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370B1 - 건설 기계, 건설 기계로부터 가동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휴대 정보 단말기, 건설 기계의 정보 통신 시스템, 및 휴대 정보 단말기에 실장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건설 기계로부터 가동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휴대 정보 단말기, 건설 기계의 정보 통신 시스템, 및 휴대 정보 단말기에 실장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370B1
KR102633370B1 KR1020187027976A KR20187027976A KR102633370B1 KR 102633370 B1 KR102633370 B1 KR 102633370B1 KR 1020187027976 A KR1020187027976 A KR 1020187027976A KR 20187027976 A KR20187027976 A KR 20187027976A KR 102633370 B1 KR102633370 B1 KR 102633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data
terminal
vehicle
construction machine
communica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3506A (ko
Inventor
히로시 도고
요이치로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3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4Fleet man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Remotely operated machines, e.g. unmanned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9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transport system
    • G05B19/4189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transport system using automatic guided vehicles [AGV]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6Systems with a variable displacement pump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서버에 가동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한 지역에서 건설 기계가 가동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당해 건설 기계의 가동 데이터를 서버에 축적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차량측 제어부(17)는, 원거리 통신 수단(W)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원거리 통신 수단(W)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원거리 통신 수단(W)을 통하여 가동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제1 차량측 통신부(14)를 제어하는 한편, 원거리 통신 수단(W)이 이용 불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가동 데이터를 차량측 기억부(15)에 기억시키고, 또한 태블릿(3)으로부터의 송신 개시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송신 개시 명령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차량측 기억부(15)에 기억된 가동 데이터가 근거리 통신 수단(N)을 통하여 송신되도록 제2 차량측 통신부(16)를 제어한다.

Description

건설 기계, 건설 기계로부터 가동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휴대 정보 단말기, 건설 기계의 정보 통신 시스템, 및 휴대 정보 단말기에 실장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본 발명은, 건설 기계의 관리를 행하기 위한 가동 데이터를 수집함과 함께 가동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하는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 시스템은, 복수의 건설 기계(이동체)와, 건설 기계와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접속되어 건설 기계를 관리하는 서버(단말기)를 구비하고 있다.
건설 기계는, 당해 건설 기계의 엔진 회전수, 배터리 전압, 연료량, 냉각 수온, 이상 발생(에러 코드) 등의 가동 데이터(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건설 기계는, 취득한 가동 데이터를 통신 수단을 통하여 서버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수단은, 인터넷, 네트워크 관제국, 전용선, 위성 지구국, 피더 회선, 통신 위성, 무선 통신 등을 갖는다. 건설 기계의 가동 데이터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통신 위성에 송신되고, 그 후, 통신 위성, 피더 회선, 위성 지구국, 전용선, 네트워크 관제국 및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에 송신된다.
일본 특허 제453278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건설 기계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하여 통신 위성에 가동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에, 건설 기계가 통신 위성과의 사이에서 통신 불가능한 지역에서 가동하고 있는 경우에 당해 건설 기계의 가동 데이터를 서버에 축적하지 못하여, 서버에 있어서 건설 기계의 관리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버에 가동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한 지역에서 건설 기계가 가동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당해 건설 기계의 가동 데이터를 서버에 축적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건설 기계, 휴대 정보 단말기, 정보 통신 시스템, 및 당해 휴대 정보 단말기에 실장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동 데이터를 수집함과 함께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동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 가능한 건설 기계이며,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1 차량측 통신부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보다도 근거리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휴대 정보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2 차량측 통신부와, 상기 가동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을 갖는 차량측 기억부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동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상기 제1 차량측 통신부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차량측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또한 상기 휴대 정보 단말기로부터의 송신 개시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송신 개시 명령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차량측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가동 데이터가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송신되도록 상기 제2 차량측 통신부를 제어하는 차량측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설 기계로부터 상기 가동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휴대 정보 단말기이며,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건설 기계의 상기 제2 차량측 통신부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1 단말기측 통신부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2 단말기측 통신부와, 상기 가동 데이터의 송신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송신 개시 명령을 상기 제1 단말기측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건설 기계에 대하여 출력하고, 또한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측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건설 기계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동 데이터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송신되도록 상기 제2 단말기측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말기측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 정보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 통신 시스템이며, 서버와, 상기 서버와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상기 건설 기계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보다도 근거리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건설 기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과,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상기 휴대 정보 단말기를 구비하고 있는, 정보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설 기계로부터 상기 가동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휴대 정보 단말기에 실장되는 프로그램이며, 상기 휴대 정보 단말기는,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건설 기계의 상기 제2 차량측 통신부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1 단말기측 통신부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2 단말기측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휴대 정보 단말기를, 상기 가동 데이터의 송신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송신 개시 명령을 상기 제1 단말기측 통신부에 송신시키는 수단,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측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건설 기계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기측 통신부에 송신시키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에 가동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한 지역에서 건설 기계가 가동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당해 건설 기계의 가동 데이터를 서버에 축적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셔블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측 제어부에 의하여 실행되는 처리의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처리에서 이어지는 부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단말기측 제어부에 의하여 실행되는 처리의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처리에서 이어지는 부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차량측 제어부에 의하여 실행되는 처리의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7의 단말기측 제어부에 의하여 실행되는 처리의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측 제어부에 의하여 실행되는 처리의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기측 제어부에 의하여 실행되는 처리의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성격의 것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도 1 내지 도 6)>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통신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정보 통신 시스템(1)은, 건설 기계의 일례로서의 유압 셔블(2)과, 휴대 정보 단말기의 일례로서의 태블릿(3)과, 서버(4)를 구비하고 있다.
유압 셔블(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롤러(5a)를 갖는 하부 주행체(5)와, 하부 주행체(5)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상부 선회체(6)와, 상부 선회체(6)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어태치먼트(7)를 구비하고 있다.
어태치먼트(7)는, 상부 선회체(6)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기단부를 갖는 붐(8)과, 붐(8)의 선단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기단부를 갖는 암(9)과, 암(9)의 선단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버킷(10)을 갖는다.
또한, 어태치먼트(7)는, 상부 선회체(6)에 대하여 붐(8)을 회동시키는 붐 실린더(11)와, 붐(8)에 대하여 암(9)을 회동시키는 암 실린더(12)와, 암(9)에 대하여 버킷(10)을 회동시키는 버킷 실린더(13)를 갖는다.
또한 유압 셔블(2)은, 도시는 생략하지만, 실린더(11 내지 13)에 대하여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와, 유압 펌프를 구동하는 엔진과,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센서와, 엔진의 냉각 수온을 검출하는 센서를 갖고 있다.
그리고 유압 셔블(2)은, 배터리의 전압, 엔진 회전수 및 냉각 수온 등을 포함하는 가동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서버(4)(도 1 참조)에 송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이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압 셔블(2)은, 휴대 전화 회선 등의 원거리 통신 수단 W를 통하여 가동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1 차량측 통신부(14)와, 원거리 통신 수단보다도 근거리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Bluetooth(등록 상표) 등의 근거리 통신 수단 N을 통하여 태블릿(3)과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2 차량측 통신부(16)와, 가동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을 갖는 차량측 기억부(15)와, 양 차량측 통신부(14, 16) 및 차량측 기억부(15)를 제어하는 차량측 제어부(1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차량측 통신부(14, 16) 및 차량측 제어부(17)는, CPU, ROM 및 RAM을 포함하는 구성을 조합함으로써 기능적으로 실현된 것이며, 차량측 기억부(15)는 불휘발성 메모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차량측 통신부(14, 16)는, 통신 수단 W, N과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안테나를 갖는다.
차량측 제어부(17)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 수집 시기가 도래했을 때 가동 데이터를 취득함과 함께 이 가동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또한 차량측 제어부(17)는,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했을 때 당해 원거리 통신 수단 W(제1 차량측 통신부(14))를 통하여 서버(4)에 가동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1 차량측 통신부(14)를 제어한다. 또한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가능한 경우, 차량측 제어부(17)는, 당해 차량측 제어부(17)에 일시 저장된 가동 데이터에 한하지 않고, 차량측 기억부(15)에 가동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가동 데이터도 원거리 통신 수단 W를 통하여 서버(4)에 송신하도록 제1 차량측 통신부(14)를 제어한다.
한편, 차량측 제어부(17)는,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불가능하다고 판정했을 때 가동 데이터를 차량측 기억부(15)에 기억시킴과 함께 일시 저장된 가동 데이터를 차량측 제어부(17)로부터 삭제한다. 그리고 차량측 제어부(17)는, 후술하는 태블릿(3)으로부터 송신 개시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송신 개시 명령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차량측 기억부(15)에 기억된 가동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 수단 N(제2 차량측 통신부(16))을 통하여 태블릿(3)에 송신하도록 제2 차량측 통신부(16)를 제어한다.
또한, 차량측 제어부(17)는, 가동 데이터의 서버(4)로의 송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당해 송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당해 가동 데이터를 차량측 기억부(15) 또는 차량측 제어부(17)로부터 삭제한다.
태블릿(3)은, 근거리 통신 수단 N을 통하여 유압 셔블(2)의 제2 차량측 통신부(16)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와, 유압 셔블(2)로부터 수신한 가동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을 갖는 단말기측 기억부(19)와, 원거리 통신 수단 W를 통하여 가동 데이터를 서버(4)에 송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2 단말기측 통신부(20)와, 양 단말측 통신부(18, 19)를 제어하는 단말기측 제어부(21A)와, 단말기측 제어부(21A)에 대하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2)를 갖는다.
또한, 단말기측 통신부(18, 20) 및 단말기측 제어부(21A)는, CPU, ROM 및 RAM을 포함하는 구성을 조합함으로써 기능적으로 실현된 것이며, 단말기측 기억부(19)는 불휘발성 메모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단말기측 통신부(18, 20)는, 통신 수단 W, N과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안테나를 더 갖는다.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는, 유압 셔블(2)의 제2 차량측 통신부(16)로부터 수신한 가동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입력부(22)는, 태블릿(3)에 마련된 터치 패널(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2)는, 가동 데이터의 송신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송신 개시 명령을 출력해야 한다는 취지의 명령을 단말기측 제어부(21A)에 입력 가능하다.
단말기측 제어부(21A)는, 입력부(22)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송신 개시 명령을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를 통하여 유압 셔블(2)에 출력하기 위한 명령을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에 출력하는 통신 개시 지시 수단(21b)과,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를 통하여 수신한 가동 데이터의 통신 경로를 제어하는 통신 경로 제어 수단(21a)을 갖는다.
통신 경로 제어 수단(21a)은, 유압 셔블(2)의 제2 차량측 통신부(16)로부터 가동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 가동 데이터를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에 일시 저장시킨다. 또한 통신 경로 제어 수단(21a)은,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했을 때 당해 원거리 통신 수단 W(제2 단말기측 통신부(20))를 통하여 유압 셔블(2)로부터 수신한 가동 데이터가 서버(4)에 송신되도록 제2 단말기측 통신부(20)를 제어한다. 또한,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가능한 경우, 통신 경로 제어 수단(21a)은,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에 일시 저장된 가동 데이터에 한하지 않고, 단말기측 기억부(19)에 가동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가동 데이터도 원거리 통신 수단 W를 통하여 서버(4)에 송신하도록 제2 단말기측 통신부(20)를 제어한다.
한편, 통신 경로 제어 수단(21a)은,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불가능하다고 판정했을 때 유압 셔블(2)로부터 수신한 가동 데이터를 단말기측 기억부(19)에 기억시킴과 함께 일시 저장된 가동 데이터를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로부터 삭제한다.
또한 통신 경로 제어 수단(21a)은, 가동 데이터의 서버(4)로의 송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송신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당해 가동 데이터를 단말기측 기억부(19) 또는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로부터 삭제한다.
이상과 같이, 태블릿(3)에는, 당해 태블릿(3)을 통신 경로 제어 수단(21a) 및 통신 개시 지시 수단(21b)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실장되어 있다.
이하,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유압 셔블(2)의 차량측 제어부(17)에 의하여 실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당해 처리가 개시되면, 먼저, 가동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터 수집 시기가 도래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
스텝 S1에 있어서, 데이터 수집 시기가 도래했다고 판정되면, 가동 데이터를 수집함과 함께 차량측 제어부(17)에 일시 저장한다(스텝 S2).
스텝 S1에서 "아니오"로 판정된 경우 및 스텝 S2가 실행된 경우, 이어서 서버(4)와 통신 가능한지 여부, 즉,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3).
여기서,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되면, 차량측 제어부(17)에 가동 데이터가 일시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어(스텝 S9), 일시 저장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는 당해 가동 데이터를 제1 차량측 통신부(14)(원거리 통신 수단 W)를 통하여 서버(4)에 송신한다(스텝 S10).
이어서, 서버(4)로의 가동 데이터의 송신(전송)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1).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차량측 제어부(17)가 서버(4)와의 사이에서 수신 완료된 데이터양을 확인하면서 가동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가동 데이터의 전체 데이터양의 수신이 확인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 서버(4)로의 송신이 이상 종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가동 데이터를 차량측 기억부(15)에 기억시킴과 함께 차량측 제어부(17)의 가동 데이터를 삭제한다(스텝 S12).
한편, 서버(4)로의 송신이 정상 종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차량측 제어부(17) 내의 가동 데이터를 삭제한다(스텝 S13).
스텝 S9에서 "아니오"로 판정된 경우, 스텝 S12 또는 스텝 S13이 실행된 경우에는, 이어서 차량측 기억부(15)에 가동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4).
여기서, 차량측 기억부(15)에 가동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차량측 기억부(15)에 기억된 가동 데이터를 제1 차량측 통신부(14)(원거리 통신 수단 W)를 통하여 서버(4)에 송신한다(스텝 S15).
이어서, 상기 스텝 S11과 마찬가지로, 서버(4)로의 가동 데이터의 송신(전송)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6).
여기서, 서버(4)로의 가동 데이터의 송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고 판정되면, 차량측 기억부(15)에 있어서의 송신 완료된 가동 데이터를 삭제하고(스텝 S17), 도 3에 도시하는 스텝 S5가 실행된다.
한편, 스텝 S14에 있어서 "아니오"로 판정된 경우 및 스텝 S16에 있어서 "아니오"로 판정된 경우에는, 차량측 기억부(15)에 있어서의 가동 데이터의 삭제(스텝 S17)를 행하는 일 없이 도 3에 도시하는 스텝 S5가 실행된다.
이상의 처리는, 스텝 S3에 있어서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이다.
한편, 도 3의 스텝 S4 이후의 처리는,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불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텝 S3에 있어서 "아니오"로 판정되면, 가동 데이터를 차량측 기억부(15)에 기억시킴과 함께 차량측 제어부(17)에 일시 저장된 가동 데이터를 삭제한다(스텝 S4).
스텝 S4가 실행된 상태에 있어서는, 유압 셔블(2)에는, 서버(4)에 가동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차량측 제어부(17)는, 태블릿(3)으로부터 송신 개시 명령이 입력되는 것을 대기한다(스텝 S5).
한편, 태블릿(3)의 소유자(예를 들어 유압 셔블(2)의 관리자)는 유압 셔블(2)의 메인터넌스 등을 위하여 당해 유압 셔블(2) 주변을 찾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유압 셔블(2)과 태블릿(3) 사이에서는 다음과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도 5 및 도 6은, 태블릿(3)의 단말기측 제어부(21A)에 의하여 실행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유압 셔블(2)과 태블릿(3) 사이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블릿(3)에 있어서 입력부(22)를 이용하여 송신 개시 지시가 입력되는 것을 대기한다(스텝 T1).
스텝 T1에서, 태블릿(3)에 있어서 송신 개시 지시가 입력되었다고 판정되면,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근거리 통신 수단 N)를 통하여 유압 셔블(2)의 제2 차량측 통신부에 송신 개시 명령을 출력한다(스텝 T2).
이를 받아 유압 셔블(2)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스텝 S5에 있어서 "예"로 판정되고, 차량측 기억부(15)에 기억된 가동 데이터를 제2 차량측 통신부(16)(근거리 통신 수단 N)를 통하여 태블릿(3)의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에 송신한다(스텝 S6).
이어서, 태블릿(3)으로의 가동 데이터의 송신(전송)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7).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차량측 제어부(17)가 태블릿(3)과의 사이에서 수신 완료된 데이터양을 확인하면서 가동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가동 데이터의 전체 데이터양의 수신이 확인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S7에 있어서, 가동 데이터의 송신이 정상 종료되었다고 판정되면, 차량측 기억부(15)에 있어서의 가동 데이터를 삭제하고(스텝 S8), 스텝 S1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 S7에 있어서, 가동 데이터의 송신이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스텝 S8을 실행하지 않고(차량측 기억부(15)에 가동 데이터를 남긴 채 그대로), 스텝 S1로 되돌아간다.
상기 스텝 S6과 같이 유압 셔블(2)로부터 태블릿(3)으로의 가동 데이터의 송신(전송)이 개시되면, 태블릿(3)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스텝 T3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T3에서는, 가동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즉, 가동 데이터가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에 일시 저장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구체적으로 스텝 T3에서는, 예를 들어 유압 셔블(2)로부터 송신 예정의 데이터양에 관한 데이터와 가동 데이터가 송신되고, 태블릿(3)에 있어서 수신 완료된 가동 데이터가 송신 예정의 데이터양에 상당하는 것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T3에 있어서, 가동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상술한 스텝 T1 및 스텝 T2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한편, 스텝 T3에 있어서, 가동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었다고 판정되면, 태블릿(3)이 서버(4)와 통신 가능한지 여부, 즉,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T4).
스텝 T4에 있어서,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불가능하다고 판정되면, 가동 데이터를 단말기측 기억부(19)에 기억시킴과 함께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에 일시 저장된 가동 데이터를 삭제하고(스텝 T5), 스텝 T1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 T4에 있어서,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되면,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에 가동 데이터가 일시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T6).
여기서,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에 가동 데이터가 일시 저장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당해 가동 데이터를 제2 단말기측 통신부(20)(원거리 통신 수단 W)를 통하여 서버(4)에 송신한다(스텝 T7).
이어서, 서버(4)로의 가동 데이터의 송신(전송)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T8).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단말기측 제어부(21A)가 서버(4)와의 사이에서 수신 완료된 데이터양을 확인하면서 가동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가동 데이터의 전체 데이터양의 수신이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 서버(4)로의 가동 데이터의 송신이 정상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상술한 스텝 T5를 실행하는 한편, 서버(4)로의 가동 데이터의 송신이 정상 종료되었다고 판정되면, 제1 단말기측 통신부(20)에 일시 저장된 가동 데이터를 삭제한다(스텝 T9).
상술한 스텝 T6에 있어서 제1 단말기측 통신부(20)가 가동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및 스텝 T9가 실행된 경우에는, 이어서, 단말기측 기억부(19)에 가동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T10).
스텝 T10에 있어서 단말기측 기억부(19)에 가동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당해 가동 데이터를 제2 단말기측 통신부(20)(원거리 통신 수단 W)를 통하여 서버(4)에 송신한다(스텝 T11).
이어서, 상술한 스텝 T8과 마찬가지로, 서버(4)로의 가동 데이터의 송신(전송)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T12).
스텝 T12에 있어서 서버(4)로의 가동 데이터의 송신이 정상 종료되었다고 판정되면, 단말기측 기억부(19)에 기억된 가동 데이터를 삭제하고(스텝 T13), 상술한 스텝 T1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 T10에 있어서 단말기측 기억부(19)에 가동 데이터가 기억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및 스텝 T12에 있어서 서버(4)로의 가동 데이터의 송신이 정상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단말기측 기억부(19)에 기억된 가동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고(스텝 T13을 행하지 않고), 스텝 T1로 되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불가능하다고 판정되고, 또한 태블릿(3)으로부터의 송신 개시 명령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차량측 기억부(15)에 기억된 가동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 수단 N을 통하여 태블릿(3)에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 데이터의 송신이 행해진 단계에 있어서는, 태블릿(3)에 대해서도 원거리 통신 수단 W를 통한 통신이 제한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지만, 당해 태블릿(3)이,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한 단계에 있어서, 가동 데이터를 태블릿(3)으로부터 서버(4)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불가능한 지역에서 유압 셔블(2)이 가동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당해 유압 셔블(2)의 가동 데이터를 서버(4)에 축적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차량측 기억부(15)에 기억된 가동 데이터가 서버(4)에 정상적으로 송신되면 당해 가동 데이터가 차량측 기억부(15)로부터 삭제되기 때문에, 서버(4)에 송신된 가동 데이터를 차량측 기억부(15)에 남김으로써, 당해 차량측 기억부(15)에 있어서의 기억 영역이 부족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태블릿(3)으로부터 장기간에 걸쳐 송신 개시 명령이 없는 경우에도,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가능해진 단계에서 서버(4)에 있어서의 가동 정보를 갱신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압 셔블(2)의 정확한 관리가 가능해진다.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불가능한 상황에서 일단 가동 데이터를 단말기측 기억부(19)에 기억시키고, 나중에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가능해졌을 때 당해 가동 데이터를 서버(4)에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측 기억부(19)에 기억된 가동 데이터가 서버(4)에 정상적으로 송신되면 당해 가동 데이터가 단말기측 기억부(19)로부터 삭제되기 때문에, 서버(4)에 송신된 가동 데이터를 단말기측 기억부(19)에 남김으로써, 당해 단말기측 기억부(19)에 있어서의 기억 영역이 부족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태블릿(3)의 소유자가 유압 셔블(2)의 제2 차량측 통신부(16)와의 통신이 가능한 영역까지 유압 셔블(2)에 접근한 상태에서, 당해 소유자가 입력부(22)를 통하여 유압 셔블(2)에 송신 개시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불가능한 지역에 위치하는 유압 셔블(2)로부터 태블릿(3)으로의 가동 데이터의 송신을 실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도 7 내지 도 9)>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부(22)로부터 송신 개시 지시가 입력되었을 때(스텝 T1에서 "예"일 때), 태블릿(3)으로부터 유압 셔블(2)에 대하여 송신 개시 명령이 송신되지만, 송신 개시 명령이 송신되는 계기는 입력부(22)에 의한 입력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설명하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유압 셔블(2)의 제2 차량측 통신부(16)와 태블릿(3)의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가 통신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미리 설정된 통신 가능 조건이 성립했을 때, 태블릿(3)으로부터 유압 셔블(2)에 대하여 송신 개시 명령이 송신된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통신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태블릿(3)은 상기 단말기측 제어부(21A) 대신 단말기측 제어부(21B)를 갖되, 입력부(22)를 갖고 있지 않다.
단말기측 제어부(21B)는 통신 경로 제어 수단(21a)과 통신 개시 지시 수단(21b)과 통신 가능 기계 탐지 수단(21c)을 갖는다.
통신 가능 기계 탐지 수단(21c)은, 유압 셔블(2)에 대하여 회신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유압 셔블(2)에 출력하기 위한 명령을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에 출력한다.
통신 개시 지시 수단(21b)은 유압 셔블(2)로부터의 회신을 수신했을 때(통신 가능 조건이 성립했을 때), 송신 개시 명령을 유압 셔블(2)에 출력하기 위한 명령을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에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태블릿(3)에는, 당해 태블릿(3)을 통신 경로 제어 수단(21a), 통신 개시 지시 수단(21b) 및 통신 가능 기계 탐지 수단(21c)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실장되어 있다.
한편, 유압 셔블(2)의 차량측 제어부(17)는, 태블릿(3)으로부터 회신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했을 때, 통신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태블릿(3)에 회신하기 위한 명령을 제2 차량측 통신부(16)에 출력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블릿(3)에 있어서 단말기측 제어부(21B)에 의한 처리가 개시되면,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T1 대신 스텝 T01이 실행된다. 스텝 T01에서는, 통신 가능 기계 탐지 수단(21c)으로부터 제1 단말기측 통신부(18)를 통하여 회신을 지시하는 정보가 유압 셔블(2)에 출력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셔블(2)의 차량측 제어부(17)의 처리에 있어서, 상술한 스텝 S4 후에, 태블릿(3)으로부터 회신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41).
스텝 S41에서 "아니오"로 판정되면 상술한 스텝 S1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한편, 스텝 S41에 있어서 태블릿(3)으로부터의 회신 지시를 수신했다고 판정되면, 통신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태블릿(3)에 회신하고(스텝 S42), 이어지는 스텝 S5에 있어서 송신 개시 명령을 대기한다.
이에 대하여 태블릿(3)에 있어서는, 상기 스텝 T01 후에, 유압 셔블(2)로부터의 회신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T02).
유압 셔블(2)로부터의 회신이 없다고 판정되면, 스텝 T01에 있어서 반복 회신 지시를 출력하는 한편, 유압 셔블(2)로부터의 회신이 있다고 판정되면, 상술한 스텝 T2에 있어서 송신 개시 명령이 출력된다. 이것에 의하여 유압 셔블(2)로부터 태블릿(3)으로의 가동 데이터의 송신(전송)이 개시된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태블릿(3)의 소유자가 제2 차량측 통신부(16)와의 통신이 가능한 영역까지 유압 셔블(2)에 접근함으로써 통신 가능 조건이 성립하여, 송신 개시 명령이 자동적으로 유압 셔블(2)에 출력된다. 이것에 의하여, 원거리 통신 수단 W가 이용 불가능한 지역에 위치하는 유압 셔블(2)로부터 태블릿(3)으로의 가동 데이터의 송신을 실행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도 10 및 도 11)>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태블릿(3)으로부터 회신 명령을 출력하고 유압 셔블(2)로부터의 회신이 있었을 때 통신 가능 조건이 성립했다고 판정하여, 송신 개시 명령이 태블릿(3)으로부터 출력되고 있지만, 통신 가능 조건의 성립의 판단은 제2 실시 형태의 판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통신 시스템(1)에서는, 유압 셔블(2)로부터 통신 가능하다는 취지를 송신하고 이를 태블릿(3)이 수신했을 때 통신 가능 조건이 성립했다고 판단되어, 송신 개시 명령이 태블릿(3)으로부터 출력된다. 이하, 제2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유압 셔블(2)의 처리에 있어서, 차량측 제어부(17)는, 상술한 스텝 S4 후, 통신 가능하다는 취지의 정보를 제2 차량측 통신부(16)를 통하여 태블릿(3)에 출력한다(스텝 S43).
이에 비하여 태블릿(3)의 통신 가능 기계 탐지 수단(21c)은, 상술한 스텝 T01 및 스텝 T02 대신, 유압 셔블(2)로부터 통신 가능하다는 취지의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T03).
이 스텝 T03에서 통신 가능하다는 취지의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스텝 T03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한편, 통신 가능하다는 취지의 정보를 수신했다고 판정되면, 상술한 스텝 T2에 있어서 송신 개시 명령이 출력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이하의 양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수단 N의 일례로서 Bluetooth(등록 상표)를 설명했지만, 근거리 통신 수단 N은 무선 통신에 의한 수단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압 셔블(2)과 태블릿(3)을 물리적으로 접속함으로써(예를 들어 통신선을 통하여 접속함으로써) 실현되는 유선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어도 된다.
태블릿(3)과 서버(4)가 원거리 통신 수단 W를 통하여 접속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태블릿(3)과 서버(4)가 물리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예를 들어 통신선을 통하여 접속되어도 됨).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4)로의 송신이 종료된 가동 데이터를 차량측 기억부(15) 및 단말기측 기억부(19)로부터 삭제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서버(4)에, 송신이 종료된 가동 데이터를 차량측 기억부(15) 및 단말기측 기억부(19)에 백업으로서 남겨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측 기억부(15)에 기억된 가동 데이터를 태블릿(3)을 통하여, 또는 직접 원거리 통신 수단 W를 통하여 서버(4)에 송신하고 있지만, 차량측 기억부(15)에 기억된 가동 데이터를 반드시 태블릿(3)을 통하여 서버(4)에 전송해도 된다.
건설 기계는 유압 셔블(2)에 한정되지 않으며, 크레인 및 해체기여도 되고 하이브리드식 건설 기계여도 된다.
휴대 정보 단말기는 태블릿(3)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등이어도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 중 적어도 둘을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구체적 실시 형태에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 발명이 주로 포함되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동 데이터를 수집함과 함께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동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 가능한 건설 기계이며,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1 차량측 통신부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보다도 근거리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휴대 정보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2 차량측 통신부와, 상기 가동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을 갖는 차량측 기억부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동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상기 제1 차량측 통신부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차량측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또한 상기 휴대 정보 단말기로부터의 송신 개시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송신 개시 명령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차량측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가동 데이터가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송신되도록 상기 제2 차량측 통신부를 제어하는 차량측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에 의하면,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하다고 판정되고, 또한 휴대 정보 단말기로부터의 송신 개시 명령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차량측 기억부에 기억된 가동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휴대 정보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 데이터의 송신이 행해진 단계에 있어서는, 휴대 정보 단말기에 대해서도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한 통신이 제한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지만, 당해 휴대 정보 단말기가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한 단계에 있어서 가동 데이터를 휴대 정보 단말기로부터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기와 서버를 통신선으로 접속함으로써 가동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에 의하면,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한 지역에서 건설 기계가 가동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당해 건설 기계의 가동 데이터를 서버에 축적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근거리"란, 건설 기계의 직접적인 통신처(예를 들어 통신 위성, 기지국,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의 거리가 가까운 것을 말한다.
여기서, 서버로의 송신이 종료된 가동 데이터를 백업으로서 차량측 기억부에 남겨 두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차량측 기억부에 가동 데이터가 축적되어, 차량측 기억부에 있어서의 기억 영역이 부족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상기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차량측 제어부는, 상기 차량측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가동 데이터의 상기 서버로의 송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송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차량측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차량측 기억부로부터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차량측 기억부에 기억된 가동 데이터가 서버에 정상적으로 송신되면 당해 가동 데이터가 차량측 기억부로부터 삭제되기 때문에, 서버에 송신된 가동 데이터를 차량측 기억부에 남김으로써, 당해 차량측 기억부에 있어서의 기억 영역이 부족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측 기억부에 기억된 가동 데이터를 반드시 휴대 정보 단말기를 경유하여 서버에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휴대 정보 단말기로부터의 송신 개시 명령이 장기간에 걸쳐 없는 경우에는, 서버에 있어서의 가동 데이터가 장기간에 걸쳐 갱신되지 않아, 건설 기계의 정확한 관리가 곤란해진다.
그래서 상기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차량측 제어부는,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차량측 기억부에 상기 가동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차량측 기억부에 상기 가동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차량측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가동 데이터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송신되도록 상기 제1 차량측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휴대 정보 단말기부터 장기간에 걸쳐 송신 개시 명령이 없는 경우에도,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해진 단계에서 서버에 있어서의 가동 정보를 갱신할 수 있기 때문에, 건설 기계의 정확한 관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설 기계로부터 상기 가동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휴대 정보 단말기이며,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건설 기계의 상기 제2 차량측 통신부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1 단말기측 통신부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2 단말기측 통신부와, 상기 가동 데이터의 송신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송신 개시 명령을 상기 제1 단말기측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건설 기계에 대하여 출력하고, 또한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측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건설 기계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동 데이터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송신되도록 상기 제2 단말기측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말기측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 정보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기에 의하면, 송신 개시 명령을 건설 기계에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건설 기계가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한 지역에 존재하는 경우에 당해 건설 기계로부터 가동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한 경우에, 건설 기계로부터 수신한 가동 데이터를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기에 의하면,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한 지역에서 건설 기계가 가동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당해 건설 기계의 가동 데이터를 서버에 축적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휴대 정보 단말기는, 상기 가동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을 갖는 단말기측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측 제어부는,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건설 기계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측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한 상황에서 일단 가동 데이터를 단말기측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나중에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해졌을 때 당해 가동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로의 송신이 종료된 가동 데이터를 백업으로서 단말기측 기억부에 남겨 두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단말기측 기억부에 가동 데이터가 축적되어, 차량측 기억부에 있어서의 기억 영역이 부족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상기 휴대 정보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측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측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가동 데이터의 상기 서버로의 송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송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단말기측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측 기억부로부터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단말기측 기억부에 기억된 가동 데이터가 서버에 정상적으로 송신되면 당해 가동 데이터가 단말기측 기억부로부터 삭제되기 때문에, 서버에 송신된 가동 데이터를 단말기측 기억부에 남김으로써, 당해 단말기측 기억부에 있어서의 기억 영역이 부족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휴대 정보 단말기는, 상기 송신 개시 명령을 출력해야 한다는 취지의 명령을 상기 단말기측 제어부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의하면, 휴대 정보 단말기의 소유자가 건설 기계의 제2 차량측 통신부와의 통신이 가능한 영역까지 건설 기계에 접근한 상태에서, 당해 소유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건설 기계에 송신 개시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한 지역에 위치하는 건설 기계로부터 휴대 정보 단말기로의 가동 데이터의 송신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측 제어부가, 상기 건설 기계의 상기 제2 차량측 통신부와 상기 제1 단말기측 통신부가 통신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미리 설정된 통신 가능 조건이 성립했을 때 상기 송신 개시 명령이 상기 건설 기계에 송신되도록, 상기 제1 단말기측 통신부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휴대 정보 단말기의 소유자가 제2 차량측 통신부와의 통신이 가능한 영역까지 건설 기계에 접근함으로써 통신 가능 조건이 성립하여, 송신 개시 명령이 자동적으로 건설 기계에 출력된다. 이것에 의하여,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한 지역에 위치하는 건설 기계로부터 휴대 정보 단말기로의 가동 데이터의 송신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 통신 시스템이며, 서버와, 상기 서버와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상기 건설 기계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보다도 근거리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건설 기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과,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상기 휴대 정보 단말기를 구비하고 있는, 정보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한 지역에 건설 기계가 존재하는 경우에, 휴대 정보 단말기의 소유자가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건설 기계와 통신 가능한 위치까지 건설 기계에 접근했을 때 당해 건설 기계로부터 휴대 정보 단말기에 가동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이 휴대 정보 단말기의 소유자가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을 때, 건설 기계로부터 수신한 가동 데이터를 휴대 정보 단말기로부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서버에 가동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한 지역에서 건설 기계가 가동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당해 건설 기계의 가동 데이터를 서버에 축적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설 기계로부터 상기 가동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휴대 정보 단말기에 실장되는 프로그램이며, 상기 휴대 정보 단말기는,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건설 기계의 상기 제2 차량측 통신부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1 단말기측 통신부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2 단말기측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휴대 정보 단말기를, 상기 가동 데이터의 송신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송신 개시 명령을 상기 제1 단말기측 통신부에 송신시키는 수단,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측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건설 기계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기측 통신부에 송신시키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에 의하면, 송신 개시 명령을 휴대 정보 단말기부터 건설 기계에 출력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건설 기계가,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한 지역에 존재하는 경우에, 당해 건설 기계로부터 휴대 정보 단말기에 가동 데이터를 수신시킬 수 있다.
또한,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한 경우에, 건설 기계로부터 수신한 가동 데이터를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휴대 정보 단말기부터 서버에 송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에 의하면,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한 지역에서 건설 기계가 가동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당해 건설 기계의 가동 데이터를 서버에 축적하기 위한 처리를 휴대 정보 단말기에 실행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가동 데이터를 수집함과 함께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동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 가능한 건설 기계이며,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1 차량측 통신부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보다도 근거리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휴대 정보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2 차량측 통신부와,
    상기 가동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을 갖는 차량측 기억부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동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상기 제1 차량측 통신부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차량측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또한 상기 휴대 정보 단말기로부터의 송신 개시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송신 개시 명령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차량측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가동 데이터가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송신되도록 상기 제2 차량측 통신부를 제어하는 차량측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측 제어부는, 상기 차량측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가동 데이터의 상기 서버로의 송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송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차량측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차량측 기억부로부터 삭제하는, 건설 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측 제어부는,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차량측 기억부에 상기 가동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차량측 기억부에 상기 가동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차량측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가동 데이터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송신되도록 상기 제1 차량측 통신부를 제어하는, 건설 기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설 기계로부터 상기 가동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휴대 정보 단말기이며,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건설 기계의 상기 제2 차량측 통신부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1 단말기측 통신부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2 단말기측 통신부와,
    상기 가동 데이터의 송신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송신 개시 명령을 상기 제1 단말기측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건설 기계에 대하여 출력하고, 또한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측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건설 기계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동 데이터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송신되도록 상기 제2 단말기측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말기측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 정보 단말기.
  5. 제4항에 기재된 휴대 정보 단말기는, 상기 가동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을 갖는 단말기측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측 제어부는,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불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건설 기계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측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휴대 정보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측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측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가동 데이터의 상기 서버로의 송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송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단말기측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측 기억부로부터 삭제하는, 휴대 정보 단말기.
  7. 제4항에 기재된 휴대 정보 단말기는, 상기 송신 개시 명령을 출력해야 한다는 취지의 명령을 상기 단말기측 제어부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휴대 정보 단말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측 제어부는, 상기 건설 기계의 상기 제2 차량측 통신부와 상기 제1 단말기측 통신부가 통신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미리 설정된 통신 가능 조건이 성립했을 때 상기 송신 개시 명령이 상기 건설 기계에 송신되도록 상기 제1 단말기측 통신부를 제어하는, 휴대 정보 단말기.
  9. 정보 통신 시스템이며,
    서버와,
    상기 서버와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설 기계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보다도 근거리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건설 기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과,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4항에 기재된 휴대 정보 단말기를 구비하고 있는, 정보 통신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설 기계로부터 상기 가동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휴대 정보 단말기에 실장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이며,
    상기 휴대 정보 단말기는,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건설 기계의 상기 제2 차량측 통신부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1 단말기측 통신부와,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2 단말기측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휴대 정보 단말기를,
    상기 가동 데이터의 송신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송신 개시 명령을 상기 제1 단말기측 통신부에 송신시키는 수단,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측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건설 기계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동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기측 통신부에 송신시키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87027976A 2016-03-04 2017-02-24 건설 기계, 건설 기계로부터 가동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휴대 정보 단말기, 건설 기계의 정보 통신 시스템, 및 휴대 정보 단말기에 실장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633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42319 2016-03-04
JP2016042319A JP6569563B2 (ja) 2016-03-04 2016-03-04 建設機械、建設機械から稼働データを取得するための携帯情報端末、建設機械の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情報端末に実装されるプログラム
PCT/JP2017/007006 WO2017150359A1 (ja) 2016-03-04 2017-02-24 建設機械、建設機械から稼働データを取得するための携帯情報端末、建設機械の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情報端末に実装される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506A KR20180123506A (ko) 2018-11-16
KR102633370B1 true KR102633370B1 (ko) 2024-02-06

Family

ID=5974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976A KR102633370B1 (ko) 2016-03-04 2017-02-24 건설 기계, 건설 기계로부터 가동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휴대 정보 단말기, 건설 기계의 정보 통신 시스템, 및 휴대 정보 단말기에 실장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66811B2 (ko)
EP (1) EP3425125A4 (ko)
JP (1) JP6569563B2 (ko)
KR (1) KR102633370B1 (ko)
CN (1) CN108699812B (ko)
WO (1) WO2017150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71192A4 (en) * 2018-03-19 2021-04-21 NEC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TATUS MONITORING, AND RECORDING MEDIA
JP7341396B2 (ja) * 2019-12-03 2023-09-1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遠隔操作支援サーバおよび遠隔操作支援システム
JP7306260B2 (ja) * 2019-12-26 2023-07-1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遠隔操縦システム
EP4015766B1 (de) * 2020-12-21 2023-07-12 BAUER Spezialtiefbau GmbH Tiefbauwerkzeug und tiefbauverfahren
JP7480693B2 (ja) * 2020-12-22 2024-05-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ーバ、車両、及び車両診断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4419B2 (ja) 1997-10-29 2003-01-08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遠隔無線操縦システム並びに遠隔操縦装置,移動式中継局及び無線移動式作業機械
JP2003318810A (ja) 2002-04-26 2003-11-07 Kobe Steel Ltd 無線データ収集システム,無線データ中継装置
KR100652876B1 (ko) 2005-09-26 2006-12-01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기계의 무선전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기계메인터넌스 시스템
JP2008248653A (ja) 2007-03-30 2008-10-16 Komatsu Ltd 建設機械の盗難防止システム、および移動機械の管理システム
US20140169634A1 (en) 2012-12-14 2014-06-19 Gyan Prakash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locating wanted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2797A (ja) * 2000-02-10 2001-08-17 Ascii Corp 自動車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情報管理方法
CN1239790C (zh) * 2000-07-21 2006-02-01 日立建机株式会社 建筑机械的信息发送装置
JP4532789B2 (ja) 2001-07-25 2010-08-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管理装置
JP4656772B2 (ja) 2001-07-26 2011-03-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移動体の通信装置
JP4233248B2 (ja) * 2001-09-19 2009-03-04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の遠方監視装置
EP1441077B1 (en) * 2003-01-24 2011-03-16 Komatsu Ltd. Work machine management device
KR100688177B1 (ko) * 2004-12-31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N100492236C (zh) 2007-12-13 2009-05-27 上海交通大学 工程机械远程控制系统及方法
CN201801903U (zh) * 2010-09-28 2011-04-20 斗山工程机械(中国)有限公司 一种挖掘机及其数据采集装置
US20120136507A1 (en) * 2010-11-30 2012-05-31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achine at a Worksite
CN202075615U (zh) * 2011-05-24 2011-12-14 北京麦格天宝科技发展集团有限公司 工程机械远程监控系统
KR101381032B1 (ko) * 2012-06-05 2014-04-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중계 시스템, 통신중계 장치 및 그 통신중계 방법
US9300152B2 (en) * 2012-12-04 2016-03-29 EV Connect, Inc.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ystem, and methods
CN103135531A (zh) * 2013-01-29 2013-06-05 山重建机(济宁)有限公司 工程机械设备数据远程监控系统及远程交互方法
CN103281371A (zh) * 2013-05-29 2013-09-04 滁州友林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4g移动网络的抽油机远程控制系统及方法
US9792737B2 (en) * 2014-09-30 2017-10-17 Komatsu Ltd. Construction machine and operation state management system for the same
CN105100284B (zh) 2015-09-02 2018-08-14 越亮传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车辆管理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4419B2 (ja) 1997-10-29 2003-01-08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遠隔無線操縦システム並びに遠隔操縦装置,移動式中継局及び無線移動式作業機械
JP2003318810A (ja) 2002-04-26 2003-11-07 Kobe Steel Ltd 無線データ収集システム,無線データ中継装置
KR100652876B1 (ko) 2005-09-26 2006-12-01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기계의 무선전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기계메인터넌스 시스템
JP2008248653A (ja) 2007-03-30 2008-10-16 Komatsu Ltd 建設機械の盗難防止システム、および移動機械の管理システム
US20140169634A1 (en) 2012-12-14 2014-06-19 Gyan Prakash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locating wanted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0359A1 (ja) 2017-09-08
JP6569563B2 (ja) 2019-09-04
US20200181886A1 (en) 2020-06-11
CN108699812B (zh) 2021-05-11
KR20180123506A (ko) 2018-11-16
CN108699812A (zh) 2018-10-23
EP3425125A4 (en) 2019-04-10
US11066811B2 (en) 2021-07-20
EP3425125A1 (en) 2019-01-09
JP2017155557A (ja) 201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370B1 (ko) 건설 기계, 건설 기계로부터 가동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휴대 정보 단말기, 건설 기계의 정보 통신 시스템, 및 휴대 정보 단말기에 실장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9354627B2 (en) Control method, control computer program, and control system for work machine
EP2876220B1 (en) Excavator
US8463946B2 (en) Method for automatic radio operational mode selection
US9473885B2 (en) Fleet management server, onboard terminal equipment, and fleet management system
KR101797888B1 (ko) 작업 기계,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관리 방법
KR20180033238A (ko) 건설 기계의 프로그램 재기입 장치
CN107735289B (zh) 工程机械及具备该工程机械的程序改写系统
JP7011924B2 (ja) 情報提供装置、積込作業支援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US10915308B2 (en) Construction machine and program rewriting system provided with same
KR102013050B1 (ko) 제어 수단 및 이것을 구비한 차량 탑재 프로그램의 재기입 장치 그리고 차량 탑재 프로그램의 재기입 방법
JP5670949B2 (ja) 運行管理システム
JP2018036745A (ja) ソフトウェアの更新装置及びソフトウェアの更新方法
JP6095007B2 (ja) 作業機械の稼働データ収集システム
JP4233248B2 (ja) 作業機の遠方監視装置
JP4563148B2 (ja) 車両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車両情報収集方法
JP6861179B2 (ja) 建設機械および建設機械の管理装置
CN114746611B (zh) 作业机械
JP2018055474A (ja) 運行管理システム
JP2017045282A (ja) 作業機械、情報収集装置、および稼働情報転送システム
JP2023044512A (ja) 情報交換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
JP2023176797A (ja) 建設機械の管理システム、建設機械
JP2021022062A (ja) データ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データダウンロード方法、および、データダウンロードプログラム
JP2018207367A (ja) 作業機の通信処理システム及び作業機の通信処理方法
JP2018207368A (ja) 作業機の通信処理システム及び作業機の通信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