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002B1 - 직접 압축용 만니톨 과립 - Google Patents

직접 압축용 만니톨 과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002B1
KR102631002B1 KR1020187001069A KR20187001069A KR102631002B1 KR 102631002 B1 KR102631002 B1 KR 102631002B1 KR 1020187001069 A KR1020187001069 A KR 1020187001069A KR 20187001069 A KR20187001069 A KR 20187001069A KR 102631002 B1 KR102631002 B1 KR 102631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ules
mannitol
microcrystalline
preferentially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1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035A (ko
Inventor
밥티스트 부와
필리프 르페브르
Original Assignee
로께뜨프레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께뜨프레르 filed Critical 로께뜨프레르
Publication of KR20180029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0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1623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Derivatives thereof; Homeopathic glob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A61K9/1694Processes resulting in granules or microsphe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more than 5% of excip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95Tabletting processes; Dosage units made by direct compression of powders or specially processed granules, by eliminating solvents, by melt-extrusion, by injection molding, by 3D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02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dividing the liquid material into drops, e.g. by spraying, and solidifying the dro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접 압축에 의한 정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만니톨 과립에 관한 것으로, 이는 가공되기 위하여 소량의 윤활제만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그와 같은 과립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와 같은 과립을 포함하는 분체상 조성물(pulverulent composition), 및 또한 이와 같은 분체상 조성물을 사용하는 직접 압축 공정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분체상 조성물로 구성된 정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접 압축용 만니톨 과립
본 발명의 주제는 직접 압축에 의해 정제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만니톨 과립으로서, 이는 가공되기 위하여 단지 소량의 윤활제만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그와 같은 과립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와 같은 과립을 포함하는 분체상 조성물(pulverulent composition), 및 또한 이와 같은 분체상 조성물을 사용하는 직접 압축 공정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분체상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정제, 및 또한 낮은 윤활제 함량을 갖는 만니톨-기반 정제에 관한 것이다.
직접 압축 기법은 고속으로 그리고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정밀한 양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정제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이 기술은 펀치에 의해 매트릭스 중의 분체상 조성물을 강하게 압축하여 그것에 정제 형상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인가된 고압은 분말 입자의 응집(aggregation)을 야기하고 고체 정제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분체상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부형제 및 관심 활성 성분, 예를 들어 약제학용, 수의과용, 미용, 식품용, 영양보조용, 화학물질용 또는 농화학물질용(agrochemical) 관심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직접 압축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접하게 되는 부형제는 희석제인데, 이는 또한 "직접 압축 부형제", 윤활제, (수퍼-)붕해제, 유동 촉진제, pH 안정제, 염료, 향미제 및 계면활성제로도 알려져 있다.
정제를 형성할 수 있기 위하여, 압축하고자 하는 분체상 조성물은 항상 적어도 직접 압축 부형제 및 윤활제를 포함한다.
직접 압축 부형제는 정제의 주요 화합물이고, 분말의 타정성(tabletability) 특성 및 유동 특성을 담당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및 락토스이다.
윤활제 그 자체는 새로 형성된 정제가 매트릭스로부터 배출될 수 있게 한다. 그것은 배출에 의해 생성되는 응력을 제한하고, 이에 따라 정제의 완전성(integrity)이 보존될 수 있게 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이고, 스테아르산칼슘 및 소듐 스테아릴 푸마레이트가 그 뒤를 따른다.
사용되는 윤활제의 양이 불충분한 경우, 만족스러운 정제를 수득하는 것이 더 이상 불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이는 라미네이션(lamination)("캡핑(capping)") 및/또는 결합의 흔적(trace)을 출현시킨다.
라미네이션은 정제의 수평 파괴의 형태로서, 중앙에서 또는 2개의 만곡된 부분 중 하나의 시작 시점에서 발생된다("캡핑"으로도 알려진 현상). 결합은 매트릭스 상에의 재료의 한 부분의 스티킹(sticking)에 상응하며, 상기 스티킹은 정제의 배출 후에 오래 지속된다. 측정되는 배출력의 증가(이는 이때 전형적으로 1000 N에 도달함) 이외에도, 결합은 정제 상에서 가시적이다: 수직선이 존재하고, 이는 생성물이 매트릭스 상에 들러붙은 상태로 남아 있는 장소에 상응한다.
만족스러운 정제는 결합의 흔적을 나타내지 않아야 하고, 이에 따라 그의 전체 원주에 걸쳐 완벽하게 매끄러운 에지를 가져야 한다. 더욱이, 그와 같은 정제는 그의 전체 표면에 걸쳐 균일하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져야 한다.
필수적이기는 하지만, 윤활제는 소정의 결점을 갖는다. 스테아르산염과 빈번하게 접하게 됨에 따른 한 가지 문제는 정제의 붕해 및 용해를 감속시킬 그의 잠재성이다. 또 다른 문제는 이와 같은 윤활제의 특히 불쾌한 맛, 및 또한 그의 비교적 높은 가격에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 본 출원인의 특허 출원 US 2012/0053249 A1호에서, 본 출원인은 직접 압축 부형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윤활제의 역할을 부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성 부형제를 유리하게 기재하였다. 그것은 만니톨과 과립상 전분의 공집괴(co-agglomerate)였는데, 이는 사용되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의 양의 감소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 같은 과립의 한 가지 단점은 과립상 전분의 존재에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립상 전분은 이와 같은 이전 발명에서 본질적인 것으로 제공되었다. 이는, 과립상 전분이 세균 오염에 쉽게 노출되며, 이에 따라 생성 및 저장의 엄격한 제어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과립상 전분은 높은 물 함량을 가지며, 이는 정제의 활성 성분의 안정성에 해로울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단독으로 사용되는 만니톨은, 상세하게는, 활성 성분에 대한 그의 매우 실질적인 화학적 불활성으로 인해, 그리고 그의 맛 및 그의 결정질 형태의 낮은 흡습성으로 인해 탁월한 부형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에 의해 이전에 개발된 과립에서는 과립상 전분을 첨가하여 분배할 수 있는 것이 특히 유리할 것이다.
상기 언급된 특허 출원 US 2012/0053249 A1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제기된 문제는 0.5% 미만의 과립상 전분을 사용하여 수득된 분말은 만족스러운 유동 특성 및 타정성 특성을 갖지 않는다는 것이다.
수많은 연구 후에, 본 출원인은 과립상 전분이 본질적으로 부재하는 만니톨 분말을 제조하는 데 성공하였는데, 이와 같은 만니톨 분말은 완전하게 압축 및 유동할 뿐만 아니라, 이에 더하여 윤활 특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분말은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인데, 여기서 만니톨은 α 결정질 형태 및 β 결정질 형태 물 모두를 나타내며, α/β 비는 10/90 내지 90/10이고, 이는 부피 평균 직경 D4,3이 60 내지 250 ㎛이고, 벌크 밀도가 적어도 465 g/l이고, 비표면적이 0.75 ㎡/g 초과이다.
결정질 형태에 관하여, 문헌은 하기의 3가지 주요 형태를 보고한다: α-, β- 및 δ-만니톨. 직접 압축에서의 적용을 위해서는, β-만니톨이 통상적으로 바람직한데, 이는 주로 그의 안정성 때문이다. 더욱이, 만니톨이 본 발명에 따른 과립과 유사한 방식으로 미세결정질 구조의 비구형 입자의 형태인 경우, 일부 저자는 α-만니톨의 존재가 유해한 것으로 기술한다. 예로서, 특허 US 6 998 481 B2는 α-만니톨의 존재가 분말의 타정성에 해롭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언급된 특허 출원 US 2012/0053249 A1에 기재된 만니톨과 과립상 전분의 공집괴에서, 만니톨은 또한 부분적으로 α 형태였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순수하게 β 형태만을 선호하지 않음으로써 기술적 예상에 대해 이미 맞서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적 예상은 과립상 전분과의 공응집에 의해 극복되었다. 따라서, 과립상 전분이 부재하는 만니톨 과립이 또한 이와 같은 이중 결정질 형태에 관심을 가질 수 있음은 결코 명백하지 않았다.
본 출원인은 다단계 분무-건조기 내에서 수행된 신규한 습식 과립화 공정에 의해 이와 같은 과립을 개발하는 데 성공하였다. 상세하게는, 이 공정은 분무-건조탑 내에서 수행되는데, 여기서는 원통형 상부 부분의 벽과 챔버의 지붕에 의해 형성된 각도가 90°이다. 탑 출구에서의 상대 습도는 5% 내지 60%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직접 압축용 만니톨 분말은 종래 기술에서 이미 기재되었다. 그러나, 어느 것도 본 발명의 과립의 특징들의 조합을 나타내지 않았다.
용융/압출 기법에 의해 수득된 분말, 예를 들어 본 출원인 이름 하의 특허 US 4 661 647 A 및 US 5 160 680 A에 기재된 것은 0.75 ㎡/g 미만의 비표면적 및 대체로 300 ㎛ 초과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이와 같은 분말은, 본 발명의 과립과 비교하여, 가공되기 위하여 더 많은 양의 윤활제를 필요로 한다.
단일-단계 분무-건조 공정, 예를 들어 문헌 US 2011/0135927 A1에 기재된 것들은 평균 직경이 대체로 60 ㎛ 미만인 구형 입자로 이루어진 분말의 형성을 가져온다. 이와 같은 분말은 산업적으로 실행 가능하지 않은데, 이는 주로 이와 같은 분말이 직접 압축에 사용되는 프레스 내에서 유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문헌은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의 제조를 기재하지만, 이의 결정질 형태는 본 발명에 의해 요구되는 것에 상응하지 않는다.
그와 같은 문헌의 예는 하기와 같다:
- 특허 US 6 998 481 B2(Merck), 이는 직접 압축용 만니톨 분말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만니톨은 본질적으로 β 결정질 형태임;
- 본 출원인의 이름 하의 특허 US 5 573 777 A, 이는 만니톨의 결정질 형태에 관하여 언급되어 있지 않고, 하기 실시예 1로부터 나타나는 바와 같은 것이지만, 만니톨이 실제로 본질적으로 α 결정질 형태인 분말을 기재함.
이와 같은 분말은, 본 발명의 과립과 비교하여, 가공되기 위하여 더 많은 양의 윤활제를 필요로 한다(실시예 1 참조).
본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과립상 전분이 본질적으로 부재하는 만니톨 과립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만니톨 과립은 가공되기 위하여 소량의 윤활제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만니톨 부형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언급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만니톨 부형제는 더욱이 직접 압축 부형제에, 상세하게는 타정성 및 유동의 관점에서 필요한 다른 특성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주제는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으로 이루어지며,
- 상기 만니톨은 α 결정질 형태 및 β 결정질 형태 둘 모두 존재하고, α/β 비는 10/90 내지 90/10이고;
- 상기 과립에는 과립상 전분이 본질적으로 부재하고;
- 상기 과립은 부피 평균 직경 D4,3이 60 내지 250 ㎛이고;
- 상기 과립은 벌크 밀도(bulk density)가 적어도 465 g/l이고;
- 상기 과립은 비표면적이 0.75 ㎡/g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주제는 만니톨 과립의 제조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본 방법은
- 만니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a);
- 단계 (a)에서 수득된 만니톨 용액을 다단계 분무-건조탑(1) 내에서 분무-건조시키는 단계 (b)로서, 미세분(fines)의 재순환을 포함하며,
o 탑 출구에서의 상대 습도가 5% 내지 60%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o 다단계 분무-건조탑(1)은 정적 유동층(3)을 포함하는 원통형 하부 부분(2a), 원추형 중간 부분(2b), 및 원통형 상부 부분(2c)으로 이루어진 원추형 기부를 갖는 챔버(2)를 포함하고; 원통형 상부 부분(2c)의 벽과 챔버(2)의 지붕에 의해 형성된 각(αCy)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계;
- 이렇게 수득된 과립을 회수하는 단계 (c)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 주제는 본 발명에 따른 만니톨 과립을 포함하는 분체상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4 주제는 정제의 제조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본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상 조성물의 직접 압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5 주제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상 조성물로 이루어지거나, 본 발명에 따른 정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수득되는 정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6 주제는, 과립상 전분이 본질적으로 부재하고,
- 30.0% 내지 100.0%의 만니톨;
- 0.8% 미만의 윤활제;
- 0% 내지 70.0%의, 만니톨 및 윤활제 이외의 성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백분율은 건조 중량으로 표현되고, 그 합은 100%인, 정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7 주제는 직접 압축 부형제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의 용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은 유리하게는 매우 낮은 함량의 윤활제의 존재 하에서 만족스러운 외관 및 경도를 갖는 정제의 산업적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대한 결과로서, 낮은 윤활제 함량을 갖고 더 높은 윤활제 함량을 갖는 정제와 비교하여 상세하게는 개선된 맛을 갖는 만니톨-기반 정제를 생성하는 것이 현재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과립에는 과립상 전분이 본질적으로 부재하며, 이에 따라 그의 존재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단점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립은 다단계 분무-건조탑 내에서 특별한 분무-건조 공정(이는 미세분의 재순환을 포함함)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데, 이 또한 본 발명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것에 더하여, 이 공정은 연속 공정이라는 이점을 갖는다: 분무-건조된 용액은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분말("1차 분말")을 집괴화하고, 이 분말 자체는 상기 용액의 분무-건조로부터 생성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방법은 비교적 낮은 입구 및 출구 온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그럼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게 하며, 이와 동시에, 상세하게는 생산성의 관점에서 산업적으로 관련된 방법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주제는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으로 이루어지며,
- 상기 만니톨은 α 결정질 형태 및 β 결정질 형태 둘 모두 존재하고, α/β 비는 10/90 내지 90/10이고;
- 상기 과립에는 과립상 전분이 본질적으로 부재하고;
- 상기 과립은 부피 평균 직경 D4,3이 60 내지 250 ㎛이고;
- 상기 과립은 벌크 밀도(bulk density)가 적어도 465 g/l이고;
- 상기 과립은 비표면적이 0.75 ㎡/g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이라는 표현은 그것이 당업자에 의해 통상 이해되는 바와 같은 것이다. 특히, 전자 현미경 하에서 그리고 X100의 배율에서, 이와 같은 과립은 대체로 가변 형상 및 불균일한 표면을 갖는다. X1000의 배율에서, 미세 집괴화된 결정의 미세 입자는 그의 표면에서 대체로 가시적이다. "비구형" 과립이라는 기재는 전형적으로 그것을 만니톨 용액의 단일-단계 분무-건조에 의해 수득된 입자와 구별할 수 있게 하는데, 이때 단일-단계 분무-건조에 의해 수득된 입자는 그 자체가 당업자에 의해 "구형"으로 기재된다. 용어 "미세결정질 구조"는, 전자 현미경 하에서 X1000의 배율로 관찰될 때, 표면에서 단지 미세결정만을 나타내고 더 큰 크기의 결정은 거의 나타내지 않는 구조를 의미하고자 한다. 상세하게는, 미세결정은 길이, 폭 및 두께의 합이 25 ㎛ 미만인 결정으로서 정의된다. 존재하는 입자 및 미세결정은 둥근 형상부터 세장형(elongated) 형상에 이르기까지 매우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과립에서, 이와 같은 미세구조는 상세하게는 "필라멘트상(filamentous)"으로서 기재되지 않는다. 실제로, 침상 형상을 갖는 결정이 존재할 수 있을 지라도, 이것은 과립의 표면에서 매우 극히 소수로 존재한다. 이와 비교하여, 특허 US 6 998 481 B2는, 단지 침상 형상 미세결정만이 가시적이기 때문에 필라멘트상으로 불리는 텍스처를 갖는 과립의 사진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과립에서, 미세결정은 대체로 배향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전자 현미경 하에서 그리고 X200의 배율에서, 이와 같은 과립은 만니톨의 통상적인 결정질 분말과 용이하게 구별되는데, 이와 같은 결정질 분말은 잘 개별화된 거대결정으로 구성되고, 이와 같은 거대결정은 전형적으로 다면체이고, 균일한 표면을 갖고,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지만 가변 길이 및 폭을 갖고, 일반적으로 물로부터의, 만니톨로 포화된 용액으로부터의 단순 결정화에 의해 수득된다. 이것은 또한 만니톨 거대결정으로 구성된 1차 분말의 집괴화에 의해 수득되는 만니톨 분말과 구별된다. 이와 같은 과립은 미세결정질 구조를 갖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결정은 더 이상 개별화된 형태는 아니지만, 여전히 명백히 가시적이고 이와 같은 과립에서 선명한 에지 형태로 나타난다. 이것은 또한 만니톨 용액의 단일-단계 분무-건조(유동층을 사용하지 않음)에 의해 수득되는 만니톨 분말과 구별되는데, 이의 입자는 미세결정질 만니톨로 구성될지라도, 구형이고, 대체로 10 ㎛ 내지 50 ㎛의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것은 또한 용융/압출에 의해 수득되는 만니톨 분말과 구별되는데, 이는, 더 컴팩트하고 더 균질하고, 다소 각진 슬래브 형태이고, 대체로 배향된 미세결정으로 이루어진 입자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만니톨 분말이 미세결정질 구조의 비구형 과립의 외관을 가질 수 있기 위하여, 이것은 미세결정질 구조의 입자로 구성된 1차 분말의 집괴화에 의해 제조된다.
따라서, 대안적으로, 또는 상보적인 방식으로,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은 미세결정질 구조의 입자로 구성된 만니톨의 1차 분말의 집괴화(우선적으로는 미세분의 재순환을 포함함)에 의해 그것이 수득되거다 수득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상보적인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은 이것이 단일-단계 분무-건조, 용융/압출, 또는 거대결정의 과립화에 의해 수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립은 또한 만니톨이 α 결정질 형태 및 β 결정질 형태 둘 모두 존재하고, α/β 비는 10/90 내지 90/10이라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만니톨의 2개의 α 및 β 결정질 형태의 공존, 및 또한 이들의 비율은 적외 분광법 또는 X-선 회절에 의해, 우선적으로는 적외 분광법에 의해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이것을 수행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는, 이 α/β 결정질 형태 비는 15/85 내지 85/15, 우선적으로는 20/80 내지 80/20, 우선적으로는 25/75 내지 75/25, 우선적으로는 30/70 내지 70/30, 우선적으로는 35/65 내지 65/35, 우선적으로는 40/60 내지 60/40, 예를 들어 45/55 내지 55/45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50/50이다.
본 발명의 과립은 또한 이것에 과립상 전분이 본질적으로 부재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어 "과립상 전분이 본질적으로 부재하는"은 본 발명에서 과립상 전분/만니톨 건조 중량비가 0.5/99.5 미만, 우선적으로는 0.4/99.6 미만, 우선적으로는 0.3/99.7 미만, 우선적으로는 0.2/99.8 미만, 우선적으로는 0.1/99.9 미만이거나, 더 우선적으로는 과립에 과립상 성분이 완전히 부재하는 것을 의미하고자 한다.
더 일반적으로 그리고 유리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형태에 관계없이 전분에, 예를 들어 비과립상 전분에 적용되는데, 이때 전분은 작용화(에테르화, 에스테르화)되거나 비작용화되고, 가수분해되거나 비가수분해된 것이다.
본 발명의 과립은 또한 부피 평균 직경 D4,3이 60 내지 25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부피 평균 직경 D4,3은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하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건조 레이저-회절 입자 크기 분석기에 의해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의 부피 평균 직경 D4,3은 일반적으로 60 내지 240 ㎛, 예를 들어 60 내지 220 ㎛, 또는 심지어 60 내지 200 ㎛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이와 같은 부피 평균 직경 D4,3은 우선적으로는 80 ㎛ 초과, 우선적으로는 90 ㎛ 초과, 더 우선적으로는 100 ㎛ 초과이다.
본 발명의 과립은 또한 벌크 밀도가 적어도 465 g/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의 벌크 밀도는 일반적으로 465 내지 600 g/l, 예를 들어 465 내지 580 g/l, 또는 심지어 465 내지 550 g/l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이와 같은 벌크 밀도는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470 g/l,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480 g/l,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490 g/l, 가장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500 g/l이다.
우선적으로는,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은 탭핑 밀도(tapped density)가 적어도 470 g/l이며, 우선적으로는 470 내지 700 g/l, 우선적으로는 500 내지 650 g/l, 가장 우선적으로는 550 내지 600 g/l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이와 같은 벌크 밀도 및 이와 같은 탭핑 밀도는 메스 실린더 방법을 사용하여, 상세하게는 WHO에 의해 권장된 방법(Document QAS/11.450 FINAL, 2012)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립은 또한 비표면적이 0.75 ㎡/g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비표면적은 BET 방법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하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의 비표면적은 일반적으로 0.75 ㎡/g 내지 3.00 ㎡/g, 예를 들어 0.75 ㎡/g 내지 2.50 ㎡/g, 또는 심지어 0.75 ㎡/g 내지 2.00 ㎡/g, 또는 심지어 0.75 ㎡/g 내지 1.50 ㎡/g, 또는 심지어 0.75 ㎡/g 내지 1.20 ㎡/g이다. 이와 같은 비표면적은 우선적으로는 0.80 ㎡/g 초과, 우선적으로는 0.85 ㎡/g 초과, 우선적으로는 0.90 ㎡/g 초과, 우선적으로는 0.95 ㎡/g 초과, 더 우선적으로는 1.00 ㎡/g 초과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은 또한 그것이 직접 압축용 과립 또는 "직접 압축 가능한" 과립이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용어 "직접 압축 부형제"가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은 직접 압축될 수 있으며, 즉 어떠한 사전 텍스처링 또는 물리적 전환 처리 없이, 예를 들어 건식 또는 습식 과립화의 사전 단계 없이 압축될 수 있다.
이것은 과립이 오로지 유효량의 윤활제의 존재 하에서 직접 압축에 의해 충분한 경도의 정제를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함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이와 같은 "유효량"은 정제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양이며, 즉 전형적으로, 라미네이션 및 결합이 부재하고, 10개의 정제의 생성 시에 배출력이 1000 N 미만이게 하는 양이다. 윤활제의 이와 같은 유효량은 압축하고자 하는 분말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하여 3% 건조 중량을 대체로 초과하지 않는다.
만족스러운 정제를 형성하는 이와 같은 능력은 상세하게는, 직경이 10 ㎜이고 곡률 반경이 9 ㎜이고 중량이 400 ㎎인 볼록형 정제를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10 kN의 압축력을 사용하여, 시험되는 부형제 및 윤활제,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분체상 조성물의 직접 압축에 의해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정제는 상세하게는 회전 프레스에 의해, 또는 산업용 회전 프레스 상에서의 압축을 시뮬레이션하는 단일-펀치 디벨럽먼트 프레스, 예컨대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경도 측정은 경도 시험기, 예컨대 하기 실시예 2에서 사용된 것에 의해 생성된 정제에 대해 수행된다.
오로지 윤활제만이 존재하는 시험되는 부형제로부터 제조된 정제의 경도(뉴턴(N)으로 표현됨)는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부형제의 "타정성"으로서 지칭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은 또한 그의 타정성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으며, 이는 대체로 50 N 내지 500 N, 예를 들어 50 N 내지 400 N, 또는 심지어 50 N 내지 300 N, 또는 심지어 50 N 내지 200 N, 또는 심지어 50 N 내지 150 N이다. 이와 같은 타정성은 우선적으로는 70 N 초과, 우선적으로는 80 N 초과, 우선적으로는 90 N 초과, 우선적으로는 100 N 초과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은 또한 그의 유동 등급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으며, 이는 우선적으로는 3 내지 15초, 우선적으로는 4 내지 10초, 가장 우선적으로는 4 내지 8초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이와 같은 유동 등급은 상세하게는 유럽 약전, 레퍼런스 "2.9.16. Flowability, 01/2005: 20916; equipment according to figure 2.9.16.-2"에 권장된 방법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은 또한 그의 마손도(friability)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으며, 이는 대체로 20% 내지 50%, 예를 들어 30% 내지 50%이다. 이와 같은 마손도는 우선적으로는 40% 미만, 예를 들어 20% 내지 40%, 예를 들어 30% 내지 40%이다.
이와 같은 마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당업자는, 예를 들어 하기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은 "만니톨 과립"이지만, 본 발명에서 추구되는 특성을 침해하지 않는 한 소량으로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성분들의 예는 하기와 같다: 결합제,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CMC),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HPMC), 셀룰로스-기반 유도체, 아카시아 검, 젤라틴, 전분 유도체, 예컨대 말토덱스트린, 트래거캔스 검, 미네랄; 만니톨 이외의 탄수화물, 예컨대 당 및 폴리올; 식품 첨가제, 염료; 영양보조용, 약제학용, 수의용 또는 미용 활성 성분; 방부제; 안정제.
과립 내의 다른 성분들의 함량, 상세하게는 만니톨 이외의 탄수화물의 함량은 15.0% 미만, 우선적으로는 10.0% 미만, 우선적으로는 5.0% 미만, 우선적으로는 2.0% 미만, 우선적으로는 1.0% 미만, 더 우선적으로는 0.5% 미만이며; 이들 백분율은 과립의 고형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한 건조 중량으로 표현된다. 가장 우선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과립에는 다른 성분들이 부재한다. 후자의 경우에, 이는 과립이 단지 만니톨 및 그의 불순물로만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이 점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만니톨은 우선적으로는 만니톨, 상세하게는 D-만니톨의 풍부도가 건조 중량 기준으로 95.0% 초과, 우선적으로는 96.0% 초과, 우선적으로는 97.0% 초과, 우선적으로는 97.5% 초과, 우선적으로는 98.0% 초과, 우선적으로는 98.5% 초과, 가장 우선적으로는 99.0% 초과임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만니톨 화합물은 전형적으로 만니톨과 회합된 물질, 상세하게는 소르비톨, 말티톨 및 아이소말트, 환원당, 니켈, 중금속을 포함한다. 이들의 함량은 상세하게는 유럽 약전에 의해 권장된, 상세하게는 레퍼런스 문서 "Mannitol, 01/2014:0559"로부터 발췌된 방법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만니톨은 우선적으로는 환원당 함량이 0.1%를 초과하지 않고, 니켈 함량이 1 ppm을 초과하지 않고, 중금속 함량이 5 ppm을 초과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은 또한 그의 건조 중량 손실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으며, 이는 우선적으로는 중량 기준으로 0.00% 내지 0.50%이다. 이와 같은 건조 중량 손실은 우선적으로는 중량 기준으로 0.40% 미만, 우선적으로는 0.30% 미만, 우선적으로는 0.25% 미만, 더 우선적으로는 0.20% 미만, 예를 들어 0.01% 내지 0.20%, 또는 심지어 0.02% 내지 0.15%이다.
이와 같은 건조 중량 손실은 상세하게는 유럽 약전, 레퍼런스 "2.2.32. Loss on drying, 07/2015: 20232"에 권장된 방법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만니톨 과립의 제조 방법이며,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법이며, 본 방법은
- 만니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a);
- 단계 (a)에서 수득된 만니톨 용액을 다단계 분무-건조탑(1) 내에서 분무-건조시키는 단계 (b)로서, 미세분(fines)의 재순환을 포함하며,
o 탑 출구에서의 상대 습도가 5% 내지 60%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o 다단계 분무-건조탑(1)은 정적 유동층(3)을 포함하는 원통형 하부 부분(2a), 원추대형 중간 부분(2b), 및 원통형 상부 부분(2c)으로 이루어진 챔버(2)를 포함하고; 원통형 상부 부분(2c)의 측벽과 챔버(2)의 지붕에 의해 형성된 각(αCy)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계;
- 이렇게 수득된 과립을 회수하는 단계 (c)로 이루어진다.
우선적으로는, 단계 (a)에서 제조된 만니톨 용액은 고형물 함량이 중량 기준으로 20% 내지 60%, 우선적으로는 30% 내지 50%, 우선적으로는 35% 내지 45%, 예를 들어 40%와 같다.
우선적으로는, 이와 같은 용액은 만니톨을 용해된 상태로 또는 미세결정 형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온도에서 유지된다.
우선적으로는, 단계 (b)에서 언급된 상대 습도는 5% 내지 50%, 우선적으로는 10% 내지 40%, 우선적으로는 10% 내지 30%, 우선적으로는 15% 내지 25%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우선적으로는, 단계 (b)에서 언급된 분무-건조탑(1)의 챔버(2)의 지붕의 표면은 본질적으로 편평하고, 우선적으로는 완전히 편평하다.
우선적으로는, 분무-건조탑(1)의 챔버(2)는 부피가 8 내지 1500 ㎥, 우선적으로는 10 내지 1000 ㎥, 우선적으로는 50 내지 800 ㎥, 우선적으로는 100 내지 700 ㎥, 우선적으로는 200 내지 600 ㎥, 우선적으로는 300 내지 500 ㎥이다. 이와 같은 부피는, 예를 들어 400 ㎥와 같다.
우선적으로는, 분무-건조탑(1)의 치수는 직경 DT가 2.0 내지 16.0 m, 우선적으로는 5.0 내지 15.0 m, 우선적으로는 8.0 내지 12.0 m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HT/DT 비가 0.9 내지 1.6, 우선적으로는 0.9 내지 1.4, 우선적으로는 1.0 내지 1.2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DT/DL 비가 3.5 내지 4.5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HCo/HCy 비가 4.0 내지 9.0, 우선적으로는 6.0 내지 9.0, 우선적으로는 8.0 내지 9.0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HCo/HL 비가 5.0 내지 25.0, 우선적으로는 10.0 내지 25.0, 우선적으로는 15.0 내지 21.0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원추각 αCo는 18.0 내지 25.0°, 우선적으로는 20.0 내지 24.0°, 우선적으로는 22.0 내지 23.0°의 범위에서 선택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분무-건조탑(1)의 치수는 직경 DT가 10.0 m이고/이거나; HT/DT 비가 1.1이고/이거나; DT/DL 비가 4.0이고/이거나; HCo/HCy 비가 8.3이고/이거나; HCo/HL 비가 18.2이고/이거나; 원추각 αCo가 22.4°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우선적으로는, 유량은 정적 유동층의 공기의 속도가 0.3 내지 1.5 m/s가 되도록 선택된다.
미세분의 재순환을 위하여, 미세분 및 공기는 우선적으로는 분무-건조탑(1)의 챔버(2)의 지붕에서 추출되고, 미세분은 우선적으로는 탑의 저부에서, 즉 챔버(2)의 중간 부분(2b)의 하부 부분에서 재순환된다.
미세분의 추출은 유리하게는 2개의 건조 챔버 배출구(4a 및 4b)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들은 유리하게는 분무-건조탑(1)의 수직축에 대해 서로 반대편에 있다. 이들의 에지는 유리하게는 원통형 부분(2c)의 벽으로부터 적어도 1 m에 위치된다.
유리하게는, 탑의 챔버로부터 추출된 미세분과 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 우선적으로는 직렬로 된 2개의 사이클론에 의해 분리된다.
분무 노즐 압력은, 1000 내지 7000 ㎏/h, 우선적으로는 3000 내지 5000 ㎏/h, 예를 들어 400 내지 4200 ㎏/h 범위의 용액 유량에 대하여, 우선적으로는 30 내지 300 bar, 우선적으로는 150 내지 250 bar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우선적으로는, 탑의 상부의 입구 공기 업스트림의 온도("입구 온도"는 120 내지 240℃, 우선적으로는 170 내지 210℃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이와 같은 온도는, 예를 들어 190℃이다.
우선적으로는, 탑 출구 공기의 온도("출구 온도")는 50℃ 내지 120℃, 우선적으로는 50℃ 내지 100℃, 우선적으로는 50℃ 내지 90℃이다. 이와 같은 출구 온도는 우선적으로는 60 내지 80℃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우선적으로는, 정적 유동층(3)의 공기의 온도는 50 내지 120℃, 우선적으로는 90 내지 120℃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이와 같은 온도는, 예를 들어 110℃와 같다.
우선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단계 (c) 전에, 새로 형성된 과립을, 우선적으로는 그것을 우선적으로는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예를 들어 20℃의 온도에서 진동 유동층 위로 통과시킴으로써 냉각시키는 단계 (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립이 만니톨 이외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와 같은 다른 성분들의 사용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예를 들어 미세분을 재순환하기 위한 시스템 또는 추가 입구를 통해 분무-건조 챔버 내로 건조 형태로,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분체상 만니톨 용액을 통해 현탁액 및/또는 용액의 형태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만니톨 과립을 포함하는 분체상 조성물, 상세하게는 직접 압축용 분체상 조성물이다.
이와 같은 분체상 조성물은 우선적으로는:
- 30.0% 내지 100%의 본 발명에 따른 만니톨 과립;
- 0.0% 내지 70.0%의 본 발명에 따른 만니톨 과립 이외의 성분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백분율은 건조 중량으로 표현되고, 그 합은 100%와 같다.
다른 성분들의 예는 전형적으로 하기와 같다:
- 본 발명의 만니톨 이외의 직접 압축 부형제 또는 희석제, 예를 들어 (ⅰ) 직접 압축 가능한 폴리올, 예컨대 직접 압축 가능한 형태의 소르비톨, 말티톨, 자일리톨, 아이소말트, 락티톨 또는 에리트리톨,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것 이외의 만니톨의 것, (ⅱ) 직접 압축 가능한 당, 예컨대 직접 압축 가능한 형태의 수크로스, 덱스트로스, 덱스트레이트, 락토스 또는 알룰로스, (ⅲ)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및 (ⅳ) 직접 압축 가능한 미네랄;
- 윤활제;
- 분해제 또는 붕해제, 예컨대 소듐 전분 글리콜레이트, 가교결합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전분;
- 과립화제,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아카시아 검, 덱스트로스, 젤라틴, 말토덱스트린, 전분, 전분 유도체, 또는 트래거캔스 검;
- 식품 첨가제, 예컨대 향미제 또는 산성화제;
- 염료, 예컨대 미네랄 염료, 안료 또는 가용성 염료;
- 활택제(예를 들어, 이산화실리카), 또는 점착방지제(예를 들어, 활석);
- 활성 성분, 상세하게는 약제학용, 수의용, 영양보조용 또는 미용 활성 성분.
우선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직접 압축용 분체상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만니톨 과립의 함량이 적어도 40.0%,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50.0%,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60.0%,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70.0%,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80.0%,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90.0%이며; 이들 백분율은 분체상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의 건조 중량으로 표현된다. 이와 같은 만니톨 과립 함량은 대체로 100.0% 미만이다. 이것은 전형적으로 90.0% 내지 99.0%, 또는 심지어 95.0% 내지 99.0%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우선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윤활제 함량이 0.1% 내지 3.0%, 일반적으로 0.2% 내지 3.0%, 또는 심지어 0.3% 내지 3.0%, 또는 심지어 0.4% 내지 3.0%, 또는 심지어 0.5% 내지 3.0%, 또는 심지어 0.6% 내지 3.0%이며; 이들 백분율은 분체상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한 윤활제의 건조 중량으로 표현된다. 우선적으로는, 이와 같은 윤활제 함량은 2.5% 미만, 우선적으로는 2.0% 미만, 우선적으로는 1.5% 미만, 우선적으로는 1.0% 미만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0.6% 내지 0.9%, 또는 심지어 0.6% 내지 0.8%, 또는 심지어 0.6% 내지 0.7%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우선적으로는, 본 발명의 윤활제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우선적으로는 30.0% 초과, 우선적으로는 50.0% 초과, 우선적으로는 90.0% 초과의 함량으로 포함하며; 이들 백분율은 윤활제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한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의 건조 중량으로 표현된다. 가장 우선적으로는, 본 발명의 윤활제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으로 전부 이루어진다.
우선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상 조성물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만니톨 과립은 직접 압축 부형제의 적어도 50.0%,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60.0%,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70.0%,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80.0%,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90.0%,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95.0%,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98.0%,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99.0%를 나타내며; 이들 백분율은 분체상 조성물의 압축 부형제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의 건조 중량으로 표현된다. 가장 우선적으로는, 분체상 조성물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만니톨 과립 이외의 직접 압축 부형제가 부재한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정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본 방법은 우선적으로는 이와 같은 정제 내의 윤활제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며, 우선적으로는 회전 프레스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분체상 조성물의 직접 압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체상 조성물로 구성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직접 압축에 의한 정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거나 수득되는 정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용어 "정제"는 분체상 조성물의 직접 압축에 의해 수득된 고체 제제를 의미하고자 한다. 정제는, 예를 들어 식품용, 약제학용, 미용 또는 영양보조용 목적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정제는 빨아먹거나, 씹거나, 또는 삼키기 위한 정제, 또는 구강분해성 정제, 또는 발포성 정제일 수 있다. 이들 정제는 성인 또는 소아일 수 있는 인간, 또는 동물을 위한 것으로 의도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화학물질 또는 농화학물질 목적을 위한 정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제는 단일층 또는 다층 정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제는 우선적으로는 볼록 형상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과립상 전분이 본질적으로 부재하고,
- 30.0% 내지 100.0%의 만니톨;
- 0.8% 미만의 윤활제;
- 0% 내지 70.0%의 만니톨 및 윤활제 이외의 성분으로 이루어지고;
백분율은 건조 중량으로 표현되고, 그 합은 100%와 같은, 정제로 이루어진다.
우선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제는 만니톨 함량이 적어도 40.0%,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50.0%,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60.0%,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70.0%,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80.0%,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90.0%이며; 이들 백분율은 분체상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한 만니톨의 건조 중량으로 표현된다. 이와 같은 만니톨 함량은 대체로 100.0% 미만이다. 이것은 전형적으로 90.0% 내지 99.0%, 또는 심지어 95.0% 내지 99.0%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우선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제는 윤활제 함량이 0.1% 내지 3.0%, 일반적으로 0.2% 내지 3.0%, 또는 심지어 0.3% 내지 3.0%, 또는 심지어 0.4% 내지 3.0%, 또는 심지어 0.5% 내지 3.0%, 또는 심지어 0.6% 내지 3.0%이며; 이들 백분율은 정제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한 윤활제의 건조 중량으로 표현된다. 우선적으로는, 이와 같은 윤활제 함량은 2.5% 미만, 우선적으로는 2.0% 미만, 우선적으로는 1.5% 미만, 우선적으로는 1.0% 미만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0.6% 내지 0.9%, 또는 심지어 0.6% 내지 0.8%, 또는 심지어 0.6% 내지 0.7%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우선적으로는, 정제의 만니톨은 α 결정질 형태 및 β 결정질 형태 둘 모두 존재하며, α/β 비는 상세하게는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직접 압축 부형제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의 용도이다.
우선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은 또한 직접 압축을 위하여 분체상 조성물 내의 윤활제의 양을 감소시키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표현 "X 내지 Y"는 언급된 한계치를 제외한 값들의 범위를 포함하고, 한편 표현 "X 내지 Y의 범위" 또는 대안적으로 "X 내지 Y"는 언급된 한계치를 포함하는 값들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됨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다단계 분무-건조탑의 개략도인데, 이는 미세분의 재순환을 위한, 즉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장치를 포함한다. 분무-건조탑(1)은 정적 유동층(3)을 포함하는 높이 HL의 원통형 하부 부분(2a), 높이 HCo, 최소 직경 DL, 최대 직경 DT 및 원추각 αCo의 원추대형 중간 부분(2b), 및 높이 HCy 및 직경 DT의 원통형 상부 부분(2c)으로 이루어진 높이 HT의 챔버(2)를 포함한다. 원통형 상부 부분(2c)의 측벽과 챔버(2)의 지붕에 의해 형성된 각 αCy는 90°이다. 미세분의 재순환을 위하여, 분무-건조탑은 챔버(2)의 지붕에 위치된 서로 반대편에 있는 2개의 추출 건조 챔버 배출구(4a 및 4b) 및 챔버(2)의 원추대형 중간 부분(2b)의 하부 부분에 위치된 미세분을 위한 입구(4c)를 포함한다. 이 탑은 장치(5)를 포함하며, 장치는 분무 시스템 및 공기 분배기를 포함한다. 이 탑은 공기 입구(6)를 포함하며, 공기 입구는 정적 유동층(3)을 공급한다.
도 2는 미세분을 재순환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다단계 분무-건조탑을 위한 챔버의 개략도로서, 챔버는 하기의 특징들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실시예의 챔버(2)와 동일한 특징들을 포함한다: 원통형 상부 부분의 측벽과 챔버의 지붕에 의해 형성된 각 αCy는 110°인데, 이는 상기에 언급된 특허 출원 US 2012/0053249 A1에 사용된 MSD 20 분무 건조기(NIRO)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부터 더 명백히 이해될 것이며, 이와 같은 실시예는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실시예
시험된 만니톨-기반 부형제
(MSD, NIRO 유형의) 다단계 분무-건조탑 내에서 40% 고형물의 만니톨의 용액을 분무-건조시킴으로써(탑의 하부에서 미세분의 재순환을 포함함), 과립화된 만니톨의 몇몇 분말을 제조하였다. 업스트림 공기 유량은 34 000 N㎥/h이고, 정적 유동층 공기 유량은 15 000 N㎥/h였다. 정적 유동층 공기 온도는 110℃였다. 분무-건조된 용액의 유량은 대략 4200 ㎏/h였다. 용액을 분무-건조시키기 위하여, 2개의 고압 645×32 노즐(분무 시스템 SB)을 사용하였다.
만니톨 과립 IN-1, IN-2, 및 CP-1 내지 CP-4를 생성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즉 하기 치수를 갖는 챔버(2)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분무-건조탑을 사용하였다:
- HT = 10.7 m
- HCy = 1.1 m
- HCo = 9.1 m
- HL = 0.5 m
- DT = 10 m
- DL = 2.5 m
- αCy = 90°
- αCo = 22.4°
- 부피 = 400 ㎥.
만니톨 과립 CP-5 및 CP-6을 생성하기 위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즉 각 αCy가 110°인 챔버를 갖는 분무-건조탑을 사용하였다. 분무-건조 챔버는 상기 언급된 특허 출원 US 2012/0053249 A1에 사용된 것에 상응한다. 이 챔버의 치수는 하기와 같다:
- HT = 12.3 m
- HCy = 1.1 m
- HCo = 9.1 m
- HL = 0.5 m
- DT = 10 m
- DL = 2.5 m
- DR = 1.7 m
- HR = 1.6 m
- αCy = 110°
- αCo = 22.4°
- 부피 = 450 ㎥.
사용된 출구 온도, 입구 온도 및 출구에서의 상대 습도는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과립 AA-1은 특허 US 6 998 481 B2에 기재된 제품 Parteck® M200(Merck사)에 상응한다.
과립 AA-2는 특허 US 5 160 680 A에 기재된 제품 Pearlitol® 400DC(Roquette Freres사)에 상응한다.
과립 AA-3은 특허 US 5 573 777 A, 실시예 1에 기재된 제품 Pearlitol® 200SD(Roquette Freres사)에 상응한다.
과립 AA-4는 제품 Mannogem® EZ(SPI Pharma사)에 상응한다.
직접 압축
하기의 실시예에서는, 직경이 10 ㎜이고 곡률 반경이 9 ㎜이며 중량이 400 ㎎인 볼록형 정제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10 kN의 압축력을 사용하여 분말을 압축하였다.
사용된 프레스는 단일-펀치 디벨럽먼트 프레스였는데, 이는 산업용 회전 프레스(Stylcam® 200R, Medel'Pharm사) 상에서의 압축을 시뮬레이션하며, Stylcam® 표준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Analis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된다. 이 프레스는 유리하게도 산업용 회전 프레스의 작동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게 한다. 프레스를 분당 10개의 정제의 속도로 조정하였다.
압축 단계 전에, 분말을 윤활제와 친밀하게 혼합하였다. 이와 같은 혼합은 분말 및 윤활제를 시험하고자 하는 분말의 부피의 2배 내지 3배의 부피를 갖는 밀봉된 용기 내에 넣음으로써 더 정밀하게 수행하였다. 이어서, 이 용기를 대략 49 rpm(분당 회전수)으로 조정된 에피사이클로이드형 혼합기(epicycloidal mixer)(Turbula T2C, Willy A. Bachofen AG Maschinenfabrik사, 스위스-4005 바젤 소재)에 고정시키고, 상기 혼합기를 5분 동안 회전시켰다.
실시예 1 - 다양한 만니톨 부형제를 압축하는 데 필요한 윤활제의 최소량의 평가
이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만니톨 부형제를 압축하는 데 필요한 윤활제의 최소량을 결정하였다.
사용된 윤활제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Barlocher 플랜트 스테아르산마그네슘, Wiga Pharma GmbH사)이었다.
더욱이, 분말을 그의 결정질 다형성(α/β 결정질 형태 비), 그의 부피 평균 직경 D4,3, 그의 벌크 밀도 및 그의 비표면적의 관점에서 특성화하였다.
얻어진 결과가 표 1에 제공되어 있다. 판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첫 번째 열은 과립이 본 발명을 예시하고자 하는지("IN-X"), 그것이 비교용 과립인지("CP-X"), 또는 그것이 종래 기술을 예시하는 과립인지("AA-X")를 나타낸다.
1. 벌크 밀도의 결정. 시험하고자 하는 부형제의 벌크 밀도는 WHO(문헌[Document QAS/11.450 FINAL, 2012])에 의해 권장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2. 비표면적의 결정. 논문[BET Surface Area by Nitrogen Absorption by S. Brunauer et al.(Journal of American Chemical Society, 60, 309, 1938)]에 기재된 기법을 따름으로써, 분석에 적용된 생성물의 표면 상에의 질소의 흡수에 대한 시험에 기초한 비표면적 분석기(SA3100-유형 Beckman-Coulter)에 의해, 시험하고자 하는 부형제의 비표면적을 결정하였다. BET 분석을 3개의 지점에서 수행하였다.
3. α/β 비의 결정. 브롬화칼륨 펠릿 방법을 사용하여,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법에 의해 α/β 결정질 형태의 비를 결정하였다.
OMNIC 소프트웨어(Thermo Electron Corporation사)를 구비한 분광계(Nexus™ FT-IR, Nicolet사) 상에서 브롬화칼륨 펠릿 기법에 의해 샘플을 분석하였다. 20의 스캔 횟수 및 4 cm-1의 분해능이 기록된 스펙트럼 영역(3050 내지 2850 cm-1)을 사용하여, TQ-Analyst 소프트웨어(Thermo Electron Corporation사)에 의해 보정 및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L. Walter-Levy(문헌[Walter-Levy L. (23/12/1968). Cristallochimie. Sur les varietees cristallines du D-mannitol [Regarding the crystal varieties of D-mannitol]. C.R. Acad. Sc., Paris, t. 267, Series C, 1779-82])에 의해 제공된 설명에 의해 그와 같이 확인된 α 및 β 형태에 의해, 그리고 범위를 포함하는 이와 같은 2가지 형태의 5개의 물리적 혼합물(85, 65, 50, 35, 및 15%)에 의해 보정을 수행하였다. 이들 혼합물 및 순수한 형태들을 분석 전에 마고 막자사발 내에서 그라인딩하였다. 앞서의 보정을 사용하여 정량화를 얻었다.
4. 평균 직경의 결정. 시험하고자 하는 부형제의 평균 직경을 제조자의 기술 매뉴얼 및 설명서에 따라 그의 분말 분산 모듈(건조 공정)을 구비한 LS 13-320 장치(Beckman-Coulter사)에 의해 레이저 회절에 의해 측정하였다. 분산 슈트(dispersion chute)의 진동 세기 및 호퍼 스크류 속도의 작동 조건을, 광학 농도가 4% 내지 12%가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상적으로는 그것이 8%가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결정하였다. 회절 입자 크기 분석기의 측정 범위는 0.04 ㎛ 내지 2000 ㎛였다. 결과는 부피%로 계산되고, ㎛로 표현하였다. 부피 평균 직경(산술 평균) D4,3의 값을 입자 크기 분포 곡선으로부터 결정하였다.
5. 정제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윤활제의 최소량의 결정. 정제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윤활제의 최소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증가하는 양의 윤활제를 사용한 분체상 조성물을 직접 압축에 의해 압축하였으며, 이는 실시예에 대한 소개에서 포인트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각각의 시험을 위하여, 10개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윤활제의 최소량은 그것에 대하여 (ⅰ) 결합 또는 어떠한 라미네이션도 명백하지 않고, (ⅱ) 측정된 배출력이 1000 N 미만이 되게 하는 양이다.
얻어진 결과가 표 1에 제공되어 있다.
공정 과립 특성 윤활
Ref 입구 온도 출구 온도 상대 습도 αCy α/β 비 벌크
밀도
부피
평균
직경 D4,3
비표면적 윤활제의 최소량 (%)
IN-1 190℃ 69℃ 20.3% 90° 50/50 510 g/l 163 ㎛ 1.10 ㎡/g 0.6%
IN-2 190℃ 71℃ 18.9 % 90° 50/50 517 g/l 172 ㎛ 1.25 ㎡/g 0.6%
CP-1 140℃ 48℃ 55.0% 110° 55/45 403 g/l 168 ㎛ 2.15 ㎡/g 1.0%
CP-2 160℃ 52℃ 45.2% 110° 60/40 426 g/l 175 ㎛ 2.10 ㎡/g 1.0%
CP-3 180℃ 62℃ 28.2% 110° 60/40 444 g/l 155 ㎛ 2.00 ㎡/g 1.0%
CP-4 220℃ 79.5℃ 13.3 % 110° 60/40 465 g/l 151 ㎛ 0.75 ㎡/g 1.0%
CP-5 310℃ 125℃ 2.6% 90° 90/10 500 g/l 172 ㎛ 0.20 ㎡/g 2.5%
CP-6 130℃ 44.8℃ 62.5% 90° 40/60 438 g/l 221 ㎛ 2.00 ㎡/g 1.5%
AA-1 특허 US 6 998 481 B2에 따른 공정 < 10/90 559 g/l 197 ㎛ 3.60 ㎡/g 1.2%
AA-2 특허 US 5 160 680 A에 따른 공정
15/90 682 g/l 449 ㎛ 0.40 ㎡/g 0.8%
AA-3 특허 US 5 573 777 A에 따른 공정 > 90/10 509 g/l 157 ㎛ 0.45 ㎡/g 2.0%
AA-4 / > 90/10 450 g/l 120 ㎛ 1.20 ㎡/g 2.0%
비교용 과립 CP-1 내지 CP-6 및 종래 기술 과립 AA-1 내지 AA-4는 정제의 생성을 위하여 0.8% 내지 2.5%의 윤활제의 양을 필요로 한다. 이들 과립은 실제로 불충분한 벌크 밀도 및/또는 불충분한 비표면적,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결정질 형태를 갖는다.
과립 CP-1 내지 CP-4에 대해 얻어진 결과는, 상세하게는, 상기 언급된 특허 출원 US 2012/0053249 A1에서 사용된 공정에서의 전분의 단순 제거가 본 발명의 과립의 특성들의 조합을 갖는 과립을 수득할 수 있게 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과립 IN-1 및 IN-2는 낮은 양의 윤활제를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윤활제 함량이 정제에서 감소될 수 있게 하며, 이는 이어서 상세하게는 개선된 맛을 갖게 한다.
실시예 2 -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의 특성
이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과립 IN-1 및 IN-2의 다른 특성들을 결정하였다. 얻어진 결과가 표 2에 제공되어 있다.
1. 타정성의 결정. 과립 IN-1 또는 IN-2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Barlocher 플랜트 스테아르산마그네슘, Wiga Pharma GmbH사)으로 이루어진 분체상 조성물을 직접 압축에 의해 압축하였다. 경도 시험기(Schleuniger Pharmatron 8M)를 사용하여 정제의 경도를 측정하였다. 이 경도는 부형제의 타정성에 상응한다.
2. 유동 등급의 결정. 유동 등급은 유럽 약전, 레퍼런스 "2.9.16. Flowability, 01/2005: 20916; equipment according to figure 2.9.16.-2"에 권장된 방법에 따라 결정하였다.
3. 마손도의 결정.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의 분말에 (Erweka 문서 레퍼런스: ref 11-3x5-3xxx 또는 ref 11-3x5-x3xx 또는 ref 11-3x5-4xxx 또는 ref 11-3x5-x4xx로부터 선택된) 연마 드럼(abrasion drum)을 구비한 마손도 시험기(Erweka TAR 220, Erweka사, 독일 호이젠스탐 63150 소재)에서 기계적 작용을 적용하였는데, 이때 연마 드럼은 25 rpm의 균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되고, 연마 드럼 내로는 직경이 17 ㎜이고 중량이 18.87 g인 5개의 동일한 강철 볼을 도입하였다. 입자 크기가 100 ㎛ 내지 200 ㎛인 15 g의 분말을 분쇄 챔버(crushing chamber) 내로 도입하였다. 이 장치를 15분 동안 회전시켰다. 메시 폭이 100 ㎛인 체 상에 잔류된 잔류물로 표시되는 중량 비율을 결정하였다. 마손도 값은 체에 의해 잔류되지 않은 분말의 백분율에 상응한다. 상기 언급된 체에 의해 잔류되지 않은 분말의 백분율이 더 높을수록, 마손도는 더 크다.
4. 건조 중량 손실의 결정. 건조 중량 손실은 유럽 약전, 레퍼런스 "2.2.32. Loss on drying, 07/2015: 20232"에 권장된 방법에 따라 결정하였다.
5. D-만니톨의 풍부도의 결정. 만니톨의 풍부도는 레퍼런스 문서 "Mannitol, 01/2014:0559"에서 유럽 약전에 의해 권장된 방법에 따라 결정하였다.
6. 탭핑 밀도의 결정. 탭핑 밀도는 WHO(문헌[Document QAS/11.450 FINAL, 2012])에 의해 권장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과립 IN-1 IN-2
타정성 107 N 112 N
유동 등급 5초 6초
마손도 37.6% 39.6%
건조 중량 손실 0.07% 0.10%
D-만니톨의 풍부도 98.5% 98.9%
탭핑 밀도 560 g/l 575 g/l
본 발명에 따른 과립은 정제의 산업적 생산을 위해 의도된 압축 부형제에 필요한 품질을 갖는다. 이것은 매트릭스의 올바른 충전, 즉 정밀한 양의 분말에 의한 균일하고 재현 가능한 충전을 가능하게 하고, 직접 압축에 사용되는 장비에서 올바르게 유동한다. 이것은 화학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안정하다. 이것은 충분히 응집력이 있어서, 수송될 수 있게 되고, 혼합물이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분말의 다른 성분들의 생체이용률을 방해하지 않고, 상세하게는 물과 접촉 시에, 올바르게 용해되는 정제를 수득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조성물의 성분들의 균질한 혼합을 가능하게 하고, 우수한 흡수 용량을 갖는다. 이것은, 정제가 섭취되는 것으로 의도될 때 요구되는 허용 가능한 질감 및 허용 가능한 맛을 갖는 정제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상업적 표준을 준수하는 포장 및 수송 비용을 발생시키며, 즉 수송되는 분말의 중량과 이 중량을 포장하는 데 필요한 부피 간에 우수한 비가 존재한다.

Claims (13)

  1.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의 제조 방법으로서,
    - 만니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a);
    - 단계 (a)에서 수득된 만니톨 용액을 다단계 분무-건조탑(1) 내에서 분무-건조시키는 단계 (b)로서, 미세분의 재순환을 포함하며,
    o 탑 출구에서의 상대 습도가 15% 내지 25%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o 다단계 분무-건조탑(1)은 정적 유동층(3)을 포함하는 원통형 하부 부분(2a), 원추대형 중간 부분(2b), 및 원통형 상부 부분(2c)으로 이루어진 챔버(2)를 포함하고; 원통형 상부 부분(2c)의 측벽과 챔버(2)의 지붕에 의해 형성된 각(αCy)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계;
    - 이렇게 수득된 과립을 회수하는 단계 (c)로 이루어진 방법이며,
    상기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은,
    - 상기 만니톨이 α 결정질 형태 및 β 결정질 형태 둘 모두 존재하고, α/β 비는 35/65 내지 65/35이고;
    - 상기 과립에는 과립상 전분이 부재하고;
    - 상기 과립은 부피 평균 직경 D4,3이 100 내지 200 ㎛이고;
    - 상기 과립은 벌크 밀도가 적어도 500 내지 550 g/l이고;
    - 상기 과립은 비표면적이 1.00 내지 1.50 ㎡/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의 제조 방법으로서,
    - 만니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a);
    - 단계 (a)에서 수득된 만니톨 용액을 다단계 분무-건조탑(1) 내에서 분무-건조시키는 단계 (b)로서, 미세분의 재순환을 포함하며,
    o 탑 출구에서의 상대 습도가 15% 내지 25%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o 다단계 분무-건조탑(1)은 정적 유동층(3)을 포함하는 원통형 하부 부분(2a), 원추대형 중간 부분(2b), 및 원통형 상부 부분(2c)으로 이루어진 챔버(2)를 포함하고; 원통형 상부 부분(2c)의 측벽과 챔버(2)의 지붕에 의해 형성된 각(αCy)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계;
    - 이렇게 수득된 과립을 회수하는 단계 (c)로 이루어진 방법이며,
    상기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은,
    - 상기 만니톨이 α 결정질 형태 및 β 결정질 형태 둘 모두 존재하고, α/β 비는 35/65 내지 65/35이고;
    - 상기 과립에는 과립상 전분이 부재하고;
    - 상기 과립은 부피 평균 직경 D4,3이 100 내지 200 ㎛이고;
    - 상기 과립은 벌크 밀도가 적어도 500 내지 550 g/l이고;
    - 상기 과립은 비표면적이 1.00 내지 1.50 ㎡/g 이고;
    - 상기 과립은 타정성이 100 내지 150 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의 제조 방법으로서,
    - 만니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a);
    - 단계 (a)에서 수득된 만니톨 용액을 다단계 분무-건조탑(1) 내에서 분무-건조시키는 단계 (b)로서, 미세분의 재순환을 포함하며,
    o 탑 출구에서의 상대 습도가 15% 내지 25%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o 다단계 분무-건조탑(1)은 정적 유동층(3)을 포함하는 원통형 하부 부분(2a), 원추대형 중간 부분(2b), 및 원통형 상부 부분(2c)으로 이루어진 챔버(2)를 포함하고; 원통형 상부 부분(2c)의 측벽과 챔버(2)의 지붕에 의해 형성된 각(αCy)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계;
    - 이렇게 수득된 과립을 회수하는 단계 (c)로 이루어진 방법이며,
    상기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은,
    - 상기 만니톨이 α 결정질 형태 및 β 결정질 형태 둘 모두 존재하고, α/β 비는 35/65 내지 65/35이고;
    - 상기 과립에는 과립상 전분이 부재하고;
    - 상기 과립은 부피 평균 직경 D4,3이 100 내지 200 ㎛이고;
    - 상기 과립은 벌크 밀도가 적어도 500 내지 550 g/l이고;
    - 상기 과립은 비표면적이 1.00 내지 1.50 ㎡/g 이고;
    - 상기 과립은 유동 등급이 4 내지 8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과립상 전분이 부재하는 정제로서,
    - 90.0% 내지 100.0%의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
    - 0.5 내지 0.7% 의 윤활제;
    - 0% 내지 9.3%의, 만니톨 및 윤활제 이외의 성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백분율은 건조 중량으로 표현되고, 그 합은 100%이며,
    상기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은,
    - 상기 만니톨이 α 결정질 형태 및 β 결정질 형태 둘 모두 존재하고, α/β 비는 35/65 내지 65/35이고;
    - 상기 과립에는 과립상 전분이 부재하고;
    - 상기 과립은 부피 평균 직경 D4,3이 100 내지 200 ㎛이고;
    - 상기 과립은 벌크 밀도가 적어도 500 내지 550 g/l이고;
    - 상기 과립은 비표면적이 1.00 내지 1.50 ㎡/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은 마손도가 2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은 건조 중량 손실이 중량 기준으로 0.00% 내지 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은 D-만니톨의 풍부도가 건조 중량 기준으로 95.0%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은 탭핑 밀도가 적어도 470 g/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제조된 만니톨 용액은 고형물 함량이 중량 기준으로 20% 내지 60%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 전에, 새로 형성된 과립을,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진동 유동층 위로 통과시킴으로써 냉각시키는 단계 (b')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0.6 내지 0.7%의 윤활제를 포함하는, 정제.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은 α/β 비가 45/55 내지 55/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결정질 만니톨의 비구형 과립은 α/β 비가 45/55 내지 55/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KR1020187001069A 2015-07-17 2016-07-15 직접 압축용 만니톨 과립 KR102631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6787A FR3038836B1 (fr) 2015-07-17 2015-07-17 Granules de mannitol pour compression directe
FR1556787 2015-07-17
PCT/FR2016/051820 WO2017013338A1 (fr) 2015-07-17 2016-07-15 Granules de mannitol pour compression direc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035A KR20180029035A (ko) 2018-03-19
KR102631002B1 true KR102631002B1 (ko) 2024-01-30

Family

ID=5447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069A KR102631002B1 (ko) 2015-07-17 2016-07-15 직접 압축용 만니톨 과립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828256B2 (ko)
EP (1) EP3324943B1 (ko)
JP (2) JP6941596B2 (ko)
KR (1) KR102631002B1 (ko)
CN (1) CN109348704B (ko)
AU (1) AU2016295192B2 (ko)
CA (1) CA2991739A1 (ko)
ES (1) ES2885866T3 (ko)
FR (1) FR3038836B1 (ko)
MX (1) MX2018000743A (ko)
PL (1) PL3324943T3 (ko)
WO (1) WO20170133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2857A1 (it) * 2019-02-27 2020-08-27 Ntc S R L Procedimento di riempimento di contenitori con una polvere
IT201900002859A1 (it) * 2019-02-27 2020-08-27 Ntc S R L Composizione e contenitore, kit, metodo d'uso
CN110172012A (zh) * 2019-07-06 2019-08-27 浙江华康药业股份有限公司 直接压片甘露醇的制备方法
CN110787722A (zh) * 2019-12-01 2020-02-14 浙江华康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结晶甘露醇干法造粒装置及工艺
FR3132522A1 (fr) * 2022-02-08 2023-08-11 Roquette Freres Granules de mannitol directement comprimable
WO2023151868A1 (fr) * 2022-02-08 2023-08-17 Roquette Freres Granules de mannitol directement comprimab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3713A1 (ja) 2002-06-10 2003-12-18 大日本製薬株式会社 速崩壊性錠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75768A (ja) * 2002-11-29 2004-06-24 Towa Yakuhin Kk 安定なオメプラゾール腸溶錠の製造法
JP2005520796A (ja) * 2001-12-17 2005-07-14 エスピーアイ・ファーマ・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固体剤形用の速溶性マトリックスとしての同時処理炭水化物の系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71046B1 (fr) 1984-10-03 1987-10-16 Roquette Freres Procede de preparation de mannitol granulaire directement compressible
FR2571045B1 (fr) 1984-10-03 1987-12-11 Roquette Freres Mannitol granulaire directement compressib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FR2710637B1 (fr) * 1993-09-28 1995-12-08 Roquette Freres Mannitol pulvérulent de friabilité modérée et son procédé de préparation.
DE10161402A1 (de) * 2001-12-13 2003-06-18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rekt tablettierbarem beta-Mannit
US8895141B2 (en) 2008-08-18 2014-11-25 Mitsubishi Shoji Foodtech Co., Ltd. Excipient for compressed tablets comprising novel spherical mannitol
JP2010070466A (ja) * 2008-09-16 2010-04-02 Kyoto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口腔内崩壊錠
FR2944971B1 (fr) * 2009-04-30 2012-09-07 Roquette Freres Coagglomerats de mannitol et d'amidon granulaire comprimables et a ecoulement libre
JP2012180280A (ja) 2009-05-28 2012-09-20 Daiichi Sankyo Co Ltd 貯蔵安定性が改善された固形製剤
ES2693081T3 (es) * 2013-09-30 2018-12-07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Procedimiento de producción selectiva de la forma cristalina alfa de D-manitol usando un procedimiento de secado por pulverización
CN104721188A (zh) 2013-12-20 2015-06-24 中美华世通生物医药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稳定的含苯甲酸阿格列汀的组合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0796A (ja) * 2001-12-17 2005-07-14 エスピーアイ・ファーマ・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固体剤形用の速溶性マトリックスとしての同時処理炭水化物の系
WO2003103713A1 (ja) 2002-06-10 2003-12-18 大日本製薬株式会社 速崩壊性錠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75768A (ja) * 2002-11-29 2004-06-24 Towa Yakuhin Kk 安定なオメプラゾール腸溶錠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4943B1 (fr) 2021-06-23
CN109348704B (zh) 2022-04-19
JP2018520192A (ja) 2018-07-26
WO2017013338A1 (fr) 2017-01-26
FR3038836B1 (fr) 2017-07-14
PL3324943T3 (pl) 2021-11-15
CN109348704A (zh) 2019-02-15
FR3038836A1 (fr) 2017-01-20
EP3324943A1 (fr) 2018-05-30
US20200085746A1 (en) 2020-03-19
US10828256B2 (en) 2020-11-10
MX2018000743A (es) 2018-08-15
JP6941596B2 (ja) 2021-09-29
AU2016295192A1 (en) 2018-03-01
CA2991739A1 (fr) 2017-01-26
AU2016295192B2 (en) 2021-09-09
ES2885866T3 (es) 2021-12-15
JP2021105035A (ja) 2021-07-26
KR20180029035A (ko) 2018-03-19
JP7198860B2 (ja)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1002B1 (ko) 직접 압축용 만니톨 과립
TWI600665B (zh) Low-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powder and its production method
US7939101B2 (en) Cellulose powder
US8968788B2 (en) Granules, tablets and granulation
JP5718231B2 (ja) エリスリトールの打錠
JP6803325B2 (ja) アルロースの製造方法及び錠剤の製造方法
JP5623275B2 (ja) 直接打錠可能なデキストロース
US9839610B2 (en) Orodispersible mannitol
US20170281550A1 (en) Compressible and free-flow co-agglomerates of mannitol and granular starch
JP5756749B2 (ja) 直接圧縮性および迅速崩壊性錠剤マトリックス
WO2017217491A1 (ja) 口腔内崩壊錠
JP6775155B2 (ja) 錠剤
US20130289055A1 (en) Compressible, highly viscous polysaccharide and polyol powder
JP2013502383A (ja) エリトリトールおよびイソマルトのタブレット化
FI81004C (fi) Binde- och utspaedningsmedel pao basis av xylitol och foerfarande foer dess framstaellning.
CN105555316B (zh) 通过二阶段的湿式制粒工序制备的崩解性颗粒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的口腔内崩解片剂
US20170189338A1 (en) Tableting agent having a low water cont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ES2720626T3 (es) Combinación de poliol compresible directamente
EP4061328B1 (en) Zonisamide orodispersible tablets
WO2020246120A1 (ja) 口腔内崩壊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70260295A1 (en) Solid preparation containing alkyl cellulos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