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409B1 - 시금치 인퓨즈 오일을 포함하는 주방용 고체 세제 - Google Patents

시금치 인퓨즈 오일을 포함하는 주방용 고체 세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409B1
KR102627409B1 KR1020210155571A KR20210155571A KR102627409B1 KR 102627409 B1 KR102627409 B1 KR 102627409B1 KR 1020210155571 A KR1020210155571 A KR 1020210155571A KR 20210155571 A KR20210155571 A KR 20210155571A KR 102627409 B1 KR102627409 B1 KR 102627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pinach
extract
weight
infu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9493A (ko
Inventor
이기혁
Original Assignee
천약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약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약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5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409B1/ko
Publication of KR20230069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4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47Detergents in the form of bars or tab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금치 인퓨즈 오일을 포함하는 주방용 고체 세제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 성분을 포함하여 우수한 세정력과 항균력을 갖는 동시에 경도가 우수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피부 자극이 없는 주방용 고체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시금치 분말을 녹차유에 침지시켜 얻은 시금치 인퓨즈 오일, 비타민나무 씨앗 분말을 해바라기유에 침지시켜 얻은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 베이스오일, 시금치 추출물, 홉 추출물, 소목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효과가 있는 주방용 고체 세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금치 인퓨즈 오일을 포함하는 주방용 고체 세제{SOLID DISHWASHING DETERGENT COMPRISING SPINACH INFUSED OIL}
본 발명은 시금치 인퓨즈 오일을 포함하는 주방용 고체 세제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 성분을 포함하여 우수한 세정력과 항균력을 갖는 동시에 경도가 우수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피부 자극이 없는 주방용 고체에 관한 것이다.
고체 세제 즉, 비누는 화장피부, 클렌징 비누 등이 있으며, 최근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샴푸나 바디클렌저 등의 액체 조성물을 고체 형태로 제조하고 있다. 주방용 세제는 주로 액상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주방 세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거품력, 세정력 등이 우수한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생분해 정도가 낮아 수질 환경을 악화시키고, 사용자의 피부에 상당한 자극을 준다. 특히, 다량의 천연 성분을 포함시키는 경우 세정력이나 항균력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주방 세제를 고체형으로 제조하는 것과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273926호에서는 액상의 주원료를 동결건조한 후, 부원료를 첨가한 다음 타정기에서 정제형으로 정제화하는 정제 형태의 1종 주방세제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천연 성분을 포함하면서, 우수한 세정력과 항균력을 갖는 주방용 고체 세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천연 성분을 다량 포함하지만, 고체 세제에서 요구되는 경도를 갖고 있어, 천연 고체 세제의 무름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고체 세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는, 시금치 분말을 녹차유에 침지시켜 얻은 시금치 인퓨즈 오일, 비타민나무 씨앗분말을 해바라기유 또는 포도씨유에 침지시켜 얻은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 베이스오일, 시금치 추출물, 홉 추출물, 소목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효과가 있는 주방용 고체 세제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체 세제는 시금치 분말을 녹차유에 침지시켜 얻은 시금치 인퓨즈 오일, 비타민나무 씨앗 분말을 해바라기유 또는 포도씨유에 침지시켜 얻은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 및 베이스오일을 포함하는 유상층; 및 시금치 추출물, 홉 추출물, 소목 추출물, 황금 추출물, 가성소다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층을 혼합하여 제조되고, 상기 유상층 총 중량 대비 시금치 인퓨즈 오일 10 내지 20 중량% 및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층 총 중량 대비 시금치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 홉 추출물 0.01~0.1 중량%, 소목 추출물 0.01~0.1 중량% 및 황금 추출물 0.01~0.1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오일은 코코넛 오일, 팜 오일, 미강유 및 올리브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방용 고체 세제는 INS 값이 165 이상인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고체 세제는 시금치 인퓨즈 오일과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 등의 천연 오일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다량의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항균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시금치, 홉, 소목 및 황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여, 우수한 항균력 및 세정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고체 세제는 피부 자극이 거의 없고,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고체 세제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고체 세제의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고체 세제의 대장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각각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고체 세제의 페렴균 및 녹농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각각 보여주는 그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시금치 인퓨즈 오일,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 및 혼합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방용 고체 세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시금치 분말을 녹차유에 침지시켜 얻은 시금치 인퓨즈 오일, 비타민열매 분말을 해바라기유에 침지시켜 얻은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 및 베이스오일을 포함하는 유상층; 및 시금치 추출물, 홉 추출물, 소목 추출물, 황금 추출물, 가성소다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층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주방용 고체 세제의 유상층은 유상층 총 중량 대비 시금치 인퓨즈 오일 10 내지 20 중량% 및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한다.
시금치 인퓨즈 오일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시금치의 유효성분 함량이 낮아지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종 제조된 고체 세제의 경도가 낮아질 수 있다.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비타민열매의 유효성분 함량이 낮아지고,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진한 노랑색으로 착색되어 기호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상기 제품 색도의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 첨가할수 있다.
상기 시금치 인퓨즈 오일은 녹차유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녹차유는 녹차씨로부터 추출된 오일로서 비타민 A, B, C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기미, 주근깨 등 멜라닌 색소 침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녹차유는 카테킨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녹차유를 이용하여 시금치 인퓨즈 오일을 제조함으로써, 항균 효과를 향상시키고 저장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녹차유는 녹차씨를 건조 및 분말화시킨 후 수증기 증류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금치 인퓨즈 오일은 건조된 시금치 분말과 녹차유를 혼합한 후 실온에서, 바람직하게는 직사광선이 없는 서늘한 곳에서 20~40일간 유지시키는 냉침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30일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기간 동안 매일 2~3회씩 재료가 잘 섞이도록 위아래로 교반한다. 냉침이 완료되면, 거름망을 이용하여 시금치 고형물을 제거하여, 시금치 인퓨즈 오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냉침법으로 시금치 인퓨즈 오일을 제조함으로써, 산패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유효성분의 변형이 거의 없다.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은 해바라기유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타민열매와 해바라기유를 혼합한 후 실온에서, 바람직하게는 직사광선이 없는 서늘한 곳에서 20~40일간 유지시키는 냉침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30일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기간 동안 매일 2~3회씩 재료가 잘 섞이도록 위아래로 교반한다. 냉침이 완료되면, 거름망을 이용하여 비타민열매 고형물을 제거하여,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냉침법으로 인퓨즈 오일을 제조함으로써, 산패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유효성분의 변형이 거의 없다.
비타민열매는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의 열매로서, 비타민나무는 산자나무라고도 불린다. 비타민열매는 비타민 C와 비타민 E 함량이 높아 우수한 항산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비타민나무 씨앗분말을 사용하여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금치 인퓨즈 오일과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 외에, 베이스 오일을 포함한다. 베이스 오일은 코코넛 오일, 팜 오일, 미강유, 포도씨유 및 올리브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일 수 있다.
고체 세제의 경우 오일의 요오드값(INS값)에 의해 경도가 정해지는데, 일반적으로 INS값이 120 이하인 경우에는 경도가 약하고, 145~165의 경우에는 적당한 경도를 갖고, 16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한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세제는 165 이상의 강한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퓨즈 오일 이외에 코코넛 오일, 팜 오일, 미강유, 포도씨유 및 올리브유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경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 시 쉽게 무르지 않은 경도를 갖는 고체 세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고체 세제의 수상층은 수상층 총 중량 대비 시금치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 홉 추출물 0.01~0.1 중량%, 소목 추출물 0.01~0.1 중량% 및 황금 추출물 0.01~0.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시금치 추출물, 홉 추출물, 소목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은 각각 열수 또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혼합하거나, 시금치, 홉, 소목 및 황금의 건조 분말을 혼합한 후, 열수 또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시금치 추출물, 홉 추출물, 소목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1:1:1: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은 열수추출법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탄소수 1-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핵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v/v) 에탄올일 수 있다.
시금치는 90℃ 이상의 열수로 추출하는 경우 항반반응이 발생하여 냄새가 날 수 있으므로, 시금치 열수 추출물의 경우에는 시금치와 시금치 중량이 5배의 물을 혼합한 후 70℃에서 10분간, 이후 50℃에서 20분간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다.
홉, 소목, 황금의 열수 추출물은 상기 원료와 원료 중량의 5배의 물을 혼합한 후 9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방용 고체 세제는 향 등을 고려하여 식물성 에센셜 오일 또는 향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센셜오일은 레몬에센셜오일, 레몬그라스에센셜오일, 라임에센셜오일, 오렌지에센셜오일, 오렌지스윗에센셜오일, 그레이프프룻에센셜오일, 만다린에센셜오일, 라임에센셜오일(시트리스계열오일 포함), 페파민트에센셜오일, 라벤더에센셜오일, 쟈스민에센셜오일, 로즈마리에센셜오일, 카모마일에센셜오일, 유칼립투스오일, 파일오일, 스피아민트오일, 그레이프푸룻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센셜오일은 용해도가 높고, 천연의 향을 제공하는 방향 및 향균 성분으로서 소취 효과를 높이는 작용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고체 세제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센셜오일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방향 및 항균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에센셜오일이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성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안정화된 고체 세제를 제조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고체 세제는 저온 가공법 또는 고온 가공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온 가공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저온 가공법으로 제조하는 경우, 시금치 인퓨즈 오일,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 베이스 오일을 혼합하여 유상층을 제조한다. 상기 유상층의 오일 중량과 비누 경도를 예측할 수 있는 INS 값에 따라 정제수와 가성소다의 양을 정한 후, 정제수와 가성소다를 혼합하여 완전히 용해시킨다. 상기 용해물에 상기 혼합추출물, 에센셜 오일 등을 추가로 첨가하고 완전히 용해시켜 수상층을 제조한다. 50℃를 유지하면서 유상층에 상기 수상층을 천천히 첨가하면서 교반하여 트레이스(걸쭉한 상태)를 형성한 다음, 사각틀 또는 원형틀에 비누액을 붓고 30~40℃를 유지하면서 숙성시켜, 주방용 고체 세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고체 세제는 사각틀 또는 원형틀의 크기에 따라 중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원하는 크기로 컷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조예 1: 시금치 인퓨즈 오일 및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의 제조
건조된 시금치 분말 10g과 녹차유 200g을 혼합한 다음 세척된 용기에 넣고 30일간 직사광선이 없는 서늘한 곳에서 냉침시켰다. 상기 용기들을 매일 2~3회씩 용기를 위아래로 흔들어 섞어주었다. 30일이 경과한 후, 각 용기에서 고형분을 제거하여 시금치 인퓨즈 오일을 수득하였다. 시금치 분말은 시금치 잎을 55℃ 열풍으로 48시간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얻었다.
건조된 비타민나무 씨앗 분말 4g과 해바라기오일 200g을 혼합한 다음 세척된 용기에 넣고 30일간 직사광선이 없는 서늘한 곳에서 냉침시켰다. 상기 용기들을 매일 2~3회씩 용기를 위아래로 흔들어 섞어주었다. 30일이 경과한 후, 각 용기에서 고형분을 제거하여 비타민 열매 인퓨즈 오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시금치, 황금, 소목, 홉 추출물 제조
건조된 시금치, 황금, 소목 잎, 홉을 각각 50g씩 준비하여 혼합하고,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2회 환류 추출 및 냉침한 후, 와트만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한외 여과막을 이용하여 염을 제거한 후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혼합 추출물 분말 6.3g을 얻었다.
실시예 1: 저온 가공법으로 주방용 고체 세제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유상층을 제조하고, 표 2의 조성으로 수상층을 제조하였다.
수상층 제조시 정제수에 가성소다를 녹인 후, 제조예 2의 혼합추출물과 베이킹소다 등의 첨가제를 추가하여 제조하였다. 50℃를 유지하면서 유상층에 상기 수상층을 천천히 첨가하면서 교반하여 트레이스(걸쭉한 상태)를 형성하였다. 트레이스가 형성되면 사각틀에 비누액을 100g씩 붓고 30~40℃를 유지하면서 숙성시켜 고체 세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고체 세제의 INS 값(경도)을 측정한 결과 165가 확인되었다. 제조된 비누의 사진을 도 1에 나타냈다.
유상층 중량(g) 중량%
시금치 인퓨즈 오일
(제조예 1)
140 15.5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
(제조예 1)
10 1.1
코코넛오일 350 38.9
팜오일 250 27.7
미강유 100 11.1
올리브유50 50 5.5
합계 900 100
수상층 중량(g) 중량%
혼합추출물(제조예 2) 10 1.9
가성소다 0% 168 32
정제수 326 62
옥수수전분 5 0.9
베이킹소다 2 0.4
에센셜오일 15 2.8
합계 526 100
비교실시예 1
제조예 2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고체 세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폴리페놀 함량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고체 세제의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2개의 시험관에 표준물질인 퀘르세틴(quercetin)과 상기 혼합오일(시료)을 200 μL를 각각 넣은 후, 탈이온수 800 μL를 각각 추가하였다. 각 시험관에 5 %(w/v) NaNO2 용액 60 μL와 10%(w/v) AlCl3 용액 60 μL를 첨가한 후 5분간 반응시킨다. 각 시험관에 1M NaOH 용액 400 μL와 탈이온수를 480 μL를 첨가하고 추가로 6분간 반응시킨다. UV-Vis spectrophotometer (Libra S70, Biochrom, UK)를 이용하여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결과는, 표준물질인 퀘르세틴을 이용하여 표준물질 검량선을 작성하고, 시료의 흡광도를 검량선에 적용하여 QE(quercetin equivalent) mg/100 mL sample로 표기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냈다. 분석 결과, 상기 혼합오일의 총 플라보노이드(TFC) 함량은 37.48 ± 5.33 mg/100 mL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항균력 시험 1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고체 세제를 잘라서 5g을 준비하고, 정제수 1L에 용해시켜 세제 용액(시료)의 항균력을 분석하였다. 항균력 시험은 In vitro 시험법을 사용하여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과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균과 시료의 반응시간은 8시간이다. 실시예 1의 세제에 대한 시험 결과를 도 3(대장균) 및 도 4(황색포도상구균)에 나타내었다. 균 감소율(%)은 아래의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21130665851-pat00001
균 감소율(%) 측정 결과는 아래 표 3에 나타냈다.
구분 시험항목 대조군 실시예 1 비교실시예 1
E. coli ATCC 8739 8시간 후 생균수(CFU) 1.7X104 <10 1.5X104
균 감소율(%) - 99.9% 1.5%
A. aureus ATCC 6538 8시간 후 생균수(CFU 7.4X103 <10 7.0X103
균 감소율(%) - 99.9% 7%
도 3 및 4와 표 3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세제는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 항균력 시험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고체 세제에 대해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10145)에 대한 항균력을 시험하였다. 항균력 시험은 단단한 표면에 대한 항균 시험 방법인 JIS Z 2801:2010에 따라 실시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고체 세제를 50 X 50 mm로 잘라서 시험편을 2개 준비하고, 대조구로 40 X 40 mm 크기의 멸균 PP 필름(sterilized PP film)을 2개 준비하였다. 상기 시험편과 대조구 PP 필름에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과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10145)을 각각 접종하고 24시간 동안 30 ± 2℃에서 반응시켰다. 그 결과를 도 5(폐렴균 ATCC 4352) 및 도 6(녹농균 ATCC 10145)에 나타냈다. 또한, 항균활성치(log)를 아래 수학식 2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수학식 2]
항균활성치(log) = logCt - logSt
(Ct = 반응시긴 후 대조구에서 회수된 균 수, St = 반응시간 후 시험구에서 회수된 균수)
항균활성치 1.0 이상: 90.0% 감소; 항균활성치 2.0 이상:99.0% 이상 감소; 항균활성치 3.0 이상: 99.9% 이상 감소; 항균활성치 4.0 이상: 99.99% 이상 감소; 항균활성치 5.0 이상: 99.9999% 이상 감소.
구분 시험결과(단위) 대조구 실시예 1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24시간 후 균수(CFU/cm2)
항균활성치(log)
2.2X105
-
<0.63
5.5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10145) 24시간 후 균수(CFU/cm2)
항균활성치(log)
2.7X104
-
<10
4.6
표 4와 도 5 및 6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세제는 폐렴균과 녹농균에 대해 99.99% 이상의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4 : 세정력 평가
세정력 평가는 주방 식기의 주 오염원인 유성오염에 대한 세정력을 측정하였다. 우지와 대두유를 포함하는 오염 물질을 제조하여, 직경 15cm의 원형 도자기 접시에 균일하게 도포한 후, 상온에서 6시간 동안 자연 건조시킨다. 실시예 1과 비교실시예 1의 고체세제 5g을 각각 물 1 L에 녹여서 제조한 세제용액을 직경 30cm, 높이 30cm의 용기에 담은 다음, 상기 도자기 접시를 1분간 침적한 후 초음파 세척기로 3분간 세척한 후, 물로 세척하였다. 상온에서 24시간 자연 건조 후 오염 제거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표 6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세제는 혼합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실시예 1의 고체세제와 비교하여 세정력이 우수하였다.
<평가기준>
◎: 세척율 90% 이상, ○: 세척율 70% 이상 90% 미만, △: 세척율 50% 이상 70% 미만, ×: 세척율 50% 미만
실험예 5 : 피부 자극 평가
30~50세 사이의 성인 남녀 20명의 피시험자에 대하여 피부 자극 평가를 시험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실시예 1의 고체세제 5g을 물 1 L에 녹여서 제조한 세제 용액의 첩포 시료를 피험자의 상박에 부착한 다음 24시간 후 첩포를 제거하고, 24시간 후 확대경(8MC-150, DAZOR)을 이용하여 시험 부위의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규정(표 5)에 따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세제는 피부 평균 반응도가 낮고 피부 자극을 유발하지 않았다.
점수 평가기준
0 무반응
0.5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1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2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3 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구분 실시예 1 비교실시예 1
세정력
피부자극(점수) 0 0

Claims (4)

  1. 시금치 분말을 녹차유에 침지시켜 얻은 시금치 인퓨즈 오일, 비타민나무 씨앗분말을 해바라기유 또는 포도씨유에 침지시켜 얻은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 베이스오일, 시금치 추출물, 홉 추출물, 소목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효과가 있는 주방용 고체 세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세제는 시금치 분말을 녹차유에 침지시켜 얻은 시금치 인퓨즈 오일, 비타민나무 씨앗 분말을 해바라기유 또는 포도씨유에 침지시켜 얻은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 및 베이스오일을 포함하는 유상층; 및 시금치 추출물, 홉 추출물, 소목 추출물, 황금 추출물, 가성소다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층을 혼합하여 제조되고,
    상기 유상층 총 중량 대비 시금치 인퓨즈 오일 10 내지 20 중량% 및 비타민열매 인퓨즈 오일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층 총 중량 대비 시금치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 홉 추출물 0.01~0.1 중량%, 소목 추출물 0.01~0.1 중량% 및 황금 추출물 0.01~0.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고체 세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오일은 코코넛 오일, 팜 오일, 미강유 및 올리브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고체 세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 고체 세제는 INS 값이 165 이상인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고체 세제.
KR1020210155571A 2021-11-12 2021-11-12 시금치 인퓨즈 오일을 포함하는 주방용 고체 세제 KR102627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571A KR102627409B1 (ko) 2021-11-12 2021-11-12 시금치 인퓨즈 오일을 포함하는 주방용 고체 세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571A KR102627409B1 (ko) 2021-11-12 2021-11-12 시금치 인퓨즈 오일을 포함하는 주방용 고체 세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493A KR20230069493A (ko) 2023-05-19
KR102627409B1 true KR102627409B1 (ko) 2024-01-23

Family

ID=8654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571A KR102627409B1 (ko) 2021-11-12 2021-11-12 시금치 인퓨즈 오일을 포함하는 주방용 고체 세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4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057B1 (ko) 2012-02-03 2013-07-10 정종엽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및 그 비누
CN110157558A (zh) 2019-06-06 2019-08-23 忻州师范学院 一种沙棘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122A (ko) * 2008-07-11 2010-01-2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20110121326A (ko) * 2010-04-30 2011-11-07 신안섬초조합공동사업법인 시금치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미용비누 조성물
KR101660304B1 (ko) * 2014-11-24 2016-09-27 이기혁 시금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057B1 (ko) 2012-02-03 2013-07-10 정종엽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및 그 비누
CN110157558A (zh) 2019-06-06 2019-08-23 忻州师范学院 一种沙棘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493A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638B1 (ko)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활화학제품용 조성물
CN105342932B (zh) 一种含羧甲基壳聚糖的全天然多功能洗手液及其生产方法
KR20180119550A (ko) 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8203631A (zh) 一种抑菌清洁产品及其制备方法
KR20100108039A (ko) 수세미 열매 속 섬유질을 함유하는 천연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69759B1 (ko) 폴리사카라이드를 담체로 이용한 울금 추출물과 탄닌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9830A (ko) 비누풀, 유카, 퀼라야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4297B1 (ko) 허브추출물을 포함한 클렌징 화장료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627409B1 (ko) 시금치 인퓨즈 오일을 포함하는 주방용 고체 세제
KR20120121646A (ko) 새송이버섯을 이용한 피부개선용 천연 피부 세정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비누와 클렌징오일의 제조방법
KR20140130830A (ko) 천연물을 포함하는 세정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74502B1 (ko) 회리바람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6952B1 (ko) 식품 부산물을 이용한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22673B1 (ko)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및 고삼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59265B1 (ko) 제주 천연 감귤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152168B1 (ko) 항균활성을 갖는 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69530A (ko) 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1706B1 (ko)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5036B1 (ko)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
KR101959225B1 (ko) 왕가시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71989B1 (ko) 편백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1787076B1 (ko) 식물 유래 유체를 다량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KR102561068B1 (ko) 인디루빈을 함유한 샴푸바 및 그 제조방법
JP5019093B2 (ja) 抗菌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