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336B1 -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336B1
KR102630336B1 KR1020210133802A KR20210133802A KR102630336B1 KR 102630336 B1 KR102630336 B1 KR 102630336B1 KR 1020210133802 A KR1020210133802 A KR 1020210133802A KR 20210133802 A KR20210133802 A KR 20210133802A KR 102630336 B1 KR102630336 B1 KR 102630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unmanned
vending machine
information
sa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1343A (ko
Inventor
신상혁
Original Assignee
(주)사온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사온나 filed Critical (주)사온나
Priority to KR1020210133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336B1/ko
Publication of KR2023005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입주민들의 성향을 파악하여 커뮤니티센터에 밀키트, 음료 등의 다양한 식품을 판매하는 무인자판기들을 설치 및 관리함으로써 입주민들이 배달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식품들을 스스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Food sale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ty centers in apartments using unmanned vending machines}
본 발명은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입주민들의 성향을 파악하여 커뮤니티센터에 밀키트, 음료 등의 다양한 식품을 판매하는 무인자판기들을 설치 및 관리함으로써 입주민들이 배달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식품들을 스스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IT 산업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건비 상승과 심야 시간대의 효율적인 운영 등의 이유로 인해 무인 점포나 무인 판매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코비드 19의 영향으로 대면 거래가 힘든 상황에서, 언택트 기술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무인판매시스템이나, 무인판매시스템이 배치된 매장이 국내외에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국내외 주요 이커머스 사업체는 무인매장 사업확장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는데, 예를 들어, 미국의 아마존은 무인점포 ‘아마존 고’를 런칭하고 무인운영점포의 규모를 확대하는 기술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중국의 무인편의점 시장규모 역시 2022년에는 약 293조 9,4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국내 또한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등 대형 유통채널에서의 무인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무인 점포 또는 무인판매시스템은 주로 커피 전문점이나 아이스크림 전문점 등과 같이 특정 상품(제품)을 판매하는 매장에서 한정적으로 운영되었으나, 최근에는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무인판매시스템의 발달과 함께 자동판매기의 활용 또한 다양화되고 있는데, 기존의 커피 등 음료와, 라면, 도시락 등은 물론 일반음식점이나 배달 및 편의점 등을 통해서만 구매가 가능하던 다양한 종류의 밀키트 제품들이 무인자판기를 통해 판매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아파트 단지 내에서의 오토바이 배달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이 증가하여 단지 내에서의 오토바이 배달을 금지시키는 아파트가 발생하는 등 오토바이 배달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도 아파트 입주민들이 다양한 식품들을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식품 구매 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86946호 (2021. 08. 02.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에 각종 밀키트(meal kit), 음료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식품들을 판매하는 무인자판기들을 설치 및 관리함으로써 입주민들이 배달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식품들을 스스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주민들의 구매 성향 분석을 통해 판매하는 식품의 종류, 수량 및 입고시기 등의 조정이 가능하고, 입주민들에게 판매하는 식품의 종류, 재고정보, 입고시간 등을 입주민 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웃 아파트와의 네트워크 연계를 통해 이웃 아파트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입주민에게 전송함으로써 입주민들이 보다 다양한 식품들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에 설치되는 식품 무인자판기와, 상기 식품 무인자판기에서 판매되는 식품정보들을 포함하는 입주민 앱이 설치된 구매자 단말기와, 상기 입주민 앱을 통해 입주민들에게 식품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식품 무인자판기에서 판매되는 식품들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식품정보는 식품 무인자판기에서 판매되는 식품의 종류, 종류별 재고 및 종류별 입고시기를 포함하고, 상기 입주민 앱을 통해 신규 식품의 판매요청 및 구매식품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무인자판기에 판매되는 식품을 공급하는 판매자가 소지하는 판매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판매자가 판매하는 식품별 재고정보를 파악하여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는, 아파트 입주민과 판매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부와,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에 설치된 식품 무인자판기들을 관리하는 자판기관리부와, 식품 무인자판기와의 무선통신에 의해 각 식품들의 판매정보 및 재고정보를 수신하여 구매자 단말기 및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식품 무인자판기에서 판매되는 각 식품들의 재고정보를 관리하는 재고관리부와, 각 식품들의 판매정보 및 재고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분석 및 평가하는 분석 및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회원관리부, 자판기관리부 및 재고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정보들과, 상기 분석 및 평가부에서 분석 및 평가된 내용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이웃하는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에 구비된 관리서버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이웃하는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의 식품 무인자판기에서 판매되고 있는 식품에 대한 정보를 구매자 단말기의 입주민 앱으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입주민 앱을 통한 요청이 있는 경우 이웃하는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의 임시출입증을 발급해주는 임시출입증 발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방법은,
아파트 커뮤니티센터 내에 식품 무인자판기 및 관리서버를 설치하여 식품판매를 준비하는 판매준비단계와, 아파트 입주민들에게 식품 무인자판기를 통해 판매되는 식품의 종류, 종류별 재고현황 및 입고시기를 포함하는 식품 정보들을 제공하고, 식품을 판매하는 판매 및 정보제공단계와, 식품 무인자판기를 통해 판매되는 각 식품들의 판매정보 및 재고정보와, 식품을 구매한 입주민들로부터 수신한 만족도 평가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이용한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하는 정보분석 및 평가단계와, 상기 정보분석 및 평가단계에서 분석 및 평가된 내용들을 이용하여 각 식품들의 재입고 여부, 신규 식품의 입고 여부, 입고수량 및 입고시기를 포함하는 식품 공급 및 관리정보를 결정하는 식품선정 및 재입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판매준비단계는, 아파트 입주민들에게 입주민 앱을 배포하여 입주민 앱을 통해 식품 무인자판기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식품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하는 수요조사단계와, 상기 수요조사단계를 통해 선정된 식품들을 공급할 판매자를 선정하는 판매자 선정단계와, 선정된 판매자들에게 입고할 식품들의 종류, 수량 및 입고시기를 통보하여 판매할 식품들이 입고되도록 하는 식품 입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판매 및 정보제공단계에서는, 관리서버를 통해 이웃하는 아파트 커뮤니티센터 내에 설치된 무인 식품자판기에서 판매되는 식품정보들을 수신하여 입주민 앱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매 및 정보제공단계는, 판매자로부터 공급된 각 식품들의 입고수량과, 식품 무인판매기를 통해 판매된 각 식품들의 판매수량의 비교를 통해 식품별 재고정보를 확인 및 관리하는 재고파악단계와, 입주민 앱을 통한 입주민들의 요청이 있는 경우 관리서버에서 이웃하는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의 임시출입증을 발급하여 입주민 앱을 통해 전송하는 임시출입증 발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분석 및 평가단계는, 식품 무인자판기를 통해 판매되는 각 식품들의 판매정보 및 재고정보를 이용하여 일정기간 동안의 각 식품들의 판매량을 확인하는 판매량 확인단계와, 확인된 각 식품별 판매량을 요일별, 날씨별, 계절별로 분석하여 시기에 따른 입주민들의 선호도를 분석하는 시기별 분석단계 및 분석된 각 식품별 선호도와 입주민 앱으로부터 수신한 입주민들의 만족도 및 신규식품신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식품별로 평가하고, 분석 및 평가된 내용들을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평가 및 입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주민들이 배달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에서 다양한 식품들을 스스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식품들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주민 앱을 통한 정보제공 및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의 의사소통에 의해 입주민들의 기호가 신속하게 반영될 수 있고, 식품 공급처를 아파트 인근의 맛집 등으로 한정할 경우 주변 상권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므로, 지역 경제 발전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아파트 입주민들의 성향을 파악하여 커뮤니티센터에 밀키트, 음료 등의 다양한 식품을 판매하는 무인자판기들을 설치 및 관리함으로써 입주민들이 배달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식품들을 스스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10)(이하,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10)'이라 한다)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식품 무인자판기(100), 관리서버(200) 및 구매자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식품 무인자판기(100)는 아파트의 커뮤니티센터(20) 내에 설치되어 라면, 떡볶이 등의 분식류나 커피, 주류 등을 포함하는 음료 및 김밥 등 각종 도시락, 고기류, 생선류, 탕류 및 찌개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밀키트(meal kit) 제품들을 입주민들에게 판매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당 아파트의 입주민 수 및 소비형태 등을 고려하여 커뮤니티센터(20) 내에 설치되는 식품 무인자판기(100)의 대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식품 무인자판기(100)를 이용한 식품의 구매방법, 결제방법 및 인증방법 등은 기존에 공지된 무인자판기들을 이용한 다양한 구매방법, 결제방법 및 인증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바가 아니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관리서버(200)는 식품 무인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식품들을 관리하고, 판매되는 식품들에 대한 정보들을 입주민들에게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구매자 단말기(300)는 아파트 입주민들이 소지하는 것으로, 통상의 스마트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매자 단말기(300)에는 입주민 앱(310)이 설치되어, 입주민들은 상기 입주민 앱(310)을 통해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식품 무인판매기에서 판매되고 있는 식품에 대한 정보, 즉 식품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구매자 단말기(300)의 입주민 앱(310)으로 전송되는 식품정보로는 식품 무인자판기(100)에서 판매되는 식품의 종류, 식품종류별 재고현황, 식품종류별 입고시기 및 추후 입고 예정인 식품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후술하겠지만 이웃하는 아파트의 커뮤니티센터(20)에서 판매되고 있는 식품들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주민들은 상기 입주민 앱(310)을 통해 식품 무인자판기(100)에서 판매하기를 희망하는 식품, 즉 신규 식품에 대한 판매 요청을 할 수 있고, 구매한 식품들에 대한 만족도 평가결과를 전송하여 관리서버(200)에서 식품 무인자판기(100)를 통해 판매하고 있는 식품들에 대한 재입고 여부를 결정하는데 활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10)은 판매자 단말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판매자 단말기(400)는 식품 무인자판기(100)에서 판매되는 식품을 공급하는 판매자들이 소지하는 것으로 마찬가지로 통상의 스마트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판매자 단말기(400)에는 판매자 앱(41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관리서버(200)는 각 판매자들이 판매하는 식품별 재고정보를 파악하여 판매자 앱(410)으로 전송함으로써 판매자들이 해당 식품의 공급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자들은 판매자 앱(410)을 통해 관리서버(200)에 식품 구매요청을 할 수도 있으며, 관리서버(200)에서는 입주민들의 평가결과와 각 식품들의 판매량 정보 등을 이용한 분석을 통해 해당 식품의 재입고 여부 및 입고시기 등을 결정하여 판매자 앱(410)을 통해 통보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10)은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 내에 설치되는 식품 무인자판기(100)들을 통해 입주민들에게 다양한 식품들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으로, 입주민들은 입주민 앱(310)을 통해 판매되는 식품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거나, 판매를 희망하는 식품들을 신청하여 원하는 식품들을 배달 등을 통하지 않고 직접 구매할 수 있을 수 있으므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식품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식품 무인자판기(100)를 통한 식품의 판매는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에 구비되는 관리서버(200)에 의해 관리되는데, 상기 관리서버(200)는 회원관리부(210), 자판기관리부(220), 통신부(230), 재고관리부(240), 분석 및 평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회원관리부(210)는 구매자인 아파트 입주민들의 정보와 식품 무인자판기(100)에 식품을 공급하는 판매자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식품 무인자판기(100)가 외부인의 출입이 제한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구매자의 경우 최소한의 정보만으로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판매자의 정보로는 판매하는 식품의 종류 및 가격과 판매자의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구매자인 아파트 입주민들의 평가결과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자판기관리부(220)는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 내에 설치된 식품 무인자판기(100)들을 관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자판기관리부(220)에서 관리되는 내용으로는 각 식품 무인자판기(100)들에서 판매될 수 있는 식품의 종류, 정상작동 여부, 고장 및 수리이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통신부(230)는 각 식품 무인자판기(100)와 구매자 단말기(300) 및 판매자 단말기(4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식품 무인자판기(100)에서 판매되는 식품들의 판매정보 및 재고정보 등을 수신하여 구매자 단말기(300) 및 판매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230)는 관리서버(200)에서 파악한 식품 정보들을 구매자 단말기(300) 및 판매자 단말기(400)에 각각 구비된 입주민 앱(310) 및 판매자 앱(410)에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입주민 앱(310) 및 판매자 앱(410)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들을 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통신부(230)는 이웃하는 아파트의 커뮤니티센터(20)에 구비되는 관리서버(200)의 통신부(230)와 통신할 수도 있는데, 이는 입주민들이 자신의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에 설치된 식품 무인자판기(100)에서는 판매되지 않지만, 이웃하는 아파트의 커뮤니티센터(20)에 설치된 식품 무인자판기(100)에서는 판매되고 있는 식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인구가 밀집된 대도시 지역에서는 도보 이동이 가능한 근거리 지역에 서로 다른 아파트 단지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고, 각 아파트 단지의 커뮤니티센터(20)에 설치되는 식품 무인자판기(100)에서는 해당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입주민들이 선호하는 식품을 판매하게 되므로, 아파트 별로 입고되어 식품 무인자판기(100)에서 판매되는 식품의 종류가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각 아파트의 커뮤니티센터(20)에 구비되는 관리서버(200)들은 통신부(230)를 통해 식품 무인자판기(100)에서 판매되는 식품들의 종류를 공유하여 각 아파트에 거주하는 입주민들이 소지하는 구매자 단말기(300)의 입주민 앱(310)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입주민들이 자신의 기호에 맞는 보다 다양한 식품들을 구매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재고관리부(240)는 식품 무인판매기에서 판매되는 식품들의 재고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매자로부터 공급된 각 식품들의 입고수량과, 식품 무인판매기를 통해 판매된 각 식품들의 판매수량의 비교를 통해 식품별 재고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재고관리부(240)를 통해 확인된 식품별 재고정보는 통신부(230)를 통해 입주민 앱(310)과 판매자 앱(4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분석 및 평가부(250)는 재고관리부(240)에서 확인되는 각 식품들의 판매정보 및 재고정보와 입주민 앱(310)으로부터 입력되는 구매식품에 대한 만족도 평가 등을 포함하는 정보들을 이용한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분석 및 평가를통해 각 식품들에 대한 입주민들의 선호도, 판매동향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및 평가부(250)에서는 각 식품들에 대한 선호도 및 판매량을 요일별, 날씨별 및 계절별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 및 평가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분석 및 평가결과는 각 식품들의 재입고 여부, 입고수량, 입고시기 등을 결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6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데이터베이스(260)는 회원관리부(210), 자판기관리부(220) 및 재고관리부(240)에서 관리되는 정보들과, 상기 분석 및 평가부(250)에서 분석 및 평가된 내용들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데이터베이스(260)는 구매자, 즉 아파트 입주민과 판매자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DB. 식품 무인자판기(100)들의 고장이력, 수리이력 등의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자판기DB, 각 식품 무인자판기(100)에서 판매되는 식품들의 재고정보를 저장하는 재고DB 및 상기 분석 및 평가부(250)에서의 분석 및 평가결과를 저장하는 평가D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200)는 딥러닝 학습프로그램을 구비한 인공지능학습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딥러닝 학습프로그램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되는 내용들의 반복학습에 의해 식품 무인자판기(100)를 통해 판매되는 식품들의 관리, 즉 재입고 여부, 입고수량 및 입고시기 결정 등의 관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200)는 임시출입증 발급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임시출입증 발급부(270)는 이웃하는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의 임시출입증을 발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입주민 앱(310)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식품이 이웃하는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의 식품 무인자판기(100)에서 판매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경우, 구매자는 입주민 앱(310)을 통해 이웃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의 임시출입증 발급을 요청하고, 상기 임시출입증 발급부(270)에서는 이웃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의 임시출입증을 발급하여 통신부(230)를 통해 신청자의 입주민 앱(310)으로 전송함으로써 구매자가 이웃 아파트의 커뮤니티센터(20)에 별도의 추가절차 없이 출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시출입증은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의 출입 용도로만 사용될 수 있으며, 출입횟수 또는 출입가능시간의 설정에 의해 일시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방법은 전술한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아파트 입주민들에게 식품 무인자판기(100)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판매준비단계(S10), 판매 및 정보제공단계(S20), 정보분석 및 평가단계(S30), 식품선정 및 재입고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판매준비단계(S10)는 아파트의 커뮤니티센터(20) 내에 식품 무인자판기(100) 및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관리서버(200)를 설치하여 식품판매를 준비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수요조사단계(S12), 판매자 선정단계(S14) 및 식품 입고단계(S1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수요조사단계(S12)는 해당 아파트에 거주하는 입주민들을 대상으로 하여 식품 무인자판기(100)를 이용하여 판매할 경우 구매 의향이 있는 식품들의 수요를 조사하는 과정으로, 입주민들이 구비하는 스마트폰 등의 구매자 단말기(300)에 설치될 수 있는 입주민 앱(310)을 통해 수요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요조사 과정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지만, 식품 무인자판기(100)의 판매 활성화를 위해서는 판매를 시작하기 전에 수요조사를 통해 입주민들의 기호식품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판매자 선정단계(S14)는 수요조사를 통해 선정된 식품들을 공급할 판매자를 선정하는 단계로, 가급적 아파트의 주변에 있는 맛집 등을 대상으로 섭외하여 아파트 주변 상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매자 선정단계(S14)에서는 식품을 공급하는 판매자들의 신청을 받을 수도 있는데, 관리서버(200)에서는 판매자들이 구비하는 스마트폰 등의 판매자 단말기(400)에 설치될 수 있는 판매자 앱(410)을 통한 식품 공급 신청을 받은 후, 아파트로부터의 거리, 식품의 맛, 가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각 식품별 최적의 판매자를 선정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식품 입고단계(S16)는 판매자 선정단계(S14)에서 선정된 판매자들에게 입고할 식품들의 종류, 수량 및 입고시기 등의 정보를 통보하여 판매할 식품들이 정해진 시간에 입고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상기와 같은 정보들은 관리서버(200)의 통신부(230)를 통해 판매자 앱(410)으로 통보될 수 있다.
입고된 식품들을 식품 무인자판기(100) 내에 배치하면 판매준비단계(S10)가 완료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아파트 입주민들의 수 및 식품 무인판매기의 이용 정도에 따라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 내에 설치되는 식품 무인판매기의 설치 대수가 달라질 수 있다.
다음, 상기 판매 및 정보제공단계(S20)는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 내에 설치된 식품 무인자판기(100)를 이용한 식품 판매를 진행하고, 아파트 입주민들에게 식품 무인자판기(100)를 통해 판매되는 식품의 종류, 종류별 재고현황 및 입고시기를 포함하는 식품 정보들을 제공하는 단계로, 관리서버(200)에 구비된 통신부(230)는 식품 무인자판기(100)에서 판매되는 식품의 종류, 종류별 재고 및 종류별 입고시기를 포함하는 식품정보들을 구매자 단말기(300)에 구비된 입주민 앱(310)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 및 정보제공단계(S20)에서는 관리서버(200)를 통해 이웃하는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 내에 설치된 식품 무인자판기(100)에서 판매되는 식품정보 즉, 식품의 종류, 종류별 재고 및 종류별 입고시기를 포함하는 식품정보들을 수신하여 입주민 앱(310)으로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주민들이 자신의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에 설치된 식품 무인자판기(100)에서는 판매되지 않지만, 이웃하는 아파트의 커뮤니티센터(20)에 설치된 식품 무인자판기(100)에서는 판매되고 있는 식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판매 및 정보제공단계(S20)는 재고파악단계(S22)와 임시출입증 발급단계(S2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재고파악단계(S22)는 각 식품 무인판매기에서 판매되는 식품들의 재고정보를 확인 및 관리하는 과정으로, 관리서버(200)의 재고관리부(240)에서는 판매자로부터 공급된 각 식품들의 입고수량과, 식품 무인판매기를 통해 판매된 각 식품들의 판매수량의 비교를 통해 식품별 재고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임시출입증 발급단계(S24)는 입주민의 요청에 의해 이웃하는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의 임시출입증을 발급해주는 단계로, 입주민은 입주민 앱(310)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식품이 이웃하는 아파트의 커뮤니티센터(20) 내에 설치된 식품 무인자판기(100)에서 판매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면, 입주민 앱(310)을 이용하여 관리서버(200)에 이웃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의 임시출입증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200)의 임시출입증 발급부(270)에서는 입주민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이웃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의 임시출입증을 발급하여 해당 입주민의 입주민 앱(310)으로 전송함으로써 입주민이 이웃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에 설치된 식품 무인자판기(10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상기 정보분석 및 평가단계(S30)는 식품 무인자판기(100)를 통해 판매되는 각 식품들에 대한 판매동향 및 선호도 등을 분석 및 평가하는 과정으로, 상기 관리서버(200)의 분석 및 평가부(250)에서는 식품 무인자판기(100)를 통해 판매되는 각 식품들의 판매정보 및 재고정보와, 식품을 구매한 입주민들로부터 수신한 만족도 평가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이용한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정보분석 및 평가단계(S30)는 판매량 확인단계(S32), 시기별 분석단계(S34), 평가 및 입력단계(S36)를 포함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판매량 확인단계(S32)는 식품 무인자판기(100)를 통해 판매되는 각 식품들의 입고정보, 판매정보 및 재고정보 등을 이용하여 일정기간 동안의 각 식품들의 판매량을 확인하는 단계로, 식품별 판매량 확인을 통해 입주민들이 선호하는 식품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식품 무인자판기(100) 내에서의 위치와 판매량과의 관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시기별 분석단계(S34)는 판매량 확인단계(S32)에서 확인된 각 식품별 판매량을 요일별, 날씨별, 계절별로 분석하여 시기에 따른 입주민들의 선호도를 분석하는 과정으로, 상기와 같은 분석 결과는 요일, 날씨, 계절 등 시기에 따른 식품 무인판매기를 통해 판매될 식품의 종류 선정 및 식품의 입고수량 및 시기의 결정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평가 및 입력단계(S36)는 시기별 분석단계(S34)에서 분석된 각 식품별 선호도와 입주민 앱(310)으로부터 수신한 입주민들의 만족도 및 신규식품신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식품별로 평가하고, 분석 및 평가된 내용들을 관리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되는 내용들은 관리서버(200)의 인공지능학습부에 구비된 딥러닝 학습프로그램에 의해 반복학습되어 식품 무인자판기(100)를 통해 판매되는 식품들의 관리, 즉 재입고 여부, 입고수량 및 입고시기 결정 등의 관리의 자동화에 활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식품선정 및 재입고단계(S40)는 정보분석 및 평가단계(S30)에서 분석 및 평가된 내용들을 이용하여 식품 공급 및 관리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로, 상기 식품 공급 및 관리정보에는 각 식품들의 재입고 여부, 신규 식품의 입고 여부, 입고수량 및 입고시기, 식품 무인자판기(100)의 위치, 식품 무인자판기(100) 내에서의 식품들의 배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식품들의 입고시기는 이웃하는 아파트에 공급되는 식품들의 입고시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는데, 이는 재고소진으로 인해 구매자들이 원하는 식품을 구매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이웃하는 A,B 두 아파트에 동일한 식품이 입고되는 경우, A 아파트와 B 아파트의 해당 식품 입고시기를 오전,오후로 구분하거나 1~2 일 정도 다르게 함으로써 A 아파트에서 해당 식품이 모두 판매된 경우, A 아파트의 입주민들이 B 아파트의 식품 무인자판기(100)를 이용하여 식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파트 별로 선호하는 식품이나 구매성향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식품 무인자판기(100)에서 판매되는 식품들의 배치는 해당 아파트의 입주민 성향에 따라 달리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입주민들이 배달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아파트 커뮤니티센터(20)에서 다양한 식품들을 스스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식품들을 구매할 수 있고, 입주민 앱(310)을 통한 정보제공 및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의 의사소통에 의해 입주민들의 기호가 신속하게 반영될 수 있으며, 판매자를 아파트 인근의 맛집 등으로 한정할 경우 주변 상권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므로, 지역 경제 발전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식품이 아닌 다른 제품을 무인자판기를 이용하여 판매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입주민들의 성향을 파악하여 커뮤니티센터에 밀키트, 음료 등의 다양한 식품을 판매하는 무인자판기들을 설치 및 관리함으로써 입주민들이 배달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식품들을 스스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10 :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20 : 커뮤니티센터
100 : 식품 무인자판기 200 : 관리서버
210 : 회원관리부 220 : 자판기관리부
230 : 통신부 240 : 재고관리부
250 : 분석 및 평가부 260 : 데이터베이스
270 : 임시출입증 발급부 300 : 구매자 단말기
310 : 입주민 앱 400 : 판매자 단말기
410 : 판매자 앱
S10 : 판매준비단계 S12 : 수요조사단계
S14 : 판매자 선정단계 S16 : 식품 입고단계
S20 : 판매 및 정보제공단계 S22 : 재고파악단계
S24 : 임시출입증 발급단계 S30 : 정보분석 및 평가단계
S32 : 판매량 확인단계 S34 : 시기별 분석단계
S36 : 평가 및 입력단계 S40 : 식품선정 및 재입고단계

Claims (11)

  1.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에 설치되는 식품 무인자판기와,
    상기 식품 무인자판기에서 판매되는 식품정보들을 포함하는 입주민 앱이 설치된 구매자 단말기와,
    상기 입주민 앱을 통해 입주민들에게 식품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식품 무인자판기에서 판매되는 식품들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서버는,
    아파트 입주민과 판매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부와,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에 설치된 각 식품 무인자판기들에서 판매될 수 있는 식품의 종류, 정상작동 여부, 고장 및 수리이력을 포함하는 내용의 관리를 통해 식품 무인자판기들을 관리하는 자판기관리부와,
    식품 무인자판기와의 무선통신에 의해 각 식품들의 판매정보 및 재고정보를 수신하여 구매자 단말기 및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식품 무인자판기에서 판매되는 각 식품들의 재고정보를 관리하는 재고관리부와,
    각 식품들의 판매정보와 재고정보 및 입주민 앱으로부터 입력되는 구매식품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각 식품들에 대한 선호도 및 판매량을 요일별, 날씨별 및 계절별로 분류하여 분석 및 평가하여 각 식품들에 대한 입주민들의 선호도와 판매동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분석 및 평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이웃하는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에 구비된 관리서버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이웃하는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의 식품 무인자판기에서 판매되고 있는 식품에 대한 정보를 구매자 단말기의 입주민 앱으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입주민 앱을 통한 요청이 있는 경우 이웃하는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의 임시출입증을 발급해주는 임시출입증 발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정보는 식품 무인자판기에서 판매되는 식품의 종류, 종류별 재고 및 종류별 입고시기를 포함하고,
    상기 입주민 앱을 통해 신규 식품의 판매요청 및 구매식품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무인자판기에 판매되는 식품을 공급하는 판매자가 소지하는 판매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판매자가 판매하는 식품별 재고정보를 파악하여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회원관리부, 자판기관리부 및 재고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정보들과, 상기 분석 및 평가부에서 분석 및 평가된 내용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아파트 커뮤니티센터 내에 식품 무인자판기 및 관리서버를 설치하여 식품판매를 준비하는 판매준비단계와,
    상기 관리서버를 이용하여 아파트 입주민들에게 식품 무인자판기를 통해 판매되는 식품의 종류, 종류별 재고현황 및 입고시기를 포함하는 식품 정보 및 이웃하는 아파트 커뮤니티센터 내에 설치된 무인 식품자판기에서 판매되는 식품정보들을 입주민 앱으로 제공하고, 식품을 판매하는 판매 및 정보제공단계와,
    식품 무인자판기를 통해 판매되는 각 식품들의 판매정보 및 재고정보와, 식품을 구매한 입주민들로부터 수신한 만족도 평가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이용한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하는 정보분석 및 평가단계와,
    상기 정보분석 및 평가단계에서 분석 및 평가된 내용들을 이용하여 각 식품들의 재입고 여부, 신규 식품의 입고 여부, 입고수량 및 입고시기를 포함하는 식품 공급 및 관리정보를 결정하는 식품선정 및 재입고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판매 및 정보제공단계는,
    판매자로부터 공급된 각 식품들의 입고수량과, 식품 무인판매기를 통해 판매된 각 식품들의 판매수량의 비교를 통해 식품별 재고정보를 확인 및 관리하는 재고파악단계와,
    입주민 앱을 통한 입주민들의 요청이 있는 경우 관리서버에서 이웃하는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의 임시출입증을 발급하여 입주민 앱을 통해 전송하는 임시출입증 발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품선정 및 재입고단계에서는 이웃하는 아파트에 공급되는 식품들의 입고시기를 고려하여 식품들의 입고시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준비단계는,
    아파트 입주민들에게 입주민 앱을 배포하여 입주민 앱을 통해 식품 무인자판기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식품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하는 수요조사단계와,
    상기 수요조사단계를 통해 선정된 식품들을 공급할 판매자를 선정하는 판매자 선정단계와,
    선정된 판매자들에게 입고할 식품들의 종류, 수량 및 입고시기를 통보하여 판매할 식품들이 입고되도록 하는 식품 입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분석 및 평가단계는,
    식품 무인자판기를 통해 판매되는 각 식품들의 판매정보 및 재고정보를 이용하여 일정기간 동안의 각 식품들의 판매량을 확인하는 판매량 확인단계와,
    확인된 각 식품별 판매량을 요일별, 날씨별, 계절별로 분석하여 시기에 따른 입주민들의 선호도를 분석하는 시기별 분석단계 및
    분석된 각 식품별 선호도와 입주민 앱으로부터 수신한 입주민들의 만족도 및 신규식품신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식품별로 평가하고, 분석 및 평가된 내용들을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평가 및 입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방법.
KR1020210133802A 2021-10-08 2021-10-08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30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802A KR102630336B1 (ko) 2021-10-08 2021-10-08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802A KR102630336B1 (ko) 2021-10-08 2021-10-08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343A KR20230051343A (ko) 2023-04-18
KR102630336B1 true KR102630336B1 (ko) 2024-01-30

Family

ID=86100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802A KR102630336B1 (ko) 2021-10-08 2021-10-08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3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230B1 (ko) * 2023-05-24 2024-04-19 (주)어반엘티 입주민용 플랫폼 제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2297A (ja) * 2001-12-11 2003-08-29 Japan Tobacco Inc 自動販売機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販売分析方法
KR101229333B1 (ko) * 2012-05-25 2013-02-07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및 출입 인증 방법
KR101662153B1 (ko) * 2015-04-01 2016-10-05 (주)에스앤브이 지역 특산물 기반 자동 판매기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8621A (ko) * 2019-08-07 2021-02-18 주식회사 퍼플랩스 무인스토어 상품 입출고 관리 방법
KR102302872B1 (ko) * 2019-08-07 2021-09-17 주식회사 퍼플랩스 무인스토어 구매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286946B1 (ko) 2020-11-10 2021-08-09 주식회사 페이즈커뮤 무인 자판기 상품 구매 및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2297A (ja) * 2001-12-11 2003-08-29 Japan Tobacco Inc 自動販売機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販売分析方法
KR101229333B1 (ko) * 2012-05-25 2013-02-07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및 출입 인증 방법
KR101662153B1 (ko) * 2015-04-01 2016-10-05 (주)에스앤브이 지역 특산물 기반 자동 판매기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343A (ko)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44278B (zh) 一种基于物联网搜索的商品供销运营系统与方法
US201603216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sales channel in a brick and mortar store
US93904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sales strategy optimization
KR20170004149A (ko) 수익 분배가 가능한 회원제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20180055749A (ko) 원격 제어 가능한 물품 디스펜싱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KR102630336B1 (ko)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70034B1 (ko) 도매업과 소매업이 웹으로 연동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시스템
CN110603563A (zh) 用于向顾客提供葡萄酒的系统及方法、该系统中使用的服务器装置及程序
KR20150145487A (ko) 마케팅 전략에 따른 판매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1527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product sales channel
KR101738987B1 (ko) 클러스터 기반의 온라인 판매 서비스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5521B1 (ko) 온라인을 통해 판매되는 제품의 가격결정방법
KR101928234B1 (ko) 가변적 상품 유통 가격 기반의 유통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유통 가격 관리 방법
JP6025590B2 (ja) 自動販売機管理システム
KR101720700B1 (ko) 대리점 온-오프 라인 통합 고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2682B1 (ko) 전자쿠폰 서비스 방법 - 동태적 가격관리 및 현금결제 운영 시스템
KR20150081384A (ko) 주방용품 및 식품기자재의 온라인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57447B1 (ko) 계란 경매 유통 시스템
KR101754633B1 (ko) 수요자 맞춤형 자동 가격 변동식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46246B1 (ko) 비콘을 이용한 화장품 이용 관리 시스템
KR102237215B1 (ko) 인터넷 공유몰 운영 방법
KR102653234B1 (ko)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102489028B1 (ko) 유통기한 알림 및 추적 기능을 갖는 제품 관리 시스템
KR102411856B1 (ko) 스마트 쇼핑 시스템 및 방법
US202302524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and managing tire invent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