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559B1 -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559B1
KR102626559B1 KR1020210037089A KR20210037089A KR102626559B1 KR 102626559 B1 KR102626559 B1 KR 102626559B1 KR 1020210037089 A KR1020210037089 A KR 1020210037089A KR 20210037089 A KR20210037089 A KR 20210037089A KR 102626559 B1 KR102626559 B1 KR 102626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eumhwagyu
immune
wat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2164A (ko
Inventor
정진부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이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이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이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559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금화규 추출물은 세포모델에서 면역증진인자인 산화질소 (NO)의 생성, iNOS, IL-1β, IL-6 및 TNF-α의 발현, 대식세포의 포식작용을 증가시켜 면역증진 효과를 유도함으로써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다.

Description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Hibiscus manihot for immune-enhancement}
본 발명은 금화규(Hibiscus maniho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면역계는 자연저항, 비특이성 면역체계 및 특이성 면역체계로 구분할 수 있다. 자연저항(1차 방어선)이란 미생물을 위시한 모든 침입자들을 그들의 종류에 관계없이 막아내는 해부생리학적 요소들을 말하며, 비특이적 면역(2차 방어선)은 자연저항을 돌파하여 체내로 들어온 침입자들을 제거하는 식세포로 구성된 방어체계를, 그리고 특이성 면역계(3차 방어선)는 림프구들로 구성된 면역체계를 말하는데, 이중 특이성 면역계는 기억능 및 자기와 비자기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고도로 발달한 면역체계이다. 또한, 백혈구는 2차 또는 3차 방어선을 구성하여 1차 방어선을 돌파하여 체내에 들어온 이물을 담당하게 되며, 세균, 바이러스 감염 또는 염증 반응 시, 대식세포 및 림프구 활성의 조절은 의약품의 치료 효과 결정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대식세포(Macrophage)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세포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cytokine)과 일산화산소(NO)를 생성하여 면역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대식세포에서 리포 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 사이토카인, TNF-α와 같은 자극에 의해 발현되는 iNOS는 장시간 동안 다량의 NO를 생산하여, NFκB 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의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 O2 -),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와 같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s pecies; ROS) 및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산은 비특이적 면역에 있어서 중요한 세포독성 및 세포활성억제기작이다. 또한, 대식세포는 항원을 제시하거나(antigen-presenting), 종양을 없애거나(tumoricidal) 미생물 세포를 죽이는(microbicidal) 세포로서, 세포매개(cell-mediated) 또는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조절세포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생산되는 NO는 비특이적 숙주방어기작인 대식작용을 하고, 세균 및 암세포의 증식억제 활성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대식세포는 많은 라이소솜을 가지고 있고 이들은 산성가수분해효소와 과산화효소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유리면과 플라스틱 표면에 강하게 부착하는 성질이 있으며 미생물이나 종양세포 등을 활발하게 탐식한다. 또한 대식세포는 IFN-γ등의 사이토카인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보체성분, 인터페론, 인터루킨-1 및 종양괴사인자 같은 사이토카인을 생산하며 T-세포로부터 생산되는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에 의해 기능이 증강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전 세계적으로 면역력 증강을 통해 건강을 증진시키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최근에는 합성화합물에 대한 부작용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어 천연물로부터 면역증강을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금화규(Hibiscus manihot L.)는 뿌리, 줄기, 잎, 꽃 모두 약성이 있는 약용식물로 7~8월 수확 시기에만 얻을 수 있는 귀한 약초이다. 금화규는 콜라겐이 풍부하여 피부미용에도 효과적이며, 팔미트산, 고시페틴, 올레인산, 베타인, 리놀렌산 등 유효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꽃차(플라워티)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금화규 추출물이 갖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던 중, 상기 금화규 추출물이 면역증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20465호 (발명의 명칭 : 숙취해소에 뛰어나며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출원인 :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공개일 : 2020년10월2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6935호 (발명의 명칭 : 주름개선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출원인 : 곽종복, 등록일 : 2020년11월04일)
본 발명의 목적은 금화규(Hibiscus maniho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금화규(Hibiscus maniho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금화규 추출물은 면역증진인자인 산화질소 (NO)의 생성을 증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화규 추출물은 면역증진 사이토카인인 iNOS, IL-1β, IL-6 또는 TNF-α의 발현량을 증강시키는 효능을 갖는 것과 대식세포의 포식작용을 증강시키는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화규 추출물은 금화규의 꽃, 줄기, 잎 또는 뿌리에서 선택되는 부위의 추출물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금화규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금화규를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에 첨가하여 1~5일간 20~30℃에서 교반한 후 여과한 여과액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화규를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에 첨가하여 2~4일간 20~30℃에서 교반한 후 여과한 여과액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금화규를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에 첨가하여 3일간 25℃에서 교반한 후 여과한 여과액일 수 있다. 상기 금화규 추출물은 면역증강용 조성물로 이용되기 위해 유효농도 1~200㎍/㎖로 처리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5~50㎍/㎖, 더 바람직하게는 10㎍/㎖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C1~C4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여과액은 건조하여 분말화할 수 있으며,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통상적인 건조법을 통해 분말화될 수 있다.
또한, 당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상기 금화규의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 추출물을 물에 녹인 후에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분획하여 분획물로 제조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금화규를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 농축하여 얻은 금화규 추출물에, 물을 가하여 현탁한 후, 바람직하게는 금화규 추출물의 중량의 1~1000배, 더 바람직하게는 1~500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배의 물을 가하여 현탁한 후, 상기 현탁물에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가하여 얻은 금화규 분획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금화규 분획물은 바람직하게는, 금화규를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 농축하여 얻은 금화규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헥산과 혼합하여 얻은 헥산층의 농축물, 상기 헥산층을 제거하고 남은 잔사(물층)에 클로로포름을 혼합하여 얻은 클로로포름층의 농축물, 또는 상기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남은 잔사(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층의 농축물,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층을 제거하고 남은 잔사(물층)에 부탄올을 혼합하여 얻은 부탄올층의 농축물, 또는 상기 부탄올층을 제거하고 남은 잔사(물층)의 농축물일 수 있다. 한편, 이 외의 분획조건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금화규 추출물에 금화규 추출물의 중량의 1~50배의 물을 가하여 현탁물을 제조한 후, 상기 물과 동량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가하여 분획할 수 있다. 또한, 헥산층을 제거한 후 남은 잔사에 클로로포름을 가하고,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남은 잔사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고 남은 잔사에 부탄올을 가할 때에도, 역시 잔사와 동량의 각 용매(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를 순차적으로 가하여 분획할 수 있다.
상기 금화규 추출물의 추출시 사용하는 용매로는 유기용매보다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금화규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추출용 기기로는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금화규 추출물은 열풍건조, 감압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화규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화규 추출물은 상법에 따라, 유기용매(알코올, 에테르, 아세톤 등)에 의한 추출, 헥산과 물의 분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 등, 식물체 성분의 분리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획 또는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엘에이취-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실리카겔 진공 액체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화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금화규 추출물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0.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금화규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금화규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금화규 추출물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0.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금화규 추출물은 세포모델에서 면역증진인자인 산화질소 (NO)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iNOS, IL-1β, IL-6 및 TNF-α의 유전자 발현을 통해 면역증진 효과를 유도하며, 대식세포의 포식작용을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금화규 추출물은 식용 또는 약용가능한 추출물로서 체내에 안전한 소재로서 이미 잘 알려진 소재이기에 면역증진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금화규의 부위별 추출물의 면역증진 유도인자인 산화질소(NO) 억제 효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금화규의 부위별 추출물의 면역증진 유도인자 iNOS, IL-1β, IL-6 및 TNF-α 발현 촉진 효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금화규의 부위별 추출물의 대식세포의 포식작용 활성화 유도 효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금화규 추출물의 제조>
금화규 추출물을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하였다. 경북 안동에 위치한 농업회사법인 이팜주식회사에서 재배한 금화규 꽃, 뿌리, 줄기, 잎을 증류수로 깨끗이 씻고 건조 한 다음, 건조 분쇄물 10 g에 대해 20배 부피에 해당 하는 물을 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3일간 추출하여 금화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추출물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 금화규 꽃 추출물 (WE-HMF: Water extract from Hibiscus manihot flowers), 금화규 줄기 추출물 (WE-HMS: Water extract from Hibiscus manihot stems), 금화규 잎 추출물 (WE-HML: Water extract from Hibiscus manihot leaves), 금화규 뿌리 추출물 (WE-HMR: Water extract from Hibiscus manihot roots)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세포독성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금화규 추출물이 세포에 대한 독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in vitro 내에서 세포독성 여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murine macrophage 세포주인 RAW 264.7 세포를 KCLB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는데, 세포배양용 플라스크(flask)에 세포를 분주한 후, DMEM 배지에 10% FBS(fetal bovine serum) 및 1% penicillin-streptomycin (10,000U/ml)을 첨가하고 37℃, 5% CO2 95% 습도조건이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세포독성 평가는 MTT 분석법을 사용하였는데 상기 방법은 대사 과정이 온전한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의 탈수소효소가 노란색 수용성 tetrazoliumsal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를 비수용성의 짙은 자주색 MTT formazan 결정으로 환원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결정에 대해 적절한 파장 (주로 500-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먼저, RAW 264.7 세포를 1×105cells/well의 농도로 96well에 분주 후 24시간 동안 배양 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금화규의 각 부위별 추출물을 각각 0, 50, 100, 200 ㎍/mL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후 1 mg/mL 농도의 MTT를 넣고 2시간 동안 37℃ 배양기에서 반응시킨 후 DMSO(dimethyl sulfoxide)를 넣어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금화규 추출물들이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한 후 다음 실험을 진행하였다(그래프 미첨부).
<실시예 3: 산화질소 (NO) 생성능 분석>
염증성 매개 물질에 노출된 세포에 의해서 생성된 NO의 생성은 생체 방어와 자유기에 의해 유발된 조직 손상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염증성 질환이 발병하게 되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사용한 세포실험군을 대상으로 세포 상등액을 수집한 후, 면역세포 활성에 따라 세포 상등액으로 분비되는 물질 중 NO(Nitric Oxide)의 양을 확인하였다.
NO 활성도는 대사산물인 nitrate (NO3 -)와 nitrite (NO2 -)의 생성 농도를 Griess 반응을 통해 확인하였는데, 구체적으로 RAW 264.7 세포를 1×105cells/well의 농도로 96well에 분주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실시예 1의 금화규의 부위별 추출물을 0, 5, 10 ㎍/mL의 농도로 처리하고, 37℃, 5% CO2의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 상등액과 세포 상등액 동량에 해당하는 griess 시약을 첨가하여 15분 반응시키고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도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1을 참고하면, 면역증진 유도인자인 산화질소(NO)는 금화규의 꽃, 줄기, 뿌리, 잎 각 부위별 추출물에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뿌리 추출물이 갖는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실시예 4: 면역증진인자인 iNOS, IL-1β, IL-6 및 TNF-α의 유전자 발현 촉진능 분석>
RAW264.7 세포에 금화규의 각 부위별 추출물을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하여 면역증진인자인 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L-1β (Interluekin 1 beta), IL-6 (Interleukin 6) 및 TNF-α(Tumor necrosis factor alpha)의 발현 변화를 RT-PCT에 의해 정량하였다. 이를 위하여 금화규의 각 부위별 추출물이 처리된 RAW264.7 세포로부터 TRIzol (Invitrogen, San Diego, CA, UsA) 용액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로부터 dNTP, oligo dT primer, buffer, dithiothreitol, Superscript II reverse transcriptase 및 RNase inhibitor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면역증진 유도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합성된 cDNA로부터 하기 표 1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 증폭하였다. PCR 증폭은 95℃에서 30초, 58~60℃에서 30초, 72℃에서 30초의 반응을 30 cycles 이상 반복하였다. 이를 통한 mRNA 정량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프라이머 이름 염기서열
iNOS F 5'-ttgtgcatcgacctaggctggaa-3'
iNOS R 5'-gacctttcgcattagcatggaagc-3'
IL-1β F 5'-ggcaggcagtatcactcatt-3'
IL-1β R 5'-cccaaggccacaggtattt-3'
IL-6 F 5'-gaggataccactcccaacagacc-3'
IL-6 R 5'-aagtgcatcatcgttgttcataca-3'
TNF-α F 5'-tggaactggcagaagaggca-3'
TNF-α R 5'-tgctcctccacttggtggtt-3'
GAPDH F 5'-ggactgtggtcatgagcccttcca-3'
GAPDH R 5'-actcacggcaaattcaacggcac-3'
도 2는 금화규의 꽃, 줄기, 뿌리, 잎 각 부위별 추출물의 면역증진 유도인자 iNOS, IL-1β, IL-6, TNF-α의 발현 촉진 효능을 보여주는 전기영동 이미지로, 금화규 추출물의 처리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면역증진 유도인자인 iNOS, IL-1β, IL-6, TNF-α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금화규 추출물의 대식세포의 포식작용 촉진효능 분석>
RAW264.7 세포에 금화규 부위별 추출물을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하여 RAW264.7세포의 식세포 작용 촉진효능을 neutral red 염색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RAW264.7 세포에 금화규 부위별 추출물을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후,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고 100 ㎕의 0.01% neutral red 염색시약을 처리하고 37℃, 5% CO2의 조건에서 3시간 배양하였다. 3시간 후 1 X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로 5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용출 버퍼 (50% ethanol + 50% acetic acid)로 neutral red를 용출하고 상등액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금화규 부위별 추출물의 식세포작용 촉진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neutral red의 흡광도)로, 금화규 부위별 추출물의 처리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대식세포의 식세포 작용이 촉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본 발명의 금화규 부위별 추출물 20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2. 식품 제조>
제제예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금화규 부위별 추출물을 조리용 양념에 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2.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금화규 부위별 추출물을 밀가루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3.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금화규 부위별 추출물을 스프 및 육즙에 0.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금화규 부위별 추출물을 우유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5. 야채주스 제조
본 발명의 금화규 부위별 추출물 0.5g을 토마토주스 또는 당근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6. 과일주스 제조
본 발명의 금화규 부위별 추출물 0.1g을 사과주스 또는 포도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8)

  1. 금화규(Hibiscus manihot)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이며,
    상기 물 추출물이, 금화규를 물에 첨가하여 1~5일간 20~30℃에서 추출한 것이고, 5 ㎍/㎖ 이상에서 2배 이상의 대식세포의 포식작용 활성화 유도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화규의 물 추출물이, 면역증진인자인 산화질소 (NO)의 생성을 증강시키는 효능; 면역증진 사이토카인인 iNOS, IL-1β, IL-6 또는 TNF-α의 발현량을 증강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금화규의 꽃, 줄기, 잎 또는 뿌리를 용매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4. 삭제
  5. 금화규(Hibiscus manihot)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식품이며,
    상기 물 추출물이, 금화규를 물에 첨가하여 1~5일간 20~30℃에서 추출한 것이고, 5 ㎍/㎖ 이상에서 2배 이상의 대식세포의 포식작용 활성화 유도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화규의 물 추출물이, 면역증진인자인 산화질소 (NO)의 생성을 증강시키는 효능; 면역증진 사이토카인인 iNOS, IL-1β, IL-6 또는 TNF-α의 발현량을 증강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식품.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금화규의 꽃, 줄기, 잎 또는 뿌리를 용매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식품.
  8. 삭제
KR1020210037089A 2021-03-23 2021-03-23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2626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089A KR102626559B1 (ko) 2021-03-23 2021-03-23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089A KR102626559B1 (ko) 2021-03-23 2021-03-23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164A KR20220132164A (ko) 2022-09-30
KR102626559B1 true KR102626559B1 (ko) 2024-01-19

Family

ID=8345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089A KR102626559B1 (ko) 2021-03-23 2021-03-23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5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9906A (zh) 2016-06-12 2016-08-17 南京中医药大学 具有提高免疫活性的黄蜀葵茎叶多糖乙酰化修饰产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894A (ko) * 2017-09-22 2019-04-01 김의현 금화규와 메리골드를 포함하는 티백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9934B1 (ko) 2019-04-11 2021-09-10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숙취해소에 뛰어나며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18840B1 (ko) * 2019-10-30 2021-10-28 주식회사 라이프 투게더 아우레아 헬리안투스(금화규)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2176935B1 (ko) 2020-04-20 2020-11-10 곽종복 주름개선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9906A (zh) 2016-06-12 2016-08-17 南京中医药大学 具有提高免疫活性的黄蜀葵茎叶多糖乙酰化修饰产物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n et al., Characterization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polysaccharides from the stems and leaves of Abelmoschus manihot and a sulfated deriva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
전연홍 외 2인. 염기성 수성 용매로 추출한 금화규(Abelmoschus manihot jinhuacui) 추출물의 세포 활성능, 한국미용학회지, 2020, 제26권, 제4호, pp. 752-759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164A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gaji et al. Alpha amylase, alpha glucosidase and glycation inhibitory activity of Moringa oleifera extracts
KR101751398B1 (ko)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Byambasuren et al. Medicinal value of wolfberry (Lycium barbarum L.)
KR102182724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1317668B1 (ko) 멀꿀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20190002092A (ko) 진달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JP2008081440A (ja) アロマターゼ活性促進剤
KR102626559B1 (ko)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US11752187B2 (en) Anti-obesity composition including Geumhwagyu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790654B1 (ko) 잣박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51928A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도토리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리적 조성물
KR101790657B1 (ko) 잣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110049129A (ko) 느릅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2436692B1 (ko)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75617B1 (ko) 상동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2308618B1 (ko) 산수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2169046B1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556835B1 (ko) 어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20160055748A (ko) 항산화 또는 혈당 강하 활성 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차
KR101817053B1 (ko)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비만 또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220089948A (ko) 벼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2471017B1 (ko) 청괴불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US11864575B2 (en) Composition comprising low temperature water extract of hibiscus manihot for anti-obesity
KR102666211B1 (ko) 미세먼지로부터 피부 방어 효능을 갖는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