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036B1 -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 - Google Patents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036B1
KR101875036B1 KR1020170018516A KR20170018516A KR101875036B1 KR 101875036 B1 KR101875036 B1 KR 101875036B1 KR 1020170018516 A KR1020170018516 A KR 1020170018516A KR 20170018516 A KR20170018516 A KR 20170018516A KR 101875036 B1 KR101875036 B1 KR 101875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extract
weight
acid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재숙
Original Assignee
민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재숙 filed Critical 민재숙
Priority to KR1020170018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11D9/265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glyce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0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nitroge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비누조성물은, 파 추출물, 솔잎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로 구성된 천연혼합추출물 및,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글리세린, 소르비톨, 수크로스, 히아루론산나트륨, 물로 구성된 비누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피부의 보습능을 유지해줌과 동시에 살균효과 및 미백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청량감을 갖는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Functional soap composition and functional soap prepa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 솔잎, 크랜베리의 각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의 보습능을 유지해줌과 동시에 살균효과 및 미백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청량감을 갖도록 한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에 관한 것이다.
비누는 고급지방산의 알칼리염으로서 풍부한 기포력과 개운한 세정력으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화장비누는 각종 동식물의 유지 혹은 지방산에 수산화나트륨을 부가하여 비누화 반응을 시킨 후 비누소지를 제조한 다음,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향을 첨가하고 피부의 보습성과 유연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종 유연제나 보습제 기타 필요에 따라 여러 첨가제를 추가로 배합하여 고형으로 제조한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피부는 피지가 모공을 통하여 피부 표면으로 분비되어 피부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피부의 탄력을 유지시켜 주고 있지만 배출된 피지가 피부 표면에 존재하게 되면 미생물들이 피부 표면에서 번식하여 피지를 산패시킴으로써 피부의 냄새를 나쁘게 한다.
따라서, 피부에 존재하는 포도상구균의 살균력 및 피부의 냄새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미국특허 제4282110호에서는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를 사용하였고, 미국특허 제2535077호에서는 2,2'-디히드록시 할로게네이티드 디페닐메탄을 사용하여 살균력에 대한 실험을 시도하였으며, 미국특허 제4322308호에서는 향료의 원료를 사용하여 향료를 만든 후 이 항료를 비누에 첨가하여 피부의 냄새를 제거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들 특허문헌에 기재된 살균 원료들은 모두 화학적으로 제조된 원료로서 사용시 피부에 자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현재 피부에 자극이 없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다양한 여러 연구들이 하기와 같이 시행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들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1995-0005978호(양파, 마늘분말 및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비누조성물) 및 한국공개특허 제10-1993-0023045호(솔잎 추출물을 첨가한 미용 비누)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 제10-1995-0005978호는 양파와 마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비누 조성물을 개시하고는 있지만, 함유된 양파의 냄새를 제거하기에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상기 공개특허 제10-1993-0023045호는 솔잎추출물을 첨가한 미용비누를 개시하고는 있지만, 단순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뿐이지, 정확한 구성이 나타나 있지 않아 솔잎 자체로 인해 나타나는 효능(피부노화방지 및 혈행 촉진)만이 예측될 뿐이며, 여전히 종래 비누의 단점인 사용 후 피부땅김은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이다. 다시 말해, 종래의 일반적 비누는 과도한 세정을 유발하여 일반적인 피부 표면에 오염물질 이외에 피부 표면의 수분 유지에 필수적인 아미노산이나 각종 지질성분을 제거하여 피부 표면의 수분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가 땅겨지는 감을 유발하는 등의 단점이 있는 바, 이를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공하는 것으로써, 천연소재들 중 파, 솔잎, 크린베리를 이용하여 비누로 제조함으로써, 종래의 비누보다 보습효과가 뛰어나 사용후 피부당김이 적음과 동시에 피부 살균력을 향상시키며, 미백효과 및 청량감도 가미되는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비누조성물은, 파 추출물, 솔잎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로 구성된 천연혼합추출물 및,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글리세린, 소르비톨, 수크로스, 히아루론산나트륨, 물로 구성된 비누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천연혼합추출물은 상기 파 추출물, 상기 솔잎 추출물, 상기 크랜베리 추출물이 1~3 : 1 : 1중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비누베이스는 비누베이스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라우르산이 5~10중량%, 상기 미리스트산이 5~10중량%, 상기 팔미트산이 5~10중량%, 상기 스테아르산이 10~15중량%, 상기 수산화나트륨이 5~10중량%, 상기 트리에탄올아민이 1~5중량%, 상기 글리세린이 5~10중량%, 상기 소르비톨이 5~10중량%, 상기 수크로스가 5~10중량%, 상기 히아루론산나트륨이 1~3중량% 및 나머지 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기능성 비누조성물은 상기 천연혼합추출물이 10~20중량%, 상기 비누베이스가 80~9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파 추출물, 상기 솔잎 추출물, 상기 크랜베리 추출물은 파, 솔잎, 크랜베리 각각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인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비누의 제조방법은, 천연재료로 파, 솔잎, 크랜베리를 준비한 후, 이를 각각 에탄올 수용액에 침지시킨 후, 30~50℃에서 5~10 시간동안 추출하여 각 추출물들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제조된 파 추출물, 솔잎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을 1~3 :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천연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글리세린, 소르비톨, 수크로스, 히아루론산나트륨, 물을 40~90℃에서 15~30분동안 교반하여 비누베이스를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제조한 비누베이스와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한 천연혼합추출물을 혼합하여 기능성 비누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조된 기능성 비누조성물을 고형화 및 성형하여 기능성 비누를 제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비누는, 상기의 기능성 비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보습성, 청량감, 살균력, 미백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피부의 보습능을 유지해줌과 동시에 살균효과 및 미백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청량감을 갖는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비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비누 조성물은 천연혼합추출물과 비누베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천연혼합추출물은 파 추출물, 솔잎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로 구성되며, 상기 비누베이스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글리세린, 소르비톨, 수크로스, 히아루론산나트륨, 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능성 비누조성물은 보습성, 청량감, 살균력, 미백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특히 종래의 비누의 단점인 보습성을 더 보완해주며, 거기에 청량감, 살균력, 미백효과까지 가미되며 천연소재로 인해 피부자극을 최소화함으로써 피부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큰 장점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능성 비누조성물의 일 구현예들로서, 천연혼합추출물 및 비누베이스에 포함될 수 있는 성분들 및 그 제조방법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 천연혼합추출물 )
1. 파 추출물
파(Allium fistulosum)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써,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는 알리신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 작용이 있는 베타카로틴, 크립토산틴, 비타민 C 및 비타민 E 등을 함유하고 있어서 멜라닌색소의 생성을 억제하여 미백효과를 나타내며,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피부의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파는 비누제조시 그대로 사용하거나 분말형태로 적용할 경우 오히려 파 고형물의 거친 느낌에 의해 소비자들이 비누 사용시 거부감을 느끼게 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상기 효능을 가진 파를 추출물 형태로 제조하여 비누조성물의 소재로 사용하게 된다.
이때, 파가 갖고 있는 상기 효능들을 나타내는 유효성분들을 최대로 추출해 냄과 동시에 추출물로 인한 피부자극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 30~50℃에서 5~10 시간동안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에서 10시간 저온추출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파 추출물은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에서 피부자극없이 소량 적용하여도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능을 이루도록 해주면서, 다른 재료들과의 적절한 배합이 이루어지게 되어 소비자들에게 부드러운 사용감을 주게 된다.
2. 솔잎 추출물
솔잎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만주, 일본 등지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적송(Pinus densiflora Sieb . et Zucc .)의 잎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엽록소, 비타민 A, 비타민 K가 함유되어 있고 그 외에도 단백질, 지방, 인, 철, 효소, 정유(식물성 휘발류, 테르펜 계열), 미네랄,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으며 체내의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향기 성분인 테르펜, 탄닌, 글리코키닌, 철분, 루틴, 베타카로틴, 비타민C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피부보호 효능 및 청량감을 풍기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솔잎 역시 비누제조시 그대로 사용하거나 분말형태로 적용할 경우 오히려 솔잎 고형물의 거친 느낌에 의해 소비자들이 비누 사용시 거부감을 느끼게 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상기 효능을 가진 솔잎을 추출물 형태로 제조하여 비누조성물의 소재로 사용하게 되며, 이때 역시 솔잎이 역시 상기 효능들을 나타내는 유효성분들을 최대로 추출해 냄과 동시에 추출물로 인한 피부자극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 30~50℃에서 5~10 시간동안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에서 5시간 저온추출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솔잎 추출물은 피부자극없이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에서 소량 적용하여도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능을 이루도록 해주면서, 다른 재료들과의 적절한 배합이 이루어지게 되어 소비자들에게 부드러운 사용감을 주게 된다.
3. 크랜베리 추출물
크랜베리(Vaccinium macrocarpom Aiton)는 철쭉과의 월귤류에 속하는 다년생 작물로 산성의 소택지를 좋아하는 월귤나무의 열매로써, 박테리아가 체내에 부착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크랜베리에는 다량 함유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 및 안토시아닌 색소로 인해 피부의 산화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 촉진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미용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상기 크랜베리 역시 상기 효능들을 나타내는 유효성분들을 최대로 추출해 냄과 동시에 추출물로 인한 피부자극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 30~50℃에서 5~10 시간동안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에서 10시간 저온추출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크린베리 추출물은 피부자극없이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에서 소량 적용하여도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능을 이루도록 해주면서, 다른 재료들과의 적절한 배합이 이루어지게 되어 소비자들에게 부드러운 사용감을 주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천연추출물들은 각 추출물들이 나타내는 효능은 최대로 발휘하면서 비누자체가 나타내는 세정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상기 천연혼합추출물은 상기 파 추출물, 상기 솔잎 추출물, 상기 크랜베리 추출물이 1~3 : 1 : 1 중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중량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능을 나타내기 어렵게 될 뿐 아니라 파나 솔잎자체에서 발휘되는 강한 향이 과도하게 발산되어 소비자들이 사용시 오히려 거부감을 줄 수 있게 되거나 민감성 피부인 경우에는 자극을 줄 수 있게 된다.
(비누 베이스)
1. 지방산
본 발명에서 비누베이스의 소재로 적용한 지방산은 코코넛 야자수 또는 월계수로부터 추출한 천연소재 유래 지방산인 라우르산(Lau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과 우지로부터 추출한 스테아르산(Stearic acid)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각 해당 소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라우르산(Lauric acid) &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상기 라우르산과 미리스트산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계면활성제 대신 사용되는 소재들로써, 본 발명에서는 주세정력을 나타내는 성분이다.
이때, 상기 라우르산은 굵은 거품의 발생을 유도하며, 미리스트산은 잔거품의 발생을 유도하는 소재로써, 비누베이스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5~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라우르산과 미리스트산의 함량이 각 5중량%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비누의 기포도와 사용감이 저하되어 세정기능을 가지는 고형비누로서의 품질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각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분 등을 별도로 첨가하여도 과도한 기포도로 인해 비누로 성형시 부스러지거나 균열이 발생하여 고형 비누로의 제형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2) 팔미트산(Palmitic acid)
상기 팔미트산은 우수한 보습력을 부여해주는 역할로써, 비누베이스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5~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팔미트산의 함량이 5중량%미만일 경우에는 부여되는 보습력이 떨어져 비누로 사용시 피부당김이 심하게 되며,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그 함량이 너무 과도하여 보습력은 높아질지 모르나 오히려 세정력은 떨어지게 된다.
3)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상기 스테아르산은 비누의 경화성을 향상시키는 역할로써, 비누베이스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10~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스테아르산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경화능이 떨어져 고형비누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며, 1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천연혼합추출물을 첨가하기도 전에 비누가 단단해져 천연혼합추출물과의 혼합과정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2. 중화제 & 보습제
본 단계에서 적용되는 중화제 및 보습제는 상기 전술한 천연혼합추출물과 고르게 혼합되어 고형비누화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만드는 소재들로써, 그 종류 및 이에 따른 함량이 매우 중요하다.
1) 중화제: 수산화나트륨 & 트리에탄올아민
상기 수산화나트륨와 트리에탄올아민은 중화제의 역할로써 상기 지방산들과 혼합되면 상기 지방산들을 중화시켜 pH 수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 피부에 저자극성을 실현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지방산들과 혼합될 경우 투명한 상태의 비누형태를 갖출수 있도록 치환반응하게 된다.
이에, 상기 수산화나트륨은 비누베이스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5~10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트리에탄올아민은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수산화나트륨 및 트리에탄올의 함량이 상기 중량보다 적게 함유될 경우 과한 산성을 가지게 되어 피부에 자극을 주게 되어 민감성 피부에는 비누로써의 사용이 부적합하게 되며, 상기 중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pH가 너무 높아져 세정력이 약해지게 되어 비누 자체의 특성을 잃게 되게 된다.
2) 보습제: 글리세린 & 소르비톨 & 수크로스 & 히아루론산나트륨
상기 글리세린, 소르비톨, 수크로스, 히아루론산나트륨은 천연보습제의 소재들로 통상적으로 피부에 보습효과를 부여하여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수분을 끌어당기는 효과가 있어 피부를 촉촉하게 해주고 수분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상기 글리세린과 소르비톨, 수크로스는 비누베이스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5~10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히아루론산나트륨은 1~3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글리세린, 소르비톨, 수크로스의 함량이 각각 5중량% 미만일 경우에, 보습효과가 너무 떨어지게 되며,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 속의 수분을 빼앗아가는 역효과로 인하여 민감성피부에는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히아루론산나트륨은 1중량% 미만일 경우 보습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3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에 자극을 주어 민감성피부에는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적용된 비누베이스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지방산, 중화제, 보습제를 포함하며, 나머지는 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여기서 적용된 물은 비누가 갈라지거나 부셔지는 것을 방지해주어 고형비누로써의 형태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 기능성 비누의 제조방법)
1. 제1단계: 천연추출물들 제조
먼저, 천연재료로 파, 솔잎, 크랜베리를 준비한 후, 이를 각각 에탄올 수용액에 침지한 후, 추출하여 추출물들을 제조한다.
이는 상기 각 천연재료들의 유효성분들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최대한 추출해내기 위한 조건으로써 상기 온도 및 시간을 벗어날 경우에는 유효성분들이 충분이 추출되지 않아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능을 얻기 어려우거나, 또는 과도한 추출조건으로 인해 오히려 유효성분들이 파괴되어 이 역시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능을 얻기 어렵게 된다.
이때, 상기 천연재료들은 비누소재로 사용시 피부자극성을 최소화해주면서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나타내주는 유효성분들을 충분히 추출해내기 위해서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되, 에탄올 수용액에 함유된 에탄올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오히려 에탄올로 인해 피부자극성을 나타내게 되며, 너무 낮은 농도를 적용하면 유효성분의 충분히 추출되지 않는 바, 추출 용매로 50~70% 에탄올 수용액(v/v)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2. 제2단계: 천연추출물들 혼합
본 단계에서는 상기 제조된 파 추출물, 솔잎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을 1~3 :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천연혼합추출물을 제조한다.
다시 말해, 상기 파 추출물, 솔잎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은 각각의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룰수 있도록 해주는 효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갖고 있으면서, 여기에는 강한 향기를 나타내는 성분들 및 피부자극성을 나타내는 성분들도 함께 포함되고 있는 바, 배합비율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천연혼합추출물을 보습능, 청량감, 미백능, 살균력이 높은 비누소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파 추출물, 솔잎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을 1~3 :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된 천연혼합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중량비를 벗어날 경우에는 오히려 파 추출물이나 솔잎 추출물의 강한 향으로 인해 오히려 비누로 사용이 어렵게 되거나 피부자극성이 높아서 민감성피부에는 사용이 불가하게 된다.
3. 제3단계: 비누베이스 제조
본 단계에서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글리세린, 소르비톨, 수크로스, 히아루론산나트륨, 물을 40~90℃에서 15~30분동안 교반하여 비누베이스를 제조한다.
이는 전술한 라우르산의 용융온도는 43.5℃이며, 전술한 미리스트산의 용융온도는 58.8℃, 전술한 팔미트산의 용융온도는 62.6℃, 전술한 스테아린산의 용융온도는 71 내지 71.5℃이며, 나머지 트리에탄올아민, 글리세린, 소르비톨, 수크로스 히아루론산나트륨의 용융온도는 80 내지 90 ℃인바, 상기 재료들을 모두 녹이기 위해서는 40 내지 9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30분동안 교반하여야지만 상기 천연혼합추출물과의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상기 비누베이스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라우르산이 5~10중량%, 상기 미리스트산이 5~10중량%, 상기 팔미트산이 5~10중량%, 상기 스테아르산이 10~15중량%, 상기 수산화나트륨이 5~10중량%, 상기 트리에탄올아민이 1~5중량%, 상기 글리세린이 5~10중량%, 상기 소르비톨이 5~10중량%, 상기 수크로스가 5~10중량%, 상기 히아루론산나트륨이 1~3중량% 및 나머지 물로 이루어지도록 교반하여 비누베이스를 만드는 것이 상기 천연혼합추출물과 가장 잘 배합이 잘 이루어지면서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이룰수 있게 되는 것이다.
4. 제4단계: 기능성 비누조성물 제조
본 단계에서는 상기 제3단계에서 제조한 비누베이스와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한 천연혼합추출물을 혼합하여 기능성 비누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천연혼합추출물은 비누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20중량%, 상기 비누베이스는 80~90중량%로 구성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시말해, 상기 천연혼합추출물이 전체 비누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10중량%미만일 경우에는 각 추출물 사용에 따른 보습능, 살균력, 청량감, 미백능에 대한 기능성이 떨어져 종래 비누와 큰 차이점을 얻기 어려우며, 20중량%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비누의 세안 작용이 떨어져 비누로 사용자체가 어렵게 될 우려가 있는 바, 상기 천연혼합추출물은 기능성 비누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10~20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누베이스의 함량은 80~9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8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제조된 비누가 고상이 아닌 액상성분으로 나오기 때문에 고형의 비누로서 형성되기 어렵게 되고, 9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비누 제조시에 용액의 점도가 상승하여 상기 천연혼합추출물과의 혼합자체가 어렵게 된다.
5. 제5단계: 기능성 비누 제조
본 단계에서는 상기 제조된 기능성 비누조성물을 고형화 및 성형하여 최종 기능성 비누로 제조하는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상기 기능성 비누조성물을 성형틀에 부어 고형화하고, 컷팅 및 형타기로 성형하여 기능성 비누를 제조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기능성 비누는 보습성, 청량감, 살균력, 미백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이는 하기 실험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뒷받침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5> 기능성 비누들 제조
천연재료로 파, 솔잎, 크랜베리를 준비한 후, 이를 각각 50% 에탄올 수용액(v/v)에 침지시킨 후 파와 크랜베리는 각각 40℃에서 10 시간동안 추출하며, 솔잎은 50℃에서 5시간동안 추출하여 각 추출물들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파 추출물, 솔잎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은 하기 표 1에 나타난 혼합양대로 혼합하여 천연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혼합양(g)
실시예1 실시예
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천연
혼합
추출물
파 50% 에탄올수용액추출물 60 40 - - 30 60 60
파분말 - - 60 - - - -
파 80% 에탄올추출물 - - - 60 - - -
솔잎 50% 에탄올수용액 추출물 20 30 - - 60 20 20
솔잎분말 - - 20 - - - -
솔잎 80% 에탄올추출물 - - - 20 - - -
크랜베리 50% 에탄올수용액추출물 20 30 - - 10 20 20
크랜베리분말 - - 20 - - - -
크랜베리 80% 에탄올추출물 - - - 20 - - -
그 다음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글리세린, 소르비톨, 수크로스, 히아루론산나트륨, 물을 하기 표 2에 나타난 혼합양대로 90℃에서 30분동안 교반하여 비누베이스를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혼합양(g)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누
베이스
지방산 라우르산 5 10 10 10 10 15 20
미리스트산 5 10 10 10 10 5 -
팔미트산 5 10 10 10 10 15 -
스테아르산 10 15 15 15 15 10 25
중화제 수산화나트륨 5 10 10 10 10 13 15
트리에탄올아민 1 5 5 5 5 2 -
보습제 글리세린 5 10 10 10 10 15 20
소르비톨 5 10 10 10 10 10 10
수크로스 5 10 10 10 10 3 -
히아루론산나트륨 1 3 3 3 3 5 -
53 7 7 7 7 7 10
이렇게 제조된 상기 비누베이스 80중량%와 상기 천연혼합추출물 20중량%로 이루도록 혼합하여 기능성 비누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기능성 비누조성물을 고형화 및 성형하여 기능성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보습력, 청량감, 세척력, 기포력, 미백능 확인
1. 실험방법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에 1 내지 5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기능성 비누를 각각 지원자들에게 사용하게 하고 설문지 조사방식으로 조사하여 최상의 보습력, 청량감, 세척력, 기포력을 가진 제품을 선별하도록 하였다.
조사기간은 8주에 걸쳐 20세~65세 사이의 40명의 여성과 10명의 남성인 총 50명에 대하여 설문을 실시하여 조사하였다.
이때, 지원자들에게 각 비누를 나눠주고 자유롭게 사용하되, 각 비누들을 하루에 최소 한번은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치를 얻었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3과 같이 나타났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보습력 만족 40 45 20 28 30 5 5
보통 10 4 20 12 20 15 10
불만족 0 1 10 10 10 30 35
청량감 만족 46 47 5 20 35 20 10
보통 3 3 10 20 10 20 20
불만족 1 0 35 10 5 10 20
세척력 만족 43 44 10 30 30 3 1
보통 5 5 20 15 15 12 19
불만족 2 1 20 5 5 35 30
기포력 만족 40 43 15 30 30 5 2
보통 9 5 15 15 15 15 8
불만족 1 2 20 5 5 30 40
미백능 만족 45 40 5 10 3 3 1
보통 5 7 30 20 12 11 9
불만족 0 3 15 20 35 36 40
상기 표 3에 나타나 있듯이, 비누베이스로 적용된 재료들의 함량이 적절하지 못한 비교예 4, 5의 경우에는 세척력, 기포력, 보습력, 미백능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민감성피부에 대해서는 피부트러블을 일으키기도 하였으며, 비교예 5의 경우에는 너무 딱딱하고 균열이 생겨서 비누로 사용자체가 불가능하며, 청량감 역시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비교예 4,5의 경우에는 세척력 및 기포력이 낮게 나타나 비누로서의 사용감 자체가 떨어져 미백능이나 보습력도 나타나지 못한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비교예 1이 경우에는 비누로 사용시 잔여물이 만져져서 사용감이 불편하며, 천연재료들로 인해 오히려 세척력 및 기포력, 미백능 모두 떨어졌으며, 비교예 2,3의 경우에는 민감성피부에 자극을 일으켜 피부트러블을 유발하며, 미백효과도 다소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면, 실시예1, 2의 경우에는 천연혼합추출물들과 비누베이스가 잘 어우러져 사용시 솔잎에서 풍기는 청량감으로 인해 사용자들의 기분을 상쾌하게 해줌과 동시에 세정력 역시 뛰어나고 세척후에도 보습력이 높아 피부 촉촉함이 여전히 남아 있어 전반적으로 사용감이 높았으며 사용횟수가 많아질수록 미백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살균력 확인
1. 실험방법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는 천연혼합추출물들 중 실시예1,2 및 비교예2,3을 대상으로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이때, 시험에 사용된 병원성 미생물로는 일반균인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피부트러블의 유발균인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를 사용하였으며, 이들의 생장 억제효과를 대치배양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억제능 정도: +++; 강한 억제능, ++; 중간억제능, +; 약한 억제능, -; 억제능 없음)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2 비교예3
대장균 ++ +++ + ++
포도상구균 ++ +++ + ++
상기 표 4에 나타나 있듯이, 실시예1,2와 같이 구성된 천연혼합추출물의 경우에는 다소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비교예2와 같이 에탄올로 추출하여 혼합된 천연혼합추출물의 경우 항균력이 다소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능을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천연추출물로 파 추출물, 솔잎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을 사용하되, 이들의 특정 적정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져야 하며, 비누베이스로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들이라고 할지라도 지방산으로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중화제로는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그리고 보습제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수크로스, 히아루론산을 특정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져야지만 피부의 보습능을 유지해줌과 동시에 살균효과 및 미백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청량감을 갖는 기능성 비누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50~70%의 에탄올 수용액(v/v)으로 추출한 파 에탄올 추출물, 솔잎 에탄올 추출물 및 크랜베리 에탄올 추출물이 1~3 : 1 : 1 중량비로 구성된 천연혼합 에탄올 추출물 및,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글리세린, 소르비톨, 수크로스, 히아루론산나트륨, 물로 구성된 비누베이스;로 구성되되,
    상기 천연혼합 에탄올 추출물이 10~20중량%, 상기 비누베이스가 80~90중량%로 이루어져 보습성, 청량감, 살균력, 미백능을 갖는 것이 특징인,
    기능성 비누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베이스는 비누베이스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라우르산이 5~10중량%, 상기 미리스트산이 5~10중량%, 상기 팔미트산이 5~10중량%, 상기 스테아르산이 10~15중량%, 상기 수산화나트륨이 5~10중량%, 상기 트리에탄올아민이 1~5중량%, 상기 글리세린이 5~10중량%, 상기 소르비톨이 5~10중량%, 상기 수크로스가 5~10중량%, 상기 히아루론산나트륨이 1~3중량% 및 나머지 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기능성 비누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천연재료로 파, 솔잎, 크랜베리를 준비한 후, 이를 각각 50~70%의 에탄올 수용액(v/v)에 침지한 후, 30~50℃에서 5~10 시간동안 추출하여 각 에탄올 추출물들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제조된 파 에탄올 추출물, 솔잎 에탄올 추출물, 크랜베리 에탄올 추출물을 1~3 :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천연혼합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글리세린, 소르비톨, 수크로스, 히아루론산나트륨, 물을 40~90℃에서 15~30분동안 교반하여 비누베이스를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제조한 비누베이스와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한 천연혼합 에탄올 추출물을 혼합하되, 상기 천연혼합 에탄올 추출물은 10~20중량%, 상기 비누베이스는 80~90중량%로 구성된 기능성 비누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조된 기능성 비누조성물을 고형화 및 성형하여 기능성 비누를 제조하는 제5단계;로 구성된,
    기능성 비누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비누베이스 제조시, 비누베이스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라우르산이 5~10중량%, 상기 미리스트산이 5~10중량%, 상기 팔미트산이 5~10중량%, 상기 스테아르산이 10~15중량%, 상기 수산화나트륨이 5~10중량%, 상기 트리에탄올아민이 1~5중량%, 상기 글리세린이 5~10중량%, 상기 소르비톨이 5~10중량%, 상기 수크로스가 5~10중량%, 상기 히아루론산나트륨이 1~3중량% 및 나머지 물로 이루어 지도록 교반하는 것이 특징인,
    기능성 비누의 제조방법.
  8. 삭제
  9.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기능성 비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보습성, 청량감, 살균력, 미백능을 갖는 것이 특징인,
    기능성 비누.
  10. 삭제
KR1020170018516A 2017-02-10 2017-02-10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 KR101875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516A KR101875036B1 (ko) 2017-02-10 2017-02-10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516A KR101875036B1 (ko) 2017-02-10 2017-02-10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036B1 true KR101875036B1 (ko) 2018-07-05

Family

ID=6292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516A KR101875036B1 (ko) 2017-02-10 2017-02-10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8110A (ko) 2022-07-11 2024-01-18 박두헌 피부 클렌징 겸용 마사지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8110A (ko) 2022-07-11 2024-01-18 박두헌 피부 클렌징 겸용 마사지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0827B1 (ko) 진피-메밀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KR101872158B1 (ko)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CN105331469A (zh) 一种复方抑菌皂的制备方法
KR20190031983A (ko)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활화학제품용 조성물
KR20170010490A (ko) 해조 추출물이 첨가된 비누와 그의 제조방법.
KR20160036900A (ko)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203631A (zh) 一种抑菌清洁产品及其制备方法
KR101064419B1 (ko) 수세미 열매 속 섬유질을 함유하는 천연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52604B1 (ko) 코코넛 추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81553B1 (ko)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75036B1 (ko)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
CN104513733A (zh) 一种天然睡莲精油香皂
CN108531319A (zh) 一种抑菌清洁产品及其制备方法
KR20170071727A (ko) 숙성된 원료를 이용한 천연비누의 제조방법
KR101845513B1 (ko) 머드스톤 함유 마사지 기능, 피부관리기능 및 온천 세정용의 다기능성 클렌징 폼 조성물
KR101711143B1 (ko) 천연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천연 비누
CN108300622A (zh) 一种抑菌清洁产品及其制备方法
KR101845308B1 (ko) 염화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전신 세정용 고체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70743B1 (ko) 천연 토코페롤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제조된 천연 토코페롤 비누
KR102033372B1 (ko) 미역귀를 포함하는 기능성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1454797A (zh) 一种葡萄籽油红酒手工皂及其制备方法
KR100830125B1 (ko) 황토비누 제조방법과 그 황토비누
KR100642939B1 (ko) 자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비누 및 그 추출방법
KR102087797B1 (ko) 솔 성분을 함유하는 발효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