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900A -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900A
KR20160036900A KR1020140129142A KR20140129142A KR20160036900A KR 20160036900 A KR20160036900 A KR 20160036900A KR 1020140129142 A KR1020140129142 A KR 1020140129142A KR 20140129142 A KR20140129142 A KR 20140129142A KR 20160036900 A KR20160036900 A KR 20160036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yolk
oil
soap
natural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8586B1 (ko
Inventor
김신수
김태훈
김태헌
Original Assignee
김신수
김태헌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수, 김태헌, 김태훈 filed Critical 김신수
Priority to KR1020140129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586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42Per-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여, 세정력이 우수함은 물론, 피부에 보습력 및 영양을 공급하면서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피부 보호효과가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에, 피부 트러블 및 아토피 등의 손상된 피부에 대하여 적절한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면서 보습력 및 항산화 기능성을 부여하여 피부 개선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Natural soap composition containing egg yolk oil of ducks and extracts of Moringa,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모링가 추출물 및 진공 저온 추출법으로 추출한 오리 난황유를 천연비누 조성물에 포함시켜 세정력이 뛰어나면서도 보습력 및 피부보호 효과를 향상시킨 천연비누 조성물을 형성하는,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비누는 고급지방산의 알칼리염으로써 풍부한 기포와 세정력을 가지는 것으로서 각종 동물성 유지 및 식물성 유지를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비누화 반응을 시킨 다음, 수분 12~15%정도의 니트솝(neat soap)을 만든 후, 불쾌한 취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향을 첨가하고 피부의 보습성, 윤활성을 위하여 유연제나 보습제 등 기타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첨가제를 추가로 배합하여 고형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비누는 풍부한 기포와 세정력을 가지고 있긴 하나, 피부에 사용 시 과도한 세정을 유발하여 일반적인 피부 표면에 오염물질 이외에 피부 표면의 수분유지에 필수적인 아미노산이나 각종 지질성분을 제거하여 피부 표면의 수분이 감소하고 피부의 당김감을 유발하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천연물을 이용하는 비누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으로, 최근에는 피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자연지향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추세에 따라 유효성분이 화학물질뿐만 아니라 식물 또는 동물유래의 천연물을 그 유용성을 기반으로 하여 제조되는 기능화된 비누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모링가는 원래 인도 북서부 히말라야 남쪽 산기슭의 건조한 지방에서 성장하는 식물로 알려졌지만 현재는 아프리카, 캄보디아, 파키스탄, 네팔, 인도네시아 등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도 널리 지배되고 있으며, 모링가 과에 속하는 모링가 나무는 13종이 있으며, 모링가 올레이페라(M.oleifera)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모링가는 과일이나 채소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비타민을 자체적으로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식물들에 비해 월등히 많은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즉, 모링가는 다른 식물들과 동일한 양을 비교했을 때 오렌지 7배의 비타민C, 바나나 3배의 포타슘, 당근 4배의 비타민A, 시금치 3배의 철 뿐만 아니라 식물이면서도 우유에 비해 4배나 많은 칼슘과 다량의 아미노산과 항산화요소 등 90여가지 이상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모링가는 올레인산을 포함한 46가지 이상의 항산화성분들과 캐롯오일의 4배에 이르는 콜라겐을 함유하고 있어 최근들어, 강력한 항노화효과를 가진 원료로서 주목받고 있다.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08916호에서는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 대해 개시한 바 있다.
또 한편으로, 오리알은 전통적으로 고혈압 예방과 중풍예방에 효과가 크다고 전래되고 있는 것으로, 특히 오리 난황유 중에는, 비타민, 미네랄, 타우린 및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여 피부손상 및 치질 등의 치유 효능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면서도 우수한 보습력을 제공하는 천연 비누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끝에,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오리 난황유와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비누를 제조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상 천연식물성 오일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혼합·교반하여 반응시킴으로써 과트레이스 상태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혼합물에 발효주정, 식물성 글리세린,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첨가하여 비누액을 제조하고 냉각하는 제2 단계;
상기 비누액에 설탕 및 레몬수을 첨가하여 냉각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를 거친 비누액을, 고형화 및 성형하여 고형 비누를 제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천연비누 조성물은,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여, 세정력이 우수함은 물론, 피부에 보습력 및 영양을 공급하면서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피부 보호효과가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에, 피부 트러블 및 아토피 등의 손상된 피부에 대하여 적절한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면서 보습력 및 항산화 기능성을 부여하여 피부 개선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재료를 사용하고 인공 착색제 및 착향료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재료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비누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천연비누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의 사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천연비누 조성물을 (a) 1~2주 사용 후, (b) 3~4주 사용 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은 상기 천연비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오리난황유 0.1~10 중량%, 모링가 추출물 0.1~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링가 추출물은, 모링가에 함유된 올레인산을 포함한 46가지 이상의 항산화성분들과 캐롯오일의 4배에 이르는 콜라겐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바, 본 발명의 천연비누 조성물은 상기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비타민을 비롯한 다량의 영양소를 피부에 공급하면서 우수한 항산화 기능성과 보습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난황은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 이소프라본(isoflavone) 및 인체 세포막의 구성 성분인 레시틴(Lecithin)을 함유하고 있어, 상기 난황에서 추출한 오일은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냄은 물론 피부 건강을 향상시킨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리 난황유는 오리알로부터 추출한 난황유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오리난황유 중에는 비타민, 미네랄, 타우린 및 불포화 지방산이 계란에 비하여 높은 함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바, 리놀레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EPA 및 DHA 등 불포화지방산은, 계란이 13.5, 0.67, 3.29, 0 및 1.02%인 것과 비교하여 18.82, 0.14, 7.63, 0.08 및 1.19%로 상대적 함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천연비누 조성물은 상기 오리 난황유를 포함함으로써 손상된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피부 자극을 줄이면서 보습력을 높이고 손상된 피부의 치유를 도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비누 조성물은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여 우수한 항산화 기능성을 나타냄은 물론이고, 오리 난황유를 포함함으로써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보습력 및 항산화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액상 천연식물성 오일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혼합·교반하여 반응시킴으로써 과트레이스 상태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혼합물에 발효주정, 식물성 글리세린,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첨가하여 비누액을 제조하고 냉각하는 제2 단계; 상기 비누액에 설탕 및 레몬수을 첨가하여 냉각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를 거친 비누액을, 고형화 및 성형하여 고형 비누를 제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단계는 액상 천연식물성 오일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혼합·교반하여 반응시킴으로써 과트레이스 상태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걸죽한 상태의 과트레이스 상태로 만드는 비누화 반응을 통해 혼합물을 제조함에 따라 수산화나트륨의 반응률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천연식물성 오일 및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각각 70 내지 80℃로 가열하여 준비하고, 혼합·교반하여 비누화반응을 시킴으로써 혼합물을 제조하게 된다. 이는, 상기 천연식물성 오일 및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각각 70 내지 80℃로 가열함에 따라 상기 천연 식물성 오일은 혼합 및 반응이 용이한 액상의 천연식물성 오일 상태가 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은 상기 액상 천연식물성 오일과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 및 교반이 용이한 상태가 되고, 천연 비누가 완성 된 후 숙성에 필요한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식물성 오일로는, 미강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팜유, 살구씨유, 해바라기씨유, 달맞이꽃씨유, 아보카도유, 피마자유, 아몬드유, 호호바오일, 포도씨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팜오일,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및 피마자 오일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단계는 상기 혼합물에 발효주정, 식물성 글리세린,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첨가하여 비누액을 제조하고 냉각하는 단계이다.
상기 발효주정은 곡류(쌀, 보리쌀, 옥수수)와 서류(고구마, 감자, 타피오카)등이 함유하고 있는 전분질을 맥아나 효소 등으로 당화시켜 발효성 당으로 변화시킨 후, 발효 공정을 거쳐 생성된 주정으로서, 항균 및 방부 효과는 물론 피부 사용에 대한 재료의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는바, 상기 제1 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상기 발효주정을 혼합하여 비누액을 제조함으로써 항균, 방부효과와 피부 사용에 대한 재료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리 난황유는, 오리알로부터 추출한 난황유로서 생리활성물질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천연 비누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오리 난황 특유의 이취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한바, 바람직하게는 저온에서 기화점의 차이를 이용하는 진공 저온 추출법에 의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오리 난황유는, 증자(蒸煮) 오리알로부터 분리하여 준비된 증자 난황을 건조시키는 단계; 발효주정에 상기 건조된 난황을 첨가한 후, 난황유를 추출하여 난황유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난황유 용액으로부터 난황을 제거한 후, 진공 저온상태에서 분리·농축하여 상기 난황유 용액으로부터 난황유를 수득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자 난황의 건조는 35~45℃의 온도에서 40~60시간 동안 이루어지고; 상기 난황유의 추출은 40~60℃의 온도에서 50~70시간 동안 진공추출법으로 추출하고; 상기 난황유의 수득은 40~60℃의 온도에서 50~70시간 동안 진공농축법으로 난황유를 분리·농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링가 추출물은 열수 추출, 알코올 추출, 진공 추출법 등의 추출방법에 의하여 얻을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생리활성물질의 손실이 적은 진공 추출법을 이용하되 저온 상태에서 추출하는 진공 저온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모링가 추출물은, 모링가 건조 분말에 발효주정을 혼합하고, 진공 저온상태에서 모링가를 추출하여 모링가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모링가 용액으로부터 모링가 분말을 제거한 후, 진공 저온상태에서 분리·농축하여 모링가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링가 용액의 제조시 모링가의 추출은 40~60℃의 온도에서 50~70시간 동안 진공추출법으로 추출하고; 상기 모링가 추출물의 수득은 40~60℃의 온도에서 50~70시간 동안 진공농축법으로 모링가 추출물을 농축·채취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단계에 있어, 식물 추출물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식물은 그라비올라, 파프리카, 곽향, 차조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열수 추출, 알코올 추출, 진공 추출법 등의 추출방법에 의하여 얻을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모링가 추출물과 마찬가지로 생리활성물질의 손실이 적은 진공 추출법을 이용하되 저온 상태에서 추출하는 진공 저온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3 단계는 상기 비누액에 설탕 및 레몬수을 첨가하여 냉각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탕이 첨가됨으로써 비누 거품의 정도를 조절하고 비누의 투명도를 증가시키게 되며, 상기 레몬수의 첨가에 의하여 비누 조성물의 pH가 중성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어,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는 비누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를 거친 비누액을, 고형화 및 성형하여 고형 비누를 제조하는 단계로, 상세하게는 상기 비누액에서 하층에 가라앉은 미반응 수산화나트륨, 글리세린, 기타 미반응 물질 및 부산물 등의 잔류물을 분리하여 제거하고, 상기 비누액을 성형틀에 부어 냉각시킴으로써 고형화하고, 컷팅 및 형타기로 성형하여 고형 비누를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천연비누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우수한 피부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는 오리 난황유를 추출하고, 우수한 항산화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 모링가 추출물을 수득하여 이들을 포함하도록 천연비누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세정력은 물론이고,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보습력을 극대화시키며 항산화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 비누를 제조할 수 있고, 인공 착색제, 인공 착향료를 비롯한 인공적인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재료만으로 제조함에 따라 피부에 매우 안전한 천연 비누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오리 난황유 제조
오리알을 100℃ 이상의 물에 삶은 후 난백과 난황을 분리하고, 분리한 난황을 40℃로 50시간동안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난황은 발효주정과 함께 50℃의 온도에서 진공으로 60시간 추출하여 발효주정에 난황유를 추출·용해시킨 후, 난황유가 추출된 난황은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난황이 제거된 상기 난황유 용액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의 온도에서 30시간 동안 진공 저온상태로 분리·농축하였다.
<실시예 2> 모링가 추출물 제조
모링가 분말에 발효주정을 혼합하여 50℃의 온도에서 진공으로 40시간 진공저온 추출법으로 추출하고, 상기 발효주정에 추출된 모링가 분말은 제거하고, 주정에 용해된 모링가 추출물을 농축기로 진공으로 50℃의 온도에서 20시간 동안 농축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오리난황유와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비누
천연 식물성 오일(팜오일(palm oil) 12중량%, 코코넛 오일(coconut oil) 11중량%, 올리브 오일(olive oil) 8중량%, 아보카도 오일(avocado oil) 4.9중량% 및 피마자 오일(castor oil) 4.3중량%)을 70℃로 가열하여 액체 상태로 만들고, 수산화나트륨 6.5중량%를 정제수 12.5중량%에 첨가하고 가열하여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제조하고 70℃로 가열하여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70℃의 상태의 상기 천연 식물성 오일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함께 교반기에 넣어 2시간 30분간 교반시켜 과트레이스 반응을 유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과트레이스 상태에서 70℃의 온도에서 6시간 보온하여 반응시킨 후, 발효주정 13.8중량% 및 천연 글리세린 6중량%,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오리 난황유 5중량% 및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모링가 추출물 5중량%를 첨가하여 비누액을 제조하고 공기 중에서 냉각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비누액에 설탕 7중량%, 레몬수 4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50℃이하로 공기 중에서 냉각시킨 후, 상기 비누액에서 미반응된 물질을 제거하고, 성형틀에 상기 비누액을 붓고 48시간 동안 고형화시켰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형화된 비누를 컷팅 및 형타기로 성형하여 천연 비누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천연비누를 제조하여, 각 시험예에 따라 제조된 비누를 이용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로서는 여드름용 비누인 루** 비누((주)클***)를 이용하였다.
- 시험예 1: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모두 함유하는 천연 비누
- 시험예 2: 오리 난황유만을 함유한 천연비누
- 시험예 3: 모링가 추출물만 함유하는 천연비누
관능평가는 20대에서 40대까지 각 연령대별로 5명씩 총 15명을 대상으로, 매일 아침, 점심, 저녁으로 한번씩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안을 하도록 하여 3개월 이후 피부 보습, 피부 자극성, 세정 효과,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해 시험하였다. 각 평가항목당 최고 우수 상태 10점, 보통 상태 5점, 좋지 않은 상태 0점으로 평가하였다.
평가항목 피부보습 피부자극성 세정력 전체적인 기호도
시험예 1 10 10 10 10
시험예 2 10 9 7 8
시험예 3 7 9 10 8
비교예 1 7 7 7 7
상기 표 1를 참고하면, 시험예 1은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를 모두 함유한 천연비누로서, 우수한 세정력을 가지면서도 피부에 자극이 없고,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냄에 따라, 전체적인 기호도면에서 높은 평가를 얻었다.
상기 시험예 2는 난황유만을 함유한 천연비누로서, 상기 실험예 1과 비교하여 피부 자극성 및 보습력면에서는 우수하나, 세정력 면에서는 다소 낮은 평가를 얻음에 따라, 전체적인 기호도면에서 약간 낮게 평가되었다.
또한, 상기 시험예 3은 모링가만 함유한 천연비누로서, 실험예 1과 비교하여 세정력 및 피부 자극성면에서는 우수하나, 보습력 면에서는 다소 낮은 평가를 얻음에 따라, 전체적인 기호도면에서 약간 낮게 평가되었다.
또한, 비교예 1은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여드름용 비누로서, 시험예 1과 비교하여 모든 항목에서 저하된 결과를 나타냄에 따라, 전체적인 기호도 역시 낮게 평가되었다.
또한, 도 2는 상기 시험예 1의 천연비누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천연비누 조성물을 (a) 1~2주 사용 후, (b) 3~4 주 사용 후의 사진으로서, 시험예 1의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를 함유한 천연비누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세정 효과를 가지면서도 피부에 보습력 및 영양을 공급하면서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피부 트러블 및 아토피 개선에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천연비누는 오리 난황유와 모링가 추출물를 함유하여, 세정효과가 우수하면서도 피부에 자극이 없고,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특히 우수한 보습력과 피부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Claims (6)

  1.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비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오리난황유 0.1~10 중량%, 모링가 추출물 0.1~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3. 액상 천연식물성 오일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혼합·교반하여 반응시킴으로써 과트레이스 상태의 비누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혼합물에 발효주정, 식물성 글리세린,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첨가하여 비누액을 제조하고 냉각하는 제2 단계;
    상기 비누액에 설탕 및 레몬수를 첨가하여 냉각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를 거친 비누액을, 고형화 및 성형하여 고형 비누를 제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 난황유는,
    증자(蒸煮) 오리알로부터 분리하여 준비된 증자 난황을 건조시키는 단계;
    발효주정에 상기 건조된 난황을 첨가한 후, 난황유를 추출하여 난황유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난황유 용액으로부터 난황을 제거한 후, 진공 저온상태에서 분리·농축하여 상기 난황유 용액으로부터 난황유를 수득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증자 난황의 건조는 35~45℃의 온도에서 40~60시간 동안 이루어지고;
    상기 난황유의 추출은 40~60℃의 온도에서 50~70시간 동안 진공추출법으로 추출하고;
    상기 난황유의 수득은 40~60℃의 온도에서 50~70시간 동안 진공농축법으로 난황유를 분리·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비누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제2 단계는 식물 추출물을 더 첨가하여 제조되고;
    상기 식물은 그라비올라, 파프리카, 곽향, 차조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40129142A 2014-09-26 2014-09-26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88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142A KR101688586B1 (ko) 2014-09-26 2014-09-26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142A KR101688586B1 (ko) 2014-09-26 2014-09-26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900A true KR20160036900A (ko) 2016-04-05
KR101688586B1 KR101688586B1 (ko) 2016-12-21

Family

ID=55800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142A KR101688586B1 (ko) 2014-09-26 2014-09-26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5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3957A (zh) * 2017-04-17 2017-06-23 帝善圆农业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肥皂及其制备方法
KR20180054067A (ko) * 2016-11-14 2018-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클로렐라 생균 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8300567A (zh) * 2018-02-07 2018-07-20 黄志成 一种无添加蛋黄油的制备方法
KR20210026481A (ko) * 2019-08-30 2021-03-10 제너럴바이오(주) 천연소재의 액상비누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158B1 (ko) 2017-06-21 2018-06-27 주식회사 퓨어코코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KR102300732B1 (ko) * 2020-11-11 2021-09-14 주식회사 제이에스무역 난황유 및 배초향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항주름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20145932A (ko) 2021-04-19 2022-10-3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에코드림팜 난황유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난황유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866A (ko) * 2000-03-24 2001-10-12 김점선 환경친화형 액상비누의 제조방법
KR20090038945A (ko) * 2007-10-17 2009-04-22 주식회사 보성 항산화 및 혈청지질 개선 효과를 가지는 오리알 난황레시틴 조성물
KR101306841B1 (ko) * 2011-10-07 2013-09-10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이탄과 모링가를 함유한 세정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866A (ko) * 2000-03-24 2001-10-12 김점선 환경친화형 액상비누의 제조방법
KR20090038945A (ko) * 2007-10-17 2009-04-22 주식회사 보성 항산화 및 혈청지질 개선 효과를 가지는 오리알 난황레시틴 조성물
KR101306841B1 (ko) * 2011-10-07 2013-09-10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이탄과 모링가를 함유한 세정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P 글리세린 비누 만들기, 네이버 카페(2010.01.19.) &lt; 인터넷 주소: http://cafe.naver.com/felice30/561 &gt;*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067A (ko) * 2016-11-14 2018-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클로렐라 생균 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6883957A (zh) * 2017-04-17 2017-06-23 帝善圆农业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肥皂及其制备方法
CN108300567A (zh) * 2018-02-07 2018-07-20 黄志成 一种无添加蛋黄油的制备方法
KR20210026481A (ko) * 2019-08-30 2021-03-10 제너럴바이오(주) 천연소재의 액상비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586B1 (ko)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586B1 (ko)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CN105476950B (zh) 保湿泡沫洁面乳及其制备方法
KR20090060206A (ko) 해양심층수 및 해양콜라겐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20100108039A (ko) 수세미 열매 속 섬유질을 함유하는 천연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48231B1 (ko) 봉선화 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KR20150094851A (ko)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5147529A (zh) 一种由多种可用于食品生产成分组成的润肤霜
KR101479499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KR20150083168A (ko) 얼굴 붓기완화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KR20180092228A (ko) 약산성 아로니아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28819A (ko) 다기능성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JP2000191513A (ja) アガリクス茸抽出液を含有する皮膚洗浄料
CN105232376A (zh) 江蓠海藻美容面膜
CN105496885A (zh) 一种含植物元素的化妆品及其生产方法
KR100970743B1 (ko) 천연 토코페롤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제조된 천연 토코페롤 비누
KR101875036B1 (ko)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
KR20200134602A (ko) 천연성분이 함유된 고형 샴푸
KR101526933B1 (ko) 천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미스트
KR20200031430A (ko) 모발 디톡스 및 펌 염색 크리닉을 위한 샴푸 조성물 및 시술방법
KR102309956B1 (ko)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102278423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 비누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8753500A (zh) 液体皂组合物及其制作方法
KR20140078132A (ko) 건조트러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68651B1 (ko) 생물학적 프로판디올을 함유하는 천연 비누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