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143B1 -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143B1
KR102622143B1 KR1020170009793A KR20170009793A KR102622143B1 KR 102622143 B1 KR102622143 B1 KR 102622143B1 KR 1020170009793 A KR1020170009793 A KR 1020170009793A KR 20170009793 A KR20170009793 A KR 20170009793A KR 102622143 B1 KR102622143 B1 KR 102622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pressure sensor
flexible pressure
wear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994A (ko
Inventor
곽기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9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143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5Pelv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탑승자가 안전 벨트를 정상적으로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상 발생 시 그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은 안전벨트 웨빙 내측면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압력 센서와, 플렉시블 압력 센서로부터 센싱된 값을 선형 데이터로 가공하여 탑승자의 안전벨트 정상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안전벨트의 비정상 착용 상태에 대한 경고를 제공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WHETHER WEARING SAFETY BELT OREDERLY USING FLEXIBLE 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탑승자가 안전 벨트를 정상적으로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상 발생 시 그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전벨트(안전띠)는 자동차나 고속버스, 항공기, 기차 등에서 운행 중에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좌석에 설치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안전띠 착용 여부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537호는 각 좌석에 사용자의 착석 여부에 대한 센싱 신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차량 출입문이 열린 후 좌석의 압력 변화 및 안전벨트의 결합클립과 버클 체결 여부를 판별하여 안전벨트의 착용 여부를 차량 내, 외부에 현시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좌석에 배치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착좌 여부를 판별하는 구성에 그쳐, 탑승자의 탑승 여부 및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만을 알려주는 구성에 그쳐, 안전벨트의 꼬임 또는 복부 착용 등, 안전벨트가 잘못된 방법으로 착용되었는지 여부에 대하여 알려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잘못된 방법으로 착용한 안전벨트로 인하여 사고 발생 시 오히려 탑승자에 대한 위험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안전벨트의 착용 여부만이 아니라 안전벨트가 가이드라인에 맞게 정상적으로 매어졌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탑승자가 잘못된 방법으로 안전벨트를 착용한 경우 그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여 사고 발생 시 2차 피해를 막는 것이 가능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은 안전벨트 웨빙 내측면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압력 센서와, 플렉시블 압력 센서로부터 센싱된 값을 선형 데이터로 가공하여 탑승자의 안전벨트 정상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안전벨트의 비정상 착용 상태에 대한 경고를 제공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순히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매었는지, 매지 않았는지 여부에 대한 감지를 함을 넘어서, 탑승자가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여 올바른 방식으로 안전벨트를 매었는지에 대하여 감지하여, 비정상적으로 안전벨트를 맨 것으로 감지한 경우 그에 대한 경고 알람을 제공하여 사고 발생 시의 2차 피해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의 안전벨트 착용 유/무 및 버클 위치 확인을 위한 선형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의 안전벨트 미착용 또는 느슨하게 착용된 상태에서의 선형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의 어깨끈 부위, 골반끈 부위 확인을 위한 선형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의 어깨끈이 목에 닿아 비정상 착용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선형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의 골반띠를 복부에 착용한 비정상 착용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선형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의 골반띠를 골반에 착용한 정상 착용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선형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의 웨빙 꼬임에 의한 비정상 착용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선형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은, 안전벨트 웨빙 내측면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압력 센서(100)와, 플렉시블 압력 센서(100)로부터 센싱된 값을 선형 데이터로 가공하여 탑승자의 안전벨트 정상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200)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안전벨트의 비정상 착용 상태에 대한 경고를 제공하는 알람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전벨트는 탑승자의 몸을 둘러싸는 띠 부분에 해당하는 웨빙과,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웨빙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일정한 하중으로 웨빙을 당기는 역할을 하여 안전벨트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는 리트렉터와, 안전벨트를 고정시키는 버클과, 웨빙을 운전자의 골반 옆에서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100)는 의류 원단처럼 플렉시블한 센서로서, 표면 전체에서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플렉시블 압력 센서(100)는 웨빙의 전 구간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여, 그 값을 제어부(200)로 송신하고, 제어부(200)는 수신된 센싱값을 선형 데이터로 가공하여,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였는지 여부와 탑승자가 잘못된 방법으로 안전벨트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제어 신호를 알람부(300)로 송신한다.
안전벨트의 올바른 착용법으로는, 어깨끈이 목에 닿지 않도록 하며, 골반끈이 복부에 매이지 않고 골반뼈 부위에 착용되며, 웨빙이 꼬이지 않는 것으로 규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시블 압력 센서(100)의 센싱값과 그를 가공한 선형 데이터로부터, 전술한 안전벨트의 올바른 착용법이 준수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안전벨트를 올바로 매어 사고 발생 시 2차 피해가 방지되도록 탑승자에게 경고를 제공하게 된다.
알람부(300)는 제어부(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텍스트 메시지, 경고음, 햅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경고 신호를 탑승자에게 제공한다.
제어부(200)가 가공한 플렉시블 압력 센서(100)의 센싱 데이터의 선형 구조를 이용한 안전벨트의 정상 착용 여부 판별 과정은 도 2 내지 도 8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의 안전벨트 착용 유/무 및 버클 위치 확인을 위한 선형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매는 경우, 리트렉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탑승자 체형에 맞게 웨빙 길이를 조절하며 일정한 하중으로 웨빙을 당겨주게 되어, 안전벨트가 느슨하게 착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리트렉터에서 당기는 하중의 대다수는 버클에 가해지게 되며, 리트렉터가 당기는 하중은 웨빙 내측면에 배치된 플렉시블 압력 센서(100)에 의해 센싱되어, 제어부(200)로 송신된다.
제어부(200)는 플렉시블 압력 센서(100)에 의한 센싱값을 선형 데이터로 가공하여, 안전벨트의 착용 여부와 웨빙 전구간에서 버클의 위치(B)를 판단한다.
압력 레벨은 리트렉터가 당기는 하중이 100% 압력으로 전환될 경우의 압력 레벨(P2)와 안전벨트가 착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압력 레벨로서, 웨빙에 가해지는 압력 레벨(P1)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가 플렉시블 압력 센서(100)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을 가공한 선형 데이터 구조가 도 2와 같은 경우, 버클의 위치가 B로 판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의 안전벨트 미착용 또는 느슨하게 착용된 상태에서의 선형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압력 센서(100)가 획득한 센싱값에 대하여 제어부(200)가 선형 데이터 구조로 가공한 경우, P1에 미치지 못하는 센싱값이 획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제대로 매지 않았거나, 리트렉터의 고장으로 인해 안전벨트가 느슨하게 착용된 것으로, 리트렉터가 당기는 힘이 버클에 전달되지 않으며, 플렉시블 압력 센서(100)를 이용한 센싱 전 구간에서 일정값 이상의 압력이 센싱되지 않는다.
즉, 제어부(200)는 웨빙에 가해지는 압력이 안전벨트가 정상적으로 착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압력 레벨(P1)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감지하여, 안전벨트가 느슨하게 착용되거나 미착용된 상태로 판별하여 제어 신호를 알람부(30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의 어깨끈 부위, 골반끈 부위 확인을 위한 선형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버클 위치(B)가 확인되면, 제어부(200)는 웨빙 중 리트렉터와 버클 사이의 구간으로서 탑승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압력이 센싱되는 부분이 어깨끈 부위임을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웨빙 중 버클과 고정부 사이의 구간으로서 탑승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압력이 센싱되는 부분이 골반끈 부위임을 판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의 어깨끈이 목에 닿아 비정상 착용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선형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탑승자는 안전벨트가 목에 닿지 않도록 안전벨트를 착용하여야 안전하며, 안전벨트가 목에 닿는 경우 사고 시 더 심각한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목에 닿도록 착용한 비정상 착용 상태의 경우, 목에 닿는 웨빙 부분과 리트렉터 사이에는 탑승자의 신체가 웨빙에 닿는 부위가 없으므로, 플렉시블 압력 센서(100)를 통해 센싱되는 압력이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100)는 사람의 동맥을 통해 맥박을 측정하며, 웨빙이 목에 닿는 경우 목에 위치한 경동맥을 통해 맥박이 센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트렉터와 인접한 어깨끈 끝부분에서 맥박이 센싱될 경우, 이를 경동맥에 의한 센싱값으로서 웨빙이 탑승자에 목에 닿은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올바르게 착용한 경우, 리트렉터와 가까운 어깨끈의 끝부분이 쇄골에 위치하게 되어, 그 부분에서는 맥박이 센싱되지 않고, 어깨끈 부위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 심장에 의해 맥박이 센싱된다.
즉, 제어부(200)는 선형 데이터 구조를 통해 심장에 의한 맥박이 센싱되는 위치(S2)를 확인한 경우 이를 안전벨트의 정상 착용 상태로 판별하고, 경동맥에 의한 맥박 센싱 위치(S1)를 확인한 경우 이를 안전벨트의 비정상 착용 상태로 판별하여 알람 제공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도 6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의 골반띠를 복부에 착용한 비정상 착용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선형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탑승자는 안전벨트가 복부가 아닌 골반뼈에 매어지도록 착용하여야 안전하며, 안전벨트가 복부에 매어지는 경우 사고 시 더 심각한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복부에 맨 비정상 착용 상태의 경우, 복부에 위치한 대동맥에 의해 골반끈 부위의 중간 부분에서 맥박이 센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100)는 사람의 복부에 위치한 대동맥을 통해 맥박을 측정하며, 웨빙이 복부에 매어지는 경우 맥박이 센싱된 위치(S3)를 고려하여 제어부(200)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반면,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골반끈에 착용한 올바른 착용 상태의 경우, 플렉시블 압력 센서(100)로부터 센싱된 값은 탑승자의 골반에 위치한 총장골동맥에 의한 골반끈 부위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의 2부분의 동맥 센싱값이다.
즉, 제어부(200)는 선형 데이터 구조를 통해 총장골동맥에 의한 맥박이 센싱되는 위치(S4)를 확인한 경우, 이를 안전벨트의 정상 착용 상태로 판별하고, 대동맥에 의한 맥박 센싱 위치(S3)를 확인한 경우 이를 안전벨트의 비정상 착용 상태로 판별하여 알람 제공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의 웨빙 꼬임에 의한 비정상 착용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선형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웨빙이 꼬이지 않을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압력 센서(100)는 탑승자와 밀착되어 일정 압력을 센싱한다.
반면, 웨빙이 꼬이게 되는 경우 플렉시블 압력 센서(100)는 웨빙이 탑승자와 밀착되지 않고 외부를 향하게 되어, 그 부분에서는 압력이 센싱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깨끈 부위와 골반끈 부위는 연속적인 일정 구간에서 웨빙이 탑승자와 밀착됨에 따라 압력이 센싱되나, 웨빙이 꼬이는 경우 그 해당 구간에서 압력의 크기가 줄어들며(P3), 제어부(200)는 이러한 선형 데이터 구조 분석을 통해 웨빙 꼬임 여부를 판별하고, 웨빙이 꼬인 것으로 판별한 경우 제어 신호를 알람부(300)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플렉시블 압력 센서(100)로부터 웨빙 전 구간에 대한 압력값을 수신하여, 선형 데이터 구조로 가공하고, 전 구간 중 가장 강한 압력값이 기설정된 압력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안전벨트가 느슨하게 착용된 비정상 착용 상태를 판별한다.
제어부(200)는 선형 데이터 구조 분석을 통해 가장 강한 압력값이 센싱된 위치를 버클의 위치로 파악하고, 리트렉터에서 버클까지의 구간을 어깨끈 부위로, 버클에서 고정부까지의 구간을 골반끈 부위로 판별하고, 어깨끈 부위에서 탑승자의 경동맥에 의한 맥박이 센싱되는지, 심장에 의한 맥박이 센싱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선형 데이터 구조 분석을 통해 골반끈 부위에서 맥박이 감지되는 부분이 1부분으로서, 복부에 위치한 대동맥에 의한 맥박이 감지되는 경우 안전벨트의 비정상 착용 상태임을 알리는 경고 신호 제공을 위해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골반근 부위에서 맥박이 감지되는 부분이 2부분으로서, 골반의 총장골동맥에 의한 맥박이 감지되는 경우 안전벨트가 정상적으로 착용되었음을 판별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어깨끈 부위와 골반끈 부위 중, 압력 센싱값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구간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웨빙 꼬임 여부에 대하여 판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웨빙 전 구간의 압력값을 센싱하고, 이를 선형 데이터 구조로 가공한 제어부는 버클 위치, 어깨끈 부위, 골반끈 부위를 판별하고,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목에 닿도록 매거나, 안전벨트를 복부에 매거나, 웨빙의 꼬임이 발생하는 등의 비정상 착용 상태를 판별하여 경고 제공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의 체결 상태를 통해 단순히 안전벨트가 매어졌는지 매어지지 않았는지 여부에 대하여 알려주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안전벨트가 비정상적으로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알람(경고)를 제공함으로써, 사고 발생 시 2차 피해가 없도록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플렉시블 압력 센서 200: 제어부
300: 알람부

Claims (10)

  1. 안전벨트 웨빙 내측면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압력 센서;
    상기 플렉시블 압력 센서로부터 센싱된 값을 선형 데이터로 가공하여 탑승자의 안전벨트 정상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안전벨트의 비정상 착용 상태에 대한 경고를 제공하는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리트렉터와 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센싱된 값이 기설정된 압력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버클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안전벨트가 정상적으로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버클 위치를 기준으로 어깨끈 부위와 골반끈 부위를 감지하는 것
    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압력 센서는 상기 웨빙의 전 구간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것
    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시블 압력 센서가 측정한 맥박을 고려하여 상기 어깨끈 부위가 상기 탑승자에 목에 닿은 비정상 착용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시블 압력 센서가 측정한 맥박이 상기 어깨끈 부위 중 상기 리트렉터와 인접한 부분에서 감지된 경우 이를 비정상 착용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맥박이 상기 어깨끈 부위 중 중간 부분에서 감지된 경우 정상 착용 상태로 판단하는 것
    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시블 압력 센서가 측정한 맥박을 고려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골반끈 부위가 상기 탑승자의 복부에 매어진 비정상 착용 상태와, 상기 골반끈 부위가 상기 탑승자의 골반에 매어진 정상 착용 상태를 판별하는 것
    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맥박이 상기 골반끈 부위 중 중간의 한 부분에서 감지되는 경우 이를 비정상 착용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맥박이 상기 골반끈 부위 중 두 군데에서 센싱되는 경우 이를 정상 착용 상태로 판별하는 것
    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텍스트 메시지, 경고음, 햅틱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경고 신호를 제공하는 것
    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9. 안전벨트 웨빙 내측면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압력 센서;
    상기 플렉시블 압력 센서로부터 센싱된 값을 선형 데이터로 가공하여 탑승자의 안전벨트 정상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안전벨트의 비정상 착용 상태에 대한 경고를 제공하는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웨빙의 꼬임 여부를 판단하여 안전벨트 정상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센싱된 값의 선형 데이터 구조 분석에 따라, 어깨끈 부위 및 골반끈 부위에서 센싱된 값이 일시적으로 감소되었다가 회복되는 구간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웨빙의 꼬임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인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KR1020170009793A 2017-01-20 2017-01-20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22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793A KR102622143B1 (ko) 2017-01-20 2017-01-20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793A KR102622143B1 (ko) 2017-01-20 2017-01-20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994A KR20180085994A (ko) 2018-07-30
KR102622143B1 true KR102622143B1 (ko) 2024-01-08

Family

ID=63048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793A KR102622143B1 (ko) 2017-01-20 2017-01-20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1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6747A1 (ko) * 2019-02-15 202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 장치 및 차량용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3479161A (zh) * 2021-08-13 2021-10-08 戴姆勒股份公司 能够确定胸部受伤等级的安全带系统及车辆
KR102517770B1 (ko) 2021-10-18 2023-04-04 이귀동 안전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KR20230073559A (ko) 2021-11-19 2023-05-26 박충희 고장 진단이 가능한 건설현장 중장비 차량용 안전벨트 관제 시스템
KR102416753B1 (ko) 2021-11-19 2022-07-06 박충희 홀 센서를 이용한 고장 진단 기능이 구비된 건설현장 중장비 차량용 안전벨트 관제 시스템
KR102623369B1 (ko) 2021-11-19 2024-01-10 박건호 건설현장 중장비 차량의 안전벨트 관제 시스템
CN115214529B (zh) * 2022-01-27 2023-11-10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检测方法、装置、车辆及计算机可读介质
KR20230139134A (ko) 2022-03-25 2023-10-05 박충희 정상 착용 감지 기능이 구비된 안전벨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6611A (ja) * 2011-09-08 2013-03-28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996A (ko) * 2010-12-23 2012-07-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안전벨트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6611A (ja) * 2011-09-08 2013-03-28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994A (ko) 201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2143B1 (ko) 플렉시블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안전 벨트 정상 착용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9707868B2 (en) Child car seat having active protection means
EP16121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rear facing infant seat
US20150360643A1 (en) Occupant sensing and classification system
JP6667569B2 (ja) シートベルト装着検出装置
EP1652735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a usage condition of a vehicle seat lap/shoulder belt
CN110539720A (zh) 车辆安全带检测方法、检测系统及车辆
EP2899062A1 (en) Seat belt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buckled state for a driver seat
KR101778019B1 (ko) 스포츠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JP4507463B2 (ja) シートベルト引張力検出装置
JP5862348B2 (ja) シート乗員判定装置
CN108099841B (zh) 一种安全带报警装置、安全带报警方法及汽车
US9555722B2 (en) Seat occupancy determination apparatus
CN108099839A (zh) 一种安全带检测装置
JP6019607B2 (ja) シート乗員判定装置およびシート乗員判定方法
JP2005145087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0296757A (ja) 車両乗員保護装置の作動制御システム
CN218536613U (zh) 一种安全带检测装置
JP4275496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装着検出方法および装置
US11396248B2 (en) Anchor attachment detection sensors
US11021132B2 (en) Rear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506658B1 (ko) 차량 탑승자용 자세이상 경고 방법
EP2899061A1 (en) Seat belt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buckled state for a driver seat
KR20240071241A (ko) 안전벨트 부정착용 방지장치
WO2019107205A1 (ja) バックル、シートベルト装着状態検知システム及びシートベルト装着状態検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