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021B1 - Mitochondrial STAT3 발현 유도된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면역질환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Mitochondrial STAT3 발현 유도된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면역질환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021B1
KR102627021B1 KR1020200151564A KR20200151564A KR102627021B1 KR 102627021 B1 KR102627021 B1 KR 102627021B1 KR 1020200151564 A KR1020200151564 A KR 1020200151564A KR 20200151564 A KR20200151564 A KR 20200151564A KR 102627021 B1 KR102627021 B1 KR 102627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mitochondria
zinc
composition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333A (ko
Inventor
조미라
박성환
이선영
문정현
이아람
나현식
조근형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60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0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C12N5/0667Adipose-derived stem cells [ADSC]; Adipose stromal stem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05Inorganic components
    • C12N2500/10Metals; Metal chelators
    • C12N2500/20Transition metals
    • C12N2500/22Zinc; Zn chel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ell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ir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연이 처리된 줄기세포로부터 분리된 미토콘드리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면역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골관절염 질환의 통증 및 증상을 완화시키고 TH17 세포와 Treg 세포를 동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Mitochondrial STAT3 발현 유도된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면역질환 치료용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IMMUNE DISEASES COMPRISING MITOCHONDRIAl STAT3 EXPRESSION-INDUCED MITOCHONDRIA}
본 발명은 아연이 처리된 줄기세포 유래 미토콘드리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면역과민반응으로 인한 질환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러한 질환들의 발생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 규명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현재 과도한 면역반응에 의한 질환의 치료방법으로는 면역억제제를 단독 또는 병용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에 의해 야기되는 각종 증상을 완화 내지 감소시키는 것이다.
면역억제제란 항원의 작용에 대하여 숙주가 항체를 만드는 능력(체액성 면역반응) 또는 세포성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능력을 저하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물질들을 말한다. 이러한 면역억제제는 장기이식분야 뿐만 아니라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등과 같은 자가면역질환과, 아토피, 알러지 등의 피부과민 반응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우수한 면역억제제는 면역반응의 불균형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하고,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장기간 치료시에 질환의 재발 발생 빈도가 낮아야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면역억제제로는 사이클로스포린 A와 FK506 등이 있는데, 이들은 복잡한 화학구조를 가진 천연물 유래의 화합물로서 원료 수급의 측면에서 고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어 비경제적이고, 장기투여로 인해 각종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낮은 독성 및 면역관용 유도와 함께 경제적인 생산이 가능한 새로운 면역억제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각종 병원체에 대한 생체 방어 시스템으로 면역계에서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세포군의 하나로 T 세포가 있다. T 세포는 인체의 흉선에서 생성되며 일련의 분화 과정을 거치면서 고유의 특성을 지닌 T 세포로 분화하게 되는데, 분화를 완료한 T 세포는 그 기능에 따라 크게 1형 보조 세포(Th1)와 2형 보조 세포(Th2)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Th1 세포의 주된 기능은 세포 매개성 면역에 관여하고, Th2 세포는 체액성 면역에 관여하며, 면역계에서 이러한 두 세포 집단은 서로 과 활성화되지 않도록 서로 견제를 통해 면역계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면역질환의 대부분은 이러한 두 가지 면역 세포간의 불균형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Th1 세포의 활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자가면역질환이 발생할 수 있고, Th2 세포의 활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과민반응에 의한 면역질환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Th1 세포의 분화에 대한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Th1 세포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그룹인 면역조절 T 세포(Treg)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이를 이용한 면역질환의 치료에 대한 연구가 대두되고 있는데, Treg 세포는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된 면역세포의 기능을 억제하여 염증 반응을 제어하는 특성이 있어, Treg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통해 면역질환을 치료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Treg 세포 이 외에 T 세포의 분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또 다른 그룹으로 Th17 세포가 있는데, Th17 세포는 미분화 T세포의 분화 과정에서 Treg 세포의 분화와 유사한 과정을 거치며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Treg 세포와 Th17 세포의 분화는 공통적으로 TGF-β의 존재 하에서 이루어지지만, Treg 세포의 경우 IL-6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반면, Th17 세포의 경우에는 TGF-β와 함께 IL-6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분화를 한다. 또한, 분화된 Th17 세포는 IL-17을 분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17 세포는 Treg 세포와는 달리 면역질환에서 보이는 염증반응의 최전방에서 관여하여 염증 반응의 신호를 최대화시켜 질병의 진행을 가속화시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그러므로 자가면역질환 중 Treg 세포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자가면역질환의 경우, Th17 세포 활성의 억제를 표적으로 한 자가면역질환의 치료제 개발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면역질환치료제로는 T 세포에서의 신호변환 경로를 차단하는 면역 억제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면역억제제들은 독성, 감염, 임파종, 당뇨병, 진전(tremor), 두통, 설사, 고혈압, 오심, 신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T 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방법을 통해 면역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이외에도 면역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의 양을 조절하는 치료법 및 면역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을 표적으로 하는 항체를 이용한 치료법이 개발 중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실제적으로 임상실험을 거쳐 환자들에게 적용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야 하고, 항체를 이용하는 방법은 항체 제작 과정에서 너무 많은 비용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23265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는 아연이 처리된 중간엽줄기세포(MSC)로부터 분리된 미토콘드리아의 투여에 의해 골관절염 질환의 통증 및 증상이 완화되고 TH17 세포와 Treg 세포가 동시 조절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아연이 처리된 줄기세포 유래 미토콘드리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면역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및 아연이 처리된 줄기세포 유래 미토콘드리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연이 처리된 줄기세포 유래 미토콘드리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치료가 필요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연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줄기세포를 배양한 후, 배양물로부터 미토콘드리아를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아연이 처리된 줄기세포 유래 미토콘드리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골관절염의 통증을 경감시키고 증상을 완화시키며 관절 손상이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연골세포의 염증성 세포 사멸을 억제하여 골관절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연 처리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골 관절염 동물모델의 통증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연 처리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연골손상 억제 능력을 확인한 CT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연 처리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TH17/Treg 세포 동시 조절 능력을 확인한 분석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세포와 미토콘드리아의 단백질 발현도를 분석한 웨스턴 블롯팅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연 처리 MSC 투여에 의한 콘드로사이트 세포 내 염증성 세포 사멸 억제 조절 효과를 확인한 분석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아연이 처리된 줄기세포 유래 미토콘드리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미토콘드리아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으며,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지방 등의 잉여조직의 세포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토콘드리아는 면역질환, 예를 들어 골관절염 환자의 체세포, 생식세포 및 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줄기세포는 중간엽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역분화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 골수줄기세포, 신경줄기세포, 윤부줄기세포 및 조직 유래 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중간엽줄기세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면역질환 환자의 미토콘드리아의 주입으로 면역거부반응의 확률을 줄일 수 있도록 면역질환 환자 본인으로부터 분리된 미토콘드리아를 주입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면역질환은 자가면역질환 또는 염증성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자가면역질환"은 자기항원에 대한 생체의 무반응을 면역학적 무반응성(immunologic unresponsiveness) 또는 관용(tolerance)이라 하며, 이러한 자기관용을 유도하거나 계속 유지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생기게 되면 자기항원에 대하여 면역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자신의 조직을 공격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과정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염증성 질환"이란 염증유발인자 또는 방사선조사 등 유해한 자극으로 인해 인체 면역체계를 과도하게 항진시켜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interleukin-1), IL-6,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din), 루코트리엔(luecotriene) 또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와 같은 염증유발물질(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을 말한다.
상기 면역질환은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척추관절병증, 염증성 장질환, 건선관절염, 통풍, 세균성 관절염, 소아기 류마티스관절염, 루푸스, 경피증, 다발성 경화증, 섬유근통, 다발성 근염, 피부근염, 베체트병, 라이터 증후군, 라임 관절염, 유착 관절낭염, 오십견, 힘줄 활막염, 팔꿈치머리 주머니염, 드쿼베인 힘줄윤활막염, 재발류마티스, 류마티스 다발근육통증, 성인형 스틸병, 자가면역 혈구감소증, 자가면역 심근염, 아토피피부염, 천식, 일차성간경변, 굿파이처 증후군, 자가면역 뇌수막염, 쇼그렌 증후군, 애디슨병, 원형 탈모증, 자가면역성 간염, 자가면역성 이하선염, 크론병,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이영양성 수포성 표피박리증, 부고환염, 사구체 신염, 그레이브스병, 길랑바레 증후군, 하시모토병, 용혈성 빈혈, 다발성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심상천포창, 건선, 류마티스열, 유육종증, 피부 경화증, 척추관절증, 갑상선염, 혈관염, 백반증, 점액수종, 악성빈혈, 미토콘드리아 관련 증후군 및 궤양성 대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골관절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치료"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용어가 적용되는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역전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그 진행을 억제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원에서 사용된 상기 치료란 용어는 "치료하는"이 상기와 같이 정의될 때 치료하는 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포유동물에 있어서 면역질환의 "치료" 또는 "치료요법 "은 하기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 면역 질환의 성장을 저해함, 즉, 그 발달을 저지시킴,
(2) 면역 질환의 확산을 예방함, 즉, 전이를 예방함,
(3) 면역 질환을 경감시킴.
(4) 면역 질환의 재발을 예방함, 및
(5) 면역 질환의 증상을 완화함(palliating).
상기 조성물은 Th17의 활성을 저해하고 Treg를 활성화시키고, 연골세포(chondrocyte)의 염증성 세포 사멸을 억제하여 골관절염을 비롯한 면역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면역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 등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를 들면,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담체 및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과 같은 비경구 투여용 담체 등이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용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주사용 제형으로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다. 주사용 제형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성분을 식염수 또는 완충액에 용해시켜 주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분말, 과립, 정제, 환약 및 캡슐 등이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치료가 필요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상기 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치료적 유효량으로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개체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개체의 연령, 체중, 일반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조성물의 유효량은 전술한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체는 임의의 포유동물에 적용가능하며, 상기 포유동물은 인간 및 영장류뿐만 아니라, 소, 돼지, 양, 말, 개 및 고양이 등의 가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연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줄기세포를 배양한 후, 배양물로부터 미토콘드리아를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아연이 처리된 줄기세포 유래 미토콘드리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아연에 의해 줄기세포 유래 미토콘드리아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양과 기능과 관련한 COX4가 증가하고, 미토콘드리아의 기능강화와 세포사멸을 억제한다고 알려진 STAT3가 증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아연 처리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의 제조
골관절염 환자의 지방 조직을 잘게 자르고 100um 필터로 조직 부산물을 걸러주고, 4℃에서 3분간 200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위에 뜬 노란색 지방만을 수거하여,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를 이용하여 조직을 하나의 세포단위로 분리시켰다. 한 시간 후에, 4℃에서 3분간 200g을 원심분리하여 가라앉은 펠렛만 남기고 세척하고 40um 필터로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포는 10% FBS를 포함하는 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황화아연은 10nM 의 농도로 3일 동안 세포배지에 함께 첨가하여 처리하였다. 배양물을 4℃에서 3분간 200g으로 원심분리한 후, 펠렛은 IBM buffer에 현탁하고 Homogenizer를 이용하여 세포막을 터트렸다. 그런 다음 미토콘드리아 분리 키트를 사용하여 원심분리하여 미토콘드리아 펠렛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아연 처리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의 골관절염의 치료 효과
본 발명자들은 아연 처리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의 골관절염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골관절염이 유발된 동물모델에 상기 벡터를 주입한 후 치료 효과를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동물모델에게 MIA 유도 후, 하루 뒤에 MIA 모델의 관절강으로(i.a)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분리한 근육 유래 미토콘드리아를 5ug/100ul의 농도로 주 1회 총 3주 관절강내로 주입하였다. weight bearing 평가는 MIA 유도 후부터 평가하였으며, 주 1회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골관절염이 유도된 동물에 아연 처리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를 주입한 경우 1차 실험 및 2차 실험 모두에서 골관절염 유발 모델인 MIA 그룹에 비해 통증이 감소되었으며, 아연을 처리하지 않은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보다도 더 우수한 통증 감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
실시예 3. 아연 처리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무릎관절 손상 보호효과
골관절염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아연 처리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에 의하여 관절의 손상이 저해되는지를 CT 촬영을 통해 확인하였다.
도 2는 골관절염을 유도하지 않은 랫트(WT), 부형제 처리군(Vehicle), 아연을 처리하지 않은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 처리군(MSC Mito) 및 그리고 아연 처리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 처리군(Zinc MSC Mito)의 4개 군에서 CT를 통해 무릎 관절을 비교한 것으로, WT 에서는 관절이 거의 손상되지 않았지만 부형제 처리군에서는 굉장히 많이 손상된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반면 아연 처리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부형제 처리군에 비해 대비 손상도가 적으며, 아연을 처리하지 않은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 처리군에 비해서도 손상도가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아연 처리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TH17/Treg 세포 조절 효과
골관절염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아연 처리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에 의하여 TH17/Treg 세포가 제어되는지를 분석하였다. MIA 유도 후 3주차에 랫트을 희생하고, 각 랫트의 비장 조직에서 세포를 분리하였으며, Th17, Treg 세포 활성을 유세포 분석하였다. 유세포 분석을 위해서 CD4-PerCP, IL-17 APC, Foxp3-ECD, CD25-FITC 염색하고, 염색된 세포는 유세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연을 처리하지 않은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에 비해 아연 처리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의 관절강 주입에 의해서 IL-17 발현 염증성 Th17 세포의 활성이 비장 조직 내에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3). 이러한 결과는 아연 처리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에 의해 관절 염증뿐만 아니라 전신 면역 시스템 병인 조절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시예 5. 아연 처리 MSC에서의 미토콘드리아의 양 및 기능강화 확인
미토콘드리아의 정량적 정성적 기능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olt 기법을 이용하여 세포와 미토콘드리아 각각의 단백질 발현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연을 처리한 MSC 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양 및 기능과 관련한 COX4 유전자의 증가가 확인되었고, 미토콘드리아의 기능강화와 세포사멸을 억제한다고 알려진 STAT3 역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아연 처리가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의 양을 증가시키고 기능을 강화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6. 아연 처리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에 투여에 의한 연골세포(chondrocyte)의 염증성 세포 사멸 억제 조절 확인
2x104 cell의 연골세포(chondrocyte)에 10ng/ml의 농도의 Il-1b로 자극한 후 각 MSC 유래 미토콘드리아 (5ug)을 처리하여 1일 동안 세포 배양한 후 Annexin V/PI facs 염색을 통해 세포 사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연을 처리한 MSC 가 아연을 처리하지 않은 MSC에 비해 연골세포의 생존률이 증가하고 세포사멸(necroptosis)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황화아연이 처리된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미토콘드리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아연은, 줄기세포 유래 미토콘드리아의 COX4 및 STAT3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상기 COX4 및 STAT3의 발현 증가는, 미토콘드리아의 양 및 기능을 증가시키는 것인,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환자 유래의 줄기세포인 것인,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Th17의 활성을 저해하고 Treg를 활성화시키는 것인,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골세포(chondrocyte)의 염증성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것인,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51564A 2019-11-15 2020-11-13 Mitochondrial STAT3 발현 유도된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면역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627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007 2019-11-15
KR20190147007 2019-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333A KR20210060333A (ko) 2021-05-26
KR102627021B1 true KR102627021B1 (ko) 2024-01-22

Family

ID=76137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564A KR102627021B1 (ko) 2019-11-15 2020-11-13 Mitochondrial STAT3 발현 유도된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면역질환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0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802B1 (ko) 2016-08-26 2019-07-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분비 단백체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265B1 (ko) 2013-08-16 2017-04-0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mTOR/STAT3 신호억제제 처리된 면역조절능을 갖는 간엽줄기세포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EP3747449A4 (en) * 2018-02-02 2021-10-20 Paean Biotechnology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SISTING OF ISOLATED MITOCHONDRIA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802B1 (ko) 2016-08-26 2019-07-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분비 단백체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Molecular and Cellular Cardiology, 제118권, 제169-182면 (2018년)
Stem Cell Research & Therapy, 제10권, 논문번호 232 (2019. 08. 01.)
Stem Cells International, 제2018권, 논문번호 5736535 (2018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333A (ko)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2309B2 (en) Cell therapy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mmune disease comprising mesenchymal stem cells and immunoregulatory t-cells as active ingredient
Gazdic et al. Crosstalk between mesenchymal stem cells and T regulatory cells is crucially important for the attenuation of acute liver injury
Paterson et al. Equine mesenchymal stromal cells and embryo-derived stem cells are immune privileged in vitro
US2021005265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solated mitochondria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KR20150020113A (ko) mTOR/STAT3 신호억제제 처리된 면역조절능을 갖는 간엽줄기세포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EP2941257B1 (en) Disease therapy using a tolerogenic pharmaceutical preparation
CN106659740A (zh) 凋亡小体
CA2566776C (en) Method for ameliorating an inflammatory skin condition
US20200384082A1 (en) Cosmetic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lleviating atopic dermatitis, hair loss, and wounds or reducing skin wrinkles
WO2018235834A1 (ja) 表皮水疱症の治療剤
KR102563524B1 (ko)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Green et al. Cortisone and tumour growth
KR102627021B1 (ko) Mitochondrial STAT3 발현 유도된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면역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659158B1 (ko) 메트포민이 처리된 면역조절능을 갖는 간엽줄기세포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EP4342479A1 (en) Composition containing function-reinforced stem cell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KR102446146B1 (ko) 근육 유래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6341B1 (ko) 비만세포 과립을 처리한 줄기세포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802668B1 (ko) 간독소 유래 지방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의 간 손상 치료 및 간 기능 회복 용도
KR20150059671A (ko) 인간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348920B1 (ko) Ptx-3, timp1 및 bdnf를 발현하는 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94554B1 (ko) 자연살해세포 억제제 및 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조성물
KR20150062817A (ko) 태반의 융모막 또는 와튼제대교질 유래 간엽줄기세포로부터 신경세포 및 유모세포를 분화시키는 방법
Takeuchi et al. Implantation of xenografts into parkinsonian rat brain after portal venous administration of xenogeneic donor spleen cells
KR20220148967A (ko) 미토콘드리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Hannegan et al. Journal of Stem Cell Re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