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860B1 - 석면슬레이트 철거 장비 - Google Patents

석면슬레이트 철거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860B1
KR102623860B1 KR1020210149165A KR20210149165A KR102623860B1 KR 102623860 B1 KR102623860 B1 KR 102623860B1 KR 1020210149165 A KR1020210149165 A KR 1020210149165A KR 20210149165 A KR20210149165 A KR 20210149165A KR 102623860 B1 KR102623860 B1 KR 102623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eam
slate
chair
members
rotatab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4070A (ko
Inventor
최윤상
Original Assignee
최윤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상 filed Critical 최윤상
Priority to KR102021014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860B1/ko
Publication of KR20230064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에서 슬레이트의 해체 및 철거작업에 필요한 요소인 작업자의 작업베이스와 슬레이트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대를 제공하는 장비로서, 크레인이나 고소작업차량에 연결되어 매달린 형태로 지붕에 접근하며, 지붕의 경사에 대응하여 의자와 적재대를 작업에 적합한 위치와 자세로 대응하게 함으로써 높은 작업효율을 갖고,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상대적 회전, 굽힘 또는 슬라이딩 이동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장비의 운반 시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슬레이트 철거 장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석면슬레이트 철거 장비{asbestos slate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지붕에서 슬레이트의 해체 및 철거작업에 필요한 요소인 작업자의 작업베이스와 슬레이트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대를 제공하는 장비로서, 크레인이나 고소작업차량에 연결되어 매달린 형태로 지붕에 접근하여 높은 작업효율을 가지며,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하게 설계된 슬레이트 철거 장비에 관한 것이다.
1960년대부터 지붕재로 많이 사용되어온 슬레이트는 1급 발암물질인 석면이 다량 함유되어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위험물질로서 ‘석면안전관리법’에 의거하여 적법하게 처리되어야 하며, 슬레이트 해체에 필요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장치의 개발이 사회적으로 매우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선행문건은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0001) “트러스 프레임을 가진 지붕 작업 장치”, 등록번호: 1021194230000 (2020년 06월 01일 등록)
(특허문헌 0002) “적응 로프 지지체계와 지붕 작업 장치”, 등록번호: 1019869370000 (2019년 05월 31일 등록)
(특허문헌 0003) “발판이 있는 지붕 작업 장치”, 등록번호: 제 10-1827625 (2018년 02월 02일 등록)
(특허문헌 0004) “지붕 작업 장치”, 등록번호: 1015893750000 (2016년 01월 21일 등록)
(특허문헌 0005)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등록번호: 10-1331184 (2013년 11월 13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지붕작업에 필요한 작업베이스와 적재대를 제공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되 지금까지의 어떤 선행기술보다 경량설계가 가능하고 동시에 작업효율이 높으며, 운반과 보관편리성 등의 취급성이 좋은 장비기술을 확보하는 것이다.
경량의 슬레이트 철거장비가 중요한 이유는 대형장비의 접근이 어려운 소로 변에 있는 건물에 접근이 가능한 소형장비가 현실적으로 절실히 요구되기 때문이다.
경량설계가 가능한 장비 구조체계는 부재의 변경만으로 중량장비에 적용하는 것이 유효하므로 본 기술의 유용성이 매우 높다.
이를 위하여 필요한 요구사항은 지붕의 경사에 대응하여 적응할 수 있어야 하고, 작업자의 작업절차가 간결하고 인체공학적으로 편리해야 하며, 장비의 구조가 역학적으로 안전하되 필수요소만으로 이루어져 단순하고 효율적이며, 운반이 편리하도록 축소변형이 가능한 것 등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지붕에서 슬레이트의 해체 및 철거작업에 사용되는 슬레이트 철거 장비에 있어서,
크레인 또는 고소작업차량의 붐 말단의 아답타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상부수직 빔과,
상기 상부수직 빔과 관절로 연결된 하부수직 빔,
상기 하부수직 빔 하단과 중앙부가 제1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 양단에 제2회전축 및 제3회전축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허브부재, 상기 허브부재하부에 부착된 두 경사삼각부재, 상기 두 경사삼각부재하단에 부착된 수평삼각부재와 두 기둥부재, 상기 두 기둥부재하부 사이에 부착된 의자 축 부재와 두 보강부재로 구성된 두 개의 사이드프레임,
상기 의자 축 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두 개의 지지 바로 각각 상기 두 기둥부재 상단에 연결되는 의자,
상기 두 개의 사이드프레임의 좌우하부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4회전축과 제5회전축에 양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하부프레임,
상기 두 개의 하부프레임에 두 곳 이상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구비된 연결고리가 로프를 통해 상기 하부수직 빔에 구비된 로프 브라켓과 연결되는 두 개의 적재대로 구성되어 그 프로파일이 전체적으로 내각이 변할 수 있는 평행사변형을 포함하고, 의자와 적재대를 내측으로 접을 수 있고, 상부수직 빔을 접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것을 그 기술구성의 기본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술구성의 기본 특징에 일부 구성품을 더하거나 빼거나 변형을 주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슬레이트 철거 장비는 크레인이나 고소작업차량의 붐 말단에 매달린 형태로 지붕에 접근하는데,
상기 붐 말단에 어댑터를 통해 연결된 상부수직 빔과 관절로 연결된 하부수직 빔,
상기 하부수직 빔 하단과 그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사이드프레임,
상기 두 개의 마주보는 사이드프레임의 좌우하부에서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수직 빔과 상부프레임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제2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사이드프레임이 허부수직 빔과 평행하게 수직을 유지하고 5개의 프레임이 평행사변형 구조를 형성하여 지붕의 경사에 장비의 자세가 동조될 수 있게 하며,
상기 두 개의 하부프레임 바깥 측 부에 각각 구비된 두 개의 적재대가 상기 사이드프레임 중앙부에 구비된 의자에 앉은 작업자가 슬레이트 철거작업을 수행하기에 가장 적절한 위치에 있게 함으로써 필요한 구성요소의 최소화와 부재 크기의 최소화를 구현하고 동시에 견고한 구조로 경량화 설계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된 롤러가 적재작업의 용이함을 고도화함으로써 슬레이트 철거작업 능률을 높이고,
사이드프레임을 상부사이드프레임과 하부사이드프레임으로 분리하는 제3실시 예는 그 사이에 완충재를 두어 작업자의 승차감을 좋게 하며,
상부사이드프레임과 그 윗부분이 아래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부피를 축소하며, 의자, 적재대 및 상부 수직 빔을 접을 수 있게 하여 운반편리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슬레이트 철거 장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슬레이트 철거 장비의 기둥부재의 변형설계인 접힘 기둥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슬레이트 철거 장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운반을 위해 의자와 적재대를 접고, 상부사이드프레임과 그 윗부분을 아래로 내리고, 상부수직 빔을 제거한 상태의 슬레이트 철거 장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3실시 예에 따른 제1, 제2액추에이터 관련 a) 기하학적 상태와 b) 연계 유압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3실시 예에 따른 의자프레임과 가변위치좌판체계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트 철거 장비의 제 1실시 예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슬레이트 철거 장비는 크레인이나 고소작업차의 붐 말단의 아답터에 조립되는 상부수직 빔(10), 상기 상부수직 빔(10)과 관절(12)로 연결된 하부수직 빔(20)이 있고,
상기 하부수직 빔(20) 하단과 그 중앙부가 제1회전축(21)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프레임(30),
상기 상부프레임(30) 양단에 제2회전축(31) 및 제3회전축(33)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사이드프레임(40)이 있다.
상기 사이드프레임(40)은 허브부재(42), 상기 허브부재(42)하부에 부착된 두 경사삼각부재(43), 상기 두 경사삼각부재(43)하단에 부착된 수평삼각부재(44)와 두 기둥부재(45), 상기 두 기둥부재(45) 하부 사이에 부착된 의자 축 부재(46)와 두 보강부재(47)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의자 축 부재(46)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두 개의 지지 바(71)로 각각 상기 두 기둥부재(45) 상단에 연결되는 의자(70)가 구비되어서 두 지지 바(71)를 분리하면 의자를 회전하여 장비 내측으로 접을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사이드프레임(40)의 좌우하부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4회전축(41)과 제5회전축(48)에 양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하부프레임(80)과 여기에 구비된 롤러(81)가 있다.
롤러(81)는 적재작업 시 슬레이트를 올려놓고 밀어서 적재할 수 있으므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하부프레임에 각각 두 곳 이상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구비된 연결고리(91)가 로프(23)를 통해 상기 하부수직 빔(20)에 구비된 로프 브라켓(26)과 연결되는 두 개의 적재대(90)로 구성되어 있다.
의자(70)와 마찬가지로 적재대(90)도 내측으로 접을 수 있고, 상부수직 빔(10)도 접거나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로프 브라켓(26)은 완충기(25) 외측에 부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하부수직 빔(20)에 완충기(25)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부수직 빔(20)에 부착됨과 동일한 효과가 있다.
상기 하부수직 빔(20)에는 자체 중심선인 수직축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턴테이블(24), 이와 연결된 완충기(25), 상기 상부프레임(30)의 연결 각도를 제어하는 제1액추에이터(22)가 구비되어 있다.
크레인이나 고소작업장치 붐 말단에 회전이 가능한 턴테이블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턴테이블(24)은 없어도 된다.
상기 완충기(25)는 작동 중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서 탑승 작업자를 편안하게 하지만 필수품은 아니므로 특히 경량화가 관건인 소형 슬레이트 철거장비에서는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바 형상이고, 그 단면을 가변적인 형태로 할 수 있으며, 입체적인 트러스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다양한 형태의 설계가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프레임(30)에서 상기 하부수직 빔(20)과 조립되는 중앙부는 조립 및 작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윗면이 일부 제거되어 있고, 양 측면부가 위로 연장되어 보강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프레임(40)은 허브부재(42), 경사삼각부재(43), 수평삼각부재(44), 기둥부재(45), 의자 축 부재(46), 보강부재(47)로 구성되며, 역학적으로 효율적인 최적구조를 갖는다.
사이드프레임(40)의 강성도를 향상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허브부재(42)를 수평삼각부재(44)와 연결되도록 연장할 수 있고, 의자 위 공간 확보를 위해 수평삼각부재(44)를 경사삼각부재(43)보다 조금 작은 각도를 주어 제2경사삼각부재로 변경하여 연장된 허브부재(42)와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사이드프레임(40)의 상기 상부프레임(30)과의 각도 제어를 위해 제2액추에이터(32)가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 제1실시 예와 다른 부분을 보여주고 있다.
제1실시 예의 상기 기둥부재(45)의 일부분이 윗 관절마디(101), 연결마디(102), 아래 관절마디(103)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관절 축(104)으로 구성된 접힘기둥(100)으로 대체되어있고, 우측에는 접혀서 높이가 낮아진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 점은 본 장비를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부피를 줄여서 편리성을 부여할 뿐 아니라 재조립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도 사람의 키높이 내에서 상부수직 빔(10) 조립이 가능하게 하므로 편리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트 철거 장비의 제 3실시 예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운반을 위해 부피를 최소화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 3실시 예가 제1실시 예와 다른 부분은 사이드프레임(40)이 상부사이드프레임(50)과 하부사이드프레임(60)으로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사이드프레임(50)에는 허브부재(51) 아래에 두 경사삼각부재(52)와 수평삼각부재(53) 그리고 두 플랜지튜브(54)가 구비된다.
상부사이드프레임(50)의 강성도를 향상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부재(51)를 수평삼각부재(53)와 연결되도록 연장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의자 위 공간 확보를 위해 수평삼각부재(53)를 경사삼각부재(52)보다 조금 작은 각도를 주어 제2경사삼각부재로 변경하여 연장된 허브부재(42)와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두 플랜지튜브(54)에는 상기 두 개의 하부기둥부재(62)가 각각 끼워진다.
상기 하부기둥부재(62) 상단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나사 아래에 고무, 실리콘 또는 우레탄과 같은 완충소재로 된 완충플랜지튜브(68)가 끼워지고, 나사에 플랜지너트(67), 핀 링(66) 그리고 로크너트(65)가 차례로 조립되어 상기 플랜지튜브(54)와 상기 플랜지너트(67) 사이에서 상기 완충플랜지튜브(68)가 완충기로 작용한다.
상기 핀 링(66) 내측은 테이퍼 가공이 되어 로크너트(65)의 로크 부가 끼워져서 나사를 돌림에 따라 조여져서 풀림을 방지하고, 외측에는 지지 바(72)가 조립되어 의자(70)를 지지한다.
장비를 보관이나 운송할 때는 도 4와 같이 지지 바(72)를 분리하고 의자(70)와 적재대(90)를 약 180도 회전하여 안쪽으로 접고, 상 하부수직 빔(10, 20)부터 상부프레임(30) 그리고 상부사이드프레임(50)을 아래로 내리고 상부수직 빔(10)을 분리하거나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하면 편리하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하부사이드프레임(60)의 보강부재(64) 상단에 플랜지튜브(54) 받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a)는 제1액추에이터(22)와 제2액추에이터(32)의 기하학적 관계를 보이고 있다.
작업할 때 본 장비의 바람직한 자세 조건은 하부수직 빔(20)과 평행하게 두 개의 사이드프레임(40)이나 상부사이드프레임(50)이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상부프레임(30)과 하부프레임(80)은 동시에 지붕의 경사와 평행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부프레임(30)과 하부프레임(80)의 유효 길이가 동일하고, 두 사이드프레임(40) 또는 두 상 하부사이드프레임(50, 60))의 유효길이도 동일해서 평행사변형을 형성해야한다.
이를 위해서 하부수직 빔(20)과 상부프레임(30)이 직교하고, 상부프레임(30)과 사이드프레임(40)이나 상부사이드프레임(50)이 직교하는 세팅 상태에서 삼각형OHB 와 삼각형ohb 가 동일하고(절대값 기준), 두 액추에이터(22, 32)가 동일하게 작동하면 위 자세 조건이 충족된다.
전기 액추에이터의 경우 이와 같이 적용할 수 있다.
도 5. b) 와 같이 유압액추에이터 두 개를 연계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연계된 유압단면적크기에 반비례하게 도 5. a)의 기하학적 상사성을 갖추면 위 자세 조건이 충족된다.
즉, 도 5. a)에서 다음 식이 성립하면 위 자세 조건이 충족된다.
A2/A1 = B1/B2 = H1/H2
도 6은 의자(70)를 대신하는 의자프레임(73)과 가변위치좌판(74) 등으로 구성된 체계를 보이고 있다.
상기 가변위치좌판체계는 다양한 슬레이트의 규격에 대응하여 가변위치좌판(74)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변위치좌판체계는 앞부분은 상기 의자 축 부재 (46 또는 63)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뒷부분은 2개의 지지 바(71 또는 72)와 연결된 의자프레임(73)과 이에 좌판 발(75)로 연결되어 상대운동이 가능한 가변위치좌판(74)으로 구성되며, 가변위치좌판(74)의 상대운동수단과 고정수단을 더하면 체계가 완성된다.
도 6.에서 보이는 실시 예는 상기 상대운동수단과 고정수단으로 의자프레임(73)에 구비된 랙 바(76)와 가변위치좌판(74)에 부착된 피니언(77) 이다.
상기 상대운동수단과 고정수단은 다양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므로 위 실시 예 외에도 적절한 예를 적용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가변위치좌판(74)에는 안전 바를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작업자는 별도의 안전벨트를 준비하여 2중의 안전대책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구성품의 형태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부착물을 부착하는 등 본질을 유지한 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지만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상부수직 빔 11: 어댑터
12: 관절
20: 하부수직 빔 21: 제 1회전축
22: 제1 액추에이터 23: 로프
24: 턴테이블 25: 완충기
26: 로프 브라켓
30: 상부 프레임 31: 제2회전축
32: 제2액추에이터 33: 제3회전축
40: 사이드프레임 41: 제4회전축
42: 허브부재 43: 경사삼각부재
44: 수평삼각부재 45: 기둥부재
46: 의자 축 부재 47: 보강부재
48: 제5회전축
50: 상부사이드프레임 51: 허브부재
52: 경사삼각부재 53: 수평삼각부재
54: 플랜지튜브
60: 하부사이드프레임 61: 제4회전축
62: 하부기둥부재 63: 의자 축 부재
64: 보강부재 65: 로크너트
66: 핀 링 67: 플랜지너트
68: 완충플랜지튜브 69: 제5회전축
70: 의자 71: 지지 바
72: 지지 바 73: 의자프레임
74: 가변위치좌판 75: 좌판 발
76: 랙 바 77: 피니언
80: 하부프레임 81: 롤러
90: 적재대 91: 연결고리
100: 접힘 기둥 101: 윗 관절마디
102: 연결마디 103: 아래 관절마디
104: 관절 축

Claims (10)

  1. 건물지붕에서 슬레이트의 해체 및 철거작업에 사용되는 슬레이트 철거 장비에 있어서,
    크레인 또는 고소작업차량의 붐 말단의 아답타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상부수직 빔(10),
    상기 상부수직 빔(10) 하단과 분리 또는 접힘이 가능한 관절로 연결된 하부수직 빔(20),
    상기 하부수직 빔(20)과 그 중앙부가 제1회전축(2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프레임(30),
    상기 상부프레임(30) 양단에 각각 제2회전축(31) 및 제3회전축(33)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허브부재(42), 상기 허브부재(42)하부에 부착된 두 경사삼각부재(43), 상기 두 경사삼각부재(43)하단에 부착된 수평삼각부재(44)와 두 기둥부재(45), 상기 두 기둥부재(45)하부 사이에 부착된 원형파이프 형태의 의자 축 부재(46)와 두 보강부재(47)로 구성된 두 개의 사이드프레임(40),
    상기 의자 축 부재(46)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의 두 곳이 두 개의 지지 바(71)의 일단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두 개의 지지바(71)는 각각 상기 두 기둥부재(45) 상단에 체결되어 연결되는 의자(70),
    상기 두 개의 사이드프레임(40)의 좌우하부에서 대응하는 위치의 제4회전축(41)과 제5회전축(48)에 양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트러스 형태의 두 개의 하부프레임(80),
    상기 두 개의 하부프레임(80)에 두 곳 이상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구비된 연결고리(91)가 로프(23)를 통해 상기 하부수직 빔(20)에 구비된 로프 브라켓(26)과 연결되는 두 개의 적재대(90)를 포함하고,
    그 프로파일이 전체적으로 내각이 변할 수 있는 평행사변형을 이루고, 의자(70)와 적재대(90)를 내측으로 접을 수 있고, 상부수직 빔(10)을 접거나 분리할 수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트 철거 장비.
  2. 건물지붕에서 슬레이트의 해체 및 철거작업에 사용되는 슬레이트 철거 장비에 있어서,
    크레인 또는 고소작업차량의 붐 말단의 아답타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상부수직 빔(10),
    상기 상부수직 빔(10) 하단과 분리 또는 접힘이 가능한 관절로 연결된 하부수직 빔(20),
    상기 하부수직 빔(20)과 그 중앙부가 제1회전축(2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프레임(30),
    상기 상부프레임(30) 양단에 각각 제2회전축(31) 및 제3회전축(33)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허브부재(42), 상기 허브부재(42)하부에 부착된 두 경사삼각부재(43), 상기 두 경사삼각부재(43)하단에 부착된 수평삼각부재(44)와 두 기둥부재(45), 상기 두 기둥부재(45)하부 사이에 부착된 원형 파이프 형태의 의자 축 부재(46)와 두 보강부재(47)로 구성된 두 개의 사이드프레임(40),
    상기 의자 축 부재(46)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의 두 곳이 두 개의 지지 바(71)의 일단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두 개의 지지바(71)는 각각 상기 두 기둥부재(45) 상단에 체결되어 연결되는 의자(70),
    상기 두 개의 사이드프레임(40)의 좌우하부에서 대응하는 위치의 제4회전축(41)과 제5회전축(48)에 양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트러스 형태의 두 개의 하부프레임(80),
    상기 두 개의 하부프레임(80)에 두 곳 이상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구비된 연결고리(91)가 로프(23)를 통해 상기 하부수직 빔(20)에 구비된 로프 브라켓(26)과 연결되는 두 개의 적재대(90)를 포함하고,
    그 프로파일이 전체적으로 내각이 변할 수 있는 평행사변형을 이루고, 의자(70)와 적재대(90)를 내측으로 접을 수 있고, 상부수직 빔(10)을 접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기둥부재(45)들은 상기 지지바(71) 체결부 바로 아래와 상기 보강부재(47) 사이가 윗 관절마디(101), 연결마디(102) 그리고 아래 관절마디(103)와 이들을 연결하는 관절 축(104)들로 구성된 접힘 기둥(100)으로 구성되어 접어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트 철거 장비.
  3. 건물지붕에서 슬레이트의 해체 및 철거작업에 사용되는 슬레이트 철거 장비에 있어서,
    크레인 또는 고소작업차량의 붐 말단의 아답타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상부수직 빔(10),
    상기 상부수직 빔(10) 하단과 분리 또는 접힘이 가능한 관절로 연결된 하부수직 빔(20),
    상기 하부수직 빔(20)과 그 중앙부가 제1회전축(2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프레임(30),
    상기 상부프레임(30) 양단에 각각 제2회전축(31) 및 제3회전축(33)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허브부재(51), 상기 허브부재(51)하부에 부착된 두 경사삼각부재(52), 상기 두 경사삼각부재(52)의 타단에 부착된 두 플랜지튜브(54), 상기 두 플랜지튜브(54) 사이에 부착된 수평삼각부재(53) 로 구성된 두 개의 상부사이드프레임(50),
    두개의 하부기둥부재(62)와 상기 두 하부기둥부재(62)하부 사이에 부착된 의자 축 부재(63)와 두 보강부재(64)로 구성되며, 상기 두 플랜지튜브(54)에 상기 두 하부기둥부재(62) 상단이 각각 끼워지고 그 상단에 구비된 나사 아래에 완충플랜지튜브(68)가 끼워지고 그 위 나사에 플랜지너트(67), 핀 링(66) 그리고 로크너트(65)가 조립되는 두 개의 하부사이드프레임(60),
    상기 의자 축 부재(6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두 개의 지지 바(72)로 각각 상기 두 핀 링(66)에 연결되는 의자(70),
    상기 두 개의 하부사이드프레임(60)의 좌우하부에서 대응하는 위치의 제4회전축(61)과 제5회전축(69)에 양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하부프레임(80),
    상기 두 개의 하부프레임(80)에 두 곳 이상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구비된 연결고리(91)가 로프(23)를 통해 상기 하부수직 빔(20)에 구비된 로프 브라켓(26)과 연결되는 두 개의 적재대(90)를 포함하고,
    그 프로파일이 전체적으로 내각이 변할 수 있는 평행사변형을 이루고, 의자(70)와 적재대(90)를 내측으로 접을 수 있고, 상부수직 빔(10)을 접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튜브(54)가 상기 하부기둥부재(62)의 완충플랜지튜브(68)와 보강부재(64) 사이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트 철거 장비.
  4. 제 1항, 제 2항 그리고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직 빔(20)과 상기 상부프레임(30)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제1액추에이터(22)와,
    제 1항, 제 2항의 경우 상기 상부프레임(30)과 상기 사이드프레임(40)의 회동연결부의,
    제 3항의 경우 상기 상부프레임(30)과 상부사이드프레임(50)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제2액추에이터(3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액추에이터(22)와 제2액추에이터(32)는 관련되는 회전축과 액추에이터의 양단 연결부로 형성되는 각각의 삼각형이 동일한 크기의 닮은꼴 기하학적 특성을 갖으며, 상호 연계되어 움직임이 동일하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트 철거 장비.
  5. 제 1항, 제 2항 그리고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직 빔(20)과 상기 상부프레임(30)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제1액추에이터(22)와,
    제 1항, 제 2항의 경우 상기 상부프레임(30)과 상기 사이드프레임(40)의 회동연결부의,
    제 3항의 경우 상기 상부프레임(30)과 상부사이드프레임(50)의 회동연결부의,
    연결각도를 제어하는 제2액추에이터(3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액추에이터(22)와 제2액추에이터(32)는 유압으로 작동하고 연계되며, 관련되는 회전축과 액추에이터의 양단 연결부로 형성되는 각각의 삼각형이 연계된 유압 단면적에 반비례하는 크기의 닮은꼴 기하학적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트 철거 장비.
  6. 제 1항, 제 2항 그리고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80)에 하나 이상의 롤러(81)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트 철거 장비.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49165A 2021-11-02 2021-11-02 석면슬레이트 철거 장비 KR102623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165A KR102623860B1 (ko) 2021-11-02 2021-11-02 석면슬레이트 철거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165A KR102623860B1 (ko) 2021-11-02 2021-11-02 석면슬레이트 철거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070A KR20230064070A (ko) 2023-05-10
KR102623860B1 true KR102623860B1 (ko) 2024-01-11

Family

ID=8638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165A KR102623860B1 (ko) 2021-11-02 2021-11-02 석면슬레이트 철거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8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625B1 (ko) * 2016-04-01 2018-03-22 최윤상 발판이 있는 지붕작업 장치
KR102119423B1 (ko) * 2018-04-04 2020-06-08 최윤상 트러스 프레임을 가진 지붕 작업 장치
KR102268100B1 (ko) * 2020-11-12 2021-06-23 경간란 휠체어 사용자용 이동 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9257A (ko) * 2013-05-27 2014-12-05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절첩식 임시 캐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625B1 (ko) * 2016-04-01 2018-03-22 최윤상 발판이 있는 지붕작업 장치
KR102119423B1 (ko) * 2018-04-04 2020-06-08 최윤상 트러스 프레임을 가진 지붕 작업 장치
KR102268100B1 (ko) * 2020-11-12 2021-06-23 경간란 휠체어 사용자용 이동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070A (ko) 202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2183A (en) Portable lifting apparatus for demountable positioning in an overhead location
JPH11241499A (ja) 支保工
CN102372239B (zh) 具有螺杆驱动和气动支撑杆的桅杆升降机
CN1672880A (zh) 可折叠的滚行支撑台架
EP1450096B1 (en) Multipurpose trestle
KR102623860B1 (ko) 석면슬레이트 철거 장비
US80337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moving load
US3312305A (en) Folding scaffold
KR102119423B1 (ko) 트러스 프레임을 가진 지붕 작업 장치
KR20090033895A (ko) 코너 브레이스
US20090194959A1 (en) Mobile platform methods and system
KR20120000526U (ko) 고소 작업대의 지지 장치
CN205777416U (zh) 梯式脚手架
CN210713772U (zh) 工地脚手架用临时楼梯
WO2006111603A1 (en) Movable scaffolding
CN206942636U (zh) 一种林业树枝修剪用人字梯
CN215361436U (zh) 一种折叠式器材运输车
JP2004131971A (ja) 伸縮機構を備えた支持部材
KR200493447Y1 (ko)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CN213168245U (zh) 带履带收放机构的履带式爬楼机
CN114033138B (zh) 一种外伸双节旋转式外墙施工平台的使用方法
JP3899298B2 (ja) 仮設階段用踊り場
WO2010022340A1 (en) Ladder
KR20200063391A (ko)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CN114033140B (zh) 一种外伸双节旋转式外墙施工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