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222B1 -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222B1
KR102624222B1 KR1020230116104A KR20230116104A KR102624222B1 KR 102624222 B1 KR102624222 B1 KR 102624222B1 KR 1020230116104 A KR1020230116104 A KR 1020230116104A KR 20230116104 A KR20230116104 A KR 20230116104A KR 102624222 B1 KR102624222 B1 KR 102624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ber
weight
joist
steel
flo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6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창준
송호진
남궁은
Original Assignee
(주)신승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승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신승이앤씨
Priority to KR1020230116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6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metal,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oth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리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제조된 보행데크의 상부 표면에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하여 보행자가 손으로 난간을 잡았을 때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고,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캔틸레버 확장인도는, 강재 브라켓(170)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사각형 각관 형상의 강재 장선(120); 상기 강재 장선(120)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유리 섬유 60∼75중량%와 수지혼합물 25∼40중량%로 형성되고, 상기 수지혼합물은 수지 65∼75중량%, 수산화알루미늄 25∼35중량%로 이루어지며,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부에 수직 칸막이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쪽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 상기 강재 브라켓(170) 상부의 한쪽 끝 또는 양쪽 끝에 설치되고,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신축 변형에 의한 들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유격을 확보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형 각관 형상의 금속 재질로 구성된 난간기초 프레임(110); 및 상기 난간기초 프레임(110) 상부에 설치된 난간(180);을 포함하는 캔틸레버 확장인도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상부 표면에 전처리 작업으로 형성된 전처리층(160); 상기 전처리층(160)의 상부에 0.1∼1.0mm 두께로 형성되며, 규사도막 60∼75중량%, 수지혼합물 25∼40중량%의 혼합물로 형성되고, 상기 규사도막과 수지혼합물이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토 10∼30중량부가 혼합되며, 상기 수지혼합물은 수지 65∼75중량%, 수산화알루미늄 25∼35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며, 미끄럼 방지를 위해 표면이 거칠게 또는 울퉁불퉁하게 또는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 상기 강재 브라켓(170)이 콘크리트 벽체(240)에 설치된 경우, 상기 콘크리트 벽체(240)와 상기 강재브라켓(170)의 측면 플레이트(171) 사이에 설치되어 진동과 유격을 방지하는 탄성고무패드(250); 및 상기 강재 장선(120)의 양쪽 측면의 상기 강재브라켓(170) 상에 용접으로 설치되며, 상기 강재 장선(120)의 움직임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스터드(2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Cantilever expansion delivery using glass fiber reinforced floor plates with antistatic fun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cantilever)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제조된 보행데크의 상부 표면에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하여 보행자가 손으로 난간을 잡았을 때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고,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목재의 수요를 대체하기 위해 합성목재가 출현하였다. 이와 같은 합성목재는 목분과 합성수지 및 첨가용 부자재를 펠릿으로 성형하여 압출기에서 압출로 제조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강도가 우수하여 육교나 산책로 보행통로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합성목재는 일반 목재와 달리 합성수지가 포함되어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예들 들어, 합성목재 보드가 설치된 육교를 보행시에 신발이 합성목재 보드와 마찰이 일어나면서 인체와 의류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정전기가 축적된다. 이와 같이 축적된 정전기는 인체 또는 의류가 접지에 닿을 경우, 순간 방전을 하게 된다. 이때 보행자가 육교의 난간을 손으로 잡을 경우 축적된 정전기가 금속물로 된 난간을 통해 빠져나가면서 순간 방전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 손끝에 전기가 흐르는 듯한 통증을 느껴 놀래는 경우가 있으며, 심약자나 노약자의 경우 쇼크를 일으켜 쓰러지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1799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함)는 합성목재 보드가 설치된 육교나 보행통로를 보행할 때 합성목재 보드와 접촉하는 신발의 마찰로 인해 인체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전하여 보행자를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합성목재 보드의 정전기 방지용 접지부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합성목재 보드의 정전기제거용 접지부재는, 합성목재 보드 사이의 상부에서 가로질러 안착되며 합성목재 보드의 외부로 노출되고 합성목재 보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보행자가 밟게 되는 스텝부와, 상기 스텝부의 중앙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그 하단의 접지부가 합성목재 보드를 받침하는 받침형강에 접지되는 접지본체와, 상기 접지본체의 양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합성목재 보드 사이의 틈새에 쐐기 형태로 고정되게 하는 미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접지부재를 합성목재 보드 사이에 끼워지도록 설치함으로써 정전기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지만, 합성목재 보드의 휨과 같은 변형에 취약하며, 많은 접지부재가 사용되므로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619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함)는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는 합성목재를 이용한 펜스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이루는 합성목재보드; 상기 합성목재보드의 상하면 또는 좌우측면을 따라 최소 한곳 이상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설치홈; 상기 설치홈을 따라 부착되되 낚시줄의 외면에 탄소층이 코팅 형성되는 접지와이어; 및 상기 접지 와이어를 상기 설치홈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설치홈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정전하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전기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지만, 합성목재의 설치홈을 따라 접지와이어를 설치하고 설치홈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지와이어를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합성목재 보드와 금속재 난간이 설치된 육교 등의 보행로에서 보행자는 정전기에 따른 위험에 항시 노출되어 있어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비탈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방도로, 산간도로, 하천변의 경우 사람이나 자전거 등이 다닐 수 있는 도로가 없거나 매우 좁게 형성되어 있어 이용자들이 매우 불편하고 교통사고, 추락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비탈면에 보행로나 자전거 도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기존 구조를 일부 제거하고 추가적인 성토를 한 다음 법면 확장 인도교를 시공한다.
종래의 법면 확장 인도교는 기존도로의 외측부나 비탈면에 보강공을 형성한 후 철근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형성한 다음 상단부의 지중에 콘크리트 보를 형성하고, 콘크리트 보에 지지구조물을 설치하여 인도 및 자전거도로를 형성한다.
종래의 법면 확장 인도교는 나사나 볼트 체결로 변위가 구속된 바닥재가 신축변형으로 인해 들뜸현상 및 파단이 발생하고, 나사나 볼트가 풀어지거나 빠지는 등의 시공불량 및 하자가 발생하고, 내구성 저하 및 안전사고 발생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금된 장선에 볼트 체결을 위해 형성한 천공으로 습기나 빗물이 침투하여 강재 장선의 천공부에 부식이 발생하고, 목재 바닥판에 형성된 구멍에서 부패가 발생되며, 장선과 목재의 볼트 천공 작업으로 시공성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나사 체결시 나사가 잘못 체결되어 목재 바닥판이 손상되거나 나사의 사용으로 한번 사용된 목재 바닥판은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목재 바닥판은 수분흡수로 인한 부재변형과 내구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으며, 바닥판 홈이 일방향으로 가공되어 횡방향 미끄럼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구조물의 표면 시공오차 및 바닥재 신축변형에 따라 접속부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201799호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916195호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633431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규사(硅砂)도막과 수지혼합물이 혼합된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을 상부 표면에 형성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유리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제조된 보행데크의 상부 표면에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하여 보행자가 난간을 손으로 잡을 때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의 표면을 거칠게 또는 울퉁불퉁하게 형성하거나 돌기를 일체로 형성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콘크리트 벽체와 강재브라켓 사이에 탄성고무패드를 설치하여 진동과 유격을 완화 및 방지할 수 있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강재 장선의 양쪽 측면의 강재브라켓 상에 스터드(stud)를 용접으로 설치하여 외부의 물리적인 힘으로부터 강재 장선의 움직임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금속 재질로 된 데크 고정부재를 통해 강재 장선으로 방전시키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수분 및 햇빛에 의한 뒤틀림이나 갈라짐 등의 변형이 없고,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경량이면서도 충격강도가 더욱 증가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강재 브라켓과 강재 장선 및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천공에 의한 손상 없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는, 강재 브라켓(170)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사각형 각관 형상의 강재 장선(120); 상기 강재 장선(120)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유리 섬유 60∼75중량%와 수지혼합물 25∼40중량%로 형성되고, 상기 수지혼합물은 수지 65∼75중량%, 수산화알루미늄 25∼35중량%로 이루어지며,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부에 수직 칸막이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쪽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 상기 강재 브라켓(170) 상부의 한쪽 끝 또는 양쪽 끝에 설치되고,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신축 변형에 의한 들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유격을 확보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형 각관 형상의 금속 재질로 구성된 난간기초 프레임(110); 및 상기 난간기초 프레임(110) 상부에 설치된 난간(180);을 포함하는 캔틸레버 확장인도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상부 표면에 전처리 작업으로 형성된 전처리층(160); 상기 전처리층(160)의 상부에 0.1∼1.0mm 두께로 형성되며, 규사도막 60∼75중량%, 수지혼합물 25∼40중량%의 혼합물로 형성되고, 상기 규사도막과 수지혼합물이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토 10∼30중량부가 혼합되며, 상기 수지혼합물은 수지 65∼75중량%, 수산화알루미늄 25∼35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며, 미끄럼 방지를 위해 표면이 거칠게 또는 울퉁불퉁하게 또는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 상기 강재 브라켓(170)이 콘크리트 벽체(240)에 설치된 경우, 상기 콘크리트 벽체(240)와 상기 강재브라켓(170)의 측면 플레이트(171) 사이에 설치되어 진동과 유격을 방지하는 탄성고무패드(250); 및 상기 강재 장선(120)의 양쪽 측면의 상기 강재브라켓(170) 상에 용접으로 설치되며, 상기 강재 장선(120)의 움직임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스터드(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캔틸레버 확장인도는, 상기 강재 장선(12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브라켓 장선 결합용 클립(190)과, 상기 브라켓 장선 결합용 클립(190)의 양쪽 날개부(191)에 수평 장선부(211)를 삽입하고 상기 수평 장선부(211)의 양쪽에 형성된 원형 스프링(213)의 걸이부(212)를 상기 강재브라켓(170)의 양쪽 모서리에 끼워 고정하는 브라켓 장선 결합용 스프링(2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재브라켓(170)에 상기 강재 장선(120)을 고정하는 브라켓 장선 결합장치부(200); 및 상기 강재 장선(120)에 삽입후 상부 양쪽에 바깥쪽을 향해 형성된 수평 삽입부(134)에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삽입홈(141)을 끼워서 상기 강재 장선(120) 위에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를 고정하며,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정전기를 상기 강재 장선(120)으로 방전시키는 형상의 금속 재질로 된 데크 고정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캔틸레버 확장인도는, 상기 강재 장선(120)의 중간 부분이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장선 신축 연결부(121); 및 상기 난간(180)의 중간 부분이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난간 신축 연결부(1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 섬유와 수지혼합물이 혼합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제조하고,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상부 표면에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보행자가 난간을 손으로 잡을 때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고 미끄러짐으로부터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은 규사(硅砂)도막과 수지혼합물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규사(硅砂)도막과 유리 섬유 및 수지혼합물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규사(硅砂)도막과 황토 및 수지혼합물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규사(硅砂)도막, 유리 섬유, 황토 및 수지혼합물을 혼합하여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은 표면을 거칠게 또는 울퉁불퉁하게 형성하거나 돌기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표면에 일반 도로에서 쓰이는 규사도막을 형성하여 모든 방향의 미끄럼 저항성을 확보함으로써 보행안전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참고로, 미끄럼저항성(C.R.S)은 KS기준 0.4(C.R.S) 이상이고, 기존의 목재데크는 0.44(C.R.S), 본 발명의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은 0.77(C.R.S)로 측정되었다.
또한, 콘크리트 벽체와 강재브라켓 사이에 탄성고무패드를 설치하여 진동과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재 장선의 양쪽 측면의 강재브라켓 상에 스터드를 용접으로 설치하여 외부의 물리적인 힘으로부터 강재 장선의 움직임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금속 재질로 된 데크 고정부재를 통해 강재 장선으로 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은 햇빛, 온도, 습도 등에 노출되어 뒤틀림, 갈라짐 등의 하자가 발생하고 있는 합성목재와 달리 FRP 복합소재를 활용한 데크로 반영구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은 기존의 목재데크나 목재합성데크에 비해 수분 흡수율을 절반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어, 습기나 빗물에도 부재의 변형이 없고 내구성 등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천공이 없어 시공공기가 단축되고 내구성이 강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사용하여 유지관리 및 사용원가를 기존제품 대비하여 40%이상 절감효과가 있다. 또한, 수명기간 중 총비용은 기존제품 대비 8.47%의 원가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하고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어 자연 친화적이며, 등산로, 해안로, 수변산책로, 다리의 인도, 도로의 인도, 둘레길, 자전거도로, 목교, 야외무대, 테라스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캔틸레버 확장인도는, 기존도로를 유지한 상태로 설치가 가능하고, 교량 및 옹벽, 사면 등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공장제작 이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법으로 공사비용과 공기단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목재데크 또는 합성목재데크의 상부 표면에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정전기와 미끄럼으로부터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은 캔틸레버(cantilever; 외팔보), 교량, 법면 등의 확장인도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은 캔틸레버 확장인도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캔틸레버 확장인도의 하부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브라켓 장선 결합용 클립(190)과 브라켓 장선 결합용 스프링(210)으로 구성된 브라켓 장선 결합장치부(200) 및 스터드(stud)(220)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강제브라켓(170)의 측면 플레이트(171)와 콘크리트 벽체(240) 사이에 설치된 탄성고무패드(25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7은 캔틸레버 확장인도의 구성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캔틸레버 확장인도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강재 장선(120)에 데크 고정부재(130)를 이용하여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를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데크 고정부재(130)의 구성도이다.
도 14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14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제 1 실시예이고,
도 17 및 도 18은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제 2 실시예이다.
도 19 및 도 20은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제품 사진이다.
도 21은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구성 성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정전기적 특성 평가 시험 결과서이다.
도 24 및 도 25는 기존의 목재 바닥판과 본 발명의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특성 및 공사비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K마크 성능시험 성적서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캔틸레버 확장인도의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은 캔틸레버 확장인도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캔틸레버 확장인도의 하부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브라켓 장선 결합용 클립(190)과 브라켓 장선 결합용 스프링(210)으로 구성된 브라켓 장선 결합장치부(200) 및 스터드(stud)(220)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강제브라켓(170)의 측면 플레이트(171)와 콘크리트 벽체(240) 사이에 설치된 탄성고무패드(25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캔틸레버(cantilever)는 한쪽 끝이 고정되고 다른 끝은 받쳐지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는 보로, 외관은 경쾌하나 같은 길이의 보통 보에 비해 4배의 휨 모멘트를 받아 변형되기 쉬우므로 강도설계에 주의를 요한다. 캔틸레버(cantilever)는 외팔보라고도 하며, 교량, 법면, 옹벽, 콘크리트 벽체, 인도교 등에 많이 이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를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1000)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간기초 프레임(110), 강재 장선(120), 데크 고정부재(130),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 강재브라켓(bracket)(170), 난간(180), 브라켓 장선 결합장치부(200), 스터드(stud)(220), 탄성고무패드(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캔틸레버 확장인도(1000)의 제 1 실시예는, 콘크리트 벽체(240)에 강재 브라켓(17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강재 브라켓(170)은 상기 콘크리트 벽체(240)에 측면 플레이트(171)를 대고 케미컬 앙카(chemical anchor; 220)를 박아서 또는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강재브라켓(170)의 측면 플레이트(171)와 상기 콘크리트 벽체(240) 사이에는 탄성고무패드(2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고무패드(250)는 상기 강재브라켓(170)과 상기 콘크리트 벽체(240)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방지하고, 상기 강재브라켓(170)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캔틸레버 확장인도(1000)는, 콘크리트 벽체(240)에 강재 브라켓(170)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설치한 후 상기 강재 브라켓(170)의 상단에 상기 강재 장선(120)이 설치된다.
상기 강재 장선(120)은 브라켓 상단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사각형의 각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강재 장선(120)은 중간에 끼움 결합하도록 분리된 일측 단부에 장선 신축 연결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선 신축 연결부(121)는 두 개로 분리된 상기 강재 장선(120)을 서로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신축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강재 장선(120)은 상기 브라켓 장선 결합장치부(200)에 의해 상기 강재 브라켓(170)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 장선 결합장치부(200)는 브라켓 장선 결합용 클립(190)과 브라켓 장선 결합용 스프링(210)으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 장선 결합용 클립(190)은 상기 강재 장선(120)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양쪽에 하측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날개부(19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브라켓 장선 결합용 스프링(210)은 수평 장선부(211)의 양쪽에 원형 스프링(213)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 스프링(213)의 단부에 '┗' 및/또는 '┛' 형상의 걸이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 장선 결합장치부(200)는 상기 강재 장선(120)의 상부면에 상기 브라켓 장선 결합용 클립(190)을 배치한 후, 상기 브라켓 장선 결합용 클립(190)의 양쪽 날개부(191)에 수평 장선부(211)를 삽입하여 양쪽의 원형 스프링(213)에 형성된 걸이부(212)를 상기 강재브라켓(170)의 양쪽 모서리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상기 강재브라켓(170)의 상부에 상기 강재 장선(120)을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강재 장선(120)의 상부에는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가 상기 강재 장선(120)과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은, 유리 섬유 60∼75중량%와 수지혼합물 25∼40중량%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지혼합물은 수지 65∼75중량%, 수산화알루미늄 25∼35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부에 수직 칸막이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쪽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부 표면에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이 형성된다.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은,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상부 표면에 0.1∼1.0mm 두께로 형성되며, 규사도막 60∼75중량%, 수지혼합물 25∼40중량%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지혼합물은 수지 65∼75중량%, 수산화알루미늄 25∼35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상부 표면이 거칠게 또는 울퉁불퉁하게 또는 돌기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은 다른 실시예로,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상부 표면을 전처리 작업을 실시한 후 전처리층(160)의 상부에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은 또 다른 실시예로, 규사도막 60∼75중량%, 수지혼합물 25∼40중량%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 20∼50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지혼합물은 합성수지 65∼75중량%, 수산화알루미늄 25∼35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은 또 다른 실시예로, 규사도막 60∼75중량%, 수지혼합물 25∼40중량%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토 10∼3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구성 및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14 내지 도 21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는 상기 데크 고정부재(130)를 사용하여 상기 강재 장선(120)에 고정 설치되게 된다.
상기 데크 고정부재(130)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강재 장선(120)에 끼워서 설치한 후 상기 강재 장선(120)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삽입홈(141)에 수평 삽입부(134)를 끼워서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를 고정시키게 된다(도 11 내지 도 13 참조).
계속해서, 상기 캔틸레버 확장인도(1000)는, 상기 강재 장선(120)의 양쪽 측면 방향 또는 바로 옆의 상기 강재브라켓(170) 상에 스터드(220)이 용접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220)은 상기 강재 장선(120)의 움직임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강재브라켓(170) 상에 설치된 상기 강재 장선(120)은 상기 브라켓 장선 결합용 스프링(210)의 탄성력이 느슨하게 약해질 경우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하거나 미끄러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강재 장선(120)의 양쪽에 상기 스터드(220)을 설치하여 상기 강재 장선(120)의 움직임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강재 브라켓(170) 상단의 일측 단부에 또는 양쪽 단부에 상기 난간기초 프레임(110)이 설치될 수 있다(도 1, 도 7 내지 도 9 참조).
상기 난간기초 프레임(110)은 사각형 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난간기초 프레임(110)은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신축 변형에 의한 들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와 상기 난간기초 프레임(11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유격확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난간기초 프레임(110)은 사각형의 각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난간기초 프레임(110)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과 동일한 유리섬유강화 복합소재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난간기초 프레임(110)의 상단에는 난간(180)을 수직으로 세워 볼트로 체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난간(180)은 중간에 끼움 결합하도록 분리된 일측 단부에 난간 신축 연결부(18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난간 신축 연결부(181)는 두 개로 분리된 상기 난간(180)을 서로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신축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캔틸레버 확장인도의 실시예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7은 캔틸레버 확장인도의 구성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캔틸레버 확장인도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강재 장선(120)에 데크 고정부재(130)를 이용하여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를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데크 고정부재(130)의 구성도이다.
상기 캔틸레버 확장인도(1000)는 도 7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간기초 프레임(110), 강재 장선(120), 데크 고정부재(130),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캔틸레버 확장인도(1000)는, 강재 빔(미도시) 또는 콘크리트 바닥구조물(미도시) 또는 콘크리트 벽체(240)에 강재 브라켓(170)을 설치한 후 그 상단에 강재 장선(120)과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캔틸레버 확장인도(1000)는 다른 예로서, 기존의 교량 및 옹벽 외측에 강재 브라켓(170)을 설치한 후 그 상단에 강재 장선(120)과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캔틸레버 확장인도(1000)는 또 다른 예로서, 기존 도로의 외측부에 H-파이프 및 어스앵커를 천공 삽입한 후 상단부에 콘크리트 보를 형성하고,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를 이용하여 확장인도 및 자전거도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캔틸레버 확장인도(1000)은 또 다른 예로서, 강관 말뚝으로 교각을 구성하고 강관 거더와 브라켓을 일괄 가설하여 하천 및 해안, 도심지 등을 동행하는 인도교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강재 브라켓(170)은 강재 빔 또는 콘크리트바닥 구조물 상단에, 또는 기존의 교량 및 옹벽 외측에, 또는 기존 도로의 외측부에, 또는 강관 말뚝의 교각 및 강관 거더 상단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강재 장선(120)의 상부에는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가 상기 강재 장선(120)과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은 상기 데크 고정부재(130)를 사용하여 상기 강재 장선(120)에 고정 설치되게 된다.
상기 강재 장선(120)은 브라켓 상단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형상의 각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크 고정부재(130)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강재 장선(120)에 끼워서 설치한 후 상기 강재 장선(120)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삽입홈(141)에 수평 삽입부(134)를 끼워서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를 고정시키게 된다(도 11 및 도 12 참조).
상기 데크 고정부재(130)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의 하면(131)과, 상기 하면(131)의 양쪽에 수직으로 형성된 사각형의 측면(132)과, 상기 측면(132)의 상부에 상기 측면(132)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목부(133)와, 상기 목부(133) 상단에 바깥쪽을 향하여 수평으로 구부러진 수평 삽입부(134)로 구성된다.
상기 하면(131) 상부에는 엠보싱(135)이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측면(132)의 내측에도 엠보싱(135)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132)의 양쪽 상단 모서리가 대각선 또는 곡선으로 마감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데크 고정부재(130)의 재질은 아연 도금 강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쪽 상단의 날카로운 모서리는 사고 예방을 위해 마감 처리하고, 양쪽 측면(132)은 90도로 벤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크 고정부재(130)는 아연도금으로 보호피막처리될 수 있으며, 방청류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데크 고정부재(130)은 상기 강재 장선(120)의 아래에서 위로 끼워서 설치되며, 상기 강재 장선(120)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삽입홈(141)에 수평 삽입부(134)를 끼워서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데크 고정부재(130)의 내측에 형성된 엠보싱(135)은 상기 강재 강선(120)에 상기 데크 고정부재(130)가 빠지지 않고 밀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엠보싱(135)은 상기 강재 강선(120)과 상기 데크 고정부재(130) 사이에 벌어진 틈을 방지하여 밀착력을 높이고 움직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강재 강선(120)에 상기 데크 고정부재(130)이 설치되면, 상기 강재 강선(120) 위로 상기 데크 고정부재(130)의 목부(133) 및 수평 삽입부(134)가 돌출되고, 상기 데크 고정부재(130)의 수평 삽입부(134)를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41)에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강재 장선(120)과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를 연결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도 11 및 도 12 참조).
한편, 상기 강재 장선(120)은 중간 부분이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도록 분리되어 있고, 분리된 한쪽에 장선 신축 연결부(121)가 구성되어 다른 쪽 강재 장선과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강재 장선(120)은 상기 장선 신축 연결부(121)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고, 상기 강재 장선(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데크 고정부재(130)는 상기 수평 삽입부(134)가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삽입홈(141)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상기 수평 삽입부(134)의 면적을 증가하여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삽입홈(141)과의 접촉 면적을 넓힘으로써, 상기 강재 장선(120)과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데크 고정부재(130)는 상기 측면(132)의 양쪽 모서리를 대각선 또는 곡선으로 마감 처리함으로써, 데크 시공시 뾰쪽한 모서리에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난간기초 프레임(110)은 상기 강재 브라켓의 상단 끝부분의 일측에 또는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도 1, 도 7 내지 도 9 참조).
상기 난간기초 프레임(110)은 사각형 각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난간기초 프레임(110)은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신축 변형에 의한 들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단부와 상기 난간기초 프레임(110)의 측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유격확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제 1 실시예
도 14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14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제 1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제 1 실시예는 도 14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부에 수직 칸막이(143)에 의해 공간부(142)가 형성되고, 양쪽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홈(141)이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쪽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41)은 '⊃' 또는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은 유리 섬유 60∼75중량%, 수지혼합물 25∼40중량%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는 유리 섬유 68중량%, 수지혼합물 32중량%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리 섬유는 무알칼리 모래 또는 중알칼리 모래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무알칼리 모래는 강도 요구가 높고 내식성이 높은 경우에 사용되고, 상기 중알칼리 모래는 강도가 낮고 내식성이 상기 무알칼리 모래보다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는 유리 섬유 재질로 상기 무알칼리 모래를 사용하여 형성한다(도 21 참조).
상기 수지혼합물은 수지 65∼75중량%, 수산화알루미늄 25∼35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혼합물은 수지 70중량%, 수산화알루미늄 30중량%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의 종류로는, MP-5(페놀알데히드형) 수지, VERF-25(에틸렌기형) 수지, VEFR-10(에틸렌기형) 수지, IFR-25(간벤젠형) 수지, IFGR-30(간벤젠식품급) 수지, OFR-25(프탈린형) 수지, OCR(프탈린형) 수지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여기서, 상기 수지의 난연성은, 상기 MP-5(페놀알데히드형) 수지의 경우 산소 수치 약 80까지, 상기 VERF-25(에틸렌기형) 수지의 경우 산소 수치 28 또는 그 이상, 상기 VEFR-10(에틸렌기형) 수지의 경우 산소 수치 35 또는 그 이상, 상기 IFR-25(간벤젠형) 수지의 경우 산소 수치 28 또는 그 이상, 상기 IFGR-30(간벤젠식품급) 수지의 경우 산소 수치 26 이상, 상기 OFR-25(프탈린형) 수지의 경우 산소 수치 28 또는 그 이상, 상기 OCR(프탈린형) 수지의 경우 산소 수치 28 이하를 가진다.
이 중에서, 상기 IFR-25(간벤젠형) 수지의 경우 비VEFR형 경제, 내산성이 좋고, 내염 및 용제에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본 발명의 복합소재 바닥판(140)은 상기 IFR-25(간벤젠형)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은 난연, 연기 억제, 부식 방지, 노화 방지, 절연 성능 등이 다른 수지혼합의 충전재(예를 들어, 탄산칼슐 등)보다 우수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은 기존의 목재데크나 목재합성데크에 비해, 경량, 고강도, 고내구성 성질을 가지며, 수분흡수율이 월등히 낮아 부재 변형이 없고 내구성 등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은 상부 표면에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은,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 부재의 상부 표면에 0.1∼1.0m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은, 규사도막 60∼75중량%, 수지혼합물 25∼40중량%을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지혼합물은 수지 65∼75중량%, 수산화알루미늄 25∼35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은 규사도막과 수지혼합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행자가 난간을 손으로 잡을 때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규사(硅砂)는 규산 성분인 이산화규소(SiO₂)성분이 풍부한 석영 알갱이 모래를 뜻한다.
상기 규사(硅砂)는 이산화규소(SiO2) 성분이 주 성분을 이루는 모래를 말한다. 크게 천연규사와 인공규사로 분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천연규사와 인공규사 모두를 포함한다.
천연규사는 화강암류, 화강편마암류 등 석영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암석이 풍화되어 형성된다. 풍화, 침식, 퇴적 과정에 따라 두가지 형태로 나뉘는데, 하나는 모암이 풍화되어 가벼운 점토 성분만 물에 씻겨 없어지고 모암의 원위치에 석영립만이 잔류하여 형성되는 잔류규사 혹은 산규사, 또 하나는 석영립이 점토 등과 함께 하천수에 포함되어 휩쓸려 흐르다가 비중의 차에 의하여 석영만이 분급작용에 의해 하안의 일정한 장소에 퇴적되어 형성되는 퇴적규사이다. 인공규사(혹은 은사)는 주로 페그마타이트에 함유되어 있는 석영만을 선별 분쇄하여 입자 크기를 모래상으로 만든 규사를 말한다.
규사를 이루는 석영은 화학식으로 표시하면 SiO₂로서 지각내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규소 Si(46.7%)와 산소 O(53.3%)로 이루어져 있다. 색깔은 흰색, 노란색, 보라색, 검은색 등 불순물의 종류와 함유량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며, 조흔색은 무색, 경도는 7이며, 비중은 약 2.65, 용융점은 섭씨 1,713도 이다. 반투명성, 내화성, 고경도성을 지니며 탈산, 탈황시에 산화제로 쓰이며 전기적인 성질로 반도성이 있고 합금이 용이한 특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표면이 거칠게 또는 울퉁불퉁하게 또는 돌기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미끄럼 방지용 돌기(151)는 동일한 높이와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모양으로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은 규사도막과 수지혼합물이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 20∼5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는 유리를 백금로에서 용융해 작은 구멍으로 떨어뜨려 장섬유 상태로 한 것으로, 내열성, 내구성, 흡음성, 전기 절연성이 좋아 단열재, 공기 여과제, 전기 절연제, 흡음재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의 유리섬유는 무알칼리 모래 또는 중알칼리 모래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알칼리 모래는 강도 요구가 높고 내식성이 높은 경우에 사용되고, 상기 중알칼리 모래는 강도가 낮고 내식성이 상기 무알칼리 모래보다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은 유리섬유 재질로 상기 무알칼리 모래를 사용하여 형성한다(도 21 참조).
상기 탄소 섬유(carbon fiber)는 유기섬유를 비활성 기체 속에서 가열, 탄화하여 만든 섬유이다. 원료로는 셀룰로스, 아크릴 섬유, 비닐론, 피치(pitch) 등이 쓰이는데, 원료에 따라 또는 처리 온도에 따라 분자배열과 결정의 변화가 생긴다. 일반적으로 탄소의 육각 고리가 연이어 층상격자를 형성한 구조이며 금속광택이 있고 검은색이나 회색을 띤다. 강도 10∼20g/d, 비중 1.5∼2.1이다. 내열성, 내충격성이 뛰어나며 화학약품에 강하고 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가열과정에서 산소, 수소, 질소 등의 분자가 빠져나가 중량이 감소되므로 금속(알루미늄)보다 가볍고, 반면에 금속(철)에 비해 탄성과 강도가 뛰어나다.
상기 수지혼합물은 합성수지 65∼75중량%, 수산화알루미늄 25∼35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는 IFR-25(간벤젠형)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IFR-25(간벤젠형) 수지의 경우 산소 수치가 28 이상으로 난연성이 우수하며, 경제성과 내산성이 좋고, 내염 및 용제에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다(도 8 참조).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은 알루미늄의 수산화물로 양쪽성수산화물이다. 물과 장시간 접촉하면 겔화(化)하며, 흡착제, 이온교환제, 크로마토그래피의 고정제, 제산제 등으로 사용된다.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의 화학식은 Al(OH)3이고, 비중은 2.423이며, 난연, 연기 억제, 부식 방지, 노화 방지, 절연 성능 등이 다른 수지혼합의 충전재(예를 들어, 탄산칼슐 등)보다 우수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40)은, 규사도막과 수지혼합물이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토(黃土) 10∼3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황토(黃土)는 함수 산화철과 무수 산화철을 함유한 규토와 흙으로 이뤄진 자연 상태의 흙이다. 황토(黃土)는 주로 실트 크기의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탄산칼슘에 의해 느슨하게 교결되어 있는 연황색 퇴적물로서, 대개 균질하고 층리가 발달되어 있지 않으며, 공극률이 크다. 입자크기는 0.02∼0.05mm이며, 조립질과 중립질의 먼지를 포함한다. 황토 내의 수분 함량은 10∼15%로 낮으며, 공극률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한다. 사질 황토의 공극률은 약 60%이고, 밀도는 1.5g/cm3이며, 비중은 평균 2.7이다. 황토의 광물조성은 60∼70%의 석영을 함유하며, 그 함량은 최저 40%에서 최고 80%까지 변화한다. 장석과 운모는 10∼20%, 탄산염광물은 5∼35%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황토(黃土)는 여러날 동안 진흙, 찜질, 삼림욕을 하게 되면 내부에 존재하는 프로테아제 효소에 의해 곪은 상처나 체내의 독소를 해독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상부에 규사도막과 수지혼합물로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을 형성하고,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의 표면이 거칠게 또는 울퉁불퉁하게 또는 돌기(151)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정전기 발생과 미끄러짐으로부터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은, 기존의 목재데크 또는 목재합성데크에 비해 수분흡수율이 뛰어나 부재 변형이 없고 내구성 등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에 규사도막 적용으로 모든 방향의 미끄럼 저항성을 확보하여 보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섬유강화 복합소재로 구성되어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목재데크나 목재합성데크에 비해 데크 교체주기를 5∼10배 이상 연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존의 목재데크 또는 합성목재데크의 상부 표면에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정전기 및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제 2 실시예
도 17 및 도 18은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제 2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제 2 실시예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부에 수직 칸막이(143)에 의해 공간부(142)가 형성되고, 양쪽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홈(141)이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쪽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41)은 '⊃' 또는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리 섬유 60∼75중량%, 수지혼합물 25∼40중량%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성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부에 수직 칸막이(143)에 의해 공간부(142)가 형성되고, 양쪽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홈(141)이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상부 표면에 전처리 작업을 실시하여 전처리층(160)을 형성한다.
상기 전처리층(160)은 프라이머(primer)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primer)는 상기 보행데크(140) 상부에 부착을 좋게 하게 위하여 바탕에 칠하는 도료로서, 예를 들어 에폭시 프라이머(epoxy primer)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층(160) 상부에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미끄럼 방지를 위해 표면이 거칠게 또는 울퉁불퉁하게 또는 돌기(15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의 재질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상부에 전처리층(160)을 형성하고, 상기 전처리층(160) 상부에 소정의 두께(0.1∼1.0mm)로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을 형성하며,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의 표면이 거칠게 또는 울퉁불퉁하게 또는 돌기(151)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정전기 발생과 미끄러짐으로부터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존의 목재데크 또는 합성목재데크의 상부 표면에 전처리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정전기 및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제품 예
도 19 및 도 20은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제품 사진이고, 도 21은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구성 성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의 제품 사진을 참조하면,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상부에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이 형성되고,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의 표면이 거칠게 또는 울퉁불퉁하게 형성됨으로써, 정전기 발생과 미끄러짐으로부터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의 재료로 사용된 수지 유형과 유리섬유의 굵은 모래 유형과 충전재 유형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난연성이 우수하고 경제성과 내산성이 좋으며 내염 및 용제에 뛰어난 특성을 가진 IFR-25(간벤젠형)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난연, 연기 억제, 부식 방지, 노화 방지, 절연 성능이 우수한 수산화알루미늄을 충전재로 사용하였으며, 유리섬유로 강도 및 내식성이 높은 무알칼리 모래를 사용하였다.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제조 방법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리 섬유 60∼75중량%와, 수지 65∼75중량%, 수산화알루미늄 25∼35중량%로 이루어진 수지혼합물 25∼40중량%를 혼합한 원료를 압출기에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유리섬유는 무알칼리 모래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지는 IFR-25(간벤젠형) 수지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혼합한 원료를 용융시켜 상기 압출기의 선단에 형성된 금형을 통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부에 수직 칸막이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쪽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 부재를 압출하여 성형한다.
그 다음,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 부재의 압출 상태가 유지되도록 냉각한다.
그 다음,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 부재의 상부 표면에 소정의 두께(예를 들어, 0.1∼1.0mm 두께)로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을 형성한다.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은 규사도막 60∼75중량%, 수지혼합물 25∼40중량%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혼합물은 수지 65∼75중량%, 수산화알루미늄 25∼35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표면이 거칠게 또는 울퉁불퉁하게 또는 돌기를 일체로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 부재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공급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 부재의 상부 표면에 전처리 작업으로 전처리층(160)을 형성하고, 상기 전처리층 상부에 상기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처리층(160)은 프라이머(primer)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primer)는 상기 보행데크(140) 상부에 부착을 좋게 하게 위하여 바탕에 칠하는 도료로서, 예를 들어 에폭시 프라이머(epoxy primer)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존의 목재데크 또는 합성목재데크의 상부 표면에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존의 목재데크 또는 합성목재데크의 상부 표면에 전처리 작업을 한 후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정전기적 특성 평가 시험 결과서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정전기적 특성 평가 시험 결과서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정전기적 특성 평가 시험 결과서에 의하면,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의 시료를 (23±2)℃ (25±2)% R.H.의 시험조건 하에서 정전기를 측정한 결과, 0.1kv가 측정되었다. 이러한 정전기의 수치는 거의 미미한 수준으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지나는 보행자에게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은, 상부 표면에 소정의 두께(0.1∼1.0mm)로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을 형성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특성 평가 시험으로부터 증명되었다.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특성 및 공사비
도 24 및 도 25는 기존의 목재데크 또는 합성목재데크와 본 발명의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특성 및 공사비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은 기존의 목재데크 또는 합성목재데크에 비해 수분흡수율이 뛰어나 부재 변형이 없고 내구성 등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판에 규사도막 적용으로 모든 방향의 미끄럼 저항성을 확보하여 보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복합소재로 구성되어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목재 바닥판에 비해 바닥판 교체주기를 5∼10배 이상 연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공이 없어 시공공기가 단축되고 내구성이 강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사용하여 유지관리 및 사용원가를 기존제품 대비하여 40%이상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수명기간 중 총비용은 기존제품 대비 8.47%의 원가절감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1000)는, 난간기초 프레임(110), 강재 장선(120), 데크 고정부재(130),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구성할 수 있고, 보행자의 보행시 흔들림이 없고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기존 구조물과 쉽게 동화 될 수 있는 질감으로 제작 및 시공할 수 있다.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K마크 성능시험 성적서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K마크 성능시험 성적서이다.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시험 성적서는 본 출원인 (주)신승이앤씨가 K 마크 기술문서 심사용으로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에 의뢰한 것으로, 시험규격/방법은 KTL 규격에 따르며, 시험환경은 20.0±1.0℃의 온도와 60±10% R.H. 습도로 이루어졌다.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시험방법은 K마크 PB12019-095 '복합소재를 이용한 데크로드' 기준에 따른다.
이 기준에 따르면,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은 재료, 강도, 구조 및 치수, 성능에 대하여 품질기준을 만족하여야 하며, 도로교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과 자전거 이용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강구조 설계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K 마크 성능시험에서 구조 시험결과,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 강재 장선(120), 난간기초 프레임(110)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았다. 그리고,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재료의 화학성분 및 기계적 성질도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았다.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바닥재(GFRP)의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대굴곡하중(지지대 거리: 400㎜)
- KS기준(3.400N 이상), 시험결과 10.691N, 적합 판정
2) 굴곡크리프변형(지지대 거리: 400㎜) : 시험결과 0.03%, 적합 판정
3) 새르피충격강도(단위: kJ/㎡):
- KS기준(3.0kJ/㎡ 이상), 시험결과 263(P)kJ/㎡, 적합 판정
4) 뒤틀림성: KS기준(2.0% 이하), 시험결과 0.1%, 적합 판정
5) 수분흡수율(중량변화: A법)
- KS기준(8.0% 이하), 시험결과 1.3%, 적합 판정
6) 동결융해(최대굴곡하중 변화율 지지대 거리: 400㎜)
- 시험결과 96%, 적합 판정
7) 길이선열팽창계수:
- KS기준(6.0×10-5 (1/℃) 이하), 시험결과 3.6×10-5 (1/℃), 적합 판정
8) 난연성(탄화길이): 시험결과 10㎝, 적합 판정
9) 난연성(나머지불꽃): 시험결과 1초, 적합 판정
10) TVOC 방출량: 시험결과 0.870(㎎/㎡.h), 적합 판정
11) 폼알데이드 방산량: 시험결과 0.1(㎎/L) 미만, 적합 판정
12) As (단위: ㎎/L) : 시험결과 검출안됨, 적합 판정
13) Cd (단위: ㎎/L) : 시험결과 검출안됨, 적합 판정
14) Cr (단위: ㎎/L) : 시험결과 검출안됨, 적합 판정
15) Pb (단위: ㎎/L) : 시험결과 검출안됨, 적합 판정
16) Hg (단위: ㎎/L) : 시험결과 검출안됨, 적합 판정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1000)는, 상부 표면에 소정의 두께(0.1∼1.0mm)로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을 형성함으로써, 정전기 및 미끄러짐으로부터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수분 및 햇빛에 의한 뒤틀림이나 갈라짐 등의 변형이 없고,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경량이면서도 충격강도가 더욱 증가되고, 표면에 미끄럼방지 도막을 형성하여 모든 방향의 미끄럼 저항성을 확보하여 보행안전성을 향상시킨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벽체와 강재브라켓 사이에 탄성고무패드를 설치하여 진동과 유격을 방지할 수 있고, 강재 장선의 양쪽 측면의 강재브라켓 상에 스터드(stud)를 용접으로 설치하여 외부의 물리적인 힘으로부터 강재 장선의 움직임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재 빔 및 콘크리트바닥 등 구조물 상단에 경량소재로 내구성이 뛰어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과 강재 장선(120)을 형 데크 고정부재(130)를 이용하여 천공 없이 신속하게 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캔틸레버 확장인도
110 : 난간기초 프레임 114 : 볼트
120 : 강재 장선(각형각관) 121 : 장선 신축 연결부
130 : 데크 고정부재
131 : 하면 132 : 측면
133 : 목부 134 : 수평 삽입부
135 : 엠보싱(embossing)
140 : 유리섬유강화 바닥판 141 : 삽입홈
142 : 공간부 143 : 칸막이
150 :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 151 : 미끄럼 방지용 돌기
160 : 전처리층
170 : 강재브라켓(bracket) 171 : 측면 플레이트
180 : 난간 181 : 난간 신축 연결부
190 : 브라켓 장선 결합용 클립 191 : 날개부
200 : 브라켓 장선 결합장치부
210 : 브라켓 장선 결합용 스프링
211 : 수평 장선부 212 : 걸이부
213 : 원형 스프링
220 : 스터드(stud)
230 : 케미컬 앙카(chemical anchor)
240 : 콘크리트 벽체 250 : 탄성고무패드
1000 : 법면 확장 인도교

Claims (6)

  1. 강재 브라켓(170)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사각형 각관 형상의 강재 장선(120); 상기 강재 장선(120)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유리 섬유 60∼75중량%와 수지혼합물 25∼40중량%로 형성되고, 상기 수지혼합물은 수지 65∼75중량%, 수산화알루미늄 25∼35중량%로 이루어지며,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부에 수직 칸막이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쪽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된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 상기 강재 브라켓(170) 상부의 한쪽 끝 또는 양쪽 끝에 설치되고,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신축 변형에 의한 들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유격을 확보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형 각관 형상의 금속 재질로 구성된 난간기초 프레임(110); 및 상기 난간기초 프레임(110) 상부에 설치된 난간(180);을 포함하는 캔틸레버 확장인도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상부 표면에 전처리 작업으로 형성된 전처리층(160);
    상기 전처리층(160)의 상부에 0.1∼1.0mm 두께로 형성되며, 규사도막 60∼75중량%, 수지혼합물 25∼40중량%의 혼합물로 형성되고, 상기 규사도막과 수지혼합물이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토 10∼30중량부가 혼합되며, 상기 수지혼합물은 수지 65∼75중량%, 수산화알루미늄 25∼35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며, 미끄럼 방지를 위해 표면이 거칠게 또는 울퉁불퉁하게 또는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층(150);
    상기 강재 브라켓(170)이 콘크리트 벽체(240)에 설치된 경우, 상기 콘크리트 벽체(240)와 상기 강재브라켓(170)의 측면 플레이트(171) 사이에 설치되어 진동과 유격을 방지하는 탄성고무패드(250); 및
    상기 강재 장선(120)의 양쪽 측면의 상기 강재브라켓(170) 상에 용접으로 설치되며, 상기 강재 장선(120)의 움직임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스터드(220);
    를 포함하는 캔틸레버 확장인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 확장인도는,
    상기 강재 장선(12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브라켓 장선 결합용 클립(190)과, 상기 브라켓 장선 결합용 클립(190)의 양쪽 날개부(191)에 수평 장선부(211)를 삽입하고 상기 수평 장선부(211)의 양쪽에 형성된 원형 스프링(213)의 걸이부(212)를 상기 강재브라켓(170)의 양쪽 모서리에 끼워 고정하는 브라켓 장선 결합용 스프링(2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재브라켓(170)에 상기 강재 장선(120)을 고정하는 브라켓 장선 결합장치부(200); 및
    상기 강재 장선(120)에 삽입후 상부 양쪽에 바깥쪽을 향해 형성된 수평 삽입부(134)에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삽입홈(141)을 끼워서 상기 강재 장선(120) 위에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를 고정하며, 상기 유리섬유강화 바닥판(140)의 정전기를 상기 강재 장선(120)으로 방전시키는 형상의 금속 재질로 된 데크 고정부재(130);
    를 포함하는 캔틸레버 확장인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 확장인도는,
    상기 강재 장선(120)의 중간 부분이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장선 신축 연결부(121); 및
    상기 난간(180)의 중간 부분이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난간 신축 연결부(181);
    를 포함하는 캔틸레버 확장인도.
KR1020230116104A 2023-09-01 2023-09-01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624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6104A KR102624222B1 (ko) 2023-09-01 2023-09-01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6104A KR102624222B1 (ko) 2023-09-01 2023-09-01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222B1 true KR102624222B1 (ko) 2024-01-15

Family

ID=8954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6104A KR102624222B1 (ko) 2023-09-01 2023-09-01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222B1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928A (ko) * 2007-12-14 2009-06-18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미끄럼방지 바닥용 수성 칼라 코팅제 조성물
KR101201799B1 (ko) 2012-07-19 2012-11-15 (주)진명이앤씨 합성목재 보드의 정전기제거용 접지부재
KR101633431B1 (ko) 2014-04-09 2016-06-24 우경기술주식회사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7141665A (ja) * 2017-03-09 2017-08-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用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58641B1 (ko) * 2017-07-28 2018-05-17 케이지포장건설(주) 내진수단이 구비되는 확장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16195B1 (ko) 2017-02-17 2018-11-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는 합성목재를 이용한 펜스 시공구조
KR101965179B1 (ko) * 2018-01-31 2019-04-03 이우현 개선된 기능의 목재 데크
KR101937428B1 (ko) * 2018-03-06 2019-04-09 주식회사 나눔엔지니어링 세라믹계 논스립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81025B1 (ko) * 2019-07-30 2020-02-25 (주)신승이앤씨 유리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이용한 데크로드 바닥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00025462A (ko) * 2018-08-30 2020-03-10 강재현 Pva 섬유를 혼입한 mma계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막 및 시공방법
KR102087554B1 (ko) * 2019-08-27 2020-04-09 (주)신승이앤씨 지중장애물 구간에 설치가 용이한 법면 확장 인도교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209863B1 (ko) * 2020-05-12 2021-01-28 김진영 미끄럼방지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KR102538500B1 (ko) * 2022-11-15 2023-06-01 경건휘 고마찰 미끄럼방지 노면처리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시공공법
KR102554236B1 (ko) * 2023-01-18 2023-07-12 주식회사 두원이엔씨 친환경 도로 미끄럼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928A (ko) * 2007-12-14 2009-06-18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미끄럼방지 바닥용 수성 칼라 코팅제 조성물
KR101201799B1 (ko) 2012-07-19 2012-11-15 (주)진명이앤씨 합성목재 보드의 정전기제거용 접지부재
KR101633431B1 (ko) 2014-04-09 2016-06-24 우경기술주식회사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16195B1 (ko) 2017-02-17 2018-11-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는 합성목재를 이용한 펜스 시공구조
JP2017141665A (ja) * 2017-03-09 2017-08-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用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58641B1 (ko) * 2017-07-28 2018-05-17 케이지포장건설(주) 내진수단이 구비되는 확장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65179B1 (ko) * 2018-01-31 2019-04-03 이우현 개선된 기능의 목재 데크
KR101937428B1 (ko) * 2018-03-06 2019-04-09 주식회사 나눔엔지니어링 세라믹계 논스립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00025462A (ko) * 2018-08-30 2020-03-10 강재현 Pva 섬유를 혼입한 mma계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막 및 시공방법
KR102081025B1 (ko) * 2019-07-30 2020-02-25 (주)신승이앤씨 유리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이용한 데크로드 바닥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87554B1 (ko) * 2019-08-27 2020-04-09 (주)신승이앤씨 지중장애물 구간에 설치가 용이한 법면 확장 인도교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209863B1 (ko) * 2020-05-12 2021-01-28 김진영 미끄럼방지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KR102538500B1 (ko) * 2022-11-15 2023-06-01 경건휘 고마찰 미끄럼방지 노면처리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시공공법
KR102554236B1 (ko) * 2023-01-18 2023-07-12 주식회사 두원이엔씨 친환경 도로 미끄럼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554B1 (ko) 지중장애물 구간에 설치가 용이한 법면 확장 인도교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087547B1 (ko) 복합소재를 이용한 데크로드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CN211227915U (zh) 一种防水防沉降公路路基结构
CN110965422B (zh) 一种柔性拼接铺装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624222B1 (ko)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을 이용한 캔틸레버 확장인도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674329B1 (ko) 정전기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바닥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81025B1 (ko) 유리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이용한 데크로드 바닥판 및 그의 제조 방법
CN210916843U (zh) 一种公路路面结构
CN209082285U (zh) 一种具备纤维混合料的路面结构
CN205152746U (zh) 一种复合式长寿命沥青路面结构
CN208733565U (zh) 一种湿地驳岸护坡构造
CN201560402U (zh) 组合式可拆卸地铁双绝缘站台结构
CN212895737U (zh) 一种沥青路面层间抗裂黏结结构
CN211872455U (zh) 一种用于主题公园的道路结构及主题公园
KR101600986B1 (ko) 포장재의 내구성이 우수한 확장형 인도교
CN201236314Y (zh) 排水保护性桥面铺装结构
RU2422581C1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и строительства магистральных дорог
KR100408895B1 (ko) 교량의 신축이음 시공방법
CN217351984U (zh) 一种隔温的沥青路面结构
CN205856952U (zh) 一种抗拉伸路基结构
CN209162566U (zh) 一种公路路面
CN212612283U (zh) 一种水利施工护坡结构
CN220099557U (zh) 一种码头岸桥两轨间复合式路面结构
CN216156286U (zh) 露天广场路面排水系统
CN218812946U (zh) 具有抗裂功能的水稳基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