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351B1 -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351B1
KR102626351B1 KR1020230084392A KR20230084392A KR102626351B1 KR 102626351 B1 KR102626351 B1 KR 102626351B1 KR 1020230084392 A KR1020230084392 A KR 1020230084392A KR 20230084392 A KR20230084392 A KR 20230084392A KR 102626351 B1 KR102626351 B1 KR 102626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upper body
foreign matter
excavator
remov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4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운만
Original Assignee
최운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운만 filed Critical 최운만
Priority to KR1020230084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하부체와 상부체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굴삭기의 상부체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굴삭기의 하부체의 상부면에 하부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청소포를 통해 상기 상부체가 스윙될 때,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굴삭기의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의 상부에 상부체가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스윙 회전부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Excavator Swing Rotary Part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굴삭기의 하부체와 상부체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굴삭기의 상부체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굴삭기의 하부체의 상부면에 하부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청소포를 통해 상기 상부체가 스윙될 때,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굴삭기의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의 상부에 상부체가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체가 회전되도록 하는 스윙 회전부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는 토목공사나 건축공사에 사용되는 기계의 총칭으로 굴삭기, 로더, 불도저, 지게차, 그레이더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러한 건설기계 중 굴삭기는 개략적으로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의 상부에 스윙장치에 의해 수평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체 및 상기 상부체에 설치되는 운전실, 조수실, 엔진실, 붐, 아암 및 버킷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윙장치는 상부체가 하부체의 상부에서 360°회전되도록 하고, 구체적으로, 유압으로 구동되는 스윙 드라이브 유니트에 설치된 피니언과 스윙 링기어가 맞물리게 되어 스윙 드라이브 유니트의 구동으로 상부체가 회전되도록 한다.
한편, 건설기계 대부분 특히 굴삭기의 경우 작업이 통상적으로 실외에서 수행됨에 따라 빗물이나 물 또는 이물질이 하부체와 상부체의 사이에 침투 및 축적되어 오랜 기간동안 축적된 이물질은 쉽게 청소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68187호에는 상부 프레임에 설치된 센터 죠인트의 일측으로 스윙 드라이브 유니트의 피니언과 맞물린 스윙 링기어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을 연장 절곡한 보호벽 사이의 내측 윤활유 저장실에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굴삭기 스윙 링기어 내부의 이물질 침투 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센터 죠인트가 설치되는 상기 상부 프레임 관통공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센터 죠인트와 상기 관통공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저장실로의 침투를 차단하는 림이 구비되는 굴삭기 스윙 링기어 내부의 이물질 침투 방지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9577호에는 크롤러 굴삭기(crawler excavator)의 작업중 이동하거나, 또는 선회 작업시 트랙슈를 따라 이동되는 돌멩이 등의 이물질이, 주행모터가 장착되는 주행모터 프레임(track motor frame)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선형 가이드에 의해 지면쪽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이물질 침투로 인해 주행모터, 트랙링크 등이 파손 또는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침투 방지수단이 구비된 건설장비의 하부 프레임을 개시하고 있다.
즉, 종래의 건설기계 특히, 굴삭기의 경우 이물질에 의해 스윙장치 또는 주행모터 등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잡한 구성이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복잡한 구성의 설치에 따른 건설기계의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스윙장치를 구비하는 굴삭기의 다양한 종류에 맞춰 설치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발생시 유지보수를 위한 수리 또는 교체시 많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68187호(1998.12.0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9577호(2011.03.23.)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건설기계 이물질 제거장치는 구성이 복잡하여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건설기계에 설치되기 어렵고, 이에 따라 건설기계의 단가를 상승시키며, 고장발생시 많은 유지보수 수요 및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굴삭기의 상부체의 하부에 복수 개의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에 착탈가능하도록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청소포를 설치하되, 상기 굴삭기의 하부체의 상부면에 하부가 접촉되도록 설치하여 상부체가 작업을 위해 스윙될 때, 상기 청소포의 하부가 하부체의 상부면을 털어내어 이물질이 하부체와 상부체의 사이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부체와 하부체의 사이에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함과 동시에 스윙 회전부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굴삭기의 하부체(10)의 상부에 상부체(20)가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체(20)가 회전되도록 하는 스윙 회전부(30)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2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브라켓(100);과 상기 브라켓(100)에 탈부착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체(10)의 상부면에 하부가 접촉되는 합성섬유 재질의 청소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브라켓(100)은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볼트홀(110);과 상기 볼트홀(11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체(2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볼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볼트홀(110) 중 외측에 위치한 볼트홀(110)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브라켓(100)의 측방까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브라켓(100)은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상부체(2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탈부착부(130);와 상기 탈부착부(13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제1벨크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청소포(200)는 일측면 상부 또는 타측면 상부에 상기 제1벨크로(140)와 대응되는 제2벨크로(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상부체(20)의 하부면 후방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체(20)의 하부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청소포(200)는 상기 브라켓(100)에 탈부착되는 부착부(210);와 상기 부착부(210)의 하부에 분할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청소날개(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청소포(200)는 상기 부착부(21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1보강부(230);와 상기 부착부(21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2보강부(240); 및 상기 제2보강부(240)의 외측면 상부에 결합되는 제2벨크로(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보강부(230)는 상부가 상기 부착부(21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청소날개(220)의 상부까지 형성되도록 길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보강부(240)는 상부가 상기 부착부(21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청소날개(220)의 상부까지 형성되도록 길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청소날개(220)는 일측면 하부말단 또는 타측면 하부말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부직포(2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청소날개(220)는 상기 부직포(222)에 결합되는 기름제거시트(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는 굴삭기의 상부체가 스윙될 때, 청소포가 하부체의 상부면을 털어냄으로써, 상부면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굴삭기의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가 항상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삭기의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가 항상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스윙 회전부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스윙 회전부의 고장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삭기의 상부체 하부면에 상부체 볼트를 통해 브라켓이 설치되어 다양한 종류의 굴삭기에 설치되어 사용이 용이한 효과와,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청소포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상기 청소포의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 장치가 설치된 굴삭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 장치가 설치된 굴삭기의 상부체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 장치를 나타낸 부분 분해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청소포를 나타낸 분해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청소포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a) 및 부분 분해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브라켓과 청소포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굴삭기의 하부체(10)와 상부체(20)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굴삭기의 상부체(20)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굴삭기의 하부체(10)의 상부면에 하부가 접촉되어 설치되는 청소포(200)를 통해 상기 상부체(20)가 스윙될 때, 상기 상부체(20)와 하부체(10)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굴삭기의 하부체(10)와 상기 하부체(10)의 상부에 상부체(20)가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체(20)가 회전되도록 하는 스윙 회전부(30)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는 굴삭기의 하부체(10)의 상부에 상부체(20)가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체(20)가 회전되도록 하는 스윙 회전부(30)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2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브라켓(100);과 상기 브라켓(100)에 탈부착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체(10)의 상부면에 하부가 접촉되는 합성섬유 재질의 청소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브라켓(100)은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볼트홀(110);과 상기 볼트홀(11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체(2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볼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볼트홀(110) 중 외측에 위치한 볼트홀(110)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브라켓(100)의 측방까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브라켓(100)은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상부체(2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탈부착부(130);와 상기 탈부착부(13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제1벨크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청소포(200)는 일측면 상부 또는 타측면 상부에 상기 제1벨크로(140)와 대응되는 제2벨크로(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상부체(20)의 하부면 후방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체(20)의 하부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청소포(200)는 상기 브라켓(100)에 탈부착되는 부착부(210);와 상기 부착부(210)의 하부에 분할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청소날개(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청소포(200)는 상기 부착부(21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1보강부(230);와 상기 부착부(21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2보강부(240); 및 상기 제2보강부(240)의 외측면 상부에 결합되는 제2벨크로(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보강부(230)는 상부가 상기 부착부(21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청소날개(220)의 상부까지 형성되도록 길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보강부(240)는 상부가 상기 부착부(21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청소날개(220)의 상부까지 형성되도록 길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청소날개(220)는 일측면 하부말단 또는 타측면 하부말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부직포(2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청소날개(220)는 상기 부직포(222)에 결합되는 기름제거시트(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굴삭기는 바퀴 및 상기 바퀴를 구동시키는 구동엔진 등이 구비되는 하부체(10)와, 상기 하부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체(20) 및 상기 상부체(20)와 상기 하부체(10)를 연결하되, 상기 상부체(20)가 상기 하부체(10)의 상부에서 360°회전되도록 하는 스윙 회전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체(20)는 운전실, 조수실, 엔진실, 붐, 아암 및 버킷 등의 구성이 설치되어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스윙 회전부(30)는 상기 하부체(10)와 상부체(2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주로 언급되지만 본 발명의 명칭에서 언급되는 스윙 회전부는 상기 스윙 회전부(30) 및 상기 하부체(10)와 상부체(20) 사이 공간까지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브라켓(100)은
굴삭기의 상부체(2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청소포(2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청소포(200)가 상부체(20)의 하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청소포(200)의 유지보수 필요시 쉽게 교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브라켓(100)은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볼트홀(110)과, 상기 볼트홀(11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체(2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볼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브라켓(100)은 상기 복수 개의 볼트홀(110)과 복수 개의 결합볼트(120)를 이용하여 굴삭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복수 개의 볼트홀(110) 중 외측에 위치한 볼트홀(110)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브라켓(100)의 측방까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볼트홀(110)이 개방됨에 따라 브라켓(100)의 설치시 브라켓(100)의 위치를 임시로 고정된 상태에서 보다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100)의 측방은 상부체(2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는 전방, 후방, 일측, 타측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일예로, 상부체(20)의 하부면 후방에 설치되는 브라켓(100)의 측방은 후방이 되고, 상부체(20)의 하부면 일측에 설치되는 브라켓(100)의 측방은 일측이 된다.
즉, 작업자는 상부체(20)의 하부면에 어느 하나의 결합볼트(120)를 완전히 결합하지 않고 일부만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 브라켓(100)의 측방이 개방된 볼트홀(110)을 따라 상기 상부체(20)의 하부면에 결합된 결합볼트(120)가 내입되도록 브라켓(100)을 슬라이딩시킨 후 완전히 결합함으로써, 보다 쉽게 브라켓(100)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브라켓(100)은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상부체(2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탈부착부(130)와, 상기 탈부착부(13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제1벨크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탈부착부(130)는 하부면에 돌출형성됨에 따라,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청소포(200)가 내측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면 하부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하고, 내측면은 상기 브라켓(100)의 내측방향의 측면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탈부착부(130)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100)의 하부면 양측에 돌출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한 쌍의 청소포(200)가 브라켓(100)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벨크로(14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청소포(200)에 형성되는 제2벨크로(250)와 탈부착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청소포(200)를 쉽게 탈부착하여 상기 청소포(200)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브라켓(100)은 상기 상부체(20)의 하부면 후방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체(20)의 하부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상부체(20)의 하부면 전방에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버킷에 의한 작업시 이물질에 의한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체(20)의 하부면 전방에 설치되지 않고, 버킷에 의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상부체(20)가 스윙될 때, 자연스럽게 상부체(20)와 하부체(10) 사이의 이물질을 털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청소포(200)는
상기 브라켓(100)에 탈부착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체(10)의 상부면에 하부가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체(20)가 스윙될 때, 상기 하부체(10)의 상부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털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부체(10)의 파손과 자체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연한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청소포(200)는 일측면 상부 또는 타측면 상부에 앞서 설명된 브라켓(100)의 제1벨크로(140)와 대응되는 제2벨크로(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벨크로(140)와 제2벨크로(250)는 서로 대응되는 암수벨크로로 구성되어 브라켓(100)과 청소포(20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청소포(200)는 상기 브라켓(100)에 탈부착되는 부착부(210)와, 상기 부착부(21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되, 분할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청소날개(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청소포(200)는 상기 부착부(21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1보강부(230)와, 상기 부착부(21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2보강부(240) 및 상기 제2보강부(240)의 외측면 상부에 결합되는 제2벨크로(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보강부(230)와 제2보강부(240)는 상기 부착부(210)의 강도를 향상시켜 상기 부착부(210)의 파손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상기 제2벨크로(250)를 통해 제1벨크로(140) 즉, 브라켓(100)에 청소포(200)가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강도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청소날개(220)는 상기 부착부(21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하부가 하부체(10)이 상부와 접촉됨으로써, 상부체(20)와 하부체(10) 사이의 이물질을 털어 제거하는 것으로, 상기 부착부(210)의 하부에 분할되어 복수 개로 구성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청소날개(220)는 분할되지 않고 형성되는 경우 반복적인 스윙 동작으로 인해 찍어져 파손되는 경우 섬유재질의 특성상 꼬이거나 하부체(10)의 상부면 날카로운 곳에 걸려 스윙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최초에 분할되어 형성됨에 따라 스윙 동작시 자연스럽게 각각이 구부러져 파손이 최소화되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1보강부(230)와 제2보강부(240)는 각각 상부가 상기 부착부(2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청소날개(220)의 상부까지 형성되도록 길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보강부(230)와 제2보강부(240)의 길이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이유는 상부체(20)의 스윙 동작시 상기 청소날개(220)가 구부러질 때, 상기 부착부(210)와의 경계가 반복적으로 구부러져 피로에 의한 절단 발생을 최소화 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보강부(230)와 제2보강부(240)의 하부에 의해 상기 청소날개(220)가 구부러지는 각도가 최소화됨으로써 실현된다.
아울러, 상기 제1보강부(230)와 제2보강부(240)의 길이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부체(20)의 스윙 동작시 상기 청소날개(220)의 구부러짐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이물질이 보다 원활하게 털어져 제거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 청소날개(220)는 일측면 하부말단 또는 타측면 하부말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부직포(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부직포(222)는 상부체(20)의 스윙 동작시 작은 이물질이 내측에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 먼지발생을 최소화하고, 작업후 작업자에 의해 털어져 제거되어 재사용 된다.
또한, 상기 청소날개(220)는 상기 부직포(222)에 결합되는 기름제거시트(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기름제거시트(224)는 일면에 벨크로가 구비되어 상기 부직포(222)에 탈부착될 수 있고, 기름이 많은 작업장의 작업시 이물질의 제거와 동시에 기름의 제거또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기름제거시트(224)는 종래에 사용되는 어떠한 기름제거시트를 사용해도 무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00)과 청소포(200)를 관통하여 설치됨에 따라 상기 브라켓(100)과 청소포(2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부재(300)는 굴삭기의 엔진열로 인해 벨크로의 접착제가 녹아내려 벨크로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100)과 청소포(200)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브라켓(100)의 탈부착부(130)와 제1벨크로(140) 및 상기 청소포(200)의 부착부(210), 제1보강부(230), 제2보강부(240), 제2벨크로(250)는 각각 상기 고정부재(300)가 관통될 수 있는 고정홀(15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50)는 상기 고정홀(150)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탈부착부(130), 제1벨크로(140), 부착부(210), 제1보강부(230), 제2보강부(240), 제2벨크로(250)를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100)과 청소포(200)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50)는 리벳 형태로 형성되거나, 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브라켓(100)과 청소포(200)를 관통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종래의 어떠한 구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볼트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너트에 의해 고정됨은 자명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는 굴삭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설치가 용이하고, 브라켓(100)과 청소포(200)의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단가 및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반복적인 상부체(20)의 스윙 동작에도 합성섬유 재질의 청소포(200)가 쉽게 파손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한편, 상기 브라켓(100)에 청소포(200)가 탈부착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부체(20)와 하부체(10) 사이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윙 회전부(30)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굴삭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하부체
20 : 상부체
30 : 스윙 회전부
100 : 브라켓
110 : 볼트홀
120 : 결합볼트
130 : 탈부착부
140 : 제1벨크로
150 : 고정홀
200 : 청소포
210 : 부착부
220 : 청소날개
222 : 부직포
224 : 기름제거시트
230 : 제1보강부
240 : 제2보강부
250 : 제2벨크로
300 : 고정부재

Claims (10)

  1. 굴삭기의 하부체(10)의 상부에 상부체(20)가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체(20)가 회전되도록 하는 스윙 회전부(30)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2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브라켓(100);과
    상기 브라켓(100)에 탈부착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체(10)의 상부면에 하부가 접촉되는 합성섬유 재질의 청소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100)은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상부체(2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탈부착부(130);와
    상기 탈부착부(13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제1벨크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청소포(200)는
    일측면 상부 또는 타측면 상부에 상기 제1벨크로(140)와 대응되는 제2벨크로(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0)은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볼트홀(110);과
    상기 볼트홀(11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체(2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볼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볼트홀(110) 중 외측에 위치한 볼트홀(110)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브라켓(100)의 측방까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상부체(20)의 하부면 후방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체(20)의 하부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포(200)는
    상기 브라켓(100)에 탈부착되는 부착부(210);와
    상기 부착부(210)의 하부에 분할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청소날개(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포(200)는
    상기 부착부(21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1보강부(230);와
    상기 부착부(21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2보강부(240); 및
    상기 제2보강부(240)의 외측면 상부에 결합되는 제2벨크로(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230)는
    상부가 상기 부착부(21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청소날개(220)의 상부까지 형성되도록 길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부(240)는
    상부가 상기 부착부(21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청소날개(220)의 상부까지 형성되도록 길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날개(220)는
    일측면 하부말단 또는 타측면 하부말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부직포(2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날개(220)는
    상기 부직포(222)에 결합되는 기름제거시트(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0230084392A 2023-06-29 2023-06-29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626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4392A KR102626351B1 (ko) 2023-06-29 2023-06-29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4392A KR102626351B1 (ko) 2023-06-29 2023-06-29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351B1 true KR102626351B1 (ko) 2024-01-17

Family

ID=8971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4392A KR102626351B1 (ko) 2023-06-29 2023-06-29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35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7236U (ko) * 1989-12-21 1991-09-04
JPH07210052A (ja) * 1994-01-12 1995-08-11 Canon Inc オイルクリーニング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9980068187U (ko) 1997-05-30 1998-12-05 토니헬샴 굴삭기 스윙 링기어 내부의 이물질 침투 방지구조
KR200344377Y1 (ko) * 2003-11-24 2004-03-10 이수동 도어의 밀폐구조
KR20080004106A (ko) * 2006-07-04 2008-01-0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
KR20110029577A (ko) 2009-09-16 2011-03-2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이물질 침투 방지수단이 구비된 건설장비의 하부 프레임
KR101810015B1 (ko) * 2017-06-26 2017-12-20 (주)토이건설기계 굴삭기의 청소용 작업기
KR20220000492U (ko) * 2020-08-21 2022-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브라켓 조립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7236U (ko) * 1989-12-21 1991-09-04
JPH07210052A (ja) * 1994-01-12 1995-08-11 Canon Inc オイルクリーニング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9980068187U (ko) 1997-05-30 1998-12-05 토니헬샴 굴삭기 스윙 링기어 내부의 이물질 침투 방지구조
KR200344377Y1 (ko) * 2003-11-24 2004-03-10 이수동 도어의 밀폐구조
KR20080004106A (ko) * 2006-07-04 2008-01-0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하부체 청소가 가능한 굴삭기
KR20110029577A (ko) 2009-09-16 2011-03-2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이물질 침투 방지수단이 구비된 건설장비의 하부 프레임
KR101810015B1 (ko) * 2017-06-26 2017-12-20 (주)토이건설기계 굴삭기의 청소용 작업기
KR20220000492U (ko) * 2020-08-21 2022-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브라켓 조립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87236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60664B2 (ja) 作業用自走車の掘削篩い選別装置
CN103826940A (zh) 刮水器装置、带刮水器装置的开闭防护器以及用于建筑机械的驾驶室
KR101660658B1 (ko) 가드 부착형 작업 차량용 캡 및 유압 셔블
KR102626351B1 (ko) 굴삭기 스윙 회전부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572964B1 (ko) 버킷 청소장치
JP5189011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US8806699B2 (en) Wiper device for cleaning roof-light window, cab, and construction machine
KR102636080B1 (ko) 도저와 롤러가 구비된 건설장비
JP2011026887A (ja) 杭引抜き用作業機
CN215800717U (zh) 道砟挖掘装置以及使用其的挖掘机和多功能维修机
JP2007107296A (ja) 作業装置の取付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
JP6994003B2 (ja) 建設機械
JP4021700B2 (ja) 建設機械のガード固定装置
JP7039397B2 (ja) 旋回作業車
JP2009287278A (ja) バックホーの排土板に装着可能とした排土兼レーキ装置
JP7487241B2 (ja) 作業用車両
CN221001192U (zh) 一种清舱用挖掘机及其属具快速连接装置
JP6227807B1 (ja) フロントフェンダ及びホイールローダ
JP7496292B2 (ja) 建設機械
JPH11200415A (ja) 建設機械の上部旋回体
CN217499800U (zh) 一种用于道砟挖掘的底切装置
JP3356405B2 (ja) 建設機械のオイルフィルタ用油受け容器支持装置
JP4031372B2 (ja) 建設機械の排土装置
CN112482459B (zh) 工程机械
JPH08100442A (ja) 建設機械のキャブガ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