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856B1 - 스마트 쇼핑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쇼핑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856B1
KR102411856B1 KR1020200085058A KR20200085058A KR102411856B1 KR 102411856 B1 KR102411856 B1 KR 102411856B1 KR 1020200085058 A KR1020200085058 A KR 1020200085058A KR 20200085058 A KR20200085058 A KR 20200085058A KR 102411856 B1 KR102411856 B1 KR 102411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sumer
store
delivery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7190A (ko
Inventor
문병국
Original Assignee
문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국 filed Critical 문병국
Priority to KR1020200085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856B1/ko
Publication of KR20220007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7Return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스마트 쇼핑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은, 지역 판매자의 단말기인 판매자 단말기와 지역 소비자의 단말기인 소비자 단말기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판매자 단말기와 상기 소비자 단말기 사이의 정보를 관리하고 처리하는 스마트 쇼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쇼핑 시스템은,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역 판매자의 정보인 판매자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도록 형성되는 판매자 관리부;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역 소비자의 정보인 소비자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도록 형성되는 소비자 관리부; 및 상기 지역 판매자와 상기 지역 소비자 사이의 물품 배송을 관리하도록 형성되는 배송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 관리부는, 상기 물품 배송을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제1배송 정보 및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제2배송 정보를 이용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쇼핑 시스템 및 방법{Smart shopp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 쇼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역 판매자와 지역 소비자를 연결시켜줄 수 있는 O2O(Online to offline)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 및 배송 서비스의 발달로 언택트(Untact) 문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Covid-19)의 전세계적 전파로 인하여 타인과의 접촉 자체가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사람들 사이의 접촉이 더욱 감소하고 대부분의 필요한 물품을 인터넷 쇼핑 등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주문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은, 온라인 쇼핑과 관련된 특정 산업군의 성장을 가져오고 있으며, 특히 배송업체 및 온라인 쇼핑몰의 성장을 이끌어간다는 장점이 존재하는 반면에 온라인 쇼핑으로의 전환을 유연하게 수행하기 힘든 영세한 지역의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들의 경우, 오프라인 고객의 감소로 인해 경쟁이 불가능 해진다는 문제점이 동시에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91288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를 제공하여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소비자를 연결해줌으로써 소비자가 기존의 온라인 전용 매장(사이트)에서 와는 다르게, 바로 구매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복수의 물건들을 선택하여, 당일에 곧바로 집이나 원하는 장소로 받아서, 직접 물건을 확인하고 착용(피팅)까지도 해본 후, 선택적으로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쇼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 쇼핑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은, 지역 판매자의 단말기인 판매자 단말기와 지역 소비자의 단말기인 소비자 단말기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판매자 단말기와 상기 소비자 단말기 사이의 정보를 관리하고 처리하는 스마트 쇼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쇼핑 시스템은,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역 판매자의 정보인 판매자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도록 형성되는 판매자 관리부;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역 소비자의 정보인 소비자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도록 형성되는 소비자 관리부; 및 상기 지역 판매자와 상기 지역 소비자 사이의 물품 배송을 관리하도록 형성되는 배송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 관리부는, 상기 물품 배송을 관리하기 위하여 제1배송 정보 및 제2배송 정보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판매자 관리부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역 판매자의 매장 인증 요청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매장별로 매장 ID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매장 인증 모듈; 상기 매장 ID별로 상기 매장의 정보인 매장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아 획득하는 매장 정보 획득 모듈; 상기 매장 ID별 물품 보유 정보를 각각의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소비자 관리부로부터 물품 주문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물품 보유 정보 및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처리하는 물품 정보 처리 모듈;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배송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배송 관리부 및 상기 판매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제1배송 정보 제공 모듈; 및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된 상기 매장에서의 물품 판매 통계를 처리하고 제공하는 물품 판매 통계 제공 모듈;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매장 정보는, 상기 인증된 상기 매장의 위치, 영업 시간, 업종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 보유 정보는, 상기 물품의 보유 종류, 재고, 홀딩량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물품 정보 처리 모듈은, 상기 물품 보유 정보에서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증감한 나머지 정보를 새로운 물품 보유 정보로 갱신하며, 상기 물품 보유 정보 중 상기 홀딩량은,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물품 주문 정보 중 홈피팅 요청 정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배송 정보는, 상기 물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배송 희망 주소, 배송 희망 시간, 배송 희망 물품 종류 및 배송 희망 물품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물품 판매 통계는,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소비자 관리부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소비자의 정보를 전달받아 가입자 ID를 부여하는 소비자 가입 모듈; 상기 소비자 단말기의 위치 또는 기 저장된 상기 소비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매장 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매장 정보 제공 모듈;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입자 ID 및 선택된 상기 매장 ID를 포함하는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매장 ID를 획득하고,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상기 판매자 관리부로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물품 주문 정보 처리 모듈;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배송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배송 관리부에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제2배송 정보 제공 모듈; 및 상기 가입자 ID별 상기 물품 주문 정보 및 상기 소비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을 통한 개인별 물품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개인화 정보 관리 모듈;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매장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상기 매장 정보를 가지는 상기 매장 ID별 상기 물품 보유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물품 주문 정보 처리 모듈은,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상기 홈피팅 요청 정보, 구매 요청 정보, 구매 확정 정보, 반품 요청 정보 및 반송 요청 정보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배송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물품 주문 정보가 상기 반품 요청 정보 또는 상기 반송 요청 정보인 경우 상기 제2배송 정보를 생성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배송 정보는 상기 물품의 반품 또는 반송 발송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배송 관리부는, 상기 제1배송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배송 희망 주소 및 상기 배송 희망 시간을 배송자 단말기로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제1배송 정보 처리 모듈; 및 상기 제2배송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반품 또는 반송 발송 위치 및 시간을 상기 배송자 단말기 및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제2배송 정보 처리 모듈;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은,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역 판매자와 지역 소비자 사이에서 정보를 관리하고 처리하는 스마트 쇼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쇼핑 방법은, 상기 판매자의 정보인 판매자 정보 및 상기 소비자의 정보인 소비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판매자 정보 및 상기 소비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비자에게 상기 판매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자로부터 물품 주문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판매자로부터 상기 물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물품을 상기 소비자에게 배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소비자에게 배송하는 단계는, 상기 물품 주문 정보에 따라 상기 소비자가 상기 물품을 상기 판매자에게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판매자 정보 및 상기 소비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자의 매장 인증 요청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매장별로 매장 ID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매장 ID별로 상기 매장의 정보인 매장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자의 가입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소비자별로 가입자 ID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판매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 ID별 물품 보유 정보를 각각의 상기 매장으로부터 전달받는 단계; 상기 소비자의 위치 또는 기 저장된 상기 소비자의 가입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매장 정보를 상기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자에게 제공된 상기 매장 정보를 가지는 상기 매장 ID별 상기 물품 보유 정보를 상기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매장 정보는 상기 인증된 상기 매장의 위치, 영업 시간, 업종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 보유 정보는, 상기 물품의 보유 종류, 재고, 홀딩량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물품을 상기 소비자에게 배송하는 단계는, 상기 소비자로부터 상기 물품 주문 정보 및 해당 매장의 상기 매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매장의 상기 물품 보유 정보 및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제1배송 정보를 생성하고, 배송자 및 상기 판매자에 상기 제1배송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배송 정보는, 상기 물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배송 희망 주소, 배송 희망 시간, 배송 희망 물품 종류 및 배송 희망 물품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물품 보유 정보 및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소비자로부터 획득한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물품 보유 정보에서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증감한 나머지 정보를 새로운 물품 보유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물품 보유 정보 중 상기 홀딩량은, 상기 물품 주문 정보 중 홈피팅 요청 정보인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물품 주문 정보는 상기 홈피팅 요청 정보, 구매 요청 정보, 구매 확정 정보, 반품 요청 정보 및 반송 요청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물품을 상기 판매자에게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물품 주문 정보에 상기 반품 요청 정보 또는 반송 요청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반품 요청 정보 또는 반송 요청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소비자로부터 상기 제2배송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배송자 및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제2배송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배송 정보는 상기 물품의 반품 또는 반송 발송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판매자의 매장별 물품 판매 통계 및 상기 소비자의 개인별 물품 구매 통계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매자의 매장별 물품 판매 통계는,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장 ID별로 획득되고, 상기 소비자의 개인별 물품 구매 통계는,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ID별로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개인별 물품 구매 통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가입자 ID별 상기 물품 주문 정보 및 상기 소비자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을 통한 개인별 물품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 및 방법은, 오프라인 전문 판매 매장과 소비자를 온라인으로 연결시켜 온라인으로도 쇼핑을 유도함으로써 지역 판매자들의 영업을 강화하고 지역 상권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 및 방법은, 소비자가 기존의 온라인 전용 매장(사이트)에서 와는 다르게, 상품을 바로 구매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복수의 상품들을 선택하여, 당일에 곧바로 집이나 원하는 장소로 받아서, 직접 상품들을 확인하고 체험(피팅)까지도 해본 후, 선택적으로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여 더욱 안전하고 신속하며 정확하게 쇼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 및 방법은, 이것은 지역의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들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새로운 방법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매출증대 및 영업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 및 방법은, 소비자의 구매 데이터를 누적 학습하여 소비자와 매장에 각각 개인화된 큐레이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맞춤형 쇼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포함하는 쇼핑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 중 판매자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 중 소비자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송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관리부에서 매장을 소비자에게 매칭시키는 방법을 지도에 간단히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 중 판매자 정보 및 소비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 중 판매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 중 소비자에게 물품을 배송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을 배송하는 단계 중 물품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 중 물품을 판매자에게 발송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 중 통계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포함하는 쇼핑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 중 판매자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 중 소비자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송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관리부에서 매장을 소비자에게 매칭시키는 방법을 지도에 간단히 나타낸 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매장을 옷 판매 매장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되는 설명과 유사한 개념을 가지는 다른 모든 오프라인 매장에 적용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120)을 포함하는 쇼핑 시스템(100)이 도시되고 있다. 쇼핑 시스템(100)은, 판매자 단말기(110)와 소비자 단말기(130) 사이에 본 발명의 스마트 쇼핑 시스템(120)이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쇼핑 시스템(100)은, 지역 판매자와 지역 소비자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스마트 쇼핑 시스템(120)은, 특히, 지역 판매자의 단말기인 판매자 단말기(110)와 지역 소비자의 단말기인 소비자 단말기(130) 사이에 형성되어 판매자 단말기(110)와 소비자 단말기(130) 사이의 정보를 관리하고 처리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120)은, 판매자 관리부(121), 소비자 관리부(123) 및 배송 관리부(125)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판매자 관리부(121)는 판매자 단말기(110)로부터 지역 판매자의 정보인 판매자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도록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판매자 관리부(121)는 매장 인증 모듈(210), 매장 정보 획득 모듈(220),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 제1배송 정보 제공 모듈(240) 및 물품 판매 통계 제공 모듈(250)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매장 인증 모듈(210)은, 판매자 단말기(110)로부터 지역 판매자의 매장 인증 요청 정보를 전달받아 매장별로 매장 ID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매장 인증 모듈(210)은, 판매자 단말기(110)로부터 매장 인증 요청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매장이 판매에 필요한 요건을 갖추고 있는지, 그리고 정상적으로 판매를 수행하고 있는 매장인지 확인한 후, 정상 매장인 경우 해당 매장에 매장 ID를 제공함으로써 매장을 인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예로 매장 인증 모듈(210)은, 사업자 등록 번호 등 객관적으로 해당 매장의 영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매장 인증 요청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매장 정보 획득 모듈(220)은 인증된 매장별로 매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형성된다. 매장 정보 획득 모듈(220)은, 매장 인증 모듈(210)을 통해 매장 ID를 부여 받은 인증된 매장별로 매장의 영업과 관련된 정보인 매장 정보를 판매자 단말기(1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매장 정보는 매장의 위치, 영업 시간 및 업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은, 물품 보유 정보 및 물품 주문 정보를 처리하도록 형성된다.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은 매장 인증 모듈(210)을 통해 인증된 매장별로 각각 보유하고 있는 물품의 정보인 물품 보유 정보를 판매자 단말기(110)를 통해 전달받고, 후술되는 소비자 관리부(123)로부터 물품 주문 정보를 전달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은, 물품 보유 정보와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물품 정보를 처리하고, 물품 주문 정보로 인하여 변경되는 물품 보유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며, 물품 주문이 가능한 경우 배송 가능 정보를 후술되는 제1배송 정보 제공 모듈(24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물품 보유 정보는, 물품의 보유 종류, 재고, 홀딩량, 사이즈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물품 주문 정보는 홈피팅 또는 구매 주문 종류, 사이즈,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쉬운 이해를 위해,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이 A 매장의 물품 보유 정보를 전달받아 분석한 결과 하기 표 1과 같은 물품 보유 정보가 나타나고 있다고 가정한다.
C옷 D옷 E옷 F옷
S 3(1) 2(3) 4(0) 2(0)
M 4(0) 6(5) 3(2) 1(4)
L 0(1) 3(2) 7(4) 2(2)
XL 0(0) 0(4) 3(5) 1(1)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A 매장에는 C옷, D옷, E옷 및 F옷으로 표현되는 4종류의 의류가 존재한다. 또, 의류의 사이즈는 S, M, L 및 XL로 표현되는 4종류의 사이즈가 존재하며, 각각의 재고량이 표에 표시되고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재고량 중 괄호 바깥의 숫자는 현재 매장에 보유되고 있는 재고량이며, 괄호 안의 숫자는 현재 홈피팅 중인, 다시 말해 홀딩중인 홀딩량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이 전달받은 물품 주문 정보를 분석하여 D옷 M사이즈 1벌 홈피팅이라는 정보를 획득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은 상기 표 1의 D옷 M사이즈의 재고량을 확인한 후, 재고량이 6이기 때문에 재고가 있으며, 홈피팅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후술되는 제1배송 정보 제공 모듈(240)에 배송 가능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후,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은, 물품 주문 정보로 인해 변동된 물품 보유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다. D옷의 M사이즈 재고량 중 하나는 소비자가 홈피팅을 하기 위해 주문을 한 상태이기 때문에, 해당 재고는 홀딩량으로 변경되고, 재고량은 하나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D옷의 M사이즈의 보유량은 상기 표 1의 6(5)에서 5(6)으로 변동되게 될 수 있다.
한편,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에서 물품 주문 정보를 분석한 결과, D옷 XL사이즈 1벌 홈피팅이라는 정보를 획득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은 상기 표 1의 D옷 XL사이즈의 재고량을 확인한 후, 재고량이 0이기 때문에 재고가 없으며, 홈피팅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은 설정에 따라, 소비자에게 단순 주문 불가 정보를 제공해줄 수도 있으며, 현재 홀딩량이 4벌이기 때문에 홀딩종료시 홀딩 종료 정보를 제공해줄 수도 있고, 재고량이 추가되는 재입고가 되는 경우 재입고 정보를 제공해줄 수도 있다.
제1배송 정보 제공 모듈(240)은,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제1배송 정보를 생성하며, 판매자 단말기(110) 및 배송 관리부(125)에 제1배송 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제1배송 정보 제공 모듈(240)은, 물품 주문 정보 중 배송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판매자 단말기(110) 및 배송 관리부(125)로 제공하여 물품이 소비자에게 배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배송 정보 제공 모듈(240)은 일 예로, 상술한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에서 생성되는 배송 가능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 제1배송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배송 정보는, 물품 주문 정보에 포함되는 배송 희망 주소, 배송 희망 시간, 배송 희망 물품 종류 및 배송 희망 물품 개수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품 판매 통계 제공 모듈(250)은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매장별 물품 판매 통계를 처리하고 제공하기 위해 형성된다. 물품 판매 통계 제공 모듈(250)은, 매장별로 어떤 물품이 가장 잘 팔리는지, 어느 시간대에 가장 주문이 많은지, 어떤 사이즈의 물품이 가장 인기있는지 등을 분석하기 위해 통계를 획득하고, 획득한 통계를 이용하여 판매자에게 물품 보유량 등을 추천해주는 큐레이션을 제공하거나 매장의 매출 성향 및 고객 별 선호도를 제공하여, 판매자가 소비자에게 상품을 추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120)의 판매자 관리부(121)는, 홈피팅 회수 처리 모듈(도면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홈피팅 회수 처리 모듈은, 소비자가 홈피팅을 하고 반송하는 물품을 회수하여 소비자의 홈피팅을 평가하도록 형성된다.
소비자가 홈피팅을 수행하여 물품의 상태가 훼손되는 경우, 일반적인 경우에는 판매자가 소비자의 과실로 발생한 손해를 일방적으로 책임져야 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홈피팅 회수 처리 모듈은,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홈피팅 후 회수된 물품의 상태를 점검하고, 소비자의 홈피팅 매너 등을 평가하거나 기록하여 판매자 단말기(110) 및 후술되는 개인화 정보 관리 모듈(350)에 해당 정보를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소비자 관리부(123)는 소비자 단말기(130)로부터 지역 소비자의 정보인 소비자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도록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소비자 관리부(123)는 소비자 가입 모듈(310), 매장 정보 제공 모듈(320), 물품 주문 정보 처리 모듈(330), 제2배송 정보 제공 모듈(340) 및 개인화 정보 관리 모듈(350)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소비자 가입 모듈(310)은 소비자 단말기(130)로부터 소비자의 정보를 전달받아 가입자 ID를 부여하기 위해 형성된다. 소비자 가입 모듈(310)은 소비자가 매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가입 신청을 한 소비자들에게 각각의 ID를 부여할 수 있다.
매장 정보 제공 모듈(320)은 소비자 단말기(130)에 매장 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매장 정보 제공 모듈(320)은 설정에 따라 소비자 단말기(130)의 현재 위치 또는 기 저장된 위치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에서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인증된 매장의 정보를 소비자 단말기(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기 저장된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소비자 가입 모듈(310)을 통해 전달받은 소비자의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A 위치는 현재 소비자 단말기(130)의 위치를 나타내며, B 위치는 기 저장된 위치를 나타낸다.
매장 정보 제공 모듈(320)은 각각의 위치를 확인하면, 해당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 반경(거리)을 가지는 원을 형성하며, 형성된 영역에 존재하는 매장 정보를 획득하여 소비자 단말기(130)에 전달함으로써, 소비자가 원하는 지역에서의 인증 매장을 소비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또, 매장 정보 제공 모듈(320)은, 매장 정보만이 아니라, 해당 매장의 물품 보유 정보를 함께 소비자 단말기(130)에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매장을 선택하고, 선택한 매장의 물품 보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쇼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매장 정보 제공 모듈(320)은, 획득한 물품 보유 정보를 소비자 단말기(130)에 일정 기준을 가지고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물품을 먼저 확인한 후, 확인한 물품을 보유하고 있는 매장을 더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물품 주문 정보 처리 모듈(330)은, 소비자 단말기(130)로부터 물품 주문 정보를 전달받아 처리하도록 형성된다. 물품 주문 정보 처리 모듈(330)은, 물품 주문 정보를 전달받아 분석하여 물품 주문 정보를 전송한 소비자 단말기(130)에 로그인 된 가입자 ID, 물품 주문을 위해 선택한 매장 ID를 획득하고,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로 물품 주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로 제공되는 물품 주문 정보는 홈피팅 요청 정보, 구매 요청 정보, 구매 확정 정보, 반품 요청 정보 및 반송 요청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분류로 구분될 수 있다.
홈피팅 요청 정보는, 소비자가 홈피팅을 위해서 요청하는 정보이며, 홈피팅은 상품을 구매하지 않고 집으로 하나 이상의 상품을 받아서 구매 전 확인하는 것으로, 해당 정보는 상술한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로 전달되면 재고량을 홀딩량으로 변경시키는 정보이다.
구매 요청 정보는 소비자가 구매를 위해서 요청하는 정보로, 해당 정보는 상술한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로 전달되면 재고량만 감소시키도록 하는 정보이다.
구매 확정 정보는, 소비자가 홈피팅을 수행한 물품을 구매 확정하기 위해서 요청하는 정보로, 해당 정보는 상술한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로 전달되면 홀딩량만 감소시키도록 하는 정보이다.
반품 요청 정보는, 소비자가 구매 요청한 물품을 반품하기 위해서 요청하는 정보로, 해당 정보는 상술한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로 전달되면, 재고량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정보이다.
반송 요청 정보는, 소비자가 홈피팅 요청한 물품을 반송하기 위해서 요청하는 정보로, 해당 정보는 상술한 물품 정보 처리 모듈(230)로 전달되면, 홀딩량을 재고량으로 변경시키도록 하는 정보이다.
여기서, 물품 주문 정보 처리 모듈(330)은 물품 주문 정보가 반품 요청 정보인 경우 후술되는 제2배송 정보 제공 모듈(340)로도 물품 주문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제2배송 정보 제공 모듈(340)은 물품 주문 정보 처리 모듈(330)로부터 전달된 물품 주문 정보인 반품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제2배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2배송 정보는,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물품의 반품 발송 위치, 시간 및 반품되는 물품의 도착 매장 정보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인화 정보 관리 모듈(350)은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별 물품 구매 통계를 처리하고 제공하기 위해 형성된다. 개인화 정보 관리 모듈(350)은, 개인이 어떤 매장에서 어떤 물품을 구매하였는지, 어느 시간대에 가장 주문을 많이 하였는지, 반품율이 높은 물품의 종류는 무엇인지 등을 분석하기 위해 통계를 획득하고, 획득한 통계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구매한 물품과 유사한 물품 및 매장을 추천해주는 큐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인화 정보 관리 모듈(350)은, 소비자 평가를 더 획득할 수 있다. 개인화 정보 관리 모듈(350)은, 판매자 관리부(120) 중 홈피팅 회수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해당 소비자에 대한 매장의 평가를 수집하고, 수집한 매장의 평가를 이용하여 소비자를 평가한다. 이때, 소비자 평가를 통해 블랙리스트로 지정된 소비자의 경우, 해당 정보를 판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매장에서 해당 소비자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배송 관리부(125)는 지역 판매자와 지역 소비자 사이의 물품 배송을 관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관리부(125)는 제1배송 정보 처리 모듈(410) 및 제2배송 정보 처리 모듈(420)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배송 정보 처리 모듈(410)은 제1배송 정보를 전달받아 판매자 단말기(110) 및 배송자 단말기로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제1배송 정보 처리 모듈(410)은, 제1배송 정보를 이용하여 판매자 단말기(110) 및 배송자 단말기에 배송 희망 주소, 배송 희망 시간 및 배송 출발 매장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배송자가 주문된 물품을 소비자가 원하는 시간에 배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배송 정보 처리 모듈(420)은, 제2배송 정보를 전달받아 판매자 단말기(110) 및 배송자 단말기로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제2배송 정보 처리 모듈(420)은, 제2배송 정보를 이용하여 판매자 단말기(110) 및 배송자 단말기에 반품 또는 반송의 발송 위치, 발송 시간 및 도착 매장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판매자 및 배송자가 반품되는 물품을 소비자가 원하는 시간에 반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시스템(120)은, 결제부(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결제부는, 판매자 단말기(110)와 소비자 단말기(130) 사이의 결제 정보를 처리하도록 형성된다. 결제부는, 소비자 단말기(130)에서 구매 확정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해당 구매 확정 정보를 분석하여 물품의 종류, 가격, 개수 등을 획득하고, 해당 물품 구매에 따른 결제 대금 중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판매자 단말기(110)로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 중 판매자 정보 및 소비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 중 판매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 중 소비자에게 물품을 배송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을 배송하는 단계 중 물품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 중 물품을 판매자에게 발송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 중 통계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고 있는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장치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600)은,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역 판매자와 지역 소비자 사이에서 정보를 관리하고 처리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600)은, 판매자 정보 및 소비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610), 소비자에게 판매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620),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물품을 배송하는 단계(S630) 및 소비자가 물품을 판매자에게 발송하는 단계(S640)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먼저, 스마트 쇼핑 방법은,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이용하여 판매자의 정보인 판매자 정보와 소비자의 정보인 소비자 정보를 등록한다(단계 S610).
이를 위해 단계 S6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 ID를 제공하는 단계(S710), 매장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720) 및 가입자 ID를 부여하는 단계(S730)를 포함할 수 있다.
쇼핑 시스템이 판매자로부터 매장 인증 요청 정보를 제공받아 매장별로 매장 ID를 공급한다(단계 S710). 단계 S710은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이용하여 판매자로부터 매장 인증 요청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매장이 자격요건을 갖추고 정상적으로 판매를 수행하고 있는 매장인지 확인한 후, 정상 매장인 경우 해당 매장에 매장 ID를 제공함으로써 매장을 인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예로 스마트 쇼핑 시스템이 사업자 등록 번호 등 객관적으로 해당 매장의 영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매장 인증 요청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매장 ID 별로 매장의 정보인 매장 정보를 등록한다(단계 S720). 단계 S720에서는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계 S710에서 매장 ID를 부여받은 인증된 매장별로 매장의 영업과 관련된 정보인 매장 정보를 판매자로부터 획득하여 등록한다.
이때, 매장 정보는 매장의 위치, 영업 시간 및 업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가입 정보를 전달받아 소비자별로 가입자 ID를 부여한다(단계 S730).
단계 S730에서는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이용하여 소비자가 매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가입 신청을 한 소비자들에게 각각의 ID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다음으로 본 발명의 스마트 쇼핑 방법은,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판매자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620). 단계 S620에서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이용하면 판매자 정보 및 소비자 정보를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판매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계 S620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매장 ID별 물품 보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810), 매장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820) 및 물품 보유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830)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매장 ID별 물품 보유 정보를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각의 매장으로부터 전달받는다(단계 S810).
본 발명의 스마트 쇼핑 방법은,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이용하여, 판매자로부터 인증된 매장별로 각각 보유하고 있는 물품의 정보인 물품 보유 정보를 전달받는다. 전달받은 물품 보유 정보는, 매장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물품 보유 정보는, 물품의 보유 종류, 재고, 홀딩량, 사이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적어도 하나의 매장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한다(단계 S820).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은, 설정에 따라 소비자의 현재 위치 또는 기 저장된 위치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에서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인증된 매장의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기 저장된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단계 S610을 통해 전달받은 소비자의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A 위치는 현재 소비자의 위치를 나타내며, B 위치는 기 저장된 위치를 나타낸다.
스마트 쇼핑 시스템이 각각의 위치를 확인하면, 해당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 반경(거리)을 가지는 원을 형성하며, 형성된 영역에 존재하는 매장 정보를 획득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소비자가 원하는 지역에서의 인증 매장을 소비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쇼핑 방법은, 매장 ID별로 물품 보유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한다(단계 S830).
본 발명의 스마트 쇼핑 방법은, 매장 위치만이 아니라, 매장 정보에 포함된 해당 매장의 물품 보유 정보를 함께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매장을 선택하고, 선택한 매장의 물품 보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해당 매장들의 전체 물품 보유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함으로써 간편하게 쇼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음으로 스마트 쇼핑 방법은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물품을 배송한다(단계 S630). 스마트 쇼핑 방법은,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이용하여 물품 주문 정보를 전달받아 판매자로부터 물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물품을 소비자에게 배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계 S6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910), 물품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S920), 및 제1배송 정보를 생성하고 전달하는 단계(S9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소비자로부터 물품 주문 정보 및 해당 매장의 매장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910).
여기서, 물품 주문 정보는 홈피팅 또는 구매 주문 종류, 사이즈,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매장의 물품 보유 정보 및 물품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 정보를 처리한다(단계 S920).
단계 S92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은,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이용하여 물품 보유 정보 및 물품 주문 정보를 처리한다.
이를 위해 단계 S9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주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1010) 및 물품 보유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S10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사용하여 소비자로부터 획득한 물품 주문 정보를 확인한다(단계 S1010).
단계 S101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은,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이용하여 물품 주문 정보를 전달받아 분석하여 물품 주문 정보를 전송한 소비자의 가입자 ID, 물품 주문을 위해 소비자가 선택한 매장 ID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물품 주문 정보는 홈피팅 요청 정보, 구매 요청 정보, 구매 확정 정보 및 반품 요청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분류로 구분될 수 있다.
홈피팅 요청 정보는, 소비자가 홈피팅을 위해서 요청하는 정보로 아직은 구매하는 것이 아니며, 해당 정보는 재고량을 홀딩량으로 변경시키는 정보이다.
구매 요청 정보는 소비자가 구매를 위해서 요청하는 정보로, 해당 정보는 재고량만 감소시키도록 하는 정보이다.
구매 확정 정보는, 소비자가 홈피팅을 수행한 물품을 구매 확정하기 위해서 요청하는 정보로, 홀딩량만 감소시키도록 하는 정보이다.
반품 요청 정보는, 소비자가 구매 요청한 물품을 반품하기 위해서 요청하는 정보로, 재고량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정보이다.
반송 요청 정보는, 소비자가 홈피팅 요청한 물품을 반송하기 위해서 요청하는 정보로, 홀딩량을 재고량으로 변경시키도록 하는 정보이다.
다음으로, 스마트 쇼핑 방법은, 물품 보유 정보와 물품 주문 정보를 비교하고 물품 보유 정보를 변경한다(단계 S1020).
단계 S1020에서, 스마트 쇼핑 방법은, 물품 보유 정보와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물품 정보를 처리하고, 물품 주문 정보로 인하여 변경되는 물품 보유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다.
상술된 단계 S920의 보다 쉬운 이해를 위해, 스마트 쇼핑 방법에서 B 매장의 물품 보유 정보를 전달받아 분석한 결과 하기 표 2와 같은 물품 보유 정보가 나타나고 있다고 가정한다.
G옷 H옷 I옷 J옷
S 3(2) 2(3) 7(0) 4(2)
M 4(2) 6(6) 6(4) 0(3)
L 2(1) 0(2) 5(2) 3(0)
XL 0(1) 4(4) 0(0) 7(2)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B 매장에는 G옷, H옷, I옷 및 J옷으로 표현되는 4종류의 의류가 존재한다. 또, 의류의 사이즈는 S, M, L 및 XL로 표현되는 4종류의 사이즈가 존재하며, 각각의 재고량이 표에 표시되고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재고량 중 괄호 바깥의 숫자는 현재 매장에 보유되고 있는 재고량이며, 괄호 안의 숫자는 현재 홈피팅 중인, 다시 말해 홀딩중인 홀딩량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단계 S920에서 스마트 쇼핑 시스템이 전달받은 물품 주문 정보를 분석하여 H옷 M사이즈 1벌 홈피팅이라는 정보를 획득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스마트 쇼핑 시스템은 상기 표 2의 H옷 M사이즈의 재고량을 확인한 후, 재고량이 6이기 때문에 재고가 있으며, 홈피팅이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쇼핑 시스템은, 물품 주문 정보로 인해 변동된 물품 보유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다. H옷의 M사이즈 재고량 중 하나는 소비자가 홈피팅을 하기 위해 주문을 한 상태이기 때문에, 해당 재고는 홀딩량으로 변경되고, 재고량은 하나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H옷의 M사이즈의 보유량은 상기 표 2의 6(6)에서 5(7)로 변동되게 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1010에서 물품 주문 정보를 확인한 결과, I옷 XL사이즈 1벌 홈피팅이라는 정보를 획득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 표 2의 I옷 XL사이즈의 재고량을 확인하면, 재고량이 0이기 때문에 홈피팅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920에서는 설정에 따라, 소비자에게 단순 주문 불가 정보를 제공해줄 수도 있으며, 현재 홀딩량이 4벌이기 때문에 홀딩종료시 홀딩 종료 정보를 제공해줄 수도 있고, 재고량이 추가되는 재입고가 되는 경우 재입고 정보를 제공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단계 S920에서는 물품 주문이 가능한 경우 배송 가능 정보를 더 생성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쇼핑 방법은,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제1배송 정보를 생성하고, 배송자에 제1배송정보를 전달한다(단계 S930).
단계 S930에서는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제1배송 정보를 생성하여 배송자에게 제1배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쇼핑 방법은 물품 주문 정보 중 배송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물품이 소비자에게 배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계 S920에서 더 생성되는 배송 가능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 제1배송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배송 정보는, 물품 주문 정보에 포함되는 배송 희망 주소, 배송 희망 시간, 배송 희망 물품 종류 및 배송 희망 물품 개수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배송자가 주문된 물품을 소비자가 원하는 시간에 배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에서는 물품 주문 정보에 따라 소비자가 물품을 판매자에게 발송할 수도 있다(단계 S640). 이를 위해 단계 S64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주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1110) 및 제2배송 정보를 전달받아 배송자에게 제2배송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쇼핑 방법은, 단계 S111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홈피팅 요청 정보, 구매 요청 정보, 구매 확정 정보 및 반품 요청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분류로 구분되는 물품 주문 정보를 확인하여 반품 요청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한다.
반품 요청 정보가 포함된 경우, 스마트 쇼핑 방법은, 소비자로부터 제2배송 정보를 전달받아 배송자에게 제2배송 정보를 전달한다(단계 S1120).
여기서 제2배송 정보는,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물품의 반품 발송 위치, 시간 및 반품되는 물품의 도착 매장 정보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배송자가 반품되는 물품을 소비자가 원하는 시간에 반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쇼핑 방법(6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별 물품 판매 통계 및 개인별 물품 구매 통계를 획득하는 단계(S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의 매장별 물품 판매 통계는,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매장 ID별로 획득되고, 소비자의 개인별 물품 구매 통계는,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 ID별로 획득될 수 있다.
매장별 물품 판매 통계는 매장별로 어떤 물품이 가장 잘 팔리는지, 어느 시간대에 가장 주문이 많은지, 어떤 사이즈의 물품이 가장 인기있는지 등을 분석한 통계이며, 매장별 물품 판매 통계를 이용하여 판매자에게 물품 보유량 등을 추천해주는 큐레이션을 제공하거나 매장의 매출 성향 및 고객 별 선호도를 제공하여, 판매자가 소비자에게 상품을 추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개인별 물품 구매 통계는 개인이 어떤 매장에서 어떤 물품을 구매하였는지, 어느 시간대에 가장 주문을 많이 하였는지, 반품율이 높은 물품의 종류는 무엇인지 등을 분석한 통계이며, 개인별 물품 구매 통계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구매한 물품과 유사한 물품 및 매장을 추천해주는 큐레이션인 개인별 물품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10: 판매자 단말기 120: 스마트 쇼핑 시스템
121: 판매자 관리부 123: 소비자 관리부
125: 배송 관리부 130: 소비자 단말기
210: 매장 인증 모듈 220: 매장 정보 획득 모듈
230: 물품 정보 처리 모듈 240: 제1배송 정보 제공 모듈
250: 물품 판매 통계 제공 모듈 310: 소비자 가입 모듈
320: 매장 정보 제공 모듈 330: 물품 주문 정보 처리 모듈
340: 제2배송 정보 제공 모듈 350: 개인화 정보 관리 모듈
410: 제1배송 정보 처리 모듈 420: 제2배송 정보 처리 모듈

Claims (20)

  1. 지역 판매자의 단말기인 판매자 단말기와 지역 소비자의 단말기인 소비자 단말기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판매자 단말기와 상기 소비자 단말기 사이의 정보를 관리하고 처리하는 스마트 쇼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쇼핑 시스템은,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역 판매자의 정보인 판매자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도록 형성되는 판매자 관리부;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역 소비자의 정보인 소비자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도록 형성되는 소비자 관리부; 및
    상기 지역 판매자와 상기 지역 소비자 사이의 물품 배송을 관리하도록 형성되는 배송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송 관리부는,
    상기 물품 배송을 관리하기 위하여 제1배송 정보 및 제2배송 정보를 이용하고,
    상기 판매자 관리부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역 판매자의 매장 인증 요청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매장별로 매장 ID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매장 인증 모듈;
    상기 매장 ID별로 상기 매장의 정보인 매장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아 획득하는 매장 정보 획득 모듈;
    상기 매장 ID별 물품 보유 정보를 각각의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소비자 관리부로부터 물품 주문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물품 보유 정보 및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처리하는 물품 정보 처리 모듈;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배송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배송 관리부 및 상기 판매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제1배송 정보 제공 모듈; 및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된 상기 매장에서의 물품 판매 통계를 처리하고 제공하는 물품 판매 통계 제공 모듈;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매장 정보는,
    상기 인증된 상기 매장의 위치, 영업 시간, 업종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 보유 정보는,
    상기 물품의 보유 종류, 재고량 및 홀딩량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물품 정보 처리 모듈은,
    상기 물품 보유 정보에서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증감한 나머지 정보를 새로운 물품 보유 정보로 갱신하며,
    상기 물품 보유 정보 중 상기 홀딩량은,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물품 주문 정보 중 홈피팅 요청 정보이고,
    상기 제1배송 정보는, 상기 물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배송 희망 주소, 배송 희망 시간, 배송 희망 물품 종류 및 배송 희망 물품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물품 판매 통계는,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소비자 관리부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소비자의 정보를 전달받아 가입자 ID를 부여하는 소비자 가입 모듈;
    상기 소비자 단말기의 위치 또는 기 저장된 상기 소비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매장 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매장 정보 제공 모듈;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입자 ID 및 선택된 상기 매장 ID를 포함하는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매장 ID를 획득하고,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상기 판매자 관리부로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물품 주문 정보 처리 모듈;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배송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배송 관리부에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제2배송 정보 제공 모듈; 및
    상기 가입자 ID별 상기 물품 주문 정보 및 상기 소비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을 통한 개인별 물품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개인화 정보 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매장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상기 매장 정보를 가지는 상기 매장 ID별 상기 물품 보유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물품 주문 정보 처리 모듈은,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상기 홈피팅 요청 정보, 구매 요청 정보, 구매 확정 정보, 반품 요청 정보 및 반송 요청 정보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배송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물품 주문 정보가 상기 반품 요청 정보 또는 상기 반송 요청 정보인 경우 상기 제2배송 정보를 생성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배송 정보는 상기 물품의 반품 또는 반송 발송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송 관리부는,
    상기 제1배송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배송 희망 주소 및 상기 배송 희망 시간을 배송자 단말기로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제1배송 정보 처리 모듈; 및
    상기 제2배송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반품 또는 반송 발송 위치 및 시간을 상기 배송자 단말기 및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제2배송 정보 처리 모듈;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홈피팅 요청 정보 시에는 재고량을 1개 감소시키고, 홀딩량을 1개 증가시키고,
    상기 구매 요청 정보 시에는 재고량만 1개 감소시키고,
    상기 홈피팅 후 구매 확정 정보 시에는 홀딩량만 1개 감소시키고,
    상기 반품 요청 정보 시에는 재고량만 1개 증가시키고,
    상기 반송 요청 정보 시에는 홀딩량을 1개 감소시키고, 재고량을 1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핑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스마트 쇼핑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역 판매자와 지역 소비자 사이에서 정보를 관리하고 처리하는 스마트 쇼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쇼핑 방법은,
    상기 판매자의 정보인 판매자 정보 및 상기 소비자의 정보인 소비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판매자 정보 및 상기 소비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비자에게 상기 판매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자로부터 물품 주문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판매자로부터 상기 물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물품을 상기 소비자에게 배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소비자에게 배송하는 단계는,
    상기 물품 주문 정보에 따라 상기 소비자가 상기 물품을 상기 판매자에게 발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판매자 정보 및 상기 소비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자의 매장 인증 요청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매장별로 매장 ID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매장 ID별로 상기 매장의 정보인 매장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자의 가입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소비자별로 가입자 ID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판매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 ID별 물품 보유 정보를 각각의 상기 매장으로부터 전달받는 단계;
    상기 소비자의 위치 또는 기 저장된 상기 소비자의 가입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매장 정보를 상기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자에게 제공된 상기 매장 정보를 가지는 상기 매장 ID별 상기 물품 보유 정보를 상기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매장 정보는 상기 인증된 상기 매장의 위치, 영업 시간, 업종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 보유 정보는, 상기 물품의 보유 종류, 재고량 및 홀딩량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물품을 상기 소비자에게 배송하는 단계는,
    상기 소비자로부터 상기 물품 주문 정보 및 해당 매장의 상기 매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매장의 상기 물품 보유 정보 및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제1배송 정보를 생성하고, 배송자 및 상기 판매자에 상기 제1배송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배송 정보는, 상기 물품 주문 정보에 포함된 배송 희망 주소, 배송 희망 시간, 배송 희망 물품 종류 및 배송 희망 물품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물품 보유 정보 및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소비자로부터 획득한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물품 보유 정보에서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증감한 나머지 정보를 새로운 물품 보유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물품 보유 정보 중 상기 홀딩량은, 상기 물품 주문 정보 중 홈피팅 요청 정보이고,
    상기 물품 주문 정보는 상기 홈피팅 요청 정보, 구매 요청 정보, 구매 확정 정보, 반품 요청 정보 및 반송 요청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물품을 상기 판매자에게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물품 주문 정보에 상기 반품 요청 정보 또는 반송 요청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반품 요청 정보 또는 반송 요청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소비자로부터 제2배송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배송자 및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제2배송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배송 정보는 상기 물품의 반품 또는 반송 발송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판매자의 매장별 물품 판매 통계 및 상기 소비자의 개인별 물품 구매 통계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매자의 매장별 물품 판매 통계는,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장 ID별로 획득되고, 상기 소비자의 개인별 물품 구매 통계는, 상기 물품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ID별로 획득되고,
    상기 개인별 물품 구매 통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가입자 ID별 상기 물품 주문 정보 및 상기 소비자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을 통한 개인별 물품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홈피팅 요청 정보 시에는 재고량을 1개 감소시키고, 홀딩량을 1개 증가시키고,
    상기 구매 요청 정보 시에는 재고량만 1개 감소시키고,
    상기 홈피팅 후 구매 확정 정보 시에는 홀딩량만 1개 감소시키고,
    상기 반품 요청 정보 시에는 재고량만 1개 증가시키고,
    상기 반송 요청 정보 시에는 홀딩량을 1개 감소시키고, 재고량을 1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쇼핑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00085058A 2020-07-10 2020-07-10 스마트 쇼핑 시스템 및 방법 KR102411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058A KR102411856B1 (ko) 2020-07-10 2020-07-10 스마트 쇼핑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058A KR102411856B1 (ko) 2020-07-10 2020-07-10 스마트 쇼핑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190A KR20220007190A (ko) 2022-01-18
KR102411856B1 true KR102411856B1 (ko) 2022-06-21

Family

ID=8005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058A KR102411856B1 (ko) 2020-07-10 2020-07-10 스마트 쇼핑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8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359B1 (ko) * 2009-06-17 2010-05-07 (주)굿스플로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구매자에게 물품의 배송 위치 제공과 배송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물품 배송 위치 추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64615B1 (ko) * 2018-11-01 2020-01-09 (주)포비즈코리아 빅데이터 기반 쇼핑몰 플랫폼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147A (ko) * 2000-08-24 2000-11-06 박은양 인터넷을 이용한 근거리지역 내에서의 물품판매 방법
US11341566B2 (en) * 2014-10-13 2022-05-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3-D shopping experience to online shopping environments
KR101691288B1 (ko) 2015-03-17 2017-01-02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Tts를 이용한 배달주문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359B1 (ko) * 2009-06-17 2010-05-07 (주)굿스플로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구매자에게 물품의 배송 위치 제공과 배송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물품 배송 위치 추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64615B1 (ko) * 2018-11-01 2020-01-09 (주)포비즈코리아 빅데이터 기반 쇼핑몰 플랫폼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190A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9542A (ko) 소비자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쇼핑 플랫폼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341717A (zh) 一种线上线下相结合的菜市场商品购买系统
KR101779759B1 (ko) 클라우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23381B1 (ko) 실시간 오픈마켓 재고관리시스템
CN110659421B (zh) 零售柜的商品推荐系统
KR20190111548A (ko) 공간 이미지에 적합한 추천 상품의 매칭 시스템
KR20190083460A (ko) 이동식 점포를 이용한 배달 주문 서비스 시스템
KR100485971B1 (ko) 넷 오더 시스템
CN107330769A (zh) 一种网络直销的客户营销管理系统
KR20170101709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도시락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592382A (zh) 订单处理方法及其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以及处理器
KR102411856B1 (ko) 스마트 쇼핑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1399A (ko) 웰빙간식 서브스크립션 시스템
KR102630336B1 (ko) 무인자판기를 이용한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용 식품 판매 및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89031B1 (ko) 해외 온라인 유통을 위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100393916B1 (ko) 유무선 전화망 및 인터넷을 이용한 구매자 중심의 배송시간 결정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88403B1 (ko) Sns 기반 한 벌 가구 원스톱 제공 시스템
JP7468509B2 (ja) 販売管理サーバ、販売管理システム、販売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1261122A (ja) 電子仲介システムにおける販売店業務支援方法
KR20220068596A (ko) 스마트 의류 쇼핑 시스템
KR20140133693A (ko) 서브스크립션 커머스와 해외 구매대행을 결합한 인터넷 구매 대행 서비스 방법
KR101566228B1 (ko) 물품 중계 시스템
JP2015191596A (ja) 注文管理システム及び注文管理方法
KR102359800B1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도시락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38511A (ja) 顧客間レンタル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