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196B1 -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 - Google Patents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196B1
KR102627196B1 KR1020230005356A KR20230005356A KR102627196B1 KR 102627196 B1 KR102627196 B1 KR 102627196B1 KR 1020230005356 A KR1020230005356 A KR 1020230005356A KR 20230005356 A KR20230005356 A KR 20230005356A KR 102627196 B1 KR102627196 B1 KR 102627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members
fastening
side wal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5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승환
Original Assignee
어드벤처 주식회사
길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벤처 주식회사, 길승환 filed Critical 어드벤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05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영역 주위를 따라 지면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대들과, 설치영역 내에 설치되며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띄어져 설치되는 트리하우스와, 일측은 지지대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트리하우스와 연결되어 트리하우스를 지상으로부터 견인해 상공에 고정시키는 연결부와, 지지대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은 지지대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지면에 고정되어 지지대들을 지지하는 앵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띄어져 공중부양된 형태로 설치되어 지면 식생의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철거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A hanging tree house with a structure in which four upper pillars are gathered and joined together}
본 발명은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으로부터 상공에 띄워 고정함으로써 지면 식생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철거가 용이한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리하우스(Treehouse)란 수목의 위 또는 살아 있는 수목을 토대로 하여 구축된 건축물을 말하며, 주로 동남아시아나 중남미 등의 열대 우림 지대에 원주민의 주거로서 지어져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트리하우스를 취미, 오락, 레크리에이션이나 자연과 일체화된 생활 환경을 즐길 수 있는 관광의 목적으로 건축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산림레포츠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위해 체험객이 숲속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자연수목이나 인공지주를 활용하여 건축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트리하우스는 인공지주를 활용하여 지상에 축조되는 만큼 지면 식생을 훼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건축 후 철거가 복잡하고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70314호 (2022.05.30. 공개)
본 발명은, 지주없이 공중부양된 형태로 구성되어 지면 식생의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철거가 용이한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치영역 주위를 따라 지면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대들과; 상기 설치영역 내에 설치되며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띄어져 설치되는 트리하우스와; 일측은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트리하우스와 연결되어 상기 트리하우스를 지상으로부터 견인해 상공에 고정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지지대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은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대들을 지지하는 앵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리하우스는, 상부에 위치하여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부와, 상부가 상기 지붕부의 외측을 따라 결합되고 내측으로 하우스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 결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상기 지붕부와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붕부는,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며, 다각뿔 형태로 상단부는 꼭지점을 이루면서 연결되고 하단부는 방사상으로 벌어져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붕부재들과, 상기 지붕부재들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고, 양단부가 대향되게 위치하는 상기 지붕부재들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붕부재들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들과, 상기 지붕부재들의 상부에 설치되는 캐노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는, 상단부가 상기 지붕부재들 각각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하향 경사지게 모아져 배치되어 내측으로 상기 하우스공간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상기 바닥부가 연결되는 복수개의 측벽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서로 경사지게 맞닿아 연결되는 상기 지붕부재들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붕부재들의 상단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1체결수단과, 상기 지붕부재들의 하단부와 상기 측벽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붕부재와 상기 측벽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2체결수단과, 상기 제1바닥부재 및 상기 제2바닥부재와 상기 측벽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3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수단은, 인접하는 상기 지붕부재들에 삽입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편들을 포함하는 제1체결브라켓과, 상기 제1체결브라켓과 상기 지붕부재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제1체결브라켓과 상기 지붕부재를 서로 고정 결합시키는 제1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수단은, 상기 지붕부재에 삽입되는 제1삽입편과, 상기 제1삽입편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측벽부재에 삽입되는 제2삽입편과, 상기 제1삽입편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붕부재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돌출편과, 상기 제1삽입편과 상기 제2삽입편의 측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연결편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2체결브라켓과, 상기 제1삽입편과 상기 지붕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2삽입편과 상기 측벽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지붕부재에 상기 제1삽입편과, 상기 측벽부재에 상기 제2삽입편이 서로 고정 결합시키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띄어져 공중부양된 형태로 설치되어 지면 식생의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철거가 용이하다.
둘째, 내부구조를 단층 또는 2층 이상의 다층구조 등 다양하게 구성가능하여 쉼터, 놀이공간, 미팅이나 힐링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셋째, 트리하우스 이동과 진입 및 출구를 모험활동 엘레멘트(네트, 브릿지, 모험로프코스 등)로 구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재미와 모험활동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며, 공중부양된 트리하우스와 진입 및 출구의 모험 활동 엘레멘트 간을 간섭을 예방할 수 있다.
넷째, 각종 기상변화에 따라 지주에 조정된 트리하우스는 체결부의 훼손과 파손이 발생하는데 비해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는 상기한 훼손 및 타손을 예방하며 특정 허공공간에서 경관 조망 활동과 쉼터 공간, 워크샵, 이용객들에게 즐거움을 제공하여 다양하게 활용가능한 체험관광형 시설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에서 지붕부와 연결된 연결부를 하부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에서 1층 및 2층의 바닥부를 하부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에서 지붕부를 하부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에서 제1체결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에서 제1체결수단을 측방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에서 제2체결수단을 측방에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에서 제2체결수단을 평면상으로 바라봤을 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에서 제3체결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에서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에서 앵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600)는, 지면으로부터 공중에 떠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지면 식생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고 놀이공간, 힐링공간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600)는, 지지대(100)들과, 트리하우스(600)와, 연결부(700)와, 앵커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지지대(100)는, 트리하우스(600)가 설치되는 설치영역 주위를 따라 복수개가 지면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되어 상기 트리하우스(600)를 지지하는 지주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100)는, 4개로 구성되어 트리하우스(600)의 사방에 설정 간격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트리하우스(600)의 형태에 따라 그 개수 및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지지대(100)는, 상기 연결부(700)와의 결합 등을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목재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100)가 지면에 세워진 상태로 트리하우스(600)를 지지하는 만큼 설치 후에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야만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100)의 하단부에 버팀부(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지지대(100)의 설치 후 버팀부를 통해 지면에 보다 견고하게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팀부는, 바형태로 지지대(100)와 연결되는 일단부는 상기 지지대(100)의 하단부로부터 설정 높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회동 후 지면에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버팀부는, 지지대(100) 설치 전에는 지지대(100)측으로 회동되어 젖혀지면서 지지대(1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설치 후에는 반대로 회동되어 타단부가 지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100)가 흔들리지 않고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트리하우스(600)는, 쉼터, 미팅공간, 힐링공간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하우스구조로 상기 지지대(100)들의 내측에 위치하는 설치영역 내에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띄어져 공중에 떠 있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트리하우스(600)는, 지붕부(200)와, 측벽부(300)와, 바닥부(400)와, 체결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지붕부(200)는, 트리하우스(600)의 상부에 위치하여 트리하우스(600)의 지붕을 형성하며, 세부적으로 지붕부재(210)들과, 캐노피(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붕부재(210)들은,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지붕부(200)의 골격구조를 형성하며, 통상의 원통형의 목재들로 적용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상기 지붕부재(210)들은, 다각뿔 형태로 상단부는 꼭지점을 이루면서 연결되고 하단부는 방사상으로 벌어져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붕부재(210)들은 4개가 서로 연결되어 사각뿔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오각뿔 등 방사형으로 지붕부재(210)들이 서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상기 캐노피(220)는, 상기 지붕부재(210)들의 상부에 설치되어 비나 눈이 트리하우스(6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공지의 캐노피(220) 재질 및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지붕부(200)는, 상기 지붕부재(210)들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는 지지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들은, 양단부가 대향되게 위치하는 상기 지붕부재(210)들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붕부재(210)들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300)는, 상부는 상기 지붕부(200)의 외측을 따라 결합되고 내측으로 하우스공간을 형성하여 트리하우스(600)의 측벽을 형성한다.
상기 측벽부(300)는, 내측으로 상기 바닥부(400)가 연결되는 복수개의 측벽부재(310)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재(310)들은, 상단부가 상기 지붕부재(210)들 각각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하향 경사지게 모아져 배치되어 내측으로 상기 하우스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재(310)들은, 상기 지붕부재(210)들의 형상에 대칭되게 배열되며, 사각뿔형태의 상기 지붕부재(210)들에 대응하여 상하가 반전된 사각뿔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400)는, 상기 측벽부(300)의 내측에 결합되어 트리하우스(600)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부재(310)들의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제1바닥부재(410)들과, 상기 제1바닥부재(410)들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바닥부재(410)와 엇갈리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제2바닥부재(420)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바닥부(400)는, 다층 구조의 트리하우스(600)의 구조에 대응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단층 구조 또는 3단 이상의 다층 구조등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체결부(5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체결부(500)는, 상기 지붕부(200)와 상기 측벽부(300)와 상기 바닥부(400)를 서로 결합시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1체결수단(510)과, 제2체결수단(520)과, 제3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체결수단(510)은, 서로 경사지게 맞닿아 연결되는 상기 지붕부재(210)들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붕부재(210)들의 상단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체결수단(510)은, 제1체결브라켓(511)과, 제1체결부재(5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브라켓(511)은, 서로 맞닿아 인접 결합되는 상기 지붕부재(210)들 각각에 삽입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편(513)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상기 결합편(513)은, 지붕부재(210)의 중앙부 내부에 삽입되며, 해당 지붕부재(210)의 상단부로부터 일정 깊이 삽입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결합편(513)들은, 십자형태로 상단부끼리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4개의 지붕부재(210)들에 대응하여 4개가 평면상으로 십자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편(513)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되, 측면상으로 상기 지붕부재(210)들의 경사에 대응하여 외측 단부가 하향 경사지게 배열되고, 상기 지붕부재(210)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512)는, 상기 제1체결브라켓(511)의 결합편(513)과 상기 지붕부재(210)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제1체결브라켓(511)과 상기 지붕부재(210)를 서로 고정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체결부재(512)는, 상기 결합편(5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체결될 수 있으며, 공지의 전단볼트 및 너트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2체결수단(520)은, 상기 지붕부재(210)들의 하단부와 상기 측벽부재(3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붕부재(210)와 상기 측벽부재(310)를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체결수단(520)은, 제2체결브라켓(521)과, 제2체결부재(5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브라켓(521)은, 상기 지붕부재(210)와 상기 측벽부재(310)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700)가 연결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상기 제2체결브라켓(521)은, 상기 지붕부재(210)에 삽입되는 제1삽입편(522)과, 상기 제1삽입편(522)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측벽부재(310)에 삽입되는 제2삽입편(523)과, 상기 제1삽입편(522)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돌출편(524)과, 상기 제1삽입편(522)과 상기 제2삽입편(523)의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편(525)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삽입편(522)과 상기 제2삽입편(52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상으로 상기 지붕부재(210)와 상기 측벽부재(310)의 경사에 대응하여 서로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돌출편(524)은, 상기 연결부재(712)와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지붕부재(21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트리하우스(600)를 견인하여 공중부양시킬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편(524)은, 상기 지지대(100)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712)가 결합되며, 연결부재(712)가 연결될 수 있는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525)은, 상기 제1삽입편(522)과 상기 제2삽입편(523)의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인접하는 다른 제2체결브라켓(521)의 연결편(525)과 연결되는 연결부재(71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재(526)는, 상기 제1삽입편(522)과 상기 지붕부재(210)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2삽입편(523)과 상기 측벽부재(310)를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지붕부재(210)에 상기 제1삽입편(522)과, 상기 측벽부재(310)에 상기 제2삽입편(523)이 서로 고정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체결부재(52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삽입편(522)과 상기 제2삽입편(5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재(526)는, 공지의 전단볼트와 전단너트 세트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3체결수단은, 상기 제1바닥부재(410) 및 상기 제2바닥부재(420)와 상기 측벽부재(310)를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3체결수단은, 상기 측벽부재(310)와 상기 제1바닥부재(410)와 제2바닥부재(420)를 포함하는 상기 바닥부재들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와 체결너트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00)는, 일측은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트리하우스(600)와 연결되어 상기 트리하우스(600)를 지상으로부터 견인해 상공에 고정시키고, 상기 지붕부(200)와 상기 측벽부(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700)는, 상기 지지대(100)와 연결되는 연결수단(710)과, 연결와이어(7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수단(710)은, 중공형으로 내부로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가 삽입 결합되는 연결몸체(711)와, 상기 연결몸체(711)의 외주측면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되고 상기 연결몸체(711)의 외주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연결부재(712)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몸체(711)는, 상기 지지대(100)에 관통 체결되는 고정볼트(713)를 통하여 상기 지지대(100)와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부 좌측과 하부우측 각각에 고정볼트(713)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100)는, 상단부가 트리하우스(600)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높게 위치하며, 상기 연결몸체(711)는 지지대(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연결와이어(720)는, 내측으로는 상기 연결몸체(711)와 상기 돌출편(524)에 연결되어 상기 트리하우스(600)를 들어 올리는 형태로 지지하고, 외측으로는 앵커부(800)를 통해 지면상에 연결되어 지지대(1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 등에 흔들리지 않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몸체(711)는, 중공형으로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지지대(100)와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돌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는 상기 지지대(100)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인 상기 연결몸체(711)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복수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연결와이어(720)는, 트리하우스(60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수단(710)과 상기 지지대(100)를 연결하고, 전술한 제2체결수단(520)의 연결편(525)끼리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7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와이어(720)와 결합되는 체결키트(7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키트(730)는 공지의 와이어 체결키트(730)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와이어(72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력조절장치는 공지의 와이어장력조절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앵커부(800)는, 상기 지지대(100)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은 상기 지지대(100)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대(100)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앵커부(800)는, 지반으로부터 설정깊이 매립된 앵커기초(810)와, 일단은 상기 앵커기초(810)에 매립되고 타단은 상기 앵커기초(810)로부터 돌출되고 연결와이어(720)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고리가 형성된 앵커(8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801은 앵커기초(810)의 상면에 매립되는 흙채움(801)을 나타낸다.
상기 앵커부(800)는, 트리하우스(600)의 지지구조에 대응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0)의 하부와 지지대(100)의 외측으로 각 2개씩 배치하여 연결와이어(720)를 연결시킬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트리하우스(600)를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 및 개수로 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지지대 200 : 지붕부
210 : 지붕부재 220 : 캐노피
300 : 측벽부 310 : 측벽부재
400 : 바닥부 410 : 제1바닥부재
420 : 제2바닥부재 500 : 체결부
510 : 제1체결수단 511 : 제1체결브라켓
512 : 제1체결부재 513 : 결합편
520 : 제2체결수단 521 : 제2체결브라켓
522 : 제1삽입편 523 : 제2삽입편
524 : 돌출편 525 : 연결편
526 : 제2체결부재 600 : 트리하우스
700 : 연결부 710 : 연결수단
711 : 연결몸체 712 : 연결부재
713 : 고정볼트 720 : 연결와이어
730 : 체결키트 800 : 앵커부
801 : 흙채움 810 : 앵커기초
820 : 앵커

Claims (6)

  1. 설치영역 주위를 따라 지면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대들; 상기 설치영역 내에 설치되며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띄어져 설치되는 트리하우스; 일측은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트리하우스와 연결되어 트리하우스를 지상으로부터 견인해 상공에 고정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대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은 지지대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지면에 고정되어 지지대들을 지지하는 앵커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리하우스는 상부에 위치하여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부; 상부가 상기 지붕부의 외측을 따라 결합되고 내측으로 하우스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 결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 및 상기 지붕부와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서로 경사지게 맞닿아 연결되는 지붕부재들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지붕부재들의 상단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1체결수단; 지붕부재들의 하단부와 측벽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지붕부재와 측벽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2체결수단; 및 상기 측벽부재의 내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제1바닥부재와 상기 제1바닥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바닥부재와 엇갈리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제2바닥부재와 상기 측벽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3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수단은 제2체결브라켓과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체결브라켓은 상기 지붕부재에 삽입되는 제1삽입편; 상기 제1삽입편으로부터 연장되고 측벽부재에 삽입되는 제2삽입편; 상기 지지대의 외주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연결부재와 연결되되 제1삽입편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붕부재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편; 및 상기 제1삽입편과 상기 제2삽입편의 측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연결편;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부재는 상기 제1삽입편과 지붕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제2삽입편과 측벽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지붕부재에 삽입되는 제1삽입편과, 상기 측벽부재에 삽입되는 제2삽입편을 서로 고정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는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며, 다각뿔 형태로 상단부는 꼭지점을 이루면서 연결되고 하단부는 방사상으로 벌어져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붕부재들과, 상기 지붕부재들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고, 양단부가 대향되게 위치하는 상기 지붕부재들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붕부재들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들과, 상기 지붕부재들의 상부에 설치되는 캐노피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단부가 상기 지붕부재들 각각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하향 경사지게 모아져 배치되어 내측으로 상기 하우스공간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상기 바닥부가 연결되는 복수개의 측벽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수단은 인접하는 상기 지붕부재들에 삽입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편들을 포함하는 제1체결브라켓과, 상기 제1체결브라켓과 상기 지붕부재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제1체결브라켓과 상기 지붕부재를 서로 고정 결합시키는 제1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30005356A 2023-01-13 2023-01-13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 KR102627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5356A KR102627196B1 (ko) 2023-01-13 2023-01-13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5356A KR102627196B1 (ko) 2023-01-13 2023-01-13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196B1 true KR102627196B1 (ko) 2024-01-19

Family

ID=8971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5356A KR102627196B1 (ko) 2023-01-13 2023-01-13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1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5829A (ja) * 1995-10-13 1997-06-24 Futatsu Yazaki 建材接続金具の連結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建材用金具セット
KR200457951Y1 (ko) * 2009-08-10 2012-01-12 나인애 플로우팅 텐트
KR20210065550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구들택 기둥을 이용한 행거식 레저용 조립 구조물
KR20220070314A (ko) 2019-12-23 2022-05-30 가부시키가이샤 트리풀 트리 하우스의 비 샘 방지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5829A (ja) * 1995-10-13 1997-06-24 Futatsu Yazaki 建材接続金具の連結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建材用金具セット
KR200457951Y1 (ko) * 2009-08-10 2012-01-12 나인애 플로우팅 텐트
KR20210065550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구들택 기둥을 이용한 행거식 레저용 조립 구조물
KR20220070314A (ko) 2019-12-23 2022-05-30 가부시키가이샤 트리풀 트리 하우스의 비 샘 방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90185A (en) All weather hut
US3633325A (en) Building structure cantilevered from vertical central support
US4663898A (en) Dome-shaped building structure
US20090266267A1 (en) System for tower- and cable-based transportation structure
Kahn Shelter
GB2549936B (en) Suspendable structure
US5117607A (en) Sectional hollow metal pole structure
US4944322A (en) Foldable tent
JP2008231904A (ja) 高床式建築物の基礎・基礎柱・土台の施工法
US10280644B2 (en) Portable dwelling assembly
KR102627196B1 (ko)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
US4129139A (en) Baby gazebo
US3773061A (en) Modified prestressed membrane structure
US20140116485A1 (en) Collapsible Habitable Structure
US20100275961A1 (en) Tent with Locators for Poles
US2258084A (en) Tent
JPH0838649A (ja) ツリー型野外遊具
CN101109240B (zh) 一种二层帐篷房
US7677949B1 (en) Construction kit for constructing a play structure
CN213014661U (zh) 一种楼阁支架
AU2007203166A1 (en) A Method for Water Conservation Using Self-Suspended Shading
JP3234216U (ja) 昇降式ツリーハウスおよびツリーベランダ
KR102062511B1 (ko) 한식 구조물 시공용 추녀 매립형 주두 조립체
JP2008223461A (ja) 高床式建築物の基礎・基礎柱・土台の施工法
JP3995950B2 (ja) 屋上工作物設置用基礎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