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571B1 - 투명노브 - Google Patents

투명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571B1
KR102631571B1 KR1020210056201A KR20210056201A KR102631571B1 KR 102631571 B1 KR102631571 B1 KR 102631571B1 KR 1020210056201 A KR1020210056201 A KR 1020210056201A KR 20210056201 A KR20210056201 A KR 20210056201A KR 102631571 B1 KR102631571 B1 KR 102631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light
light source
knob
transparen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9054A (ko
Inventor
채은영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6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571B1/ko
Priority to PCT/KR2022/003403 priority patent/WO2022231118A1/ko
Publication of KR20220149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25Light-emitting indic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G05G1/105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comprising arrangements for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을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는 빛이 내측면에 반사되어 무한거울 상을 형성하며, 외부에서 상기 무한거울 상이 관측되는 투명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투명노브 제공한다.

Description

투명노브{TRANSPARENT KNOB}
본 발명은 투명노브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광원을 반사시켜 투명노브 상부 표면에서 무한한 깊이감을 갖는 무한거울 상을 나타내는 투명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기기 및 자동차 등에는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가 배치되며, 특히 신호의 온-오프 및 가변 저항을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는 다이얼 또는 로터리 스위칭 방식의 노브는 신호의 제어효과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여 미세한 조작이 가능하고 오작동의 우려가 적어서 꾸준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자동차 공조기, 오디오 등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다이얼 형태 노브는 시각적 고급감을 구현하기 위해 유리소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안전성을 위해 강화유리 또는 크리스탈 재질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증가시키고 있다.
다만 유리 및 크리스탈의 경우 고가이며, 가공성이 낮기 때문에 양산이 쉽지 않으며, 양산을 위해 저가의 투명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노브를 제조하고 있으나, 심미감이 떨어져서 사용자의 만족도가 매우 낮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유리 재질에 못지않은 심미감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인성이 증가되고, 안전성 또한 확보되어 자동차 내부에 조절 스위치로 사용 가능한 투명노브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2666호(사용자 패널용 회전 노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노브의 표면에서 무한 반사되는 이미지를 표시하여 깊이감에 따른 심미감을 증진시키고, 광원을 추가하여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에 따라 투명노브의 시인성이 크게 증가된 투명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노브에 일체로 형성된 투명손잡이부를 배치하여 외부먼지, 습기와 같은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충격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한 투명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투명노브에 관한 것이다.
광원을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는 빛이 내측면에 반사되어 무한거울 상을 형성하며, 외부에서 상기 무한거울 상이 관측되는 투명손잡이부;를 포함한다.
2. 상기 1구체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하나 이상의 면을 가지며, 상기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투명손잡이부와 전기적으로 연동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손잡이부의 동작에 따라 전기신호를 가변할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외부받침과 상기 외부받침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투명손잡이부의 지지단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내부회전부를 포함한다.
5. 상기 4 구체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외부받침 내측 중심에 내측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회전부 외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외측광원이 배치된다.
6. 상기 1 내지 5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반사부는 모재; 상기 모재의 표면에 형성된 금속코팅층; 및 상기 광원이 투과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6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투명손잡이부는 무한거울 상이 관측되는 상부면; 상기 상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외장영역이 형성된 외주면; 및 외주면에서 단차지도록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되는 지지단;을 포함할 수 있다.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투명손잡이부는 상기 반사부의 외부면에 대응되도록 내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반사부와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한다.
9. 상기 8 구체예에서, 상기 반사부와 이격되는 거리는 10 mm 이하일 수 있다.
10. 상기 1 내지 9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투명손잡이부는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투명 수지일 수 있다.
11.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투명노브를 포함하는 발광스위치를 제공한다.
12.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복수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광원 중 어느 하나의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이 투과되거나, 나머지 다른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투명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손잡이부는 상기 반사부 상부표면에 대향하는 내부 굴곡면을 구비하며, 상기 반사부에서 투과되는 빛이 외부로 표시되고,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는 빛이 상기 내부 굴곡면에서 다시 반사되어 무한거울 상을 형성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투명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투명노브의 표면에서 무한 반사되는 이미지를 표시하여 깊이감에 따른 심미감을 증진시키고,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에 따라 투명노브의 시인성이 크게 증가될 수 있으며, 투명손잡이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노브 제조 공수가 크게 감소되고, 외부먼지, 습기와 같은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충격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한 투명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투명노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투명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투명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투명노브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투명노브의 발광 시 빛의 분산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투명노브의 발광 시 투명손잡이부 상부면에 표시되는 무한거울 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상면', '하부', '하면' 등과 같은 위치 관계는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된 것일 뿐, 절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관찰하는 위치에 따라, '상부'와 '하부' 또는 '상면'과 '하면'의 위치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투명노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투명노브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투명노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투명노브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투명노브(10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노브는 고정부(100), 반사부(200) 및 투명손잡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00)는 광원(110)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110)은 빛을 일정하게 발산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백열 전구, 할로겐 램프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발광 다이오드(LED),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면발광 소자, 스트링 라이트 소자 중 어느 1종일 수 있다.
상기 종류의 광원(110)을 선택하는 경우 광선속을 증가시켜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투명손잡이부(300)의 외부에서 보다 명확하게 관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원(110)에서 발산되는 빛은 일부가 상기 반사부(200)를 통과하여 상기 투명손잡이부(300) 외부로 발산되며, 나머지는 상기 투명손잡이부(300)에 의해 굴절되거나 반사되며, 상기 반사부(200)로 다시 연속하여 반사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고정부(100)는 하나 이상의 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반사부(200)가 안착되는 공간을 위한 하나 이상의 면이 형성되며, 상기 반사부(200)의 형태에 따라 상기 면의 형태는 변형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고정부(100)가 하나 이상의 면을 구비하며, 상기 면에 각각 광원(1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0) 하나 이상의 면을 가지고, 상기 면에 광원(110)이 배치되는 경우 광원(110)의 배치가 자유롭기 때문에 광원의 어레이를 통한 다양한 패턴의 형성이 가능하고, 상기 패턴이 상기 투명손잡이부(300)에 투영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고정부(100)의 하나의 면 전체가 면발광 소자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투명손잡이부(300)에서 관측되는 무한거울 상의 휘도(nit)를 증가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투명손잡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동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손잡이부의 동작에 따라 전기신호를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100)가 상기 투명손잡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동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손잡이부(300)의 동작에 따라 전기신호를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로터리 스위칭이 가능하여 광원의 세기 조절, 광원의 색상 변경, 음량 증감, 자동차 드라이브 모드 변경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외부받침(120) 및 내부회전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받침(120)은 상기 투명노브(1000)가 배치되는 곳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투명손잡이부(300)가 안착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외부받침(120)은 ABS 또는 PC/ABS 수지를 성형하고 외부에 금속색이 나타나도록 금속이 코팅될 수 있으며, 수지 표면에 수전사, 증착, 필름부착 또는 금속 도금하여 다양한 모양 및 패턴과 금속색을 나타내어 심미감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받침(120)이 코팅으로 표면에 금속 재질을 나타내는 경우 투명노브(1000)의 심미감을 더욱 증가시킨다.
상기 내부회전부(130)는 상기 외부받침(120)에 체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내부회전부(13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내부회전부(130)에 안착되는 투명손잡이부(300)는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내부회전부(130)는 2 이상의 전기적 접점(미도시)을 가지는 구조로 전기 신호의 온-오프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부(100)의 제어부와 연동되어 전기적 신호의 증감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투명손잡이부(300)를 회전시켜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면 다양한 전기적 신호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고정부(100)는 내측광원(140)과 외측광원(15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측광원(140)은 외부받침(130) 내측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광원(150)은 내부회전부(110) 외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내측광원(140)은 상기 반사부(200) 내측면을 향하여 빛을 발산하게 되고, 빛의 일부는 상기 반사부(200)를 일 부분을 투과하여 상기 투명손잡이부(300) 상부에서 표시부(230)가 나타나도록 한다.
상기 외측광원(150)은 상기 투명손잡이부(300)의 내부로 빛을 발산하여, 일부 빛은 상기 투명손잡이부(300) 내부에서 다시 반사되어 상기 반사부(200)에 표면을 향하게 되고, 상기 반사부(200) 표면에서 연속 반사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투명손잡이부(300)의 상부면(320)에 깊이감을 나타내는 무한거울 상을 형성한다.
상기 외측광원(150)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상기 투명손잡이부(300)로 빛을 발산하면 상기 투명손잡이부(300)의 내부에서 다양한 경로를 따라 빛이 굴절되거나 반사되어 매우 효과적으로 무한거울 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200)는 상기 고정부(100)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110)에서 발산되는 빛을 반사한다.
상기 반사부(200)는 모재(210), 금속코팅층(220) 및 표시부(230)을 포함한다.
상기 모재(210)는 곡면, 다각면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모재(210)가 곡면을 가지는 경우 빛의 반사에 의한 무한거울 상을 형성하기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부(200)는 모재(210)에 금속을 코팅하여 금속코팅층 (220)을 형성하되, 상기 표시부(230)는 마스킹 또는 레이저 식각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재(210)는 ASTM D1003에 따른 전광선 투과율이 3mm 기준 3% 이상인 광투광성 수지로서, 예를 들면 PC, ABS, PMMA, HIPS, ASA, PS, 등을 포함하고, 이들의 2이상의 조합도 가능하다.
상기 모재(210)가 상기 투과율을 가지는 경우 빛의 투과정도를 낮추어 은은한 조명효과를 나타내어 심미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금속은 금, 은, 구리, 주석, 티타늄, 니켈, 크롬 또는 이들의 2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코팅층(220)은 단일 또는 2 이상의 복수층으로 형성하여 다양한 재질 및 발색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 금속코팅층(220)의 두께는 1㎛ 내지 100㎛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금속코팅층(22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빛에 반사되는 반사면으로 이용하여 금속 특유의 재질을 나타냄과 동시에 무한거울 상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30)는 금속코팅층(2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며, 상기 광원(110)의 빛이 그대로 투과하여 상기 투명손잡이부(300)의 상부면(320)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230)는 일정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문자 또는 기호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투명노브(1000)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금속코팅층(220)은 반투명 코팅되어 상기 광원(110)에서 발산되는 빛의 일부가 투과될 수 있으며, 투과된 빛이 투명손잡이부(300) 내측면(340)에서 반사되어 무한거울 상이 개수를 증가시키고, 보다 깊이감이 있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투명손잡이부(300)는 상기 반사부(200)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면(320), 외주면(330) 및 지지단(310)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손잡이부(300)는 ASTM D1003에 따른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투명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메타)아크릴수지 및 폴리에스테르수지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종류의 수지는 빛을 투과시켜 무한거울 상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고, 빛의 입사 각도에 따라 반사 또한 가능하여 무한거울 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투명손잡이부(300)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반사부(200) 전체를 상부에서 덮어서 상기 반사부(200)를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종래 다이얼 노브의 경우 2개 이상의 외부 부재가 결합되어 제조효율이 감소되고 제조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미관을 해칠 수 있으나, 상기 투명손잡이부(300)가 일체 성형되는 경우 미관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제조 공수가 감소되어 투명노브(1000) 제조 효율이 매우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상부면(320)은 상기 반사부(200)에서 반사되는 빛이 내측면(340)에 반사되어 형성된 무한거울 상이 외부에서 관측된다.
상기 투명손잡이부(300)가 상기 종류의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면(320)은 빛의 투과가 가능하여, 상기 반사부(200)에서 반사되는 빛이 무한거울 상을 형성하면 외부에서 육안으로 관측이 가능하다.
상기 외주면(330)은 사용자가 상기 투명노브(1000)를 작동시키는 경우 사용자에게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외주면(330)은 상기 상부면(32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외장영역(331)이 형성된다.
상기 외장영역(331)은 패턴 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장영역(331)에 일정한 형태의 패턴 또는 요철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코팅, 도장, 식각 등 형성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외장영역(331)은 상기 광원(110)에서 발산되는 빛이 반사되어, 상기 외장영역(330)이 나타내는 모양 및 형태가 상기 투명손잡이부(300) 상부면(320)에 투영되어 외부로 관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주면(330)에 외장영역(331)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광원(110)에서 발산되는 빛의 일부가 상기 투명손잡이부(300)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외장영역(331)에 반사되고, 외장영역(331)에서 반사되는 빛은 상부면(320)에 표시되는 무한거울 상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패턴 또는 요철을 형성하는 경우 무한거울 상을 변화시켜 심미감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외장영역(331)이 형성되는 경우 무한거울 상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외장영역(331)에 의하여 외주면(330)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투명노브(1000)를 파지하는 경우 마찰을 증가시켜 작동 편의성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단(310)은 상기 외주면(330)에서 단차지도록 하측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단(310)의 외부면(311)은 패턴 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면(311)에 패턴 또는 요철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광원(110)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지지단(310)으로 유입된 후 지지단(310)의 패턴 또는 요철에 반사되며, 반사된 빛이 상기 상부면(320)에 투영되어 지지단(310)에 형성된 패턴 또는 요철 또한 무한거울 상의 일부를 구성하게 되어 심미감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단(310)은 상기 투명손잡이부(300)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부측 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서 상기 고정부(100) 내측 단부에 끼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단(310)은 원통형상으로 상기 투명손잡이부(300)를 지지하여 고정부(100)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일정 두께를 가지서 상기 광원(110)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투명손잡이부(300) 내부로 입사되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고정부(100)에 외측광원(15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측광원(150)에서 발산되는 빛은 지지단(310) 내에서도 반복적으로 반사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단(310)의 외부면(311)에 요철이 형성되어 빛이 상기 요철에 반사되어 형성되는 상이 투명손잡이부(300) 상부면(320)으로 투영되어 상부면(320)에 표시되는 무한거울 상의 일부를 구성하게 되며, 상기 요철의 경우 빛을 다양한 각도로 굴절시켜 무한거울 상의 모양을 보다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투명손잡이부(300)의 내측면(340)은 상기 반사부(200)의 외부 곡면(240)에 대응되도록 곡률이 형성되며, 상기 반사부(200)와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반사부(200)와 이격되는 거리(d)는 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0.1 mm 내지 10mm이다.
상기 범위 이내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광원(110)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내측면(340)과 상기 반사부(200) 외부면 사이에서 반복하여 반사되므로 무한거울 상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무한거울 상의 개수를 증가시켜 깊이감을 향상할 수 있으나, 이격되는 거리가 증가되어 투명노브가 외부충격이나 회전에 취약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투명손잡이부(300)의 내측면(340)은 상기 반사부(200)의 외부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부(200)의 외부면 형태가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곡면에 대응되도록 동일한 형태의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 경우 상기 반사부(200)에 배치에 따른 걸림 없이 상기 투명손잡이부(300)의 회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투명노브(1000)을 포함하는 발광스위치를 제공한다.
상기 투명노트(1000)는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에 따라 시인성이 증가되며, 빛이 반사되어 형성되는 무한거울 상의 외부로 표시되어 심미감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일체형 투명손잡이부(300)가 외부로부터 오염을 방지하고, 내충격성이 있는 투명손잡이부(300)를 포함하기 때문에 다양한 전자제품에 다이얼 스위치로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자동차 내장용 스위치로 사용되어, 오디오 볼륨조절, 조명 세기 조절, 및 드라이브 모드 선택용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복수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고정부(100)와 상기 광원(110) 중 어느 하나의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이 투과되거나, 다른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200) 및 상기 반사부(200)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투명손잡이부(300)를 포함하는 투명노브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100)는 복수개의 광원을 구비하여 다양한 형태의 무한거울 상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손잡이부(300)는 상기 반사부(200) 상부표면에 대향하는 내부 굴곡면을 구비하며, 상기 반사부(200)에서 투과되는 빛이 외부로 표시되고,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는 빛이 상기 내부 굴곡면에서 다시 반사되어 무한거울 상을 형성하여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200)는 표시부(230)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230)를 통해 상기 광원(110) 중 어느 하나의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이 투과되고, 상기 표시부(230)를 제외한 영역은 나머지 다른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이 연속적으로 반사되어 무한 거울 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투명노브(1000)의 사용상태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투명노브의 발광 시 빛의 분산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투명노브의 발광 시 투명손잡이부 상부면에 표시되는 무한거울 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투명노브(1000)를 파지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광원(110)에서 빛이 발산된다.
상기 광원(110)에서 발산되는 일부 빛은 상기 반사부(200)의 표시부(230)를 투과하여 상기 표시부(230)의 형태를 상기 투명손잡이부(300) 상부에 명확하게 나타내고,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부(230)가 전원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경우 전원이 인가된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광원(150)에서 발산되는 일부 빛은 상기 지지단(310)으로 유입되어 일부가 지지단의 외부면(311)에서 반사되어 외부면(311)의 상을 형성하고, 나머지는 빛은 다시 투명손잡이부(300) 내부로 유입되어 외주면(330)에 형성된 외장영역(331)에서 반사되어 외장영역(331)의 패턴 및 모양에 따른 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내측면(340)과 상기 금속코팅층(220)은 무한거울 상을 형성할 수 있는 양쪽 거울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외부면(311)의 상과 외장영역(331)에 따른 상은 상기 투명손잡이부(300)의 내측면(340)과 반사부(200)의 금속코팅층(220)에서 반복적으로 반사되어 최종적으로 무한거울 상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면(320)에 무한거울 상을 투영하게 되면, 상기 상부면(320)의 외부에서 무한거울 상을 관측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요철(311)의 상과 외장영역(331)의 상이 무한거울 상(I)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투명손잡이부(300)의 외주면(330)으로 명확하게 표시되어 심미감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광원의 발광에 의한 시인성을 크게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투명노브(1000)는 일체형 투명손잡이부(300)를 형성하여 외부 충격과 오염으로부터 투명노브(1000)를 보호하고,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투명 재질의 수지를 선택하여 종래 강화유리를 대체하여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전자 제품 등의 다이얼 스위치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투명손잡이부(300) 내측면(340)과 반사부(200)가 투명손잡이부(300) 상부면(320)에 무한거울 상을 나타내어, 시인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무한거울 상이 나타내는 깊이감으로 시각적 심미감을 크게 향상시켜 투명노브(1000) 사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증가시킨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 투명노브
100 : 고정부 110 : 광원
120 : 외부받침 130 : 내부회전부
140 : 내측광원 150 : 외측광원
200 : 반사부 210 : 모재
220 : 금속코팅층 230 : 표시부
300 : 투명손잡이부 310 : 지지단
311 : 외부면 320 : 상부면
330 : 외주면 331: 외장영역
340 : 내측면
d : 이격 거리 L : 빛 진행방향
I : 무한 거울 상

Claims (12)

  1. 광원을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는 빛이 내측면에 반사되어 무한거울 상을 형성하며, 외부에서 상기 무한거울 상이 관측되는 투명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투명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하나 이상의 면을 가지며, 상기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광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투명손잡이부와 전기적으로 연동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손잡이부의 동작에 따라 전기신호를 가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외부받침; 및
    상기 외부받침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투명손잡이부의 지지단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내부회전부;를 포함하는 투명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외부받침 내측 중심에 내측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회전부 외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외측광원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모재; 상기 모재의 표면에 형성된 금속코팅층; 및 상기 광원이 투과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투명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손잡이부는 무한거울 상이 관측되는 상부면; 상기 상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외장영역이 형성된 외주면; 및 외주면에서 단차지도록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에 안착되는 지지단;을 포함하는 투명노브.
  8. 제1항 있어서, 상기 투명손잡이부는 상기 반사부의 외부면에 대응되도록 내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반사부와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와 이격되는 거리는 10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노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손잡이부는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투명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노브.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투명노브를 포함하는 발광 스위치.
  12. 복수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광원 중 어느 하나의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이 투과되거나, 다른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투명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손잡이부는 상기 반사부 상부표면에 대향하는 내부 굴곡면을 구비하며, 상기 반사부에서 투과되는 빛이 외부로 표시되고,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는 빛이 상기 내부 굴곡면에서 다시 반사되어 무한거울 상을 형성하여 외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노브.
KR1020210056201A 2021-04-30 2021-04-30 투명노브 KR102631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201A KR102631571B1 (ko) 2021-04-30 2021-04-30 투명노브
PCT/KR2022/003403 WO2022231118A1 (ko) 2021-04-30 2022-03-11 투명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201A KR102631571B1 (ko) 2021-04-30 2021-04-30 투명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054A KR20220149054A (ko) 2022-11-08
KR102631571B1 true KR102631571B1 (ko) 2024-01-30

Family

ID=8384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201A KR102631571B1 (ko) 2021-04-30 2021-04-30 투명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1571B1 (ko)
WO (1) WO202223111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4993A (ja) 1999-12-24 2001-07-06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スイッチパネルのスイッチノブ構造
JP2006107913A (ja) 2004-10-05 2006-04-20 Alps Electric Co Ltd 照光装置
JP2007066714A (ja) 2005-08-31 2007-03-15 Mitsumi Electric Co Ltd 発光スイッチ
JP2010097713A (ja) 2008-10-14 2010-04-30 Honda Motor Co Ltd ダイヤル式スイッチ
KR101218581B1 (ko) 2006-07-25 2013-01-0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의 공조시스템 제어용 노브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4993A (ja) 1999-12-24 2001-07-06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スイッチパネルのスイッチノブ構造
JP2006107913A (ja) 2004-10-05 2006-04-20 Alps Electric Co Ltd 照光装置
JP2007066714A (ja) 2005-08-31 2007-03-15 Mitsumi Electric Co Ltd 発光スイッチ
KR101218581B1 (ko) 2006-07-25 2013-01-0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의 공조시스템 제어용 노브 장치
JP2010097713A (ja) 2008-10-14 2010-04-30 Honda Motor Co Ltd ダイヤル式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054A (ko) 2022-11-08
WO2022231118A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7550B2 (en) Lighting apparatus
US20130026512A1 (en) Led mirror light assembly
CN107076398B (zh) 包括可切换的漫射器的光学装置
KR101684117B1 (ko) 차량용 무드등
JP2018536263A (ja)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車両用ランプ
EP3043152B1 (en) Glow ring for instrument panel
TWM452096U (zh) 具指示功能之後照鏡
JP5119379B2 (ja) 面照明光源装置及び面照明装置
KR102631571B1 (ko) 투명노브
JP2009070589A (ja) 液晶ディスプレイ機器
JP2017021231A (ja) 発光エンブレム
KR102673446B1 (ko) 패턴이 표시되는 투명노브
JP4471359B2 (ja) 自動販売機用の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5584850B2 (ja) 車両用灯具
US10908342B2 (en) Linear light source
JPH10294006A (ja) 信号報知表示灯の光源構造
KR102081201B1 (ko) 조명 장치
JP5660494B2 (ja) 照明器具
US9534762B2 (en) Touch key control and icon display apparatus
JP2006031505A (ja) 自動販売機用の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102241260B1 (ko) 입체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계기판
TWI680386B (zh) 發光滑鼠墊
CN214275448U (zh) 一种舞台灯
CN210398470U (zh) 一种圆形装饰灯
JP2019001239A (ja) 車両用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