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932A - 난황유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난황유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 Google Patents

난황유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난황유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932A
KR20220145932A KR1020210050687A KR20210050687A KR20220145932A KR 20220145932 A KR20220145932 A KR 20220145932A KR 1020210050687 A KR1020210050687 A KR 1020210050687A KR 20210050687 A KR20210050687 A KR 20210050687A KR 20220145932 A KR20220145932 A KR 20220145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gg yolk
powde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에코드림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에코드림팜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에코드림팜
Priority to KR1020210050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5932A/ko
Publication of KR20220145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25Pretreatment by enzymes or microorganisms, living or d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5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2Reproductive organs; Embryos,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C11B1/104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using super critical gases or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4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solvents, e.g. supercritical solvents or ionic liqui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황유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난황유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황유의 제조방법은 계란 또는 오리알을 준비한 후 물에 삶고, 상기 삶아진 계란 또는 오리알의 껍질 및 난백을 제거한 후 난황을 분리하여 준비하며, 상기 준비된 난황을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1차 건조하고, 상기 1차 건조된 난황을 분쇄하여 분말화하여 난황분말을 제조한 후, 상기 난황분말을 120 내지 140℃ 온도의 열풍을 1 내지 3시간 동안 가하여 줌으로써 2차 건조하며, 상기 2차 건조된 난황분말에 효소와 산을 혼합한 후 상기 효소 및 산이 혼합된 난황분말을 38 내지 4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효소 분해하되, 상기 2차 건조된 난황분말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프로테아제(Protease) 0.05 내지 0.1 중량부, 자일라나제(Xylanase) 0.005 내지 0.01 중량부, 구연산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아스코르빈산 0.01 내지 0.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효소 분해된 난황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유산균 배양액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40 내지 42℃의 온도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발효하여 난황분말 발효물을 제조하며, 상기 난황분말 발효물을 초임계추출법으로 추출하여 난황유를 제조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난황유의 제조방법은 초임계추출법을 이용하여 난황유를 제조함으로써 인체에 매우 유익한 레시틴, 비타민A, 비타민 E, 리놀산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난황유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난황유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난황유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MANUFACTURING METHOD OF EGG YOLK OIL, EGG YOLK OIL MANUFACTURED THEREBY, AND PRODUCT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난황유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난황유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임계추출법을 이용하여 난황유를 제조함으로써 인체에 매우 유익한 레시틴, 비타민A, 비타민 E, 리놀산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난황유를 제조할 수 있고, 상기 난황유를 이용하여 피부 트러블로 손상된 피부에 대하여 적절한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면서 보습력 및 항산화 기능성을 부여하여 피부 개선 효과가 있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난황유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난황유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조류의 난류(卵類)는 영양분이 풍부한 건강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특히 난황은 단백질, 지질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다.
조류의 난류는 난황(卵黃)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난백(卵白) 그리고 그의 가장 외부인 난각(卵殼)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류의 난류의 대표격인 계란을 예로 들면, 난황 31.9%, 난백 55.8% 및 난각 12.3 %로 구성되어 있고, 영양성분을 살펴보면, 난각은 대부분 무기질로 되어 있고, 난황은 수분 48.7%, 단백질 16.6%, 지방 32.6% 및 기타성분 2.1%로 구성되어 있으며, 난백은 수분 87.9%, 단백질 10.5% 및 기타성분 1.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난류의 대부분의 영양성분은 난황에 집중되어 있고, 특히, 난류에 포함된 지질의 대부분은 난황에 존재한다.
한편, 난황유는 계란의 노른자로부터 추출되는데, 난황유에는 인체에 매우 유익한 레시틴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세포막의 구성분인 인지질을 비롯해서 비타민A와 E, 리놀산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시력회복, 빈혈예방, 혈압정상화, 콜레스테롤치 감소, 간장강화와 피로회복 등에 유효하고, 또한 인지질인 레시틴은 친수성과 친유성을 가지고 있어서 물과 기름을 잘 혼합시켜 우유처럼 만드는 유화력이 있어 콜레스테롤이 혈관벽에 붙지 않도록 유화시켜 간장으로 운반함은 물론 레시틴은 혈관벽을 강화하며 체지방의 대사에도 관여하고 비만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초임계 추출방식을 이용하여 난황유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품을 제조함으로써 난황유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레시틴, 비타민A, 비타민 E, 리놀산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보습력 및 항산화 기능성을 부여하여 피부 개선 효과가 있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등록특허 제10-1688586호(2016년 12월 15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322972호(2002년 01월 21일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32675호(2010년 03월 26일 공개)
본 발명은 초임계추출법을 이용하여 난황유를 제조함으로써 인체에 매우 유익한 레시틴, 비타민A, 비타민 E, 리놀산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난황유를 제조할 수 있고, 상기 난황유를 이용하여 피부 트러블로 손상된 피부에 대하여 적절한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면서 보습력 및 항산화 기능성을 부여하여 피부 개선 효과가 있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난황유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난황유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황유의 제조방법은 계란 또는 오리알을 준비한 후 물에 삶고, 상기 삶아진 계란 또는 오리알의 껍질 및 난백을 제거한 후 난황을 분리하여 준비하며, 상기 준비된 난황을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1차 건조하고, 상기 1차 건조된 난황을 분쇄하여 분말화하여 난황분말을 제조한 후, 상기 난황분말을 120 내지 140℃ 온도의 열풍을 1 내지 3시간 동안 가하여 줌으로써 2차 건조하며, 상기 2차 건조된 난황분말에 효소와 산을 혼합한 후 상기 효소 및 산이 혼합된 난황분말을 38 내지 4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효소 분해하되, 상기 2차 건조된 난황분말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프로테아제(Protease) 0.05 내지 0.1 중량부, 자일라나제(Xylanase) 0.005 내지 0.01 중량부, 구연산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아스코르빈산 0.01 내지 0.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효소 분해된 난황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유산균 배양액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40 내지 42℃의 온도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발효하여 난황분말 발효물을 제조하며, 상기 난황분말 발효물을 초임계추출법으로 추출하여 난황유를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난황유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황유를 포함하는 제품은 난황유 0.1 내지 1 중량부, 캥거루 발톱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 초록입홍합 오일 0.1 내지 0.3 중량부, 서리태 검은콩 추출물 0.05 내지 0.1 중량부, 함초추출물 0.08 내지 0.12 중량부, 초유분말 0.08 내지 0.12 중량부,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나트륨(Polydeoxyribonucleotide Sodium) 0.08 내지 0.12 중량부,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0.08 내지 0.12 중량부,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0.05 내지 0.1 중량부, L-카르니틴(L-carnitine) 0.05 내지 0.1 중량부, 카페인(Caffeine) 0.05 내지 0.1 중량부, 아스코르브산(Vitamin C) 0.05 내지 0.1 중량부, 1,2-헥산디올(1,2-Hexanediol) 1.5 내지 2.5 중량부, 정제수(Water) 30 내지 40 중량부,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 0.005 내지 0.01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0.008 내지 0.012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0.008 내지 0.012 중량부, 황금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0.05 내지 0.15 중량부,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0.05 내지 0.15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0.1 내지 0.5 중량부, 폴리솔베이트20(Polysorbate 20) 0.008 내지 0.012 중량부,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Acetylated Hyaluronate) 0.001 내지 0.005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Hydrolyzed Hyaluronic Acid) 0.001 내지 0.005 중량부 및 글리세린(Glycerin) 0.1 내지 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화장료를 제조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황유의 제조방법은 초임계추출법을 이용하여 난황유를 제조함으로써 인체에 매우 유익한 레시틴, 비타민A, 비타민 E, 리놀산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난황유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황유를 이용하여 영양성분이 풍부한 단백질 식품을 제조할 수 있고, 난황유 성분이 포함되어 피부 트러블로 손상된 피부에 대하여 적절한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면서 보습력 및 항산화 기능성을 부여하여 피부 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료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황유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26세 여성에게 도포하기 전(도 1a)과, 2개월 동안 도포한 후(도 1b)의 피부상태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황유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41세 여성에게 도포하기 전(도 2a)과, 2개월 동안 도포한 후(도 2b)의 피부상태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황유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32세 여성에게 도포하기 전(도 3a)과, 2개월 동안 도포한 후(도 3b)의 피부상태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난황유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황유의 제조방법은 난황을 초임계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난황유는 계란의 난황에서 얻어질 수 있으며, 닭뿐만 아니라 오리알, 타조알 등의 난황에서 얻어질 수도 있다.
상기 난황유에는 세포막의 구성성분인 레시틴(Lecithin)이 30%정도 존재하며, 그 외에 비타민 A와 E, 리놀산 등을 함유하고 있다. 레시틴은 인지질이라고도 하며, 친수 및 친유성을 가지고 있어서 물과 기름을 잘 혼합시켜 우유처럼 만드는 유화력이 있고, 또한 콜레스테롤이 혈관 벽에 붙지 않도록 유화시켜 간장으로 운반하며, 혈관 벽을 강화시키고, 지방대사를 촉진하여 비만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난황유에는 비타민, 미네랄, 타우린 및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여 손상된 피부에 대하여 적절한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면서 보습력 및 항산화 기능성을 부여하여 피부 개선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난황유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난황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난황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계란 또는 오리알을 준비한 후 물에 삶을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계란 또는 오리알을 이용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한 계란 또는 오리알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거위알, 타조알 등 공지된 다양한 조류의 알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삶아진 계란 또는 오리알의 껍질 및 난백을 제거한 후 난황을 분리하여 준비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준비된 난황을 1차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1차 건조는 상기 준비된 난황을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건조시켜 상기 준비된 난황에 잔류하는 수분을 1차로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1차 건조된 난황을 분쇄하여 난황분말을 제조한 후 상기 난황분말을 2차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1차 건조된 난황을 분쇄하여 분말화하여 난황분말을 제조한 후, 상기 난황분말을 120 내지 140℃ 온도의 열풍을 1 내지 3시간 동안 가하여 줌으로써 2차 건조가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2차 건조된 난황분말에 효소와 산을 혼합한 후 보관하여 효소 분해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2차 건조된 난황분말에 효소와 산을 혼합한 후 상기 효소 및 산이 혼합된 난황분말을 38 내지 4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효소 분해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효소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공지된 프로테아제(Protease) 및 자일라나제(Xylanase)가 이용되고, 상기 산으로는 구연산 및 아스코르빈산이 이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2차 건조된 난황분말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프로테아제(Protease) 0.05 내지 0.1 중량부, 자일라나제(Xylanase) 0.005 내지 0.01 중량부, 구연산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아스코르빈산 0.01 내지 0.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효소 분해된 난황분말에 유산균 배양액을 혼합한 후 발효하여 난황분말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효소 분해된 난황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유산균 배양액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40 내지 42℃의 온도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발효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상기 유산균 배양액은, 1.2N HCl을 이용하여 배지의 pH를 2.8~3.2로 조정한 다음 김치로부터 유산 균주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유산 균주를 MRS broth(Oxoid, England)를 이용하여 37~39℃에서 20 내지 25시간 동안 배양한 후 1×1.08 ~ 5×1.08 CFU/mL이 되도록 희석하며, 이후 10,000 내지 15,000rpm에서 10~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supernatant)만을 분리하고, 상기 상청액(Supernatant)을 0.45㎛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여과 후, 상기 여과된 상청액 100 중량부에 대해 멸균한 증류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희석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유산균은 발효 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 균주로, 구체적으로, 상기 유산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 쿠르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바이셀라 비리데센스(Weissella viridescen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공지된 유산 균주가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난황분말 발효물을 초임계추출법으로 추출하여 난황유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초임계추출법은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으로, 상기 초임계 유체는 임계점 이상의 온도 및 압력을 가지는 물질의 상태를 기체 또는 액체와 구분하기 위하여 설정된 용어이다. 초임계 유체는 임계점 부근에서 각종 물성이 큰 폭으로 변화하는데 특히 밀도의 변화가 각종 물질을 용해하는 능력과 깊은 관계가 있다. 초임계 유체의 밀도는 액체의 밀도와 비슷하지만 점도는 기체처럼 낮으며, 확산 계수는 액체의 값보다 수백 또는 수천 배 정도 크다. 즉, 초임계 유체는 액체와 기체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
초임계 유체가 용매로 쓰이면 일반 액체 용매와 마찬가지로 액체나 고체를 용해하는 능력을 가지며, 압력과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서 용해력을 조절할 수 있고, 추출 후에 추출 용매와 용질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초임계 유체는 점도가 기체처럼 작으므로 시료 침투력이 좋아 추출 효율이 향상되고, 확산계수가 크므로 평형에 빨리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저온에서 추출함으로써 열에 의한 손상을 피할 수 있고,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무공해 공정이 가능하며, 무해 무취이고, 인화성이 없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는 의약품이나 식품 향신료의 추출 처리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초임계추출법은 60~70℃의 온도, 400~500 기압 및 S/F 비(supercritical fluid ㎏/Feed ㎏) 35가 되는 조건하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용매가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추가된 것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상기 공용매는 용매 총 부피를 기준으로 20~30부피% 만큼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임계 추출 후, 추출 용기에 남아있는 시료에 소량의 공용매가 추가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흘려 통과시키면,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으로는 추출되지 않았던 성분들이 추출되어 나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난황유를 포함하는 제품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난황유를 이용하여 영양성분이 풍부한 단백질 식품을 제조하거나, 또는, 피부 트러블로 손상된 피부에 대하여 적절한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면서 보습력 및 항산화 기능성을 부여하여 피부 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료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난황유를 포함하여 화장료를 제조하는 구성에 대하여 일예로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난황유, 캥거루 발톱 추출물, 초록입홍합 오일, 서리태 검은콩 추출물, 함초추출물, 초유분말,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나트륨(Polydeoxyribonucleotide Sodium),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L-카르니틴(L-carnitine), 카페인(Caffeine), 아스코르브산(Vitamin C), 1,2-헥산디올(1,2-Hexanediol), 정제수(Water),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황금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폴리솔베이트20(Polysorbate 20),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Acetylated Hyaluronate),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Hydrolyzed Hyaluronic Acid) 및 글리세린(Glycerin)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난황유 0.1 내지 1 중량부, 캥거루 발톱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 초록입홍합 오일 0.1 내지 0.3 중량부, 서리태 검은콩 추출물 0.05 내지 0.1 중량부, 함초추출물 0.08 내지 0.12 중량부, 초유분말 0.08 내지 0.12 중량부,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나트륨(Polydeoxyribonucleotide Sodium) 0.08 내지 0.12 중량부,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0.08 내지 0.12 중량부,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0.05 내지 0.1 중량부, L-카르니틴(L-carnitine) 0.05 내지 0.1 중량부, 카페인(Caffeine) 0.05 내지 0.1 중량부, 아스코르브산(Vitamin C) 0.05 내지 0.1 중량부, 1,2-헥산디올(1,2-Hexanediol) 1.5 내지 2.5 중량부, 정제수(Water) 30 내지 40 중량부,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 0.005 내지 0.01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0.008 내지 0.012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0.008 내지 0.012 중량부, 황금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0.05 내지 0.15 중량부,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0.05 내지 0.15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0.1 내지 0.5 중량부, 폴리솔베이트20(Polysorbate 20) 0.008 내지 0.012 중량부,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Acetylated Hyaluronate) 0.001 내지 0.005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Hydrolyzed Hyaluronic Acid) 0.001 내지 0.005 중량부 및 글리세린(Glycerin) 0.1 내지 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난황유는 비타민, 미네랄, 타우린 및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여 손상된 피부에 대하여 적절한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면서 보습력 및 항산화 기능성을 부여하여 피부 개선 효과가 있다.
상기 캥거루 발톱 추출물은 캥거루 발톱(아니고잔토스 플라비두스(Anigozanthos flavidus))을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캥거루 발톱(아니고잔토스 플라비두스(Anigozanthos flavidus))은 외떡잎식물의 여러해살이풀로, 호주 서부가 원산지이고, 남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 열대남아메리카 등에 분포하며, 건조한 모래, 자갈밭, 습지, 배수로 주변 등에 서식한다.
상기 캥거루 발톱은 뿌리 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직경이 50cm에 이르고 원줄기는 없고 잎과 함께 꽃줄기가 최대 10개까지 올라 오고 길이 1~1.5m 정도이며 윗부분에서 꽃가지가 갈라지다. 꽃줄기는 높이 0.5~1.5m 정도 자란다.
상기 캥거루 발톱 추출물은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안정성을 모두 조절하고 세포 외 매트릭스(ECM)에서 콜라겐 섬유를 조직하여 신체의 거의 모든 세포의 강성이나 탄력을 증진시킬 수 있고, 피부의 구조를 재구성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가 처지는 것뿐만 아니라 눈과 목 등의 주름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캥거루 발톱 추출물은 캥거루 발톱의 꽃, 잎 또는 줄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캥거루 발톱의 꽃을 추출하여 제조된 캥거루 발톱 꽃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캥거루 발톱 꽃 추출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캥거루 발톱 꽃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캥거루 발톱 꽃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캥거루 발톱 꽃을 준비한 후 세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캥거루 발톱 꽃을 일정한 입도로 분쇄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세척된 캥거루 발톱 꽃을 일정한 입도로 분쇄함으로써 상기 캥거루 발톱 꽃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세척된 캥거루 발톱 꽃의 분쇄는 입경이 100 내지 3000㎛의 범위가 되도록 분쇄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세척된 캥거루 발톱 꽃의 입경이 100㎛ 미만으로 분쇄되는 경우에는 분쇄 시간이 오래 걸리고, 또한 입자가 너무 작아 추후 공정에서 입자들간의 뭉침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입경이 3000㎛를 초과하여 분쇄되는 경우에는 상기 캥거루 발톱 꽃으로부터 유용성분들을 짧은 시간에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분쇄된 캥거루 발톱 꽃을 추출하여 캥거루 발톱 꽃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분쇄된 캥거루 발톱 꽃의 추출은 열수 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 공지된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초음파 추출법이란 시료에 추출 용매로서 물, C1~C6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를 10배 내지 20배 부피량으로 가한 후, 1 시간 내지 10 시간,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4 시간의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추출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임계 추출법이란 상기 분쇄된 캥거루 발톱 꽃과 보조용매로 에탄올(99.5%) 500~700mL를 초임계 유체 추출 반응기(Natex, Autstria)에 넣고 반응기 내의 온도가 65℃, 압력이 450 bar, S/F 비(supercritical fluid ㎏/Feed ㎏) 35가 되는 조건하에서 추출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초록입홍합 오일은 초록입홍합(Perna Canaliculus)을 사용하여 제조되는데, 상기 초록입홍합(Perna Canaliculus)은 뉴질랜드 해안에 서식하는 홍합의 일종으로 녹색홍합(Green-lipped Mussel)으로 불리며 학명은 Perna Canaliculus 이다.
상기 초록입홍합은 강렬한 자외선에 대항할 수 있도록 진화된 플랑크톤을 주 먹이로 하므로, 다른 지역에서 자생하는 홍합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성분 즉, 항산화와 항염에 관련된 오메가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다고 보고 되었다.
또한, 상기 초록입홍합에서 발견된 불포화 지방산은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물고기 기름, 아마인유, 달맞이 꽃 오일 등보다도 200배 이상의 강한 염증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임상실험을 통해 알려졌다. 오메가-3계열의 지방산은 오메가-6계열의 리놀레산과 경쟁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오메가-6 계열 지방산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염증 매개 물질의 생성을 방해하여 동맥 경화증과 류머티스 관절염 등의 염증성질환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규명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초록입홍합 오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초록입홍합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초록입홍합의 껍질을 제거하고, 상기 껍질이 제거된 초록입홍합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껍질이 제거된 초록입홍합을 10 내지 20℃ 온도 및 1 내지 3(w/w)% 농도 범위를 가지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할 수 있는데, 상기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식품첨가물로도 이용되는 것으로, 독성이 없으며 침투, 확산, 팽창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초록입홍합을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세척된 초록입홍합의 건조는 제1 건조 및 제2 건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제1 건조는 상기 세척된 초록입홍합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건조시켜 상기 세척된 초록입홍합에 잔류하는 수분을 1차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건조는 상기 제1 건조된 초록입홍합을 열풍으로 건조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건조는 상기 제1 건조된 초록입홍합을 110 내지 130℃ 온도의 열풍을 1 내지 3시간 동안 가하여 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2 건조된 초록입홍합을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숙성하여 초록입홍합 숙성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제2 건조된 초록입홍합의 분쇄는 상기 제2 건조된 초록입홍합을 5 내지 10mm의 입경으로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상기 분말화된 초록입홍합의 숙성은 상기 분말화된 초록입홍합을 5 내지 10℃의 온도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초록입홍합 숙성분말에 효소와 산을 혼합한 후 보관하여 효소 분해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초록입홍합 숙성분말에 효소와 산을 혼합한 후 상기 효소 및 산이 혼합된 초록입홍합 숙성분말을 36 내지 38℃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효소 분해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효소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공지된 프로테아제(Protease), 키티나제(chitinase), 펙티나제(Pectinase) 및 자일라나제(Xylanase)가 이용되고, 상기 산으로는 구연산 및 아스코르빈산이 이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초록입홍합 숙성분말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프로테아제(Protease) 0.01 내지 0.03 중량부, 키티나제(chitinase) 0.03 내지 0.05 중량부, 펙티나제(Pectinase) 0.005 내지 0.009 중량부, 자일라나제(Xylanase) 0.008 내지 0.012 중량부, 구연산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아스코르빈산 0.01 내지 0.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효소 분해된 초록입홍합 숙성분말에 유산균 배양액을 혼합한 후 발효하여 초록입홍합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효소 분해된 초록입홍합 숙성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유산균 배양액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40 내지 42℃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발효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상기 유산균 배양액은, 1.2N HCl을 이용하여 배지의 pH를 2.8~3.2로 조정한 다음 김치로부터 유산 균주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유산 균주를 MRS broth(Oxoid, England)를 이용하여 37~39℃에서 20 내지 25시간 동안 배양한 후 1×1.08 ~ 5×1.08 CFU/mL이 되도록 희석하며, 이후 10,000 내지 15,000rpm에서 10~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supernatant)만을 분리하고, 상기 상청액(Supernatant)을 0.45㎛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여과 후, 상기 여과된 상청액 100 중량부에 대해 멸균한 증류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희석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유산균은 발효 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 균주로, 구체적으로, 상기 유산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 쿠르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바이셀라 비리데센스(Weissella viridescen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공지된 유산 균주가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초록입홍합 발효물을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함으로써 초록입홍합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초록입홍합 발효물을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등의 구성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서리태 검은콩 추출물은 서리태 검은콩을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일반적으로 검은콩은 콩과(Leguminosae)에 속하며 검은빛을 띄는 콩을 총칭하는 말이며 흑태, 서리태, 서목태가에 이에 속한다. 검은콩중 하나인 서리태(Glycine max (L) Merr, Seoritate soybean)는 껍질이 검고 속은 노란빛을 띄는 콩으로 검은콩 중에서 크기가 가장 크다.
상기 서리태는 수분 8.9%, 당 25.3%, 조단백질 42.3%, 조지방 19.0%, 회분 4.5%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량의 필수성분인 시스테인이 함유되어 있고 단백질 외에도 레시틴, 파이토에스트로겐, 불포화지방산, 안토시아닌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서리태의 효능으로는 항산화, 항암, 항비만, 면역조절, 혈전생성 억제효과를 가지며 있으며 특히, 서리태에는 글리시테인, 아이소플라본, 안토시아닌,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서리태 검은콩 추출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서리태 검은콩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서리태 검은콩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품질이 우수한 서리태 검은콩을 준비한 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준비된 서리태 검은콩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비식용 부위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서리태 검은콩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서리태 검은콩을 1차로 건조하여 상기 서리태 검은콩 내부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햇빛 건조시 상기 세척된 서리태 검은콩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급격하게 증발되고,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기나 그늘 등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세척된 서리태 검은콩의 1차 건조는 상기 서리태 검은콩을 15 내지 25℃ 온도에서 80 내지 120시간 동안 보관하여 건조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1차로 건조된 서리태 검은콩을 열풍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1차로 건조된 서리태 검은콩을 110 내지 150℃의 열풍으로 1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는데, 상기 열풍 건조가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서리태 검은콩 내부의 수분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서리태 검은콩이 과도하게 건조되어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열풍 건조된 서리태 검은콩을 가열하여 구워 로스팅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열풍 건조된 서리태 검은콩을 로스팅 장치를 이용하여 구워줌으로써 진행될 수 있는데, 상기 단계는 상기 열풍 건조된 서리태 검은콩을 110 내지 130℃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구워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로스팅된 서리태 검은콩을 2차로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로스팅된 서리태 검은콩을 2차로 건조함으로써 상기 로스팅된 서리태 검은콩의 물성을 안정화할 수 있는데, 상기 로스팅된 서리태 검은콩의 2차 건조는 상기 로스팅된 서리태 검은콩을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1 내지 3일 동안 건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2차로 건조된 서리태 검은콩을 분쇄하여 서리태 검은콩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2차로 건조된 서리태 검은콩의 분쇄는 공지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분쇄기를 이용한 분쇄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 서리태 검은콩 분말을 추출하여 서리태 검은콩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서리태 검은콩 분말의 추출은 열수 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 공지된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초음파 추출법이란 시료에 추출 용매로서 물, C1~C6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를 10배 내지 20배 부피량으로 가한 후, 1 시간 내지 10 시간,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4 시간의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추출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임계 추출법이란 상기 서리태 검은콩 분말과 보조용매로 에탄올(99.5%) 500~700mL를 초임계 유체 추출 반응기(Natex, Autstria)에 넣고 반응기 내의 온도가 65℃, 압력이 450 bar, S/F 비(supercritical fluid ㎏/Feed ㎏) 35가 되는 조건하에서 추출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함초추출물은 함초를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상기 함초추출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함초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함초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함초를 준비한 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함초(Salicornia spp.)는 명아주 과의 한해살이 풀로 국내 자생하는 대표적인 식용 및 약용 염생식물이다. 상기 함초는 오랫동안 민간약으로 시력저하, 소화불량, 위장병, 간염, 신장병 등에 사용되어 왔고, 항산화, 항당뇨, 항암, 항고혈압, 항고지혈증, 피부미백 효과가 있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어오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함초를 혼합용액에 침지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세척된 함초를 혼합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함초가 변색되거나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상기 혼합용액은 포도즙, 레몬 과즙 및 죽염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상기 포도즙은 혈전 방지 및 고혈압, 동맥경화 및 심장질환 등 성인병 예방에 좋고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주며, 상기 레몬 과즙은 비타민 C의 함량이 많고 산미가 강하며 피부건강, 피로회복, 감기예방, 두통 등에 효능이 좋으며, 상기 죽염수는 상기 함초를 살균하여 쉽게 부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몬 과즙과 죽염수는 함초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상기 혼합용액은 포도즙 1 중량부, 레몬 과즙 1 중량부 및 죽염수 8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고, 상기 죽염수는 농도가 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세척된 함초를 혼합용액 침지시킨 후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유지시켜 진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혼합용액에 침지된 함초를 꺼낸 후 상기 함초를 수증기로 증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포도즙, 레몬 과즙 및 죽염수의 성분이 침투된 함초를 계피가루 및 설탕의 혼합물과 혼합한 후, 증숙기에서 찌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단계에서 상기 계피가루 및 설탕은 계피가루 20 내지 30 중량부 및 설탕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증숙기에서 120 내지 140℃의 수증기로 20 내지 4O분 동안 가열하여 찜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계피가루는 면역력을 높이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혈관질환 예방에도 도움을 주며 식중독 예방 및 살균, 살충 효과가 있으며, 상기 설탕은 침지된 함초의 표면 윤기 및 당도를 증진시키고 방부 효과가 있어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증숙된 함초를 분쇄한 후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증숙된 함초를 입자가 큰 상태로 분쇄한 후 건조함으로써 상기 함초의 건조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함초를 0.5 내지 2mm의 크기로 분쇄한 후, 상기 분쇄된 함초를 25 내지 35℃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함초를 추출하여 함초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건조된 함초의 추출은 열수 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 공지된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초유분말은 초유를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상기 초유는 포유동물이 분만 후 1주일 이내에 분비하는 유즙을 말하며, 최근에는 분만 후 48~72시간 이내에 분비하는 유즙을 초유로 정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48시간 이내에 분비되는 초유 속에는 기능성 물질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화학적으로 젖소 초유는 매우 복잡한 액상의 물질로서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비타민, 미네랄 등이 풍부한데, 갓 태어난 송아지에게 영양소를 공급하는 풍부한 에너지원이며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방어, 미성숙한 장관의 발달, 각종 장기와 조직의 성장, 면역체계의 발달 등에 관여하는 면역조절인자, 생리활성인자, 항균인자, 성장호르몬, 성장인자, 세포분열 활성인자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면역적, 생리활성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물질과 인자들은 주로 초유 유장(whey)에 함유되어 있으며, a-lactalbumin, b-lactoglobulin이 70~80%를 차지하고 이외의 단백질 성분들은 serum albumin, lactoferrin, immunoglobulin, growth factor, lysozyme, 미량의 bioactive factor 등이며 각각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Korean J. Food Sci. Technol. Vol.34, No.4, pp.694~699 (2002)).
연구에 따르면, 죽상동맥경화증 및 심혈관 질환은 변경된 면역과 관련이 있으며, 심장 및 혈관 조직이 손상되면 항체가 생성되어 면역계가 더욱 손상되며, 여러 연구에서 클라미디아 감염성 폐렴 등은 죽상 경화성 병변의 초기 단계 활성화 및 발달 원인으로 중점을 두고 있다. 소 초유의 면역인자는 이 박테리아와 싸우는데 도움이 되며, 특히 초유에 함유된 프롤린-리치-폴리펩타이드(proline-rich-polypeptide)는 심근합병증으로 진단된 환자에 대해 심근 보호 효과를 갖는 것으로 예상되며, 면역 반응을 조절하여 손상된 혈관의 콜레스테롤 침착을 억제하고, 성장인자는 심장 세포의 복구 및 재생의 촉진, 측부 순환(collateral circulation)을 위한 새로운 관상동맥 혈관 재생을 촉진한다.
또한, 혈압조절 기능과 관련하여, 초유에 존재하는 펩타이드는 레닌-안지오텐신 계에 통합적으로 관여하는 효소인 안지오텐신 I-전환효소(ACE)를 억제하여 혈액의 부피를 낮춤으로서 혈압을 낮추고 심장의 산소소모량을 감소시켜 항 고혈압 및 심혈관질환 개선 효능이 있음을 연구결과로 보고된 바 있다.
최근 연구에서 심근경색 쥐(rat) 모델 대상 연구에서 28일간 초유 섭취 후 지질과 산화(항산화)의 억제 및 심장 손상 지표물질(CKMB, LDH)의 감소를 통해 심장 조직 손상 보호 효능이 관찰되었으며, 심부전 치료제(ACE 억제제, 혈압조절제 enalapril)와 복합 섭취 시 그 효능이 더욱 증진됨을 확인되었다(Journal of pharmacology and toxicology 9(1):37-45, 2014).
또한, 상기 초유에는 Insulin-like Growth Factor-1(IGF-1)이 함유되어 있는데, IGF-1은 전체적인 성장을 촉진하며, 세포 성장과 증폭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초유분말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초유분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초유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소 초유를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소 초유에 효소를 혼합한 후 보관하여 효소 분해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준비된 소 초유에 효소를 혼합한 후 상기 효소가 혼합된 소 초유를 36 내지 38℃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효소 분해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효소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공지된 프로테아제(Protease) 및 자일라나제(Xylanase)가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프로테아제(Protease)로는 키모트립신(chymotrypsin)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키모트립신은 단백질 분해를 일으키는 소화 효소이다.
즉, 상기 키모트립신은 단백질 분해를 일으키는 소화 효소로 펩티드 결합을 끊는데, 상기 키모트립신은 포유동물과 다른 생물체의 소화계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로 작용한다. 상기 키모트립신의 기질로는 트립토판, 티로신, 페닐알라닌, 류신, 메티오닌이 있으며 이들의 카복시 말단을 잘라낸다. 다른 단백질 분해효소와 같이 펩티드 결합을 끊는 반응을 일으킨다.
또한, 상기 자일라나제(Xylanase)는 자일란(xylan)을 자일로올리고당(xylo-oligosaccharide)나 자일로스(Xylose)로 가수분해하는 효소로서 바이오에너지, 식품, 섬유, 제지 및 펄프 산업에 사용되고 있는 효소이다.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생물자원인 식물성 섬유소를 분해하고 당화하여 바이오에탄올 생산하는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고급 용지의 생산 및 폐지재생, 과일음료 및 맥주의 혼탁물 제거, 커피와 식물성 기름 및 전분의 추출 그리고 단위동물의 사료이용 효율 증대와 같은 용도로 이미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효소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계에서 상기 효소는 상기 준비된 소 초유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키모트립신과 같은 프로테아제(Protease) 0.01 내지 0.03 중량부 및 자일라나제(Xylanase) 0.008 내지 0.012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효소 분해된 소 초유에 배양액 및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발효액을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유산균으로는 젖산균(Lactobacillales),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es)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지된 유산균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배양액은 펩톤, 맥아추출물(Malt extract), 시트르산나트륨(Sodium citrate), 제2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dibasic), 글루코스(Glucose) 및 증류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양액은 펩톤 15 내지 25 중량부, 맥아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시트르산나트륨 0.5 내지 1.5 중량부, 제2인산칼륨 0.1 내지 0.3 중량부, 글루코스 1 내지 3 중량부 및 증류수 100 내지 2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양액에서 상기 펩톤은 단백질을 공급해주는 질소원으로서 미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을 공급해 주며, 상기 맥아추출물은 각종 미네랄, 비타민 B군,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어 미생물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상기 시트르산나트륨은 배양액의 pH를 조절하여 미생물의 성장에 최적화된 상태를 유지해 주는 무기질로, 영양을 공급해 줄 수 있고, 상기 글루코스는 유산균이 당을 대사하여 유기산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성분으로 기능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발효액이 혼합된 소 초유를 발효시켜 소 초유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발효는 상기 발효액이 혼합된 소 초유를 38 내지 42℃의 온도에서 1 내지 3일 동안 보관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소 초유 발효물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동결 건조한 후 분쇄하여 초유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공지의 여과기를 이용하여 소 초유 발효물을 여과함으로써 상기 소 초유 발효물에 잔류하는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여과된 소 초유 발효물을 -40℃ 내지 -30℃ 온도의 범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동결 건조한 후 분쇄하여 초유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나트륨(Polydeoxyribonucleotide Sodium)은 손상된 조직의 염증을 완화하고 세포 재생을 촉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나트륨(Polydeoxyribonucleotide Sodium)은 아데노신 수용체와 상호 작용하여 혈관 내피 성장인자의 발현을 촉진시켜 상처 회복을 증진시키고 상피 세포의 성장을 증진시키며 세포외기질의 성숙을 촉진시키고 미세혈관의 밀도를 증가시켜서 혈관신생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필린(Aminophylline)은 PDE(포스포다이에스터라아제Phospho Di Esterase) 억제제로 기능하고, 지질 분해를 촉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는 지방세포 파괴 후 림프액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아미노필린과 함께 사용되면 아미노필린의 방출을 조절하여 부종 제거 및 순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L-카르니틴(L-carnitine)은 지방산과 결합하여 에너지로 운반해 활용하고 지방산은 피드백을 억제하며 ATP를 분비하여 지방분해 효소 활동을 증가시키며 중성지방의 가수분해를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카페인(Caffeine)은 PDE(포스포다이에스터라아제(Phospho Di Esterase)) 억제제로 기능하고, 지방 분해를 촉진할 수 있다.
상기 아스코르브산(Vitamin C)은 피부, 골격, 혈관, 연골 등의 결합 조직을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인 콜라겐의 합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체 내에서 여러가지 효소반응의 조효소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아스코르브산(Vitamin C)은 소장에서 철분을 환원형으로 전환시켜서 헤모글로빈에 결합되어 있지 않은 식물성 철분의 흡수를 높이고 염증이나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 1,2-헥산디올(1,2-Hexanediol)은 용제(Solvent)로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용제(Solvent)는 수분감, 보습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화장료에 포함되는 각종 조성물들을 효과적으로 용해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제수(Water)와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은 습윤제(Humectant)로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습윤제(Humectant)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보존시켜 보습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는 증점제(Viscosity Increasing Agent)로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증점제(Viscosity Increasing Agent)는 화장료의 점도를 증가시키거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는 계면활성제(Surfactants-Emulsifying Agent)로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계면활성제(Surfactants-Emulsifying Agent)는 화장료에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포함되는 것으로, 유화제 또는 가용화제 등의 역할을 하고, 화장료의 분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황금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폴리솔베이트20(Polysorbate 20),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Acetylated Hyaluronate) 및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Hydrolyzed Hyaluronic Acid)는 스킨컨디셔닝제(Skin-Conditioning Agent)로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스킨컨디셔닝제(Skin-Conditioning Agent)는 화장료의 기능성 및 미용효과를 향상시키고 영양, 진정·트러블 개선, 미백 등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Glycerin)은 pH 조절제(pH Adjuster)로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pH 조절제(pH Adjuster)는 화장료의 최종 pH를 화장품 법규상에서 규정하고 있는 범위 내로 조절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황유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대한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난황유 0.5 중량부, 캥거루 발톱 추출물 0.3 중량부, 초록입홍합 오일 0.2 중량부, 서리태 검은콩 추출물 0.08 중량부, 함초추출물 0.1 중량부, 초유분말 0.1 중량부,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나트륨(Polydeoxyribonucleotide Sodium) 0.1 중량부,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0.1 중량부,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0.08 중량부, L-카르니틴(L-carnitine) 0.07 중량부, 카페인(Caffeine) 0.08 중량부, 아스코르브산(Vitamin C) 0.08 중량부, 1,2-헥산디올(1,2-Hexanediol) 2 중량부, 정제수(Water) 35 중량부,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 0.008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0.01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0.01 중량부, 황금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0.1 중량부,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0.1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0.3 중량부, 폴리솔베이트20(Polysorbate 20) 0.01 중량부,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Acetylated Hyaluronate) 0.003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Hydrolyzed Hyaluronic Acid) 0.003 중량부 및 글리세린(Glycerin) 0.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
실시예와 동일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화장료를 제조하였는데, 비교예에서는 난황유, 캥거루 발톱 추출물 및 초록입홍합 오일을 포함하지 않고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1. 항균력 평가 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의 항균력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항균력 평가 실험에서는 공시균으로 여드름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ATCC 6919)를 사용하였다.
여드름균을 각각 BHI 브로스(broth)에 접종하여 전배양한 후 각각의 조성물이 5% 함유된 멸균된 새 BHI 브로스 100ml에 1% 농도로 접종한 다음 혐기성 배양기 내에서 2일간 배양한 후 균수를 측정하였다.
구분 여드름균(P.acnes)
접종균 농도(cfu/ml) 배양후 균농도(cfu/ml)
실시예 7.35 x 105 2.42 x 102
비교예 7.35 x 105 6.38 x 104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는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항산화활성 실험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를 시료로 이용하여 라디칼 소거 활성능을 측정하였다.
시료의 항산화 활성(electron donation ability, EDA%)은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2mL에 0.2mM의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용액 2mL를 혼합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라디칼 소거 활성능은 시료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라디칼 소거 활성능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대조구의 시료로 BHT(합성산화방지제)를 이용하였다.
라디칼소거활성능(%) = (1 - 시료첨가구의 흡광도/무첨가구의 흡광도)×100
구분 라디칼소거활성능
실시예 41.5 ± 0.58
대조구 58.3 ± 0.51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조구로 사용된 통상적인 합성산화방지제의 라디칼 소거능 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는 활성산소 및 자유라디칼로부터 피부를 개선하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3. 피지분비 억제 효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가 갖는 피지분비(sebum excretion) 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피지 분비 억제 효과는 15 내지 25세의 지성 피부를 가진 여성과 남성 각각 30명을 대상으로 각 10명씩 3군으로 나누어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를 아침과 저녁에 1일 2회씩 얼굴에 도포하게 한 후, 5일 경과한 시점에 피부 유수분 측정기를 이용해 얼굴의 피지 분비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실험은 23℃ 및 상대 습도 42%의 항온, 항습 조건에서 이루어졌으며, 피지분비량을 기본값으로 삼고,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를 도포하도록 한 후, 피지분비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피지억제 효과를 평가하고, 초기값 대비 변화한 피지 분비량을 하기의 [식 1]을 이용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각 군의 평균값)를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단, St=0은 도포 전 초기 피지 분비량을 나타내는 것이고, St=i은 도포 후 5일 후 피지 분비량을 나타내는 것임).
대조구로 화장료를 도포하지 않은 피험자의 피지분비(sebum excretion) 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식 1]
Figure pat00001
구분 5일 경과 후 피지분비 억제율(%)
실시예 74
비교예 38
대조구 4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는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에 비해 피지분비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염증 완화 효과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에 각각 대한 염증 완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마크로파지(Raw 2647 mouse cell)를 96-well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각 well 당 4 × 105 cells씩 분주한 후 1,000μg/㎖의 농도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조성물을 35℃, 5% CO2 조건에서 20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후, 상층액을 취하여 sandwich ELISA 방법으로 TNF-α의 양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TNF-α assay
실시예 비교예
TNF-α 발현율(%) 64.2 41.8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는 비교예에 비해 높은 TNF-α 유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의 경우 TNF-α 생성 유도로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면역증강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5. 피부 탄력 및 보습 개선 실험
20세 내지 50세의 여자 20명에 대하여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를 하루에 1회씩 2주 동안 얼굴에 도포한 후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피부 탄력 및 보습 개선에 대하여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평가는 1점에서 5점 스케일(scale)의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좋은 것을 의미한다.
구분 사용 전 사용 후
피부 보습 2.2 3.6
피부 탄력 2.1 3.1
피부 주름 1.8 2.3
피부 잡티, 색소 침착 2.3 2.4
피부 톤 2.2 3.3
모공 2.5 2.6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를 하루에 1회씩 2주 동안 얼굴에 도포한 후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실험자 중 16명이 피부 탄력 및 보습성이 향상되었다고 응답을 하였으며, 그 중 6명은 월등하게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6. 피부 개선에 대한 육안 평가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에 대한 피부 개선에 대한 육안 평가를 진행하였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황유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26세 여성에게 도포하기 전(도 1a)과, 2개월 동안 도포한 후(도 1b)의 피부상태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황유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41세 여성에게 도포하기 전(도 2a)과, 2개월 동안 도포한 후(도 2b)의 피부상태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황유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32세 여성에게 도포하기 전(도 3a)과, 2개월 동안 도포한 후(도 3b)의 피부상태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황유를 포함하는 화장료는 사용 후 피부가 맑게 되고 깨끗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3)

  1. 계란 또는 오리알을 준비한 후 물에 삶고,
    상기 삶아진 계란 또는 오리알의 껍질 및 난백을 제거한 후 난황을 분리하여 준비하며,
    상기 준비된 난황을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1차 건조하고,
    상기 1차 건조된 난황을 분쇄하여 분말화하여 난황분말을 제조한 후, 상기 난황분말을 120 내지 140℃ 온도의 열풍을 1 내지 3시간 동안 가하여 줌으로써 2차 건조하며,
    상기 2차 건조된 난황분말에 효소와 산을 혼합한 후 상기 효소 및 산이 혼합된 난황분말을 38 내지 4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효소 분해하되, 상기 2차 건조된 난황분말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프로테아제(Protease) 0.05 내지 0.1 중량부, 자일라나제(Xylanase) 0.005 내지 0.01 중량부, 구연산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아스코르빈산 0.01 내지 0.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효소 분해된 난황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유산균 배양액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40 내지 42℃의 온도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발효하여 난황분말 발효물을 제조하며,
    상기 난황분말 발효물을 초임계추출법으로 추출하여 난황유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유의 제조방법.
  2. 제 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유.
  3. 난황유 0.1 내지 1 중량부, 캥거루 발톱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 초록입홍합 오일 0.1 내지 0.3 중량부, 서리태 검은콩 추출물 0.05 내지 0.1 중량부, 함초추출물 0.08 내지 0.12 중량부, 초유분말 0.08 내지 0.12 중량부,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나트륨(Polydeoxyribonucleotide Sodium) 0.08 내지 0.12 중량부,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0.08 내지 0.12 중량부,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0.05 내지 0.1 중량부, L-카르니틴(L-carnitine) 0.05 내지 0.1 중량부, 카페인(Caffeine) 0.05 내지 0.1 중량부, 아스코르브산(Vitamin C) 0.05 내지 0.1 중량부, 1,2-헥산디올(1,2-Hexanediol) 1.5 내지 2.5 중량부, 정제수(Water) 30 내지 40 중량부,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 0.005 내지 0.01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0.008 내지 0.012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0.008 내지 0.012 중량부, 황금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0.05 내지 0.15 중량부,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0.05 내지 0.15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0.1 내지 0.5 중량부, 폴리솔베이트20(Polysorbate 20) 0.008 내지 0.012 중량부,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Acetylated Hyaluronate) 0.001 내지 0.005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Hydrolyzed Hyaluronic Acid) 0.001 내지 0.005 중량부 및 글리세린(Glycerin) 0.1 내지 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화장료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유를 포함하는 제품.
KR1020210050687A 2021-04-19 2021-04-19 난황유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난황유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20220145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687A KR20220145932A (ko) 2021-04-19 2021-04-19 난황유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난황유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687A KR20220145932A (ko) 2021-04-19 2021-04-19 난황유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난황유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932A true KR20220145932A (ko) 2022-10-31

Family

ID=8380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687A KR20220145932A (ko) 2021-04-19 2021-04-19 난황유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난황유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59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658B1 (ko) * 2024-01-04 2024-03-19 주식회사 제이에스뷰티 안티에이징 효과를 가지는 난황유를 사용한 바디워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972B1 (ko) 1999-11-30 2002-02-02 이경용 난황유의 제조방법
KR20100032675A (ko) 2008-09-18 2010-03-26 김모정 난황유를 포함하는 치질 치료용 좌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88586B1 (ko) 2014-09-26 2016-12-21 김신수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972B1 (ko) 1999-11-30 2002-02-02 이경용 난황유의 제조방법
KR20100032675A (ko) 2008-09-18 2010-03-26 김모정 난황유를 포함하는 치질 치료용 좌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88586B1 (ko) 2014-09-26 2016-12-21 김신수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658B1 (ko) * 2024-01-04 2024-03-19 주식회사 제이에스뷰티 안티에이징 효과를 가지는 난황유를 사용한 바디워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002B1 (ko) 피부 미백, 주름개선 및 두피 건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8401B1 (ko) 화장료용 안료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JP7315986B2 (ja) ドクダミ成分を含む頭皮健康改善用スプレー組成物
JP2007306898A (ja) 冬虫夏草を用いた機能性食品とその製造方法
KR102235334B1 (ko) 전복, 굴껍질을 이용한 칼슘분말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칼슘분말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화장료, 의약품
WO2005030235A1 (ja) 薬用人参の加工方法及び組成物
KR102323416B1 (ko) 녹각 콜라겐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녹각 콜라겐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58623B1 (ko)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127254B1 (ko)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45932A (ko) 난황유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난황유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JP2006219432A (ja) 肌荒れ防止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化粧料、飲料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552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215254B1 (ko) 손상 모발 개선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1978698B1 (ko) 양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관리 화장료 조성물
KR102326403B1 (ko) 막창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막창
KR102041867B1 (ko) 오크라, 퀴노아, 석류, 들깨, 편백 추출 혼합물과 프로폴리스 및 합성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2356517B1 (ko) 생약재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KR102258166B1 (ko) 두피 건강 개선용 헤어 샴푸 조성물
KR102432923B1 (ko)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KR20190108011A (ko) 김치유산균이 활성화된 생막걸리 제조키트
KR102266968B1 (ko) 염색전용 트리트먼트 조성물
KR102153476B1 (ko) 유리 시스테아민을 포함하는 펌제
KR20220112888A (ko) 금화규 유래 콜라겐아미노산을 이용한 기능성 콜라겐 조성물
KR101960757B1 (ko)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