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101B1 -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 - Google Patents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101B1
KR102632101B1 KR1020220016955A KR20220016955A KR102632101B1 KR 102632101 B1 KR102632101 B1 KR 102632101B1 KR 1020220016955 A KR1020220016955 A KR 1020220016955A KR 20220016955 A KR20220016955 A KR 20220016955A KR 102632101 B1 KR102632101 B1 KR 102632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ound
lifting
vehicl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0418A (ko
Inventor
오영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엠
Priority to KR1020220016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101B1/ko
Publication of KR20230120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1Devices or auxiliary means for setting-out or checking the configuration of new surfacing, e.g. templates, screed or reference line supports; Applications of apparatus for measu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existing surfacing, e.g. profilo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60P1/02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with a loading platform outside th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02Prospe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에 관한 것으로, 씽크홀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차량에 탑재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으며,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를 지면을 향해 돌출시켜 차량의 운전석에 마련된 모니터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고, 지면에 위치한 과속방지턱이나 돌멩이, 기타 각종 장애물로부터 감지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는, 차량부; 상기 차량부에 탑재되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지면에 대해 승강될 수 있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탑재되어 지면에 대해 승강되며, 하강시 지면에 존재하는 씽크홀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CAR FOR GROUND SURVEY ROAD MAINTENANCE}
본 발명은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씽크홀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차량에 탑재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으며,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를 지면을 향해 돌출시켜 차량의 운전석에 마련된 모니터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고, 지면에 위치한 과속방지턱이나 돌멩이, 기타 각종 장애물로부터 감지부를 보호할 수 있는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이하 GPR)는 노면의 하부에 매설된 지중구조물 및 등 도로 함몰 발생을 유발할 수 있는 공동 등에 대한 위치 및 심도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등록특허 제10-1241313호의 "지하 탐사 레이더를 이용한 포장 도로 안전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이하 선행기술)을 포함한 기존의 2차원적인 GPR에 의한 탐사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조사 대상체인 노면 하부의 지중구조물이나 씽크홀과 같은 공동 등에 대한 연속적인 신호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많은 조사 시간과 투입 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행기술의 경우 차량에 저주파 레이더 모듈과 복수의 고주파 레이더 모듈을 장착하고 도로를 이동하면서 일정 간격마다 저주파 레이더 모듈과 복수의 고주파 레이더 모듈로부터 각각 저주파 및 고주파 신호를 방사하고 그에 대응하는 저주파 펄스 응답 신호와 고주파 펄스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기록하고 이를 기초로 레이더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경우 차량에 장착된 저주파 레이더 모듈과 복수의 고주파 레이더 모듈은 탐사가 완료된 경우, 다른 장소로 신속하게 이동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차량의 고속 주행에 지장을 주게 되므로, 차량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탐사 장소를 옮겨서 탐사를 재개하고자 할 때는 전술한 저주파 레이더 모듈과 복수의 고주파레이더 모듈을 다시 차량에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4131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씽크홀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차량에 탑재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으며,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를 지면을 향해 돌출시켜 차량의 운전석에 마련된 모니터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고, 지면에 위치한 과속방지턱이나 돌멩이, 기타 각종 장애물로부터 감지부를 보호할 수 있는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는, 차량부; 상기 차량부에 탑재되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지면에 대해 승강될 수 있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탑재되어 지면에 대해 승강되며, 하강시 지면에 존재하는 씽크홀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차량부의 적재부에 상,하 방향으로 절첩 또는 전개 작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가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가이드 하는 상,하부 링크부를 포함하는 승강가이드부;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는 전,후진 구동부; 상기 전,후진 구동부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며, 일측에 가이드부재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부; 상기 적재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측 대각선상에 위치되는 부가 가이드부재; 및 하측이 상기 승강부에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적재부에 고정되며, 상기 하측과 상측 사이의 일정영역이 상기 가이드부재 및 부가 가이드부재에 각각 접촉되는 승강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진 구동부가 상기 이동부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킬 시, 상기 승강작동부가 상기 가이드부재 및 부가 가이드부재를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승강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상기 승강가이드부는 승강부가 상승 또는 하강됨에 따라 절첩 또는 전개 작동되어, 상기 감지부가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하강 또는 상승된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적재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작동부는 체인 또는 와이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량부의 적재부에 적재되는 적재함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지면에 존재하는 씽크홀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씽크홀을 촬영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적재함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인출입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출입 구동부는 실린더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부의 인출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스크류부 및 상기 카메라부의 인출입에 필요한 동력을 상기 스크류부에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의 전,후면에 각각 적어도 1개 이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도로의 장애물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에 의하면, 씽크홀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차량에 탑재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다른 장소로 신속하게 이동해가면서 씽크홀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를 지면을 향해 돌출시켜 차량의 운전석에 마련된 모니터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어, 씽크홀 감지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지부의 전,후면에 롤러를 배치하여, 지면에 위치한 과속방지턱이나 돌멩이, 기타 각종 장애물로부터 감지부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에 적용된 승강구동부와, 승강부 및 감지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에 적용된 승강구동부와, 승강부 및 감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에 적용된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부 및 감지부가 하강 또는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에 적용된 카메라부 및 인출입 구동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에 적용된 카메라부 및 인출입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에 적용된 인출입 구동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에 적용된 승강구동부와, 승강부 및 감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에 적용된 승강구동부와, 승강부 및 감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에 적용된 승강구동부에 의해 승강부 및 감지부가 하강 또는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에 적용된 카메라부 및 인출입 구동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에 적용된 카메라부 및 인출입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에 적용된 인출입 구동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1)는, 차량부(10)와, 승강구동부(20)와, 승강부(30)와, 감지부(40)와, 하우징(50)과, 카메라부(60) 및 인출입 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부(10)는 도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후술되는 감지부(40)가 도로에 존재하는 씽크홀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카메라부(60)가 도로의 상태나 씽크홀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부(10)는 운전실과 적재부(11)를 포함하는 공지의 트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적재부(11)에는 박스형태의 적재함(12)이 적재된다.
적재함(12)에는 카메라부(60), 기타 도로 점검이나 보수에 필요한 각종 도구나 물품이 적재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20)는 차량부(10)에 탑재되어 승강부(30)를 승강시키고, 승강부(30)는 감지부(40)를 탑재한 상태로 승강구동부(20)에 의해 지면에 대해 승강된다.
승강구동부(20)는 승강가이드부(21)와, 전,후진 구동부(22)와, 이동부(23)와, 부가 가이드부재(24) 및 승강작동부(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부(21)는 승강부(30)가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가이드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승강가이드부(21)는 상부 링크부(211) 및 하부 링크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재부(11)의 후단 양측면에는 수평바(111)가 설치되고, 본체부의 상면에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회동가이드편(31)이 형성되어 상부 링크부(211) 및 하부 링크부(212)를 적용할 수 있다.
상부 링크부(211)는 상측에 수평바(111)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장착구를 포함한다.
장착구는 수평바(1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 링크부(211)가 장착구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부 링크부(211) 및 하부 링크부(212)는 서로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대략 'ㄷ'자 단면 형상의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링크부(212)는 상부 링크부(211)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 링크부(212)의 상부 일정영역은 상부 링크부(211)의 하부 일정영역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부 링크부(211)의 하측과 하부 링크부(212)의 상측 접촉 영역에는 하나의 제1 축(A)이 공동으로 관통 설치된다.
따라서, 상부 링크부(211)의 하측과 하부 링크부(212)의 상측은 제1 축(A)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링크부(212)의 하측은 회동가이편의 사이에 수용된다.
하부 링크부(212)와 회동가이드편(31)에는 하나의 제2 축(B)이 공동으로 관통 설치된다.
따라서, 하부 링크부(212)는 제2 축(B)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링크부(211)와 하부 링크부(212)는 상,하 방향으로 절첩 또는 전개되도록 구성되고, 하부 링크부(212)는 회동가이드편(31)을 매개로 본체부에 연결됨으로, 전,후진 구동부(22)가 작동시 본체부는 수직방향으로만 승강된다.
나아가, 상부 링크부(211) 및 하부 링크부(212)로 인해 본체부가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한 상태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본체부의 승강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후진 구동부(22)는 승강부(30)가 승강 작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전,후진 구동부(22)는 일측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바(111)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장착구가 형성된다.
장착구는 수평바(111)에 고정된다. 따라서, 전,후진 구동부(22)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고 수평형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전,후진 구동부(22)는 공지의 유압실린더, 에어실린더, 캠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유압실린더나 에어실린더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동부(23)는 적재부(11)의 일측에 배치된다. 이동부(23)는 전,후진 구동부(22)의 피스톤에 결합된다.
따라서, 이동부(23)는 전,후진 구동부(22)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된다.
이동부(23)는 다각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에 가이드부재(231)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부재(231)는 풀리나 롤러(R)로 형성되어 승강작동부(25)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1)는 이동부(23)에 가이드부재(231)를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회전가이드(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가이드(80)는 일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되, 서로 마주하는 면의 일정영역이 개방되어 이동부(23)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고정된다.
이동부(23)는 중앙부분이 회전가이드(80)의 각각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나머지 부분은 회전가이드(8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1)는 가이드부재(231)를 이동부(23)와 회전가이드(80)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3 축(C)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축(C)은 회전가이드(80)의 중앙부분과 가이드부재(231)의 중앙 부분 및 이동부(23)의 중앙부분을 공동으로 관통한다.
이로 인해 가이드부재(231)는 제3 축(C)을 기준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부가 가이드부재(24)는 가이드부재(231)와 함께 승강작동부(25)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풀리나 롤러(R)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 가이드부재(24)는 적재부(11)의 측면에 결합되는 원형 단면 형상의 부가 수평바(241)를 포함한다.
부가 가이드부재(24)는 중공을 포함한다. 부가 수평바(241)는 일정영역이 부가 가이드부재(24)의 중공에 위치된다.
따라서, 부가 가이드부재(24)는 부가 수평바(241) 상에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1)는 부가 가이드부재(24)의 제자리 회전을 가능하게 위한 부가 회전가이드(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 회전가이드(90)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부가 회전가이드(90)의 일측 절곡된 부분은 부가 수평부의 끝단에 볼팅 결합되며, 타측의 절곡된 부분은 부가 수평바(241)의 외면에 용접결합 된다.
부가 회전가이드(90)의 타측 절곡된 부분은 원형 단면 형상의 부가 수평바(241) 외면에 밀착되도록 곡선 형상으로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부가 가이드부재(24)는 도 4를 기준으로 가이드부재(231)의 후방인 오른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부가 가이드부재(24)는 가이드부재(231)보다 낮은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부가 가이드부재(24)는 가이드부재(231)의 하측 대각선상에 위치된다.
이는 승강작동부(25)의 일정영역이 가이드부재(231)의 저면에 접촉되고, 승강작동부(25)의 다른 일정영역은 부가 가이드부재(24)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이러한 가이드부재(231)와 부가 가이드부재(24)의 배치구조로 인해 가이드부재(231)와 부가 가이드부재(24)가 정지된 상태를 기준으로 가이드부재(231)의 저면과 부가 가이드부재(24)의 상면이 서로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바, 승강작동부(25)는 그 일정영역과 다른 일정영역 사이 부분이 수평을 이룬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승강작동부(25)는 전,후진 구동부(22)의 동력을 통해 승강부(30)를 실질적으로 승강시키는 구성이다.
승강작동부(25)는 체인 또는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체인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승강작동부(25)는 하측이 본체부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측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1)를 구성하며 적재부(11)의 측면에 결합되는 브라켓부(100)에 고정된다.
이때, 브라켓부(100)는 대략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재부(11)의 측면에 결합되고, 한 쌍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베이스판((101)과, 베이스판((101)의 전면에서 승강작동부(25)의 상측과 결합되고, 일측에 베이스판((101)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베이스판((101)의 후면측으로 돌출되는 볼트부(103)가 형성된 결합부(102) 및 볼트부(103)에 체결되며 베이스판((101)의 후면에 밀착되는 너트(104)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승강작동부(25)의 하측과 상측 사이의 일정영역은 가이드부재(231) 및 부가 가이드부재(24)에 각각 접촉된다.
이때, 승강작동부(25) 일정영역은 가이드부재(231)에 의해 대략 '⊂' 형상을 이루고, 다른 일정영역은 부가 가이드부재(24)에 의해 대략 'ㄱ'자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승강부(30)는 승강작동부(25)를 통해 가이드부재(231) 및 부가 가이드부재(24)에 매달린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전,후진 구동부(22)가 상기 이동부(23)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킬 시, 승강작동부(25)가 상기 가이드부재(231) 및 부가 가이드부재(24)를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승강부(3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승강가이드부(21)는 승강부(30)가 상승 또는 하강됨에 따라 절첩 또는 전개 작동되어, 감지부(40)가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만 하강 또는 상승된다.
이상 설명한 승강구동부(20)는 승강부(30)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키도록 적재부(1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승강구동부(20)가 적재부(1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2개씩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한편, 승강부(30)는 대략 다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에 감지부(40) 탑재되는 본체부 및 본체부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 절곡되어 감지부(40)의 하측 외면을 감싸는 가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40)는 도로에 존재하는 씽크홀을 감지하는 구성이다.
감지부(40)는 승강부(30)의 저면에 탑재되어 지면에 대해 승강될 수 있다.
감지부(40)를 통해 씽크홀을 감지하고자 할 경우 승강구동부(20)를 통해 승강부(30)를 하강시켜, 감지부(40)가 지면과 가까워지도록 함으로써, 씽크홀을 정확히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감지부(40)는 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er, 이하 'GPR'이라 함.)로 형성될 수 있다. GPR은 비파과적인 물리탐사법으로, 고 진동수의 전자기파인 레이터파를 송신원으로하여 매질의 전자기적인 특성에 따라 반사되는 파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도로에 존재하는 씽크홀을 감지한다.
감지부(40)의 전,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R)가 일정간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롤러(R)는 승강구동부(20)를 통해 감지부(40)를 지면에 대해 하강시킨 상태에서, 차량부(10)가 도로를 주행할 때, 과속방지턱이나 기타 장애물을 따라 구름이동하여 감지부(40)를 보호한다.
하우징(50)은 카메라부(60)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탑재하는 구성이다.
하우징(50)은 차량부(10)의 적재부(11)에 적재되는 적재함(12)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하우징(50)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박스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박스부(51)에는 카메라부(60)가 각각 설치된다. 박스부(51)는 카메라부(60)가 지면에 존재하는 씽크홀을 촬영하도록 저면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카메라부(60)는 박스부(5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박스부(51)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지면에 존재하는 씽크홀을 촬영한다.
차량부(10)의 운전실에는 카메라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니터(미도시)가 설치된다.
따라서, 카메라부(60)에서 촬영된 영상은 실시간으로 모니터로 전송된다.
이로 인해, 운전실에 위치한 작업자가 하차하지 아니하고, 운전실에 편안하게 앉아서 씽크홀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적재함(12)에는 작업자가 출입 가능하도록 도어가 형성된다.
적재함(12)의 상측 일정영역은 하우징(50)을 인출 또는 인입시키도록 개방된다.
개방된 부분은 도어보다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인출입 구동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유압 실린더 또는 에어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실에는 실린더의 피스톤을 전진 시키기 위한 전진 버튼 과 피스톤을 후진 시키기 위한 후진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전진 버튼을 눌러 피스톤을 전진시키면 하우징(50)이 적재함(12)의 외부로 인출되어 지면에 존재하는 씽크홀을 촬영하게 된다.
그리고, 후진 버튼을 눌러 피스톤을 후진시키면 하우징(50)의 적재함(12)의 내부로 인입된다.
다른 일 예로, 인출입 구동부는 카메라부(60)의 인출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스크류부(71b) 및 카메라부(60)의 인출입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72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상면에는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너트 구조의 이동체(73b)가 형성된다.
이동체(73b)는 스크류부(71b)의 외주연에 장착되면서 스크류부(71b)의 나선에 체결된다.
그리고, 적재함(12)의 천장면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레일부(74b)가 형성되고, 이동체(73b)의 상면에는 상측부분이 레일부(74b)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부(75b)가 형성된다.
레일부(74b)의 내부에는 대략 'ㅜ'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슬라이드부(75b)의 상측에는 가이드홀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ㅜ'자 형상의 슬라이드편(751b)이 형성된다.
레일부(74b)와 이동체(73b) 및 슬라이드부(75b)를 통해 하우징(50)이 수평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실에는 모터(72b)의 모터축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정방향 버튼 및 모터축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역방향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정방향 버튼을 눌러 모터축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부(71b)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이동체(73b)가 스크류부(71b)의 우측 끝부분으로 이동하게 되어, 하우징(50) 및 카메라부(60)가 적재함(12)에서 인출된다.
그리고, 역방향 버튼을 눌러 모터축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부(71b)가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이동체(73b)가 스크류부(71b)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하우징(50) 및 카메라부(60)가 적재함(12)에서 인출된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의 사용 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씽크홀 검사를 하지 않는 일반 주행의 경우에는 승강구동부(20)를 통해 승강부(30)를 상승시켜 감지부(4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그리고, 씽크홀의 검사 대상지역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승강구동부(20)를 통해 승강부(30)를 하강시켜 감지부(40)를 지면과 근접시킨다.
승강구동부(20)의 작동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후진 구동부(22)의 피스톤이 이동부(23)를 후진시키면 승강작동부(25)가 가이드부재(24) 및 부가 가이드부재(24)를 따라 내려가며, 이로 인해 승강작동부(25)의 하단과 결합된 승강부(30)가 하강된다. 따라서, 감지부(40)가 지면과 가까워져 씽크홀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승강작동부(25)의 길이에 따라 승강부(30)의 하강거리가 달라지는데, 바람직하게 승강작동부(25)는 감지부(40)를 지면과 약 1cm 내지 20cm 정도 이격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인출입 구동부를 통해 카메라부(60)를 인출시키면 감지부(40)가 감지한 씽크홀을 운전석에 마련된 모니터를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씽크홀을 감지할 경우 작업자는 해당 지면에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콘 형상의 표시물을 안착하여 추후 보수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일정지역에서 씽크홀을 감지한 다음에는, 차량부(10)를 주행시켜 앞쪽에 위치한 다른 씽크홀을 감지하면 된다.
씽크홀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차량부(10)가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차량부(10)의 주행경로 상에 과속방지턱이나 돌멩이, 기타 각종 장애물이 위치한 경우, 롤러(R)가 과속방지턱이나 돌멩이, 기타 각종 장애물을 따라 구름이동하게 됨으로, 차량부(10)의 원활한 주행을 가이드할 수 있고, 승강부(30)나 감지부(40)가 과속방지턱이나 돌멩이, 기타 각종 장애물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 10 : 차량부
11 : 적재부 111 : 수평바
12 : 적재함 20 : 승강구동부
21 : 승강가이드부 211 : 상부 링크부
211a,22a : 장착구 212 : 하부 링크부
22 : 전,후진 구동부 23 : 이동부
231 : 가이드부재 24 : 부가 가이드부재
241 : 부가 수평바 25 : 승강작동부
30 : 승강부 31 : 회동가이드편
40 : 감지부 50 : 하우징
51 : 박스부 60 : 카메라부
70a,70b : 인출입 구동부 71b : 스크류부
72b : 모터 73b : 이동체
74b : 레일부 75b : 슬라이드부
751b : 슬라이드편 80 : 회전가이드
90 : 부가 회전가이드 100 : 브라켓부
101 : 베이스판 102 : 결합부
103 : 볼트부 104 : 너트

Claims (5)

  1. 차량부;
    상기 차량부에 탑재되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지면에 대해 승강될 수 있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탑재되어 지면에 대해 승강되며, 하강시 지면에 존재하는 씽크홀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차량부의 적재부에 상,하 방향으로 절첩 또는 전개 작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가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가이드 하는 상,하부 링크부를 포함하는 승강가이드부;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는 전,후진 구동부;
    상기 전,후진 구동부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며, 일측에 가이드부재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부;
    상기 적재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측 대각선상에 위치되는 부가 가이드부재; 및
    하측이 상기 승강부에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적재부에 고정되며, 상기 하측과 상측 사이의 일정영역이 상기 가이드부재 및 부가 가이드부재에 각각 접촉되는 승강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진 구동부가 상기 이동부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킬 시, 상기 승강작동부가 상기 가이드부재 및 부가 가이드부재를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승강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상기 승강가이드부는 승강부가 상승 또는 하강됨에 따라 절첩 또는 전개 작동되어, 상기 감지부가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하강 또는 상승되는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적재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승강작동부는 체인 또는 와이어로 형성되는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부의 적재부에 적재되는 적재함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지면에 존재하는 씽크홀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씽크홀을 촬영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적재함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인출입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출입 구동부는 실린더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부의 인출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스크류부 및 상기 카메라부의 인출입에 필요한 동력을 상기 스크류부에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전,후면에 각각 적어도 1개 이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도로의 장애물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
KR1020220016955A 2022-02-09 2022-02-09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 KR102632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955A KR102632101B1 (ko) 2022-02-09 2022-02-09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955A KR102632101B1 (ko) 2022-02-09 2022-02-09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418A KR20230120418A (ko) 2023-08-17
KR102632101B1 true KR102632101B1 (ko) 2024-02-02

Family

ID=8780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955A KR102632101B1 (ko) 2022-02-09 2022-02-09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1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086B1 (ko) 2024-03-06 2024-04-12 주식회사 아이리스테크놀로지 지면 및 지중 탐사용 복합 gpr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610A (ja) * 2001-04-26 2002-11-08 Chubu Regional Bureau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 Transport 路上作業用車両、牽引装置、及び路上作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313B1 (ko) 2011-12-12 2013-03-11 이성 주식회사 지하 탐사 레이더를 이용한 포장 도로 안전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1764A (ko) * 2014-06-26 2016-01-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보수 자동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610A (ja) * 2001-04-26 2002-11-08 Chubu Regional Bureau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 Transport 路上作業用車両、牽引装置、及び路上作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418A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45294B (zh) 车载式检查系统
KR102632101B1 (ko) 도로유지용 지반조사차
EP3040742B1 (en) Vehicle-carried quick inspection system
CN209141990U (zh) 一种铁路隧道检测车
JPH0587945A (ja) 舗装道路の空洞探査方法
EP3561550A1 (en) Mobile bomb disposal transmission imaging apparatus
KR101848594B1 (ko) 노면 하부 씽크홀의 위치정보 파악을 위한 노면 영상 촬영 장치
KR20170137890A (ko) 차량 견인 장치 및 차량 견인 방법
KR102436541B1 (ko) 협소지역용 도로지반조사 장치
JP5198224B2 (ja) トレーラーセキュリティー調査システム
CN105236224A (zh) 立井提升钢丝绳横向摆动位移检测装置及方法
CN112730474B (zh) 射线检查设备、以及车载安检系统
WO2016165045A1 (zh) 固定式车辆安全检查系统
JP5950015B2 (ja) 放射線モニタ
CN208076713U (zh) 立体停车库及其人车误入检测系统
KR102117046B1 (ko) 지게차 충돌 예방 시스템
US20220228330A1 (en) Portable barricade and portable barricade system
JPH04174107A (ja) 舗装構造探査車
JP3545635B2 (ja) 自走式電線検査装置
CN111483439A (zh) 带有防洪,掉头,平行停车及摆脱深陷功能的自升式车辆
KR101686772B1 (ko) 주차장용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시스템
KR102053702B1 (ko) 안테나와 지표면의 일정간격 유지를 위한 지표투과레이더 장치
EP4206750A1 (en) Mobile inspection apparatus and mobile inspection method
JP2001039690A (ja) 構造物点検車
KR101783111B1 (ko) 시인성이 향상된 굴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