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668B1 - 간독소 유래 지방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의 간 손상 치료 및 간 기능 회복 용도 - Google Patents

간독소 유래 지방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의 간 손상 치료 및 간 기능 회복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668B1
KR101802668B1 KR1020160111755A KR20160111755A KR101802668B1 KR 101802668 B1 KR101802668 B1 KR 101802668B1 KR 1020160111755 A KR1020160111755 A KR 1020160111755A KR 20160111755 A KR20160111755 A KR 20160111755A KR 101802668 B1 KR101802668 B1 KR 101802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
liver
toxin
derived
hep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준
이상철
김옥희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7Digestive system
    • A61K35/407Liver; Hepatocy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독소 유래 지방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독소에 의해 발생하는 간 손상 예방, 치료 및 간 기능 회복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독소 유래 지방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을 사용하여 간 독소에 의해 손상된 간 조직 내 간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고, 간 세포 재생을 촉진하여 간 손상을 치료할 수 있고, 간 기능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간독소 유래 지방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의 간 손상 치료 및 간 기능 회복 용도{Treatment use of liver failure and recovery use of liver function by liver toxin-induced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 secretome}
본 발명은 간독소 유래 지방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의 간 손상 치료 및 간 기능 회복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간 독소를 처리한 간 세포로부터 획득한 줄기세포 자극인자를 지방유래 줄기세포에 처리하여 간 손상 치료 및 간 기능 회복 효능을 갖는 간독소 유래 지방유래 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기의 일종이며, 최근 간질화 발병과 간질환에 의한 사망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간질환의 추세는 예전까지 B형이나 C형 간염 환자가 많았지만 현재는 구미 지역과 마찬가지로 간염성 간질환보다 알콜 등에 의한 질환 환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여성의 사회 활동이 많아져 여성의 음주 기회 또한 늘어나므로 여성 질환자도 예전에 비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세계적으로 간질환 치료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간질환은 그 원인이 다양하지만, 만성화될 경우 결국 그 원인과는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간섬유증 내지 간경변에 이르게 된다. 간질환은 초기 자각증세가 없어 조기진단이 어렵고, 일반적으로 만성에 이르러서야 발견되기 때문에, 그 치료가 쉽지 않고, 사망률이 높아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비특허문헌 1). 간부전의 경우에도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어 간이식이 유일한 치료 방법인데, 간이식의 경우에는 장기 기증자의 부족, 거부반응, 고비용 등의 다양한 문제점으로 인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간질환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항바이러스 제제를 이용하여 치료를 진행하고 있지만, 최종적으로 손상된 간 기능을 근본적으로 호전시킬 수 있는 효능이 우수한 치료제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한편, 줄기세포는 조직이나 기관의 분화된 세포들 사이에 존재하는 미분화 세포로서, 끊임없이 스스로 증식하는 자가 재생능력(Self Renewal)과 신체 내의 모든 조직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Differentiation to specific tissue)을 가진 만능세포이다.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성체줄기세포로도 나눌 수 있다. 즉, 출생 후부터 우리 몸에 있는 여러 종류의 조직에 존재하는 성체줄기세포(Adult Stem Cell)와 인간 생명의 시초가 되는 수정란에서 유래하는 배아 줄기 세포(Embryonic Stem Cell)의 두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성체줄기세포는 특정한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를 말하는데, 예컨대 골수세포는 혈구세포로, 피부줄기세포는 피부로, 신경줄기세포는 신경세포로만 분화되도록 운명이 정해져 있는 세포이다.
인체유래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를 제외한 성체로부터 얻어지는 줄기세포를 의미하며, 예로서 지방, 골수, 제대혈 및 말초혈액을 포함하는 혈액 및 조직의 기저에서 기원되는 줄기세포를 모두 포함한다. 한편, 다분화능을 나타내는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 중 특히, 지방유래 줄기세포(adipose-derived stem cell; ADSC)는 성체줄기세포의 한 종류로서 골수줄기세포나 제대혈 줄기세포보다 채취하기가 쉽고 대량 배양이 가능하면서도 줄기세포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의료, 미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특허문헌 1). 최근에는, 지방줄기세포 자체보다는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생산되는 배양액 내 다양한 생리활성 인자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여 이를 이용한 다양한 치료제가 개발 중이고(비특허문헌 2), 지방줄기세포에 대한 다양한 배양 조건(저산소 환경 배양, 세포 자극 인자의 처리 등)을 적용하여 배양액을 제조한 후 이의 질환 치료 효과에 대한 실험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지방유래 줄기세포 배양액의 간 손상 치료 용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795708호.
Lieber C. S., 1973, N Engl J Med, 288: 356. Fox et al., 2007, Br. J. Haematol., 137: 491. Chang. J. M. et. al., 1983, Drug and chemical toxicology, 6: 443. Hsiao et al., 2003, J. Agric. Food Chem., 51: 3302. Song et al., 2003, J. Agric. Food Chem., 51: 157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독소 유래 지방유래-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치료용 또는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간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방유래 줄기세포에 대한 다양한 배양 조건을 시험한 결과, 간 치료에 최적화된 간독소 유래 지방유래 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의 제조 조건을 구축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간독소 유래 지방유래 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을 사용하여 간 손상 모델(in vitro 및 in vivo)에서 간 손상 치료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하,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구체예가 도면을 참조로 기재된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특이적 상세사항, 예컨대, 특이적 형태, 조성물 및 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구체예는 이들 특이적 상세 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 및 형태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공정 및 제조 기술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특정의 상세사항으로 기재되지 않는다. "한 가지 구체예" 또는 "구체예"에 대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한 참조는 구체예와 결부되어 기재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표현된 "한 가지 구체예에서"또는 "구체예"의 상황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동일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추가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출원서 내 특별한 정의가 없으면 본 출원서에 사용된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인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독소 유래 지방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독소 유래 지방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 손상 예방, 간 손상 치료 또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간 세포에 간 독소를 처리하여 수득된 줄기세포 자극인자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줄기세포에 처리하여 획득한 간독소 유래 줄기세포 유도 배양액(iSecretome) 또는 그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상기 구체예에서, 상기 줄기세포 자극인자를 포함하는 배양액은 간 독소를 제거하고 간세포를 다시 배양하여 수득하는 것이고, 상기 구체예에서, 상기 간 독소는 상기 간 독소는 사염화탄소 (CCl4), 터셔리-부틸 히드로과산화물(tBHP, tert-butyl hydroperoxide),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티오아세트아마이드(TAA, thioacetamide), 타크린(tacrine), 루브라톡신 B (rubratoxin B) 및 과산화수소 (H2O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간 독소는 0.1 내지 1.0 mM의 농도로 12시간 내지 48시간 처리하며, 상기 줄기세포는 지방유래 줄기세포(Adipose-derived stem cell; ADSC)이며, 상기 조성물은 간 독소에 의해 손상된 간 조직 내 세포사를 억제하고 세포 재생을 증가시키고 염증 발생을 억제하며 알부민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간 세포에 간 독소를 처리하여 수득된 줄기세포 자극인자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줄기세포에 처리하여 획득한 간독소 유래 줄기세포 유도 배양액(iSecretome) 또는 그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손상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상기 구체예에서, 상기 줄기세포 자극인자를 포함하는 배양액은 간 독소를 제거하고 간세포를 다시 배양하여 수득하는 것이고, 상기 구체예에서, 상기 간 독소는 상기 간 독소는 사염화탄소 (CCl4), 터셔리-부틸 히드로과산화물(tBHP, tert-butyl hydroperoxide),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티오아세트아마이드(TAA, thioacetamide), 타크린(tacrine), 루브라톡신 B(rubratoxin B) 및 과산화수소 (H2O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간 독소는 0.1 내지 1.0 mM의 농도로 12시간 내지 48시간 처리하며, 상기 줄기세포는 지방유래 줄기세포(Adipose-derived stem cell; ADS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손상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a) 간 세포에 간 독소를 처리하여 배양하는 단계; (b) 상기 처리된 간 독소를 제거하고 간 세포를 다시 배양하여 줄기세포 자극인자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배양액을 줄기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간독소 유래 줄기세포 유도 배양액(iSecretom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손상 예방, 간 손상 치료 또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였다. 상기 구체예에서, 상기 (a) 단계는 0.1 내지 1.0 mM의 간독소는 12시간 내지 48시간 처리하고, 상기 구체예에서 상기 줄기세포는 지방유래 줄기세포(Adipose-derived stem cell; ADS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손상 예방, 간 손상 치료 또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제형은 주사제, 또는 피부외용제일 수 있다. 피부 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 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중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 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 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 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간은 외부에서 들어온 생체 외 물질로부터 전신을 방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건강에 유익한 영양분뿐만 아니라 독성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다른 장기보다 많아 손상될 확률도 매우 높다. 간은 재생이 우수한 장기이나, 손상이 지속될 경우 간 조직의 일부가 완전히 파괴되고, 그 기능이 저하되어 정상 간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며, 이와 관련된 질환은 간섬유화, 간경화, 간암 등이 있다. 이러한 만성적 간질환은 질환으로써 발병되기 전에 자각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간 손상 정도가 심한 정도가 되어야 자각증상이 나타나고 치료가 이루어지므로 그 치료와 완치가 매우 어렵다. 이에 간 손상 만성화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간세포 및 간 손상 예방 기능성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간 독소"는 간 조직에 손상 또는 질환을 유발하는 물질로서 사염화탄소(CCl4), tBHP(tert-butyl hydroperoxide),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티오아세트아마이드(thioacetamide), 타크린(tacrine), 루브라톡신 B(rubratoxin B) 및 과산화수소 (H2O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사염화탄소는 사이토크롬 P450과 같은 대사효소에 의해 반응하여 자유라디칼인 CCl3가 생성되면 이는 간의 중성지방과 막인지질의 산화를 유발하며, 이는 산호와 결합하여 지질 과산화물을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과산화물에 의해 간의 여러 기능들이 파괴되어 간 조직의 손상을 유발하게 된다(비특허문헌 3).
본 발명에서 "간 손상 또는 간 기능 회복"은 간효소(ALT, AST) 수치의 감소, 간조직 괴사의 억제, 활성산소종의 생성 억제, 지질과산화의 억제, SOD 발현의 감소와 같은 산화적 스트레스의 감소효과, TNF-α, iNOS, COX-2 등 간세포의 염증과 관련된 인자의 감소효과 및 간세포의 아폽토시스 감소효과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간 조직에 대한 H&E 염색 및 마손(Masson) 염색을 실시하여 간 손상에 대한 형태학적 변화를 통해 간 손상 또는 간 기능 회복을 확인할 수 있다.
간 보호 활성 및 간 기능 개선에 관한 연구는 주로 두 가지 경로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진다. 한 가지 경로는 사염화탄소 (CCl4), tBHP(tert butyl hydroperoxide),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티오아세트아마이드 (thioacetamide), 타크린(tacrine), 그리고 루브라톡신 B(rubratoxin B)와 과산화수소(H2O2)와 같은 독성 간독소의 해독반응뿐만 아니라,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카탈라아제(catalase), 그리고 글루타치온 퍼록시다아제 (glutathione peroxidase)와 같은 신체 항산화 방어계 및 phase II 효소계를 함께 평가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경로는 간 손상에 의해 방출된 혈청 글루타메이트 피루베이트 아미노기 전이효소(serum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alanine amino transferase; ALT)와 혈청 글루타메이트 옥살로아세테이트 아미노기전이효소 (serum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aspartate amino transferase; AST, alanine amino transferase; ALT)를 포함하는 혈청조절효소의 수준과 활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시토크롬 P450(Cytochrome P450) 시스템과 관련된 사염화탄소 물질대사인 트리클로로메틸 프리 라디칼(trichloromethyl free radical, CCl3)과 트리클로로메틸퍼록시라디칼 (trichloromethyl peroxy radicals, CCl3OO)같은 자유 라디칼 (free radicals)에 대한 소거 그리고/또는 억제활성은 산화 방지에 대한 세포기관과 세포막에서의 간 보호 활성과 연관 지을 수 있을 것이다 것이다(비특허문헌 4; 비특허문헌 5).
본 발명에서 "발현 수준 측정"은 세포에서 증가 또는 감소되는 폴리펩타이드(또는 단백질) 또는 핵산(또는 mRNA) 등과 같은 생체 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교모세포종 내 BIS(또는 BAG3), SOX2 및 SOX4의 DNA, mRNA, 또는 단백질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의 "mRNA 발현 수준 측정"은 목적하는 유전자의 mRNA 존재 여부와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과정으로서, 이를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역전사 중합효소 반응(RT-PCR), 경쟁적 역전사 중합효소 반응(Competitive RT-PCR),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반응(Real-time RT-PCR), RNase 보호 분석법(RPA: RNase Protection Assay), 노던 블랏팅(Northern Blotting) 또는 DNA 칩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의 "단백질 발현 수준 측정"은 생물학적 시료에서 목적하는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의 존재 여부와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적하는 유전자의 단백질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이용하여 단백질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웨스턴 블랏팅(Western Blotting),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사선면역분석(RIA: Rodioimmunoassay), 방사 면역 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오우크테로니(Ouchterolony) 면역 확산법, 로케트(rochet)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유세포분석(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 단백질 칩(Protein Chip)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지방조직-유래 줄기세포(ADSC)"란, 지방조직에서 분리해 낸 미분화된 성체 줄기세포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ADSC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을 통하여 수득할 수 있다.
지방유래 줄기세포는 성체줄기세포의 한 종류로서 골수줄기세포나 제대혈 줄기세포보다 채취하기가 쉽고 대량 배양이 가능하면서도 줄기세포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의료, 미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방유래 줄기세포는 배아 줄기 세포와는 달리 생체 외에서 배양 시 수명이 매우 짧고 분화능 또한 짧은 기간 동안만 보유된다. 이러한 줄기세포의 제한된 수명은 해당 세포의 활용에 있어 큰 제약이 되고 있다. 한편, 줄기세포를 배양하게 되면 줄기세포는 배양액 내로 다양한 물질들을 분비한다. 이 배양액은 여러 연구에서 상당한 생화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에는 이와 같이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유효물질을 극대화시킨 배양액을 이용한 다양한 용도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현재까지 의약품 및 화장료 조성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인간 유래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Human adipocyte conditioned media extracts)은 지방조직에서 지방을 제거한 세포를 여러 세대 배양해 줄기세포를 분리해 낸 후, 줄기세포 배양액으로부터 줄기세포가 만들어낸 단백질을 얻을 수 있다. 이 단백질 혼합물에는 VEGF(혈관내 피성장인자), TGF(형질전환성장인자), HGF(간세포증식인자), FGF(섬유아세포성장인자), IGF(인슐린유사성장인자) 등 150여 가지의 성장인자(growth factor) 단백질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따라서, 지방유래 줄기세포로부터 다양한 활성 단백질 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배양 방법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조정 배지(conditioned medium, CM)"란, 세포를 세포분열 최성기인 대수성장기에 도달했을 때 무혈청 배지로 교환한 후 배양액만 수거한 배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분열 중인 세포로부터 배지 내에서 추출되어 나오는 성장 인자, 사이토카인을 포함하는 배지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세크리톰(secretome)"이란, 일반적으로 줄기세포에서 분비되거나 표면에 존재하는 분자의 집합으로써, 분비물의 총칭을 의미한다. 세크리톰은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성장인자와 같은 생물활성 펩티드(bioactive peptide)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양액에 포함되어 autocrine, paracrine, endocrine 등의 기능을 통해 세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줄기세포 자극인자"는 줄기세포를 자극함으로써 성장인자의 분비 촉진, 생존율 향상, 손상 부위로의 이동성 향상, 증식속도 향상 또는 줄기세포의 특성 유지 등 줄기세포를 활성화시켜 줄기세포의 활용성을 증대시키는 모든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간 손상 치료 효과 및 간 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간독소 유래 유도 지방유래 줄기세포 배양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간독소 유래 지방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치료 및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간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고, 간 세포 재생을 촉진하여 간 손상을 치료할 수 있으며, 간 기능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도 1은 간 세포(AML12)에 대하여 간 독소인 TAA(Thioacetamide)를 농도 및 시간별로 처리하여 세포 내 단백질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TAA 처리 농도에 따른 AML12 세포의 생존율 및 세포 내 단백질 변화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AML12 세포에 0.25mM TAA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AML12 세포에 TAA를 처리하여 간 독소 자극 간손상 세포주를 만든 후 세포 내 단백질 변화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급성 간손상 동물 모델에서 간독소 유도 지방줄기세포 배양액에 의한 간 기능 회복의 혈청 분석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급성 간손상 동물 모델에서 간독소 유도 지방줄기세포 배양액에 의한 간 기능 회복을 간 조직 염색에 의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급성 간손상 동물 모델에서 간독소 유도 지방줄기세포 배양액에 의한 간 조직 내 염증 감소를 혈청 분석한 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급성 간손상 동물 모델에서 간독소 유도 지방줄기세포 배양액에 의한 간 조직 내 염증 감소를 조직 염색하여 분석한 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급성 간손상 동물 모델에서 간독소 유도 지방줄기세포 배양액에 의한 간 조직의 기능 회복을 조직 염색하여 분석한 결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극특이적 간 세포주
1.1 간독소 자극 조건
정상 마우스 간세포 AML12(ATCC, AmericanTypeCultureCollection, CRL-2254)를 세포배양 디쉬에 2×105 세포를 시딩하여 배양배지(DMEM/F12)에서 배양하였고, 간독소 TAA(Thioacetamide)를 농도 및 시간별로 처리하여 AML12 세포를 자극하였다. 이후 세포의 생존률을 측정하여 세포가 사멸되지 않고 자극되는 TAA 농도 및 처리 시간을 시험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ML12 세포 내 단백질 변성을 일으키지 않고, 간독성 자극을 유도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TAA 농도는 0.25 mM, 처리시간은 24시간으로 설정하였다.
1.2 간독소 자극 세포주 검사
TAA를 처리한 AML12 세포주에 대하여 세포 생존률은 MTT assay를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세포사 및 간 재생 관련 단백질의 변화는 웨스턴 블롯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TAA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률이 감소하였다. 또한, 세포사 관련 단백질인 절단형 PARP, Bim, 및 인산화된 JNK의 양이 증가하였다. 한편, 간 재생 관련인자 HGF와 VEGF의 발현은 감소하였다(도 2).
1.3 간독소 유도 배양액(줄기세포 자극인자를 포함하는 배양액) 제조
실시예 1.1에서 설정한 조건에 따라, AML12 세포에 0.25 mM TAA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에 PBS로 세포를 세척하여 TAA를 제거한 후, 새로운 배지에서 배양하여 간 독소에 의해 손상된 AML12 세포로부터 줄기세포 자극인자(ADSC-stimulating factor)를 포함하는 배양액(AML12 세포 제외)을 획득하였다. 상기 배양액은 ultra-filtration unit(Millipore, amicon-ultra50)을 사용하여 4000×g에서 1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여 농축하였다.
지방유래 줄기세포
2.1 줄기세포 추출
수술실에서 지방조직을 획득하여 일반적으로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에 따라, 세척, 마이싱(micing), 분해(digestion), 중성화, 원심분리 및 여과를 실시하여 지방유래 줄기세포(ADSC, Adipose derived Stem Cell)를 분리하여 배양하였다. 세포의 형태는 유세포 분석기(flow cytometry)에 의해 확인하였다. 이후 계대배양을 실시하여 지방유래 줄기세포(지방줄기세포)를 다량 확보하였다.
2.2 줄기세포 배양액
a.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ADSC Secretome, NCM, Non Conditioned Medium)
지방 줄기세포(5×105)를 무혈청 배지(DMEM, low glucose)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수거하여 ultra-filtration unit을 사용하여 4000×g에서 1시간 동안 원심분리한 후 농축하여 줄기세포가 제거된 지방줄기세포 배양액인 NCM(Non Conditioned Medium)을 제조하였다.
b. 지방줄기세포 유도 배양액 (ADSC iSecretome, Induced Conditioned Medium, iCM)
실시예 1.3에 따라 AML12 세포에 간독소 TAA를 처리하여 획득한 줄기세포 자극인자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지방줄기세포(5×105)에 처리 후 배양하였다. 이후 줄기세포 배양액을 amicon-ultra 필터(Millipore)를 사용하여 4000rpm에서 원심분리하고 3kDa으로 cut-off하여 지방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ADSC iSecretome(Induced Conditioned Medium, iCM)이라 명명하였다. 또한, 줄기세포 자극인자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줄기세포에 처리하였을 경우 웨스턴 블롯 분석을 통해 상기 줄기세포에서 세포 성장에 관련된 인자(ERK, STAT3)의 인산화 증가 및 간세포 성장인자(HGF, Hepatocyte Growth Factor)의 증가를 확인하였다(도 3).
간 손상 세포주
AML12 세포에 TAA를 50mM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간독소 자극 간손상 세포주를 구축하였다. 상기 세포주에 실시예 2.2에 따른 지방 줄기세포 유도 배양액(iCM)을 처리한 후 손상된 간세포의 회복 정도를 확인하였다. 회복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세포 생존률에 대한 MTT assay, 세포사 관련 단백질 및 간 재생 관련 단백질에 대한 웨스턴 블롯을 통해 검사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Con, 식염수) 및 ADSC 배양액(NCM)에 비해 ADSC iSecretome(iCM)는 손상된 간세포 생존률을 크게 증가시켰다(도 4 상단). 또한, 세포사에 관련된 단백질(PARP, Bim, 및 Bax)이 감소하였고 세포 재생 관련 단백질(p-ERK, HGF, VEGF, 및 PCNA)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간 재생 인자 HGF를 억제하는 TGF-β1이 감소하였다(도 4 하단).
간 손상 동물 모델
8주령의 수컷 BALB/c 마우스(샘타코사에서 구입)에 TAA 300 ㎎/㎏을 복강주사하여 급성 간손상 마우스모델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마우스 모델을 3 그룹인 음성 대조군(Con, 33두), ADSC-Secretome(NCM, 28두) 및 ADSC-iSecretome(iCM, 28두)으로 나누고, 꼬리 정맥을 통해 각각 식염수, NCM 및 iCM을 주사하였다. 이후, 시간대 별로 간 손상, 염증 및 간 기능에 대하여 검사하였다.
4.1 간 손상 검사
간 손상은 혈청에 대한 간 효소(AST, ALT) 수치를 검사하여 간 손상 수준을 측정하였고, 간 조직에 대한 H&E 염색 및 마손(Masson) 염색을 실시하여 형태학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TAA에 의한 간 손상시 증가된 ALT 및 AST 수치는 NCM 및 iCM 처리군에서 감소하였는데, 특히 iCM 처리군은 NCM 처리군에 비해 ALT는 50% 이상, AST는 75% 이상 급격히 감소하였다(도 5). 간 조직에 대한 H&E 염색을 통해 iCM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조직 내 세포괴사(Necrosis)가 감소하였고, 마손 염색(Masson Staining)을 통해 iCM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조직 내 콜라겐 침착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6). 상기 결과를 통하여, iCM은 TAA로 인한 간 손상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 염증 변화
NCM 및 iCM을 주사하고 24시간 후에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상기 혈청에 대하여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IL-6) 수준의 변화를 ELISA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염증 발생 및 억제 효과를 검사하였다. 그 결과, iCM 처리는 TAA에 의해 증가된 간 조직 내 염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NCM 처리에 비해 높음을 나타내었다(도 7). 또한, 조직 염색을 통해 TAA에 의해 증가된 간 조직 내 염증 매개 인자의 발현 증가가 NCM 및 iCM 처리에 의해 감소되고, NCM보다 iCM 처리에 의해 더 크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8). 상기 결과를 통하여, iCM은 NCM에 비해 염증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들의 발현을 크게 억제하여 염증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3 간 기능 회복
간 기능 회복 정도는 간에서 발현되는 알부민의 양을 측정하여 검사하였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TAA 처리에 의해 감소된 간 조직 내 알부민 발현이 CM 및 iCM 처리에 의해 다시 회복되었고, iCM의 회복 효과가 NCM에 비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iCM은 NCM에 비해 손상된 간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들을 통하여, 간세포에 간독소를 처리하여 제조한 줄기세포 자극인자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다시 지방줄기세포에 처리하여 간독소 유래 지방줄기세포 유도 배양액(iCM)을 제조하면, 기존에 연구되고 있는 줄기세포 배양액(NCM)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간독소로 인해 손상된 간의 치료 및 기능 회복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하여 손상된 간의 치료 용도, 또는 간의 손상 예방 용도로 사용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모든 참조문헌, 기사, 공보 및 특허 및 특허 출원이 온전히 본 명세서에 참조로 병합되어 있다. 따라서, 하기 청구의 범위의 진의 및 범주는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에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4)

  1. 간 세포에 간 독소를 처리하여 수득된 줄기세포 자극인자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줄기세포에 처리하여 획득한 간독소 유래 줄기세포 유도 배양액(iSecretome) 또는 그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간 독소는 사염화탄소(CCl4), 터셔리-부틸 히드로과산화물(tBHP, tert-butyl hydroperoxide),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티오아세트아마이드 (thioacetamide), 타크린(tacrine), 루브라톡신 B(rubratoxin B) 및 과산화수소 (H2O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 자극인자를 포함하는 배양액은 간 독소를 제거하고 간세포를 다시 배양하여 수득하는 것인,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 독소는 0.1 내지 1.0 mM의 농도로 12시간 내지 48시간 처리하는 것인,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지방유래 줄기세포(Adipose-derived stem cell; ADSC)인,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 독소에 의해 손상된 간 조직 내 세포사를 억제하고 염증 발생을 억제하며 알부민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간 세포에 간 독소를 처리하여 수득된 줄기세포 자극인자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줄기세포에 처리하여 획득한 간독소 유도 줄기세포 배양액(iSecretome) 또는 그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간 독소는 사염화탄소(CCl4), 터셔리-부틸 히드로과산화물(tBHP, tert-butyl hydroperoxide),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티오아세트아마이드 (thioacetamide), 타크린(tacrine), 루브라톡신 B(rubratoxin B) 및 과산화수소 (H2O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간 손상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 자극인자를 포함하는 배양액은 간 독소를 제거하고 간세포를 다시 배양하여 수득하는 것인, 간 손상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삭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간독소는 0.1 내지 1.0 mM의 농도로 12시간 내지 48시간 처리하는 것인, 간 손상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지방유래 줄기세포(Adipose-derived stem cell; ADSC)인, 간 손상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12. (a) 간 세포에 간 독소를 처리하여 배양하는 단계;
    (b) 상기 처리된 간 독소를 제거하고 간 세포를 다시 배양하여 줄기세포 자극인자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배양액을 줄기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간독소 유래 줄기세포 유도 배양액(iSecretom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간 독소는 사염화탄소(CCl4), 터셔리-부틸 히드로과산화물(tBHP, tert-butyl hydroperoxide),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티오아세트아마이드 (thioacetamide), 타크린(tacrine), 루브라톡신 B(rubratoxin B) 및 과산화수소 (H2O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간 손상 예방, 간 손상 치료 또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제 12항에서,
    상기 (a) 단계는 0.1 내지 1.0 mM의 간독소를 12시간 내지 48시간 처리하는 것인, 간 손상 치료 또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지방유래 줄기세포(Adipose-derived stem cell; ADSC)인, 간 손상 치료 또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60111755A 2016-08-31 2016-08-31 간독소 유래 지방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의 간 손상 치료 및 간 기능 회복 용도 KR101802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755A KR101802668B1 (ko) 2016-08-31 2016-08-31 간독소 유래 지방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의 간 손상 치료 및 간 기능 회복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755A KR101802668B1 (ko) 2016-08-31 2016-08-31 간독소 유래 지방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의 간 손상 치료 및 간 기능 회복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668B1 true KR101802668B1 (ko) 2017-11-28

Family

ID=60811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755A KR101802668B1 (ko) 2016-08-31 2016-08-31 간독소 유래 지방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의 간 손상 치료 및 간 기능 회복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7179A (zh) * 2021-12-27 2022-03-01 山东农业大学 鸡胆汁外泌体在治疗鸡肝损伤注射药物中的用途及药物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patol Int. 2015 Apr, 9(2), pp. 310-320
Stem Cell Res Ther. 2015 Apr, 14(6), pp. 75
대한이식학회지. 2016, 30(1), pp. 3-23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7179A (zh) * 2021-12-27 2022-03-01 山东农业大学 鸡胆汁外泌体在治疗鸡肝损伤注射药物中的用途及药物
CN114107179B (zh) * 2021-12-27 2023-11-21 山东农业大学 鸡胆汁外泌体在治疗鸡肝损伤注射药物中的用途及药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1824B2 (en) Method for inducing pluripotent stem cells and pluripotent stem cells prepared by said method
Hendijani et al. Human Wharton's jelly mesenchymal stem cell secretome display antiproliferative effect on leukemia cell line and produce additive cytotoxic effect in combination with doxorubicin
EP4219686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production of stem cell-derived exosomes and increasing stemness
Ma et al.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romal cells ameliorate severe acute pancreatitis in rats via hemeoxygenase-1–mediated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CN109803664A (zh) 用于改善细胞、组织和器官的活力和功能的试剂、组合物和方法
JP6235795B2 (ja) 細胞のリプログラミングのための組成物
KR101802668B1 (ko) 간독소 유래 지방줄기세포 유도 배양액의 간 손상 치료 및 간 기능 회복 용도
Bellei et al. Regenerative Medicine-Based Treatment for Vitiligo: An Overview
KR101897903B1 (ko) 간 섬유화 억제용 조성물
Zhou et al. Protection of the Peritoneal Membrane by Peritoneal Dialysis Effluent‐Derived Mesenchymal Stromal Cells in a Rat Model of Chronic Peritoneal Dialysis
CN111356468A (zh) 包含黃漆木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纤维化疾病的组合物
WO2016018761A1 (en) Mesenchymal stem cells expressing biomarkers that predict the effectiveness of the mesenchymal stem cells for treating diseases and disorders
KR20210052365A (ko)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96886B1 (ko) 편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조정 배지를 포함하는 이식편대숙주 질환 예방 혹은 치료용 조성물
KR102446146B1 (ko) 근육 유래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4049248A (ja) 微小粒子、nk細胞活性化剤、nk細胞の培養方法、活性化nk細胞の製造方法およびnk細胞の活性化方法
CN110393799A (zh) Nrf2激动剂的应用
CN114432430B (zh) 包含野黄芩苷、黄芩苷和/或灯盏花素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EP3950934A1 (en) Method for culturing cell population and use thereof
KR101999842B1 (ko) 지방유래 줄기세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WO2019107440A1 (ja) コレステロール合成促進剤
KR20210087999A (ko) 클로날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7929286A (zh) 氧化苦参碱在制备抗关节软骨退变的药物中的应用
KR102506076B1 (ko) 황산아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및 코엔자임 q를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479833B1 (en)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organ fibr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