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399B1 -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399B1
KR102633399B1 KR1020230011043A KR20230011043A KR102633399B1 KR 102633399 B1 KR102633399 B1 KR 102633399B1 KR 1020230011043 A KR1020230011043 A KR 1020230011043A KR 20230011043 A KR20230011043 A KR 20230011043A KR 102633399 B1 KR102633399 B1 KR 102633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unit
silicone sealant
selectively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1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원
Original Assignee
김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원 filed Critical 김성원
Priority to KR1020230011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8Separ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22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reciprocable plu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의 아우터 엣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마운트 유닛; 마운트 유닛으로부터 힌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여,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의 개공부 중 소정의 영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캡 유닛; 및 캡 유닛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캡 유닛의 개폐에 따라서 캡 유닛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픽싱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Case system for housing of silicon sealants by using one touched cap}
본 발명은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에 적용되어 실리콘 실란트 교체에 용이하도록 마운트를 분리하지 않으면서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원터치 캡 방식의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리콘 실링 접착제는 외부로부터 공기, 바람, 물, 먼지, 햇빛, 화학원료, 열, 냉기 등을 차단해주는 역할을 하여 건물 외벽, 특수 차량의 유리 부착이나 철도 차량의 연결부위 실링, HVAC의 밀폐작업, 목재문, 보트의 갑판 작업등 모든 분야에서 접착 및 실링 용도로 사용된다.
실리콘 실란트는 실란트 건(sealant gun)을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필요한 양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실란트 건은 수동식과 전동식이 존재하며, 수동식 실란트 건을 사용할 경우에 작업자가 직접 방아쇠를 당겨서 실리콘 실란트를 배출시켜야 하므로 작업자의 손 힘에 의하여 조절해야 하므로 배출되는 실리콘 실란트의 양을 원활하게 조절하기 어려우며, 장시간 작업할 경우 쉽게 피로를 느끼며 작업 능률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란트 건은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홀더와, 압지판, 방아쇠, 밀폐 뚜껑, 잠근 해제판, 전진봉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에어 실리콘건 (등록번호 제10-1697458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캡과 후방캡이 구성된 튜브홀더와 그 하부에 손잡이가 구성되며, 손잡이의 일측에 에어주입구가 형성되고 에어주입구와 연결된 에어관에 에어개폐실이 구비되고 에어개폐실에는 개폐구가 방아쇠와 연결되어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설치되며, 에어개폐실의 후미에 여압을 신속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퀵배출구와, 에어관의 상단에는 튜브홀더의 후미에 구비된 후방캡의 중심으로 후방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후방에어관과 전방에 장착되는 분사노즐에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전방에어관과, 전방에어관에는 에어량을 조절하거나 개폐를 위한 밸브가 설치되고 체크밸브 기능을 갖는 닛블이 구성되어 분사노즐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이 구성된 것이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실리콘 비닐튜브 조립체 구조 (등록번호 제20-0496329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개구부가 있는 몸체 양쪽에 납작한 모양으로 끝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양 날개가 형성되고, 날개에 인접하여 캡을 결합하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되며, 나사부에 인접하여 나사부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고 마개 또는 노즐을 결합하는 나사부가 형성된 개구부재와; 개구부재의 날개 부분이 비닐튜브용 비닐시트 사이에 삽입되어 일체로 융착된 개구부가 형성된 실리콘 충전용 비닐튜브와; 실리콘액 충전 후 나사결합하여 닫았다가 노즐 결합 시에는 분리하여 내부 실리콘액이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비닐튜브 개폐용 마개와; 개구부재의 나사부에 결합, 분리하도록 형성되고, 실리콘건 장착용 원통의 한쪽 개구의 뚜껑이 되도록 형성된 캡과; 캡의 반대쪽 원통 개구에 삽입되어 실리콘건에 의해 비닐튜브를 압축하도록 형성된 압축부재;로 형성되되, 사용 후 비닐튜브는 마개를 열고 닫으면서 실리콘액을 주입시켜 재사용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비닐튜브 조립체 구조의 것이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전동식 실리콘 건 (공개번호 제10-2016-0145342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경우, 실리콘을 주입시 기존처럼 사용자의 악력을 이용하지 않고 스위치 타입의 전동식으로 실리콘을 주입할 수 있도록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실리콘 주입이 손쉽고 간 편해짐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정량으로 주입하거나 미세주입이 가능해지는 전동식 실리콘 건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튜브 교체형 지관홀딩장치 (공개번호 제10-2013-0026884호, 이하 특허문헌4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4에 따른 발명의 경우, 거치대축의 전방 내측에 선단부로 공기개폐수단이 설치된 공기유입홀을 형성하여 거치대축의 전방 외연부 일측에 형성된 공기주입공과 연통되게 구성하며, 거치대축의 후방 내측에 별도의 공기저장홀을 형성하여 거치대축의 후방 외연부 일측에 형성된 공기보충공과 연통되게 구성하며, 거치대축의 외연부에 거치대축의 후단과 선단에 각각 밀착토록 결합 설치되는 연결캡과 마감캡에 의해서 공기 주입 시 팽창되는 튜브를 결합 설치하며, 거치대축의 외연부 전후에는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튜브의 전후 단부를 마감캡의 후면과 연결캡의 전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환형의 전방밀착편과 후방밀착편으로 가압토록 각각 환형의 가압홈(40)을 형성하여 거치대축과 튜브가 밀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기존의 선행문헌들에서의 카트리지 홀더는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의 앞 뒤에 장착되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 내부의 실리콘 실란트를 교체할 때마다 매번 홀더를 분리하고 재장착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등록번호 제10-1697458호 등록번호 제20-0496329호 공개번호 제10-2016-0145342호 공개번호 제10-2013-0026884호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로부터 실리콘 실란트를 용이하게 교체하고자 한다.
둘째, 실리콘 실란트 교체시 마운트를 분리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은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의 아우터 엣지(outer edge)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마운트 유닛(mount unit); 상기 마운트 유닛으로부터 힌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여, 상기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의 개공부 중 소정의 영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캡 유닛(cap unit); 및 상기 마운트 유닛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캡 유닛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캡 유닛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캡 유닛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픽싱 유닛(fix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상기 마운트 유닛은, 상기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의 상기 아우터 엣지에 삽입되기 위하여 링 형상의 몸체를 형성하는 마운트 바디(mount body)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상기 마운트 유닛은, 상기 마운트 바디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구비되어 상기 픽싱 유닛이 고정 체결되도록 하는 한 쌍의 마운트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상기 마운트 유닛은, 상기 마운트 바디부의 타측으로부터 하향 오목한 소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수용 공간으로 상기 캡 유닛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캡 유닛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캡 유닛의 개폐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넥팅(connecting)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상기 캡 유닛은, 상기 마운트 바디부의 상부에서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의 개공부 중 상기 소정의 영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하기 위한 몸체를 형성하는 캡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상기 캡 유닛은, 상기 캡 바디부의 타측으로부터 하향 돌출 형성되며, 양 사이드에 한 쌍의 힌지홀이 구비되어, 상기 커넥팅부와 힌지 연결되어 힌지 운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캡 브릿지(cap bridge)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상기 픽싱 유닛은, 상단부는 상기 캡 유닛에 제공되며 하단부는 상기 마운트 바디부에 제공되어, 상기 캡 유닛 또는 상기 마운트 바디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몸체를 형성하는 픽싱 어셈블리(fixing assembly)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상기 픽싱 유닛은, 상기 픽싱 어셈블리부의 양 사이드에 상호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선택적으로 캡 유닛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상기 캡 유닛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관장하는 픽싱 링(fixing ring)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상기 캡 유닛은, 상기 캡 바디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마운트 돌출부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며, 상기 픽싱 어셈블리부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캡 아암(cap arm)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상기 캡 아암부는, 상기 캡 아암부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픽싱 어셈블리부와 선택적으로 매칭되는 캡 매칭부; 및 상기 캡 아암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픽싱 링부의 임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로부터 마운트를 분리하지 않고 마운트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실리콘 실란트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원터치 캡 방식을 적용하여 실리콘 실란트를 즉각적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노즐의 종류에 관계없이 호환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다양한 종류의 노즐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우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마운트 유닛의 사시도 및 정면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캡 유닛의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픽싱 유닛의 사시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픽싱 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면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은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에 인입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의 개공부 중 소정의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탄성 제공부가 캡 아암부로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탄성 제공부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우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마운트 유닛의 사시도 및 정면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캡 유닛의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픽싱 유닛의 사시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픽싱 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면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은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에 인입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의 개공부 중 소정의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탄성 제공부가 캡 아암부로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탄성 제공부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경우,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에 적용되어 실리콘 실란트 교체에 용이하도록 마운트를 분리하지 않으면서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원터치 캡 방식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 현장에서 연결 부위의 실링 및 부착을 위해서 실리콘 실란트 에어건을 사용하게 되는데, 에어건은 실리콘 실란트가 에어건 내부에 삽입되어 실리콘 실란트를 배출하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이때, 에어건 내부에 실리콘 실란트를 다 사용하면 실리콘 실란트를 교체해야 하는데, 교체시 에어건이나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로부터 마운트를 분리해야 한다.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로부터 마운트를 분리하는 과정은 번거로우며, 작업 중에 급하게 분리하다가 마운트를 떨어뜨리거나 잃어버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마운트에 원터치 방식의 캡을 장착하여, 마운트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실리콘 실란트를 빠르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유닛(mount unit, 100), 캡 유닛(cap unit, 200), 및 픽싱 유닛(fixing unit, 3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마운트 유닛(100)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의 아우터 엣지(outer edge)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구성이다.
마운트 유닛(100)은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의 일측 또는 타측 혹은 일측과 타측에 동시에 장착되는 것으로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의 양 사이드에 고정 부착되어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를 잡아주는 홀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는 원통형 모양으로 개공부가 존재하여 개공부 내부에 실리콘 실란트가 위치되도록 한다.
아우터 엣지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의 일단부 또는 타탄부 영역이 되어,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의 아우터 엣지 상에 마운트 유닛(100)이 장착될 수 있다.
캡 유닛(200)의 경우,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유닛(100)으로부터 힌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여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의 개공부 중 소정의 영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구성이다.
캡 유닛(200)은 마운트 유닛(100)의 상부에서 개방 또는 폐쇄되면서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의 개공부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
캡 유닛(200)은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 내부의 실리콘 실란트를 교체하기 위해서 개방되며, 교체가 완료된 후에는 폐쇄하여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 내부의 실리콘 실란트가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캡 유닛(200)을 통해서 마운트 유닛(100)을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로부터 분리하지 않더라도 실리콘 실란트의 교체가 즉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마운트 유닛(100)을 분리하거나 잃어버리는 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캡 유닛(200)은 여러 업체에서 제작된 다양한 노즐에 결합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노즐의 종류, 크기, 형상과는 무관하게 다양한 노즐에 호환되어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픽싱 유닛(300)의 경우,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유닛(100)에 고정 결합되며, 캡 유닛(20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캡 유닛(200)의 개폐에 따라서 캡 유닛(200)을 마운트 유닛(10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픽싱 유닛(300)은 고리 형식으로 이루어져 평상시에는 캡 유닛(200)을 고정시키며, 실리콘 실란트 교체 시 캡 유닛(200)으로부터 해제되어 캡 유닛(200)이 개방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픽싱 유닛(300)은 원터치 형식으로 한 번의 터치만으로 캡 유닛(200)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픽싱 유닛(300)은 후술하게 될 픽싱 어셈블리부(310)과 픽싱 링부(320)로 구성되어 캡 유닛(200)로부터 이중 구조로 체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마운트 유닛(10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바디(mount body)부(110), 마운트 돌출부(120), 및 커넥팅(connecting)부(130)를 포함하게 된다.
마운트 바디부(11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의 아우터 엣지에 삽입되기 위하여 링 형상의 몸체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때, 아우터 엣지 영역(outer edge area)은 마운트 바디부(110)이 삽입될 때 가해지는 압력이나 마운트 바디부(110)의 크기, 너비, 높이, 실리콘 실란트의 용량, 스펙 등, 마운트 바디부(110)의 스펙에 따라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엣지 영역의 너비(L)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면서 확장 또는 축소(ΔL)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운트 돌출부(12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바디부(11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홀(121)이 구비되어 픽싱 유닛(300)이 고정 체결되도록 하는 한 쌍의 구성이다.
마운트 돌출부(120)는 후술하게 될 픽싱 어셈블리부(310)가 고정체결 되도록 하는 공간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 쌍의 마운트 돌출부(120)에 픽싱 어셈블리부(310)가 끼워 맞춰진 후 나사 볼트 결합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운트 돌출부(120)의 제1체결홀(121)은 후술하게 될 픽싱 어셈블리부(310)의 제2체결홀(311)에 대응하여 마운트 돌출부(120)에 픽싱 어셈블리부(310)가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아울러, 한 쌍의 마운트 돌출부(120)의 사이에 소정의 홀(122)이 존재하며, 소정의 홀(122)은 후술하게 될 인클라인부(314)에 대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팅부(13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바디부(110)의 타측으로부터 하향 오목한 수용 공간(131)이 형성되며 소정의 수용 공간(131)으로 캡 유닛(200)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면서 캡 유닛(200)과 힌지 연결되어 캡 유닛(200)의 개폐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커넥팅부(130)의 하향 오목한 수용 공간(131)은 후술하게 될 캡 브릿지부(230)의 형상과 동일하여, 캡 브릿지부(230)의 힌지홀에 대응하는 홀이 구비되어 커넥팅부(130)와 캡 브릿지부(230)가 힌지 연결되도록 결합하게 된다.
캡 유닛(200)의 경우,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의 개공부 중 소정의 영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캡 유닛(200)의 경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바디(cap body)부(210), 캡 아암(cap arm)부(220), 및 캡 브릿지(cap bridge)부(230)를 포함하게 된다.
캡 바디부(210)의 경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바디부(110)의 상부에서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의 개공부 중 소정의 영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하기 위한 몸체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캡 바디부(210)의 일측은 후술하게 될 픽싱 유닛(3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홀딩되며, 타측은 커넥팅부(130)에 고정 배치되어 힌지 연결되는 것으로, 캡 바디부(210)는 힌지 연결된 곳을 중심으로 힌지 운동하면서 개폐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캡 바디부(210)에서 커버하는 소정의 영역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의 개공부 중 일부 영역으로서, 캡 바디부(210)가 소정의 영역을 커버하게 되어, 실리콘 실란트가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영역은 개공부 일부의 가상의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소정의 영역은 개공부 적어도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것이며 캡 유닛(200)이 닫혔을 때 비로소 그 영역이 발현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캡 바디부(210)가 개방되면 캡 바디부(210)는 더 이상 소정의 영역을 커버하지 못하므로, 실리콘 실란트가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1)의 내부로부터 빠지게 되거나 새로운 실리콘 실란트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캡 바디부(210)가 소정의 영역을 커버함에 따라서 해당 부위 영역의 오염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얻게 된다.
캡 아암부(220)의 경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바디부(2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마운트 돌출부(12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며 후술하게 될 픽싱 어셈블리부(310)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구성이다.
캡 아암부(220)의 경우, 캡 매칭(cap matching)부(221) 및 걸림턱부(222)를 포함하게 된다.
캡 매칭부(221)는 캡 아암부(22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픽싱 어셈블리부(310)와 선택적으로 매칭되는 구성이다.
캡 매칭부(221)는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유닛(200)이 픽싱 유닛(300)에 일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캡 매칭부(221)는 탄성 제공부(312)에 체결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기작은 후술하도록 한다.
걸림턱부(222)의 경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아암부(2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픽싱 링부(320)의 임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는 구성이다.
캡 브릿지부(230)의 경우,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바디부(210)의 타측으로부터 하향 돌출 형성되며 양 사이드에 한 쌍의 힌지홀이 구비되어, 커넥팅부(130)와 힌지 연결되어 힌지 운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캡 단차부(240)는 캡 바디부(210)의 하부에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픽싱 유닛(300)은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캡 유닛(200)의 개폐에 따라서 캡 유닛(200)을 마운트 유닛(10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의 픽싱 유닛(300)의 경우,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싱 어셈블리(fixing assembly)부(310) 및 픽싱 링(fixing ring)부(320)를 포함하게 된다.
픽싱 어셈블리부(310)의 경우,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는 캡 유닛(200)에 제공되며 하단부는 마운트 바디부(110)에 제공되어 캡 유닛(200)과 마운트 바디부(11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몸체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픽싱 어셈블리부(310)는 실질적으로 캡 매칭부(221)에 결합되어 캡 유닛(200)이 픽싱 유닛(300)에 고정 체결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픽싱 어셈블리부(310)의 경우, 제2체결홀(311), 탄성 제공부(312), 링크홀(link hole, 313), 및 인클라인(incline)부(314)를 포함하게 된다.
제2체결홀(311)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싱 어셈블리부(310)를 관통하는 홀이 구비되어, 제1체결홀(121)에 대응하여 마운트 유닛(100)과 픽싱 유닛(300)이 고정 체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2체결홀(311)은 위에서 상술한 마운트 돌출부(120)의 제1체결홀(121)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제1체결홀(121)과 제2체결홀(311)은 볼트 너트 결합으로 인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제공부(312)의 경우,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매칭부(221)에 대응되어 캡 매칭부(221)의 영역으로 삽입되는 구성이다.
탄성 제공부(312)는 실질적으로 캡 유닛(200)에 고정 체결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탄성 제공부(312)의 하부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는 T의 텐션 필드(tension field, 312a)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이때 높이(T)는 0.1~0.3mm 이내가 되도록 한다.
탄성 제공부(312)의 하부에 미세하게 제공되는 텐션 필드(312a)의 존재 유무에 따라서 캡 매칭부(221)가 체결되는 높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된다.
예컨대, 텐션 필드(312a)가 존재할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제공부(312)에 체결되기 전의 캡 매칭부(221)의 높이는 x, 탄성 제공부(312) 체결된 후 높이는 x'가 된다.
즉, 텐션 필드(312a)의 단차(T)에 의하여 탄성 제공부(312)와 캡 매칭부(221)가 타이트하게 체결되면서 자체 탄성이 형성되면서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며, 유저에 의해 픽싱 어셈블리부(310)에 터치가 발생되거나, 외력이 가해지는 즉시 자체 탄성에 의해 원터치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링크홀(313)의 경우, 픽싱 어셈블리의 양 사이드부로부터 천공되어, 후술하게 될 픽싱 링부(320)가 삽입되도록 하는 홀(hole)의 구성이다.
링크홀(313)을 통해서 픽싱 어셈블리부(310)와 픽싱 링부(320)가 상호 결합되도록 하며, 픽싱 링부(320)는 링크홀(313)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캡 유닛(200)에 접근하거나 멀어지게 된다.
인클라인부(314)는 픽싱 어셈블리부(310)의 타측에서 소정의 경사를 구비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인클라인부(314)의 소정의 경사에 의하여 픽싱 어셈블리부(310)와 마운트 바디부(110)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인클라인부(314)의 소정의 경사에 의해서 확보된 공간은 캡 유닛(200)과 픽싱 유닛(300)의 체결이 해제됨에 따라서 픽싱 어셈블리부(310)가 확보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픽싱 링부(320)의 경우, 픽싱 어셈블리부(310)의 양 사이드에 상호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캡 유닛(200)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캡 유닛(200)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관장하는 구성이다.
픽싱 링부(320)는 픽싱 어셈블리부(310)의 양 사이드를 중심으로 로테이팅하면서 캡 유닛(200)에 장착되거나 캡 유닛(200)으로부터 해제되도록 한다.
픽싱 링부(320)는 탄성 제공부(312)가 캡 매칭부(221)로부터 임의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도 수행하는 것으로 이중 체결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픽싱 링부(320)가 캡 유닛(200)에 장착되면 캡 유닛(200)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며, 픽싱 링부(320)가 캡 유닛(200)으로부터 이탈된 후 캡 유닛(200)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면 완전히 개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
100: 마운트 유닛
110: 마운트 바디부
120: 마운트 돌출부
121: 제1체결홀
130: 커넥팅부
200: 캡 유닛
210: 캡 바디부
220: 캡 아암부
221: 캡 매칭부
222: 걸림턱부
230: 캡 브릿지부
240: 캡 단차부
300: 픽싱 유닛
310: 픽싱 어셈블리부
311: 제2체결홀
312: 탄성 제공부
313: 링크홀
314: 인클라인부
320: 픽싱 링부

Claims (10)

  1.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의 아우터 엣지(outer edge)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마운트 유닛(mount unit);
    상기 마운트 유닛으로부터 힌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여, 상기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의 개공부 중 소정의 영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캡 유닛(cap unit); 및
    상기 마운트 유닛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캡 유닛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캡 유닛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캡 유닛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픽싱 유닛(fixing unit)을 포함하되,
    상기 마운트 유닛은,
    상기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의 상기 아우터 엣지를 삽입하기 위하여 링 형상의 몸체를 형성하는 마운트 바디(mount body)부;
    상기 마운트 바디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구비되어 상기 픽싱 유닛이 고정 체결되도록 하는 한 쌍의 마운트 돌출부; 및
    상기 마운트 바디부의 타측으로부터 하향 오목한 소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수용 공간으로 상기 캡 유닛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캡 유닛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캡 유닛의 개폐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넥팅(connect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유닛은,
    상기 마운트 바디부의 상부에서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상기 실리콘 실란트 카트리지의 개공부 중 상기 소정의 영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하기 위한 몸체를 형성하는 캡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 유닛은,
    상기 캡 바디부의 타측으로부터 하향 돌출 형성되며, 양 사이드에 한 쌍의 힌지홀이 구비되어, 상기 커넥팅부와 힌지 연결되어 힌지 운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캡 브릿지(cap bridge)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 유닛은,
    상단부는 상기 캡 유닛에 제공되며 하단부는 상기 마운트 바디부에 제공되어, 상기 캡 유닛 또는 상기 마운트 바디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몸체를 형성하는 픽싱 어셈블리(fixing assembly)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 유닛은,
    상기 픽싱 어셈블리부의 양 사이드에 상호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선택적으로 캡 유닛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상기 캡 유닛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관장하는 픽싱 링(fixing ring)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 유닛은,
    상기 캡 바디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마운트 돌출부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며, 상기 픽싱 어셈블리부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캡 아암(cap arm)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캡 아암부는,
    상기 캡 아암부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픽싱 어셈블리부와 선택적으로 매칭되는 캡 매칭부; 및
    상기 캡 아암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픽싱 링부의 임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
KR1020230011043A 2023-01-27 2023-01-27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 KR102633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1043A KR102633399B1 (ko) 2023-01-27 2023-01-27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1043A KR102633399B1 (ko) 2023-01-27 2023-01-27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399B1 true KR102633399B1 (ko) 2024-02-02

Family

ID=89900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1043A KR102633399B1 (ko) 2023-01-27 2023-01-27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39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0780A (ja) * 2006-10-30 2008-05-15 Toppan Printing Co Ltd ノズルヒンジキャップ
JP2010023854A (ja) * 2008-07-16 2010-02-04 Thermos Kk 飲料容器
KR20100022967A (ko) * 2007-08-31 2010-03-03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보틀형 용기체용의 토출 캡
KR20130026884A (ko) 2011-09-06 2013-03-14 강영길 튜브 교체형 지관홀딩장치
KR20130065213A (ko) * 2011-12-09 2013-06-19 김병희 실란트 토출용 메인노즐 구조체
JP3192406U (ja) * 2014-06-02 2014-08-14 雄泰集団有限公司 飲料用容器の蓋ロック装置
KR20160145342A (ko) 2015-06-10 2016-12-20 이상돌 전동식 실리콘 건
KR101697458B1 (ko) 2016-04-14 2017-01-18 주식회사 태성 에어 실리콘건
KR200496329Y1 (ko) 2022-05-30 2023-01-03 허영호 실리콘 비닐튜브 조립체 구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0780A (ja) * 2006-10-30 2008-05-15 Toppan Printing Co Ltd ノズルヒンジキャップ
KR20100022967A (ko) * 2007-08-31 2010-03-03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보틀형 용기체용의 토출 캡
JP2010023854A (ja) * 2008-07-16 2010-02-04 Thermos Kk 飲料容器
KR20130026884A (ko) 2011-09-06 2013-03-14 강영길 튜브 교체형 지관홀딩장치
KR20130065213A (ko) * 2011-12-09 2013-06-19 김병희 실란트 토출용 메인노즐 구조체
JP3192406U (ja) * 2014-06-02 2014-08-14 雄泰集団有限公司 飲料用容器の蓋ロック装置
KR20160145342A (ko) 2015-06-10 2016-12-20 이상돌 전동식 실리콘 건
KR101697458B1 (ko) 2016-04-14 2017-01-18 주식회사 태성 에어 실리콘건
KR200496329Y1 (ko) 2022-05-30 2023-01-03 허영호 실리콘 비닐튜브 조립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9777A (en) Sanitary mixer tap with a thermostatic device
EP0725247B1 (fr) Ensemble d'une bouteille de gaz et d'un chapeau
KR102633399B1 (ko) 원터치 캡 방식의 실리콘 실란트 하우징 케이스 시스템
CA2543157A1 (en) Electromagnetic valve
KR20090092881A (ko) 정수용 필터 장치
US20130167977A1 (en) Click-and-fix coupling
EP0560729A2 (de) Tintenpatrone für einen Druckkopf eines Ink-Jet-Printers
CN1206766A (zh) 压力冲洗装置放水附件
US4113300A (en) Filler connection for vehicles driven by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S61127468A (ja) ペ−スト状物質の供給装置
RU2743850C1 (ru) Пистолет-распылитель
WO2005065977A1 (de) Entlüftungsventil
JP3642964B2 (ja) 樹木用薬液注入器具
KR102102602B1 (ko) 세척이 가능한 우레탄폼 분사용 건
CN216988433U (zh) 胶枪用落料机构
KR20200134468A (ko) 차량용 요소수주입구 오픈 장치
CN219111942U (zh) 一种充液式喷雾设备
KR20200010814A (ko) 일체형 노즐을 갖는 실리콘건
KR200197194Y1 (ko) 연료탱크의 캡
CN218637820U (zh) 发泡枪
CN217661177U (zh) 一种汽车发动机自动辅助灭火装置
CN213811638U (zh) 一种下料口结构及干燥机
KR900007949Y1 (ko) 콘크리트 크랙 보강약액주입장치
JP3916289B2 (ja) 液体供給用容器の蛇口ユニット
KR200354458Y1 (ko) 재충전식 부탄가스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