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527B1 - Game device, computer program stored on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gam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game - Google Patents

Game device, computer program stored on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gam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g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527B1
KR102625527B1 KR1020217032099A KR20217032099A KR102625527B1 KR 102625527 B1 KR102625527 B1 KR 102625527B1 KR 1020217032099 A KR1020217032099 A KR 1020217032099A KR 20217032099 A KR20217032099 A KR 20217032099A KR 102625527 B1 KR102625527 B1 KR 102625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progress
information
game device
ope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0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35290A (en
Inventor
준이치 후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ublication of KR20210135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2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5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9Saving the game status; Pausing or ending the game
    • A63F13/493Resuming a game, e.g. after pausing, malfunction or power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2Ball games, e.g. soccer or baseb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게임 장치는,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1 조작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1 진행 모드와, 제1 조작 정보와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 진행 제어부와, 제1 진행 모드에서는, 진행 제어부에 의한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제1 결과 정보를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고, 제2 진행 모드에서는, 제1 조작 정보를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를 구비한다.The game device includes a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an operation by a user, an information reception unit that receives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an operation by a user of another game device, and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 progress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rogress of the game by a first progress mode that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first progress mode, and a second progress mode that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progress mode In the second progress mode, first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ogress of the game by the progress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another game device, and in the second progress mode,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is provided for transmitting first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ther game device.

Description

게임 장치, 비일과성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게임 시스템, 및 게임의 제어 방법Game device, computer program stored on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gam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game

본 발명은 게임 장치, 게임 시스템, 기록 매체 및 게임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ame devices, game systems, recording media, and game control methods.

서로 통신 가능한 2개의 게임 장치를 사용한 온라인 대전형 게임으로서, 한쪽의 게임 장치에 있어서 조작되는 투수 캐릭터가 던진 볼 오브젝트를, 다른 쪽의 게임 장치에 있어서 조작되는 타자 캐릭터가 치는 온라인 야구 게임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An online baseball game is known as an online match-up game using two game devices tha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which a ball object thrown by a pitcher character operated by one game device is hit by a batter character operated by the other game device.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63069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6-263069

일반적으로, 온라인 야구 게임에서는, 온라인 야구 게임을 실행하는 2개의 게임 장치 중, 한쪽의 게임 장치는, 한쪽의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과, 다른 쪽의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 결과에 기초하여, 한쪽의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게임을 진행시킨다. 이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서는, 온라인 야구 게임을 실행하는 2개의 게임 장치의 사이에서, 게임의 진행 내용에 상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Generally, in an online baseball game, among two game devices that play an online baseball game, one game device controls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by the user of one game device and the progress of the game on the other game device. Based on the results, the game on one of the game devices is played. For this reason,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were cases where differences in game progress occurred between two game devices that played an online baseball game.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온라인 야구 게임을 실행하는 2개의 게임 장치 사이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 내용의 상이 정도를, 종래와 비교하여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제공을 해결 과제의 하나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circumstances, and aim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degree of difference in game progress between two game devices running an online baseball game compared to the prior art. Do it as one of your assignments.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게임 장치는,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이며, 상기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1 조작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1 진행 모드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와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 진행 제어부와,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진행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제1 결과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game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ame device that plays a game, comprising: a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an operation by a user of the game device;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operations by a user of another game device executing the game, a first progress mode that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a progress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rogress of the game by a second progress mode that advances the game, and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by the first progress mode In this case, first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sult of progress of the game by the progress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the other game device, and in the case that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by the second progress mode, the first operation is performed.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other gam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게임 시스템은, 서로 통신 가능한 2개의 게임 장치가 협동으로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시스템이며, 상기 2개의 게임 장치의 각각은,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1 조작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1 진행 모드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와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 진행 제어부와,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진행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제1 결과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a game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ame system in which two game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cooperatively play a game, wherein each of the two game devices includes a first device indicating the contents of operations by the user. A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operation information, an information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operations by a user of another game device, and a first progression mode for advancing the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a progress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rogress of the game by a second progress mode in which the game progresses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progress control unit controls the progress of the game in the first progress mode. When advancing the game by transmitting first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sult of progress of the game by the progress control unit to the other game device, and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by the second progress mode ,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ther gam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기록 매체는,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1 조작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1 진행 모드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와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 진행 제어부와,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진행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제1 결과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과성 기록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of a game device that executes a game, a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an operation by a user of the game device, and an acquisition unit that executes the game.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an operation by a user of another game device, a first progress mode for advancing the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a progress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rogress of the game by a second progress mode that advances the game, and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by the first progress mode, When first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a result of progress of the game by the progress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the other game device, and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by the second progress mode,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ther game device. It is characterized as being a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at functions as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ssion to other game devices.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게임의 제어 방법은,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1 조작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1 진행 모드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와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고,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진행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제1 결과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a gam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of a game device executing a game acquiring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an operation by a user of the game device, and executing the game. A first progress mode for receiving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an operation by a user of another game device and advancing the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Based on information, the progress of the game is controlled by a second progress mode that advances the game, and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by the first progress mode, the game by the progress control unit transmitting first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a progress result to the other game device, and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by the second progress mode, transmitting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ther game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게임 시스템(1)의 개요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표시부(31)에 표시되는 화상(IMG)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게임 장치(1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게임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결과 동기 모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게임 시스템(1)의 결과 동기 모드에 있어서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7은 입력 동기 모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게임 시스템(1)의 입력 동기 모드에 있어서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9는 야구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시스템(1)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10은 야구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시스템(1)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11은 야구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시스템(1)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12는 게임 장치(10)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결과 동기 모드에 의한 게임 진행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전환 제어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입력 동기 모드에 의한 게임 진행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결과 정보 취소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변형예 1에 관한 게임 시스템(1)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18은 변형예 1에 관한 게임 시스템(1)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outline of a gam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IM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game device 10.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game device 10.
Figure 5 is an explanatory diagram to outline the resulting synchronization mode.
Fig. 6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in the result synchronous mode of the game system 1.
Figure 7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utline of the input synchronization mode.
Fig. 8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in the input synchronization mode of the game system 1.
Fig. 9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game system 1 for executing a baseball game.
Fig. 10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game system 1 for playing a baseball game.
Fig. 11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game system 1 for executing a baseball game.
FIG. 12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
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game progress processing by result synchronization mode.
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switching control processing.
Fig. 15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game progress processing in input synchronization mode.
Fig. 16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result information cancellation processing.
Fig. 17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game system 1 according to Modification 1.
Fig. 18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game system 1 according to Modification 1.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부의 치수 및 축척은, 실제의 것과 적절하게 다르게 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구체예이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 가지 한정이 부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한다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들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mode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in each drawing, the dimensions and scale of each part are appropriately different from the actual ones. 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echnically preferable limitations are give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ted to the effe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limi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Unless there is, it is not limited to these forms.

[A. 실시 형태][A.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게임 시스템의 개요][One. Overview of the game system]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게임 시스템(1)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서, 게임 시스템(1)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1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utline of the game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ereinafter, an outline of the game system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게임 시스템(1)은, 경기 게임을 실행 가능한 복수의 게임 장치(10)(10-1 내지 10-M)와, 복수의 게임 장치(10)(10-1 내지 10-M)에 대응하여 마련된 복수의 표시 장치(30)(30-1 내지 30-M)를 갖는다(M은 2 이상의 자연수). 이하에서는, 복수의 게임 장치(10-1 내지 10-M) 중, m번째의 게임 장치(10)를 게임 장치(10-m)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m은, 1≤m≤M을 충족하는 자연수). 마찬가지로, 복수의 표시 장치(30-1 내지 30-M) 중, m번째의 표시 장치(30)를 표시 장치(30-m)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The game system 1 includes a plurality of game devices 10 (10-1 to 10-M) capable of playing a competition game, and a plurality of game devices 10 (10-1 to 10-M)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game devices 10 (10-1 to 10-M). It has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30 (30-1 to 30-M) (M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Hereinafter, among the plurality of game devices 10-1 to 10-M, the mth game device 10 may be referred to as the game device 10-m (m satisfies 1≤m≤M. natural number). Similarly,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30-1 to 30-M, the mth display device 30 may be referred to as the display device 30-m.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게임 장치(10)가 가정용 게임 기기인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한다. 단, 게임 장치(10)로서는, 임의의 정보 처리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장치(10)는, 점포나 유희 시설 등에 설치된 업무용 게임 기기여도 되고, 휴대 전화 혹은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여도 되고, 또한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단말기형 정보 기기여도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game device 10 is a home game devi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as the game device 10, any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be employed. For example, the game device 10 may be an office game device installed in a store or entertainment facility, a mobile device such as a cell phone or smartphone, or a terminal-type information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게임 장치(10-m)는, 게임 장치(10-m)에 대응하여 마련된 표시 장치(30-m)와 통신 가능하다. 그리고, 게임 장치(10-m)는, 게임 장치(10-m)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경기 게임에 관한 화상을, 게임 장치(10-m)에 대응하여 마련된 표시 장치(30-m)가 구비하는 표시부(31-m)에 표시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30)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텔레비전 수상기 또는 터치 패널 등이 해당된다. 또한, 표시 장치(3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여도 된다. 또한, 표시 장치(30)는 게임 장치(10)에 포함되어도 된다.The game device 10-m can communicate with the display device 30-m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game device 10-m. And, the game device 10-m is equipped with a display device 30-m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game device 10-m to display an image related to the game being played on the game device 10-m. I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m. Examples of the display device 30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elevision receiver, or a touch panel. Additionally, the display device 30 may be a head mounted display (HMD). Additionally, the display device 30 may be included in the game device 10.

복수의 게임 장치(10-1 내지 10-M) 중 하나의 게임 장치(10), 예를 들어 게임 장치(10-1)는, 네트워크(NW)를 통하여, 다른 게임 장치(10), 예를 들어 게임 장치(10-2)와 통신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게임 장치(10-1)는, 게임 장치(10-2)에 대하여, 게임 장치(10-1)에서 실행되고 있는 경기 게임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게임 장치(10-2)는, 게임 장치(10-1)에 대하여, 게임 장치(10-2)에서 실행되고 있는 경기 게임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이 때문에, 각 게임 장치(10-m)에서 실행되고 있는 경기 게임에 관한 정보를, 복수의 게임 장치(10-1 내지 10-M) 사이에서 공유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게임 장치(10-1)의 유저와, 게임 장치(10-2)의 유저는, 경기 게임에 있어서 대전하는 것, 또는 경기 게임에 있어서 서로 협력하여 미션 등을 클리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게임 장치(10-1)의 유저와, 게임 장치(10-2)의 유저가, 경기 게임에 있어서 대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One of the game devices 10-1 to 10-M, for example, the game device 10-1, is connected to another game device 10, for example, through the network NW. For example, communication with the game device 10-2 is possible. Specifically, the game device 10-1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competitive game being played on the game device 10-1 to the game device 10-2. Additionally, the game device 10-2 transmits, to the game device 10-1, information regarding the competitive game being played on the game device 10-2. For this reason, information regarding the competitive game being played in each game device 10-m can be shared among the plurality of game devices 10-1 to 10-M. As a result, the user of the game device 10-1 and the user of the game device 10-2 can compete in a competitive game or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a competitive game to clear missions, etc. In this embodiment, a case will be described where a user of the game device 10-1 and a user of the game device 10-2 compete in a competitive gam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게임 장치(10)끼리 네트워크(NW)를 통하여 통신하면서 경기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를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게임 장치(10)는, 다른 게임 장치(10)와, 적외선 통신 혹은 Bluetooth(등록 상표)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네트워크(NW)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 가능해도 되고, 또는 케이블 등으로 직접 접속하여 통신 가능해도 된다. 또한, 게임 시스템(1)은, 복수의 게임 장치(10)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서버 장치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게임 장치(10)는, 서버 장치를 통하여 통신 가능해도 된다. 또한, 각 게임 장치(10)는, 다른 게임 장치(10)와 통신하지 않고, 단독으로 경기 게임을 실행 가능해도 된다. 이 경우, 각 게임 장치(10)의 유저는, 단독으로 경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a case in which game devices 10 execute a competitive game whi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via the network NW is exemplif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game device 10 may be able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another game device 1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infrared communication or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without going through a network (NW), or a cable. Communication may be possible by direct connection, etc. Additionally, the game system 1 may have a server device that controls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game devices 10.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game devices 10 may be capable of communicating through a server device. Additionally, each game device 10 may be capable of independently executing a competition game without communicating with other game devices 10. In this case, the user of each game device 10 is able to play the competition game independently.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각 게임 장치(10)가 단일의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유저가 단일의 게임 장치(10)를 조작함으로써, 단일의 게임 장치(10)를 조작하는 복수의 유저가 대전 가능(또는, 협력 가능)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each game device 10 is operated by a single user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a plurality of users can operate a single game device ( By operating 10), multiple users operating a single game device 10 can compete (or cooperat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게임 장치(10)에서 실행되는 경기 게임이란, 예를 들어 한 선수와 다른 선수가, 가상 공간에 있어서, 경기 게임에 대응하는 경기를 행하는 게임이다. 여기서, 「가상 공간」이란, 경기 게임에 관한 가상적인 물체 등이 존재하는 공간이다. 「경기 게임에 관한 가상적인 물체」는 「게임 요소」의 일례이며, 예를 들어 경기 게임에 관한 캐릭터 및 경기 게임에 관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개념이어도 된다. 또한, 「게임 요소」는 「가상 공간에 존재하는 가상적인 물체」에 한정되지 않고, 「가상 공간을 촬상하는 가상 카메라」여도 된다. 예를 들어, 「게임 요소」는, 플라이트 시뮬레이터의 파일럿의 시점에서 가상 공간을 촬상하는 가상 카메라여도 되고, 서바이벌 게임의 주인공의 시점에서 가상 공간을 촬상하는 가상 카메라여도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mpetitive game played on the game device 10 is, for example, a game in which one player and another player play a match corresponding to the competitive game in a virtual space. Here, “virtual space” is a space where virtual objects related to competition games, etc. exist. A “virtual object related to a competitive game” is an example of a “game element,” and may be a concept that includes, for example, characters related to a competitive game and objects related to a competitive game. Additionally, “gam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virtual objects existing in virtual space,” and may be “virtual cameras that capture images of virtual space.” For example, the “game element” may be a virtual camera that captures images of the virtual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ilot of a flight simulator, or may be a virtual camera that captures images of the virtual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tagonist of a survival game.

「경기 게임에 대응하는 경기」는, 「한 선수의 행동을, 한 선수의 대전 상대인 다른 선수가 저지하는 경기」여도 된다. 「한 선수의 행동을, 한 선수의 대전 상대인 다른 선수가 저지하는 경기」로서는, 예를 들어 야구, 소프트 볼, 크리켓, 축구, 농구, 테니스, 탁구 및 배구 등의 구기 전반이 해당된다. 예를 들어, 야구에서는 「한 선수의 행동」은 투구, 타격, 도루 및 수비 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축구 및 농구 등에서는 「한 선수의 행동」은 드리블, 패스 및 슛 등이어도 된다. 또한, 테니스, 탁구 및 배구 등에서는 「한 선수의 행동」은, 예를 들어 대전 상대의 코트에 리턴되지 않도록 볼을 넣는 것이어도 된다.“A game corresponding to a competition game” may be “a game in which the actions of one player are blocked by another player who is the player’s opponent.” “A game in which the actions of one player are blocked by another player, the player’s opponent,” includes all ball games, such as baseball, softball, cricket, soccer, basketball, tennis, table tennis, and volleyball. For example, in baseball, “a player’s actions” may include pitching, hitting, stealing, and fielding. Additionally, for example, in soccer and basketball, “a player’s actions” may include dribbling, passing, and shooting. Additionally, in tennis, table tennis, volleyball, etc., “a player’s action” may be, for example, putting the ball so that it does not return to the opponent’s court.

즉, 게임 장치(10)에서 실행되는 경기 게임은, 야구 게임, 소프트 볼 게임, 크리켓 게임, 축구 게임, 농구 게임, 테니스 게임, 탁구 게임 및 배구 게임 등의 구기 게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게임 장치(10-1, 10-2)에서 실행되는 경기 게임이 야구 게임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That is, the competition games played on the game device 10 are ball games such as baseball games, softball games, cricket games, soccer games, basketball games, tennis games, table tennis games, and volleyball games.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game played on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is a baseball game will be described.

[2. 야구 게임의 개요][2. Overview of the baseball game]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게임 장치(10)에 있어서 실행되는 야구 게임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 an outline of a baseball game played on the game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2는, 표시부(31)에 표시되는 화상(IMG)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야구 게임에서는, 예를 들어 야구장을 가상적으로 실현한 가상 공간을 촬상한 화상(IMG)이 표시부(31)에 표시된다. 따라서, 가상 공간에는, 투수에 대응하는 투수 캐릭터(Cpt), 타자에 대응하는 타자 캐릭터(Cbt), 볼에 대응하는 볼 오브젝트(Obl), 배트에 대응하는 배트 오브젝트(Obt) 및 홈베이스에 대응하는 홈베이스 오브젝트(Ohb) 등이 존재한다.FIG. 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image IM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 In a baseball game, for example, an image (IMG) captured in a virtual space that virtually represents a baseball stadiu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 Therefore, in the virtual space, there is a pitcher character (Cpt) corresponding to the pitcher, a batter character (Cbt) corresponding to the batter, a ball object (Obl) corresponding to the ball, a bat object (Obt) corresponding to the bat, and a home base corresponding to the pitcher character (Cpt) corresponding to the pitcher. There is a home base object (Ohb), etc.

도 2에 도시하는 화상(IMG)은, 예를 들어 투수 캐릭터(Cpt)의 후방(후두부측)에 있는 가상 카메라(시점)로부터의 화상이며, 투수 캐릭터(Cpt)의 조작에 사용되는 게임 장치(10)에 대응하는 표시부(31)에 표시된다. 또한, 윈도우(WD)는, 예를 들어 주자에 대응하는 주자 캐릭터(Crn)가 베이스 상에 있는 경우에 표시된다. 윈도우(WD) 내에는, 주자 캐릭터(Crn) 외에, 1루 베이스 등의 베이스에 대응하는 베이스 오브젝트(Orb)가 표시되어도 된다. 투수 캐릭터(Cpt), 타자 캐릭터(Cbt), 주자 캐릭터(Crn), 볼 오브젝트(Obl), 배트 오브젝트(Obt), 홈베이스 오브젝트(Ohb) 및 베이스 오브젝트(Orb) 등은, 도 1에서 설명한 「경기 게임에 관한 가상적인 물체」의 일례이다. 또한, 도 2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캐처에 대응하는 캐처 캐릭터 및 심판에 대응하는 심판 캐릭터 등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타자 캐릭터(Cbt)의 조작에 사용되는 게임 장치(10)에 대응하는 표시부(31)에는, 예를 들어 타자 캐릭터(Cbt)의 후방(후두부측)에 있는 가상 카메라(시점)로부터의 화상이 표시된다.The image IMG shown in FIG. 2 is, for example, an image from a virtual camera (viewpoint) located behind (occipital side) the pitcher character Cpt, and is a game device used to operate the pitcher character Cpt (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 corresponding to 10). Additionally, the window WD is displayed, for example, when the runner character Crn corresponding to the runner is on the base. In the window WD, in addition to the runner character Crn, a base object (Orb) corresponding to a base such as first base may be displayed. The pitcher character (Cpt), batter character (Cbt), runner character (Crn), ball object (Obl), bat object (Obt), home base object (Ohb), and base object (Orb) are used in the "game" described in FIG. This is an example of a “virtual object related to a game.” In addition, in FIG. 2, in order to make the drawing easier to see, description of the catcher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atcher and the refere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referee are omitt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display unit 31 corresponding to the game device 10 used to operate the batter character Cbt includes, for example, a virtual camera located behind (occipital side) the batter character Cbt. The image from the viewpoint is displayed.

본 실시 형태의 야구 게임에서는, 투수 캐릭터(Cpt)가 투구하고, 주자 캐릭터(Crn)가 도루한다. 게임 장치(10-1)의 유저 및 게임 장치(10-2)의 유저는, 수비측의 선수에 대응하는 수비 캐릭터를 조작하는 수비 조작과, 공격측의 선수에 대응하는 공격 캐릭터를 조작하는 공격 조작을 교호로 행한다. 또한, 수비 캐릭터에는, 투수 캐릭터(Cpt) 및 캐처 캐릭터 등이 포함되고, 공격 캐릭터에는, 타자 캐릭터(Cbt) 및 주자 캐릭터(Crn) 등이 포함된다.In the baseball game of this embodiment, the pitcher character (Cpt) pitches and the runner character (Crn) steals base. The user of the game device 10-1 and the user of the game device 10-2 perform a defensive operation of manipulating a defense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player on the defense side, and an attack operation of manipulating an attack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player of the attack side. Do this alternately. Additionally, the defense characters include a pitcher character (Cpt) and a catcher character, and the attack characters include a batter character (Cbt) and a runner character (Crn).

예를 들어, 게임 장치(10-1)의 유저가 공격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 게임 장치(10-2)의 유저는 수비 조작을 행한다. 이 경우, 게임 장치(10-1)의 유저는, 예를 들어 주자 캐릭터(Crn)에 도루시키기 위한 도루 지시를, 게임 장치(10-1)를 사용하여 입력해도 된다. 또한, 게임 장치(10-2)의 유저는, 투수 캐릭터(Cpt)에 투구시키기 위한 투구 지시를, 게임 장치(10-2)를 사용하여 입력해도 된다. 또한, 공격과 수비가 교대하여, 게임 장치(10-2)의 유저가 공격 조작을 행하는 경우, 게임 장치(10-1)의 유저는 수비 조작을 행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game device 10-1 performs an offensive operation, the user of the game device 10-2 performs a defensive operation. In this case, the user of the game device 10-1 may, for example, input a base stealing instruction to the runner character Crn using the game device 10-1. Additionally, the user of the game device 10-2 may input a pitching instruction to have the pitcher character (Cpt) pitch using the game device 10-2. Additionally, when attack and defense alternate, and the user of the game device 10-2 performs an attack operation, the user of the game device 10-1 performs a defense operation.

이하에서는, 도루가 시도되는 장면을 중심으로 예시하여, 게임 장치(10)의 구성 및 동작 등을 설명한다. 또한, 야구 게임 전반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elow,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a scene where a base steal is attempted. Additionally,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verall baseball game will be omitted.

[3. 게임 장치의 구성][3. Configuration of gaming device]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게임 장치(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game devic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게임 장치(1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게임 장치(10)는, 게임 제어부(110)와,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130)와, 다른 게임 장치(10) 등의 외부 장치와의 사이의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부(150)와, 게임 장치(10)의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게임 컨트롤러 등의 조작부(170)와, 광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정보 읽기부(190)를 갖는다. 또한, 통신부(150)는, 표시 장치(30)에 대해서는, 표시부(31)에 표시되는 화상(IMG)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FIG.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game device 10. The game device 10 includes a game control unit 110, a storage unit 130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150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game control unit 110 and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other game device 10. , has an operation unit 170 such as a game controller operated by the user of the game device 10, and an information reading unit 190 for reading information from a recording medium such as an optical disk.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150 outputs image data of the image IM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 to the display device 30 .

게임 제어부(110)는, 게임 장치(10)의 각 부를 제어한다. 또한, 게임 제어부(110)는, 게임 장치(10)에 있어서 실행되는 야구 게임 등의 경기 게임의 진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게임 제어부(110)는 취득부(111), 정보 수신부(112), 진행 제어부(113) 및 정보 송신부(114)를 갖는다.The game control unit 110 controls each part of the game device 10. Additionally, the gam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progress of a competitive game such as a baseball game played on the game device 10. For example, the game control unit 110 has an acquisition unit 111, an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2, a progress control unit 113, and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

이하에서는 주자 캐릭터(Crn) 및 타자 캐릭터(Cbt) 중 한쪽 또는 양쪽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게임 장치(10)는, 공격측의 게임 장치(10)라고도 칭해지고, 투수 캐릭터(Cpt)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게임 장치(10)는, 수비측의 게임 장치(10)라고도 칭해진다. 예를 들어, 게임 장치(10-1)가 주자 캐릭터(Crn)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고, 게임 장치(10-2)가 투수 캐릭터(Cpt)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게임 장치(10-1)는 공격측의 게임 장치(10)라고도 칭해지고, 게임 장치(10-2)는 수비측의 게임 장치(10)라고도 칭해진다.Hereinafter, the game device 10 used to operate one or both of the runner character (Crn) and the batter character (Cbt) is also referred to as the offensive game device 10 and is used to operate the pitcher character (Cpt). The game device 10 used for this purpose is also called the defense game device 10. For example, when the game device 10-1 is used to operate the runner character (Crn) and the game device 10-2 is used to manipulate the pitcher character (Cpt), the game device 10-1 ) is also called the game device 10 on the offensive side, and the game device 10-2 is also called the game device 10 on the defensive side.

취득부(111)는, 게임 장치(10)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제1 조작 정보」의 일례)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취득부(111)는, 게임 장치(10)의 유저가 조작부(170)를 조작한 경우에, 당해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취득한다. 즉, 취득부(111)는, 게임 장치(10)의 유저에 의한 조작을, 조작부(170)를 통하여 접수한다. 예를 들어, 공격측의 게임 장치(10)의 취득부(111)는, 주자 캐릭터(Crn)에 도루시키기 위한 조작(이하, 「도루 지시」라고도 칭함) 및 타자 캐릭터(Cbt)가 볼 오브젝트(Obl)를 치기 위한 조작(이하, 「타격 지시」라고도 칭함) 등을 조작부(170)를 통하여 접수한다. 또한, 수비측의 게임 장치(10)의 취득부(111)는, 투수 캐릭터(Cpt)에 투구시키기 위한 조작(이하, 「투구 지시」라고도 칭함)을 조작부(170)를 통하여 접수한다.The acquisition unit 111 acquires operation information (an example of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by the user of the game device 10.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game device 10 operates the operation unit 170, the acquisition unit 111 acquires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That is, the acquisition unit 111 accepts the user's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 through the operation unit 170. For example, the acquisition unit 111 of the game device 10 on the offensive side performs an operation for causing the runner character Crn to steal a bas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steal instruction”) and a ball object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teal instruction”) for the batter character Cbt. An operation to hit (Obl)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hitting instruction”) is receiv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170. Additionally, the acquisition unit 111 of the game device 10 on the defense side receives an operation to have the pitcher character Cpt pitch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pitching instruction”) through the operation unit 170.

여기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란, 게임 컨트롤러 등의 조작부(170)에 대한 유저의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유저의 조작에 할당된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조작부(170)에 마련된 복수의 조작 버튼 중, 하나의 조작 버튼을 유저가 누른 경우, 복수의 조작 버튼 중에서 하나의 조작 버튼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여도 된다. 혹은,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유저의 조작이 복수의 선택 메뉴 중에서 하나의 선택 메뉴를 선택하는 조작인 경우에, 복수의 선택 메뉴 중에서 하나의 선택 메뉴를 특정하는 정보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는, 유저의 조작이 복수의 선택 메뉴 "A", "B" 및 "C" 중에서 선택 메뉴 B를 선택하는 조작인 경우, 선택 메뉴 "B"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조작에 할당된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하나의 조작 버튼의 누름이, 게임에 관한 캐릭터를 위로 이동시키는 지시에 할당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가 하나의 조작 버튼을 누른 경우, 캐릭터를 위로 이동시키는 지시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Here, the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the user's operation on the operation unit 170, such as a game controller, or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ocessing assigned to the user's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operation” may be information for specifying one operation button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one operation button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170. Alternatively,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operation” may be information that specifies one selection menu from the plurality of selection menus, for example, when the user’s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selecting one selection menu from the plurality of selection menus. Specifically, “information indicating operation” means that when the user’s operation is to select selection menu B from a plurality of selection menus “A”, “B” and “C”, selection menu “B” is selected. It may be information that represents. In addition, “information indicating processing assigned to an operation” is,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one operation button while the press of one operation button is assigned to an instruction to move the character in the game upward. ,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instructions to move the character upward.

정보 수신부(112)는,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10)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제2 조작 정보」의 일례)를 통신부(150)를 통하여 수신한다. 여기서, 2개의 게임 장치(10)가 협동으로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시스템(1)에서는, 예를 들어 2개의 게임 장치(10) 중 한쪽에 착안한 경우, 2개의 게임 장치(10) 중 다른 쪽이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10)」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공격측의 게임 장치(10)의 정보 수신부(112)는, 수비측의 게임 장치(10)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하여 수신한다. 마찬가지로, 수비측의 게임 장치(10)의 정보 수신부(112)는, 공격측의 게임 장치(10)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하여 수신한다. 또한, 정보 수신부(112)는, 다른 게임 장치(10)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제2 결과 정보」의 일례)를 통신부(150)를 통하여 수신한다. 이하에서는, 다른 게임 장치(10)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는, 다른 게임 장치(10)의 조작 정보라고도 칭해지고, 다른 게임 장치(10)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는, 다른 게임 장치(10)의 결과 정보라고도 칭해진다.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receive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operation information (an example of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operations by a user of another game device 10 executing the game. Here, in the game system 1 in which two game devices 10 cooperate to play a game, for example, when focusing on one of the two game devices 10, the other of the two game devices 10 This corresponds to “another game device 10 that runs the game.” For example,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of the attacking game device 10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by the user of the defending game devic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Similarly,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of the game device 10 on the defending side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by the user of the game device 10 on the attacking 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Additionally,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receives result information (an example of “second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ogress of a game in another game devic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 Hereinafter, the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by the user of the other game device 10 is also referred to a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game device 10, and indicates the progress result of the game in the other game device 10. Result information is also called result information of another game device 10.

진행 제어부(113)는, 취득부(111)에 의해 취득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키는 결과 동기 모드(「제1 진행 모드」의 일례)와, 취득부(111)에 의해 취득된 조작 정보 및 다른 게임 장치(10)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키는 입력 동기 모드(「제2 진행 모드」의 일례)에 의해, 게임의 진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진행 제어부(113)는, 결과 동기 모드와 입력 동기 모드를 게임의 상황에 따라 전환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 또한, 결과 동기 모드에서는, 다른 게임 장치(10)의 조작 정보, 즉 다른 게임 장치(10)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는, 게임의 진행에 사용되지 않는다. 단, 결과 동기 모드에서는, 후술하는 다른 게임 장치(10)의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도 있다.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provides a result synchronization mode (an example of the “first progress mode”) for advancing the gam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111, and the operation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111. The progress of the game is controlled by an input synchronization mode (an example of the “second progression mode”) that advances the game based on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other game devices 10. For exampl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switches betwee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and the input synchronization mode according to the game situation to advance the game. Additionally, i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operation information of other game devices 10, that is,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operations by users of other game devices 10, is not used in the progress of the game. However, i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there are cases where the game is played based on result information from another game device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진행 제어부(113)는, 예를 들어 전처리부(1131) 및 후처리부(1132)를 갖는다. 전처리부(1131)는, 결과 동기 모드에서는, 취득부(111)에 의해 취득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 또한, 결과 동기 모드에서는, 전처리부(1131)에 의한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제1 결과 정보」의 일례)는, 후술하는 정보 송신부(114)에 의해 다른 게임 장치(10)에 송신된다. 또한, 입력 동기 모드에서는, 전처리부(1131)는, 취득부(111)에 의해 취득된 조작 정보와, 정보 수신부(112)에서 수신된 조작 정보(다른 게임 장치(10)의 조작 정보)의 조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 입력 동기 모드에서는, 전처리부(1131)에 의한 게임의 진행 결과는, 다른 게임 장치(10)에 통지되지 않아도 된다.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has, for example, a pre-processing unit 1131 and a post-processing unit 1132. The preprocessing unit 1131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111 in the result synchronous mode. Additionally, i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result information (an example of “first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ogress of the game by the pre-processing unit 1131 is sent to another game device 10 by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transmitted. Additionally, in the input synchronous mode, the preprocessing unit 1131 combines the oper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111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2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game device 10). The game progresses based on this. In the input synchronous mode, the results of the game progress by the pre-processing unit 1131 do not need to be notified to other game devices 10.

후처리부(1132)는, 전처리부(1131)에 의한 게임의 진행 결과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 또한, 결과 동기 모드에서는, 후처리부(1132)는, 정보 수신부(112)가 다른 게임 장치(10)의 결과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다른 게임 장치(10)의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 이에 의해, 다른 게임 장치(10)의 유저에 의한 조작을 게임의 진행에 반영시킬 수 있다.The post-processing unit 1132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game progress by the pre-processing unit 1131. Additionally, i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the post-processing unit 1132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other game device 10 when th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2 receives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other game device 10. . Thereby, operations by users of other game devices 10 can be reflected in the progress of the game.

여기서,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이란, 게임을 진행시키는 갱신 타이밍에 있어서, 게임의 상황을 갱신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이란, 게임을 진행시키는 갱신 타이밍에 있어서, 게임의 상황을 갱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이란, 게임을 진행시키는 갱신 타이밍에 있어서, 게임의 상황을 갱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게임의 상황을 갱신하는 경우, 갱신 후의 게임의 상황을 결정하는 처리여도 된다. 「갱신 타이밍」은, 예를 들어 표시부(31)에 표시되는 화상(IMG)을 갱신하는 타이밍이어도 된다. 또한, 「갱신 타이밍」은, 게임 장치(10)가 게임을 실행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주기적 또는 정기적으로 도래하는 타이밍이어도 된다.Here, “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game” may be a process of updating the game situation at the update timing to advance the game. Additionally, “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game” may be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update the game situation in the update timing for advancing the game. Additionally, “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game” refers to processing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update the game situation at the update timing for advancing the game, and when updating the game situation, determines the game situation after the update. do. The “update timing” may be, for example, a timing for updating the image (IM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 Additionally, the “update timing” may be a timing that occurs periodically or regularly during the period when the game device 10 is playing the game.

또한, 「게임의 상황」이란, 예를 들어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게임 요소의 상황이어도 된다. 「게임 요소의 상황」은, 게임 요소의 위치 및 상태 등이어도 된다. 「게임 요소의 상태」란, 게임 요소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개념이어도 된다. 「게임 요소의 움직임」으로서는, 예를 들어 야구 게임의 경우, 투구, 타격, 도루 등의 캐릭터의 행동이 해당된다.Additionally, the “game situation” may be, for example, the situation of game elements in a virtual space related to the game. The “situation of game elements” may be the position and state of game elements, etc. The “state of game elements” may be a concept that includes the movement of game elements. “Movements of game elements” includ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aseball game, character actions such as pitching, batting, and stealing.

따라서, 「결과 동기 모드」는, 게임을 진행시키는 갱신 타이밍에 있어서, 조작 정보가 취득부(111)에 의해 취득된 경우에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의 상황을 갱신하고, 결과 정보가 정보 수신부(112)에 의해 수신된 경우에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의 상황을 갱신하는 진행 모드여도 된다. 또한, 「입력 동기 모드」는, 게임을 진행시키는 갱신 타이밍에 있어서, 2개의 게임 장치(10)의 양쪽의 조작 정보가 일치된 경우에, 양쪽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의 상황을 갱신하는 진행 모드여도 된다.Therefore,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updates the game situation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111 at the update timing for advancing the game, and the resul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reception unit ( When received by 112), it may be a progress mode in which the game situation is updated based on the resul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input synchronous mode” is a method of updating the game situation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both game devices 10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both sides of the two game devices 10 match in the update timing for advancing the game. It may be in progress mode.

또한, 후처리부(1132)는,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IMG)을 표시부(31)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후처리부(1132)는, 결과 동기 모드 또는 입력 동기 모드에 의해 갱신된 게임의 상황에 대응하는 화상(IMG)을 표시부(31)에 표시시킨다.Additionally, the post-processing unit 1132 displays an image (IMG) indicating the progress of the game on the display unit 31. For example, the post-processing unit 1132 causes the display unit 31 to display an image (IMG) corresponding to the game situation updated by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or the input synchronization mode.

정보 송신부(114)는, 진행 제어부(113)가 결과 동기 모드에 의해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진행 제어부(113)에 의한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를 다른 게임 장치(10)에 통신부(150)를 통하여 송신한다. 또한, 진행 제어부(113)에 의한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처리부(1131)에 의한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이다.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vances the game i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 transmits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ogress of the game by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to the other game devic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 is transmitted through. In addition, the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sult of the game progress by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is, for example,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sult of the game progress by the pre-processing unit 1131,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결과 정보」는, 「결과 동기 모드」에 있어서 갱신된 게임의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공격측의 게임 장치(10)에 착안한 경우, 「결과 정보」는, 도루 지시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도루의 개시를 지시하는 도루 정보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수비측의 게임 장치(10)에 착안한 경우, 「결과 정보」는, 투구 지시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구종" 및 "코스" 등에 따라 투구하는 투수 캐릭터(Cpt)의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투구 정보여도 된다.Here, the “resul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game updated i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For example, when focusing on the game device 10 on the offensive side, the “result information” may be stolen base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rt of a stolen base determined based on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 of the stolen base instruction. In addition, for example, when focusing on the game device 10 on the defensive side, the “result information” is a pitcher character (Cpt) who pitches according to the “pitch type” and “course” determine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 of the pitching instruction. ) may be pitch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rt of the action.

또한, 정보 송신부(114)는, 진행 제어부(113)가 입력 동기 모드에 의해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취득부(111)에 의해 취득된 조작 정보를, 다른 게임 장치(10)에 통신부(150)를 통하여 송신한다.Additionally,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vances the game in the input synchronization mode,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111 to the communication unit 150 to the other game device 10. It is transmitted through.

기억부(130)는, 게임 장치(10)에 있어서 실행되는 야구 게임의 진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와, 게임 장치(10)의 제어 프로그램(RPG)을 기억한다. 제어 프로그램(RPG)은, 게임 장치(10)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프로그램(RPG)은, 예를 들어 게임 장치(10)의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오퍼레이션 시스템 프로그램, 및 게임 장치(10)가 야구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프로그램」의 일례)을 포함한다. 이 중,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게임 장치(10)의 유저가 야구 게임을 개시하는 경우에, 정보 읽기부(190)로부터 읽어들여져, 기억부(130)에 기억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게임 장치(10)의 구성은, 도 3에 도시하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torage unit 130 stores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gress of the baseball game played on the game device 10 and a control program (RPG) of the game device 10. The control program (RPG) is a program that controls the game device 10.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program (RPG) is, for example, an operation system program for controlling each part of the game device 10, and an application program (of “program”) for the game device 10 to execute a baseball game. Includes an example). Among thes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read from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190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game device 10 starts a baseball game. Addition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game device 10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shown in FIG. 3.

도 4는, 게임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game device 10.

게임 장치(10)는, 게임 장치(10)의 각 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1)와,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13)와, 게임 장치(10)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장치(15)와, 게임 장치(10)의 유저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입력 조작 장치(17)와,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디스크 장치(19)를 갖는다.The game device 10 includes a processor 11 that controls each part of the game device 10, a memory 13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existing outside the game device 10. It has a communication device 15 for performing operations, an input operation device 17 for accepting operations by the user of the game device 10, and a disk device 19 for reading information from a recording medium.

메모리(13)는 비일과성(non-transitory) 기록 매체이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11)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와, 게임 장치(10)의 제어 프로그램(RPG)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며, 기억부(130)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프로그램(RPG)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메모리(13)를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프로그램(RPG)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는, 게임 장치(10)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에 마련된 기억 장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 프로그램(RPG)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는, 게임 장치(10)의 외부에 존재하고, 제어 프로그램(RPG)을 배신하는 배신 서버에 마련되며, 제어 프로그램(RPG)을 기록한 기억 장치여도 된다.The memory 13 is a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volatile memory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that functions as the work area of the processor 11, and a control program of the game device 10 ( It includes non-volatile memory such as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RPG) and provides a function as a memory unit 130.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memory 13 is exemplified as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control program (RPG) is recor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spect.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control program (RPG) is recorded may be a storage device provided in an external device existing outside the game device 10.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control program (RPG) is recorded is a memory that exists outside the game device 10, is provided on a distribution server that distributes the control program (RPG), and records the control program (RPG). It may be a device.

프로세서(11)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며, 메모리(1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RPG)을 실행하고, 당해 제어 프로그램(RPG)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게임 제어부(110)로서 기능한다.The processor 11 is, for example,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nd executes a control program (RPG) stored in the memory 13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RPG), thereby serving as the game control unit 110. It functions.

통신 장치(15)는,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 중 한쪽 또는 양쪽을 통하여, 게임 장치(10)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이며, 통신부(150)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The communication device 15 is hardwar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existing outside the game device 10 through one or both of a wired network and a wireless network, and provides a function as the communication unit 150. .

입력 조작 장치(17)는, 게임 장치(10)의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170)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입력 조작 장치(17)는, 예를 들어 조작 버튼, 터치 패널, 키보드, 조이스틱 및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기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The input operation device 17 provides a function as an operation unit 170 that accepts the user's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 The input operation device 17 may be comprised of one or more devices, including some or all of pointing devices such as operation buttons, a touch panel, a keyboard, a joystick, and a mouse, for example.

디스크 장치(19)는, 예를 들어 광 디스크 장치이며, 광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제어 프로그램(RPG) 등의 각종 정보를 읽어들이는 정보 읽기부(190)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The disk device 19 is, for example, an optical disk device, and provides a function as an information reading unit 190 that read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control program (RPG)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n optical disk.

또한, 프로세서(11)는, CPU에 추가하여 또는 CPU 대신에, GPU(Graphics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프로세서(11)에 의해 실현되는 게임 제어부(110)의 일부 또는 전부는, DSP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프로세서(11)는, 하나 또는 복수의 CPU와, 하나 또는 복수의 하드웨어 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가 복수의 CP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게임 제어부(110)의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은, 이들 복수의 CPU가 야구 게임에 관한 프로그램에 따라 협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실현되어도 된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1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hardware such as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o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in addition to or instead of the CPU. In this case, part or all of the game control unit 110 realized by the processor 11 may be realized by hardware such as a DSP. Additionally, the processor 1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e or more CPUs and part or all of one or more hardware elements. For example, when the processor 11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CPUs,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game control unit 110 may be realized by these plural CPUs operating cooperatively according to a program related to a baseball game. do.

[4. 게임 장치의 동작][4. [Operation of gaming device]

도 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게임 장치(10)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결과 동기 모드 및 입력 동기 모드의 개요를 설명한다.5 to 16,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 will be described. First, an overview of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and the input synchronization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도 5는, 결과 동기 모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5는, 조작 정보(IINF)(IINF-1, IINF-2) 및 결과 정보(RINF)(RINF-1, RINF-2) 등의 정보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조작 정보(IINF-1)는, 게임 장치(10-1)의 유저 U1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이고, 조작 정보(IINF-2)는, 게임 장치(10-2)의 유저 U2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이다. 결과 정보(RINF-1)는, 게임 장치(10-1)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RINF)이고, 결과 정보(RINF-2)는, 게임 장치(10-2)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RINF)이다. 또한, 화상 데이터(DIMG1)(DIMG1-1, DIMG1-2)는, 결과 동기 모드에 있어서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DIMG)를 나타낸다. 또한, 화상 데이터(DIMG1-1)는, 표시부(31-1)에 표시되는 화상(IMG)의 화상 데이터(DIMG1)이고, 화상 데이터(DIMG1-2)는, 표시부(31-2)에 표시되는 화상(IMG)의 화상 데이터(DIMG1)이다. 도 5에서는, 정보의 흐름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기억부(130) 및 통신부(150) 등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Fig. 5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utline of the resulting synchronization mode. Additionally, Fig. 5 schematically shows the flow of information such as operation information (IINF) (IINF-1, IINF-2) and result information (RINF) (RINF-1, RINF-2).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is operation information IINF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by user U1 of the game device 10-1,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 i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 of the game device 10-2. This is operation information (IINF)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by user U2. Result information (RINF-1) is result information (RINF) indicating the progress result of the game in game device 10-1, and result information (RINF-2) is result information (RINF-2) in game device 10-2. This is result information (RINF) that represents the progress results of the game. Additionally, image data DIMG1 (DIMG1-1, DIMG1-2) represents image data DIMG generated in result synchronization mode. In addition, image data DIMG1-1 is image data DIMG1 of the image IM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1, and image data DIMG1-2 is image data DIMG1 of the image IM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2. This is image data (DIMG1) of the image (IMG). In FIG. 5 , description of the storage unit 1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50 is omitted to make the flow of information easier to understand.

게임 장치(10-1)에 착안한 경우, 조작 정보(IINF-1)는 「제1 조작 정보」의 일례이고, 조작 정보(IINF-2)는 「제2 조작 정보」의 일례이고, 결과 정보(RINF-1)는 「제1 결과 정보」의 일례이고, 결과 정보(RINF-2)는 「제2 결과 정보」의 일례이다. 또한, 게임 장치(10-2)에 착안한 경우, 조작 정보(IINF-2)는 「제1 조작 정보」의 일례이고, 조작 정보(IINF-1)는 「제2 조작 정보」의 일례이고, 결과 정보(RINF-2)는 「제1 결과 정보」의 일례이고, 결과 정보(RINF-1)는 「제2 결과 정보」의 일례이다. 도 5에서는, 게임 장치(10-1)의 유저 U1이 조작부(170-1)를 조작한 경우의 게임 장치(10-1 및 10-2)의 동작을 중심으로 하여, 유저 U1 및 U1의 각각의 조작이 게임의 진행에 반영될 때까지의 조작 정보(IINF) 등의 흐름을 설명한다.Focusing on the game device 10-1, operation information IINF-1 is an example of “first operation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IINF-2 is an example of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and result information (RINF-1) is an example of “first result information,” and result information (RINF-2) is an example of “second result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focusing on the game device 10-2, operation information IINF-2 is an example of “first operation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IINF-1 is an example of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Result information (RINF-2) is an example of “first result information,” and result information (RINF-1) is an example of “second result information.” In FIG. 5 , focusing on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when user U1 of the game device 10-1 operates the operation unit 170-1, the respective actions of users U1 and U1 are shown in FIG. The flow of operation information (IINF), etc., until the operation is reflected in the progress of the game is explained.

우선, 게임 장치(10-1)의 유저 U1이 조작부(170-1)를 조작하면, 취득부(111-1)는, 유저 U1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1)를 조작부(170-1)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취득부(111-1)는, 조작 정보(IINF-1)를 기억부(130) 등을 통하여 조작부(170-1)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그리고, 취득부(111-1)는, 조작 정보(IINF-1)를 진행 제어부(113-1)의 전처리부(1131-1)에 출력한다.First, when user U1 of the game device 10-1 operates the operation unit 170-1, the acquisition unit 111-1 sends operation information (IINF-1)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by the user U1 to the operation unit 170-1. Obtained from (170-1). Additionally, the acquisition unit 111-1 may acquire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from the operation unit 170-1 through the storage unit 130 or the like. Then, the acquisition unit 111-1 output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to the preprocessing unit 1131-1 of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전처리부(1131-1)는, 조작 정보(IINF-1)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 그리고, 전처리부(1131-1)는,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RINF-1)를, 정보 송신부(114-1) 및 후처리부(1132-1)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전처리부(1131-1)는, 조작 정보(IINF-1)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 경우의 게임의 상황을 결정하고, 결정한 게임의 상황(즉, 게임의 진행 결과)을 나타내는 결과 정보(RINF-1)를 정보 송신부(114-1) 및 후처리부(1132-1)에 출력한다. 정보 송신부(114-1)는, 결과 정보(RINF-1)를 게임 장치(10-2)에 송신한다.The preprocessing unit 1131-1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Then, the pre-processing unit 1131-1 outputs result information (RINF-1) indicating the progress of the game to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14-1 and the post-processing unit 1132-1. For example, the preprocessor 1131-1 determines the game situation when the game is playe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and indicates the determined game situation (i.e., game progress result). The result information (RINF-1) is output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1 and the post-processing unit 1132-1.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1 transmits result information (RINF-1) to the game device 10-2.

후처리부(1132-1)는, 결과 정보(RINF-1)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 예를 들어, 후처리부(1132-1)는, 게임의 상황이 결과 정보(RINF-1)로 나타내어지는 상황으로 되도록 게임을 진행시킨다. 그리고, 후처리부(1132-1)는, 표시부(31-1)에 표시하는 화상(IMG)의 화상 데이터(DIMG1-1)를 게임의 진행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화상 데이터(DIMG1-1)를 표시 장치(30-1)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유저 U1에 의한 조작에 따라 갱신된 화상(IMG)이 표시부(31-1)에 표시된다.The post-processing unit 1132-1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result information (RINF-1). For example, the post-processing unit 1132-1 advances the game so that the game situation becomes the situation indicated by the result information (RINF-1). Then, the post-processing unit 1132-1 generates image data DIMG1-1 of the image IM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1 based on the progress of the game, and generates the generated image data DIMG1-1. 1) is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30-1. As a result, the image (IMG) upd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by user U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1.

또한, 게임 장치(10-1)에서는, 게임 장치(10-2)가 결과 정보(RINF-2)를 송신하면, 정보 수신부(112-1)가 결과 정보(RINF-2)를 수신한다. 그리고, 정보 수신부(112-1)는, 결과 정보(RINF-2)를 진행 제어부(113-1)의 후처리부(1132-1)에 출력한다. 또한, 결과 정보(RINF-2)는, 예를 들어 게임 장치(10-2)의 전처리부(1131-2)가 조작 정보(IINF-2)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 경우에, 게임 장치(10-2)로부터 게임 장치(10-1)로 송신된다.Additionally, in the game device 10-1, when the game device 10-2 transmits the result information (RINF-2),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1 receives the result information (RINF-2). The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1 outputs the result information (RINF-2) to the post-processing unit 1132-1 of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In addition, the result information (RINF-2) is, for example, when the preprocessing unit 1131-2 of the game device 10-2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 the game device ( 10-2) to the game device 10-1.

후처리부(1132-1)는, 결과 정보(RINF-2)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 그리고, 후처리부(1132-1)는, 표시부(31-1)에 표시하는 화상(IMG)의 화상 데이터(DIMG1-1)를 게임의 진행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화상 데이터(DIMG1-1)를 표시 장치(30-1)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유저 U2에 의한 조작에 따라 갱신된 화상(IMG)이 표시부(31-1)에 표시된다.The post-processing unit 1132-1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result information (RINF-2). Then, the post-processing unit 1132-1 generates image data DIMG1-1 of the image IM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1 based on the progress of the game, and generates the generated image data DIMG1-1. 1) is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30-1. As a result, the image (IMG) upd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by user U2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1.

또한, 조작 정보(IINF)(IINF-1, IINF-2) 및 결과 정보(RINF)(RINF-1, RINF-2) 등의 정보의 전송은, 기억부(130) 등을 통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게임 장치(10-2)의 동작은,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게임 장치(10) 등의 부호의 말미의 숫자(하이픈 뒤의 숫자) "1" 및 "2"를 서로 교체함으로써 설명된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면서, 게임 장치(10-1 및 10-2)의 결과 동기 모드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Additionally, transmission of information such as operation information (IINF) (IINF-1, IINF-2) and result information (RINF) (RINF-1, RINF-2)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storage unit 130 or the like.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2 is explained by replacing the numbers "1" and "2" at the end of the code for the game device 10, etc. (numbers after the hyphen) with each other in the above description. Next, referring to FIG. 6,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in the resulting synchronous mode will be described.

도 6은, 게임 시스템(1)의 결과 동기 모드에 있어서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6에서는, 복수의 조작 정보(IINF-1)를 서로 구별하기 위해, 부호의 말미에 소문자 알파벳(a, b, c, d)을 첨부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조작 정보(IINF-2)를 서로 구별하기 위해, 부호의 말미에 소문자 알파벳(a, b, c, d)을 첨부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조작 정보 취득(S114, S214)은 취득부(11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이고, 전처리(S116, S216)는 전처리부(113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이고, 후처리(S122, S222)는 후처리부(113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이다.Fig. 6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game system 1 i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In Figure 6, in order to distinguish a plurality of operation information (IINF-1) from each other, lowercase alphabet letters (a, b, c, d) are attached to the end of the symbols. Similarly, in order to distinguish a plurality of operation information (IINF-2) from each other, lowercase alphabet letters (a, b, c, d) are attached to the end of the code. In addition, oper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S114, S214) shown in FIG. 6 is processing executed by the acquisition unit 111, preprocessing (S116, S216) is processing executed by the preprocessing unit 1131, and postprocessing ( S122, S222) is processing performed by the post-processing unit 1132.

또한, 도 6에 도시한 시각 T13, T23, T33, T43 및 T53의 간격은, 게임 장치(10-1)에 있어서의 게임의 갱신 타이밍의 주기에 대응하고, 시각 T14, T24, T34, T44 및 T54의 간격은, 게임 장치(10-2)에 있어서의 게임의 갱신 타이밍의 주기에 대응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게임 장치(10-2)에 있어서 게임이 갱신되는 시각은, 게임 장치(10-1)에 있어서 게임이 갱신되는 시각보다 후의 시각이다. 또한, 게임 장치(10-2)에 있어서 게임이 갱신되는 시각은, 게임 장치(10-1)에 있어서 게임이 갱신되는 시각보다 전의 시각이어도 되고, 게임 장치(10-1)에 있어서 게임이 갱신되는 시각과 동일한 시각이어도 된다.Additionally, the intervals between times T13, T23, T33, T43, and T53 shown in FIG. 6 correspond to the cycle of the game update timing in the game device 10-1, and the intervals at times T14, T24, T34, T44, and The interval of T54 corresponds to the cycle of the update timing of the game in the game device 10-2.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the time when the game is updated in the game device 10-2 is later than the time when the game is updated in the game device 10-1. Additionally, the time at which the game is updated on the game device 10-2 may be a time earlier than the time at which the game is updated on the game device 10-1, and the time at which the game is updated on the game device 10-1 It may be the same time as the start time.

도 6에서는, 조작 정보(IINF-1c)로 나타내어지는 조작이 게임 장치(10-2)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에 반영되는 조작이고, 조작 정보(IINF-2b)로 나타내어지는 조작이 게임 장치(10-1)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에 반영되는 조작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조작 정보(IINF-1a, IINF-1b 및 IINF-1d)의 각각으로 나타내어지는 조작은, 게임 장치(10-2)에 반영할 필요가 없는 조작이다. 또한, 조작 정보(IINF-2a, IINF-2c 및 IINF-2d)의 각각으로 나타내어지는 조작은, 게임 장치(10-1)에 반영할 필요가 없는 조작이다.In FIG. 6, the operation indicated by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c is an operation reflected in the progress of the game in the game device 10-2, and the operation shown by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b is the operation shown by the game device 10-2. The case where the operation is reflected in the progress of the game in 10-1) will be explained. That is, the operations indicated by each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a, IINF-1b, and IINF-1d are operations that do not need to be reflected in the game device 10-2. Additionally, the operations indicated by each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a, IINF-2c, and IINF-2d) are operations that do not need to be reflected in the game device 10-1.

우선, 시각 T11에 있어서, 게임 장치(10-1)의 취득부(111-1)는 조작 정보(IINF-1a)를 취득한다(S114). 그리고, 시각 T13에 있어서, 전처리부(1131-1)가 조작 정보(IINF-1a)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S116). 또한, 시각 T15에 있어서, 후처리부(1132-1)가 전처리부(1131-1)에 의한 게임의 진행 결과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S122). 이에 의해, 게임 장치(10-1)에서는, 게임의 상황이 조작 정보(IINF-1a)에 따른 상황으로 갱신된다.First, at time T11, the acquisition unit 111-1 of the game device 10-1 acquires operation information (IINF-1a) (S114). Then, at time T13, the preprocessor 1131-1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a) (S116). Additionally, at time T15, the post-processing unit 1132-1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game progress result by the pre-processing unit 1131-1 (S122). As a result, in the game device 10-1, the game situation is updated to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a).

또한, 시각 T12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취득부(111-2)는 조작 정보(IINF-2a)를 취득한다(S214). 그리고, 시각 T14에 있어서, 전처리부(1131-2)가 조작 정보(IINF-2a)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S216). 또한, 시각 T16에 있어서, 후처리부(1132-2)가 전처리부(1131-2)에 의한 게임의 진행 결과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S222). 이에 의해, 게임 장치(10-2)에서는, 게임의 상황이 조작 정보(IINF-2a)에 따른 상황으로 갱신된다.Additionally, at time T12, the acquisition unit 111-2 of the game device 10-2 acqui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a) (S214). Then, at time T14, the preprocessor 1131-2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a) (S216). Additionally, at time T16, the post-processing unit 1132-2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game progress result by the pre-processing unit 1131-2 (S222). As a result, in the game device 10-2, the game situation is updated to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a).

시각 T21, T23 및 T25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1)의 동작은, 조작 정보(IINF-1a) 대신에 조작 정보(IINF-1b)가 취득되는 것을 제외하고, 시각 T11, T13 및 T15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1)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1 at times T21, T23, and T25 is performed at times T11, T13, and T15, except that operation information (IINF-1b) is acquired instead of operation information (IINF-1a). This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1.

시각 T22, T24 및 T26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2)의 동작은, 조작 정보(IINF-2a) 대신에 조작 정보(IINF-2b)가 취득되는 것을 제외하고, 시각 T12, T14 및 T16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2)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단, 조작 정보(IINF-2b)로 나타내어지는 조작은, 게임 장치(10-1)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에 반영되는 조작이다. 이 때문에, 시각 T24에 있어서, 전처리부(1131-2)가 조작 정보(IINF-2b)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키면(S216), 정보 송신부(114-2)는,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RINF-2)를 게임 장치(10-1)에 송신한다(S218).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2 at times T22, T24, and T26 is performed at times T12, T14, and T16, except that operation information (IINF-2b) is acquired instead of operation information (IINF-2a). This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2. However, the operation indicated by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b) is an operation that is reflected in the progress of the game in the game device 10-1. For this reason, at time T24, when the preprocessing unit 1131-2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b (S216),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14-2 produces a result indicating the progress of the game. Information (RINF-2) is transmitted to the game device 10-1 (S218).

그리고, 시각 T31에 있어서, 게임 장치(10-1)의 정보 수신부(112-1)는 결과 정보(RINF-2)를 수신한다(S132). 이에 의해, 시각 T33에 있어서, 후처리부(1132-1)가 결과 정보(RINF-2)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S136). 이 결과, 게임 장치(10-1)에 있어서도, 게임의 상황은 조작 정보(IINF-2b)에 따른 상황으로 갱신된다. 즉, 게임 장치(10-1)에서는, 시각 T25에 있어서, 조작 정보(IINF-1b)에 따라 갱신된 게임의 상황에 대응하는 화상(IMG)이 표시부(31-1)에 표시되고, 시각 T33에 있어서, 조작 정보(IINF-2b)에 따라 갱신된 게임의 상황에 대응하는 화상(IMG)이 표시부(31-1)에 표시된다.Then, at time T31,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1 of the game device 10-1 receives the result information (RINF-2) (S132). Accordingly, at time T33, the post-processing unit 1132-1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result information (RINF-2) (S136). As a result, even in the game device 10-1, the game situation is updated to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b). That is, in the game device 10-1, at time T25, an image (IMG) corresponding to the game situation upd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b)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1, and at time T33. In , an image (IMG) corresponding to the game situation upd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b)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1.

시각 T32, T34 및 T36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2)의 동작은, 조작 정보(IINF-2a) 대신에 조작 정보(IINF-2c)가 취득되는 것을 제외하고, 시각 T12, T14 및 T16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2)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2 at times T32, T34, and T36 is performed at times T12, T14, and T16, except that operation information (IINF-2c) is acquired instead of operation information (IINF-2a). This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2.

시각 T41, T43 및 T45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1)의 동작은, 조작 정보(IINF-1a) 대신에 조작 정보(IINF-1c)가 취득되는 것을 제외하고, 시각 T11, T13 및 T15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1)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단, 조작 정보(IINF-1c)로 나타내어지는 조작은, 게임 장치(10-2)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에 반영되는 조작이다. 이 때문에, 시각 T43에 있어서, 전처리부(1131-1)가 조작 정보(IINF-1c)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키면(S116), 정보 송신부(114-1)는,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RINF-1)를 게임 장치(10-2)에 송신한다(S118).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1 at times T41, T43, and T45 is performed at times T11, T13, and T15, except that operation information (IINF-1c) is acquired instead of operation information (IINF-1a). This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1. However, the operation indicated by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c is an operation that is reflected in the progress of the game in the game device 10-2. For this reason, at time T43, when the preprocessing unit 1131-1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c (S116),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14-1 produces a result indicating the progress of the game. Information (RINF-1) is transmitted to the game device 10-2 (S118).

그리고, 시각 T50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정보 수신부(112-2)는 결과 정보(RINF-1)를 수신한다(S232). 이에 의해, 시각 T54에 있어서, 후처리부(1132-2)가 결과 정보(RINF-1)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S236). 이 결과, 게임 장치(10-2)에 있어서도, 게임의 상황은 조작 정보(IINF-1c)에 따른 상황으로 갱신된다. 즉, 게임 장치(10-2)에서는, 시각 T46에 있어서, 조작 정보(IINF-2d)에 따라 갱신된 게임의 상황에 대응하는 화상(IMG)이 표시부(31-2)에 표시되고, 시각 T54에 있어서, 조작 정보(IINF-1c)에 따라 갱신된 게임의 상황에 대응하는 화상(IMG)이 표시부(31-2)에 표시된다.Then, at time T50,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2 of the game device 10-2 receives the result information (RINF-1) (S232). Accordingly, at time T54, the post-processing unit 1132-2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result information (RINF-1) (S236). As a result, also in the game device 10-2, the game situation is updated to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c). That is, in the game device 10-2, the image (IMG) corresponding to the game situation upd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2 at time T46, and at time T54. In , an image (IMG) corresponding to the game situation upd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c)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2.

시각 T51, T53 및 T55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1)의 동작은, 조작 정보(IINF-1a) 대신에 조작 정보(IINF-1d)가 취득되는 것을 제외하고, 시각 T11, T13 및 T15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1)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과 동기 모드에서는, 다른 게임 장치(10)의 조작 정보(IINF)는 게임의 진행에 사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결과 동기 모드에서는, 다른 게임 장치(10)의 조작 정보(IINF)를 게임의 진행에 사용하는 입력 동기 모드에 비하여, 취득부(111)가 조작 정보(IINF)를 취득하고 나서 표시부(31)에 표시되는 화상(IMG)이 갱신될 때까지의 지연을 작게 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1 at times T51, T53, and T55 is performed at times T11, T13, and T15, except that operation information (IINF-1d) is acquired instead of operation information (IINF-1a). This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1. As shown in Fig. 6, i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of other game devices 10 is not used to progress the game. For this reason, in the result synchronous mode, compared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in which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of other game devices 10 is used to progress the game, the acquisition unit 111 acqui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and then displays ( The delay until the image (IMG) displayed in 31) is updated can be reduced.

또한, 게임 시스템(1)의 결과 동기 모드에 있어서의 동작은, 도 6에 도시하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진행 제어부(113)는, 갱신 타이밍에 있어서, 취득부(111)에 의해 취득된 조작 정보(IINF)와 정보 수신부(112)에 의해 수신된 결과 정보(RINF)의 양쪽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켜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게임 장치(10-1)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에 반영할 필요가 없는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1)에 기초하여 게임이 진행되는 경우, 후처리부(1132-1)의 처리(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DIMG1-1)의 생성 등)를 전처리부(1131-1)가 실행해도 된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면서, 입력 동기 모드에 있어서, 유저의 조작이 게임의 진행에 반영될 때까지의 조작 정보(IINF) 등의 흐름을 설명한다.Additionally, the operation of the game system 1 in the result synchronous mode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shown in FIG. 6. For exampl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t update timing, based on both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111 and the result information (RINF) received by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You may proceed with the game. Additionally, for example, in the game device 10-1, when a game is played based on operation information (IINF-1) indicating the contents of operations that do not need to be reflected in the game device 10-2, The pre-processing unit 1131-1 may perform the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unit 1132-1 (for example, generation of image data DIMG1-1, etc.). Next, with reference to Fig. 7, the flow of operation information (IINF) etc. in the input synchronization mode until the user's operation is reflected in the progress of the game will be explained.

도 7은, 입력 동기 모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7은, 조작 정보(IINF)(IINF-1, IINF-2) 및 결과 정보(RINF)(RINF-1, RINF-2) 등의 정보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도, 도 5와 마찬가지로, 정보의 흐름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기억부(130) 및 통신부(150) 등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입력 동기 모드에서는, 결과 정보(RINF)가 다른 게임 장치(10)에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도 7에서는, 진행 제어부(113)에 포함되는 전처리부(1131) 및 후처리부(1132)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DIMG2)(DIMG2-1, DIMG2-2)는, 입력 동기 모드에 있어서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DIMG)를 나타낸다. 또한, 화상 데이터(DIMG2-1)는, 표시부(31-1)에 표시되는 화상(IMG)의 화상 데이터(DIMG2)이고, 화상 데이터(DIMG2-2)는, 표시부(31-2)에 표시되는 화상(IMG)의 화상 데이터(DIMG2)이다. 도 5와 마찬가지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ig. 7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utline of the input synchronization mode. Additionally, Fig. 7 schematically shows the flow of information such as operation information (IINF) (IINF-1, IINF-2) and result information (RINF) (RINF-1, RINF-2). Also, in FIG. 7 , similarly to FIG. 5 , description of the storage unit 1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50, etc. is omitted to make the flow of information easier to understand. Additionally, in the input synchronous mode, since the result information (RINF) is not transmitted to other game devices 10, in FIG. 7, the pre-processing unit 1131 and the post-processing unit 1132 included in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re described. is being omitted. Additionally, image data DIMG2 (DIMG2-1, DIMG2-2) represents image data DIMG generated in input synchronous mode. In addition, image data DIMG2-1 is image data DIMG2 of the image IM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1, and image data DIMG2-2 is image data DIMG2 of the image IM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2. This is image data (DIMG2) of the image (IM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operation as in Fig. 5 will be omitted.

게임 장치(10-1)의 유저 U1이 조작부(170-1)를 조작하면, 취득부(111-1)는, 유저 U1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1)를 조작부(170-1)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부(111-1)는, 조작 정보(IINF-1)를 정보 송신부(114-1) 및 진행 제어부(113-1)에 출력한다.When user U1 of the game device 10-1 operates the operation unit 170-1, the acquisition unit 111-1 sends operation information (IINF-1)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by the user U1 to the operation unit 170-1. -Acquired from 1). Then, the acquisition unit 111-1 outputs operation information (IINF-1)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1 and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정보 송신부(114-1)는, 조작 정보(IINF-1)를 게임 장치(10-2)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게임 장치(10-2)의 정보 수신부(112-2)는, 게임 장치(10-1)의 조작부(170-1)에 대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1)를 수신한다. 그리고, 정보 수신부(112-2)는, 조작 정보(IINF-1)를 진행 제어부(113-2)에 출력한다.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1 transmits operation information (IINF-1) to the game device 10-2. As a result,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2 of the game device 10-2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IINF-1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on the operation unit 170-1 of the game device 10-1. do. The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2 outputs operation information (IINF-1) to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또한, 게임 장치(10-2)의 유저 U2가 조작부(170-2)를 조작하면, 취득부(111-2)는, 유저 U2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2)를 조작부(170-2)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부(111-2)는, 조작 정보(IINF-2)를 정보 송신부(114-2) 및 진행 제어부(113-2)에 출력한다.Additionally, when user U2 of the game device 10-2 operates the operation unit 170-2, the acquisition unit 111-2 sends operation information (IINF-2)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by user U2 to the operation unit 170-2. Obtained from (170-2). Then, the acquisition unit 111-2 outputs operation information (IINF-2)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2 and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정보 송신부(114-2)는, 조작 정보(IINF-2)를 게임 장치(10-1)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게임 장치(10-1)의 정보 수신부(112-1)는, 게임 장치(10-2)의 조작부(170-2)에 대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2)를 수신한다. 그리고, 정보 수신부(112-1)는, 조작 정보(IINF-2)를 진행 제어부(113-1)에 출력한다.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2 transmits operation information (IINF-2) to the game device 10-1. As a result,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1 of the game device 10-1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IINF-2)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on the operation unit 170-2 of the game device 10-2. do. The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1 outputs operation information (IINF-2) to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게임 장치(10-1)의 진행 제어부(113-1)는, 게임 장치(10-1 및 10-2)의 양쪽의 조작 정보(IINF-1 및 IINF-2)를 취득하였기 때문에, 조작 정보(IINF-1 및 IINF-2)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 그리고, 진행 제어부(113-1)는, 표시부(31-1)에 표시하는 화상(IMG)의 화상 데이터(DIMG2-1)를 게임의 진행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화상 데이터(DIMG2-1)를 표시 장치(30-1)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유저 U1 및 U2의 각각의 조작에 따라 갱신된 화상(IMG)이 표시부(31-1)에 표시된다.Sinc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of the game device 10-1 has acquired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and IINF-2) of both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the operation information ( The game is played based on IINF-1 and IINF-2). T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generates image data DIMG2-1 of the image IM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1 based on the progress result of the game, and generates the generated image data DIMG2-1. 1) is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30-1. As a result, the image (IMG) updated according to each operation of users U1 and U2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1.

마찬가지로, 게임 장치(10-2)의 진행 제어부(113-2)는, 게임 장치(10-1 및 10-2)의 양쪽의 조작 정보(IINF-1 및 IINF-2)를 취득하였기 때문에, 조작 정보(IINF-1 및 IINF-2)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 그리고, 진행 제어부(113-2)는, 표시부(31-2)에 표시하는 화상(IMG)의 화상 데이터(DIMG2-2)를 게임의 진행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화상 데이터(DIMG2-2)를 표시 장치(30-2)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유저 U1 및 U2의 각각의 조작에 따라 갱신된 화상(IMG)이 표시부(31-2)에 표시된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면서, 게임 장치(10-1 및 10-2)의 입력 동기 모드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Similarly, sinc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of the game device 10-2 has acquired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and IINF-2) of both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the operation The game is played based on the information (IINF-1 and IINF-2). T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generates image data DIMG2-2 of the image IM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2 based on the progress result of the game, and generates the generated image data DIMG2-2. 2) is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30-2. As a result, the image (IMG) updated according to each operation of users U1 and U2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2. Next, referring to Fig. 8,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in the input synchronization mode will be described.

도 8은, 게임 시스템(1)의 입력 동기 모드에 있어서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8에 있어서도, 도 6과 마찬가지로, 조작 정보(IINF-1 및 IINF-2)의 부호의 말미에 소문자 알파벳(a, b, c)을 첨부하고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조작 정보 취득(S168, S268)은 취득부(11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이고, 조작 정보 수신(S178, S278)은 정보 수신부(11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이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갱신 처리(S184, S284)는, 전처리부(1131) 및 후처리부(1132)에 의해 실행되는 일련의 처리, 즉 진행 제어부(113)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이다.FIG. 8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in the input synchronization mode of the game system 1. In Fig. 8, as in Fig. 6, lowercase letters (a, b, c) are attached to the end of the codes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and IINF-2). Additionally, the oper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S168, S268) shown in FIG. 8 is processing executed by the acquisition unit 111,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S178, S278) is processing executed by th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2. Additionally, the update processing (S184, S284) shown in FIG. 8 is a series of processes executed by the pre-processing unit 1131 and the post-processing unit 1132, that is, processing executed by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또한, 도 8에 도시한 시각 T117, T127 및 T137의 간격은, 게임 장치(10-1)에 있어서의 게임의 갱신 타이밍의 주기에 대응하고, 시각 T118, T128 및 T138의 간격은, 게임 장치(10-2)에 있어서의 게임의 갱신 타이밍의 주기에 대응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게임 장치(10-2)에 있어서 게임이 갱신되는 시각은, 게임 장치(10-1)에 있어서 게임이 갱신되는 시각보다 후의 시각이다. 또한, 게임 장치(10-2)에 있어서 게임이 갱신되는 시각은, 게임 장치(10-1)에 있어서 게임이 갱신되는 시각보다 전의 시각이어도 되고, 게임 장치(10-1)에 있어서 게임이 갱신되는 시각과 동일한 시각이어도 된다.Additionally, the intervals between times T117, T127, and T137 shown in FIG. 8 correspond to the cycle of game update timing in the game device 10-1, and the intervals between times T118, T128, and T138 correspond to the game device ( It corresponds to the cycle of the game update timing in 10-2).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the time when the game is updated in the game device 10-2 is later than the time when the game is updated in the game device 10-1. Additionally, the time at which the game is updated on the game device 10-2 may be a time earlier than the time at which the game is updated on the game device 10-1, and the time at which the game is updated on the game device 10-1 It may be the same time as the start time.

우선, 시각 T111에 있어서, 게임 장치(10-1)의 취득부(111-1)는 조작 정보(IINF-1a)를 취득한다(S168). 취득부(111-1)가 조작 정보(IINF-1a)를 취득하면, 정보 송신부(114-1)는 조작 정보(IINF-1a)를 게임 장치(10-2)에 송신한다(S174). 이에 의해, 게임 장치(10-2)의 정보 수신부(112-2)는, 시각 T114에 있어서, 조작 정보(IINF-1a)를 수신한다(S278).First, at time T111, the acquisition unit 111-1 of the game device 10-1 acquires operation information IINF-1a (S168). When the acquisition unit 111-1 acqui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a,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1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a to the game device 10-2 (S174). Accordingly,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2 of the game device 10-2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a at time T114 (S278).

또한, 시각 T112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취득부(111-2)는 조작 정보(IINF-2a)를 취득한다(S268). 취득부(111-2)가 조작 정보(IINF-2a)를 취득하면, 정보 송신부(114-2)는 조작 정보(IINF-2a)를 게임 장치(10-1)에 송신한다(S274). 이에 의해, 게임 장치(10-1)의 정보 수신부(112-1)는, 시각 T115에 있어서, 조작 정보(IINF-2a)를 수신한다(S178).Additionally, at time T112, the acquisition unit 111-2 of the game device 10-2 acqui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a) (S268). When the acquisition unit 111-2 acqui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a),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2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a) to the game device 10-1 (S274). Accordingly,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1 of the game device 10-1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a at time T115 (S178).

시각 T117에 있어서, 게임 장치(10-1)의 진행 제어부(113-1)는, 게임 장치(10-1 및 10-2)의 양쪽의 조작 정보(IINF-1 및 IINF-2)가 입력되었기 때문에, 조작 정보(IINF-1 및 IINF-2)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S184). 이에 의해, 게임 장치(10-1)의 게임의 상황은, 유저 U1 및 U2의 각각의 조작에 따른 상황으로 갱신된다.At time T117,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of the game device 10-1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IINF-1 and IINF-2) of both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Therefore, the game is playe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and IINF-2) (S184). As a result, the game situation of the game device 10-1 is updated to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respective operations of users U1 and U2.

마찬가지로, 시각 T118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진행 제어부(113-2)는, 게임 장치(10-1 및 10-2)의 양쪽의 조작 정보(IINF-1 및 IINF-2)가 입력되었기 때문에, 조작 정보(IINF-1 및 IINF-2)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S284). 이에 의해, 게임 장치(10-2)의 게임의 상황은, 유저 U1 및 U2의 각각의 조작에 따른 상황으로 갱신된다.Similarly, at time T118,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of the game device 10-2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and IINF-2 of both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Since it has been input, the game proceeds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and IINF-2) (S284). As a result, the game situation of the game device 10-2 is updated to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respective operations of users U1 and U2.

시각 T121, T125 및 T127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1)의 동작은, 조작 정보(IINF-1a) 대신에 조작 정보(IINF-1b)가 취득되는 것을 제외하고, 시각 T111, T115 및 T117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1)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시각 T122, T124 및 T128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2)의 동작은, 조작 정보(IINF-2a) 대신에 조작 정보(IINF-2b)가 취득되는 것을 제외하고, 시각 T112, T114 및 T118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2)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1 at times T121, T125, and T127 is performed at times T111, T115, and T117, except that operation information (IINF-1b) is acquired instead of operation information (IINF-1a). This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1. Additionally,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2 at times T122, T124, and T128 is performed at times T112, T114, and T128, except that operation information (IINF-2b) is acquired instead of operation information (IINF-2a). This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2 in T118.

시각 T131, T135 및 T137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1)의 동작은, 조작 정보(IINF-1a) 대신에 조작 정보(IINF-1c)가 취득되는 것을 제외하고, 시각 T111, T115 및 T117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1)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시각 T132, T134 및 T138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2)의 동작은, 조작 정보(IINF-2a) 대신에 조작 정보(IINF-2c)가 취득되는 것을 제외하고, 시각 T112, T114 및 T118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2)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1 at times T131, T135, and T137 is performed at times T111, T115, and T117, except that operation information (IINF-1c) is acquired instead of operation information (IINF-1a). This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1. Additionally,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2 at times T132, T134, and T138 is performed at times T112, T114, and T138, except that operation information (IINF-2c) is acquired instead of operation information (IINF-2a). This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2 in T118.

이와 같이, 입력 동기 모드에서는, 게임 장치(10-1)의 진행 제어부(113-1)와 게임 장치(10-2)의 진행 제어부(113-2)는, 조작 정보(IINF-1 및 IINF-2)의 조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 이 결과, 예를 들어 시각 T111부터 시각 T137까지의 기간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1)의 게임의 상황과, 시각 T112부터 시각 T138까지의 기간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2)의 게임의 상황이 서로 일치한다. 즉, 게임 장치(10-1 및 10-2)는, 입력 동기 모드에서 게임을 진행시킴으로써, 입력 동기 모드가 게임의 진행에 사용되지 않는 종래의 게임 장치에 비하여, 게임의 상황을 2개의 게임 장치(10)에서 일치시킬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input synchronous mod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of the game device 10-1 and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of the game device 10-2 provid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and IINF- The game is played based on the group in 2). As a result, for example, the game situation of the game device 10-1 in the period from time T111 to time T137, and the game situation of the game device 10-2 in the period from time T112 to time T138. The situations are consistent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play the game in the input synchronous mode, so that the game situation can be divided into two game devices, compared to a conventional game device in which the input synchronous mode is not used to progress the game. It can be matched in (10).

또한, 도 6에 도시한 결과 동기 모드에서는, 예를 들어 시각 T33에 있어서, 게임 장치(10-1)의 게임의 상황이 조작 정보(IINF-2b)에 따른 상황으로 갱신된다. 그러나, 시각 T21부터 시각 T25까지의 기간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1)의 게임의 상황과, 시각 T12부터 시각 T16까지의 기간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2)의 게임의 상황이, 서로 일치한다고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결과 동기 모드는, 캐릭터 및 오브젝트 등의 위치 및 상태(게임의 상황)가 게임 장치(10-1 및 10-2)에서 일치되어 있는 것이 전제인 이벤트를 실행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Additionally, i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shown in FIG. 6, for example, at time T33, the game situation of the game device 10-1 is updated to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b. However, the game situation of the game device 10-1 in the period from time T21 to time T25 and the game situation of the game device 10-2 in the period from time T12 to time T16 are, It cannot be said that they match each other. For this reaso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is not suitable for executing events that are premised on the positions and states (game situations) of characters, objects, etc. being consistent in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이에 비해, 입력 동기 모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게임 장치(10-1)의 게임의 상황과 게임 장치(10-2)의 게임의 상황이 일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입력 동기 모드는, 캐릭터 및 오브젝트 등의 위치 및 상태가 게임 장치(10-1 및 10-2)에서 일치되어 있는 것이 전제인 이벤트를 실행하는 데 적합하다. 여기서, 예를 들어 게임 장치(10)가 실행하는 게임이 야구 게임인 경우, 캐릭터 및 오브젝트 등의 위치 및 상태가 게임 장치(10-1 및 10-2)에서 일치되어 있는 것이 전제인 이벤트로서는, 투구 전에 실행되는 도루를 투구 전에 저지하는 이벤트가 해당된다.In contrast, in the input synchronous mode, as described above, the game situation of the game device 10-1 and the game situation of the game device 10-2 are consistent. For this reason, the input synchronization mode is suitable for executing events that are premised on the positions and states of characters, objects, etc. being consistent in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Here, for example, when the game played by the game device 10 is a baseball game, an event that presupposes that the positions and states of characters, objects, etc. are consistent in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is as follows: This applies to the event that prevents a stolen base from being executed before pitching.

또한, 입력 동기 모드에서는, 게임 장치(10-1 및 10-2)의 각각은, 게임 장치(10-1 및 10-2)의 양쪽의 조작 정보(IINF-1 및 IINF-2)가 일치된 경우에, 게임을 진행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게임 장치(10-1 및 10-2)의 각각은, 게임 장치(10-1 및 10-2)의 양쪽의 조작 정보(IINF-1 및 IINF-2)가 일치될 때까지, 게임의 진행을 대기한다. 이 때문에, 입력 동기 모드에서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의 게임 장치(10-1)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과 게임 장치(10-2)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의 상이 정도는, 결과 동기 모드에서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의 게임 장치(10-1)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과 게임 장치(10-2)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의 상이 정도 이하로 된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면서, 게임 시스템(1)이 야구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의 게임 장치(10-1 및 10-2)의 동작을 설명한다.Additionally, in the input synchronous mode, each of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ha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and IINF-2) of both game devices 10-1 and 10-2 matched. In this case, the game progresses. In other words, each of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plays the game until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and IINF-2) of both game devices 10-1 and 10-2 match. Wait for progress. For this reason, when the game is played in the input synchronous mode,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the game progress in the game device 10-1 and the game progress in the game device 10-2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game progress in the result synchronous mode. When advanc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ame progress in the game device 10-1 and the game progress in the game device 10-2 becomes less than a degree. Next, referring to FIG. 9,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when the game system 1 executes a baseball game will be described.

도 9는, 야구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시스템(1)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또한, 도 9는, 게임 장치(10-1)의 유저 U1이 타자 캐릭터(Cbt)를 조작하고, 게임 장치(10-2)의 유저 U2가 투수 캐릭터(Cpt)를 조작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1 및 10-2)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9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게임 장치(10-1 및 10-2)는, 투수 캐릭터(Cpt)가 투구하고 나서 타자 캐릭터(Cbt)가 볼 오브젝트(Obl)를 칠 때까지의 게임의 상황을, 결과 동기 모드에서 진행시킨다. 또한, 도 6에서 설명한 동작에 대응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도 6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Fig. 9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game system 1 that executes a baseball game. 9 shows a game in which user U1 of the game device 10-1 operates the batter character (Cbt) and user U2 of the game device 10-2 operates the pitcher character (Cpt). This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devices 10-1 and 10-2. 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show the game situation from when the pitcher character Cpt pitches until the batter character Cbt hits the ball object Obl. , the result proceeds in synchronous mode. In addition, the step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s explained in FIG. 6 are given the same symbols as those in FIG. 6.

우선, 시각 T220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취득부(111-2)가 투구 지시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2)를 취득하면, 진행 제어부(113-2)의 전처리부(1131-2)는, "구종" 및 "코스" 등의 투구 내용을 조작 정보(IINF-2)에 기초하여 결정한다(S216). 그리고, 정보 송신부(114-2)는, 조작 정보(IINF-2)에 기초하여 결정한 투구 내용에 따라 투구하는 투수 캐릭터(Cpt)의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투구 정보를, 결과 정보(RINF-2)로서 게임 장치(10-1)에 송신한다(S218). 또한, 투구 내용을 결정하는 처리는, 게임을 진행시키는 처리에 대응한다. 이하에서는, 투구 정보를, 결과 정보(RINF-2)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투구 정보(RINF-2)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First, at time T220, when the acquisition unit 111-2 of the game device 10-2 acqui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 indicating a pitching instruction, the preprocessing unit 1131 of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In -2), pitch contents such as “pitch type” and “course” are determine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 (S216). Then,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14-2 sends pitch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rt of the action of the pitcher character (Cpt) who pitche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pitch determine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 to result information (RINF-2). ) and transmit it to the game device 10-1 (S218). Additionally,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content of the pitch corresponds to the process of advancing the game. Hereinafter, the pitch information may be referred to as pitch information (RINF-2) using the same code as the result information (RINF-2).

시각 T221에 있어서, 게임 장치(10-1)의 정보 수신부(112-1)는 투구 정보(RINF-2)를 수신한다(S132). 그리고, 정보 송신부(114-1)는, 투구 정보(RINF-2)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긍정 응답을 게임 장치(10-2)에 송신한다(S134). 또한, 진행 제어부(113-1)의 후처리부(1132-1)는, 투구 정보(RINF-2)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At time T221,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1 of the game device 10-1 receives pitch information (RINF-2) (S132). The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1 transmits an affirmative response indicating that the game is to proceed based on the pitch information (RINF-2) to the game device 10-2 (S134). Additionally, the post-processing unit 1132-1 of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pitch information (RINF-2).

시각 T223에 있어서, 게임 장치(10-1)의 진행 제어부(113-1)는, 투구 정보(RINF-2)에 기초하여 갱신된 게임의 상황을 나타내는 투구 화면을 표시부(31-1)에 표시시킨다(S190). 이에 의해, 조작 정보(IINF-2)에 기초하여 결정된 투구 내용에 따라 투구하는 투수 캐릭터(Cpt)가 표시부(31-1)에 표시된다.At time T223,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of the game device 10-1 displays a pitch screen showing the updated game situation based on the pitch information (RINF-2) on the display unit 31-1. Do it (S190). As a result, the pitcher character (Cpt) who pitche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pitch determine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1.

시각 T224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정보 수신부(112-2)는, 투구 정보(RINF-2)에 대한 긍정 응답을 수신한다(S226). 이에 의해, 진행 제어부(113-2)의 후처리부(1132-2)는, 투구 정보(RINF-2)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 예를 들어, 후처리부(1132-2)는, 투수 캐릭터(Cpt)에 투구 정보(RINF-2)에 기초하는 투구를 개시시킨다.At time T224,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2 of the game device 10-2 receives an affirmative response to the pitch information (RINF-2) (S226). Accordingly, the post-processing unit 1132-2 of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pitch information (RINF-2). For example, the post-processing unit 1132-2 causes the pitcher character (Cpt) to start a pitch based on pitch information (RINF-2).

시각 T226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진행 제어부(113-2)는, 투구 정보(RINF-2)에 기초하여 갱신된 게임의 상황을 나타내는 투구 화면을 표시부(31-2)에 표시시킨다(S290). 이에 의해, 조작 정보(IINF-2)에 기초하여 결정된 투구 내용에 따라 투구하는 투수 캐릭터(Cpt)가 표시부(31-2)에 표시된다.At time T226,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of the game device 10-2 displays a pitch screen showing the updated game situation based on the pitch information (RINF-2) on the display unit 31-2. Do it (S290). As a result, the pitcher character (Cpt) who pitche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pitch determine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2.

시각 T241에 있어서, 게임 장치(10-1)의 취득부(111-1)가 타격 지시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1)를 취득하면, 진행 제어부(113-1)의 전처리부(1131-1)는, 타자 캐릭터(Cbt)에 의한 타격의 결과를 조작 정보(IINF-1)에 기초하여 결정한다(S116). 그리고, 정보 송신부(114-1)는, 조작 정보(IINF-1)에 기초하여 결정된 타격의 결과를 나타내는 타격 정보를, 결과 정보(RINF-1)로서 게임 장치(10-2)에 송신한다(S118). 또한, 타격의 결과를 결정하는 처리는, 게임을 진행시키는 처리에 대응한다. 이하에서는, 타격 정보를, 결과 정보(RINF-1)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타격 정보(RINF-1)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At time T241, when the acquisition unit 111-1 of the game device 10-1 acqui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indicating a hitting instruction, the preprocessing unit 1131-1 of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 determines the result of a hit by the batter character (Cbt) based on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IINF-1) (S116). Then,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14-1 transmits hit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sult of the hit determine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to the game device 10-2 as result information RINF-1 ( S118). Additionally, the processing for determining the result of a hit corresponds to the processing for advancing the game. Hereinafter, the hitting information may be referred to as hitting information (RINF-1) using the same code as the result information (RINF-1).

시각 T243에 있어서, 게임 장치(10-1)의 진행 제어부(113-1)는, 타격 정보(RINF-1)에 기초하여 갱신된 게임의 상황을 나타내는 타격 화면을 표시부(31-1)에 표시시킨다(S190). 이에 의해, 조작 정보(IINF-1)에 기초하는 타격을 실행하는 타자 캐릭터(Cbt)가 표시부(31-1)에 표시된다.At time T243,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of the game device 10-1 displays a hitting screen showing the updated game situation based on the hitting information RINF-1 on the display unit 31-1. Do it (S190). As a result, the batter character Cbt who executes the blow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1.

시각 T244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정보 수신부(112-2)는 타격 정보(RINF-1)를 수신한다(S232). 이에 의해, 진행 제어부(113-2)의 후처리부(1132-2)는, 타격 정보(RINF-1)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At time T244,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2 of the game device 10-2 receives hitting information (RINF-1) (S232). Accordingly, the post-processing unit 1132-2 of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hitting information RINF-1.

시각 T246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진행 제어부(113-2)는, 타격 정보(RINF-1)에 기초하여 갱신된 게임의 상황을 나타내는 타격 화면을 표시부(31-2)에 표시시킨다(S290). 이에 의해, 조작 정보(IINF-1)에 기초하는 타격을 실행하는 타자 캐릭터(Cbt)가 표시부(31-2)에 표시된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면서, 도루 지시가 입력되는 경우의 게임 장치(10-1 및 10-2)의 동작을 설명한다.At time T246,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of the game device 10-2 displays a hitting screen showing the updated game situation based on the hitting information RINF-1 on the display unit 31-2. Do it (S290). As a result, the batter character Cbt who executes the blow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2. Next, referring to FIG. 10,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when a steal instruction is input will be described.

도 10은, 야구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시스템(1)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10에서는, 주자 캐릭터(Crn)가 베이스 상에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게임 시스템(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동작은, 도루 지시가 입력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9에 도시한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도 9에서 설명한 동작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유저 U1에 의한 도루 지시는, 표시부(31-1)에 표시되는 투수 캐릭터(Cpt)가 투구를 개시하기 전에 입력된다.Fig. 10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game system 1 that executes a baseball game. In FIG. 10, the operation of the game system 1 is explained by taking the case where the runner character (Crn) is on the base as an example. The operation shown in FIG. 10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shown in FIG. 9, except that a steal instruction is inpu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s described in FIG. 9 will be omitted. Additionally,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 the steal instruction by user U1 is input before the pitcher character (Cp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1 starts pitching.

우선, 시각 T211에 있어서, 게임 장치(10-1)의 취득부(111-1)가 도루 지시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1)를 취득하면, 진행 제어부(113-1)의 전처리부(1131-1)는, 주자 캐릭터(Crn)가 도루를 개시하도록, 조작 정보(IINF-1)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S116). 그리고, 정보 송신부(114-1)는, 조작 정보(IINF-1)에 기초하는 도루가 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루 정보를, 결과 정보(RINF-1)로서 게임 장치(10-2)에 송신한다(S118). 또한, 진행 제어부(113-1)는, 도루 지시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1)를 취득부(111-1)가 취득한 것을 계기로 하여, 경과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루 정보를, 결과 정보(RINF-1)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도루 정보(RINF-1)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First, at time T211, when the acquisition unit 111-1 of the game device 10-1 acqui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indicating a stolen base instruction, the preprocessing unit 1131 of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1)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so that the runner character (Crn) starts stealing (S116). The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1 transmits stolen bas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base steal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is started as result information (RINF-1) to the game device 10-2 ( S118). Additionally,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starts measuring the elapsed time when the acquisition unit 111-1 acqui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indicating a stolen base instruction. Hereinafter, the stolen base information may be referred to as stolen base information (RINF-1) using the same code as the result information (RINF-1).

시각 T212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정보 수신부(112-2)는 도루 정보(RINF-1)를 수신한다(S232). 그리고, 시각 T214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2)의 후처리부(1132-2)는, 도루 정보(RINF-1)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 예를 들어, 진행 제어부(113-2)는, 도루 정보(RINF-1)에 기초하여 갱신된 게임의 상황을 나타내는 주자 화면을 표시부(31-2)에 표시시킨다(S290). 이에 의해, 조작 정보(IINF-1)에 기초하는 도루를 실행하는 주자 캐릭터(Crn)를 포함하는 윈도우(WD)와 투구 전의 투수 캐릭터(Cpt)가 표시부(31-2)에 표시된다. 유저 U2는, 윈도우(WD)를 확인함으로써, 주자 캐릭터(Crn)가 도루를 개시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At time T212,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2 of the game device 10-2 receives stolen base information (RINF-1) (S232). Then, at time T214, the post-processing unit 1132-2 of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stolen base information (RINF-1). For exampl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displays a runner screen showing the updated game situation based on the stolen base information (RINF-1) on the display unit 31-2 (S290). As a result, a window WD containing a runner character Crn who steals bas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and a pitcher character Cpt before pitching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2. User U2 can recognize that the runner character (Crn) has started stealing by checking the window (WD).

또한, 도 10에서는, 유저 U2는, 도루를 알아차리지 못하거나, 또는 도루를 알아차리고 있기는 하지만 도루를 시도하는 주자로의 견제를 하지 않고, 투수 캐릭터(Cpt)에 투구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Additionally, in Figure 10, the case where user U2 does not notice the stolen base or is aware of the stolen base but does not check the runner attempting to steal and causes the pitcher character (Cpt) to pitch is explained. .

시각 T220에 있어서, 취득부(111-2)가 투구 지시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2)를 취득하면, 전처리부(1131-2)는, 투구 내용을 조작 정보(IINF-2)에 기초하여 결정한다(S216). 그리고, 정보 송신부(114-2)는 투구 정보(RINF-2)를 게임 장치(10-1)에 송신한다(S218).At time T220, when the acquisition unit 111-2 acqui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 indicating the pitch instruction, the pre-processing unit 1131-2 determines the content of the pitch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 Decide (S216). The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2 transmits pitch information (RINF-2) to the game device 10-1 (S218).

시각 T221에 있어서, 게임 장치(10-1)의 정보 수신부(112-1)는 투구 정보(RINF-2)를 수신한다(S132).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진행 제어부(113-1)가 경과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 시각 T211로부터, 정보 수신부(112-1)가 투구 정보(RINF-2)를 수신한 시각 T221까지의 시간은, 전환 대기 시간 WT(「제1 시간」의 일례)보다 짧다. 즉, 정보 수신부(112-1)는, 취득부(111-1)에 의한 조작 정보(IINF-1)의 취득 타이밍인 시각 T211로부터, 전환 대기 시간 WT가 경과할 때까지, 투구 정보(RINF-2)를 수신한다. 이 때문에, 진행 제어부(113-1)는, 결과 동기 모드에 의한 게임의 진행을 계속시킨다. 예를 들어, 정보 송신부(114-1)는, 투구 정보(RINF-2)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긍정 응답을 게임 장치(10-2)에 송신한다(S134).At time T221,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1 of the game device 10-1 receives pitch information (RINF-2) (S132).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 the time from time T211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started measuring the elapsed time to time T221 whe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1 received the pitch information (RINF-2). is shorter than the switching waiting time WT (an example of “first time”). That is,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1 receives the pitch information (RINF-1) from time T211, which is the acquisition timing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by the acquisition unit 111-1, until the transition waiting time WT elapses. 2) Receive. For this reason,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continues the progress of the game i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For example,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1 transmits to the game device 10-2 an affirmative response indicating that the game will proceed based on the pitch information (RINF-2) (S134).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결과 동기 모드에 의한 게임의 진행이 계속되기 때문에, 시각 T220 이후의 게임 장치(10-1 및 10-2)의 동작은, 도 9에 도시한 게임 장치(10-1 및 10-2)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즉,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도루를 저지하는 이벤트는 투구 전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면서, 게임의 진행이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의 게임 장치(10-1 및 10-2)의 동작을 설명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 since the game continues in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after time T220 is the same as the game device 10- shown in FIG. 9. It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1 and 10-2). That i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 the event that prevents stealing does not occur before the pitch. Next, referring to FIG. 11,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when the game progress is switched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will be described.

도 11은, 야구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시스템(1)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동작은, 게임의 진행이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10에 도시한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도 10에서 설명한 동작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Fig. 11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game system 1 that executes a baseball game. The operation shown in Fig. 11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shown in Fig. 10, except that the progress of the game switches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s described in FIG. 10 will be omitted.

시각 T311, T312 및 T314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1 및 10-2)의 일련의 동작은, 도 10에 도시한 시각 T211, T212 및 T214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1 및 10-2)의 일련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시각 T314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진행 제어부(113-2)는, 도루 정보(RINF-1)에 기초하여 갱신된 게임의 상황을 나타내는 주자 화면을 표시부(31-2)에 표시시킨다(S290).The series of operations of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at times T311, T312, and T314 are the same as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at times T211, T212, and T214 shown in FIG. 10. ) is the same as the series of operations. For example, at time T314,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of the game device 10-2 displays a runner screen showing the game situation updated based on the stolen base information RINF-1 to the display unit 31- 2) is displayed (S290).

시각 T320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취득부(111-2)가 투구 지시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2)를 취득하면, 전처리부(1131-2)는, 투구 내용을 조작 정보(IINF-2)에 기초하여 결정한다(S216). 그리고, 정보 송신부(114-2)는, 투구 정보(RINF-2)를 게임 장치(10-1)에 송신한다(S218).At time T320, when the acquisition unit 111-2 of the game device 10-2 acqui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 indicating the pitch instruction, the pre-processing unit 1131-2 records the content of the pitch as the operation information. Decision is made based on (IINF-2) (S216). The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2 transmits pitch information (RINF-2) to the game device 10-1 (S218).

게임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투구 정보(RINF-2)는, 시각 T323에 게임 장치(10-1)에 도달한다. 또한, 시각 T323은, 게임 장치(10-1)의 취득부(111-1)에 의한 조작 정보(IINF-1)의 취득 타이밍인 시각 T311로부터, 전환 대기 시간 WT가 경과한 시각 T321보다 후의 시각이다.The pitch information (RINF-2) transmitted from the game device 10-2 arrives at the game device 10-1 at time T323. In addition, time T323 is a time later than time T321, when the switching waiting time WT has elapsed from time T311, which is the acquisition timing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by the acquisition unit 111-1 of the game device 10-1. am.

이 때문에, 진행 제어부(113-1)는, 시각 T311로부터 전환 대기 시간 WT가 경과한 시각 T321에 있어서, 게임의 진행을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한다(S1402). 즉, 진행 제어부(113-1)는, 취득부(111-1)에 의한 조작 정보(IINF-1)의 취득 타이밍으로부터 전환 대기 시간 WT가 경과할 때까지 정보 수신부(112-1)가 투구 정보(RINF-2)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게임의 진행을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한다. 게임의 진행이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진행 제어부(113-1)는, 예를 들어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을 부감한 화상을 표시부(31-1)에 표시시킨다. 또한, 정보 송신부(114-1)는, 게임의 진행을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하였음을 게임 장치(10-2)에 통지한다(S1404).For this reason,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switches the game progress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at time T321, when the switching waiting time WT has elapsed from time T311 (S1402). That is,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allows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1 to transmit the pitch information until the transition waiting time WT elapses from the timing of acquisition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by the acquisition unit 111-1. If (RINF-2) is not received, the game progress is switched from result synchronous mode to input synchronous mode. Since the progress of the game has been switched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causes the display unit 31-1 to display, for example, an image with a bird's-eye view of the virtual space related to the game. Additionally,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14-1 notifies the game device 10-2 that the game progress has been switched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S1404).

시각 T323에 있어서, 정보 수신부(11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투구 정보(RINF-2)를 수신한다(S132). 게임 장치(10-1)는, 이미 입력 동기 모드에서 게임을 진행시키고 있기 때문에, 투구 정보(RINF-2)에 기초하는 게임의 진행을 취소하는 것을 게임 장치(10-2)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정보 송신부(114-1)는, 투구 정보(RINF-2)에 대한 부정 응답을 게임 장치(10-2)에 송신한다(S1864).At time T323,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1 receives pitch information (RINF-2) as described above (S132). Since the game device 10-1 is already playing the game in the input synchronous mode, it notifies the game device 10-2 to cancel the game progress based on the pitch information (RINF-2). For example,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1 transmits a negative response to the pitch information (RINF-2) to the game device 10-2 (S1864).

시각 T324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정보 수신부(112-2)는, 게임의 진행을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전환 통지를 수신한다. 이에 의해, 진행 제어부(113-2)는, 게임의 진행을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한다(S2402). 진행 제어부(113-2)가 게임의 진행을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진행 제어부(113-2)는, 예를 들어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을 부감한 화상을 표시부(31-2)에 표시시킨다.At time T324,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2 of the game device 10-2 receives a changeover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the game progress is to be switched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Accordingly,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switches the progress of the game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S2402).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switches the progress of the game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displays, for example, an image overlooking the virtual space related to the game on the display unit 31-2. ) is displayed.

시각 T326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정보 수신부(112-2)는, 투구 정보(RINF-2)에 대한 부정 응답을 수신한다(S2868). 이에 의해, 진행 제어부(113-2)는, 시각 T328에 있어서, 투구 정보(RINF-2)에 기초하는 투구를 취소한다(S2870). 즉, 진행 제어부(113-2)는, 투구 정보(RINF-2)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키는 것을 취소한다.At time T326,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2 of the game device 10-2 receives a negative response to the pitch information (RINF-2) (S2868). Accordingly,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cancels the pitch based on the pitch information (RINF-2) at time T328 (S2870). That is,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cancels advancing the game based on the pitch information (RINF-2).

게임의 진행이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됨으로써, 주자 캐릭터(Crn), 투수 캐릭터(Cpt) 및 볼 오브젝트(Obl) 등의 위치 및 상태가 게임 장치(10-1)와 게임 장치(10-2)에서 일치된다. 이에 의해, 게임 장치(10-1)의 유저 U1은, 도루에 의한 진루를 실행할지 진루를 멈출지를, 투수 캐릭터(Cpt)의 상태를 보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게임 장치(10-2)의 유저 U2는, 투수 캐릭터(Cpt)에 의한 볼 오브젝트(Obl)의 송구처를, 주자 캐릭터(Crn)의 상태를 보고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2를 참조하면서, 게임 장치(10)의 동작 플로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유저 U1 및 U2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고, 유저 U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As the game progresses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the positions and states of the runner character (Crn), pitcher character (Cpt), and ball object (Obl) are changed to the game device 10-1 and the game device 10. It matches in -2). As a result, user U1 of the game device 10-1 can determine whether to advance base by stealing or stop advancing base by looking at the state of the pitcher character (Cpt). On the other hand, user U2 of the game device 10-2 can determine the destination of the ball object Obl by the pitcher character Cpt by looking at the state of the runner character Crn. Next, referring to FIG. 12, the operation flow of the game device 10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users U1 and U2 are not particularly distinguished and may be referred to as user U.

도 12는, 게임 장치(10)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동작은, 게임을 진행시키는 갱신 타이밍에 맞추어 실행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하는 동작은, 갱신 타이밍의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반복 실행된다. 또한, 도 9에서 설명한 동작에 대응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도 9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FIG. 12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 The operations shown in Fig. 12 are executed in accordance with the update timing to advance the game. For example, the operation shown in FIG. 12 is repeatedly performed at the same cycle as the update timing cycle. In addition, the step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s explained in FIG. 9 are given the same symbols as those in FIG. 9.

우선, 스텝 S100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는, 결과 동기 모드에서 게임을 진행시키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00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즉 진행 제어부(113)가 결과 동기 모드에서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진행 제어부(113)는, 스텝 S110에 있어서, 결과 동기 모드에 의한 게임 진행 처리를 실행한 후, 처리를 스텝 S190으로 진행시킨다. 한편, 스텝 S100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즉 진행 제어부(113)가 입력 동기 모드에서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진행 제어부(113)는, 스텝 S160에 있어서, 입력 동기 모드에 의한 게임 진행 처리를 실행한 후, 처리를 스텝 S190으로 진행시킨다. 또한, 결과 동기 모드에 의한 게임 진행 처리의 상세는, 도 13 및 도 14에서 설명한다. 또한, 입력 동기 모드에 의한 게임 진행 처리의 상세는, 도 15 및 도 16에서 설명한다.First, in step S100,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game is being played in result synchronization mode.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00 is positive, that is,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vances the game in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performs game progress processing in the result synchronous mode in step S110. After execution, the process advances to step S190. 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00 is negative, that is,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vances the game in the input synchronous mod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vances the game in the input synchronous mode in step S160. After executing the process, the process advances to step S190. In addition, details of the game progress processing i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are explained in FIGS. 13 and 14. Additionally, details of game progress processing in input synchronous mode are explained in FIGS. 15 and 16.

스텝 S190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는, 스텝 S110 또는 스텝 S160의 처리에 의한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IMG)을 표시부(31)에 표시시킨다.In step S190,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causes the display unit 31 to display an image (IMG) showing the result of the game progress by the processing in step S110 or step S160.

다음에, 스텝 S192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는 게임을 종료시킬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진행 제어부(113)는, 게임의 종료를 지시하는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를 취득부(111)가 취득한 경우, 게임을 종료시키는 것으로 판정한다. 스텝 S192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진행 제어부(113)는 게임을 종료시킨다. 한편, 스텝 S192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진행 제어부(113)는, 처리를 스텝 S100으로 되돌리고, 게임을 계속시킨다. 다음에,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서, 결과 동기 모드에 의한 게임 진행 처리를 설명한다.Next, in step S192,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determines whether to end the game. For exampl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determines that the game is ended when the acquisition unit 111 acquires operation information (IINF) indicating an operation instructing the end of the game.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92 is positiv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ends the game. 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92 is negativ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returns the process to step S100 and continues the game. Next, referring to FIGS. 13 and 14, game progress processing i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will be described.

도 13은, 결과 동기 모드에 의한 게임 진행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3의 스텝 S112의 처리는, 도 12의 스텝 S100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에 실행된다. 즉, 도 13에 도시하는 동작은, 결과 동기 모드가 계속되고 있는 기간에는, 갱신 타이밍의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반복 실행된다. 또한, 스텝 S114 내지 S122의 일련의 처리는, 취득부(111)에 의해 취득되는 조작 정보(IINF)에 따른 처리의 일례이다. 또한, 스텝 S124 내지 S128의 일련의 처리는, 다른 게임 장치(10)에 송신한 결과 정보(RINF)에 대한 긍정 응답에 따른 처리의 일례이다. 스텝 S132 내지 S136의 일련의 처리는, 정보 수신부(112)에 의해 수신되는 결과 정보(RINF)에 따른 처리의 일례이다.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game progress processing in result synchronization mode. In addition, the process of step S112 in FIG. 13 is execute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00 in FIG. 12 is positive. That is, the operation shown in FIG. 13 is repeatedly performed with a cycle equal to the cycle of the update timing while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continues. In addition, the series of processing in steps S114 to S122 is an example of process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111. Additionally, the series of processing in steps S124 to S128 is an example of processing in response to an affirmative response to the result information (RINF) transmitted to the other game device 10. The series of processing in steps S132 to S136 is an example of processing according to the result information (RINF) received by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스텝 S112에 있어서, 취득부(111)는, 조작부(170)에 대하여 조작이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2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즉 조작부(170)에 대하여 조작이 실행된 경우, 취득부(111)는, 스텝 S114에 있어서 조작 정보(IINF)를 취득하고, 처리를 스텝 S116으로 진행시킨다. 한편, 스텝 S112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즉 조작부(170)에 대하여 조작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 진행 제어부(113)는, 처리를 스텝 S124로 진행시킨다. 즉, 조작부(170)에 대하여 조작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 스텝 S114 내지 S122의 일련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In step S112, the acquisition unit 111 determines whether an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on the operation unit 170.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12 is positive, that is, when an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operation unit 170, the acquisition unit 111 acqui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in step S114, and proceeds to step S116. Let’s proce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12 is negative, that is, when the operation is not performed on the operation unit 170,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124. That is, if no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operation unit 170, the series of processes from steps S114 to S122 are not executed.

스텝 S116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의 전처리부(1131)는, 취득부(111)에서 취득된 조작 정보(IINF)에 기초하여 전처리를 실행하고, 게임을 진행시킨다. 그리고, 진행 제어부(113)는, 처리를 스텝 S118로 진행시킨다.In step S116, the preprocessing unit 1131 of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performs preprocessing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111 and advances the game. T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118.

스텝 S118에 있어서, 정보 송신부(114)는, 스텝 S116의 전처리의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RINF)를 다른 게임 장치(10)에 통신부(150)를 통하여 송신하고, 처리를 스텝 S120으로 진행시킨다.In step S118,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14 transmits result information (RINF) indicating the result of the preprocessing in step S116 to the other game device 10 via the communication unit 150, and proceeds to step S120.

또한, 스텝 S114에서 취득된 조작 정보(IINF)로 나타내어지는 조작이 다른 게임 장치(10)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에 반영할 필요가 없는 조작인 경우, 스텝 S118의 처리는 생략되어도 된다. 즉, 취득부(111)에서 취득된 조작 정보(IINF)로 나타내어지는 조작이 다른 게임 장치(10)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에 반영할 필요가 없는 조작인 경우, 다른 게임 장치(10)로의 결과 정보(RINF)의 송신은 생략되어도 된다.Additionally, if the operation indicated by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acquired in step S114 is an operation that does not need to be reflected in the progress of the game in other game devices 10, the processing in step S118 may be omitted. That is, if the operation indicated by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111 is an operation that does not need to be reflected in the progress of the game in the other game device 10, the result in the other game device 10 Transmission of information (RINF) may be omitted.

스텝 S120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의 후처리부(1132)는, 스텝 S116의 전처리의 결과에 기초하는 후처리가, 긍정 응답 대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긍정 응답 대기의 후처리란, 예를 들어 스텝 S118에서 송신된 결과 정보(RINF)에 대한 다른 게임 장치(10)로부터의 긍정 응답을 정보 수신부(112)가 수신할 때까지 대기되는 후처리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스텝 S116의 전처리의 결과에 기초하는 후처리가 스텝 S118에서 송신한 결과 정보(RINF)에 대한 다른 게임 장치(10)로부터의 응답에 의해 실행되는지 여부가 결정되는 후처리인 경우, 후처리부(1132)는 긍정 응답 대기라고 판정한다.In step S120, the post-processing unit 1132 of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determines whether the post-processing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processing in step S116 is waiting for an affirmative response. In addition, post-processing waiting for an affirmative response means, for example, post-processing that waits until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receives an affirmative response from the other game device 10 for the result information (RINF) transmitted in step S118. am. Therefore, for example, if the post-processing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processing in step S116 is a post-processing in which whether or not it is performed is determined by the response from the other game device 10 to the result information (RINF) transmitted in step S118. , the post-processing unit 1132 determines that it is waiting for an affirmative response.

또한, 예를 들어 스텝 S116의 전처리의 결과에 기초하는 후처리가 다른 게임 장치(10)의 게임의 상황 등에 상관없이 실행되는 처리인 경우, 후처리부(1132)는 긍정 응답 대기가 아니라고 판정한다. 스텝 S120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즉 긍정 응답을 정보 수신부(112)가 수신할 때까지 후처리의 실행이 대기되는 경우, 후처리부(1132)는, 처리를 스텝 S124로 진행시킨다. 한편, 스텝 S120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즉 다른 게임 장치(10)의 게임의 상황 등에 상관없이 후처리가 실행되는 경우, 후처리부(1132)는, 처리를 스텝 S122로 진행시킨다.Also, for example, if the post-processing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processing in step S116 is processing that is executed regardless of the game status of other game devices 10, etc., the post-processing unit 1132 determines that it is not waiting for an affirmative response.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20 is positive, that is, when execution of post-processing is waited until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receives an affirmative response, the post-processing unit 1132 advances the processing to step S124.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20 is negative, that is, when post-processing is performed regardless of the game status of the other game device 10, etc., the post-processing unit 1132 advances the processing to step S122.

스텝 S122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의 후처리부(1132)는, 스텝 S116의 전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후처리를 실행하고, 게임을 진행시킨다. 이에 의해, 게임의 상황이, 스텝 S114에서 취득된 조작 정보(IINF)에 따른 상황으로 갱신된다. 진행 제어부(113)는, 후처리를 실행한 후, 처리를 스텝 S130으로 진행시킨다. 스텝 S130 이후의 동작을 설명하기 전에, 스텝 S124 내지 S128의 일련의 처리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S124의 처리는, 스텝 S112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또는 스텝 S120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실행된다.In step S122, the post-processing unit 1132 of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performs post-processing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processing in step S116 and advances the game. As a result, the game situation is updated to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acquired in step S114. After executing post-processing,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vances the processing to step S130. Before explaining the operations after step S130, a series of processing from steps S124 to S128 will be explained.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ing of step S124 is execute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12 is negative, or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20 is positive.

스텝 S124에 있어서, 정보 수신부(112)는, 다른 게임 장치(10)에 송신한 결과 정보(RINF)에 대한 긍정 응답이 통신부(150)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26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즉 긍정 응답이 통신부(150)에 도달한 경우, 정보 수신부(112)는, 처리를 스텝 S126으로 진행시킨다. 한편, 스텝 S126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즉 긍정 응답이 통신부(150)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정보 수신부(112)는, 처리를 스텝 S130으로 진행시킨다. 즉, 긍정 응답이 통신부(150)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스텝 S126 및 S128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In step S124,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determines whether an affirmative response to the result information (RINF) transmitted to the other game device 10 has reached the communication unit 150.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26 is positive, that is, if an affirmative response reaches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126. 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26 is negative, that is, if an affirmative response has not reached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130. That is, if an affirmative response does not reach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processing of steps S126 and S128 is not executed.

스텝 S126에 있어서, 정보 수신부(112)는, 결과 정보(RINF)에 대한 긍정 응답을 수신하고, 처리를 스텝 S128로 진행시킨다. 스텝 S128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의 후처리부(1132)는, 긍정 응답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RINF)에 기초하여 후처리를 실행하고, 게임을 진행시킨다. 즉, 진행 제어부(113)의 후처리부(1132)는, 긍정 응답을 수신할 때까지 대기하고 있던 후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게임의 상황이, 취득부(111)에서 취득된 조작 정보(IINF)에 따른 상황으로 갱신된다. 진행 제어부(113)는, 후처리를 실행한 후, 처리를 스텝 S130으로 진행시킨다.In step S126,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receives an affirmative response to the result information (RINF), and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128. In step S128, the post-processing unit 1132 of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performs post-processing based on the result information (RINF) corresponding to the positive response and advances the game. That is, the post-processing unit 1132 of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performs the post-processing that has been waiting until an affirmative response is received. As a result, the game situation is updated to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111. After executing post-processing,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vances the processing to step S130.

스텝 S130에 있어서, 정보 수신부(112)는, 다른 게임 장치(10)의 결과 정보(RINF)가 통신부(150)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30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즉 다른 게임 장치(10)의 결과 정보(RINF)가 통신부(150)에 도달한 경우, 정보 수신부(112)는 처리를 스텝 S132로 진행시킨다. 한편, 스텝 S130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즉 다른 게임 장치(10)의 결과 정보(RINF)가 통신부(150)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정보 수신부(112)는 처리를 스텝 S140으로 진행시킨다. 즉, 다른 게임 장치(10)의 결과 정보(RINF)가 통신부(150)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스텝 S132 내지 S136의 일련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In step S130,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determines whether result information (RINF) of another game device 10 has arrived at the communication unit 150.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30 is positive, that is, if result information (RINF) of another game device 10 has arrived at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2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132. 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30 is negative, that is, if the result information (RINF) of the other game device 10 has not reached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proceeds to step S140. I order it. That is, if the result information (RINF) of the other game device 10 does not reach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series of processes from steps S132 to S136 are not executed.

스텝 S132에 있어서, 정보 수신부(112)는, 다른 게임 장치(10)에서 실행된 전처리의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RINF)를 수신하고, 처리를 스텝 S134로 진행시킨다. 스텝 S134에 있어서, 정보 송신부(114)는, 정보 수신부(112)에서 수신된 결과 정보(RINF)에 대한 긍정 응답을, 다른 게임 장치(10)에 송신한다. 또한, 정보 송신부(114)는, 진행 제어부(113)의 후처리부(1132)가 결과 정보(RINF)에 기초하는 후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긍정 응답 대신에 부정 응답을 다른 게임 장치(10)에 송신해도 된다.In step S132,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receives result information (RINF) indicating the result of preprocessing performed on the other game device 10, and advances the processing to step S134. In step S134,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14 transmits an affirmative response to the result information (RINF)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to the other game device 10. Additionally, if the post-processing unit 1132 of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does not perform post-processing based on the result information (RINF),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14 sends a negative response instead of a positive response to another game device 10. ) may be sent to .

다음에, 스텝 S136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의 후처리부(1132)는, 정보 수신부(112)에서 수신된 결과 정보(RINF)에 기초하여 후처리를 실행하고, 게임을 진행시킨다. 이에 의해, 게임의 상황은, 결과 정보(RINF)에 따른 상황(즉, 다른 게임 장치(10)의 조작부(170)에 대하여 실행된 조작에 따른 상황)으로 갱신된다. 진행 제어부(113)는, 후처리를 실행한 후, 처리를 스텝 S140으로 진행시킨다.Next, in step S136, the post-processing unit 1132 of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performs post-processing based on the result information (RINF)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and advances the game. As a result, the game situation is updated to a situ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information RINF (that is, a situ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performed on the operation unit 170 of another game device 10). After executing post-processing,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vances the processing to step S140.

스텝 S140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는, 게임의 진행을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에 관한 전환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전환 제어 처리의 상세는, 도 14에서 설명한다.In step S140,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executes switching control processing related to control for switching the game progress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Details of the switching control process are explained in FIG. 14.

또한, 결과 동기 모드에 의한 게임 진행 처리는, 도 13에 도시하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텝 S112의 판정, 스텝 S124의 판정 및 스텝 S130의 판정 등은, 진행 제어부(113)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스텝 S112 내지 S122의 일련의 처리, 스텝 S124 내지 S128의 일련의 처리, 스텝 S130 내지 S136의 일련의 처리 및 스텝 S140의 전환 제어 처리는, 병렬로 실행되어도 된다. 다음에, 도 14를 참조하면서, 스텝 S140의 전환 제어 처리를 설명한다.In addition, the game progress processing i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shown in FIG. 13. For example, the judgment in step S112, the judgment in step S124, the judgment in step S130, etc. may be executed by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ditionally, the series of processes of steps S112 to S122, the series of processes of steps S124 to S128, the series of processes of steps S130 to S136, and the switching control process of step S140 may be executed in parallel. Next, the switching control process in step S140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14.

도 14는, 전환 제어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전환 제어 처리는, 도 13에 도시한 스텝 S140의 전환 제어 처리의 일례이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하는 전환 제어 처리는, 결과 동기 모드가 계속되고 있는 기간에는, 갱신 타이밍의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반복 실행된다.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switching control processing. Additionally, the switching control process shown in FIG. 14 is an example of the switch control process in step S140 shown in FIG. 13. Therefore, the switching control process shown in FIG. 14 is repeatedly executed at the same cycle as the update timing cycle while the result synchronous mode continues.

스텝 S1400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는, 게임의 진행을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진행 제어부(113)는, 게임의 진행을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전환 통지를 정보 수신부(112)가 다른 게임 장치(10)로부터 수신한 경우, 게임의 진행을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혹은, 진행 제어부(113)는, 도루 지시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를 취득부(111)가 취득하고 나서 전환 대기 시간 WT가 경과할 때까지 정보 수신부(112)가 투구 정보(RINF)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게임의 진행을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판정한다.In step S1400,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determines whether to switch the game progress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For example, whe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receives a change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the progress of the game is to be switched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from the other game device 10,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controls the progress of the game. It is determined that the is switched to input synchronous mode. Alternatively,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llows th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2 to receive pitch information (RINF) until the transition waiting time WT elapses after the acquisition unit 111 acqui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indicating a stolen base instruction. If not, the game progress is determined to be switched to input synchronous mode.

스텝 S1400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즉 게임의 진행을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진행 제어부(113)는, 처리를 스텝 S1402로 진행시킨다. 한편, 스텝 S1400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즉 결과 동기 모드를 계속하는 경우, 진행 제어부(113)는, 처리를 스텝 S1406으로 진행시킨다. 따라서, 스텝 S1402 및 S1404의 일련의 처리는, 게임의 진행을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 실행되고, 스텝 S1406 내지 S1414의 일련의 처리는, 결과 동기 모드를 계속하는 경우에 실행된다.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400 is positive, that is, when the game progress is switched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1402.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400 is negative, that is, whe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is continued,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1406. Accordingly, the series of processes in steps S1402 and S1404 are executed when switching the game progress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and the series of processes in steps S1406 to S1414 are executed when the result synchronous mode is continued.

스텝 S1402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는, 게임의 진행을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진행 제어부(113)는, 전회의 갱신 타이밍까지, 후술하는 스텝 S1408에서 경과 시간의 계측이 개시되어 있던 경우, 게임의 진행을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한 후, 경과 시간의 계측을 종료한다. 진행 제어부(113)는, 게임의 진행을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한 후, 처리를 스텝 S1404로 진행시킨다.In step S1402,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switches the progress of the game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Additionally, if measurement of the elapsed time had been started in step S1408 described later until the previous update timing,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switches the game progress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and then measures the elapsed time. Terminat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switches the game progress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and then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1404.

스텝 S1404에 있어서, 정보 송신부(114)는, 게임의 진행을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전환 통지를 다른 게임 장치(10)에 송신하고, 전환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다른 게임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전환 통지에 따라 진행 제어부(113)가 게임의 진행을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한 경우, 스텝 S1404의 처리는 생략되어도 된다. 혹은, 다른 게임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전환 통지에 따라 진행 제어부(113)가 게임의 진행을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한 경우, 스텝 S1404에서 송신되는 전환 통지는,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된 것을 다른 게임 장치(10)가 확인하기 위한 정보로서 사용되어도 된다.In step S1404,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14 transmits a changeover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the game progress is to be switched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to the other game device 10, and ends the changeover control process. Additionally,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switches the progress of the gam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according to a change notification received from another game device 10, the processing of step S1404 may be omitted. Alternatively,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switches the game progress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according to a switching notification received from another game device 10, the switching notification transmitted in step S1404 indicates that the game has been switched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It may be used as information for the game device 10 to confirm.

다음에, 스텝 S1400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즉, 결과 동기 모드가 계속되는 경우)에 실행되는 스텝 S1406 내지 S1414의 일련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series of processes from steps S1406 to S1414 that are execute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400 is negative (that is, whe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continues) will be described.

스텝 S1406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는, 도루 지시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를 취득부(111)가 금회의 갱신 타이밍에 취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406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즉 도루 지시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를 취득부(111)가 금회의 갱신 타이밍에 취득한 경우, 진행 제어부(113)는, 스텝 S1408에 있어서 경과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전환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406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즉 도루 지시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를 취득부(111)가 금회의 갱신 타이밍에 취득하지 않은 경우, 진행 제어부(113)는, 처리를 스텝 S1410으로 진행시킨다.In step S1406,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determines whether the acquisition unit 111 acquired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indicating the stolen base instruction at the current update timing.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406 is positive, that is, if the acquisition unit 111 acqui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indicating a stolen base instruction at the current update timing,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determines the elapsed time in step S1408. Starts measurement and ends the switching control process. 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406 is negative, that is, if the acquisition unit 111 does not acquire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indicating the stolen base instruction at the current update timing,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performs processing. Proceed to step S1410.

스텝 S1410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는, 도루 지시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를 취득부(111)가 전회의 갱신 타이밍까지 이미 취득 완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410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즉 도루 지시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를 취득부(111)가 이미 취득 완료인 경우, 진행 제어부(113)는, 처리를 스텝 S1412로 진행시킨다. 한편, 스텝 S1410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즉 도루 지시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를 취득부(111)가 취득하지 않은 경우, 진행 제어부(113)는, 경과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지 않고, 전환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In step S1410,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determines whether the acquisition unit 111 has already acquired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indicating the stolen base instruction by the previous update timing.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410 is positive, that is, if the acquisition unit 111 has already acquired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indicating the stolen base instruction,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1412. 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410 is negative, that is, if the acquisition unit 111 does not acquire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indicating a stolen base instruction,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does not start measuring the elapsed time. and the switching control process ends.

스텝 S1412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는, 투구 정보(RINF)를 정보 수신부(112)가 금회의 갱신 타이밍에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412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즉 투구 정보(RINF)를 정보 수신부(112)가 금회의 갱신 타이밍에 수신한 경우, 진행 제어부(113)는, 스텝 S1414에 있어서 경과 시간의 계측을 종료하고, 전환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즉, 진행 제어부(113)는, 도루 지시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를 취득부(111)가 취득하고 나서 전환 대기 시간 WT가 경과할 때까지 투구 정보(RINF)를 정보 수신부(112)가 수신한 경우, 경과 시간의 계측을 종료한 후, 전환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412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즉 투구 정보(RINF)를 정보 수신부(112)가 금회의 갱신 타이밍에 수신하지 않은 경우, 진행 제어부(113)는, 경과 시간의 계측을 계속한 상태에서, 전환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 15를 참조하면서, 입력 동기 모드에 의한 게임 진행 처리를 설명한다. In step S1412,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determines whether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has received the pitch information (RINF) at the current update timing.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412 is positive, that is, whe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receives the pitch information (RINF) at the current update timing,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measures the elapsed time in step S1414. Ends, and the switching control processing ends. That is,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causes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to receive pitch information (RINF) until the transition waiting time WT elapses after the acquisition unit 111 acqui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indicating a stolen base instruction. In one case, after measurement of the elapsed time is completed, the switching control process is terminated. 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412 is negative, that is, if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does not receive the pitch information (RINF) at the current update timing,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continues measuring the elapsed time. In one state, the switching control process ends. Next, referring to FIG. 15, game progress processing in input synchronous mode will be explained.

도 15는, 입력 동기 모드에 의한 게임 진행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동작은, 도 12에 도시한 스텝 S160(입력 동기 모드에 의한 게임 진행 처리)의 일례이다. 따라서, 도 15의 스텝 S168의 처리는, 도 12의 스텝 S100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에 실행된다. 즉, 도 15에 도시하는 동작은, 입력 동기 모드가 계속되고 있는 기간에는, 갱신 타이밍의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반복 실행된다. 또한, 스텝 S166 내지 S184의 일련의 처리와, 스텝 S186의 결과 정보 취소 처리는, 병렬로 실행되어도 된다.Fig. 15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game progress processing in input synchronous mode. Additionally, the operation shown in FIG. 15 is an example of step S160 (game progress processing in input synchronous mode) shown in FIG. 12. Accordingly, the processing in step S168 in FIG. 15 is execute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00 in FIG. 12 is negative. That is, the operation shown in FIG. 15 is repeatedly performed at the same cycle as the update timing cycle while the input synchronous mode continues. Additionally, the series of processes in steps S166 to S184 and the result information cancellation process in step S186 may be executed in parallel.

스텝 S166에 있어서, 취득부(111)는, 조작부(170)에 대하여 조작이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66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즉 조작부(170)에 대하여 조작이 실행된 경우, 취득부(111)는, 스텝 S168에 있어서 조작 정보(IINF)를 취득하고, 처리를 스텝 S170으로 진행시킨다. 한편, 스텝 S166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즉 조작부(170)에 대하여 조작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 진행 제어부(113)는, 처리를 스텝 S176으로 진행시킨다.In step S166, the acquisition unit 111 determines whether an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on the operation unit 170.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66 is positive, that is, when an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operation unit 170, the acquisition unit 111 acqui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in step S168, and proceeds to step S170. Let’s proce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66 is negative, that is, when the operation is not performed on the operation unit 170,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176.

스텝 S170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는, 스텝 S168에서 취득된 조작 정보(IINF)를 기억부(130)에 기억한다. 다음에, 스텝 S174에 있어서, 정보 송신부(114)는, 스텝 S168에서 취득된 조작 정보(IINF)를 다른 게임 장치(10)에 송신하고, 처리를 스텝 S176으로 진행시킨다.In step S170,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sto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acquired in step S168 in the storage unit 130. Next, in step S174,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14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acquired in step S168 to the other game device 10, and proceeds to step S176.

스텝 S176에 있어서, 정보 수신부(112)는, 다른 게임 장치(10)의 조작 정보(IINF)가 통신부(150)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76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즉 다른 게임 장치(10)의 조작 정보(IINF)가 통신부(150)에 도달한 경우, 정보 수신부(112)는, 스텝 S178에 있어서 조작 정보(IINF)를 수신하고, 처리를 스텝 S180으로 진행시킨다. 한편, 스텝 S176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즉 다른 게임 장치(10)의 조작 정보(IINF)가 통신부(150)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정보 수신부(112)는, 처리를 스텝 S182로 진행시킨다. 스텝 S180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는, 정보 수신부(112)에서 수신된 조작 정보(IINF)를 기억부(130)에 기억하고, 처리를 스텝 S182로 진행시킨다.In step S176,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determines whether operation information (IINF) of another game device 10 has arrived at the communication unit 150.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76 is positive, that is,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of another game device 10 reaches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in step S178. ) is received, and the process advances to step S180. 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76 is negative, that is, if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of the other game device 10 does not reach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transfers the processing to step S182. Let’s proceed. In step S180,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sto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in the storage unit 130, and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182.

스텝 S182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는, 취득부(111)에서 취득된 조작 정보(IINF)와 정보 수신부(112)에서 수신된 조작 정보(IINF)의 양쪽의 조작 정보(IINF)가 일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82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즉 양쪽의 조작 정보(IINF)가 일치된 경우, 진행 제어부(113)는, 처리를 스텝 S184로 진행시킨다. 한편, 스텝 S182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진행 제어부(113)는, 처리를 스텝 S186으로 진행시킨다. 즉, 스텝 S184의 갱신 처리는, 취득부(111)에서 취득된 조작 정보(IINF)와 정보 수신부(112)에서 수신된 조작 정보(IINF)의 양쪽이 일치될 때까지 실행되지 않는다.In step S182,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obtained from the acquisition unit 111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match. Determine whether or not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82 is positive, that is, if both operation information (IINF) matches,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184. 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82 is negativ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186. That is, the update process in step S184 is not executed until both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111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received by th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2 match.

스텝 S184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는, 취득부(111)에서 취득된 조작 정보(IINF)와 정보 수신부(112)에서 수신된 조작 정보(IINF)의 양쪽에 기초하여, 게임의 상황을 갱신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 진행 제어부(113)는, 게임을 진행시킨 후, 처리를 스텝 S186으로 진행시킨다.In step S184,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updates the game situation based on both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111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received by th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2. So, proceed with the game. After advancing the gam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186.

스텝 S186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는, 결과 정보 취소 처리를 실행한다. 결과 정보 취소 처리는, 예를 들어 게임의 진행이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된 후에, 결과 동기 모드에 관한 처리를 취소하기 위한 처리이다. 결과 정보 취소 처리의 상세는, 도 16에서 설명한다.In step S186,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executes result information cancellation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cancellation processing is processing for canceling processing related to the result synchronous mode, for example, after the game progress is switched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Details of the result information cancellation processing are explained in FIG. 16.

또한, 입력 동기 모드에서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의 게임 장치(10)의 동작은, 도 15에 도시하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텝 S174의 처리는, 스텝 S170의 처리 전에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스텝 S166 내지 S174의 일련의 처리는, 스텝 S176 내지 S180의 일련의 처리보다 후에 실행되어도 되고, 스텝 S176 내지 S180의 일련의 처리와 병렬로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진행 제어부(113)는, 취득부(111)에서 취득된 조작 정보(IINF) 및 정보 수신부(112)에서 수신된 조작 정보(IINF)를, 기억부(130)와는 다른 기억부에 기억해도 된다. 다음에, 도 16을 참조하면서, 스텝 S186의 결과 정보 취소 처리를 설명한다.Additionally,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 10 when playing a game in input synchronous mode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shown in FIG. 15. For example, the processing of step S174 may be performed before the processing of step S170. In addition, the series of processes of steps S166 to S174 may be executed after the series of processes of steps S176 to S180, or may be executed in parallel with the series of processes of steps S176 to S180. In addition,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may store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111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received by th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2 in a storage unit different from the storage unit 130. do. Next, the result information cancellation processing of step S186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16.

도 16은, 결과 정보 취소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결과 정보 취소 처리는, 도 15에 도시한 스텝 S186의 결과 정보 취소 처리의 일례이다. 따라서, 스텝 S1860의 처리는, 도 15의 스텝 S184의 갱신 처리가 실행된 후, 또는 도 15의 스텝 S182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에 실행된다.Fig. 16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result information cancellation processing. Additionally, the result information cancellation process shown in FIG. 16 is an example of the result information cancellation process in step S186 shown in FIG. 15. Accordingly, the process of step S1860 is executed after the update process of step S184 in FIG. 15 is executed, or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82 of FIG. 15 is negative.

스텝 S1860에 있어서, 정보 수신부(112)는, 다른 게임 장치(10)에 있어서의 결과 동기 모드에 의한 전처리의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 정보(RINF)가 통신부(150)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860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즉 다른 게임 장치(10)의 결과 정보(RINF)가 통신부(150)에 도달한 경우, 정보 수신부(112)는, 스텝 S1862에 있어서 결과 정보(RINF)를 수신하고, 처리를 스텝 S1864로 진행시킨다. 스텝 S1864에서는, 정보 송신부(114)는, 결과 정보(RINF)에 대한 부정 응답을 다른 게임 장치(10)에 송신하고, 결과 정보 취소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862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즉 다른 게임 장치(10)의 결과 정보(RINF)가 통신부(150)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정보 수신부(112)는, 처리를 스텝 S1866으로 진행시킨다.In step S1860,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determines whether result information (RINF) indicating the result of preprocessing i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in the other game device 10 has arrived at the communication unit 150.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860 is positive, that is, when the result information (RINF) of the other game device 10 reaches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receives the result information (RINF) in step S1862. ) is received, and the process advances to step S1864. In step S1864,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14 transmits a negative response to the result information (RINF) to the other game device 10, and ends the result information cancellation processing. 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862 is negative, that is, if the result information (RINF) of the other game device 10 has not reached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transfers the processing to step S1866. Let’s proceed.

스텝 S1866에 있어서, 정보 수신부(112)는, 게임의 진행을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하기 전의 결과 동기 모드에 있어서 다른 게임 장치(10)에 송신된 결과 정보(RINF)에 대한 부정 응답이 통신부(150)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866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즉 부정 응답이 통신부(150)에 도달한 경우, 정보 수신부(112)는, 스텝 S1868에 있어서 부정 응답을 수신하고, 처리를 스텝 S1870으로 진행시킨다. 한편, 스텝 S1866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즉 부정 응답이 통신부(150)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정보 수신부(112)는 결과 정보 취소 처리를 종료한다.In step S1866,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determines that a negative response to the result information (RINF) transmitted to the other game device 10 in the result synchronous mode before switching the game progress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is sent to the communication unit 150. ) is reache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866 is positive, that is, when a negative response reaches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receives the negative response in step S1868 and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1870. 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866 is negative, that is, if a negative response has not reached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ends the result information cancellation processing.

스텝 S1870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는, 부정 응답에서 부정된 결과 정보(RINF)에 대응하는 처리를 취소한다. 부정 응답에서 부정된 결과 정보(RINF)에 대응하는 처리의 취소는, 예를 들어 게임의 진행을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하기 전의 결과 동기 모드에 있어서의 긍정 응답 대기의 후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종료시키는 것이다. 스텝 S1870의 처리의 종료에 의해, 결과 정보 취소 처리는 종료된다. 또한, 스텝 S1860 내지 S1864의 일련의 처리와, 스텝 S1866 내지 S1870의 일련의 처리는, 병렬로 실행되어도 된다. 진행 제어부(113)는, 결과 정보 취소 처리가 종료된 경우, 처리를 도 12에 도시한 스텝 S190으로 진행시킨다.In step S1870,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cancels the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result information (RINF) denied in the negative response. Cancellation of processing corresponding to negative result information (RINF) in a negative response, for example, terminates the game progress without executing post-processing of waiting for a positive response in the result synchronous mode before switching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will be. Upon completion of the processing in step S1870, the result information cancellation processing ends. Additionally, the series of processes of steps S1860 to S1864 and the series of processes of steps S1866 to S1870 may be executed in parallel. When the result information cancellation processing is completed,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advances the processing to step S190 shown in FIG. 12.

[5. 본 실시 형태의 결론][5. Conclusion of this embodiment]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진행 제어부(113)는, 취득부(111)에서 취득된 조작 정보(IINF)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키는 결과 동기 모드와, 취득부(111)에서 취득된 조작 정보(IINF)와 정보 수신부(112)에서 수신된 다른 게임 장치(10)의 조작 정보(IINF)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키는 입력 동기 모드에 의해, 게임의 진행을 제어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게임 장치(10)와 다른 게임 장치(10)의 2개의 게임 장치(10) 사이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 내용의 상이 정도를, 종래와 비교하여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동기 모드에서 게임을 진행시킴으로써, 입력 동기 모드가 게임의 진행에 사용되지 않는 종래의 게임 장치에 비하여, 게임의 상황을 게임 장치(10)와 다른 게임 장치(10)의 2개의 게임 장치(10)에서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결과 동기 모드에서 게임을 진행시키고 있던 경우에도, 게임의 진행을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캐릭터 및 오브젝트 등의 위치 및 상태가 2개의 게임 장치(10)에서 일치되어 있는 것이 전제인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발생시키는 이벤트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has a result synchronization mode for advancing the gam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111, and the acquisition unit 111 The progress of the game is controlled by an input synchronization mode that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acquired from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 of the other game device 10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gree of difference in game progress between two game devices 10, one game device 10 and another game device 10,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by playing the game in the input synchronous mode, compared to a conventional game device in which the input synchronous mode is not used to progress the game, the game situation can be changed to the game device 10 and other game devices ( 10) can be matched on two gaming devices 10. 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even when the game is being played in the result synchronous mode, by switching the game progress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the positions and states of characters, objects, etc. are changed in two games. The device 10 can generate an event that is predicated on matching. As a result, restrictions on the types of events to be generated can be reduced.

[B. 변형예][B. Variation example]

이상의 각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인 변형의 양태를 이하에 예시한다. 이하의 예시로부터 임의로 선택된 2 이상의 양태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병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예시하는 변형예에 있어서 작용이나 기능이 실시 형태와 동등한 요소에 대해서는, 이상의 설명에서 참조한 부호를 유용하여 각각의 상세한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Each of the above form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Specific modifications are illustrated below. Two or more aspects arbitrarily selected from the examples below can be appropriately combined within the range that do not contradict each other. In addition, in the modified examples illustrated below, for elements whose actions or functions are equivalent to those of the embodiment, the symbols referred to in the above description are used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appropriately omitted.

[변형예 1][Variation Example 1]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수비측의 게임 장치(10)는, 1회의 투구마다, 투구 정보(RINF)를 공격측의 게임 장치(10)에 1회 송신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비측의 게임 장치(10)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회의 투구마다, 투구 정보(RINF)를 공격측의 게임 장치(10)에 복수회로 나누어 송신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efensive game device 10 transmits pitch information (RINF) to the offensive game device 10 once for each pitch,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the defense game device 10 may transmit the pitch information (RINF) to the offense game device 10 multiple times for each pitch.

도 17은, 변형예 1에 관한 게임 시스템(1)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17에 있어서도, 도 6과 마찬가지로, 조작 정보(IINF-2) 및 결과 정보(RINF-2)의 부호의 말미에 소문자 알파벳(a, b)을 첨부하고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동작에서는, 수비측의 게임 장치(10-2)의 유저 U2는, "구종" 및 "코스" 등의 투구 내용을 지시하는 투구 지시와 릴리스 타이밍을 지시하는 릴리스 지시를 게임 장치(10-2)의 조작부(170-2)에 대하여 입력한다. 또한, 릴리스 타이밍은, 투수 캐릭터(Cpt)가 볼 오브젝트(Obl)를 릴리스하는 타이밍이다. 예를 들어, 릴리스 타이밍은, 볼 오브젝트(Obl)가 투수 캐릭터(Cpt)의 손으로부터 떠나는 타이밍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동작은, 릴리스 지시가 조작부(170-2)에 대하여 입력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9에 도시한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도 9에서 설명한 동작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ig. 17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game system 1 according to Modification 1. In Fig. 17, as in Fig. 6, lowercase alphabet letters (a, b) are attached to the end of the codes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 and result information (RINF-2). In the operation shown in FIG. 17, user U2 of the game device 10-2 on the defense side sends a pitch instruction indicating pitch content such as “pitch type” and “course” and a release instruction indicating release timing to the game device ( 10-2) Input to the control unit 170-2. Additionally, the release timing is the timing at which the pitcher character (Cpt) releases the ball object (Obl). For example, the release timing is the timing at which the ball object (Obl) leaves the hand of the pitcher character (Cpt). The operation shown in FIG. 17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shown in FIG. 9 except that a release instruction is input to the operation unit 170-2. For this reas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s described in FIG. 9 will be omitted.

우선, 시각 T220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정보 송신부(114-2)는, 투구 지시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2a)에 기초하는 투구 정보(RINF-2a)를 게임 장치(10-1)에 송신한다(S218).First, at time T220,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2 of the game device 10-2 sends pitch information (RINF-2a) based on operation information (IINF-2a) indicating the content of the pitch instruction to the game device. Send to (10-1) (S218).

시각 T221에 있어서, 게임 장치(10-1)의 정보 수신부(112-1)는 투구 정보(RINF-2a)를 수신하고(S132), 정보 송신부(114-1)는, 투구 정보(RINF-2a)에 대한 긍정 응답을 게임 장치(10-2)에 송신한다(S134). 또한, 진행 제어부(113-1)의 후처리부(1132-1)는, 시각 T221로부터 투구 대기 시간 PWT(「제2 시간」의 일례)가 경과한 후인 시각 T227에 있어서, 투수 캐릭터(Cpt)에 투구 정보(RINF-2a)에 기초하는 투구를 개시시킨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게임 장치(10-2)에 대응하는 표시부(31-2)에 투구 동작이 표시되는 시각 T226보다 후인 시각 T227에, 게임 장치(10-2)에 대응하는 표시부(31-2)에 투구 동작이 표시된다(S190).At time T221,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1 of the game device 10-1 receives pitch information (RINF-2a) (S132), and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14-1 receives pitch information (RINF-2a). ) is transmitted to the game device 10-2 (S134). Additionally, the post-processing unit 1132-1 of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sends the pitcher character (Cpt) to the pitcher character (Cpt) at time T227, after the pitch waiting time PWT (an example of the “second time”) has elapsed from time T221. A pitch based on pitch information (RINF-2a) is initiated. As a result, as will be described later, at time T227, which is later than the time T226 at which the pitching ac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2 corresponding to the game device 10-2,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game device 10-2 ( 31-2), the pitching motion is displayed (S190).

시각 T224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정보 수신부(112-2)는, 투구 정보(RINF-2a)에 대한 긍정 응답을 수신한다(S226). 그리고, 시각 T226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2)는, 투구 정보(RINF-2a)에 기초하는 투수 캐릭터(Cpt)의 투구 동작을 표시부(31-2)에 표시시킨다(S290).At time T224,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2 of the game device 10-2 receives an affirmative response to the pitch information (RINF-2a) (S226). Then, at time T226,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causes the display unit 31-2 to display the pitching motion of the pitcher character (Cpt) based on the pitch information (RINF-2a) (S290).

시각 T230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취득부(111-2)가 릴리스 지시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2b)를 취득하면, 진행 제어부(113-2)의 전처리부(1131-2)는, 릴리스 타이밍에 따라 투구 정밀도를 결정한다(S216). 예를 들어, 게임 장치(10-2)의 진행 제어부(113-2)는, 투수 캐릭터(Cpt)의 투구 동작을 표시부(31-2)에 표시시킨 후, 타이밍 게이지를 표시부(31-2)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유저 U2가 타이밍 게이지로 나타내어지는 적절한 타이밍에 릴리스 지시(조작 버튼의 누름, 또는 조작 버튼의 누름 해제 등)를 입력하면, 투구 지시로 선택한 코스에 볼 오브젝트(Obl)가 던져 넣어진다. 릴리스 지시가 입력되는 타이밍이 적절한 타이밍으로부터 어긋날수록, 볼 오브젝트(Obl)가 던져 넣어지는 위치도 투구 지시로 선택한 코스로부터 어긋난다.At time T230, when the acquisition unit 111-2 of the game device 10-2 acquires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b indicating a release instruction, the preprocessing unit 1131-2 of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 determines the pitching precision according to the release timing (S216). For exampl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of the game device 10-2 displays the pitching motion of the pitcher character (Cpt) on the display unit 31-2 and then displays the timing gauge on the display unit 31-2. It is displayed in Then, when user U2 inputs a release instruction (pressing an operation button, depressing an operation button, etc.) at the appropriate timing indicated by the timing gauge, the ball object Obl is thrown into the course selected by the pitching instruction. As the timing at which the release instruction is input deviates from the appropriate tim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ball object (Obl) is thrown also deviates from the course selected by the pitching instruction.

또한, 게임 장치(10-2)의 정보 송신부(114-2)는, 릴리스 지시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2b)에 기초하는 투구 정보(RINF-2b)를 게임 장치(10-1)에 송신한다(S218). 투구 정보(RINF-2b)에는, 릴리스 지시에 따라 결정된 볼 오브젝트(Obl)가 던져 넣어지는 코스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릴리스 지시가 입력되는 타이밍에 따라 구속도 투구 지시로 선택한 구속으로부터 조정되는 경우, 투구 정보(RINF-2b)에는, 투구 지시에 따라 결정된 볼 오브젝트(Obl)의 구속을 나타내는 정보도 포함된다.Additionally,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14-2 of the game device 10-2 transmits pitch information (RINF-2b)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2b) indicating a release instruction to the game device 10-1. Do it (S218). The pitch information (RINF-2b)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urse into which the ball object (Obl)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lease instruction is thrown. Additionally, when the velocity is also adjusted from the velocity selected by the pitch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timing at which the release instruction is input, the pitch information RINF-2b also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velocity of the ball object Obl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itch instruction.

시각 T232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진행 제어부(113-2)는, 투구 정보(RINF-2b)에 기초하여 갱신된 게임의 상황을 나타내는 투구 화면을 표시부(31-2)에 표시시킨다(S290).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투구 화면은, 투수 캐릭터(Cpt)의 투구 동작이 종료된 후의 투수 캐릭터(Cpt) 및 볼 오브젝트(Obl)가 표시되는 화면이다. 따라서, 게임 장치(10-2)에서는, 시각 T232에 있어서, 볼 오브젝트(Obl)가 투수 캐릭터(Cpt)로부터 릴리스된다.At time T232,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of the game device 10-2 displays a pitch screen showing the updated game situation based on the pitch information (RINF-2b) on the display unit 31-2. Do it (S290). Additionally,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7, the pitching screen is a screen in which the pitcher character (Cpt) and the ball object (Obl) are displayed after the pitching motion of the pitcher character (Cpt) is completed. Accordingly, in the game device 10-2, the ball object Obl is released from the pitcher character Cpt at time T232.

시각 T233에 있어서, 게임 장치(10-1)의 정보 수신부(112-1)는 투구 정보(RINF-2b)를 수신한다(S132). 그리고, 시각 T235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113-1)는, 투구 정보(RINF-2b)에 기초하여 갱신된 게임의 상황을 나타내는 투구 화면을 표시부(31-1)에 표시시킨다(S190). 따라서, 게임 장치(10-1)에서는, 시각 T235에 있어서, 볼 오브젝트(Obl)가 투수 캐릭터(Cpt)로부터 릴리스된다. 시각 T235보다 후의 시각(예를 들어, 시각 T241, T243, T244 및 T246)의 동작은, 도 9에 도시한 동작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At time T233,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1 of the game device 10-1 receives pitch information (RINF-2b) (S132). Then, at time T235,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causes the display unit 31-1 to display a pitch screen showing the updated game situation based on the pitch information (RINF-2b) (S190). Accordingly, in the game device 10-1, the ball object Obl is released from the pitcher character Cpt at time T235. Since the operation at times later than time T235 (for example, time T241, T243, T244, and T246)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shown in FIG. 9, description is omitted.

도 18은, 변형예 1에 관한 게임 시스템(1)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동작은, 도루 지시가 입력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17에 도시한 동작과 마찬가지이며, 릴리스 지시가 조작부(170-2)에 대하여 입력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10에 도시한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도 10 및 도 17에서 설명한 동작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ig. 18 is a sequence 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game system 1 according to Modification 1. The operation shown in FIG. 18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shown in FIG. 17 except that a steal instruction is input, and the operation shown in FIG. 10 except that a release instruction is input to the operation unit 170-2. It's the same as For this reas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s explained in FIGS. 10 and 17 will be omitted.

시각 T211, T212 및 T214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1 및 10-2)의 일련의 동작은, 도 10에 도시한 시각 T211, T212 및 T214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1 및 10-2)의 일련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시각 T214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진행 제어부(113-2)는, 도루 정보(RINF-1)에 기초하여 갱신된 게임의 상황을 나타내는 주자 화면을 표시부(31-2)에 표시시킨다(S290).A series of operations of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at times T211, T212, and T214 are the same as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at times T211, T212, and T214 shown in FIG. 10. ) is the same as the series of operations. For example, at time T214,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2 of the game device 10-2 displays a runner screen showing the game situation updated based on the stolen base information RINF-1 to the display unit 31- 2) is displayed (S290).

시각 T220에 있어서, 게임 장치(10-2)의 정보 송신부(114-2)는, 투구 지시의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IINF-2a)에 기초하는 투구 정보(RINF-2a)를 게임 장치(10-1)에 송신한다(S218).At time T220,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14-2 of the game device 10-2 sends pitch information (RINF-2a) based on operation information (IINF-2a) indicating the content of the pitch instruction to the game device 10-2. Send to -1) (S218).

시각 T221에 있어서, 게임 장치(10-1)의 정보 수신부(112-1)는 투구 정보(RINF-2a)를 수신한다(S132). 도 1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정보 수신부(112-1)는, 취득부(111-1)에 의한 조작 정보(IINF-1)의 취득 타이밍인 시각 T211로부터, 전환 대기 시간 WT가 경과할 때까지, 투구 정보(RINF-2a)를 수신한다. 이 때문에, 진행 제어부(113-1)는 결과 동기 모드에 의한 게임의 진행을 계속시킨다. 예를 들어, 정보 송신부(114-1)는, 투구 정보(RINF-2a)에 대한 긍정 응답을 게임 장치(10-2)에 송신한다(S134).At time T221,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1 of the game device 10-1 receives pitch information (RINF-2a) (S132).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8,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1 operates from time T211, which is the acquisition timing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by the acquisition unit 111-1, until the switching waiting time WT elapses. , Receive pitch information (RINF-2a). For this reason,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1 continues the progress of the game in the result synchronization mode. For example,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14-1 transmits an affirmative response to the pitch information (RINF-2a) to the game device 10-2 (S134).

도 1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결과 동기 모드에 의한 게임의 진행이 계속되기 때문에, 시각 T220 이후의 게임 장치(10-1 및 10-2)의 동작은, 도 17에 도시한 게임 장치(10-1 및 10-2)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취득부(111-1)에 의한 조작 정보(IINF-1)의 취득 타이밍인 시각 T211로부터, 전환 대기 시간 WT가 경과한 후에, 정보 수신부(112-1)가 투구 정보(RINF-2a)를 수신한 경우, 도 11에 도시한 동작과 마찬가지로, 게임의 진행은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된다. 게임의 진행이 결과 동기 모드로부터 입력 동기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의 변형예 1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10-1 및 10-2)의 동작은, 도 11에 도시한 동작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8, since the game continues in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after time T220 is the same as the game device 10- shown in FIG. 17. It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1 and 10-2). In addition, after the transition waiting time WT has elapsed from time T211, which is the acquisition timing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IINF-1) by the acquisition unit 111-1, the information reception unit 112-1 receives the pitch information (RINF-2a). When received, similar to the operation shown in FIG. 11, the game progress is switched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Since the operation of the game devices 10-1 and 10-2 in Modification Example 1 when the game progress is switched from the result synchronous mode to the input synchronous mode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shown in FIG. 11, the explanation is as follows. Omit it.

[변형예 2][Variation 2]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입력 동기 모드에서 게임을 진행시키고 있는 경우, 진행 제어부(113)가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을 부감한 화상을 표시부(31)에 표시시키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진행 제어부(113)는, 입력 동기 모드에 있어서, 유저 U1에 의해 조작되는 주자 캐릭터(Crn) 등의 게임 요소와, 유저 U2에 의해 조작되는 투수 캐릭터(Cpt) 등의 게임 요소의 양쪽이 1화면에 수렴되는 화상을 표시부(31)에 표시시켜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odification example, when the game is played in the input synchronous mod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displays an image with a bird's-eye view of the virtual space related to the game on the display unit 3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is form. It is not limited. For example, in the input synchronization mode, the progress control unit 113 controls game elements such as the runner character (Crn) operated by user U1 and game elements such as the pitcher character (Cpt) operated by user U2. Images in which both sides converge into one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1.

[C. 부기][C. bookkeeping]

이상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as follows, for example.

[부기 1][Appendix 1]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게임 장치(예를 들어, 게임 장치(10))는,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이며, 상기 게임 장치의 유저(예를 들어, 유저 U1)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1 조작 정보(예를 들어, 조작 정보(IINF-1))를 취득하는 취득부(예를 들어, 취득부(111))와,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예를 들어, 유저 U2)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2 조작 정보(예를 들어, 조작 정보(IINF-2))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예를 들어, 정보 수신부(112))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1 진행 모드(예를 들어, 결과 동기 모드)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와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2 진행 모드(예를 들어, 입력 동기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 진행 제어부(예를 들어, 진행 제어부(113))와,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진행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제1 결과 정보(예를 들어, 결과 정보(RINF-1))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예를 들어, 정보 송신부(1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ame device (e.g., game device 10)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ame device that plays a game, and indicates the contents of operations by a user (e.g., user U1) of the game device. An acquisition unit (e.g., acquisition unit 111) that acquires first operation information (e.g., operation information (IINF-1)), and a user of another game device (e.g.,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e.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that receives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e.g., operation information IINF-2) indicating the contents of an operation by user U2, and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Based on this, a first progress mode (e.g., result synchronization mode) to advance the game, and a second progress mode (e.g., to advance the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 progress control unit (e.g., a progress control unit 113) that controls the progress of the game by an input synchronization mode), and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by the first progress mode, Transmit first result information (e.g., result information (RINF-1)) indicating the progress of the game by the progress control unit to the other game device, and the progress control unit transmits the When playing a game, a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for example, a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14) transmits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ther game device.

이 양태에 따르면, 게임 장치와 다른 게임 장치의 2개의 게임 장치 사이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 내용의 상이 정도를, 종래와 비교하여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양태에 따르면, 제2 진행 모드에서 게임을 진행시킴으로써, 제2 진행 모드가 게임의 진행에 사용되지 않는 종래의 게임 장치에 비하여, 게임의 상황을 2개의 게임 장치에서 일치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이 양태에 따르면, 제1 진행 모드에서 게임을 진행시키고 있던 경우에도, 게임의 진행을 제1 진행 모드로부터 제2 진행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캐릭터 및 오브젝트 등의 게임 요소의 위치 및 상태가 2개의 게임 장치에서 일치되어 있는 것이 전제인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발생시키는 이벤트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degree of difference in game progress between two game devices, one game device and another game device,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For example, according to this aspect, by playing the game in the second play mode, the game situation can be matched in the two game devices, compared to a conventional game device in which the second play mode is not used to play the game. there is. As a result, according to this aspect, even when the game is being played in the first play mode, by switching the game play from the first play mode to the second play mode, the positions and states of game elements such as characters and objects are changed.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event based on the premise that two game devices match. As a result, restrictions on the types of events to be generated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양태에 있어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1 조작 정보」란, 게임 컨트롤러 등의 「조작부」에 대하여 유저가 실행한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유저가 실행한 조작에 할당된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는 , 예를 들어 조작부(170)에 마련된 복수의 조작 버튼 중, 하나의 조작 버튼을 유저가 누른 경우, 복수의 조작 버튼 중에서 하나의 조작 버튼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여도 된다. 혹은,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유저의 조작이 복수의 선택 메뉴 중에서 하나의 선택 메뉴를 선택하는 조작인 경우에, 복수의 선택 메뉴 중에서 하나의 선택 메뉴를 특정하는 정보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는, 유저의 조작이 복수의 선택 메뉴 "A", "B" 및 "C" 중에서 선택 메뉴 B를 선택하는 조작인 경우, 선택 메뉴 "B"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조작에 할당된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하나의 조작 버튼의 누름이, 게임에 관한 캐릭터를 위로 이동시키는 지시에 할당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가 하나의 조작 버튼을 누른 경우, 캐릭터를 위로 이동시키는 지시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aspect,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user on the “operation unit” such as a game controller, or may be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operation assigned to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user. It may be information that represents. “Information indicating operation” may be information for specifying one operation button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one operation button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170. Alternatively,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operation” may be information that specifies one selection menu from the plurality of selection menus, for example, when the user’s operation is an operation of selecting one selection menu from the plurality of selection menus. Specifically, “information indicating operation” means that when the user’s operation is to select selection menu B from a plurality of selection menus “A”, “B” and “C”, selection menu “B” is selected. It may be information that represents. In addition, “information indicating processing assigned to an operation” is,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one operation button while the press of one operation button is assigned to an instruction to move the character in the game upward. ,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instructions to move the character upward.

또한, 상기 양태에 있어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2 조작 정보」란, 다른 게임 장치의 게임 컨트롤러 등의 「조작부」에 대하여 유저가 실행한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유저가 실행한 조작에 할당된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aspect,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user on the “operation unit” such as a game controller of another game device, and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user. It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assigned processing.

또한, 상기 양태에 있어서,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이란, 게임을 진행시키는 갱신 타이밍에 있어서, 게임의 상황을 갱신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이란, 게임을 진행시키는 갱신 타이밍에 있어서, 게임의 상황을 갱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처리여도 된다. 또한,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이란, 게임을 진행시키는 갱신 타이밍에 있어서, 게임의 상황을 갱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게임의 상황을 갱신하는 경우, 갱신 후의 게임의 상황을 결정하는 처리여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aspect, “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game” may mean processing of updating the game situation at the update timing for advancing the game. Additionally, “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game” may be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update the game situation in the update timing for advancing the game. Additionally, “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game” refers to processing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update the game situation at the update timing for advancing the game, and when updating the game situation, determines the game situation after the update. do.

여기서, 「갱신 타이밍」은, 예를 들어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갱신하는 타이밍이어도 된다. 또한, 「갱신 타이밍」은, 게임 장치가 게임을 실행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주기적 또는 정기적으로 도래하는 타이밍이어도 된다.Here, the “update timing” may be, for example, the timing for updat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dditionally, the “update timing” may be a timing that occurs periodically or regularly during the period when the game device is playing the game.

또한, 「게임의 상황」이란, 예를 들어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게임 요소의 상황이어도 된다. 여기서, 「게임 요소」란, 예를 들어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에 존재하는 가상적인 물체여도 되고,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을 촬상하는 가상 카메라여도 된다. 이 중,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에 존재하는 가상적인 물체」란, 예를 들어 게임에 관한 캐릭터 및 게임에 관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개념이어도 된다. 또한, 「게임 요소의 상황」은, 게임 요소의 위치 및 상태 등이어도 된다. 여기서, 「게임 요소의 상태」란, 게임 요소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개념이어도 된다. 「게임 요소의 움직임」으로서는, 예를 들어 야구 게임의 경우, 투구, 타격, 도루 등의 캐릭터의 행동이 해당된다.Additionally, the “game situation” may be, for example, the situation of game elements in a virtual space related to the game. Here, the “game element” may be, for example, a virtual object that exists in a virtual space related to the game, or it may be a virtual camera that captures images of the virtual space related to the game. Among these, “virtual objects existing in the virtual space related to the game” may be a concept that includes, for example, characters related to the game and objects related to the game. Additionally, the “situation of game elements” may be the position and status of game elements, etc. Here, the “state of the game element” may be a concept including the movement of the game element. “Movements of game elements” includ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aseball game, character actions such as pitching, batting, and stealing.

따라서, 「제1 진행 모드」는, 게임을 진행시키는 갱신 타이밍에 있어서, 제1 조작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의 상황을 갱신하는 진행 모드여도 된다. 또한, 「제2 진행 모드」는, 게임을 진행시키는 갱신 타이밍에 있어서, 제1 조작 정보와 제2 조작 정보의 양쪽의 조작 정보가 일치된 경우에, 양쪽의 조작 정보(제1 조작 정보와 제2 조작 정보의 조)에 기초하여, 게임의 상황을 갱신하는 진행 모드여도 된다.Accordingly, the “first progress mode” may be a progress mode that updates the game situation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whe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exists at the update timing for advancing the game. In addition, the “second progress mode” refers to a case where both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match in the update timing for advancing the game, and both operation informati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2) It may be a progress mode in which the game situation is updated based on the set of oper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양태에 있어서, 「제1 결과 정보」는, 「제1 진행 모드」에 의해 갱신된 게임의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야구 게임에 있어서, 진행 제어부가, 제1 진행 모드에 의해, 투수 캐릭터에 투구시키기 위한 조작을 나타내는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 경우, 「제1 결과 정보」는,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구종" 및 "코스" 등에 따라 투구하는 투수 캐릭터의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정보여도 된다.Additionally, in the above aspect, the “first resul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game updated by the “first progression mode”. For example, in a baseball game,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in the first progress mode based on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operation to make the pitcher character pitch, the “first result information” is: Th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structing the start of the action of the pitcher character who pitches according to the “pitch type” and “course”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양태에 있어서,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이란, 제1 진행 모드 또는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갱신된 「게임의 상황」에 대응하는 화상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 aspect, the “image representing the progress result of the game” i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game situation” updated by the first progress mode or the second progress mode.

[부기 2][Book 2]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게임 장치는, 부기 1에 기재된 게임 장치이며,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제2 결과 정보(예를 들어, 결과 정보(RINF-2))를 수신하고, 상기 진행 제어부는,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am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game device described in Appendix 1, wherei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es second result information (e.g., result information (e.g., result information ( RINF-2)) is received, and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second result information in the first progress mode.

이 양태에 따르면, 정보 수신부가 제2 결과 정보를 수신한 경우, 진행 제어부가 제2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을 진행시킨다. 이 때문에, 제1 진행 모드에 있어서도,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을 게임의 진행에 반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whe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es the second result information,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second result information. For this reason, even in the first progress mode, operations by users of other game devices can be reflected in the progress of the game.

[부기 3][Appendix 3]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게임 장치는, 부기 2에 기재된 게임 장치이며, 상기 제2 진행 모드에서는,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이 정도가, 상기 제1 진행 모드에서의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이 정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am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game device described in Supplementary Note 2, wherein in the second play mode, the progress of the game in the game device and the progress of the game in the other game device are control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of differen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the progress of the game in the game device in the first play mode and the progress of the game in the other game device.

이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제2 진행 모드에서 게임을 진행시킴으로써, 게임 장치에 대응하는 표시부에 표시된 캐릭터 등의 게임 요소의 움직임과 다른 게임 장치에 대응하는 다른 표시부에 표시된 캐릭터 등의 게임 요소의 움직임의 어긋남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for example, by advancing the game in the second progression mode, the movement of game elements such as character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game device and the game elements such as characters displayed on another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nother game devic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crease in movement misalignment.

[부기 4][Book 4]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게임 장치는, 부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게임 장치이며, 상기 진행 제어부는, 상기 제2 진행 모드에 있어서, 상기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을 부감한 화상을 표시부(예를 들어, 표시부(31))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am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game device described in any one of Appendices 1 to 3, wherein the progress control unit displays an image overlooking a virtual space related to the game in the second progress mode. It is characterized by displaying it on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31).

이 양태에 따르면, 제2 진행 모드에 있어서,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 등의 게임 요소와,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 등의 게임 요소의 양쪽이 표시부에 표시된다. 이 결과, 유저는, 예를 들어 캐릭터를 어떻게 동작시킬지를, 대전 상대의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캐릭터의 움직임을 보고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in the second progression mode, both game elements such as characters operated by the user of the game device and game elements such as characters operated by the user of the other game device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s a result, the user can judge, for example, how to operate the character by looking at the movement of the character operated by the opposing user.

[부기 5][Book 5]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게임 장치는,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게임 장치이며, 상기 게임은, 투수 캐릭터(예를 들어, 투수 캐릭터(Cpt))가 투구를 실행하고, 주자 캐릭터(예를 들어, 주자 캐릭터(Crn))가 도루를 실행하는 야구 게임이며, 상기 게임 장치가 상기 주자 캐릭터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다른 게임 장치가 상기 투수 캐릭터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진행 제어부는,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있어서 상기 게임이 진행 중에, 상기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제1 조작 정보가, 상기 주자 캐릭터에 대한 도루의 개시의 지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취득부에 의한 상기 제1 조작 정보의 취득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의 진행을, 상기 제1 진행 모드로부터 상기 제2 진행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am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am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Appendices 1 to 4, in which a pitcher character (for example, a pitcher character (Cpt)) makes a pitch, and a runner character (e.g., a baseball game in which a runner character (Crn)) executes a stolen base, the game device is used to operate the runner character, and the other game device is used to manipulate the pitcher character. , the progress control unit, whe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indicates an instruction to start a steal for the runner character while the game is in progress in the first progress mode, the acquisi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o switch the progress of the game from the first play mode to the second play mode based on the acquisition timing of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이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제1 진행 모드에서 게임을 진행시켜, 투수 캐릭터에 투구시키는 경우에도, 게임의 진행을 제1 진행 모드로부터 제2 진행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투구 전에 실행되는 도루를 저지하는 이벤트를 투구 전에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양태에 따르면, 게임의 진행을 제1 진행 모드로부터 제2 진행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가 제1 조작 정보의 취득 타이밍에 기초하여 판정되기 때문에, 도루를 개시하면, 도루를 저지하는 이벤트가 투구 전에 반드시 발생한다고는 할 수 없다. 이 결과, 이 양태에 따르면, 도루를 개시할 때마다 도루를 저지하는 이벤트가 투구 전에 반드시 발생하는 야구 게임에 비하여, 게임의 흥취성이 손상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for example, even when the game is played in the first play mode and the pitcher character is asked to pitch, the game is switched from the first play mode to the second play mode to prevent base stealing that is performed before the pitch. The event can occur before pitching. Furthermore, 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whether or not to switch the game progress from the first progress mode to the second progress mode is determined based on the acquisition timing of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when a steal is started, an event to prevent the steal occurs. It cannot be said that it necessarily occurs before pitching. As a result, according to this aspect, compared to a baseball game in which an event to block a stolen base always occurs before a pitch whenever a stolen base is started, loss of enjoyment of the game can be reduced.

[부기 6][Book 6]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게임 장치는,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게임 장치이며, 상기 게임은, 투수 캐릭터가 투구를 실행하고, 주자 캐릭터가 도루를 실행하는 야구 게임이며, 상기 게임 장치가 상기 주자 캐릭터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다른 게임 장치가 상기 투수 캐릭터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에 따른 투구를 상기 투수 캐릭터에 개시시키는 투구 정보(예를 들어, 투구 정보(RINF-2))를 수신하고, 상기 진행 제어부는,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있어서 상기 게임이 진행 중에, 상기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제1 조작 정보가, 상기 주자 캐릭터에 대한 도루의 개시의 지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취득부에 의한 상기 제1 조작 정보의 취득 타이밍과, 상기 정보 수신부에 의한 상기 투구 정보의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의 진행을, 상기 제1 진행 모드로부터 상기 제2 진행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am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am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Appendices 1 to 4, wherein the game is a baseball game in which a pitcher character throws a pitch and a runner character steals a base, the game In a case where the device is used to operate the runner character, and the other game device is used to operate the pitcher character, the information receiver sends the pitcher charact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by the user of the other game device. Receives pitch information (e.g., pitch information (RINF-2)) to be initiated, and the progress control unit, while the game is in progress in the first progress mode, receives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 when indicating the start of a stolen base for the runner character, progress of the game based on the acquisition timing of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by the acquisition unit and the reception timing of the pitch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reception unit. , Characterized in determining whether to switch from the first progress mode to the second progress mode.

이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제1 진행 모드에서 게임을 진행시켜, 투수 캐릭터에 투구시키는 경우에도, 게임의 진행을 제1 진행 모드로부터 제2 진행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투구 전에 실행되는 도루를 저지하는 이벤트를 투구 전에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양태에 따르면, 게임의 진행을 제1 진행 모드로부터 제2 진행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가 제1 조작 정보의 취득 타이밍과 투구 정보의 수신 타이밍에 기초하여 판정되기 때문에, 도루를 개시하면, 도루를 저지하는 이벤트가 투구 전에 반드시 발생한다고는 할 수 없다. 이 결과, 이 양태에 따르면, 도루를 개시할 때마다 도루를 저지하는 이벤트가 투구 전에 반드시 발생하는 야구 게임에 비하여, 게임의 흥취성이 손상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for example, even when the game is played in the first play mode and the pitcher character is asked to pitch, the game is switched from the first play mode to the second play mode to prevent base stealing that is performed before the pitch. The event can occur before pitching. Furthermore, 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whether to switch the game progress from the first progress mode to the second progress mode is determined based on the acquisition timing of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reception timing of the pitch information, when a stolen base is started, It cannot be said that the event that prevents a stolen base necessarily occurs before the pitch. As a result, according to this aspect, compared to a baseball game in which an event to block a stolen base always occurs before a pitch whenever a stolen base is started, loss of enjoyment of the game can be reduced.

[부기 7][Book 7]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게임 장치는, 부기 6에 기재된 게임 장치이며, 상기 진행 제어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한 상기 제1 조작 정보의 취득 타이밍으로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정보 수신부가 상기 투구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게임의 진행을, 상기 제1 진행 모드로부터 상기 제2 진행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am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game device described in Supplementary Note 6, wherein the progress control unit controls the information from a timing of acquisition of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by the acquisition unit until a first time period has elapsed. In a case where the receiver does not receive the pitch information, the game is switched from the first play mode to the second play mode.

이 양태에 따르면, 부기 6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same effect as in Appendix 6 can be obtained.

[부기 8][Book 8]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게임 장치는, 부기 6 또는 7에 기재된 게임 장치이며, 상기 진행 제어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한 상기 제1 조작 정보의 취득 타이밍으로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정보 수신부가 상기 투구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을 계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am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game device described in Supplementary Note 6 or 7, wherein the progress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from a timing of acquisition of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by the acquisition unit, until a first time period elapses, When the information receiver receives the pitch information, the game continues to progress in the first progress mode.

이 양태에 따르면, 부기 6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정보의 취득 타이밍으로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정보 수신부가 투구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1 진행 모드에 의한 게임의 진행이 계속되기 때문에, 도루를 저지하는 이벤트는 투구 전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결과, 이 양태에 따르면, 도루를 개시할 때마다 도루를 저지하는 이벤트가 투구 전에 반드시 발생하는 야구 게임에 비하여, 게임의 흥취성이 손상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same effect as in Appendix 6 can be obtained. For example, when the information receiver receives pitch information from the acquisition timing of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until the first time has elapsed, the game continues in the first progress mode, preventing stealing. The event does not occur before the pitch. As a result, according to this aspect, compared to a baseball game in which an event to block a stolen base always occurs before a pitch whenever a stolen base is started, loss of enjoyment of the game can be reduced.

[부기 9][Book 9]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게임 장치는, 부기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게임 장치이며, 상기 진행 제어부는, 상기 정보 수신부에 의한 상기 투구 정보의 수신으로부터 제2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투수 캐릭터에 상기 투구 정보에 기초하는 투구를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am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gam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Appendices 6 to 8, wherein the progress control unit, after a second time has elapsed from the reception of the pitch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reception unit, The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tcher character initiates a pitch based on the pitch information.

이 양태에 따르면, 부기 6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양태에 따르면, 투수 캐릭터에 투구 정보에 기초하는 투구를 개시시키는 타이밍을, 다른 게임 장치에 있어서 투수 캐릭터가 투구를 개시하는 타이밍보다 늦출 수 있다. 이 결과, 게임 장치는, 투수 캐릭터에 투구를 개시시킨 후에, 투구 정밀도 등을 나타내는 투구 정보를 다른 게임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same effect as in Appendix 6 can be obtained. Additionally,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timing at which the pitcher character starts pitching based on pitch information can be delayed from the timing at which the pitcher character starts pitching in other game devices. As a result, the game device can receive pitch information indicating pitching accuracy, etc. from another game device after causing the pitcher character to start pitching.

[부기 10][Note 10]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게임 장치는, 부기 5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게임 장치이며, 상기 정보 송신부는, 상기 진행 제어부에 의한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상기 게임의 진행을, 상기 제1 진행 모드로부터 상기 제2 진행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am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game device described in any one of Appendices 5 to 9, wherein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by the progress control unit is positive, determines the progress of the game, and The switch from the first play mode to the second play mode is notified to the other game device.

이 양태에 따르면, 2개의 게임 장치의 양쪽에서, 게임의 진행을 제2 진행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게임 장치에 있어서도, 도루를 저지하는 이벤트를 투구 전에 발생시키기 위해, 게임의 진행을 제1 진행 모드로부터 제2 진행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progress of the game can be switched to the second play mode on both sides of the two gaming devices. Specifically, even in other game devices, the game can be switched from the first play mode to the second play mode so that an event that prevents stealing occurs before a pitch.

[부기 11][Appendix 11]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기록 매체는,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1 조작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1 진행 모드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와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 진행 제어부와,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진행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제1 결과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과성 기록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1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of a game device that executes a game, a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an operation by a user of the game device, and another device that executes the game.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an operation by a user of the game device, a first progress mode for advancing the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2 Based on operation information, a progress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rogress of the game by a second progress mode that advances the game, and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by the first progress mode, the progress Transmit first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ogress of the game by the control unit to the other game device, and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by the second progress mode, send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ther game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 non-transient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memory 13)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which functions as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o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이 양태에 따르면, 부기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same effect as in Appendix 1 can be obtained.

[부기 12][Appendix 12]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게임 시스템은, 서로 통신 가능한 2개의 게임 장치가 협동으로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시스템이며, 상기 2개의 게임 장치의 각각은,A game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ame system in which two game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cooperatively play a game, each of the two game devices comprising: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1 조작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1 진행 모드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와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 진행 제어부와,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진행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제1 결과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an operation by a user, an information reception unit that receives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an operation by a user of another game device, and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 a progress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rogress of the game by a first progress mode that advances the game, and a second progress mode that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according to the first progress mode, first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a result of progress of the game by the progress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the other game device, and the progress control unit transmits the second result information to the other game device. and a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that transmits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ther game device when advancing the game in a progress mode.

이 양태에 따르면, 부기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same effect as in Appendix 1 can be obtained.

[부기 13][Appendix 13]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게임의 제어 방법에서는,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1 조작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1 진행 모드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와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고,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진행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제1 결과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gam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of the game device that executes the game acquires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by the user of the game device, and determines another game that executes the game. A first progress mode for receiving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an operation by a user of the device and advancing the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Based on this, the progress of the game is controlled by a second progress mode that advances the game, and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by the first progress mode, the game is progressed by the progress control unit. Transmitting first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a result to the other game device, and transmitting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ther game device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by the second progress mode. do.

이 양태에 따르면, 부기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same effect as in Appendix 1 can be obtained.

1: 게임 시스템
10: 게임 장치
11: 프로세서
13: 메모리
15: 통신 장치
17: 입력 조작 장치
19: 디스크 장치
30: 표시 장치
31: 표시부
110: 게임 제어부
111: 취득부
112: 정보 수신부
113: 진행 제어부
114: 정보 송신부
130: 기억부
150: 통신부
170: 조작부
190: 정보 읽기부
1131: 전처리부
1132: 후처리부
1: Game system
10: Gaming device
11: processor
13: Memory
15: communication device
17: Input operation device
19: Disk device
30: display device
31: display unit
110: Game control unit
111: Acquisition Department
112: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3: Progress control unit
114: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0: memory unit
15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170: Control panel
190: Information reading unit
1131: Preprocessor
1132: Post-processing unit

Claims (9)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이며,
상기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1 조작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1 진행 모드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와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 진행 제어부와,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진행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제1 결과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를 구비하고,
상기 진행 제어부는, 상기 제2 진행 모드에 있어서, 상기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을 부감한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A gaming device that runs a game,
a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an operation by a user of the game device;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operations by a user of another game device executing the game;
A first progression mode for advancing the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a second progression mode for advancing the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A progress control unit that controls progress,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according to the first progress mode, first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a result of progress of the game by the progress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the other game device, and the progress control unit transmits the second result information to the other game device. When advancing the game in a progress mode, a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that transmits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ther game device
Equipped with
The progress control unit, in the second progress mode, displays an image overlooking the virtual space related to the game on the display unit.
A gam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이며,
상기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1 조작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1 진행 모드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와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 진행 제어부와,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진행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제1 결과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를 구비하고,
상기 게임은, 투수 캐릭터가 투구를 실행하고, 주자 캐릭터가 도루를 실행하는 야구 게임이며,
상기 게임 장치가 상기 주자 캐릭터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다른 게임 장치가 상기 투수 캐릭터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진행 제어부는,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있어서 상기 게임이 진행 중에, 상기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제1 조작 정보가, 상기 주자 캐릭터에 대한 도루의 개시의 지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취득부에 의한 상기 제1 조작 정보의 취득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의 진행을, 상기 제1 진행 모드로부터 상기 제2 진행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A gaming device that runs a game,
a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an operation by a user of the game device;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operations by a user of another game device executing the game;
A first progression mode for advancing the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a second progression mode for advancing the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A progress control unit that controls progress,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according to the first progress mode, first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a result of progress of the game by the progress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the other game device, and the progress control unit transmits the second result information to the other game device. When advancing the game in a progress mode, a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that transmits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ther game device
Equipped with
The game is a baseball game in which a pitcher character throws a pitch and a runner character steals a base,
In the case where the game device is used to operate the runner character, and the other game device is used to operate the pitcher character,
The progress control unit,
Whe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indicates an instruction to start a steal for the runner character while the game is in progress in the first progress mode,
Based on the acquisition timing of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by the acquisi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o switch the progress of the game from the first progress mode to the second progress mode
A gam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이며,
상기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1 조작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1 진행 모드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와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 진행 제어부와,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진행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제1 결과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진행 제어부가 상기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를 구비하고,
상기 게임은, 투수 캐릭터가 투구를 실행하고, 주자 캐릭터가 도루를 실행하는 야구 게임이며,
상기 게임 장치가 상기 주자 캐릭터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다른 게임 장치가 상기 투수 캐릭터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에 따른 투구를 상기 투수 캐릭터에 개시시키는 투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진행 제어부는,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있어서 상기 게임이 진행 중에, 상기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제1 조작 정보가, 상기 주자 캐릭터에 대한 도루의 개시의 지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취득부에 의한 상기 제1 조작 정보의 취득 타이밍과,
상기 정보 수신부에 의한 상기 투구 정보의 수신 타이밍
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의 진행을, 상기 제1 진행 모드로부터 상기 제2 진행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A gaming device that runs a game,
a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an operation by a user of the game device;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operations by a user of another game device executing the game;
A first progression mode for advancing the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a second progression mode for advancing the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A progress control unit that controls progress,
When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according to the first progress mode, first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a result of progress of the game by the progress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the other game device, and the progress control unit transmits the second result information to the other game device. When advancing the game in a progress mode, a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that transmits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ther game device
Equipped with
The game is a baseball game in which a pitcher character throws a pitch and a runner character steals a base,
In the case where the game device is used to operate the runner character, and the other game device is used to operate the pitcher character,
The information receiver,
Receiving pitch information that causes the pitcher character to initiate a pitch according to an operation by a user of the other game device,
The progress control unit,
Whe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indicates an instruction to start a steal for the runner character while the game is in progress in the first progress mode,
Timing of acquisition of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by the acquisition unit;
Timing of reception of the pitch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receiver
Based on,
Determining whether to switch the progress of the game from the first progress mode to the second progress mode
A gam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제2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진행 제어부는,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고,
상기 제2 진행 모드에서의 상기 게임 장치에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간의 차이는, 상기 제1 진행 모드에서의 상기 게임 장치에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간의 차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es second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a progress result of the game in the other game device,
The progress control unit advances the game based on the second result information in the first progress mod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gress of the game on the game device in the second play mode and the play of the game on the other game devic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gress of the game on the game device in the first play mode and the play on the other game devi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gress of the above game on the gaming devi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gam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취득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와, 상기 진행 제어부와, 상기 정보 송신부
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과성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processor of the gam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acquisition unit, the information reception unit, the progress control unit, and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characterized in that it functions as.
서로 통신 가능한 2개의 게임 장치가 협동으로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시스템이며,
상기 2개의 게임 장치의 각각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게임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시스템.
It is a gaming system in which two gaming devices tha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play the game cooperatively.
A game system wherein each of the two game devices is a gam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1 조작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1 진행 모드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와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제1 결과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진행 모드에 있어서, 상기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을 부감한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의 제어 방법.
The processor of the gaming device that runs the game,
Acquir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by the user of the game device,
Receiving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operations by a user of another game device executing the game,
A first progression mode for advancing the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a second progression mode for advancing the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control progress,
When advancing the game by the first progression mode, first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a progress result of the game is transmitted to the other game device, and when advancing the game by the second progression mode, the first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ogress result of the game is transmitted to the other game device. 1 Transmit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ther game device,
In the second progress mode, an image showing a virtual space related to the gam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gam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by:
투수 캐릭터가 투구를 실행하고, 주자 캐릭터가 도루를 실행하는 야구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1 조작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야구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야구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1 진행 모드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와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야구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야구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야구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야구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제1 결과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야구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게임 장치가 상기 주자 캐릭터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다른 게임 장치가 상기 투수 캐릭터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있어서 상기 야구 게임이 진행 중에 취득한 상기 제1 조작 정보가, 상기 주자 캐릭터에 대한 도루의 개시의 지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조작 정보의 취득 타이밍에 기초하여,
상기 야구 게임의 진행을, 상기 제1 진행 모드로부터 상기 제2 진행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의 제어 방법.
A processor of a gaming device executing a baseball game in which a pitcher character executes a pitch and a runner character executes a stolen base,
Acquir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by the user of the game device,
Receiving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operations by a user of another game device executing the baseball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 first progress mode for advancing the baseball game, and a second progression mode for advancing the baseball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Control the progress of a baseball game,
When advancing the baseball game using the first playing mode, transmitting first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a progressing result of the baseball game to the other game device, and advancing the baseball game using the second playing mode , transmitting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ther game device,
In the case where the game device is used to operate the runner character, and the other game device is used to operate the pitcher character,
Whe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cquired while the baseball game is in progress in the first progress mode indicates an instruction to start a steal for the runner character,
Based on the acquisition timing of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o switch the progress of the baseball game from the first progress mode to the second progress mode
A gam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by:
투수 캐릭터가 투구를 실행하고, 주자 캐릭터가 도루를 실행하는 야구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1 조작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야구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제2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야구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1 진행 모드와, 상기 제1 조작 정보와 상기 제2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야구 게임을 진행시키는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야구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야구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야구 게임의 진행 결과를 나타내는 제1 결과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진행 모드에 의해 상기 야구 게임을 진행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 정보를 상기 다른 게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게임 장치가 상기 주자 캐릭터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다른 게임 장치가 상기 투수 캐릭터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조작에 따른 투구를 상기 투수 캐릭터에 개시시키는 투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진행 모드에 있어서 상기 야구 게임이 진행 중에 취득한 상기 제1 조작 정보가, 상기 주자 캐릭터에 대한 도루의 개시의 지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조작 정보의 취득 타이밍과,
상기 투구 정보의 수신 타이밍
에 기초하여,
상기 야구 게임의 진행을, 상기 제1 진행 모드로부터 상기 제2 진행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의 제어 방법.
A processor of a gaming device executing a baseball game in which a pitcher character executes a pitch and a runner character executes a stolen base,
Acquir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by the user of the game device,
Receiving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of operations by a user of another game device executing the baseball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 first progress mode for advancing the baseball game, and a second progression mode for advancing the baseball game based o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Control the progress of a baseball game,
When advancing the baseball game using the first playing mode, transmitting first result information indicating a progressing result of the baseball game to the other game device, and advancing the baseball game using the second playing mode , transmitting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other game device,
In the case where the game device is used to operate the runner character, and the other game device is used to operate the pitcher character,
Receiving pitch information that causes the pitcher character to initiate a pitch according to an operation by a user of the other game device,
When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acquired while the baseball game is in progress in the first progress mode indicates an instruction to start a steal for the runner character,
Acquisition timing of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timing of the pitch information
Based on,
Determining whether to switch the progress of the baseball game from the first progress mode to the second progress mode
A gam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by:
KR1020217032099A 2019-03-12 2020-02-20 Game device, computer program stored on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gam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game KR10262552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44706 2019-03-12
JP2019044706A JP6664754B1 (en) 2019-03-12 2019-03-12 GAME DEVICE, GAME SYSTEM, PROGRAM, AND GAME CONTROL METHOD
PCT/JP2020/006847 WO2020184139A1 (en) 2019-03-12 2020-02-20 Game device, game system, recording medium, and game control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290A KR20210135290A (en) 2021-11-12
KR102625527B1 true KR102625527B1 (en) 2024-01-17

Family

ID=7000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099A KR102625527B1 (en) 2019-03-12 2020-02-20 Game device, computer program stored on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gam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gam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64754B1 (en)
KR (1) KR102625527B1 (en)
TW (1) TWI725762B (en)
WO (1) WO2020184139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968A (en) 1999-12-22 2001-07-03 Namco Ltd Game device, gam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4028016A (en) 2012-07-31 2014-02-13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Gam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me system
JP2019013783A (en) * 2017-03-15 2019-01-31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Game system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3363B1 (en) * 1997-07-10 2007-07-1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Entertainment system, picture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ynchronization control method
JP3866750B2 (en) 2005-03-23 2007-01-10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GAME PROGRAM, GAME DEVICE, AND GAME CONTROL METHOD
TWI515644B (en) * 2014-05-09 2016-01-01 樂陞科技股份有限公司 System for touch game and its implementing method
JP2018156190A (en) * 2017-03-15 2018-10-04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Game system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968A (en) 1999-12-22 2001-07-03 Namco Ltd Game device, gam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4028016A (en) 2012-07-31 2014-02-13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Gam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me system
JP2019013783A (en) * 2017-03-15 2019-01-31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Game system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64754B1 (en) 2020-03-13
TW202037399A (en) 2020-10-16
JP2020146154A (en) 2020-09-17
WO2020184139A1 (en) 2020-09-17
KR20210135290A (en) 2021-11-12
TWI725762B (en)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23115A1 (en) Terminal device
CN101351250B (en) Game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game machine
CN107744665A (en) The acquisition methods and device of the game operation for account number of playing
JP6316583B2 (en) Control device, program
JP2001327758A (en) Recording medium storing ball game type game that can be read by computer, program,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ball game type game
JP2024516474A (e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virtual material transfer
CN112138379B (en)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among different application modes and storage medium
KR102625527B1 (en) Game device, computer program stored on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gam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game
KR102628291B1 (en) Control methods for gaming devices, gaming systems, recording media, and games
US111236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me
CN111135566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virtual prop,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JP6919151B2 (en) Game devices, game systems, programs, and game control methods
WO2004050204A1 (en) Game system
CN116920374A (en) Virtual object display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8237372A (en) Game program, game device and game control method
JP7322341B2 (en) Game device and game system
CN113891138A (en) Interactive operation prompt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0743167A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interactive function
JP7153108B1 (en) CONTROL PROGRAM,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US20230241497A1 (en) Videographer mode in online games
JP7390025B2 (en) Game control device, game system, and program
WO2023231557A9 (en) Interaction method for virtual objects, apparatus for virtual objects,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JP6807532B2 (en) Programs, control methods, controls, and systems
CN116999834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arget object in gam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7482517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in gam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