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562B1 -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562B1
KR102631562B1 KR1020230108950A KR20230108950A KR102631562B1 KR 102631562 B1 KR102631562 B1 KR 102631562B1 KR 1020230108950 A KR1020230108950 A KR 1020230108950A KR 20230108950 A KR20230108950 A KR 20230108950A KR 102631562 B1 KR102631562 B1 KR 102631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ect
list
information
unit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흥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즈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즈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즈팩토리
Priority to KR102023010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06F16/116Details of conversion of file system types or forma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10/1095Meeting or appoin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함리스트를 분석하여 결함트렌드를 리스트와 그래프로 서비스할 수 있는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은 각 센터부서단말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복수의 결함데이터들을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복수의 결함데이터들을 기설정된 불량종류에 따라 분류 및 정렬함에 따라, 결함리스트를 획득하는 리스트관리부, 상기 결함리스트로부터 검사되는 부품번호별 기준정보에 대한 등록 여부에 기초하여, 부품번호별 불량상세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검사템플릿을 선택적으로 서비스하는 템플릿서비스부 및 상기 부품번호별 불량상세정보에 따라 상기 결함리스트로부터 필터링되는 유효대상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상품에 대한 결함트렌드 분석정보를 서비스하는 통합서비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QUALITY SETTLEMENT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함리스트를 분석하여 결함트렌드를 리스트와 그래프로 서비스할 수 있는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자동차 등의 제품 제조에 있어서는 투입된 원자재가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쳐 완제품으로 완성되며, 각 공정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제조 업체에서는 자재를 반송하는 캐리어를 기준으로 로트 카드를 부착하여 재공(Work In Process)의 작업 현황을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제조 공정 관리방법에 있어서는 각 공정에 투입된 자재량, 불량율 등의 각 공정별 생산 현황만을 관리하고 있어 각 공정 내의 세부 작업 라인의 작업 현황이나 품질 이력 등은 관리할 수 없어 공정 현황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불가능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부품이 소요되므로 대부분의 제조업체들은 일부의 부품들을 외주업체에 제조를 의뢰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제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외주업체의 재공 현황에 대한 파악이 불가능하여 출고실적 및 입고예정 물량 파악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후공정에 대한 투입 계획 수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의 제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자재 입출고 관리, 재공 현황 관리 및 설비 가동 현황 관리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종합적인 생산 계획 수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0001) 공개특허공보 10-2009-0001710(2009.01.09) (0002) 등록특허공보 제10-1873312호(2018.07.02.) (0003)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0997호(2011.06.09.) (0004)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1876호(2020.06.22.) (0005) 공개특허공보 제10-2023-0111091호(2023.07.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함리스트를 분석하여 결함트렌드를 리스트와 그래프로 서비스할 수 있는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은 각 센터부서단말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복수의 결함데이터들을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복수의 결함데이터들을 기설정된 불량종류에 따라 분류 및 정렬함에 따라, 결함리스트를 획득하는 리스트관리부, 상기 결함리스트로부터 검사되는 부품번호별 기준정보에 대한 등록 여부에 기초하여, 부품번호별 불량상세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검사템플릿을 선택적으로 서비스하는 템플릿서비스부 및 상기 부품번호별 불량상세정보에 따라 상기 결함리스트로부터 필터링되는 유효대상리스트를 이용하여, 결함트렌드 분석정보를 서비스하는 통합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함트렌드 분석정보는 상기 유효대상리스트로부터 기간정보에 따라 필터링되는 트렌드 진단 리스트와 이에 대응되는 트렌드 진단 그래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불량종류는 CIQ, GMES 및 SMOG를 포함하고, 상기 CIQ는 제품 판매 이후에 AS 접수된 불량유형을 의미하고, 상기 GMES는 제품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자유형을 의미하며, 상기 SMOG는 제품 제조후 판매되기 전까지 보관창고에서 관리하는 과정에서 발행하는 하자유형을 의미하며, 상기 결함데이터는 사업부, 부서, 공정라인, 센터명, 작성자, 제품생산일자, 전문점, 발생일자, 발생단계, 원인부서, 공정, 부품번호, 시리얼번호, 수량단위, 불량수량, 모델번호, 검사도구, 검출일자, 수리일자, 누설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사템플릿은 부품분해도, 불량현상, 불량위치 및 검사결과를 업로드받아 이미지편집이 가능한 프로그램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서비스부는 상기 유효대상리스트를 엑셀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저장 db에 등록하고, 이를 편집이 불가능한 pdf파일로 변환하여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서비스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서비스부는 상기 유효대상리스트, 상기 트렌드 진단 리스트 및 상기 트렌드 진단 그래프에 기초하여, 상기 제조상품에 대한 품질 결산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품질 결산 정보는 월별 결함 추이 차트, 월별 불량 이력 내역, 부서 및 라인별 불량 분석 차트 및 불량 누적 리스트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서비스부는 상기 품질 결산 정보로부터 카운팅된 센터별 월간 불량 누적수와 정상목표수량 간의 비율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조상품에 대한 센터별 월간공정등급을 결정하는 등급결정부, 상기 센터별 월간공정등급에 따라 기설정된 수량할당비율에 기초하여, 다음 분기 제조수량을 조정하고 이를 상기 각 센터부서단말에 전달하는 수량조정부 및 상기 센터별 불량 누적수 중 어느 하나의 센터가 기설정된 누적수 이상인 경우, 해당 센터부서단말에 화상회의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미팅일자를 결정하는 이벤트관리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관리부는 상기 유효대상리스트, 상기 트렌드 진단 리스트, 상기 트렌드 진단 그래프 및 상기 품질 결산 정보에 기초하여, 회상회의 서비스에 대한 센터별 질의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화상회의 서비스를 통해 어느 하나의 센터부서단말에 상기 센터별 질의리스트를 전송함에 따라 응답받는 응답정보에 기초하여, 미팅보고서를 자동으로 작성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서비스부는 기설정된 월간목표 제조 수량과 품질 결산 정보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저장 DB로부터 제조상품별 월간 물동량 현황을 추출하는 현황추출부, 상기 제조상품별 월간 물동량 현황을 기설정된 지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적용함에 따라, 인원, UPH, 필요시간, 과부족시간 및 UPPH 정보에 대한 각 최적 생산 지표와 각 최대 생산 지표를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부 및 상기 각 최적 생산 지표, 상기 각 최대 생산 지표 및 상기 제조상품별 월간 물동량 현황을 병합하여, 물동량 지표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저장 DB에 등록하는 지표리스트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동량 지표리스트는 상기 결함데이터에 포함된 키워드에 따라 조회, 교차출력, 비교분석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한 리스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함리스트를 분석하여 결함트렌드를 리스트와 그래프로 서비스함으로써, 제조상품에 대한 불량종류별 결함 이력을 보다 세부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결함리스트를 보여주는 예시도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부품번호별 기준정보를 보여주는 예시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템플릿서비스부(300)가 검사템플릿을 서비스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결함트렌드 분석서비스에 대한 화면을 보여주는 예시도들이다.
도 6은 도 1의 통합서비스부(400)가 엑셀파일로 변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품질 결산 정보를 보여주는 예시도들이다.
도 8은 도 1의 통합서비스부(400)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통합서비스부(400)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제조상품별 월간 물동량 현황을 나타내는 예시도들이다.
도 11은 기설정된 지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기설정된 지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시뮬레이션리스트를 보여주는 예시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결함리스트를 보여주는 예시도들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부품번호별 기준정보를 보여주는 예시도들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템플릿서비스부(300)가 검사템플릿을 서비스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며, 도 5a 내지 도 5e는 결함트렌드 분석서비스에 대한 화면을 보여주는 예시도들이고, 도 6은 도 1의 통합서비스부(400)가 엑셀파일로 변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품질 결산 정보를 보여주는 예시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1000)은 데이터수집부(100), 리스트관리부(200), 템플릿서비스부(300) 및 통합서비스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데이터수집부(100)는 각 센터부서단말(10_1~10_N)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제조상품에 대한 복수의 결함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이를 저장 DB(500)에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결함데이터는 각 센터에서 확인된 제조상품의 부품별 결함정보로서, 사업부, 부서, 공정라인, 센터명, 작성자, 제품생산일자, 전문점, 발생일자, 발생단계, 원인부서, 공정, 부품번호, 시리얼번호, 수량단위, 불량수량, 모델번호, 검사도구, 검출일자, 수리일자, 누설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센터부서단말(10_1~10_N)은 제조상품을 부품별로 제조, 검사 및 관리하는 담당센터부서가 소지한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조상품이 에어컨인 경우, 부품은 열교환기, 펌프,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리스트관리부(200)는 저장 DB(500)에 등록된 복수의 결함데이터들을 기설정된 불량종류에 따라 분류 및 정렬함에 따라, 결함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불량종류는 CIQ, GMES 및 SMOG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IQ는 제품 판매 이후에 AS 접수된 불량유형을 의미하고, GMES는 제품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자유형을 의미하며, SMOG는 제품 제조후 판매되기 전까지 보관창고에서 관리하는 과정에서 발행하는 하자유형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결함리스트는 CIQ 결함리스트, GMES 결함리스트 및 SMOG 결함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리스트관리부(200)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불량종류에 따라 분류된 결함리스트에 대한 조회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템플릿서비스부(300)는 부품별 결함리스트로부터 검사되는 부품번호별 기준정보에 대한 등록 여부에 기초하여, 부품번호별 불량상세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검사템플릿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서비스할 수 있다.
여기서, 검사템플릿은 부품분해도, 불량현상, 불량위치 및 검사결과를 편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템플릿서비스부(300)는 부품별 결함리스트로부터 부품번호별 기준정보에 대한 등록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때,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템플릿서비스부(300)는 부품번호별 기준정보에 대한 등록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검사템플릿을 통해 부품번호별 불량상세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해당 부품번호별 기준정보에 일대일 매칭시킬 수 있다.
한편, 템플릿서비스부(300)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센터부서단말(10_1~10_N)로부터 검사템플릿을 통해 입력받는 결함분석 키워드에 응답하여, 결함분석 가이드화면을 서비스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합서비스부(400)는 부품번호별 불량상세정보에 따라 부품별 결함리스트로부터 필터링되는 유효대상리스트를 이용하여, 제조상품에 대한 결함트렌드 분석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함트렌드 분석정보는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간정보에 따라, 유효대상리스트로부터 필터링되는 트렌드 진단 리스트와 이에 대응되는 트렌드 진단 그래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합서비스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함트렌드 분석정보를 각 엑셀파일로 변환하여 저장 DB(500)에 등록하고, 이를 편집이 불가능한 PDF파일로 변환하여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서비스부(400)는 유효대상리스트, 트렌드 진단 리스트 및 트렌드 진단 그래프에 기초하여, 제조상품에 대한 품질 결산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품질 결산 정보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별 결함 추이 차트, 월별 불량 이력 내역, 부서 및 라인별 불량 분석 차트 및 불량 누적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서비스부(400)는 관리자단말(예컨대, 20)로부터 수신받는 GPS위치정보와 기설정된 위치정보 간의 대응 여부에 기초하여, 결함트렌드 분석정보에 대한 다운로드 권한을 제한시킴으로써, 결함트렌드 분석정보에 대한 무분별한 접속을 제한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서비스부(400)는 관리자단말(예컨대, 20)로부터 검사템플릿을 통해 부품분해도의 기설정된 불량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음에 따라, 해당 영역에 대한 픽셀유동화 모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픽셀유동화 모드는 해당 영역의 변형이나 왜곡처리하기 위한 편집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서비스부(400)는 픽셀유동화 모드를 통해 편집된 해당 영역과 나머지영역이 식별되도록 부품분해도에 대한 영역별 색상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자동 보정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서비스부(400)는 관리자단말(예컨대, 20)에 구비된 레이더센서(미도시)로부터 데이터수집부(100)를 통해 전송받는 관리자의 호흡 및 심박신호에 기초하여, 관리자단말(예컨대, 20)에 대한 접속가능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도 1의 통합서비스부(400)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통합서비스부(400)는 등급결정부(410), 수량조정부(420) 및 이벤트관리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등급결정부(410)는 저장 DB(500)에 등록된 품질 결산 정보로부터 카운팅된 센터별 월간 불량 누적수와 정상목표수량 간의 비율 구간에 기초하여, 제조상품에 대한 센터별 월간공정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센터의 월간 불량 누적수와 정상목표수량 간의 비율 구간이 0 내지 1% 미만인 경우, 등급결정부(410)는 제조상품에 대한 제1 센터의 월간공정등급을 1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터의 월간 불량 누적수와 정상목표수량 간의 비율 구간이 1% 이상 내지 2% 미만인 경우, 등급결정부(410)는 제조상품에 대한 제2 센터의 월간공정등급을 2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센터의 월간 불량 누적수와 정상목표수량 간의 비율 구간이 2% 이상 내지 3% 미만인 경우, 등급결정부(410)는 제조상품에 대한 제3 센터의 월간공정등급을 3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량조정부(420)는 센터별 월간공정등급에 따라 기설정된 수량할당비율에 기초하여, 다음 분기 제조수량을 조정하고 이를 각 센터부서단말(10_1~10_N)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월간공정등급이 1등급으로 결정된 제1 센터에 대한 기설정된 수량할당비율은 다음 분기 제조수량의 50%이고, 월간공정등급이 2등급으로 결정된 제2 센터에 대한 기설정된 수량할당비율은 다음 분기 제조수량의 30%이며, 월간공정등급이 3등급으로 결정된 제3 센터에 대한 기설정된 수량할당비율은 다음 분기 제조수량의 20%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이벤트관리부(430)는 센터별 불량 누적수 중 어느 하나의 센터가 기설정된 임계누적수를 초과한 경우, 해당 센터부서단말(예컨대, 10_3)에 회상회의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미팅일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이벤트관리부(430)는 회상회의 서비스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정보를 암호화하여 해당 센터부서단말(예컨대, 10_3)에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관리부(430)는 유효대상리스트, 트렌드 진단 리스트, 트렌드 진단 그래프 및 품질 결산 정보에 기초하여, 회상회의 서비스에 대한 센터별 질의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이때, 이벤트관리부(430)는 화상회의 서비스를 통해 해당 센터부서단말(예컨대, 10_3)에 제공되는 센터별 질의리스트에 대한 응답정보에 기초하여, 미팅보고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통합서비스부(400_1)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제조상품별 월간 물동량 현황을 나타내는 예시도들이며, 도 11은 기설정된 지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12a 내지 도 12d는 기설정된 지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시뮬레이션리스트를 보여주는 예시도들이다.
도 8 내지 도 12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통합서비스부(400_1)는 등급결정부(410), 수량조정부(420), 이벤트관리부(430), 현황추출부(440), 시뮬레이션부(450) 및 리스트관리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8에서 설명된 동일 부재번호의 등급결정부(410), 수량조정부(420) 및 이벤트관리부(43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먼저, 현황추출부(440)는 저장 DB(500)로부터 제조상품별 월간 물동량 현황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조상품별 월간 물동량 현황은 항목별 생산지표, 세부항목별 분석지표 및 물동량 그래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항목별 생산지표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별로 생산되는 가동률, UPH 및 UPPH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부항목별 분석지표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수량, 라인별 생산수량, 라인별 과부족시간, 라인별 운영인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동량 그래프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월간목표 제조 수량과 품질 결산 정보 간의 차이에 대응되는 그래프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뮬레이션부(450)는 제조상품별 월간 물동량 현황을 기설정된 지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적용함에 따라, 인원, UPH, 필요시간, 과부족시간 및 UPPH 정보에 대한 각 생산 지표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지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서정보와 기간정보에 따라 제조상품별 월간 물동량 현황으로부터 검출되는 항목별 생산지표와 세부항목별 분석지표를 참조하여 각 생산 지표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다음으로, 지표리스트 관리부(460)는 각 생산 지표 및 제조상품별 월간 물동량 현황을 병합하여, 물동량 지표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 DB(500)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물동량 지표리스트는 도 12a 내지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함데이터에 포함된 키워드에 따라 조회, 교차출력, 비교분석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한 리스트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지표리스트 관리부(460)는 각 센터부서단말(10_1~10_N)로부터 전송받는 물동량 지표리스트에 대한 조건키워드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시뮬레이션리스트를 필터링하고 이를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각 센터부서단말(10_1~10_N)에 서비스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실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_1~10_N: 복수의 센터부서단말들
100: 데이터수집부
200: 리스트관리부
300: 템플릿서비스부
400: 통합서비스부
1000: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

Claims (8)

  1. 각 센터부서단말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제조상품에 대한 복수의 결함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이를 저장 DB에 등록하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복수의 결함데이터들을 기설정된 불량종류에 따라 분류 및 정렬함에 따라, 결함리스트를 획득하는 리스트관리부;
    상기 결함리스트로부터 검사되는 부품번호별 기준정보에 대한 등록 여부에 기초하여, 부품번호별 불량상세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검사템플릿을 선택적으로 서비스하는 템플릿서비스부; 및
    상기 부품번호별 불량상세정보에 따라 상기 결함리스트로부터 필터링되는 유효대상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상품에 대한 결함트렌드 분석정보를 서비스하는 통합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함트렌드 분석정보는 상기 유효대상리스트로부터 기간정보에 따라 필터링되는 트렌드 진단 리스트와 이에 대응되는 트렌드 진단 그래프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서비스부는 상기 유효대상리스트, 상기 트렌드 진단 리스트 및 상기 트렌드 진단 그래프에 기초하여, 상기 제조상품에 대한 품질 결산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품질 결산 정보는 월별 결함 추이 차트, 월별 불량 이력 내역, 부서 및 라인별 불량 분석 차트 및 불량 누적 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서비스부는 상기 품질 결산 정보로부터 카운팅된 센터별 월간 불량 누적수와 정상목표수량 간의 비율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조상품에 대한 센터별 월간공정등급을 결정하는 등급결정부;
    상기 센터별 월간공정등급에 따라 기설정된 수량할당비율에 기초하여, 다음 분기 제조수량을 조정하고 이를 상기 각 센터부서단말에 전달하는 수량조정부; 및
    상기 센터별 월간 불량 누적수 중 어느 하나의 센터가 기설정된 누적수 이상인 경우, 해당 센터부서단말에 화상회의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미팅일자를 결정하는 이벤트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서비스부는 저장 DB로부터 제조상품별 월간 물동량 현황을 추출하는 현황추출부;
    상기 제조상품별 월간 물동량 현황을 기설정된 지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적용함에 따라, 인원, UPH, 필요시간, 과부족시간 및 UPPH 정보에 대한 각 생산 지표를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부; 및
    상기 각 생산 지표 및 상기 제조상품별 월간 물동량 현황을 병합하여, 물동량 지표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저장 DB에 등록하는 지표리스트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동량 지표리스트는 상기 결함데이터에 포함된 키워드에 따라 조회, 교차출력, 비교분석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한 리스트이고,
    상기 기설정된 지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부서정보와 기간정보에 따라 상기 제조상품별 월간 물동량 현황으로부터 검출되는 항목별 생산지표와 세부항목별 분석지표를 참조하여 각 생산 지표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인,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불량종류는 CIQ, GMES 및 SMOG를 포함하고,
    상기 CIQ는 제품 판매 이후에 AS 접수된 불량유형을 의미하고, 상기 GMES는 제품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자유형을 의미하며, 상기 SMOG는 제품 제조후 판매되기 전까지 보관창고에서 관리하는 과정에서 발행하는 하자유형을 의미하며,
    상기 결함데이터는 사업부, 부서, 공정라인, 센터명, 작성자, 제품생산일자, 전문점, 발생일자, 발생단계, 원인부서, 공정, 부품번호, 시리얼번호, 수량단위, 불량수량, 모델번호, 검사도구, 검출일자, 수리일자, 누설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템플릿은 부품분해도, 불량현상, 불량위치 및 검사결과를 업로드받아 이미지편집이 가능한 프로그램인,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서비스부는 상기 유효대상리스트를 엑셀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저장 db에 등록하고, 이를 편집이 불가능한 pdf파일로 변환하여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서비스하는,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관리부는 상기 유효대상리스트, 상기 트렌드 진단 리스트, 상기 트렌드 진단 그래프 및 상기 품질 결산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회의 서비스에 대한 센터별 질의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화상회의 서비스를 통해 어느 하나의 센터부서단말에 상기 센터별 질의리스트를 전송함에 따라 응답받는 응답정보에 기초하여, 미팅보고서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






  8. 삭제
KR1020230108950A 2023-08-21 2023-08-21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 KR102631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950A KR102631562B1 (ko) 2023-08-21 2023-08-21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950A KR102631562B1 (ko) 2023-08-21 2023-08-21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562B1 true KR102631562B1 (ko) 2024-01-31

Family

ID=89717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8950A KR102631562B1 (ko) 2023-08-21 2023-08-21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56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710A (ko) 2007-05-14 2009-01-09 (주)제이앤에스피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
KR20110060997A (ko) 2009-12-01 2011-06-09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프린팅 공정의 불량 분석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이 프로그래밍되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KR101873312B1 (ko) 2017-06-08 2018-07-02 주식회사 아이엠지 현장의 이상조치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클라우드형 품질관리시스템
KR20200071876A (ko) 2018-12-06 2020-06-22 주식회사 씨에스앤씨 공정 중 생산품 불량 예측시스템 및 불량 예측을 위한 학습모델 생성방법
KR20230072164A (ko) * 2021-11-17 2023-05-24 주식회사 유유랑컴퍼니 불량률 제로를 위한 제품의 품질 관리 시스템
CN116431701A (zh) * 2023-03-17 2023-07-14 广东惠州天然气发电有限公司 一种综合性的电厂生产数据分析与统计系统
KR20230111091A (ko) 2022-01-17 2023-07-25 주식회사 유피체인 다자간 화상회의 솔루션이 포함된 협업 메신저 및 이의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710A (ko) 2007-05-14 2009-01-09 (주)제이앤에스피 제조 공정 관리 시스템
KR20110060997A (ko) 2009-12-01 2011-06-09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프린팅 공정의 불량 분석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이 프로그래밍되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KR101873312B1 (ko) 2017-06-08 2018-07-02 주식회사 아이엠지 현장의 이상조치 오류 여부를 판정하는 클라우드형 품질관리시스템
KR20200071876A (ko) 2018-12-06 2020-06-22 주식회사 씨에스앤씨 공정 중 생산품 불량 예측시스템 및 불량 예측을 위한 학습모델 생성방법
KR20230072164A (ko) * 2021-11-17 2023-05-24 주식회사 유유랑컴퍼니 불량률 제로를 위한 제품의 품질 관리 시스템
KR20230111091A (ko) 2022-01-17 2023-07-25 주식회사 유피체인 다자간 화상회의 솔루션이 포함된 협업 메신저 및 이의 제공방법
CN116431701A (zh) * 2023-03-17 2023-07-14 广东惠州天然气发电有限公司 一种综合性的电厂生产数据分析与统计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2680B2 (en) IC t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dustrial internet
US5596712A (en)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s and analysis of products troubles
US200300508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s
US200502567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products
EP1177503B1 (en) System for indexing pedestrian traffic
US6400997B1 (en) Paperless tablet autom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10580572A (zh) 一种产品全寿命追溯系统
CN109934483A (zh) 一种面向实物质量提升的制造质量信息管控系统及方法
CN112288903A (zh) 一种打卡系统、方法和设备
CN112862339A (zh) 一种风险决策方法及系统
US20020103620A1 (en) Apparatus management method,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apparatus management program product
KR102631562B1 (ko) 품질 결산 관리시스템
DE102021124261A1 (de) Automatisierte computerisierte Identifizierung von Anlagegegenständen
US20030135496A1 (en) Management program, method and apparatus for business process definition
CN113191457A (zh) 应用于制造企业的生产数据及bom自动归类的汇聚方法
CN114022053B (zh) 一种基于风险因子的审计系统及设备
CN115660619A (zh) 一种基于bim信息化管理生产管理系统及服务器
CN115374291A (zh) 基于业务对象的知识库构建方法及系统
CN114356374A (zh) 车辆数据的处理方法、装置和车辆
CN112988555B (zh) 接口测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630161B1 (ko)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공정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3706935B2 (ja) 品質問題の統計的解決作業管理システムとそれを用いた作業管理方法
CN111882220A (zh) 一种数据检测方法与装置
CN113570333B (zh) 一种适用于集成的流程设计方法
CN116562823A (zh) 一种基于数据处理的内控智能化审核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