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303B1 - 자연목을 이용한 플랫폼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자연목을 이용한 플랫폼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303B1
KR102420303B1 KR1020220009970A KR20220009970A KR102420303B1 KR 102420303 B1 KR102420303 B1 KR 102420303B1 KR 1020220009970 A KR1020220009970 A KR 1020220009970A KR 20220009970 A KR20220009970 A KR 20220009970A KR 102420303 B1 KR102420303 B1 KR 102420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band
spaced apart
natural wood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옥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웹
표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웹, 표옥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웹
Priority to KR1020220009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지지밴드(111), 제1지지밴드(11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지지밴드(113), 제1, 2지지밴드(111, 113)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제1결합대(115)가 마련되는 제1지지체(11); 제3지지밴드(131), 제3지지밴드(13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4지지밴드(133), 제3, 4지지밴드(131, 133)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제2결합대(135)가 마련되어 제1지지체(11)와 대향하며 결합되는 제2지지체(13);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지지밴드(111)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1지지밴드(11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되어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되는 제1밀착체(21);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밀착체(2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1지지밴드(11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된 상태로 자연목(T)의 외면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밀착체(22);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3지지밴드(131)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3지지밴드(13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되어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되는 제3밀착체(23);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3밀착체(23)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3지지밴드(13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된 상태로 자연목(T)의 외면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4밀착체(24); 일정면적을 가지며 제1, 2지지체(11, 13) 상면부위에 설치되는 바닥판(30);을 포함하는 자연목을 이용한 플랫폼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연목을 이용한 플랫폼 설치 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platform using by real trees}
본 발명은 자연목을 이용한 플랫폼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연목의 외면에 자연스럽게 밀착된 상태에서 자연목의 생육 자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자연목에 설치된 데크나 쉘터 등과 같은 구조물을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자연목을 이용한 플랫폼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인구가 도시로 집중되며 도시화가 고도로 심화됨에 따라 자연환경에 대한 동경이나 그리움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어른들에게는 숲에서의 휴식을 제공하고,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는 자연환경에서 자연스럽게 모험심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자연목에 일시적인 생활공간으로서의 데크나 쉘터 등과 같은 플랫폼을 설치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자연목에 휴식을 위한 데크나 쉘터 등과 같은 플랫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구조물 자체의 하중은 물론 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람들이나 아이들의 하중을 안정하게 받칠 수 있는 받침프레임이 먼저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받침프레임은 일반적으로 도 7에 개시된 것과 같이, 반원 구조의 좌우 밴드를 자연목 외면에 밀착시킨 다음 볼트로서 좌우 밴드를 체결하여 자연목에 고정하고, 그 상측부위에 플랫폼을 안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콘크리트나 금속 재질과 같은 인공 지주는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시공 당시의 굵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나, 인공 지주와 달리 살아 있는 자연목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생육되어 점점 그 굵기가 증가한다. 때문에, 도 7과 같은 금속 재질의 밴드를 자연목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시켜 고정하게 되면, 자연목의 생육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은 너무나 자명하며, 이로 인해 자연목이 고사하는 경우 구조물이 지면으로 낙하하여 자칫 인명사고와 연결되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2627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75442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목의 생육 자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자연목에 설치된 데크나 쉘터 등과 같은 플랫폼을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설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지지밴드(111), 제1지지밴드(11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지지밴드(113), 제1, 2지지밴드(111, 113)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제1결합대(115)가 마련되는 제1지지체(11); 제3지지밴드(131), 제3지지밴드(13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4지지밴드(133), 제3, 4지지밴드(131, 133)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제2결합대(135)가 마련되어 제1지지체(11)와 대향하며 결합되는 제2지지체(13);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지지밴드(111)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1지지밴드(11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되어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되는 제1밀착체(21);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밀착체(2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1지지밴드(11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된 상태로 자연목(T)의 외면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밀착체(22);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3지지밴드(131)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3지지밴드(13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되어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되는 제3밀착체(23);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3밀착체(23)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3지지밴드(13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된 상태로 자연목(T)의 외면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4밀착체(24); 일정면적을 가지며 제1, 2지지체(11, 13) 상면부위에 설치되는 바닥판(3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3밀착체(21, 23) 각각은 일정수직 길이를 가지는 제1, 3밀착바(211, 231) 및 상기 제1, 3밀착바(211, 231) 각각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3간격조절볼트(212, 2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4밀착체(22, 24) 각각은 일정수직 길이를 가지는 제2, 4밀착바(221, 241) 및 상기 제2, 4밀착바(221, 241) 각각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4간격조절볼트(222, 242)로 이루어져, 자연목(T)이 생장하면 제2, 4밀착체(22, 24)의 제2, 4간격조절볼트(222, 242) 각각을 조절하며 제2, 4밀착바(221, 241) 각각을 전진시켜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시키고, 제1, 3밀착체(21, 23)의 제1, 3간격조절볼트(212, 232) 각각을 조절하며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되어 있던 제1, 3밀착바(211, 231) 각각을 후퇴시켜 자연목(T)의 외면부위와 일정간격 이격시키며; 상기 제1지지체(11)의 수직 상방에는, 제5지지밴드(151), 제5지지밴드(15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6지지밴드(153), 제5, 6지지밴드(151, 153)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제3결합대(155)가 마련되는 제3지지체(15)가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체(13)의 수직 상방에는, 제7지지밴드(171), 제7지지밴드(17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8지지밴드(173), 제7, 8지지밴드(171, 173)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제4결합대(175)가 마련되어 제3지지체(15)와 대향하며 결합되는 제4지지체(17)가 위치하며; 상기 제5지지밴드(151)에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5지지밴드(15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되어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되는 제5밀착체(25)가 마련되고; 상기 제5밀착체(25) 사이에는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5지지밴드(15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된 상태로 자연목(T)의 외면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6밀착체(26)가 마련되며; 상기 제7지지밴드(171)에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7지지밴드(17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되어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되는 제7밀착체(27)가 마련되고; 상기 제7밀착체(27) 사이에는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7지지밴드(17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된 상태로 자연목(T)의 외면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8밀착체(28)가 마련되며; 상기 제1, 2지지체(11, 13) 및 제3, 4지지체(15, 17) 사이에는 측벽체(50)가 설치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때, 상기 제3, 4지지체(15, 17) 상측부위에는 지붕(4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제5, 6, 7, 8밀착체(25, 26, 27, 28) 각각은, 일정수직 길이를 가지는 제5, 6, 7, 8밀착바(251, 261, 271, 281) 및 상기 제5, 6, 7, 8밀착바(251, 261, 271, 281) 각각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5, 6, 7, 8간격조절볼트(252, 262, 272, 28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측벽체(50)에는 이동통로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밀착체 중 일부는 자연목의 외면부위에 밀착시켜 플랫폼을 지지하고 밀착체 중 나머지는 자연목의 외면과 일정 간격 이격시켜 설치한 다음, 시간의 경과에 따라 플랫폼이 설치된 자연목이 생장하여 기존의 밀착체가 자연목에 일정깊이로 파고들면, 밀착되지 않은 밀착체를 자연목의 외면에 자연스럽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자연목의 외면을 파고든 기존의 밀착체를 분리함으로써, 자연목의 생육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장시간 안정적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플랫폼이 자연목에 설치된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 지지체 및 밀착체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3a 및 도 3b 각각은 본 발명에 있어 바닥판이 설치된 지지체 및 밀착체가 자연목에 결합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 지지체 및 밀착체의 개략적인 다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로서의 플랫폼이 자연목에 설치된 개략적인 구성도.
도 6a 내지 도 6d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이 자연목에 설치되는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7은 종래 플랫폼을 자연목에 설치하기 위한 받침프레임의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휴식을 위한 데크구조물이나 쉘터 등과 같은 플랫폼을 자연목 자체에 직접 설치하기 위한 구조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지지체 및 밀착체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지지체는 플랫폼을 이루는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개시된 것 같이, 제1, 2지지체(11, 13)로 이루어진다. 제1지지체(11)는 제1지지밴드(111) 및 제1지지밴드(11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지지밴드(113), 그리고 제1, 2지지밴드(111, 113)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제1결합대(115)로 구성된다.
제2지지체(13)는 제3지지밴드(131) 및 제3지지밴드(13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4지지밴드(133), 그리고 제3, 4지지밴드(131, 133)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제2결합대(135)가 마련되어 제1지지체(11)와 대향하며 결합된다. 제1, 2지지체(11, 13) 상호 간은 별도의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밀착체는 지지체 각각을 자연목(T)에 밀착시키는 부분으로, 본 발명에 있어 밀착체는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 3밀착체(21, 23) 및 제2, 4밀착체(22, 24)로 분리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제1밀착체(21)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지지밴드(111)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내측부위는 제1지지밴드(11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되어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된다. 제3밀착체(23)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3지지밴드(131)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3지지밴드(13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되어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된다.
제2밀착체(22)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밀착체(2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1지지밴드(11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된 상태로 자연목(T)의 외면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4밀착체(24)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3밀착체(23)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3지지밴드(13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된 상태로 자연목(T)의 외면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즉, 도 3a 및 도 3b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제1, 3밀착체(21, 23) 각각의 내측부위는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제1, 3밀착체(21, 23) 각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4밀착체(22, 24) 각각의 내측부위는 설치 과정에서 자연목(T)의 외면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을 제안하는 이유는, 설치 시점에 일정 직경을 가지는 자연목(T)의 외면에 제1, 3밀착체를 밀착시켜 구조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일정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연목(T)이 성장하여 직경이 커지면서 제1, 3밀착체 각각이 일정 깊이로 자연목(T)을 파고들면, 제2, 4밀착체 각각을 자연목(T)의 외면에 밀착시킨 다음 자연목(T)에 박혀있는 기존의 제1, 3밀착체를 자연목(T)의 외면으로부터 분리하는 방식으로, 자연목의 안정적인 생육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면과 같이, 제1, 2, 3, 4밀착체(21, 22, 23, 24) 각각은, 일정수직 길이를 가지는 제1, 2, 3, 4밀착바(211, 221, 231, 241) 및 이들 제1, 2, 3, 4밀착바(211, 221, 231, 241) 각각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2, 3, 4간격조절볼트(212, 222, 232, 242)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제안한다.
이럴 경우, 설치 과정에서 제1, 3밀착체 각각을 자연목(T)의 외면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켜 그 상측에 설치되는 플랫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 3밀착체 각각을 자연목(T)으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분리하고 제2, 4밀착체 각각을 자연목(T)의 외면에 매우 긴밀하게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는 제1, 2, 3, 4간격조절볼트(212, 222, 232, 242) 각각을 제1, 3지지밴드(111, 131) 각각에 취부하기 위한 제1, 2, 3, 4브라켓(213, 223, 233, 243)가 마련된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취부 구성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바닥판(30)은 일정 수직 높이에서 자연을 조망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일정 면적을 가지며 상호 결합된 제1, 2지지체(11, 13)의 상면부위에 설치된다. 바닥판(30)의 구체적인 크기나 형상은 도면과 달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a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을 이용한 시설물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즉, 인접하는 자연목(T) 각각에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도록 플랫폼(6)을 설치한 다음, 이들 플랫폼(6) 사이에 로프와 같은 모험시설물(9)을 마련하게 되면, 이용자들은 자연 생태 환경에서 모험시설물을 이용하며 스릴을 느낄 수 있으며, 그 과정 중간 중간에 플랫폼(6)에서 안전하게 휴식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제1, 2지지체(11, 13) 수직 상방에 제3, 4지지체(15, 17) 각각이 설치되고, 제3, 4지지체(15, 17) 각각에는 제5, 6밀착체(25, 26) 및 제7, 8밀착체(27, 28) 각각이 설치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제3지지체(15)는 제1지지체(11) 수직 상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며, 제5지지밴드(151) 및 제5지지밴드(15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6지지밴드(153), 그리고 제5, 6지지밴드(151, 153)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제3결합대(155)로 구성된다.
제4지지체(17)는 제7지지밴드(171) 및 제7지지밴드(17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8지지밴드(173), 그리고 제7, 8지지밴드(171, 173)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제4결합대(175)가 마련되어 제3지지체(15)와 대향하며 결합된다. 제1, 2지지체(11, 13)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3, 4지지체(15, 17) 상호 간 역시 별도의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3, 4지지체(15, 17) 각각은 전술한 제1, 2지지체(11, 13)와 대동소이한 구성으로서, 제3, 4지지체(15, 17) 각각을 이루는 상세한 구성은 도 2에 개시되어 있는 제1, 2지지체(11, 13)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기되어 있는 도면부호를 참조하면 된다. 왜냐하면, 도 2에 개시되어 있는 제1, 2지지체(11, 13)를 상하 반전시키면 제3, 4지지체(15, 17)를 이루기 때문이다.
제1, 3지지밴드(111, 131)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5, 7지지밴드(151, 171) 각각 역시 도면과 달리 일정 폭을 가지는 단일의 밴드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으며,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5, 7지지밴드(151, 171) 및 제6, 8지지밴드(153, 173) 각각이 다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5밀착체(25)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5지지밴드(151)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5지지밴드(15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되어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된다. 제7밀착체(27)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7지지밴드(171)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7지지밴드(17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되어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된다.
제6밀착체(26)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5밀착체(25)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5지지밴드(15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된 상태로 자연목(T)의 외면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8밀착체(28)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7밀착체(27)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7지지밴드(17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된 상태로 자연목(T)의 외면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3, 4지지체(15, 17)와 마찬가지로 제5, 7밀착체(25, 27) 및 제6, 8밀착체(26, 28) 각각 역시 전술한 제1, 3밀착체(21, 23) 및 제2, 4밀착체(22, 24) 각각과 대동소이한 구성으로서, 제5, 7밀착체(25, 27) 및 제6, 8밀착체(26, 28) 각각 각각을 이루는 상세한 구성은 도 2에 개시된 제1, 3밀착체(21, 23) 및 제2, 4밀착체(22, 24) 각각에 부기되어 있는 도면부호를 참조하면 된다.
전술한 제1, 2, 3, 4밀착체(21, 22, 23, 24) 각각과 같이, 제5, 6, 7, 8밀착체(25, 26, 27, 28) 각각 역시 일정수직 길이를 가지는 제5, 6, 7, 8밀착바(251, 261, 271, 281) 및 제5, 6, 7, 8간격조절볼트(252, 262, 272, 28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5, 6, 7, 8간격조절볼트(252, 262, 272, 282) 각각은 제5, 6, 7, 8브라켓(213, 223, 233, 243, 353, 363, 273, 283) 각각에 매개되어 작동할 수 있다.
이처럼, 제5, 6밀착체(25, 26) 및 제7, 8밀착체(27, 28) 각각이 마련되는 제3, 4지지체(15, 17) 각각이 설치되는 경우, 도 5와 같이 제1, 2지지체(11, 13)와 제3, 4지지체(15, 17) 사이에는 측벽체(50)가 설치될 수 있다. 측벽체(50)는 도면과 달리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럴 경우, 제1, 2지지체(11, 13)와 제3, 4지지체(15, 17) 상호 간은 측벽체(50)에 의해 일체화된다는 점에서 구조적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제1, 2지지체(11, 13)와 제3, 4지지체(15, 17) 사이에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이용자들이 더욱 안전한 상태에서 휴식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3, 4지지체(15, 17)의 상측부위에 지붕(40)이 더 설치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지붕(40)이 마련되면 그 내부 공간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더욱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으며, 그 크기나 그 구체적인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b 내지 도 6d 각각에는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플랫폼(1, 2, 3, 4)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은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측벽체(50)가 이동통로(5, 6, 7)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제안한다. 이럴 경우, 이용자들은 인접하는 자연목(T)에 설치되는 플랫폼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며 주변 경관을 관망하며 휴식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플랫폼은 숙박이 가능한 임시시설물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1, 13, 15, 17 : 제1, 2, 3, 4지지체
111, 131, 151, 171 : 제1, 3, 5, 7지지밴드
113, 133, 153, 173 : 제2, 4, 6, 8지지밴드
115, 135, 155, 175 : 제1, 2, 3, 4결합대
21, 22, 23, 24, 25, 26, 27, 28 : 제1, 2, 3, 4, 5, 6, 7, 8지지체
211, 221, 231, 241, 251, 261, 271, 281 : 제1, 2, 3, 4, 5, 6, 7, 8밀착바
212, 222, 232, 242, 252, 262, 272, 282 : 제1, 2, 3, 4, 5, 6, 7, 8간격조절볼트
213, 223, 233, 243, 253, 263, 273, 283 : 제1, 2, 3, 4, 5, 6, 7, 8브라켓
30 : 바닥판 40 : 지붕
50 : 측벽체 T : 자연목

Claims (5)

  1. 제1지지밴드(111), 제1지지밴드(11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지지밴드(113), 제1, 2지지밴드(111, 113)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제1결합대(115)가 마련되는 제1지지체(11);
    제3지지밴드(131), 제3지지밴드(13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4지지밴드(133), 제3, 4지지밴드(131, 133)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제2결합대(135)가 마련되어 제1지지체(11)와 대향하며 결합되는 제2지지체(13);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지지밴드(111)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1지지밴드(11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되어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되는 제1밀착체(21);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밀착체(2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1지지밴드(11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된 상태로 자연목(T)의 외면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밀착체(22);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3지지밴드(131)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3지지밴드(13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되어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되는 제3밀착체(23);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3밀착체(23)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3지지밴드(13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된 상태로 자연목(T)의 외면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4밀착체(24);
    일정면적을 가지며 제1, 2지지체(11, 13) 상면부위에 설치되는 바닥판(3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3밀착체(21, 23) 각각은 일정수직 길이를 가지는 제1, 3밀착바(211, 231) 및 상기 제1, 3밀착바(211, 231) 각각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3간격조절볼트(212, 2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4밀착체(22, 24) 각각은 일정수직 길이를 가지는 제2, 4밀착바(221, 241) 및 상기 제2, 4밀착바(221, 241) 각각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4간격조절볼트(222, 242)로 이루어져, 자연목(T)이 생장하면 제2, 4밀착체(22, 24)의 제2, 4간격조절볼트(222, 242) 각각을 조절하며 제2, 4밀착바(221, 241) 각각을 전진시켜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시키고, 제1, 3밀착체(21, 23)의 제1, 3간격조절볼트(212, 232) 각각을 조절하며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되어 있던 제1, 3밀착바(211, 231) 각각을 후퇴시켜 자연목(T)의 외면부위와 일정간격 이격시키며;
    상기 제1지지체(11)의 수직 상방에는, 제5지지밴드(151), 제5지지밴드(15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6지지밴드(153), 제5, 6지지밴드(151, 153)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제3결합대(155)가 마련되는 제3지지체(15)가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체(13)의 수직 상방에는, 제7지지밴드(171), 제7지지밴드(171)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8지지밴드(173), 제7, 8지지밴드(171, 173) 상호 간을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제4결합대(175)가 마련되어 제3지지체(15)와 대향하며 결합되는 제4지지체(17)가 위치하며; 상기 제5지지밴드(151)에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5지지밴드(15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되어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되는 제5밀착체(25)가 마련되고; 상기 제5밀착체(25) 사이에는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5지지밴드(15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된 상태로 자연목(T)의 외면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6밀착체(26)가 마련되며; 상기 제7지지밴드(171)에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7지지밴드(17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되어 자연목(T)의 외면부위에 밀착되는 제7밀착체(27)가 마련되고; 상기 제7밀착체(27) 사이에는 각각의 내측부위가 제7지지밴드(171)의 내면을 통해 돌출된 상태로 자연목(T)의 외면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8밀착체(28)가 마련되며; 상기 제1, 2지지체(11, 13) 및 제3, 4지지체(15, 17) 사이에는 측벽체(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목을 이용한 플랫폼 설치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4지지체(15, 17) 상측부위에는 지붕(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목을 이용한 플랫폼 설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6, 7, 8밀착체(25, 26, 27, 28) 각각은, 일정수직 길이를 가지는 제5, 6, 7, 8밀착바(251, 261, 271, 281) 및 상기 제5, 6, 7, 8밀착바(251, 261, 271, 281) 각각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5, 6, 7, 8간격조절볼트(252, 262, 272, 28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목을 이용한 플랫폼 설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체(50)에는 이동통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목을 이용한 플랫폼 설치 구조.
KR1020220009970A 2022-01-24 2022-01-24 자연목을 이용한 플랫폼 설치 구조 KR102420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970A KR102420303B1 (ko) 2022-01-24 2022-01-24 자연목을 이용한 플랫폼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970A KR102420303B1 (ko) 2022-01-24 2022-01-24 자연목을 이용한 플랫폼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303B1 true KR102420303B1 (ko) 2022-07-13

Family

ID=82401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970A KR102420303B1 (ko) 2022-01-24 2022-01-24 자연목을 이용한 플랫폼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3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927B1 (ko) * 2022-09-08 2023-05-17 어드벤처 주식회사 ㄷ자형 구조를 갖는 안전네트용 체결구조물
KR102616812B1 (ko) * 2023-05-31 2023-12-21 주식회사 더챌린지 수목 보호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 구조체
KR102627757B1 (ko) * 2023-06-23 2024-01-23 에코테인먼트코리아 주식회사 안전성이 강화된 네트 놀이시설 및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4699A1 (en) * 2002-10-22 2004-04-22 Ehrenfried Barry A. Stand for mounting on and orbiting about columnar member
KR101526279B1 (ko) 2014-04-29 2015-06-05 어드벤처닷케이알(주) 모험 시설용 발판
CN105421764A (zh) * 2015-11-30 2016-03-23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圆柱木模板的加固系统及拼缝紧固器
KR102075442B1 (ko) 2018-08-10 2020-02-10 길승환 체험자의 안전을 위한 모험활동시설 플랫폼 발판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4699A1 (en) * 2002-10-22 2004-04-22 Ehrenfried Barry A. Stand for mounting on and orbiting about columnar member
KR101526279B1 (ko) 2014-04-29 2015-06-05 어드벤처닷케이알(주) 모험 시설용 발판
CN105421764A (zh) * 2015-11-30 2016-03-23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圆柱木模板的加固系统及拼缝紧固器
KR102075442B1 (ko) 2018-08-10 2020-02-10 길승환 체험자의 안전을 위한 모험활동시설 플랫폼 발판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927B1 (ko) * 2022-09-08 2023-05-17 어드벤처 주식회사 ㄷ자형 구조를 갖는 안전네트용 체결구조물
KR102616812B1 (ko) * 2023-05-31 2023-12-21 주식회사 더챌린지 수목 보호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 구조체
KR102627757B1 (ko) * 2023-06-23 2024-01-23 에코테인먼트코리아 주식회사 안전성이 강화된 네트 놀이시설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0303B1 (ko) 자연목을 이용한 플랫폼 설치 구조
WO2010101089A1 (ja) プランター支持枠装置
KR101230336B1 (ko) 데크로드 시스템의 데크 상판 고정장치
GR1006782B (el) Υδραυλικος ελκυστηρας δομικων εργων
GB2322649A (en) A cable-stay retractable skylight roof for stadium or arena or other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of same
WO2007008791A3 (en) Partially contained, reduced weight plant growth medium
KR20210053523A (ko) 건물 내외벽에 대리석을 부착하는 방법
HUP0500011A2 (hu) Kétszeresen előfeszített tető-födém szerkezet rácsos sík alsóövvel rendkívül nagy fesztávolságokhoz
CN100353010C (zh) 组合梁
WO1997043928A1 (fr) Structure de protection de personnes vis-a-vis des effets d'un seisme
JPWO2001073204A1 (ja) 斜面に道路や工事用足場として有用な構造物を作設する方法
WO2017041518A1 (zh) 铝合金房屋的立柱基座
JP2787422B2 (ja) 雪崩等の防護柵
MD1511G2 (ro) Panou prefabricat de construcţie rezistent la cutremur, vînturi şi foc, structuri formate din aceste panouri
KR20200033549A (ko) 내식성 및 이탈변형방지기능을 갖는 한식 구조물 기둥과 기초부의 조립구조
US200900497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reasing susceptibility of a roof structure to hurricane forces
KR20170007194A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U5885599A (en) Building system for erecting of buildings
WO2001029338A3 (en) Shear wall panel
JP3234216U (ja) 昇降式ツリーハウスおよびツリーベランダ
Dahunsi et al. Earthquake resistant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hasi houses in Shillong, India
KR102627196B1 (ko)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
KR102062511B1 (ko) 한식 구조물 시공용 추녀 매립형 주두 조립체
CN220080942U (zh) 一种多样性绿化度假楼
JP3243420U (ja) 妻面トラス梁付き園芸用ハウ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