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338B1 -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 - Google Patents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338B1
KR101384338B1 KR1020120013372A KR20120013372A KR101384338B1 KR 101384338 B1 KR101384338 B1 KR 101384338B1 KR 1020120013372 A KR1020120013372 A KR 1020120013372A KR 20120013372 A KR20120013372 A KR 20120013372A KR 101384338 B1 KR101384338 B1 KR 101384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member
tree
protection plate
soil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1977A (ko
Inventor
송용섭
Original Assignee
송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용섭 filed Critical 송용섭
Priority to KR1020120013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338B1/ko
Publication of KR2013009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수목 보호는 물론 수목의 식생 환경 외관 미감을 깔끔하게 정돈해 주며, 수목의 생육에 필요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인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은 수목이 식재된 식생 공간부를 제외한 잔부의 토양을 덮어 배치되도록 상기 식생 공간부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중앙에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야자섬유 재질로 형성된 매트 부재와, 상기 매트 부재의 마감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마감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PLATE FOR PROTECTING TREES USING COIR}
본 발명은 친환경 수목보호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목을 보호하는 동시에 식생 환경의 외관 미감을 깔끔하게 정돈해 주며, 주변 지반의 토사 유실까지 방지해 줄 수 있는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에 관한 기술이다.
최근, 녹색 도시를 지향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도심 공원 내에 조경수를 식재하거나 도로변을 따라 가로수를 식재하는 수목 식수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수목은 인공적으로 조성된 도시 환경에 있어 자연 친화적인 외관을 조성해 줌은 물론, 각종 공해 및 소음을 흡수하고 차단시켜주는 기능을 발휘한다. 그리고 이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예로서 가로수가 있다.
가로수는 도로변을 따라 줄지어 식재되는데, 흔히 도로에 인접한 인도 상에 마련된 토양(이를 '식생 공간부'라 함) 내에 식재된다. 그리고 식재된 가로수는 수목보호판(또는 수목보호대)라고 일컫는 토양 덮개용 부재에 의해 그 생육 위치가 고정된다.
수목보호판은, 식재된 수목의 밑동 부위를 둘러 감싸며, 주변 토양을 덮는 부재이다. 이에 따라, 지저분한 토양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심 외관을 깔끔하게 정돈시켜준다. 뿐만 아니라 비, 바람 등에 의해 토사가 외부로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보행자의 답력에 의해 발생되는 토양의 답압 피해를 감소시켜, 수목의 생육 환경을 보전해 주는 주요 기능을 담당한다.
다만, 종래에는 이러한 수목보호판이 주로 철재 등의 강성 재질로 이루어졌다. 특히 식생 공간부에 식재된 수목을 사이에 두고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 제작된 몸체가 조립되거나 합체되는 구조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목보호판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수목보호판이 철재 재질을 가질 경우, 주로 고가의 압연강판이 이용됨에 따라 초기 예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내구연한 경과 시에는 폐기에 어려움이 따랐기에 자원낭비를 초래하였다.
둘째, 종래의 수목보호판의 경우, 주로 철재와 같이 강성 재질로 제작되었으므로, 초기 제작 시의 규격으로부터 부피 변형이 발생될 여지가 없었다. 특히, 최초 설치 시의 수목보호판은 어린 수목의 밑동 단면 직경에 대응하여 식생 공간부를 마련한다. 하지만, 식재된 수목은 지속적으로 성장함에 반해, 수목이 식재된 식생공간부의 크기는 제한될 수밖에 없어, 성장하는 수목의 생육을 방해하는 단점이 있었다.
셋째, 종래의 수목보호판의 경우, 토양에 대한 투수성 및 흡수성 기능을 향상시켜 주기 위하여 상하면을 관통한 다수의 통공이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다수의 통공으로 인하여, 수목보호판의 몸체는 토양에 대면하는 면적이 감소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만일 보행자의 답력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이러한 답력이 수목보호판의 상부에서 작용되면, 토양에 대면하는 면적이 감소된 영향에 따라 하부 토양에 작용되는 힘은 더 크게 작용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토양의 답압 피해를 더 크게 만들어 주는 원인이 되어 수목의 생육을 방해할 수 있었다.
넷째, 종래의 수목보호판이 철재 재질을 가질 경우, 토양에 함유되어 있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뿌려진 제설용 염화칼슘과 쉽게 반응하여 부식이 잘 일어난다. 이에 따라 제품의 내구수명이 단축되어, 수목보호판의 교체 및 유지 관리에 지출되는 예산을 증가시켰다.
이들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할 때, 종래의 수목보호판은 본래 추구했던 목적과는 달리 실제 사용 시, 수목의 생육을 위한 적절한 식생 조건을 만족시켜 주지 못하였으며, 초기 설치 시에 소요되는 비용은 물론, 이의 교체 및 유지 관리에도 막대한 자원낭비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도심 내에 식재되는 수목의 외관 미감을 깔끔하게 정돈해 주며, 수목의 생육에 필요한 토사의 유실을 억제시켜 줄 수 있는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목의 성장에 따라 수목의 직경이 확장되는 현상을 고려하여, 식생 공간부가 탄력적으로 팽창 가능한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습, 내한, 내열, 내염성은 물론 투수성이 뛰어난 소재를 이용함은 물론, 저비용으로도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한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구수명이 다할 경우 자연적으로 부식되어 토양에 필요한 비료로 환원될 수 있는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들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목이 식재된 식생 공간부를 제외한 잔부의 토양을 덮어 배치되도록 상기 식생 공간부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중앙에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야자섬유 재질로 형성된 매트 부재와, 상기 매트 부재의 마감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마감수단을 포함하는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을 제공한다.
상기 마감수단은, 상기 매트 부재의 마감부위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마감부위에 엮여있는 가는 와이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수단은, 상기 매트 부재의 마감부위에 덧대어 고정되는 목재 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재 틀을 고정하는 목재 틀 고정수단은, 목재 또는 철재 재질의 못일 수 있으며, 또는 목재 틀을 폭 방향으로 둘러 감싸 상기 매트 부재에 묶어지는 가는 와이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수단은, 상기 매트 부재의 마감부위에 덧대어 고정되는 굵은 와이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굵은 와이어를 고정하는 굵은 와이어 고정수단은, 상기 굵은 와이어를 감은 상태로 상기 매트 부재에 고정되는 가는 와이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목의 외관 미감을 깔끔하게 정돈시켜 주며, 토사의 유실을 방지해 줄 수 있다.
특히, 천연의 야자섬유를 직조한 매트 부재를 사용하여, 식재된 수목과 어울리는 친환경적인 외관 미감을 부여해 줄 수 있으며, 초기 시공 시 토양에 잘 부착되어, 비, 바람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토사가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야자섬유를 직조한 매트 부재의 경우 일정 수준까지 탄력성을 지니게 되므로, 성장하는 수목의 직경에 대응하여 식생 공간부가 어느 정도 팽창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수목의 생육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습, 내한, 내열, 내염성이 좋고 투수성이 탁월한 천연의 야자섬유를 이용함으로써, 수목의 생육 조건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야자섬유의 경우, 기존의 천연섬유(예: 짚)에 비해 오염에 강하여 쉽게 썩지 않으며 비교적 질긴 조직으로 이루어져, 철재 재질로 제작된 수목보호판과 동등한 수준의 내구연한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철재 재질로 제작된 수목보호판에 비하여 탄력성 및 신축성이 보장되어 보행자의 답력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기에 용이하다. 이로써, 토양의 답압 피해가 감소될 수 있어, 토양 상태를 온건히 보전할 수 있다.
그리고 천연의 야자섬유의 경우, 내구연한이 경과된 이후에 자연 부식되는 재질이므로 토양에 유기질 비료로 환원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 야자 섬유를 이용한 매트 부재를 사용할 경우, 기타 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도난 발생의 우려도 없다. 따라서 초기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저 비용으로 신품 교체 및 유지 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보호판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마감수단으로 가는 와이어를 엮어 형성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마감수단으로 목재 틀을 덧대어 고정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마감수단으로 굵은 와이어를 덧대어 고정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P-P′ 단면을 통해 도시된 마감수단에 의해 수목보호판이 설치된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의 Q-Q′ 단면을 통해 도시된 마감수단에 의해 수목보호판이 설치된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4의 R-R′ 단면을 통해 도시된 마감수단에 의해 수목보호판이 설치된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지면 고정을 위해 앵커부재가 적용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보호판에 면상고정부재가 고정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설치 시공 단계를 예시적 순서에 따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100)은 수목(1)의 밑동(1′) 부위를 둘러 감싸는 동시에 그 주변 토양을 덮어 보호하는 외형 형상을 가진다.
수목(1), 특히 가로수의 경우, 도로변을 따라 식재되는 데, 인접한 수목끼리는 서로 간의 생육 환경을 방해받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에 따라, 수목(1)은 도로(R)에서 발생하는 각종 공해 물질을 흡수하기도 하며, 차량의 배기 소음을 포함한 각종 소음을 차단하기도 한다.
특히, 이러한 수목(1)이 식재되는 구제척인 형태로는, 도로(R)에 인접한 인도(W) 상에 마련된 토양 내에 식재된다.
여기서, 수목(1)이 식재되는 공간을 '식생 공간부(10)'라 지칭하기로 한다.
식생 공간부(10)는 수목(1)이 식재된 토양의 지면 공간을 의미하는데, 특히 수목(1)의 밑동(1′) 부위가 지면 상부로 노출된 크기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한다. 이는 수목(1)이 성장함에 따라 밑동 둘레 역시 커지는 현상을 사전에 고려한 것으로서, 수목(1)의 생육에 방해를 주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목보호판(100)은 이러한 식생 공간부(10)를 제외한 잔부의 토양을 덮는 형태로 지면에 밀착 배치된다. 이를 위해, 아자섬유를 이용한 수목보호판(100)은 어느 정도 탄력을 가지면서 무게감과 내구성을 지니는 매트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는 데, 이를 매트 부재(110)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매트 부재(110)는 천연의 야자섬유를 소재로 하여 제작된다.
여기서, 본 발명이 친환경 수목보호판(100)은 상기의 매트 부재(110)만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여기에 기능적인 구성이 포함된 실시예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마감수단(도 2의 도면부호 130, 도 3의 도면부호 150, 도 4의 도면부호 170 참조)이 있다.
마감수단은 매트 부재의 마감부위를 따라 형성되어, 매트 부재의 마감부위가 풀려지는 현상을 방지하며, 나아가 외관 미감을 깔끔하게 정돈해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마감부위란 매트 부재(110)의 중앙 내주를 따라 형성되는 마감 단부 또는 매트 부재(110)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마감 단부 또는 이들 각각의 마감 단부를 동시에 포함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마감수단은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데, 수목의 식재 위치 또는 조건에 따라 적용되는 형태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나, 주된 기능은 매트 부재의 마감부위 풀림을 방지하거나 또는 외관 미감을 깔끔하게 정돈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마감수단의 다양한 실시예는 해당 도면인 도 2, 도 3, 도 4의 내용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마감수단으로 가는 와이어를 엮어 형성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감수단의 일 실시예인 가는 와이어(130)가 매트 부재(110)의 마감부위를 따라 엮여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매트 부재(110)의 가장자리에 엮여 있는 가는 와이어(130)의 형상은 매트 부재(110)로부터 명확하게 구분되어 이해될 수 있도록, 실제 사용되는 크기에 비해 과장되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매트 부재(110)는 식재된 수목이 자라나는 토양 주변을 덮도록 마련된 매트 형상 부재로서, 토양 지면에 대해 착지감이 좋도록 소정의 두께와 무게감을 가지도록 전체적으로 야자섬유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매트 부재(110)는 탄력감이 있어 충격 흡수가 어느 정도 보장되며, 시공 및 폐기가 용이하며, 배수 기능이 탁월하여 수목의 생육 조건을 보전한다.
그리고 매트 부재(110)의 내면 중앙에는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매트 부재의 개구부(112)는 수목(1)의 식생 공간부(10)를 외부로 노출시켜, 식재된 수목(1)이 상부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빈 공간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도시된 개구부(112)의 위치는 매트 부재(110)의 정중앙에 구비된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개구부(112)의 위치는 매트 부재(110)의 정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중심 위치가 이동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개구부(112)는 원 또는 타원과 같이 원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개구부(112)의 형상을 수목의 밑동(1′) 단면과 유사하게 해줌으로써, 수목(1)의 성장 시 단면 방향으로 크기가 증가하는 수목의 밑동(1′)을 부분적으로 옭죄는 것을 방지하며, 수목(1)의 밑동(1′) 부위를 유연하게 보호해 주기 위함이다.
그리고 매트 부재(110)에는 테두리(114)로부터 개구부(112)까지 절개된 절개라인(116)이 형성된다.
즉 매트 부재(110)의 절개라인(116)은 미리 식재된 수목(1)의 밑동(1′)을 둘러, 그 주변의 잔부 토양으로 매트 부재(110)를 깔아주기 위해 필요한 부위이다.
도시된 절개라인(116)은 테두리(114) 마감 단부로부터 매트 부재(110) 내부를 향해 절개되어 개구부(112)가 구비된 마감 단부까지 일직선 형태로 마련된다.
더 나아가, 도시된 절개라인(116)은 매트 부재(110) 상에 하나만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도시된 절개라인(116)의 반대 방향 또는 이의 좌우 방향에 추가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여기서는 매트 부재(110)의 설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절개라인(116)만을 마련해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매트 부재(110)는 전체적으로 야자섬유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이로 인하여, 기존에 철재 또는 강화 플라스틱을 이용하였던 형태에 비해 저 비용으로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야자섬유(Coir)는 천연과실 섬유의 일종으로 야자의 외피로 만들어진 천연섬유를 말한다. 이러한 야자섬유는 짚 등의 기타 천연섬유 소재에 비해 질기며 오염에 강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야자섬유를 이용하여 제품을 제작하였을 경우, 내구성이 향상되며, 천연섬유 고유의 썩는 성질에도 상대적으로 강하여 내구수명이 증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일예로 짚으로 제작된 제품이 대략 1~2년 내에 썩어 훼손됨에 반해, 야자섬유로 제작된 제품은 썩어 훼손되기까지 대략 7년 정도가 소요된다. 그만큼 내구수명이 증가되는 것이다.
또한, 야자섬유는 기존의 수목보호판에 주로 이용되었던 소재인 철재에 비해 매우 저렴하며, 내구연한이 경과된 경우 토양에 유익한 유기질 비료로 자연스럽게 환원되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자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일예로, 철재를 소재로 하여 수목보호판을 제작할 경우에 비해 야자섬유를 이용하여 수목보호판을 제작할 경우에는, 제품 단가를 20% 정도까지 절감할 수 있다.
이 같이, 야자섬유는 저가의 천연 소재지만, 철재와 동등한 수준의 내구연한(예: 7년 정도)을 기대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2에서는 야자섬유를 이용하여 매트 부재(110)를 제작하는 방식으로서 대표적인 두 가지 실시예를 소개하고 있다.
도 2의 (a)는 야자섬유를 직조하여 매트 부재(110)를 제작하는 방식이며, 도 2의 (b)는 야자섬유를 천연 상태로 압착하여 판상의 매트 부재(110)를 제작하는 방식이다.
먼저, 도 2의 (a) 방식을 살펴보면, 우선 야자의 외피를 이용하여 줄을 제작한다. 복수 가닥으로 마련된 야자섬유 줄은 씨줄(110a)과 날줄(110b)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가로 및 세로로 교차시켜 판상으로 직조하여 격자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격자무늬의 사이에서 다수의 통공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분의 흡수 및 배출이 용이해 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의 (b) 방식을 살펴보면, 야자 외피로부터 추출된 야자섬유를 천연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압하여 판상으로 압착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매트 부재(110)의 표면에는 천연의 야자섬유 조직(110c)이 마련된다.
여기서는, 두 가지의 실시예만을 소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더 다양한 방식으로도 매트 부재(110)를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매트 부재(110)의 평면 형상은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사각형, 마름모형, 원형, 말굽형 등과 같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2에 도시된 매트 부재(110)는 일예로서 사각형(그 중에서도, 정사각형) 형상으로 개시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마감수단은 상기 매트 부재(110)의 마감부위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마감부위 가장자리마다 복수 개로 엮여있는 가는 와이어(130)이다. 이러한 가는 와이어(130)는 앞서 설명한 매트 부재(110)의 씨줄 또는 날줄에 비해 굵기가 가늘며, 그 길이 역시 매듭을 형성하여 엮어질 수 있도록 짧게 형성된다.
여기서, 매트 부재(110)의 '마감부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트 부재의 개구부(112) 또는 매트 부재의 테두리(114) 마감 단부가 여기에 해당된다.
그리고 가는 와이어(130)는 환경적인 문제를 고려할 때, 자연 부식되는 천연의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인 일예로서 매트 부재(110)와 동일한 소재인 아자섬유를 이용하여 가는 끈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마감수단으로 이용되는 가는 와이어(130)가 매트 부재(110)의 마감부위에 엮여있는 구조는 도 5를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는 와이어(130)는 매트 부재(110)의 마감부위에서 매트 부재(11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매듭을 형성한다. 다만, 여기서 도시된 가는 와이어(130)의 크기 및 형상은 실제와 달리 조금 과장되게 확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매트 부재(110)와 비교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 5에서는 매트 부재(110)의 개구부(112)에 엮여있는 가는 와이어 구성을 도면부호 130으로 표기함과 달리, 매트 부재(110)의 테두리(114)에 엮여있는 가는 와이어 구성은 도면부호 130′으로 구분 표기하였다. 이 역시 본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도면부호 130 및 130′는 동일한 가는 와이어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마감수단으로 목재 틀 덧대어 고정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매트 부재(110)의 마감부위(여기서, '마감부위'는 매트 부재의 테두리 마감단부만을 가리킨다)에 덧대어 고정되는 마감수단으로서, 목재 틀(150)이 이용된다.
이 경우에도, 앞서 도 2를 통해 살펴보았던 가는 와이어(130)가 동시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매트 부재(110)의 개구부 마감단부에는 매트 부재(11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는 와이어(130)가 엮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목재 틀(15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매트 부재(110)의 테두리를 따라 덧대어 부착될 수 있는 길이 및 형상을 가지는 부재로서, 단순한 목재 틀은 물론, 야자섬유를 가공하여 마련한 틀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목재 틀(150)은 매트 부재(110)를 사이에 두고 이의 상부 및 하부에서 대면 연결되는 한 쌍의 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목재 틀(150)의 고정 구조는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면, 목재 틀(150)은 매트 부재(110)의 테두리 하면 쪽에 배치되는 하부 틀(152)과, 매트 부재(110)의 테두리 상면 쪽에 배치되는 상부 틀(1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하부 틀(152) 및 상부 틀(154)의 결합은 목재 또는 철재 재질의 못(또는 체결 볼트 또는 고정 핀)(156) 등에 의해 가능해진다.
이와 달리 도 3의 (b)를 참조하면, 도시된 목재 틀(150)은 하부 틀(152) 및 상부 틀(154)로 분리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매트 부재(110)의 테두리 마감단부를 사이에 두고 하부 틀(152) 및 상부 틀(154)은 대면 접촉한 후, 별도의 가는 와이어 끈(157)에 의해 묶어진다. 다만, 이러한 도 3의 (b)의 경우에는 목재 틀(150)이 단일의 틀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특히, 도 3의 (b)의 구성에 따라 목재 틀(150)이 고정되는 모습은 도 6을 참조하여 그 구체적인 단면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목재 틀(150)은 매트 부재(110)의 마감부위, 즉 테두리 마감단부에서 하부 틀(152) 및 상부 틀(154)로 구분된 세부 구성으로 덧대어 고정된다. 이때, 목재 틀(150)의 고정수단으로는 도 3의 (b)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가는 와이어 끈(157)이 이용된다.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여기서의 목재 틀(150)의 고정수단은 도 3의 (a)에서 확인하였던 목재 또는 철재 재질의 못이 이용되어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마감수단으로 굵은 와이어를 덧대어 고정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매트 부재(110)의 마감부위(여기서, '마감부위'는 매트 부재의 테두리 마감단부만을 가리킨다)에 덧대어 고정되는 마감수단으로서, 굵은 와이어(170)를 이용한다.
이 경우에도, 앞서 도 2를 통해 살펴보았던 가는 와이어(130)가 동시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매트 부재(110)의 개구부 마감단부에는 매트 부재(11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는 와이어(130)가 엮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굵은 와이어(170)는 상기 가는 와이어(130)와 달리 매트 부재(110)의 두께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데, 매트 부재(110)의 테두리 전체를 따라 배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매트 부재(110)의 마감부위에 대면하여 굵은 와이어(170)가 길이 방향으로 접촉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굵은 와이어(170)를 매트 부재(110)에 고정해주는 고정수단은 가는 와이어 끈(172)이 될 수 있다. 이때, 가는 와이어 끈(172)은 앞서 도 3의 (b)에서 살펴보았단 목재 틀을 고정하는 가는 와이어 끈(도 3의 (b)에서 도면부호 157)과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매트 부재(110)의 마감부위에 굵은 와이어(170)가 접해있고, 가는 와이어 끈(172)이 상기 굵은 와이어(170)의 외주를 둘러 감싸는 동시에 매트 부재(110)의 두께를 관통하여 엮여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굵은 와이어(170)를 통해서, 매트 부재(110)의 마감부위는 외관 미감이 깔끔하게 정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굵은 와이어(170)의 재질 역시 자연 분해가 가능한 천연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매트 부재(110)와 동일한 재질인 야자 섬유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도 4의 마감수단인 굵은 와이어(170)에 의해 마무리된 매트 부재(110)의 모습은 도 7을 참조하여 그 구체적인 단면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굵은 와이어(170)는, 매트 부재(110)의 마감부위, 즉 테두리 마감단부에서 덧대어 고정된다. 이때 굵은 와이어(170)의 고정수단으로는 가는 와이어 끈(172)이 이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이 설명한 매트 부재(110)의 마감수단은, 수목이 식재되는 장소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되어 이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앵커부재(180)가 적용된 모습을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매트 부재(110)가 견고하게 토양 지면이 고정되기 위해서는 도시된 앵커부재(180)가 더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앵커부재(180)는 앵커 와이어(182)와 생분해성 앵커(184)를 포함한다.
앵커 와이어(182)는 매트 부재(100)의 마감부위(여기서는 테두리)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지면 하부로 타설된 생분해성 앵커(184)에 연결된다.
그리고 생분해성 앵커(184)는 지반 토양과 주면 마찰력이 발생되어 지면 상부로 쉽게 뽑히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 부재로서, 이를 위해 표면을 통해 톱니 형상 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특히, 생분해성 앵커(184)와 매트 부재(100) 사이에서 앵커 와이어(182)는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해준 상태로 연결되어지며, 일정한 외력에 의해 매트 부재(110)가 토양 지면으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여기서, 생분해성 앵커(184)는 사용 후 굳이 수거하지 않아도 토양 내부에서 분해될 수 있는 재질을 가지며, 아울러 앵커 와이어(182) 역시 비교적 질긴 야자섬유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로써, 앵커부재(180)는 일정한 기간 동안 사용 후 자연 부식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보호판에 면상고정부재를 타설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면상고정부재(190)는 매트 부재(110)의 상부에서 지반 하부까지 타설되어 매트 부재(110)의 전면을 토양에 접촉 고정시켜 주는 부재이다. 이에 해당되는 구체적인 예로는, 목재 또는 야자섬유를 이용한 못이나 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면상고정부재(160)는 매트 부재(110)의 전면이 토양 지면 바닥 위에 밀착되어 깔려질 수 있게 해주며, 이로써, 토사의 유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해줌은 물론, 매트 부재(110)가 토양 지면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을 억제하여 외관 미감을 깔끔하게 해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설치 시공 단계를 순서에 따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가로수 등의 수목을 식재할 토양 공간을 마련하고, 수목이 식재될 적절한 위치를 선정한다(ST-10). 이때, 수목은 가능한 한 준비된 토양의 중앙부에 식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목이 식재된 식생 공간부를 제외한 잔부의 토양에 매트 부재(110)를 깔아 시공한다(ST-20). 이때, 토양 지면으로 깔려지는 매트 부재(110)의 마감부위인 테두리 및 개구부에는 마감수단 중 하나인 가는 와이어(130)가 엮여진다.
그 다음으로, 매트 부재(110)의 마감수단 중 하나인 목재 틀(150)이 매트 부재(110)의 마감부위인 테두리를 따라 덧대어 고정된다(ST-30).
끝으로 , 매트 부재(110)의 상부 전면을 통해 면상고정부재(190)를 골고루 타설하여 매트 부재(110)가 토양 지면에 효과적으로 접촉되도록 고정시킨다(ST-40).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설치 시공이 가능해진다.
다만, 이와 같이 살펴본 수목보호판의 설치 시공 단계는 바람직한 예시에 불과할 뿐, 각각의 단계의 순서가 조금씩 변경될 수도 있으며, 각 단계에서 실시되는 마감수단의 형태가 조금씩 변형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목의 외관 미감을 깔끔하게 정돈시켜 주며, 토사의 유실을 방지해 줄 수 있다. 특히, 천연의 야자섬유를 직조한 매트 부재를 사용하여, 식재된 수목과 어울리는 친환경적인 외관 미감을 부여해 줄 수 있으며, 초기 시공 시 토양에 잘 부착되어, 비, 바람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토사가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야자섬유를 직조한 매트 부재의 경우 일정 수준까지 탄력성을 지니게 되므로, 성장하는 수목의 직경에 대응하여 식생 공간부가 어느 정도 팽창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수목의 생육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내습, 내한, 내열, 내염성이 좋고 투수성이 탁월한 천연의 야자섬유를 이용함으로써, 수목의 생육 조건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야자섬유의 경우, 기존의 천연섬유(예: 짚)에 비해 오염에 강하여 쉽게 썩지 않으며 비교적 질긴 조직으로 이루어져, 철재 재질로 제작된 수목보호판과 동등한 수준의 내구연한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경우, 철재 재질로 제작된 수목보호판에 비하여 탄력성 및 신축성이 보장되어 보행자의 답력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기에 용이하다. 그에 따라 토양의 답압 피해가 감소될 수 있어 토양 상태를 온건히 보전할 수 있다. 그리고 천연의 야자섬유의 경우, 내구연한이 경과된 이후에 자연 부식되는 재질임에 따라 토양에 유기질 비료로 환원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보호판의 경우, 철재 등의 기타 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도난 발생의 우려도 없다. 따라서 초기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저 비용으로 신품을 교체하거나 유지 관리하기에 용이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수목보호판
110: 매트 부재
130, 150, 170: 마감수단
180: 앵커부재
190: 면상고정부재

Claims (5)

  1. 수목이 식재된 식생 공간부를 제외한 잔부의 토양을 덮어 배치되도록 상기 식생 공간부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중앙에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야자섬유 재질로 형성된 매트 부재와, 상기 매트 부재의 마감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마감수단을 포함하는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에 있어서,

    상기 마감수단은, 상기 매트 부재(110)의 마감부위에 덧대어 고정되는 목재 틀(150)로 이루어지되, 목재 틀(150)은 매트 부재(110)의 테두리 하면 쪽에 배치되는 하부 틀(152)과, 매트 부재(110)의 테두리 상면 쪽에 배치되는 상부 틀(1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매트 부재(100)에는, 앵커 와이어(182)와 생분해성 앵커(18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앵커부재(180)의 일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13372A 2012-02-09 2012-02-09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 KR101384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372A KR101384338B1 (ko) 2012-02-09 2012-02-09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372A KR101384338B1 (ko) 2012-02-09 2012-02-09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977A KR20130091977A (ko) 2013-08-20
KR101384338B1 true KR101384338B1 (ko) 2014-04-10

Family

ID=4921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372A KR101384338B1 (ko) 2012-02-09 2012-02-09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5369A (ko) * 2019-07-03 2021-01-14 전영철 수목 보호용 방초 매트
KR102269379B1 (ko) * 2020-07-17 2021-06-25 주식회사 지을 수목보호 매트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470B1 (ko) * 2014-07-23 2014-10-01 해천이엔씨(주) 가로수 보호덮개
CN104350987A (zh) * 2014-11-14 2015-02-18 北京东方园林股份有限公司 一种海雾防护毯
CN105052633B (zh) * 2015-07-09 2017-10-31 湘潭皓康生态材料有限公司 一种农林生态抚育垫及其制备方法
KR101968540B1 (ko) 2017-12-20 2019-04-1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절단면이 없는 야자매트 제조장치
KR102049521B1 (ko) * 2018-02-07 2019-11-27 (주)지오그린 가로수 보호용 친환경 매트
KR102342753B1 (ko) * 2021-09-17 2021-12-22 최명식 친환경 수목 보호 매트
KR102683602B1 (ko) * 2022-02-11 2024-07-09 석동욱 기능성이 뛰어난 묘목 식재용 제초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151U (ko) * 1999-06-04 2001-01-05 이재식 가로수 보호대
KR100518280B1 (ko) 2002-12-14 2005-10-04 이광우 식생식물근부표면 보호피복재
KR100804634B1 (ko) 2006-05-09 2008-02-20 김용섭 코이어 섬유를 이용한 수목 보호판
KR20080093936A (ko) * 2008-08-26 2008-10-22 이가연 수목보호덮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151U (ko) * 1999-06-04 2001-01-05 이재식 가로수 보호대
KR100518280B1 (ko) 2002-12-14 2005-10-04 이광우 식생식물근부표면 보호피복재
KR100804634B1 (ko) 2006-05-09 2008-02-20 김용섭 코이어 섬유를 이용한 수목 보호판
KR20080093936A (ko) * 2008-08-26 2008-10-22 이가연 수목보호덮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5369A (ko) * 2019-07-03 2021-01-14 전영철 수목 보호용 방초 매트
KR102274873B1 (ko) * 2019-07-03 2021-07-08 전영철 수목 보호용 방초 매트
KR102269379B1 (ko) * 2020-07-17 2021-06-25 주식회사 지을 수목보호 매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977A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338B1 (ko)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
JPH11158840A (ja) 強化複合マツト
KR102193842B1 (ko) 식물의 식생 억제를 위한 다중구조 보행매트
JP6908260B2 (ja) 受圧板、受圧板を用いた既設法枠を有する斜面の保護方法及び既設法枠を有する斜面の保護システム
KR20080026407A (ko) 식생매트와 식생매트 설치방법
KR200401368Y1 (ko) 가로수 보호판
CA2160584A1 (en) Protective structur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KR20070087942A (ko) 가로수 아래의 식물식재와 비산 먼지 방지 가로수 보호대
KR100804634B1 (ko) 코이어 섬유를 이용한 수목 보호판
JP2020117983A (ja) 斜面の保護構造及び斜面の保護方法
KR102269379B1 (ko) 수목보호 매트 어셈블리
CN213389544U (zh) 一种园林景观地形构建结构
JP2006230355A (ja) 面状緑化材
JPH0829031B2 (ja) 街路性植栽ボックス及びこれを利用した樹木の固定方法
KR101078090B1 (ko) 건물 옥상의 방근 방수용 시트
JP3668861B2 (ja) 芝生保護構造
CN217128264U (zh) 一种岩石边坡生态防护结构
KR100862209B1 (ko) 사각코이어롤을 이용한 저수호안 시공법
CN216339282U (zh) 一种消落带植树固土防冲刷保护网
JP3338977B2 (ja) 樹木の保護装置
KR101118452B1 (ko) 격자형 기초구조물을 이용한 하천 제방의 호안공법
KR200291855Y1 (ko) 철망 블럭을 이용한 식생 방음벽
KR102366447B1 (ko) 친환경 천연잔디 매트
KR100515503B1 (ko)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방호벽의 설치 구조
CN210459037U (zh) 一种带有绿植和防撞结构的高速公路隔离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