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870B1 -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870B1
KR102621870B1 KR1020210131000A KR20210131000A KR102621870B1 KR 102621870 B1 KR102621870 B1 KR 102621870B1 KR 1020210131000 A KR1020210131000 A KR 1020210131000A KR 20210131000 A KR20210131000 A KR 20210131000A KR 102621870 B1 KR102621870 B1 KR 102621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waste
net
collection devic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7764A (ko
Inventor
박인섭
Original Assignee
박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섭 filed Critical 박인섭
Priority to KR1020210131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870B1/ko
Publication of KR20230047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면에 가라앉은 폐그물 등을 안정적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폐그물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폐그물이 바위와 산호초 등에 걸릴 경우, 해당 폐그물을 무리하게 회수하지 않고 해당 폐그물로부터 장치를 분리시킴으로써, 선박이나 인양장치에 손상이나 고장이 발생하거나 선박이 좌초되거나 전복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뎀퍼형태를 적용한 길이가변방식과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회전제한방식 등과 같이, 장력을 유지 및 해제하는 구성을 다양한 형태로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제작될 선박용 폐그물 수거장치는 물론, 현재 선박에서 운용중인 폐그물 수거장치 등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해양 폐기물 수거 분야, 특히 해저면에 가라앉은 폐그물 수거 장치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Collection device for waste net on the seabed}
본 발명은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면에 가라앉은 폐그물 등을 안정적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폐그물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폐그물이 바위와 산호초 등에 걸릴 경우, 해당 폐그물을 무리하게 회수하지 않고 해당 폐그물로부터 장치를 분리시킴으로써, 선박이나 인양장치에 손상이나 고장이 발생하거나 선박이 좌초되거나 전복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를 오염시키는 해양오염물질로는, 육상으로부터 유입되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캔, 유리병 등과 같은 폐기물뿐만 아니라, 연안해역의 양식장이나 선박 등에서 버려지거나 유실되는 양식어구, 폐그물 등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해양오염물질들은 대부분 자연상태에서 분해되지 않는 소재들로 제작된 것이므로, 사용이 종료되면 정해진 장소에 모아서 폐기처리해야 하지만, 태풍 등의 자연재해나 관리소흘로 인해 유실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폐그물은 대부분 해저면에 가라앉은 상태로 방치되는데, 이 경우 해저면에 서식하는 각종 수중생물들이 버려진 폐그물에 갇혀 폐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해저면에 가라앉은 폐그물이 해수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정상적인 어업활동을 방해하거나, 양식장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폐그물은 주로 갈고리와 같은 수거도구나 인양장치 등을 이용하여 인양(수거)한 후, 육상으로 이동하여 폐기하였다.
이와 같은 폐그물을 수거하는 장치들 중 하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6800호 '해저면 침적 폐로프 수거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가 있다.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해저면을 따라 이동하는 메인바디에 나란히 구성된 다수 개의 수거부재를 이용하여 폐로프를 수집하게 된다.
그러나, 선행기술을 포함하여 종래의 폐그물 수거 장치의 경우, 폐그물의 일부가 해저면의 바위와 산호초 등에 걸려 있는 경우, 해당 폐그물을 무리하게 수거하는 과정에서 폐그물 수거용 선박 및 인양장치에 손상이나 고장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해당 선박이 좌초되거나 전복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6800호 '해저면 침적 폐로프 수거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해저면에 가라앉은 폐그물 등을 안정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폐그물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폐그물이 바위와 산호초 등에 걸릴 경우, 해당 폐그물을 무리하게 회수하지 않고 해당 폐그물로부터 장치를 분리시킴으로써, 선박이나 인양장치에 손상이나 고장이 발생하거나 선박이 좌초되거나 전복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력을 유지 및 해제하는 구성을 다양한 형태로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제작될 선박용 폐그물 수거장치는 물론, 현재 선박에서 운용중인 폐그물 수거장치 등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는, 선박에 설치된 폐그물 인양장치와 연결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관절부; 및 폐그물 수거시 상기 관절부가 베이스부에서 일정 각도로 구부러진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장력을 발생시키고, 폐그물에 의해 상기 관절부에 가해지는 그물장력이 최대인장강도보다 큰 경우, 상기 관절부가 직선형태로 펴지도록 지지장력을 해제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는, 길이가변형 구조로 구성되며, 최대인장강도 이하에서는 상기 그물장력에 저항하는 지지장력을 발생시켜 복원가능길이 내에서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그물장력이 최대인장강도를 초과하면 상기 지지장력이 해제되어 복원가능길이보다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관절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와 관절부는, 구부림조절와이어 및 펼침조절와이어에 의해 회동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구부림조절와이어의 중간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실린더; 및 일측에 구성된 피스톤로드가 상기 실린더의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이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는, 다른 일측방향의 내부면을 기준으로 복원가능길이 이내는 밀폐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복원가능길이를 초과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홀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위치가, 상기 복원가능길이 내에 있는 경우 밀폐구조가 유지되어 지지장력이 발생되고, 상기 복원가능길이를 초과하면 상기 개방홀에 의해 밀폐구조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관절부와 연결되며, 최대인장강도 이하에서는 상기 그물장력에 저항하는 탄성복원력을 발생시켜 복원가능각 내에서 각도가 가변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그물장력이 최대인장강도를 초과하면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복귀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관절부의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스토퍼와 연동되며, 상기 스토퍼가 작동되면 상기 관절부를 코일스프링의 복귀회동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회동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회동구는, 상기 관절부를 코일스프링의 복귀회동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회동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관절부에 비하여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부력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해저면에 가라앉은 폐그물 등을 안정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폐그물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폐그물이 바위와 산호초 등에 걸릴 경우, 해당 폐그물을 무리하게 회수하지 않고 해당 폐그물로부터 장치를 분리시킴으로써, 선박이나 인양장치에 손상이나 고장이 발생하거나 선박이 좌초되거나 전복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뎀퍼형태를 적용한 길이가변방식과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회전제한방식 등과 같이, 장력을 유지 및 해제하는 구성을 다양한 형태로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제작될 선박용 폐그물 수거장치는 물론, 현재 선박에서 운용중인 폐그물 수거장치 등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폐그물 수거용 선박 및 폐그물 수거 장치에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크(Hook)형태와 같이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부력체를 이용하여 관절부가 베이스부의 하부방향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폐그물 수거 장치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력체의 부력을 조절함으로써, 폐그물 수거 장치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해양 폐기물 수거 분야, 특히 해저면에 가라앉은 폐그물 수거 장치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의 장력이 해제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장력조절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이 적용된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난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의 장력이 해제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A)는 베이스부(100), 관절부(200) 및 장력조절부(3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A)의 기준이 되는 구성으로, 선박에 설치된 폐그물 인양장치와 로프로 직접 연결되거나, 선행기술의 메인바디와 같이 별도의 기구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절부(200)는 베이스부(100)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별도의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베이스부(100)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여기서, 관절부(200)를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장치나 그 구성의 결합관계 등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장력조절부(300)는 최대인장강도보다 작은 장력이 발생하면 해당 장력을 유지하고, 최대인장강도보다 큰 장력이 발생하면 해당 장력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장력조절부(30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폐그물 수거시 관절부(200)가 베이스부(100)에서 일정 각도로 구부러진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장력을 발생시키다.
그리고, 장력조절부(30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폐그물에 의해 관절부(200)에 가해지는 그물장력(외력)이 최대인장강도보다 큰 경우, 관절부(200)가 직선형태로 펴지도록 지지장력을 해제한다.
다시 말해, 장력조절부(300)는 길이가변형 구조로 구성되며, 최대인장강도 이하에서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물장력에 저항하는 지지장력을 발생시켜 복원가능길이 내에서 길이가 가변될 수 있고, 그물장력이 최대인장강도를 초과하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장력이 해제되어 복원가능길이보다 길어지면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지 못하도록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장력조절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측이 베이스부(100)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다른 일측은 관절부(200)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력조절부(30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결과적으로, 도 2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절부(200)가 장력을 소실하여 베이스부(100)에서 펼쳐지게 되면, 관절부(200)에 의해 잡혀 있던 폐그물이 관절부(20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A)를 선상으로 회수한 후, 장력이 해제된 장력조절부(300)를 원래의 상태로 복구할 수 있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400'은 부력체로서, 베이스부(100)가 관절부(200)에 비하여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난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A)가, 선박에 설치된 폐그물 인양장치와 로프로 직접 연결되어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A)가 해저면으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A)의 자세가 흐트러지거나 뒤집힐 수 있으며, 이 경우 폐그물을 수거하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부력체(400)에서 발생하는 부력에 의해 베이스부(100)가 관절부(2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A)의 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폐그물의 수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부력체(400)는 해당 선박에 설치된 별도의 부력조절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고, 부력조절장치에 의해 공기의 공급량이 조절됨으로써,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A)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장력조절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장력조절부(30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실린더(310)와, 실린더(310)의 내부 공간부에서 왕복이동되는 피스톤(3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320)의 일측(도 3에서 좌측)에는 피스톤로드(321)가 구성될 수 있으며, 피스톤로드(321)는 실린더(310)의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310)의 다른 일측에는 실린더헤드(311)가 결합될 수 있으며, 실린더헤드(31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력이 해제된 장력조절부(300)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린더(310)는 도 3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른 일측방향(도 3에서 우측방향)의 내부면을 기준으로 복원가능길이(L) 이내는 밀폐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복원가능길이(L)를 초과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피스톤(320)의 위치가 도 3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원가능길이(L) 내에 있는 경우, 실린더(310) 내부의 밀폐구조가 유지되므로 지지장력(도 3에서 나란히 표시된 3개의 실선 화살표)이 발생될 수 있다.
만약, 그물장력이 최대인장강도를 초과하여 피스톤(320)의 위치가 복원가능길이(L)를 초과하게 되면, 도 3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방홀(312)에 의해 밀폐구조가 해제되고, 피스톤(320)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지 못하게 된다.
이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A)가 해당 선박의 선상으로 회수되면, 작업자는 실린더헤드(311)를 분리하고 피스톤(320)의 위치를 원래의 복귀시킨 후, 분리한 실린더헤드(311)를 실린더(310)에 결합함으로써, 도 3의 (a)와 같은 상태로 복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A)가 유압식으로 동작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하기에서는 폐그물 수거 장치(A)가 와이어식으로 동작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이 적용된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0)와 관절부(200)는 구부림조절와이어(510) 및 펼침조절와이어(520)에 의해 회동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 중 중앙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부림조절와이어(510)를 당기게 되면, 관절부(200)와 연결된 회동축(미부호)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관절부(200)가 구부려지게 된다.
다른 예로, 도 4의 (a) 중 우측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펼침조절와이어(520)를 당기게 되면, 관절부(200)와 연결된 회동축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관절부(200)가 구부려지게 된다. 관절부(200)가 펼쳐지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장력조절부(300)는 구부림조절와이어(510)의 중간에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도 4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부림조절와이어(510)를 당겨 관절부(200)를 구부려 폐그물을 잡는 과정에서, 해당 폐그물이 바위나 산호초에 걸린 상태라면, 폐그물에 의해 관절부(200)에 가해지는 그물장력이 최대인장강도보다 커지게 되므로, 장력조절부(300)가 장력을 해제(소실)하게 되고, 관절부(200)는 자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유압식 장치뿐만 아니라, 와이어식 장치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장력조절부가 뎀퍼형태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적용된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장력조절부(300)는 코일스프링(350) 및 리미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100)와 관절부(200)는 유압장치에 의해 회동동작이 제어될 수 있으며, 코일스프링(350)에 의해 관절부(200)가 구부린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코일스프링(350)은 일측이 베이스부(100)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관절부(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관절부(200)가 구부린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관절부(200)에 가해지는 그물장력이 최대인장강도 이하인 경우, 코일스프링(350)에는 그물장력에 저항하는 탄성복원력을 발생되고, 복원가능각 내에서 각도가 가변되면서 회동될 수 있다.
만약, 관절부(200)에 가해지는 그물장력이 최대인장강도를 초과한 경우,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절부(200)가 도 5에 비하여 보다 더 회동되면서, 리미터(360)에 구성된 스토퍼(361)에 의해 복귀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최대인장강도가 가해짐에 따라 관절부(200)가 과도하게 회동되면, 스토퍼(361)가 동작되면서 관절부(200)의 회동이 제한되어 코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361)는 관절부(200)의 수직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절부(200)가 회동되는 평면의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평상시는 관절부(200)의 측면에 의해 리미터(36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관절부(200)가 과도하게 회동되면 관절부(200)에 의한 제한이 해제되면서 도 6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미터(36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361)의 역할에 의해, 코일스프링(350)에 의해 관절부(200)에 가해지는 지지장력이 해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장력조절부(300)의 리미터(360)에는 스토퍼(361)와 연동되어 왕복이동하는 역회동구(3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회동구(362)는 스토퍼(361)가 작동되면 관절부(200)를 코일스프링의 복귀회동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리미터(360)로부터 돌출되는 과정에서 관절부(200)를 코일스프링의 복귀회동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7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은 역회동경사면(36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회동경사면(362a)이 형성된 역회동구(362)를 구성하게 되면, 관절부(200)가 역방향으로 더 회동되어 벌어지므로, 폐그물이 보다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
100 : 베이스부 200 : 관절부
300 : 장력조절부
310 : 실린더 311 : 실린더헤드
312 : 개방홀
320 : 피스톤 321 : 피스톤로드
350 : 코일스프링
360 : 리미터 361 : 스토퍼
362 : 역회동구 362a : 역회동경사면
400 : 부력체
510 : 구부림조절와이어 520 : 펼침조절와이어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선박에 설치된 폐그물 인양장치와 연결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관절부; 및
    폐그물 수거시 상기 관절부가 베이스부에서 일정 각도로 구부러진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장력을 발생시키고, 폐그물에 의해 상기 관절부에 가해지는 그물장력이 최대인장강도보다 큰 경우, 상기 관절부가 직선형태로 펴지도록 지지장력을 해제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력조절부는,
    길이가변형 구조로 구성되며,
    최대인장강도 이하에서는 상기 그물장력에 저항하는 지지장력을 발생시켜 복원가능길이 내에서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그물장력이 최대인장강도를 초과하면 상기 지지장력이 해제되어 복원가능길이보다 길어지고,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관절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관절부는,
    구부림조절와이어 및 펼침조절와이어에 의해 회동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구부림조절와이어의 중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실린더; 및
    일측에 구성된 피스톤로드가 상기 실린더의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이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는,
    다른 일측방향의 내부면을 기준으로 복원가능길이 이내는 밀폐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복원가능길이를 초과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개방홀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위치가,
    상기 복원가능길이 내에 있는 경우 밀폐구조가 유지되어 지지장력이 발생되고,
    상기 복원가능길이를 초과하면 상기 개방홀에 의해 밀폐구조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
  6. 선박에 설치된 폐그물 인양장치와 연결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관절부; 및
    폐그물 수거시 상기 관절부가 베이스부에서 일정 각도로 구부러진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장력을 발생시키고, 폐그물에 의해 상기 관절부에 가해지는 그물장력이 최대인장강도보다 큰 경우, 상기 관절부가 직선형태로 펴지도록 지지장력을 해제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력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관절부와 연결되며, 최대인장강도 이하에서는 상기 그물장력에 저항하는 탄성복원력을 발생시켜 복원가능각 내에서 각도가 가변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그물장력이 최대인장강도를 초과하면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복귀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관절부의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스토퍼와 연동되며, 상기 스토퍼가 작동되면 상기 관절부를 코일스프링의 복귀회동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회동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동구는,
    상기 관절부를 코일스프링의 복귀회동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회동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
  10. 제 3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관절부에 비하여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부력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
KR1020210131000A 2021-10-01 2021-10-01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 KR102621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000A KR102621870B1 (ko) 2021-10-01 2021-10-01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000A KR102621870B1 (ko) 2021-10-01 2021-10-01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764A KR20230047764A (ko) 2023-04-10
KR102621870B1 true KR102621870B1 (ko) 2024-01-04

Family

ID=8598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000A KR102621870B1 (ko) 2021-10-01 2021-10-01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8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270B1 (ko) * 2011-12-06 2012-08-21 주식회사 국토해양환경기술단 갯벌용 해저폐기물 수거장치
KR101672723B1 (ko) * 2016-04-14 2016-11-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어부가 분리된 사이드 스캔 소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824B1 (ko) * 2014-06-27 2016-02-0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폐기물 수거처리장치
KR101586800B1 (ko) 2015-07-08 2016-02-02 주식회사 메이텍엔지니어링 해저면 침적 폐로프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270B1 (ko) * 2011-12-06 2012-08-21 주식회사 국토해양환경기술단 갯벌용 해저폐기물 수거장치
KR101672723B1 (ko) * 2016-04-14 2016-11-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어부가 분리된 사이드 스캔 소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764A (ko)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7645A (en) Purse ring
EP2739524B1 (de) System und verfahren zum bergen eines unterwasserfahrzeugs
DE3312951A1 (de) Schwimmendes off-shore-bauwerk
KR102621870B1 (ko) 해저 폐그물 수거 장치
DE102017216112A1 (de) Aussetz-System und Aussetz-Verfahren mit zusammenziehbarem Vorleinenausleger
DE2021254A1 (de) An einem Meeresboden od.dgl. zu verankerndes Schwimmsystem,insbesondere Festmacheboje
DE3113225C2 (de) Verfahren und Ablegetrosse zum Ablegen einer Rohrleitung auf dem Meeresboden
EP2174542B1 (en) Hardened purse ring
DE102012112333A1 (de) Vorrichtung mit einer Aussetz- und Bergungseinrichtung
WO2018224207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nehmen eines unterwasserfahrzeugs
KR102135107B1 (ko) 선박용 접이식 추진기 보호장치
US10370065B2 (en) Watercraft anchors
DE10157313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im Wasser versenkten Befestigungsleine beim Anlegen von Wasserfahrzeugen in einem Hafen
KR102130496B1 (ko) 선박용 닻구조체
CN112319736B (zh) 一种适用于海上打捞浮标的工具
DE2533600C3 (de) Wasserfahrzeug zum Aufnehmen eines schwimmenden Gegenstandes
KR101833172B1 (ko) 해양 침적쓰레기 위치표식장치
DE60130542T2 (de) Haltevorrichtung
DE2517707C3 (de) Markierungsbojenanordnung
DE217874C (ko)
AU2021105702B4 (en) A rope recovery tool
DE102019131106A1 (de) Schwimmkörper und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eines Schwimmkörpers
Szulc-Kajdak Fishing gear from Jiyeh (Porphyreon). Preliminary report
AU2020223701B2 (en) A rope recovery tool
KR102147723B1 (ko) 바다숲 조성을 위한 종사줄 고정용 임팩트 렌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