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002B1 -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 Google Patents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002B1
KR102630002B1 KR1020210145763A KR20210145763A KR102630002B1 KR 102630002 B1 KR102630002 B1 KR 102630002B1 KR 1020210145763 A KR1020210145763 A KR 1020210145763A KR 20210145763 A KR20210145763 A KR 20210145763A KR 102630002 B1 KR102630002 B1 KR 102630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tray
transport
sepa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0981A (ko
Inventor
임채원
김영종
문성훈
김태영
이창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210145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002B1/ko
Publication of KR20230060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은 화물 이송용 트레이에 안착된 화물이 출하되는 출하 라인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시스템 본체; 트레이에서 화물이 분리되는 화물 분리위치의 시스템 본체 상에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며, 트레이와의 상호작용으로 트레이에서 화물을 분리하는 화물 분리유닛; 및 화물 분리유닛에 이웃하게 시스템 본체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며, 화물 분리유닛에 의해 트레이에서 분리된 화물을 화물 출하위치로 이송하는 화물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Transfer and separation system for a tray}
본 발명은,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에서 화물을 사전 분리한 다음에 출하 라인으로 화물이 반송되게 구현함으로써 물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물동량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물류는 그 범위가 계속 확대되어 단순히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유통 분야에서부터 조달 물류, 생산 물류, 회수 물류를 모두 포함하며, 또한 원재료나 부품의 조달과 생산 계획, 제품 폐기물의 회수 처리까지도 물류에 포함된다.
물류 적재창고는 공장 및 생산지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각종 식음료 및 의류, 가전 등 일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화물(물품, 물건)을 일시 또는 장기간 적재 보관하기 위한 저장창고이다.
따라서, 이러한 적재창고는 대량생산된 화물을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로 정해진 수량을 출고하며, 출고된 화물은 각 소비지역으로 배포된다. 또한, 소비지역으로 출고된 화물에 의해 발생하는 적재창고의 빈공간에는 다시 새롭게 생산된 화물이 새롭게 적재됨으로써, 적재창고는 소비지역으로 신속하게 화물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생산지와 소비지역 간의 중간기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물류 적재창고는 적재된 화물을 보다 신속하게 적재 또는 하역하여야 하며, 신속한 적재 및 하역과 더불어 물류 적재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더욱 대량의 물류를 보관할 수 있게 하면서도 그 적재 및 하역작업이 쉽도록 설계 및 시공하여야 한다.
한편, 화물을 출하 라인으로 반송(운송, 이송)할 때는 보통 화물을 트레이(tray)에 담아 트레이 채로 반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시 말해, 통상의 물류시스템에서 화물 이송용 트레이는 소형 제품의 보관 또는 원활한 반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실제 현장에서 널리 활용된다.
통상의 기존 시스템에서는 화물이 화물 이송용 트레이에 안착된 상태에서 화물 이송용 트레이와 함께 출하 라인으로 이동하게 되며, 화물 이송용 트레이가 미리 결정된 위치에 도달해서 작업자가 화물을 픽업(pick up)하면 빈 트레이는 별도의 라인을 통해 회송된다.
이처럼 운영되는 것이 통상의 방식이었지만, 이는 수작업에 의존하는 것이라서 물동량 처리 또는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작업을 삭제하고 로봇(robot)이 적용될 새로운 시스템의 적용이 고려된다.
다만, 로봇(robot)이 적용될 새로운 시스템의 경우에는 로봇의 그립퍼(gripper)를 통해 출고 라인에 도착한 화물의 밑바닥에서 픽킹이 이루어지는 것이 물류 흐름상 바람직할 것이고 이러한 방향으로 시스템이 연구 개발되어야 할 것이라 예상되는데, 더욱 효율적인 구성을 위해서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와 화물, 특히 화물 이송용 트레이에서 소형 화물을 사전 분리한 다음에 출하 라인으로 반송하는 것이 물류 흐름상 또한 물동량 처리상 바람직할 것이라는 점에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5-0006332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에서 화물을 사전 분리한 다음에 출하 라인으로 화물이 반송되게 구현함으로써 물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물동량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물 이송용 트레이에 안착된 화물이 출하되는 출하 라인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시스템 본체; 상기 트레이에서 화물이 분리되는 화물 분리위치의 상기 시스템 본체 상에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와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트레이에서 화물을 분리하는 화물 분리유닛; 및 상기 화물 분리유닛에 이웃하게 상기 시스템 본체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화물 분리유닛에 의해 상기 트레이에서 분리된 화물을 화물 출하위치로 이송하는 화물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화물의 하단부 영역이 수납되는 박스(box) 형상을 이루되 상기 트레이의 바닥에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화물 분리유닛은 상기 트레이의 통공과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트레이에서 화물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화물 분리유닛은, 상기 화물 분리위치 상의 상기 시스템 본체에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의 통공을 통해 업(up) 동작할 때, 상기 트레이에서 화물을 분리하는 복수 개의 리프트 핀(lift p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핀과 상기 트레이의 통공의 개수가 서로 동일하고,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화물 분리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리프트 핀을 일체로 지지하는 핀 서포터; 및 상기 핀 서포터와 연결되고, 상기 핀 서포터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서포터 업/다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물 분리유닛은, 상기 서포터 업/다운 구동부의 주변에서 상기 핀 서포터에 연결되며, 상기 서포터 업/다운 구동부의 작용으로 상기 핀 서포터가 업/다운(up/down) 구동될 때, 상기 핀 서포터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업/다운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물 이송유닛은, 상기 트레이에서 분리된 화물에 접촉 가압되어 상기 화물 분리위치에서 상기 화물 출하위치로 이송하는 복수 개의 푸시 엔 풀 유닛(Push & Pull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물 이송유닛은, 상기 푸시 엔 풀 유닛들과 연결되며, 상기 푸시 엔 풀 유닛들을 상기 화물 분리위치와 상기 화물 출하위치로 구동시키는 유닛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본체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화물 출하위치에 배치된 화물을 상기 출하 라인으로 전달하는 화물 전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물 전달유닛은, 화물이 상기 출하 라인으로 전달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시스템 본체에 결합하는 전동 레일부; 화물에 접촉되어 화물을 상기 출하 라인 쪽으로 푸싱(pushing)하는 화물 푸싱 플레이트; 및 상기 전동 레일부와 상기 화물 푸싱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동 레일부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리니어 모터의 주변에 복수 개의 LM 가이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화물 푸싱 플레이트에는 상기 연결대와의 보강을 위한 복수 개의 보강대가 더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화물 이송용 트레이에서 화물을 사전 분리한 다음에 상기 출하 라인으로 화물이 자동 반송되게 상기 화물 분리유닛, 상기 화물 이송유닛 및 상기 화물 전달유닛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본체 상에 마련되고 상기 트레이를 이송하는 트레이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이송부는 상기 화물 분리유닛의 동작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를 이송하는 복수 개의 개별 벨트 컨베이어(Thin belt convey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개별 벨트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별 벨트 컨베이어들과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를 지지하되 높이가 조절 가능한 높이 조절식 브릿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이송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가 이송하는 트레이 이송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본체에는 상기 화물 출하위치에 배치된 화물을 지지하는 홈 스탠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홈 스탠드가 상기 트레이 이송 라인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 이송용 트레이에서 화물을 사전 분리한 다음에 출하 라인으로 화물이 반송되게 구현함으로써 물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물동량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의 측면도로서 트레이에서 화물이 분리되어 반송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1 내지 도 5에 각각 대응하는 평면도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영역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화물 전달유닛의 확대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의 측면도로서 트레이에서 화물이 분리되어 반송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도 1 내지 도 5에 각각 대응하는 평면도들이며, 도 11 및 도 12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영역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13은 화물 전달유닛의 확대 구조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화물 이송용 트레이(10)에서 화물을 사전 분리한 다음에 출하 라인(111)으로 화물이 반송되게 구현함으로써 물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물동량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특히, 기존 수작업의 한계를 넘어 물동량 처리 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은 시스템 본체(120)를 구비하며, 시스템 본체(120)에 화물 분리유닛(130), 화물 이송유닛(150) 및 화물 전달유닛(170)이 위치별로 마련되고 이들이 시스템 컨트롤러(190)에 의해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됨으로써 화물 이송용 트레이(10)에서 화물을 사전 분리한 다음에 출하 라인(111)으로 화물이 반송되게 구현할 수 있다.
시스템 본체(120)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시스템 본체(120)는 화물 분리유닛(130), 화물 이송유닛(150) 및 화물 전달유닛(170)이 위치별로 탑재되는 외관 구조물이다.
화물 분리유닛(130), 화물 이송유닛(150) 및 화물 전달유닛(170)을 동작 가능하게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본체(120)는 강성이 우수한 금속 프레임의 조립으로 제작될 수 있다.
시스템 본체(120)의 주변에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10)에 안착된 화물이 출하되는 출하 라인(111)이 마련된다.
그리고, 시스템 본체(120)의 외측과 내부에는 제1 및 제2 트레이 이송 라인(112,113)이 마련된다.
화물을 실은 화물 이송용 트레이(10)는 제1 트레이 이송 라인(112) 또는 제2 트레이 이송 라인(113)을 통해 화물 분리위치로 정위치 배치되며, 이후에 화물은 분리되어 화물 출하위치를 통해 출하 라인(111)으로 향하고, 트레이(10)가 제1 트레이 이송 라인(112) 또는 제2 트레이 이송 라인(113)을 통해 회수된다.
본 실시예에서 출하 라인(111), 제1 및 제2 트레이 이송 라인(112,113)은 모두가 모터(미도시)의 작용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화물 혹은 트레이(10)를 이송하는 롤러식 컨베이어로 적용된다. 물론, 반드시 롤러식이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때에 따라 벨트식 컨베이어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시스템 본체(120)에는 화물 출하위치에 배치된 화물을 지지하는 홈 스탠드(121)가 마련된다. 즉 화물을 실은 화물 이송용 트레이(10)는 제1 트레이 이송 라인(112) 또는 제2 트레이 이송 라인(113)을 통해 화물 분리위치로 정위치 배치되어 화물이 화물 출하위치에서 분리된 다음, 화물 이송유닛(150)의 작용으로 화물이 화물 출하위치로 이송되는데, 이때 이송되는 장소가 홈 스탠드(121)를 이룬다.
홈 스탠드(121)는 트레이 이송 라인(112,113)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트레이 이송 라인(112,113)과의 간섭 현상이 없다. 홈 스탠드(121) 상의 화물 출하위치로 이송된 화물은 화물 전달유닛(170)의 작용으로 출하 라인(111)으로 전달된 후, 출하될 수 있다.
참고로, 화물을 싣고 다니는 트레이(10)는 화물의 하단부 영역이 수납되는 박스(box) 형상을 이루는데, 이러한 트레이(10)의 바닥에는 복수 개의 통공(11)이 형성된다. 통공(11)은 화물 분리유닛(130)의 리프트 핀(131, lift pin)과 상호작용한다. 즉 리프트 핀(131)이 트레이(10)의 통공(11)을 통해 업(up) 동작함으로써 화물이 트레이(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본체(120)에는 트레이(10)를 이송하는 트레이 이송부(160)가 더 마련딘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트레이 이송부(160)는 화물 분리유닛(130)의 동작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트레이(10)를 이송하는 복수 개의 개별 벨트 컨베이어(161, Thin belt conveyor)로 적용된다.
도면에는 3줄의 개별 벨트 컨베이어(161)를 개시하였지만, 이의 수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개별 벨트 컨베이어(161)들의 구동을 위해 컨베이어 구동부(162)가 마련된다. 컨베이어 구동부(162)는 개별 벨트 컨베이어(161)들과 연결되고 개별 벨트 컨베이어(161)들을 구동시키는 일종의 모터이다.
본 실시예에서 개별 벨트 컨베이어(161)들과 컨베이어 구동부(162)는 높이가 조절 가능한 높이 조절식 브릿지(164)에 의해 지지된다. 이처럼 높이 조절식 브릿지(164)에 의해 별 벨트 컨베이어(161)들과 컨베이어 구동부(162)가 지지되기 때문에, 트레이(10)의 위치 등을 사전에 간편하게 세팅한 상태에서 물류 작업을 간섭 없이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화물 분리유닛(130)은 전술한 역할을 하는 복수 개의 리프트 핀(131)과, 리프트 핀(131)들을 일체로 지지하는 핀 서포터(133)와, 핀 서포터(133)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서포터 업/다운 구동부(135)와, 핀 서포터(133)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가이드하는 업/다운 가이드(137)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핀(131)은 화물 분리위치 상의 시스템 본체(120)에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트레이(10)의 통공(11)을 통해 업(up) 동작할 때, 트레이(10)에서 화물이 분리되게 한다. 즉 도 1에서 도 2처럼 트레이(10)의 통공(11)을 통해 리프트 핀(131)들이 업(up) 동작할 때, 트레이(10)에서 화물이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리프트 핀(131)과 트레이(10)의 통공(11)의 개수가 서로 동일하고,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핀 서포터(133)는 복수 개의 리프트 핀(131)을 일체로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리프트 핀(131)들이 핀 서포터(133)에 한 몸체로 지지되기 때문에, 리프트 핀(131)들의 동작 제어가 쉬워진다.
서포터 업/다운 구동부(135)는 핀 서포터(133)와 연결되고, 핀 서포터(133)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서포터 업/다운 구동부(135)는 리니어 모터나 실린더 장치로 적용할 수 있다.
업/다운 가이드(137)는 서포터 업/다운 구동부(135)의 주변에서 핀 서포터(133)에 연결되며, 서포터 업/다운 구동부(135)의 작용으로 핀 서포터(133)가 업/다운(up/down) 구동될 때, 핀 서포터(133)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핀 서포터(133)의 안정적인 동작 가이드를 위해 업/다운 가이드(137)는 복수 개로 적용된다.
화물 이송유닛(150)은 화물 분리유닛(130)에 이웃하게 시스템 본체(120)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며, 화물 분리유닛(130)에 의해 트레이(10)에서 분리된 화물을 화물 출하위치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즉 트레이(10)의 상부로 분리된 화물을 시스템 본체(120) 내의 홈 스탠드(121) 상부로 옮기는 역할을 화물 이송유닛(150)이 담당한다.
이러한 화물 이송유닛(150)은 트레이(10)에서 분리된 화물에 접촉 가압되어 화물 분리위치에서 화물 출하위치로 이송하는 복수 개의 푸시 엔 풀 유닛(151, Push & Pull unit)과, 푸시 엔 풀 유닛(151)들과 연결되며, 푸시 엔 풀 유닛(151)들을 화물 분리위치와 화물 출하위치로 구동시키는 유닛 구동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 엔 풀 유닛(151)들은 모두가 탄성체로 피복된 롤러 타입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사이즈가 다른 화물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화물의 측벽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유닛 구동부(153)에 대해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닛 구동부(153)는 리니어 모터나 실린더 장치로 적용할 수 있다.
화물 전달유닛(170)은 시스템 본체(120)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며, 화물 출하위치에 배치된 화물을 출하 라인(111)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화물 전달유닛(170)은 시스템 본체(120) 내의 홈 스탠드(121) 상부에 배치된 화물을 강제로 푸싱(pushing)해서 컨베이어인 출하 라인(111)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화물 전달유닛(170)은 화물이 출하 라인(111)으로 전달되는 방향을 따라 시스템 본체(120)에 결합하는 전동 레일부(171)와, 화물에 접촉되어 화물을 출하 라인(111) 쪽으로 푸싱(pushing)하는 화물 푸싱 플레이트(173)와, 전동 레일부(171)와 화물 푸싱 플레이트(173)를 연결하는 연결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 레일부(171)는 리니어 모터(171a)를 포함하며, 리니어 모터(171a)의 주변에 복수 개의 LM 가이드(171b)가 마련된다. 따라서, 연결대(175)를 통해 전동 레일부(171)에 연결된 화물 푸싱 플레이트(173)가 전동 레일부(171)의 안정적인 작용으로 동작하면서 화물을 출하 라인(111)으로 전달할 수 있다.
화물 푸싱 플레이트(173)에는 연결대(175)와의 보강을 위한 복수 개의 보강대(173a)가 더 결합한다. 따라서, 잦은 푸싱 작업에도 화물 푸싱 플레이트(17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에는 시스템의 컨트롤을 위해 시스템 컨트롤러(190)가 더 갖춰진다.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10)에서 화물을 사전 분리한 다음에 출하 라인(111)으로 화물이 자동 반송되게 화물 분리유닛(130), 화물 이송유닛(150) 및 화물 전달유닛(170)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중앙처리장치(191, CPU), 메모리(19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91)는 본 실시예에서 화물 이송용 트레이(10)에서 화물을 사전 분리한 다음에 출하 라인(111)으로 화물이 자동 반송되게 화물 분리유닛(130), 화물 이송유닛(150) 및 화물 전달유닛(170)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9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91)와 연결된다. 메모리(19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91)와 결합하여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9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10)에서 화물을 사전 분리한 다음에 출하 라인(111)으로 화물이 자동 반송되게 화물 분리유닛(130), 화물 이송유닛(150) 및 화물 전달유닛(170)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의 작용을 간략하게 알아본다.
우선, 도 1 및 도 6처럼 보관창고에서 출하된 화물 실린 트레이(10)가 트레이 이송부(160)인 개별 벨트 컨베이어(161)로 진입한다.
다음, 도 2 및 도 7처럼 화물 분리유닛(130)의 리프트 핀(131)이 트레이(10)의 통공(11)을 통해 업(up) 동작함으로써 화물이 트레이(10)에서 분리한다. 이어, 화물 이송유닛(150)의 푸시 엔 풀 유닛(151)이 돌출된다.
다음, 도 3 및 도 8처럼 업(up) 동작했던 화물 분리유닛(130)의 리프트 핀(131)이 제자리로 다운(down) 동작한다. 이어, 트레이 이송 라인(112,113)을 통해 빈 트레이(10)는 회수된다.
다음, 도 4 및 도 9처럼 돌출되었던 화물 이송유닛(150)의 푸시 엔 풀 유닛(151)이 유닛 구동부(153)의 작용으로 화물을 밀고 홈 스탠드(121)로 이송한다. 즉 푸시 엔 풀 유닛(151)에 의해 밀리는 화물이 시스템 본체(120)의 홈 스탠드(121) 상에 안착된다.
그런 다음, 도 5 및 도 10처럼 화물 전달유닛(170)의 화물 푸싱 플레이트(173)가 전동 레일부(171)의 작용으로 화물을 출하 라인(111)으로 전달한다. 그리고는 화물이 출하 라인(111)을 통해 목적지로 출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 이송용 트레이에서 화물을 사전 분리한 다음에 출하 라인으로 화물이 반송되게 구현함으로써 물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물동량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 화물 이송용 트레이 11 : 통공
111 : 출하 라인 112,113 : 트레이 이송 라인
120 : 시스템 본체 121 : 홈 스탠드
130 : 화물 분리유닛 131 : 리프트 핀
133 : 핀 서포터 135 : 서포터 업/다운 구동부
137 : 업/다운 가이드 150 : 화물 이송유닛
151 : 푸시 엔 풀 유닛 153 : 유닛 구동부
160 : 트레이 이송부 161 : 개별 벨트 컨베이어
162 : 컨베이어 구동부 164 : 높이 조절식 브릿지
170 : 화물 전달유닛 171 : 전동 레일부
171a : 리니어 모터 171b : LM 가이드
173 : 화물 푸싱 플레이트 173a : 보강대
175 : 연결대 190 : 시스템 컨트롤러

Claims (18)

  1. 화물 이송용 트레이에 안착된 화물이 출하되는 출하 라인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시스템 본체;
    상기 트레이에서 화물이 분리되는 화물 분리위치의 상기 시스템 본체 상에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와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트레이에서 화물을 분리하는 화물 분리유닛;
    상기 화물 분리유닛에 이웃하게 상기 시스템 본체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화물 분리유닛에 의해 상기 트레이에서 분리된 화물을 화물 출하위치로 이송하는 화물 이송유닛; 및
    상기 시스템 본체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화물 출하위치에 배치된 화물을 상기 출하 라인으로 전달하는 화물 전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화물 전달유닛은,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리니어 모터의 주변에 복수 개의 LM 가이드가 마련되며, 화물이 상기 출하 라인으로 전달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시스템 본체에 결합하는 전동 레일부;
    화물에 접촉되어 화물을 상기 출하 라인 쪽으로 푸싱(pushing)하는 화물 푸싱 플레이트; 및
    상기 전동 레일부와 상기 화물 푸싱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화물 푸싱 플레이트에는 상기 연결대와의 보강을 위한 복수 개의 보강대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화물의 하단부 영역이 수납되는 박스(box) 형상을 이루되 상기 트레이의 바닥에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화물 분리유닛은 상기 트레이의 통공과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트레이에서 화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분리유닛은,
    상기 화물 분리위치 상의 상기 시스템 본체에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의 통공을 통해 업(up) 동작할 때, 상기 트레이에서 화물을 분리하는 복수 개의 리프트 핀(lift p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핀과 상기 트레이의 통공의 개수가 서로 동일하고,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분리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리프트 핀을 일체로 지지하는 핀 서포터; 및
    상기 핀 서포터와 연결되고, 상기 핀 서포터를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서포터 업/다운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분리유닛은,
    상기 서포터 업/다운 구동부의 주변에서 상기 핀 서포터에 연결되며, 상기 서포터 업/다운 구동부의 작용으로 상기 핀 서포터가 업/다운(up/down) 구동될 때, 상기 핀 서포터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업/다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이송유닛은,
    상기 트레이에서 분리된 화물에 접촉 가압되어 상기 화물 분리위치에서 상기 화물 출하위치로 이송하는 복수 개의 푸시 엔 풀 유닛(Push & Pull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이송유닛은,
    상기 푸시 엔 풀 유닛들과 연결되며, 상기 푸시 엔 풀 유닛들을 상기 화물 분리위치와 상기 화물 출하위치로 구동시키는 유닛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이송용 트레이에서 화물을 사전 분리한 다음에 상기 출하 라인으로 화물이 자동 반송되게 상기 화물 분리유닛, 상기 화물 이송유닛 및 상기 화물 전달유닛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본체 상에 마련되고 상기 트레이를 이송하는 트레이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이송부는 상기 화물 분리유닛의 동작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를 이송하는 복수 개의 개별 벨트 컨베이어(Thin belt convey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개별 벨트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벨트 컨베이어들과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를 지지하되 높이가 조절 가능한 높이 조절식 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이송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가 이송하는 트레이 이송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본체에는 상기 화물 출하위치에 배치된 화물을 지지하는 홈 스탠드를 형성하며,
    상기 홈 스탠드가 상기 트레이 이송 라인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KR1020210145763A 2021-10-28 2021-10-28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KR102630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763A KR102630002B1 (ko) 2021-10-28 2021-10-28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763A KR102630002B1 (ko) 2021-10-28 2021-10-28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981A KR20230060981A (ko) 2023-05-08
KR102630002B1 true KR102630002B1 (ko) 2024-01-29

Family

ID=8638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763A KR102630002B1 (ko) 2021-10-28 2021-10-28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0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367A (ja) * 2004-01-26 2005-08-04 Toyo Jidoki Co Ltd 袋のアンローダ及びローダ
KR101521777B1 (ko) * 2014-03-03 2015-05-21 세창인터내쇼날(주) 고속 화물 열차의 상,하역 컨베이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370B1 (ko) 1993-08-31 1995-09-16 대우전자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고내 밝기 조절장치
JP3084658B2 (ja) * 1997-10-29 2000-09-04 日本協同企画株式会社 自動昇降装置
KR20110011900U (ko) * 2010-06-18 2011-12-26 (주)아모레퍼시픽 용기 이송장치
KR200473115Y1 (ko) * 2012-08-06 2014-06-1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수납용 상자의 정렬장치
US10381257B2 (en) * 2015-08-31 2019-08-13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Substrate conveying robot an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with pair of blade members arranged in position out of vertical dire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367A (ja) * 2004-01-26 2005-08-04 Toyo Jidoki Co Ltd 袋のアンローダ及びローダ
KR101521777B1 (ko) * 2014-03-03 2015-05-21 세창인터내쇼날(주) 고속 화물 열차의 상,하역 컨베이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981A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9924B2 (ja) アイテムをピッキ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1286118B2 (en) Pickface builder fo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US9694975B2 (en) Lift interface fo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US9371183B2 (en) Multilevel vertical conveyor platform guides
KR102465387B1 (ko) 물품 적재 설비
JPS59102703A (ja) マ−シヤリング作業方法
JP7327441B2 (ja) 物品保管設備
JP2023065496A (ja) 注文履行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2630002B1 (ko) 화물 이송용 트레이 분리 반송시스템
US20170210561A1 (en) Palletized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EP2639188A1 (de) Beschickungs- und/oder Entnahme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andhabung von Lagergutträgern in einem Lagersystem sowie selbiges
KR102537460B1 (ko) 박스 공급시스템
US11479412B2 (en) Order sortation systems
JP2005272053A (ja) 物品収納設備
US20240034556A1 (en) Article Storage Facility
KR102055596B1 (ko) 이동식 물류 이송장치
JP2021116163A (ja) 自動出荷方法及び装置
JP2004075343A (ja) 入出庫システム
JPH0436978B2 (ko)
JPH08113367A (ja) 荷積み方法及び荷積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