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151U - 가로수 보호대 - Google Patents

가로수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151U
KR20010000151U KR2019990009807U KR19990009807U KR20010000151U KR 20010000151 U KR20010000151 U KR 20010000151U KR 2019990009807 U KR2019990009807 U KR 2019990009807U KR 19990009807 U KR19990009807 U KR 19990009807U KR 20010000151 U KR20010000151 U KR 200100001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side
mesh mat
soil
tree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67068Y1 (ko
Inventor
이재식
Original Assignee
이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식 filed Critical 이재식
Priority to KR2019990009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068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1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1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0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01C9/005Coverings around trees forming part of the road

Landscapes

  • Protection Of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로수 보호대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가로수가 식재된 토양에 그물망 매트가 깔린다. 그물망 매트 중앙에는 식재된 시점에서 가로수의 굵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식재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물망 매트상에는 보행인이 토양을 직접 밟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포석이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된다. 특히, 그물망 매트의 재질로는 면사, 황마사 또는 야자 섬유사와 같은 식물성 천연사 또는 폴리에스틸인 것이 바람직하고, 포석은 일정 크기로 가공된 자연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가로수 보호대{ROADSIDE TREE PROTECTOR}
본 고안은 가로수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로변에 식재된 가로수의 근부 토양이 보행인들에게 밟혀서 다져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로수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삭막한 도시 환경을 조금이나마 줄이기 위해서, 도로변에는 가로수들이 식재되어 있다. 즉, 보도의 일부분에는 보도 블럭을 배치하지 않고 토양을 그대로 노출시키고, 이 토양에 가로수를 식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가로수 주위에 있는 토양을 그대로 방치해두면, 보행인들이 노출된 토양을 밟게 된다. 이로 인하여, 가로수의 뿌리로 수분과 산소를 공급하는 토양이 다져지게 되어, 토양 사이의 공간이 점차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가로수의 뿌리로 수분과 산소 공급이 원활해지지 않게 되어, 가로수의 성장 발육이 저해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로수가 식재된 토양에는 보행인이 밟지 못하도록 가로수 보호대가 설치되는데, 도 1에 종래의 가로수 보호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로수 보호대는 직사각형의 받침대(1)와, 받침대(1) 내부에 배치되어 그 중앙에 가로수가 식재되는 판상체(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판상체(2)의 중앙에는 가로수가 식재되는 원형의 식재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판상체(2)는 가로수 주변의 토양이 보행인들에게 밟히는 것을 방지해야만 하므로, 받침대(1)에 의해 토양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가로수는 성장함에 따라 당연히 직경이 늘어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가로수 보호대는 식재 공간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가로수 보호대에는 식재 공간부가 매우 큰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만일 식재 공간부의 크기를 너무 작게 하면, 가로수의 성장이 식재 공간부에 의해 저지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종래의 가로수 보호대에는 식재 공간부가 매우 넓게 형성되어 있다. 식재 공간부의 크기가 작은 가로수 보호대가 사용되면, 가로수 성장에 따라 더 넓은 식재 공간부를 갖는 것으로 가로수 보호대를 교체해야만 한다.
그런데, 가로수를 식재한 초기에는 가로수의 직경이 식재 공간부의 크기에 비해 상당히 작다. 이로 인하여, 보행인이 가로수와 식개 공간부 사이를 통해서 발을 힘들이지 않고 집어 넣을 수가 있어서, 종래의 가로수 보호대는 토양이 보행인들에게 밟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본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또한, 종래의 가로수 보호대의 재질은 대부분 철재 또는 경질 플라스틱이다. 이로 인하여, 삭막한 도시 환경을 자연 친화적 환경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가로수가 사용되지만, 오히려 자연 친화적 재질이 아닌 가로수 보호대에 의해 가로수의 기능이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가로수 보호대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로수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가로수 주변의 토양이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가로수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시 환경을 보다 자연 친화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로수 보호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가 가로부 주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가로수 성장에 따라 가로수 보호대의 식재 공간부 크기가 확장되는 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그물망 매트 11 ; 식재 공간부
20 ; 접착제 30 ; 포석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가로수가 식재된 토양에 그물망 매트가 깔린다. 그물망 매트 중앙에는 식재된 시점에서 가로수의 굵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식재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물망 매트상에는 보행인이 토양을 직접 밟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포석이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된다. 각 포석 사이에는 모래가 충진된다. 특히, 그물망 매트의 재질로는 면사(cotton fiber), 황마사(jute fiber) 또는 야자 섬유사(coconut fiber)와 같은 식물성 천연사인 것이 바람직하고, 포석은 일정 크기로 가공된 자연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그물망 매트상에 포석이 접착된 구조이므로, 가로수 성장에 따라 안쪽 포석만을 그물망 매트에서 떼어내기만 하면 된다. 또한, 그물망 매트와 포석은 자연 친화적인 재질이므로, 가로수 주변 환경도 자연 친화적이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가 가로부 주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가로수 성장에 따라 가로수 보호대의 식재 공간부 크기가 확장되는 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는 그물망 매트(10)와 포석(30)으로 구성된다. 그물망 매트(10)는 복수개의 섬유사가 종횡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구조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물망 매트(10)의 형상은 가로수 주변 토양의 형상에 따라 변경되는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반드시 원형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직사각형이나 다른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물망 매트(10)의 중앙에는 원형의 식재 공간부(11)가 형성된다. 특히, 식재 공간부(11)의 크기는 초기 가로수의 굵기, 즉 가로수가 식재될 시점에서 갖는 굵기와 대응할 정도면 되는데, 그 이유는 후술한다. 한편, 그물망 매트(10)를 구성하는 섬유사의 재질로는 폴리에스틸과 같은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가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 섬유로는 면사, 황마사 또는 야자 섬유사 중에서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보행인이 토양을 직접 밟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포석(30)이 그물망 매트(10)상에 접착되는데, 이를 위해 그물망 매트(10) 표면에는 에폭시 계열의 접착제(20)가 도포된다. 포석(30)도 그물망 매트(10)와 같이 자연 친화적 재질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포석(30)의 재질로서 일정 크기로 가공된 자연석을 사용한다. 각 포석(30) 사이는 모래로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로수 보호대가 가로수 주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수 주변의 토양에는 그물망 매트(10)가 깔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물망 매트(10)의 가장자리는 보도 블럭으로 지지된다. 그물망 매트(10) 상부에 접착제(20)를 매개로 복수개의 포석(30)이 방사형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 년이 경과하여 가로수가 성장하여 이에 따라 가로수의 굵기가 굵어지게 되면, 그 굵어진 정도만큼 안쪽의 포석(30)을 도 4와 같이 그물망 매트(10)에서 떼어내면 된다. 포석(30)은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맨 안쪽 포석(30)을 떼어내도 다시 원형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그물망 매트(10)는 가로수의 성장을 저지할 정도의 강도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포석(30)이 떼어진 그물망 매트(10) 부분에 의해 가로수의 성장이 방해되는 경우는 없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식재 공간부(11)를 원형으로, 이에 따라 포석(30)을 방사형으로 배열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식재 공간부(11)를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이에 따라 포석(30)을 직사각 형태로 배열할 수도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가로수의 굵기가 굵어짐에 따라 안쪽 포석을 그물망 매트에서 떼어내기만 하면 된다. 그러므로, 그물망 매트의 식재 공간부 크기를 초기 가로수의 굵기 정도로만 형성하면 되므로, 가로수와 식재 공간부 사이를 통해서 토양이 노출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를 사용하게 되면, 보행인에 의해 토양이 밟혀 다져지는 것이 근원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그물망 매트와 포석의 재질이 천연 섬유사와 자연석인 자연 친화적이므로, 삭막한 도시 환경을 자연 친화적으로 구현하려는 가로수의 기능을 보조할 수가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가로수 주변 토양에 깔리고, 중앙에는 가로수가 식재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그물망 매트;
    상기 그물망 매트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 및
    상기 접착제를 매개로 그물망 매트에 접착되어, 보행인이 토양을 밟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로수의 굵기가 굵어짐에 따라 안쪽으로부터 상기 그물망 매트에서 떼어내지는 복수개의 포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 매트의 식재 공간부는, 가로수와 식재 공간부 사이를 통해서 토양이 노출되지 않도록, 식재되는 시점에서의 가로수 굵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 매트의 재질은 면사, 황마사 또는 야자 섬유사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천연 섬유사 또는 합성 섬유사인 폴리에스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석은 일정 크기로 가공된 자연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대.
KR2019990009807U 1999-06-04 1999-06-04 가로수 보호대 KR200267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807U KR200267068Y1 (ko) 1999-06-04 1999-06-04 가로수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807U KR200267068Y1 (ko) 1999-06-04 1999-06-04 가로수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151U true KR20010000151U (ko) 2001-01-05
KR200267068Y1 KR200267068Y1 (ko) 2002-03-06

Family

ID=5476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807U KR200267068Y1 (ko) 1999-06-04 1999-06-04 가로수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0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280B1 (ko) * 2002-12-14 2005-10-04 이광우 식생식물근부표면 보호피복재
KR101384338B1 (ko) * 2012-02-09 2014-04-10 송용섭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082B1 (ko) * 2016-10-17 2018-07-31 손창규 잡초 생장 억제용 덮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280B1 (ko) * 2002-12-14 2005-10-04 이광우 식생식물근부표면 보호피복재
KR101384338B1 (ko) * 2012-02-09 2014-04-10 송용섭 야자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수목보호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068Y1 (ko) 200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823B1 (ko) 스포츠 및 기타용도를 위한 개선된 표면
US7407340B2 (en) Modular, self contained, engineered irrigation landscape and flower bed panel
DE69705535T2 (de) Kombinationsrasen
KR100804756B1 (ko) 뿌리 엉김 기능을 갖는 식생매트를 이용한 법면 녹화장치및 녹화시공공법
JPH10164973A (ja) 張芝要素および張芝を形成する方法
CN104350985A (zh) 一种保护大规格乔木种植的多功能装置及方法
KR200267068Y1 (ko) 가로수 보호대
KR100495709B1 (ko) 생태 복원 매트
KR20180001436A (ko) 녹화용 매트
KR100329202B1 (ko) 경사면의 식생층 조성공법 및 조성블럭
KR101277662B1 (ko) 인도의 변형이 방지되는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공법
KR200254952Y1 (ko) 수목의 수분 공급 장치
CN209185142U (zh) 一种树木种植区土层防护结构
JP2008289393A (ja) 培養土を入れた繊維構造体
KR102293493B1 (ko) 사면 녹화공법
KR200324814Y1 (ko) 생태 복원 매트
JPH11117309A (ja) 緑化工法
KR100892256B1 (ko) 가로수 조경용 블록
JP4570000B2 (ja) 伐採材による法面の保護及び緑化工法
KR20000074347A (ko) 사면 보호용 조경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20000044966A (ko) 도로나 둑의 경사면을 보호하는 거적
KR200163427Y1 (ko) 천연잔디산마루측구용블럭
KR100449482B1 (ko) 호안 식생블럭용 잔디매트 제조방법
KR20140005610U (ko) 식생 로프
JP3029717U (ja) 雑草除去用敷設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