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757B1 - 안전성이 강화된 네트 놀이시설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강화된 네트 놀이시설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757B1
KR102627757B1 KR1020230081196A KR20230081196A KR102627757B1 KR 102627757 B1 KR102627757 B1 KR 102627757B1 KR 1020230081196 A KR1020230081196 A KR 1020230081196A KR 20230081196 A KR20230081196 A KR 20230081196A KR 102627757 B1 KR102627757 B1 KR 102627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steel wire
fiber
wooden
play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1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휘무 모간
꽁브 쟝
정원규
Original Assignee
에코테인먼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테인먼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테인먼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1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9/00Climbing poles, frames, or s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6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carbonat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9/00Climbing poles, frames, or stages
    • A63B2009/006Playground struc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이 강화된 네트 놀이시설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섬유 네트가 철재 와이어에 직접 연결하여 설치가 철재 와이어에 장력에 의해 네트 형태를 유지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네트 공간 이외의 별도의 네트에 장력을 가하기 위한 구조적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어 놀이 공간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며, 목재 스페이서에 의한 수목의 악영향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섬유 재질의 섬유 네트(10)가 지상에서 일정 높이를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섬유 네트(10)의 지지를 위해 금속 재질의 철재 와이어(20)가 다수의 수목(100)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네트 놀이시설에 있어서, 상기 섬유 네트(10)는 철재 와이어(20)와 직접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목(100)에는 철재 와이어(20)와 직접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목재 스페이서(30)가 일정 이격 간격을 이루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성이 강화된 네트 놀이시설 및 시공방법{Safety-enhanced net play fac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네트 놀이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숲속 자연환경에서 나무를 활용하여 설치되는 네트 놀이 시설물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시설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어린이들의 모험심을 길러주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의 어드벤처 활동용 놀이시설물이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어드벤처 활동용 놀이시설물은 주로 1명이 개인 안전장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모험코스를 체험한 후 다시 다른 모험코스를 체험하기 위해서는 개인 안전장구를 스스로 옮겨 안전확보를 하거나 연속적으로 안전확보가 되는 장치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체험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네트 놀이 시설물의 경우 네트를 지지하는 와이어가 수목에 감겨지면서 수목과 직접 접촉 및 가압에 따른 수목의 생장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네트의 장력을 유지하며 설치하는 기존 공법은 가용한 네트면적 대비 주변에 많은 설치 공간을 소요하게 됨으로 인한 효율성 저하와 함께 여러개의 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네트 상호간의 간섭에 따른 마모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693801호(2017.01.02.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445131호(2022.09.15.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철재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하여 네트의 장력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네트 놀이시설의 안전성이 강화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시설물의 설치 효율을 향상시키고 이용 과정에서 안전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구성은, 섬유 재질의 섬유 네트가 지상에서 일정 높이를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섬유 네트의 지지를 위해 금속 재질의 철재 와이어가 다수의 수목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네트 놀이시설에 있어서, 상기 섬유 네트는 철재 와이어와 직접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목에는 철재 와이어와 직접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목재 스페이서가 일정 이격 간격을 이루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네트 놀이시설은, 섬유 네트가 철재 와이어에 직접 연결하여 설치가 철재 와이어에 장력에 의해 네트 형태를 유지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네트 공간 이외의 별도의 네트에 장력을 가하기 위한 구조적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어 놀이 공간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며, 목재 스페이서에 의한 수목의 악영향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철재 와이어 프레임 구조를 통하여 네트를 겹치지 않게 구조 배치하여 네트의 손상을 최소화 하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내트 시설 비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 시설물 설치상태 평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네트와 와이어 연결부 실물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네트 시설물이 수목에 연결된 상태 측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네트 시설물 설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추가로프 엮음 부분 상태도.
도 7는 도 4의 A부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수목에 와이어 연결부 단면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목재 스페이서 설치부 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와이어 끝단부 마감 보호대 설치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목재 스페이서 단면 구조도.
도 12는 도 11의 B부 단면 확대도.
도 13은 도 11의 C-C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성이 강화된 네트 놀이시설 설치 구조를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네트 놀이시설은, 폴리아미드 섬유 재질의 섬유 네트(10)가 지상에서 일정 높이를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섬유 네트(10)의 지지를 위해 금속 재질의 철재 와이어(20,20')가 다수의 수목(100)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섬유 네트(10)는 테두리를 이루는 철재 와이어(20,20')와 직접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목(100)에는 철재 와이어(20,20')와 직접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목재 스페이서(30)가 일정 이격 간격을 이루어 구비된다.
즉, 도 1에서와같이 종래에는 네트구역이 전체 시설물 대비 작게 구비되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철재 와이어(20)에 섬유 네트(10)가 직접 연결됨으로 인해 남는 공간이 발생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섬유 네트(10)와 철재 와이어(20)는 1㎡당 3톤의 내하중을 가진 고강도 폴리아미드 로프(11)에 의한 감아매기 기법과 반매듭 기법을 반복하여 체결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철재 와이어(20,20')는 네트 바닥면과 양측 벽면의 상부 테두리를 이루어 구비되어 안정적인 장력 유지가 이루어지며, 철재 와이어(20,20')의 단부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호대(40)가 끼워져서 외부 노출이 방지된다.
즉, 하부 철재 와이어(20)는 네트 바닥면의 테두리를 이루고, 상부 철재 와이어(20')는 벽면의 상부 테두리를 이루어 구비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섬유 네트(10)와 통로 연결부와 같은 구조적 연결부 등 특정 부분 마찰이 많이 발생하는 부분은 도 6에서와같이 추가로프 엮음으로 네트를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는 추락 방지를 위해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섬유네트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의 네트 놀이시설 시공과정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네트 놀이시설은 주로 숲속 자연환경을 활용하여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수목(100)을 연결하는 형태로 철재 와이어(20)를 감아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철재 와이어(20)가 감겨질 수목(100)에 다수의 목재 스페이서(30)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철재 와이어(20,20')를 겹치지 않게 감아주어서 손상 및 수목의 생장에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철재 와이어(20,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섬유 네트(10,10')를 연결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수평 섬유 네트(10)를 수평으로 연결 설치하여 철재 와이어(20,20')에 의한 테두리 부위 지지가 이루어짐과 함께 수직 섬유 네트(10')의 연결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철재 와이어(20,20')와 섬유 네트(10,10')는 도 3에서와같이 폴리아미드 로프(11)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는데, 감아매기 기법과 반매듭 기법을 적용하여 10cm마다 체결하여 750kg의 내하중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철재 와이어(20,20')와 직접 연결이 이루어진 섬유 네트(10)는 철재 와이어(20,20')의 장력에 의해 네트의 안정적인 팽팽함을 유지 및 조절하여 바닥부 섬유 네트(10)의 트램폴린 기능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됨과 함께 벽면 섬유 네트(10)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네트 구역은 기존의 당김 공간이 없기 때문에 네트 간의 간섭 및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주변에 별도의 남는 구역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전체를 네트 구역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공간 활용이 유리한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철재 와이어(20)의 단부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호대(40)가 끼워져서 외부 노출이 방지됨으로 인해, 외관을 깔끔하게 나타냄과 함께 이용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네트 손상 발생 시 새발매듭(sheet bend)) 방식으로 보강이 이루어져 흔적 없이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네트 놀이시설은, 섬유 네트가 철재 와이어에 직접 연결하여 설치가 철재 와이어에 장력에 의해 네트 형태를 유지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네트 공간 이외의 별도의 네트에 장력을 가하기 위한 구조적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어 놀이 공간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며, 목재 스페이서에 의한 수목의 악영향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철재 와이어 끝단부의 마감 구조를 통한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이점을 나타낸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목재 스페이서(30)에는 철재 와이어(20)의 위치 지지를 위한 지지홈(31)이 가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홈(31)에는 목재 표면의 강도 보강 및 철재 와이어(20)와의 마찰력 증대를 위한 보호 피복층(31a)이 코팅 형성되는데, 상기 보호 피복층(31a)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5~35중량%, 플루오르화메틸 10~20중량%, 폴리설폰 수지 5~20중량%, 나프텐산 코발트 1~10중량%, 페닐알라닌사하이드록시라제 5~15중량%, 크로뮴산 칼륨 10~20중량%, 폴리벤즈이미다젠 5~10중량%, 수산화리튬 1~10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또한, 목재 스페이서(30) 배면은 수목(100)과의 접착면적 증대를 위한 일정 곡률의 라운드 형상을 이룸과 함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탄소섬유층(32)이 일정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목재 스페이서(30) 내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ㄷ"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루는 폴리아마이드 수지 재질의 보강구(3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철재 와이어(20) 설치 과정에서 목재 스페이서(30)의 지지홈(31)에 의해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설치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목재 스페이서(30) 내부에는 보강구(33)가 매립 형태로 구비됨과 함께 지지홈(31)에는 피복층(31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철재 와이어(20)의 강한 압박에 따른 손상 및 변형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피복층(31a)에는 플루오르화메틸 및 나프텐산 코발트 성분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산화 현상 발생 방지 및 항균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폴리설폰 수지 및 크로뮴산 칼륨은 피복층(31a)의 내구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게 되며, 페닐알라닌사하이드록시라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분에 대한 촉매 기능을 통한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추가 첨가된 폴리벤즈이미다젠 및 수산화리튬은 각각 피복층(31a)을 이루는 혼합 조성물 상호간의 결합력 향상을 통한 코팅 밀도를 극대화함과 함께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목재 스페이서(30) 배면은 라운드 형상을 이룸과 함께 탄소섬유층(3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목(100)과의 접착면적 증대에 따른 위치 안정성 및 미끄러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네트 놀이시설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사각 형상으로 네트가 설치된 형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수목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모양으로 네트가 재단되어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10' : 섬유 네트 11 : 폴리아미드 로프
20,20' : 철재 와이어 30 : 목재 스페이서
40 : 보호대 100 : 수목

Claims (6)

  1. 섬유 재질의 섬유 네트(10)가 지상에서 일정 높이를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섬유 네트(10)의 지지를 위해 금속 재질의 철재 와이어(20,20')가 다수의 수목(100)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네트 놀이시설에 있어서,
    상기 섬유 네트(10)는 테두리를 이루는 철재 와이어(20,20')와 직접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목(100)에는 철재 와이어(20,20')와 직접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목재 스페이서(30)가 일정 이격 간격을 이루어 구비되며;
    상기 목재 스페이서(30)에는 철재 와이어(20)의 위치 지지를 위한 지지홈(31)이 가공 형성되되, 상기 지지홈(31)에는 목재 표면의 강도 보강 및 철재 와이어(20)와의 마찰력 증대를 위한 보호 피복층(31a)이 코팅 형성되고, 상기 보호 피복층(31a)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플루오르화메틸, 폴리설폰 수지, 나프텐산 코발트, 페닐알라닌사하이드록시라제, 크로뮴산 칼륨, 폴리벤즈이미다젠, 수산화리튬의 혼합 조성을 이루며, 목재 스페이서(30) 배면은 수목(100)과의 접착면적 증대를 위한 일정 곡률의 라운드 형상을 이룸과 함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탄소섬유층(32)이 일정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목재 스페이서(30) 내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ㄷ"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루는 폴리아마이드 수지 재질의 보강구(3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강화된 네트 놀이시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재 와이어(20,20')는 네트 바닥면과 양측 벽면의 상부 테두리를 이루어 구비되며, 철재 와이어(20,20')의 단부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호대(40)가 끼워져서 외부 노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강화된 네트 놀이시설.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중 어느 한 항의 안전성이 강화된 네트 놀이시설을 시공함에 있어서,
    수목(100)에는 다수의 목재 스페이서(30)를 일정 이격 간격으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철재 와이어(20)를 감아주고, 섬유 네트(10)는 철재 와이어(20)와 직접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 놀이시설 시공방법.
KR1020230081196A 2023-06-23 2023-06-23 안전성이 강화된 네트 놀이시설 및 시공방법 KR102627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1196A KR102627757B1 (ko) 2023-06-23 2023-06-23 안전성이 강화된 네트 놀이시설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1196A KR102627757B1 (ko) 2023-06-23 2023-06-23 안전성이 강화된 네트 놀이시설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757B1 true KR102627757B1 (ko) 2024-01-23

Family

ID=8971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1196A KR102627757B1 (ko) 2023-06-23 2023-06-23 안전성이 강화된 네트 놀이시설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7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3023Y1 (ko) * 1984-04-16 1985-12-17 김상규 체력단련용 스카이네트
KR200246528Y1 (ko) * 2001-06-29 2001-10-31 이창남 와이어 끝단 보호캡
KR20160020202A (ko) * 2014-08-13 2016-02-23 주식회사 로프 어드벤쳐 와이어 설치를 위한 환경 친화형 부목
KR101693801B1 (ko) 2016-05-02 2017-01-06 어드벤처닷케이알(주) 네트 어드벤처 놀이시설물
KR102420303B1 (ko) * 2022-01-24 2022-07-13 주식회사 지에스웹 자연목을 이용한 플랫폼 설치 구조
KR102445131B1 (ko) 2022-03-30 2022-09-20 (주)지에스웹 시공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네트 놀이시설 및 네트 연결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3023Y1 (ko) * 1984-04-16 1985-12-17 김상규 체력단련용 스카이네트
KR200246528Y1 (ko) * 2001-06-29 2001-10-31 이창남 와이어 끝단 보호캡
KR20160020202A (ko) * 2014-08-13 2016-02-23 주식회사 로프 어드벤쳐 와이어 설치를 위한 환경 친화형 부목
KR101693801B1 (ko) 2016-05-02 2017-01-06 어드벤처닷케이알(주) 네트 어드벤처 놀이시설물
KR102420303B1 (ko) * 2022-01-24 2022-07-13 주식회사 지에스웹 자연목을 이용한 플랫폼 설치 구조
KR102445131B1 (ko) 2022-03-30 2022-09-20 (주)지에스웹 시공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네트 놀이시설 및 네트 연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6097C2 (ru) Защитная сеть,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защиты от осыпания или для укрепления откос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088834B1 (ko) 크레인용 합성섬유 로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4338B1 (ko)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
KR102627757B1 (ko) 안전성이 강화된 네트 놀이시설 및 시공방법
JP4989703B2 (ja) ワイヤロープ
KR20170090171A (ko)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로프
US20100314811A1 (en) Method For Improving The Stability Against Vibrations Of A Stay Cable
CN106938813A (zh) 用于制造绳索端头设备和布置的方法以及升降机
CN202731276U (zh) 可与外爬架同步提升的独立卸料平台
JP4353523B2 (ja) ゴム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
CN204090609U (zh) 榆木嫁接防护装置
KR101321232B1 (ko) 지반보호천이 결합된 돌망태
CN205756404U (zh) 带梯子的猫爬架
JP2006002388A (ja) 建造物の耐震補強構造
CN106005880A (zh) 一种高强阻燃输送胶带
KR101358180B1 (ko) 동합금 그물을 이용한 가두리망의 제조방법
CN209885227U (zh) 一种网兜加弹力绳的组合游乐装置
CN215714227U (zh) 一种结构强度高的绳带
CN210472890U (zh) 一种高弹性化纤绳网蹦床
CN113374286A (zh) 一种可循环利用的空防坠落网
JP2020012248A (ja) 斜面安定化構造及び斜面安定化工法
CN111115431B (zh) 一种异形幕墙的吊装方法
KR200468925Y1 (ko) 전복양식집 구조
CN210342487U (zh) 一种高防护性能无结楼梯防护网
CN211733520U (zh) 一种减少回转半抗摆动电梯补偿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