린더(414), 제1와이어고정부재(415), 제1보조실린더와이어(416), 제2보조모터(417), 제2와이어드럼(418), 제2보조수평와이어(419), 제2실린더고정대(420), 제2와이어실린더(421), 제2와이어고정부재(422), 제2보조실린더와이어(4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보조모터(410)는 제1와이어드럼(411)을 회전시켜 제1보조수평와이어(412)를 권취하거나, 권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보조모터(410)는 수평빔(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와이어드럼(411)은 제1보조수평와이어(412)를 권출하거나, 권취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와이어드럼(411)은 제1보조모터(410)의 모터축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보조수평와이어(412)는 철근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1보조모터(410)에 의해 권출되거나, 권취되도록 제1와이어드럼(411)에 권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실린더고정대(413)는 제1와이어실린더(414)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실린더고정대(413)는 수평빔(110)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와이어실린더(414)는 제1와이어고정부재(415)를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와이어실린더(414)는 제1실린더고정대(413) 하부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와이어고정부재(415)는 제1보조실린더와이어(416)를 당기거나, 밀어줌으로 미세하게 철근을 승하강 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와이어고정부재(415)는 제1와이어실린더(414)의 실린더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보조실린더와이어(416)는 제1와이어고정부재(415)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보조모터(417)는 제2와이어드럼(418)을 회전시켜 제2보조수평와이어(419)를 권취하거나, 권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보조모터(417)는 수평빔(110)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와이어드럼(418)은 제2보조수평와이어(419)를 권출하거나, 권취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와이어드럼(418)은 제2보조모터(417)의 모터축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보조수평와이어(419)는 철근이 일측에 연결되어 제2보조모터(417)에 의해 권출되거나, 권취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보조수평와이어(419)는 제2와이어드럼(418)에 권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실린더고정대(420)는 제2와이어실린더(421)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실린더고정대(420)는 수평빔(110) 하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와이어실린더(421)는 제2와이어고정부재(422)를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와이어실린더(421)는 제2실린더고정대(420) 하부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와이어고정부재(422)는 제2보조실린더와이어(423)를 당기거나, 밀어줌으로 미세하게 철근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와이어고정부재(422)는 제2와이어실린더(421)의 실린더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보조실린더와이어(423)는 제2와이어고정부재(422)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이송구조체
100a : 이송프레임 100b : 지지프레임
100c : 호이스트수단 100d : 와이어걸이대
110 : 수평빔 111 : 제1측연결부재
112 : 제1측와이어 113 : 제1측결합고리
114 : 제2측연결부재 115 : 제2측와이어
116 : 제2측결합고리 117 : 중앙연결부재
118 : 중앙와이어 119 : 중앙결합고리
120 : 제1측거치고리 121 : 제2측거치고리
122 : 중앙거치고리
200 : 충격방지부 210 : 충격방지바
211 : 고정바 212 : 무게지지스프링
213 : 바고정판 214 : 가압하우징
215 : 부재바 216 : 가압부재
217 : 밀폐링 218 : 에에배출구
219 : 배출압조절기 220 : 배출관
300 : 무게이동부 310 : 스크류고정부재
311 : 이송스크류 312 : 모터지지판
313 : 스크류밀착부재 314 : 스크류기어
315 : 추이동모터 316 : 무게추
317 : 무게감지센서 318 : 이동거리표시패널
400 : 보조승하강부 410 : 제1보조모터
411 : 제1와이어드럼 412 : 제1보조수평와이어
413 : 제1실린더고정대 414 : 제1와이어실린더
415 : 제1와이어고정부재 416 : 제1보조실린더와이어
417 : 제2보조모터 418 : 제2와이어드럼
419 : 제2보조수평와이어 420 : 제2실린더고정대
421 : 제2와이어실린더 422 : 제2와이어고정부재
423 : 제2보조실린더와이어

Claims (3)

  1.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철근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는,
    호이스트 상에서 제어되는 것으로, 철근이 위치된 곳으로 와이어걸이대를 이동시키거나, 와이어걸이대에 걸려진 철근을 이동시키도록 지지프레임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되는 이송프레임과,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송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건물 내벽에서 수평방향으로 고정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이송프레임을 지지프레임 상에서 이동시키거나, 철근 측으로 와이어걸이대를 하강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해 이송프레임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로 형성되는 호이스트수단과,
    호이스트수단의 구동으로 철근 측으로 하강되거나, 철근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승되도록 호이스트수단의 구동와이어에 의해 승하강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와이어걸이대와,
    철근을 이동시킴에 있어서 철근이 수평을 유지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와이어걸이대와 일정 간격을 두고, 제1측와이어와 제2측와이어와 중앙와이어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수평빔과,
    제1측와이어의 일측이 걸리도록 수평빔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측연결부재와,
    수평빔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해 일측이 제1측연결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측결합고리에 연결 형성되는 제1측와이어와,
    제1측와이어가 와이어걸이대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제1측와이어 타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제1측결합고리와,
    제2측와이어의 일측이 걸리도록 수평빔 상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측연결부재와,
    수평빔의 타측을 지지하기 위해 일측이 제2측연결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측결합고리에 연결 형성되는 제2측와이어와,
    제2측와이어가 와이어걸이대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제2측와이어 타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제2측결합고리와,
    중앙와이어의 일측이 걸리도록 수평빔 상부 중앙으로 형성되는 중앙연결부재와,
    수평빔의 중앙을 지지하기 위해 일측이 중앙연결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중앙결합고리에 연결 형성되는 중앙와이어와,
    중앙와이어가 와이어걸이대와 연결될 수 있도록 중앙와이어 타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중앙결합고리와,
    철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철근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철근와이어가 걸리도록 수평빔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측거치고리와,
    철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철근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철근와이어가 걸리도록 수평빔 하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측거치고리와,
    철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철근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철근와이어가 걸리도록 수평빔 하부 중앙으로 형성되는 중앙거치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는,
    철근 이동시 호이스트수단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한 충격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방지부는,
    수평빔과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바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충격방지바와,
    충격방지바가 완충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도록 일측이 수평빔 하부 중앙에 고정되고, 타측이 수평빔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바와,
    수평빔과 충격방지바 사이와 충격방지바와 바고정판 사이 고정바 둘레로 형성되는 무게지지스프링과,
    충격방지바를 지지하기 위해 고정바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바고정판과,
    충격방지바와 수평빔 간의 공기를 통해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한 가압부재가 내장될 수 있도록 수평빔 하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가압하우징과,
    가압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드되는 가압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충격방지바 상부 양측을 각각 형성되는 부재바와,
    가압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드되어 공기를 압축하거나 배출시키기 위해 부재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압부재와,
    가압하우징과 가압부재 사이에서 밀폐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가압부재 둘레로 형성되는 밀폐링과,
    가압부재가 가압하우징 내부에서 가압시 가압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가압하우징 일측으로 형성되는 에어배출구와,
    에어배출구로 배출되는 에어량을 조절하기 위해 에어배출구 상에 결합 형성되는 배출압조절기와,
    조절된 에어가 배출되도록 배출압조절기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
  2. 삭제
  3. 삭제
KR1020230145959A 2023-10-27 2023-10-27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 KR102634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5959A KR102634642B1 (ko) 2023-10-27 2023-10-27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5959A KR102634642B1 (ko) 2023-10-27 2023-10-27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642B1 true KR102634642B1 (ko) 2024-02-07

Family

ID=89872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5959A KR102634642B1 (ko) 2023-10-27 2023-10-27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6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427U (ko) 2007-10-09 2009-04-14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근 이송 장치
JP2014122104A (ja) * 2012-12-21 2014-07-03 Toda Constr Co Ltd 不整型体用の吊治具とその吊持方法
KR101632901B1 (ko) 2015-02-24 2016-06-24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 이송장치
KR102540176B1 (ko) * 2023-02-01 2023-06-05 주식회사 극동크레인호이스트 호이스트를 이용한 파이프 수평 인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427U (ko) 2007-10-09 2009-04-14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근 이송 장치
JP2014122104A (ja) * 2012-12-21 2014-07-03 Toda Constr Co Ltd 不整型体用の吊治具とその吊持方法
KR101632901B1 (ko) 2015-02-24 2016-06-24 주식회사 정우비엔씨 철근 이송장치
KR102540176B1 (ko) * 2023-02-01 2023-06-05 주식회사 극동크레인호이스트 호이스트를 이용한 파이프 수평 인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69005A (ja) 天井走行車システム
CN112209256B (zh) 一种物流供应链管理用可调吊装装置
KR102634642B1 (ko) 호이스트용 철근 이송구조체
JP2003335413A (ja) パイプ自動供給装置
JP2008162311A (ja) 貨物自動車の貨物落下防止装置
KR101316654B1 (ko) 슬리팅 권취기의 권취롤 언로드 장치
JP5927718B2 (ja) 移動型安全体感設備用架構
CN218908063U (zh) 一种轧辊放置装置
JPH09227067A (ja) 揚重装置
JP6955448B2 (ja) 荷役運搬機械
CN215670955U (zh) 一种用于斜面幕墙的施工装置
JP2010116131A (ja) 大型表示装置搬送台車
JP5872642B2 (ja) 揚重装置
CN106311804A (zh) 一种收卷机的卸料推板结构
CN110255424A (zh) 一种货物运送装置
KR102633437B1 (ko) 철근 이송용 대차시스템
CN214692918U (zh) 一种自动卸菜机
KR100661098B1 (ko) 스태커 크레인 및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WO2018155076A1 (ja) ストッカ、及び作業用足場の形成方法
CN111717757B (zh) 一种消防通风管道施工提升系统
CN216663847U (zh) 一种复杂环境下多形式框架墩盖梁底模卸落辅助装置
CN217921358U (zh) 一种机电安装抬升装置
JP3526030B2 (ja) 外壁用パネルの搬送方法
CN212893566U (zh) 一种防摇摆型起重机
CN220723301U (zh) 一种成品盘卷钢筋起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